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과정중심평가의 연구동향 분석

        최훈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과정중심평가의 연구동향을 조사하였다. 과정중심평가는 개별 학습자의 성장과정에 관한 교사의 관찰과 기록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학생 맞춤형 평가’와 연결된다. 따라서 과정중심평가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논의 및 개선점을 도출함으로써 ‘학생 맞춤형 평가’로 원활히 환류시킬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Vosviewer 1.6.19를 활용하여 ‘과정중심평가’ 관련 KCI 학술지 논문 278편을 조사했으며, 저자키워드 431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키워드 대다수가 한국 교육현장에서만 사용하는 용어이므로, 다양한 영어 번역 형태와 유의어, 약어 등을 정제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분석 결과 논문 전체, 학교급별, 교과별 및 특정시기 전후의 연구동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논문 전체에서는 변화된 정책에 대한 인식과 적용, 평가와 연계된 수업의 변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 전문성과 교과교육에의 적용, 교육과정 실현, 평가방법에 대한 고찰,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관한 평가 실현의 6개 집단으로 키워드가 분류되었다. 학교급별의 경우 초등은 수업에서의 과정중심평가 구현, 중등은 교육과정 및 정책 하에서의 과정중심평가, 교사의 인식이 주된 연구주제였다. 주요교과에서는 글쓰기평가, 통합과학(평가) 등 계열의 특성에 따라 연구동향이 다르게 나타났고, 2020년 전후의 연구동향에서는 과정중심평가의 의미와 실현에서 교사의 평가전문역량, 원격수업 등으로 주제가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교사의 평가 전문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될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process-based assessment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his term is not a new evaluation method but a policy term implying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the Korean government's educational policy. While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 evaluation has mainly focused on outcome-based assessment after learners complete their education, process-based assessment aims to shift the evaluation paradigm by providing appropriate feedback centered on learners' changes and growth processes. This paradigm emphasizes teachers' observation and documentation of individual learners' growth processes, aligning with the 'student-customized assessment'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South Korea. Therefore, the study aims to grasp the research trends of process-based assessment, derive discussions and improvement points, and explore measures to implement student-customized assessment under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uccessfully. Utilizing Vosviewer 1.6.19, 278 journal articles related to process-based assessment from KCI journals were surveyed, with 431 out of 922 author keywords used for analysis. As the majority of keywords are terms used only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it was necessary to refine various English translation forms, synonyms, and abbreviat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different trends in overall articles, by school level, by subject, and before and after specific periods.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손유진,강승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evaluation research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evaluation using network analysis that shows the key keyword features and the structure among keywords. Method: Analysis results of 2,969 keywords of 838 research articles from 2002 to August 1, 2022 were presented in three categories: total keyword structure, keyword structure by period, and structure between keywords. Through UCINET6, we analyzed the keywords' connection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intermediary centrality,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that appeared high in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and visualized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co-occurrence frequency through NetDraw.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ll keywords, ‘early childhood teacher’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e analysis by period from the 1st period (2002-2006) to the 4th period (2018-2022), the evaluation research was leading from the diagnostic evaluation to the study of evaluation indicators related to play. 'Pre-kindergarten teacher' was connected with teacher education program, reflective simulation clas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eflective thinking, life guidance method, and class satisfaction. The keyword 'early teacher' was linked to individualized curriculum, learning community, self-growth, play, play-centered education, evaluation index, and kindergarten evaluation. ‘2019 Nuri Curriculum’ was connected with ‘play’,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kindergarten evaluation’, ‘infant teacher’, ‘core competency’, and ‘infant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research involving discourse and practice that expand the horizon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evaluation on how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as an evaluation to support individual growth and learning of learners and to support individual growth of learners while improving teachers’ teaching practic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핵심 키워드 특징과 키워드 간 구조를 보여주는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교육과정 평가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과정 평가 연구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2002년부터 2022년 8월 1일까지 838편의 연구물의 키워드 2,969개의 키워드를 분석 결과를 전체 키워드 구조, 시기별 키워드 구조, 핵심어간 구조의 세 가지 범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UCINET6를 통해 키워드의 연결, 근접, 매개 중심성, 에고 중심성 분석과 동시 출현 빈도에서 상위에 나타난 키워드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상위 키워드를 대상으로 NetDraw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시각화 작업을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키워드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가장 자주 출현하였다. 1시기(2002-2006)에서부터 4시기(2018-2022)까지 기간별 분석에서 평가연구는 진단평가에서 놀이에 관련한 평가지표에 대한 연구로 이어지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반성적모의수업, 유아교사교육, 반성적 사고, 생활지도방법, 수업만족도와 연결되어 있었다. ‘유아교사’ 키워드는 개별화교육과정, 배움공동체, 자기성장, 놀이, 놀이중심교육, 평가지표, 유치원평가 등과 연결되어 있었다. ‘2019개정누리과정’은 놀이, 국가수준유아교육과정, 유치원평가, 유아교사, 핵심역량, 장애유아 등과 연결되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는 유아교육과정 평가와 관련하여 여전히 분리적이고 교육과정 실행을 평가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동시에 2019개정 누리과정에서 나타내는 담론의 변화를 담아내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개별 성장과 배움의 지원 그리고 교사의 교수 실천을 개선하면서 학습자 개별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평가로 유아교육과정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유아교육과정 평가의 지평을 확대하는 담론과 실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기를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

        초·중등학교 통일 교육과정 연구 동향과 과제

        송명현(Myunghyun Song),김두정(Doojung Kim),김소영(So young Kim),이윤소(Yunso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교 통일 교육과정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에서 제공하는 국내 학술지 논문 100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연구시기별, 연구방법론별 준거를 토대로 주제별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부 시기별 연구 동향은 2000년대 이후로 양적 증가 추이를 보였는데, 특히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와 맞물려 있는 7차 교육과정 시기에 남한의 통일 교육과정 연구가 43.2%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통일 시기별 연구 동향은 통일 대비 교육과정 연구가 92.0%(그 중 남한 교육 과정 80.4%)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방법론은 문헌 연구가 94.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문헌연 구는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89.4%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교과 분석은 도덕, 사회, 국어 순 으로 많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통일 교육과정의 과제 다섯 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통일 교육과정 연구의 관점은 점차 ‘통일 한국(통합적) 교육과정연구’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둘째, 북한 교육과정에 대한 철저한 이해 를 통해 통일 교육과정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통일 교육과정 연구와 정부 성향 및 통일 정책과 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통일 교육과정 연구의 주제에 따라 보다 다양한 연구 방법이 활용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통일 교육과정에 연계된 보다 다양한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approximately hundreds of previously published journal articles on Korea’s unification curriculum which were enlisted in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ata base in KERIS(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 thematic analysis wa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research period and method criter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increasing trend of research on the unification curriculum from the past administration in 2000. During the 7th curriculum reform by former president D. J. Kim and M. H. Roh, there was a significant expansion (43.2%) on number of research articles on unification curriculum. Second, regarding the curriculum by phase of the unification, research on “Curriculum for Unification Preparation” took the highest share with 92.0 percent.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was the highest (94.0 percent). Study on the course of the study was prominent for the literature review while analysis of curriculum was mostly done on Ethics, Social Studies and Korean.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he researchers drew fiv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First, the focus of the study on unification curriculum should be gradually expanded to the curriculum studies for a unified Korea. Second, the unification curriculum studies should be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s curriculum. Third, there should b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courses and government policy on unification. Fourth,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need to be utilized for the unification curriculum. Finally, analytical research on more various subject areas related to the unification curriculum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지역 교육과정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이도영,최류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5

        To explore the trends of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25 academic articles related to the curriculum guideline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e research trends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curriculum’s timing of applic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area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ggestion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continued to increase since the thesis applied with the sixth curriculum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SSecond,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he number of studies dealing with elementary school level was the highest, and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human subjects, the number of studies on teachers was the highest. Third, analyses and comparative studies on curriculum guideline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had the highest proportion while studies on implementation and reality, development, and design had similar proportions. Studies on theory and concepts were also included. Fourth, literature research accounted for about half of all researches, and qualitative research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recent times. Fifth, the research suggestions raised the issues of the nature and authority of the local curriculum and the regional curriculum’s document system, the contents of its development system and governance,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and support for its implemen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to expand the regional curriculum’s research areas, diversify its research subjects, and review its roles and authority.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역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 지침 관련 학술논문25편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적용 시기, 연구대상, 연구영역, 연구방법, 연구제언이라는 다섯 가지 기준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제6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논문에서 시작하여 최근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이르기까지 연구 편수가 지속적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두 번째, 학교급에 따라 분류하면, 초등학교급을 다룬 연구수가 가장 많았고, 인적 대상에 따르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세 번째,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지침에 관한 분석 및 비교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실행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개발 및 설계에 관한 연구가비슷한 편수로 다루어졌으며, 비중은 적으나 이론 및 개념에 관한 연구가 포함되었다. 네 번째, 문헌 연구가 절반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며, 최근 질적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다섯 번째, 연구의 제언으로는 지역 교육과정의성격 및 권한, 지역 교육과정 문서 체제, 지역 교육과정 개발체제 및 거버넌스에 관한 내용, 지역 교육과정에 관한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지역 교육과정의 실행지원에 관한 내용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지역 교육과정 관련 연구 영역의 확대, 연구대상의 다양화, 지역 교육과정의 역할 및 권한에 대한 합의 등이 필요함을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정 및 누리과정 연구동향 분석 : 2007년∼2017년을 중심으로

        김미애,나인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2012년 3∼5세 유아 대상의 누리과정 제정을 기점으로 전, 후 5∼6년 동안의 유아교육과정의 연구동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이 고시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학술지와 등재후보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283편을 분석하였다. 유아교육과정 관련 연구들의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영역에 있어 최근 10여 년 동안의 연구동향을 탐색하고, 누리과정 이전 5년 기간과 누리과정 이후 최근까지 6년 기간 동안 이루어진 연구들을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에서 2017년 사이에 이루어진 유아교육과정 관련 연구들은 3∼5세 유아 대상의 누리과정이 전면적으로 시작된 시점인 2013년(15.2%)과 2014(15.5%)년에 연구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내용(67.5%)과 교사(24.0%),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59.0%)와 문헌연구(23.7%)‘, 연구영역’으로는 유아교 육과정 지침서 및 활동자료집 분석(55.5%)과 교사전문성(22.6%)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누리과정 시행 전과 후 시기를 비교하면, 2007년∼2011년 기간에 비해 2012년∼2017년 기간 동안 연 평균 2배 이상의 유아교육과정 관련 연구가 이루어졌다.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영역은 ‘연구대상’에서는 ‘내용(contents)’영역, ‘연구방법’에서는 ‘양적연구방법’, 그리고 ‘연구영역’에서는 ‘유아교육과정 지침서 및 활동자료집 분석’영역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유아교육과정 관련 연구동향에서 이러한 연구의 편중현상이 나타난 이유와 그 특징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283 research studies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2007 to 2017. W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the past decade, comparing two separate periods before(2007∼2011) and after(2012∼2017) the Nuri curriculum implementation. Each article was analyzed in terms of its subject, methodology, and research area, which were coded into pertaining subcategories.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studies rapidly increased in 2013 and 2014. Contents(67.5%) and teachers(24.0%) in subjects, quantitative methodologies(59.0%) and literature review(23.7%) in methodologies, and curriculum guidelines for teachers and textbook analyses (55.5%) and professionalism(22.6%) in research areas were the subcategories that researchers dealt with the most in each category. Second, in comparing two periods we found that the average number of papers published during the second 6 years(2012∼2017) was more than twice as many as it was during the first 5 years(2007∼2011). It also showed that ‘contents’, ‘quantitative methodologies’, and ‘curriculum guidelines for teachers and textbook analyses’ were the subcategories that researchers dealt with the most in each category during the second period(2012∼2017).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easons f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cing too much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particular areas in performing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in Korean contexts.

      • KCI등재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교육과정연구」를 중심으로

        정민영(Jung, Minyoung),조영종(Cho, Young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계에서 활발한 논의의 대상이 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여 역량 중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다르게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는 차별점을 가지며, 최종적으로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연구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의 사회적 책임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방법 분석대상 논문은 총 84편으로, 1차~3차 검증 절차를 통해 선정되었다. 결과 도출을 위해 김선은(2019)과 하혁, 박대원(2020)의 연구방법론을 참고한 연구동향 분석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기술통계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Excel 이다. 분석준거는 양적 변화 동향, 주요 연구영역 및 연구주제 동향, 연구방법 동향, 연구대상 동향이다. 결과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중심 교육과정 관련 연구물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중기~후기 구간에 발행된 논문이 과반 수 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주요 연구영역 및 연구주제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교육과정 분석이었다. 셋째,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된 연구물이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주요 연구대상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연구논문의 항목을 중심으로 하는 문서였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들은 심층적이고 다방면에 걸쳐 시행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의 제한점 극복을 위해서 연구자료를 더욱 충분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analyze research trend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fulfillment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nalyz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research trend. Methods This study, 84 papers were selected. Study method is research trend analyze method. Specifically, first, trends of quantitative. Second, trends of major area and topics. Third, trend of research method. Fourth, trend of research subject. Results This study results. First,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search is steadily increase, and more than half of theses are publishehd in the mid-late period. Second, the major research area and topics was curriculum analyze. Third, among the research methods, 69 papers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urth, the main research subject of the research were documents centerd on curriculum, textbooks, and research papers. Conclusions In the future, research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need to be conducted in a more in-depth and multi-faceted manner.

      • KCI등재

        교육과정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2011년부터 2020년을 중심으로

        윤옥한 ( Okhan Yo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과정 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과정연구 논문을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330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10년 전(2000-2010) 연구 동향과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의 경우 총 59편(18%), 교육과정 이론은 총 65편(20%), 둘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은 문헌 또는 이론연구가 총 209편(63%)으로 가장 많았으며, 질적연구는 총 85편(26%), 양적 연구가 총 36편(11%)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과거 10년(2000년~2010년)과 현재 10년(2011년~2020년)을 비교한 연구 동향은 전체 논문 편수는 10년 전총 365편에서 10년 후(2011-2020) 총 330편으로 35편(10%) 감소하였다. 연구주제별로 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분야가 총 64편(52%) 감소하였다. 문헌 및 이론연구의 경우 총 34편(14%)이 감소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경우 총 12편(50%)이 증가하였고, 질적연구의 경우 총 12편(12%) 감소하였다. 향후 교육과정연구 학회지뿐만 아니라 한국통합 교육과정학회, 교육학회 등 인접 학회지와 비교 연구와 더불어 단행본, 석·박사학위논문 등도 함께 살펴볼 필요도 있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330 curriculum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and compare these with research trends 10 years ago to study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rends by subject for 10 years were 59 articles (18%)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gn, and 65 articles on (20%). Second, in the same 10-year period of the curriculum journal research trends relating to methodology were most frequently identified with 209 articles (63%) on the literature and theoretical studies, 85 articles (26%) involving qualitative studies, and 36 quantitative studies (11%). Third, another research trend emerged when comparing the past 10 years and the current 10 years of the curriculum journal. In the first decade examined, 365 articles were published, whereas 10 years later 330 were, indicating a decrease of 35 (10%).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not only journals for curriculum research, but also books,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s well as comparative studies with adjoining journals such as that of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ed Curriculum and Education.

      • KCI등재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2005년 이후를 중심으로

        오철진 ( Chul Jean Oh ),신현기 ( Hyun Ki Shin ),김이경 ( Lee Kyung Kim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4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특수교육 학술지에게재된 논문 총 149편을 대상으로 학술지별 발표 편수, 발표 연도, 연구대상 장애유형, 연구방법, 표집된 연구대상, 연구대상 교육과정 유형, 그리고 연구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표된 총 논문의 편수는 2009년을 기점으로 증가하였고 연구방법은 양적 조사연구와 문헌/이론 연구가 주종을 이루었다. 인적 연구대상으로는 특수학급 교사가 가장 많이 참여 하였고 국제 비교연구는 일본과의 비교연구가 제일 많았다. 국가수준 교육과정 기준으로 연구가 가장 많았던 교육과정 유형은 기본교육과정이었다. 장애유형별로는 지적장애-청각장애-중도·중복 장애 교육과정 순으로 연구가 많이 발표되었다. 연구의 주제라고 할 수 있는 연구영역 변인에 있어서는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과 ‘교육과정·교과서 분석’ 영역 분야에서 많은 논문들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연구방향 4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교육과정의 연구대상 측면에서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목소리를 담고자 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방법 측면에서 교육현장의 내밀한 현상을 담을 수 있도록 연구방법의 다양화를 모색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연구의 주된 대상이 되고있는 특수교사의 전문성 향상 대책이 병행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는 우리 실정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a total of 149 research articles from special education journals to figure ou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search trends of the latest 10 years. So we analyzed a number of treatises by each journal, publication year, types of disability, research methods, sampling, curriculum types, and study area as the subject of study. As a resul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was increased from 2009. Quantitative methods and literature or theoretical reviews build the main stream. Researchers prefer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the special education class of inclusion school as a sample. In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Japan was chosen most often as comparable target. Among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types, the number of researches about ‘The Basic Curriculum’ for the cognitive disabilities was the most common. When counting the number of treatises based on the disability types, the number of intellectual disability was the most. And deafness, serious/multiple disabilities are followed. In the study area, a factor that can be the theme of a study, many studies have been published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and ``curriculum·textbook analysis`` area. Based on these findings, we made 4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irst, when sampling the participant of research, researchers should try to reflect the voices of various stakeholders.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researchers must seek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to hold the unrevealed phenomena of the classroom. Third, actually many researches`` main participants a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re are necessary conditions that must be met to receive recognition for validity. That i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improve expertise on curriculum. Finally, the researches that suggest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vision should be done on the basis of domestic situation.

      • KCI등재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하혁(Ha Hyuk),박대원(Park Dae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이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을 이해하고, 이후 진행될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금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관련 연구물을 메타분석적인 접근(meta-analytic approach)을 통해 분석하였다. 2015년 9월 이후부터 2020년 6월 현재까지의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2015 체육과 교육과정 연구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3차의 배재과정을 통해 총 37편의 논문을 최종 연구물로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분석에 대한 연구는 총 14편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교육과정 이론 연구 6편(42.86%), 교육과정 영역별 내용분석 연구 7편(50%), 교육과정 개정 논리 및 방안 연구 1편(7.14%)이 확인되었다. 교육과정 실행 및 실태 연구는 총 17편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 운영 실태의 문제점 및 개선점 연구 4편(23.53%), 교육과정에 관한 (예비)교사 연구 7편(41.18%), 수업의 적용 및 재구성 연구 4편(23.53%), 내용의 적정화 연구 2편(11.76%)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는 총 6편으로 확인되었다.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관련 연구물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체활동 가치, 교과 역량 관계 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이론의 이해를 위한 개념 정립을 요구하였다. 둘째,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을 위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실천적 수준에서의 안전교육을 위한 방안 마련을 촉구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trend of researches on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also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es. To achieve such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so far, through the meta-analytic approach. This study targeted the researches on the 2015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September 2015 to June 2020. By going through the 1st~3rd exclusion processes, total 37 theses were determined as the final research data.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total 14 researches on the curriculum analysis. In more detailed results, there were six researches(42.86%) on curriculum theories, seven researches(50%) on the contents analysis of curriculum in each domain, and one research(7.14%) on the logic and measures of curriculum revision. There were total 17 researches on the execution and reality of curriculum. In more detailed results, there were four researches(23.53%) on the problems with the status of management and improvements, seven researches(41.18%) on (pre-service) teachers in relation to the curriculum, four researches(23.53%) on the application and recomposition of classes, and two researches(11.76%) on the optim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Lastly, there were total six researches on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urriculum. In the results of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task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for understanding the theories composing the curriculum such as value of physical activ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 competencies. Second,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discussions for improving the document system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is study urged to establish the measures for safety education in the practical level.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 2000년~2011년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최현주(Choi, Hyun Ju),김정원(Kim, Jung W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아교육과정 관련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 및 등재 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총 156편의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는 유아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영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유아교육과정·지침서 및 활동자료집 분석,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교수·수업연구, 유아교육과정 이론, 유아교육과정 연구방법론 등의 순서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최근 10년간 이루어진 유아교육과정 연구들의 연구방법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이었으며, 다음으로 문헌·이론연구와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 등의 순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질적연구방법은 유아교육과정·지침서 및 활동자료집 분석 영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문헌·이론연구방법은 대부분 유아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영역과 유아교육과정 이론 영역에서 활용되었다. 양적연구방법은 교사의 유아교육과정 전문성 영역, 유아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영역, 교수·수업연구 영역 등의 순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areas' and 'research method' of 156 journal articles published during 2000~2011 perio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Content analysis was applied and each articles in the journals were coded to one of seven research areas and one of four methods.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areas', early childhoo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have been most focused on curriculum development, followed by content analysi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activity book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method' has revealed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e most, and then literature review,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ere applied the less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ever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The prevalence of research related to curriculum development, low research in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method, and recent increases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areas.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qualitative method has been increased recently and literature review method de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