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프트웨어 산업의NCS 기반 S-OJT 교육과정개발: A기업을 중심으로

        나현미,심지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4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9 No.2

        This study developed training program to educate professional workers for softwareindustry with growing importance in this area as software industry takes more parts inKorean economy. Additionally, this study developed the program based on nationalcompetency standards(NCS) using 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S-OJT), For this study, we reviewed economic index about software industry such as economic ratio and the influx of the workforce. Also literature review for S-OJT was conducted to explore its concept for better application of the concept to the program development. Inaddition, this study use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manual suggested by KoreanDepartment of Labor. We selected specific job which needs training program to be developed based onthorough needs analysis for a company A. Previously developed NCS and other documents were review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core knowledge and skills for the job. 44 training programs were developed and objective of each program, hours, contents and methods were also suggested. Additionally detailed program name, education system, road map and operation strategy were developed and sugges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other industry and jobs which arefacing to the development of NCS based education program by suggesting detailed stage of development process. For more animated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using NCS, the effect of the program should be tested in the future. For the test,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and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as well. 본 논문에서는 국가경제성장에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소프트웨어 산업의전문인력육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절차와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개발된교육과정은 산업현장을 반영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을 두었으며,교육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S-OJT(체계적 현장직무 교육훈련: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소프트웨어 산업과 관련한 경제지표와 관련인력의 투입 등의 자료를 검토하여 그 산업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S-OJT방법의 차용을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해당 개념을 충분히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NCS기반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본 틀로서 고용노동부에서 개발하여 배포된한국형 일・학습 듀얼 시스템 운영매뉴얼의 개발절차를 활용하였다. 현장성 높은 과정 개발을 위해 소프트웨어 분야 주식회사A의 교육요구조사분석을 통해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되는 직무를 선정하였다.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수준을 발굴하기 위해, 기 개발된 NCS를 면밀히 검토하는 한편NCS에 반영되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는 기존자료 검토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교육체계를 개발하였다. 총 44개의 교육과정이 4년간의 교육기간동안 이수되도록 개발되었으며, 각 과정은 교과목표, 소요시간, 교과내용, 교육방법, 그리고 선수과목을 각각 표기하였다. 또한 44개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교육체계 로드맵,세부 운영전략 등을 개발하였다. 사회적으로 NCS에 기반한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결과 도출된 교육체계와 교육과정은 많은 시사점을 가진다. 특히 고용노동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매뉴얼에 따른 개발 절차를 자세히 소개함으로써, 향후 NCS에기반한 산업직무별 교육과정개발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활발한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해당 과정의 교육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의 개발과 NCS에 특화된 교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의 관점에서 본 한국 고등학교의 독일어 교육과정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독일어Ⅰ을 중심으로

        권오현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獨語敎育 Vol.76 No.76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untersucht, wie das Konzept der Kompetenzorientierung im Curriculum für DeutschⅠ an koreanischen Oberschulen realisiert wird. Für eine vergleichende Analyse wird das hessische Kerncurriculum für Englisch herangezogen. Initiiert von der OECD wird hinsichtlich der Lehrpläne für den Fremdsprachenunterricht an Schulen mittlerweile die Tendenz erkennbar, die Erwerbung unterschiedlicher Kompetenzen einzuführen. Als Kompetenzen werden die Eigenschaften persönlicher Selbstorganisation bezeichnet, welche sich im Agieren ausdrücken und verwirklichen. Im Kompetenzbegriff fallen daher Wissen und Können zusammen; er umfasst zudem Interesse, Motivation, Werthaltung und Bereitschaft. Bei der Kompetenzvermittlung unterscheidet das hessische Kerncurriculum für Englisch zwischen zwei Schlüsselkompetenzen: fachliche und überfachliche Kompetenzen. Überfachliche Kompetenzen werden sowohl im Lernprozess während des Unterrichts als auch durch extracurriculare Tätigkeiten vermittelt und verinnerlicht. Sie umspannen ein weites Spektrum: Organisationsfähigkeit, Eigeninitiative und kooperatives Verhalten. Das hessische Kerncurriulum für Englisch weist folgende fachliche Kompetenzbereiche auf: funktionale kommunikative Kompetenz, interkulturelle kommunikative Kompetenz, Text- und Medienkompetenz, Sprachbewusstheit und Sprachlernkompetenz. Diese Kompetenzen stehen in engem Bezug zueinander; insbesondere der funktionalen kommunikativen Kompetenz kommt ein zentraler Stellenwert zu. Voraussetzung für die Realisierung der einzelnen Kompetenzen ist das Verfügen über angemessene sprachliche Mittel und kommunikative Strategien. Auch im koreanischen Curriculum für DeutschⅠ wurde das Konzept der Kompetenzorientierung für unterschiedliche Bereiche wie Lernziel, Bildungsstandards, Lehr- und Lernmethoden, etc. übernommen, sodass Lernende im Laufe des Deutschunterrichts diverse Kompetenzen erwerben können. Doch anders als das hessische Curriculum weist das koreanische keine fachlichen Kompetenzbereiche auf, weshalb Bildungsstandards in Korea lediglich für vier Sprachfertigkeiten und das Kulturwissen vorhanden sind. In Hessen hingegen werden Bildungsstandards nach fünf fachlichen Kompetenzbereichen gegliedert und aufgeführt. Abschließend wird der Vorschlag gemacht, bei der Curriculumentwicklung für Deutsch I an koreanischen Oberschulen eine systematische Zusammenführung von Bildungsstandards und fachlichen Kompetenzen anzustreben, damit koreanische Deutschlernende in unterschiedlichen inhaltlichen Kontexten die Bildungsstandards der jeweiligen Kompetenzbereiche noch effektiver erwerben können. 본 논문은 이러한 총론적 수준에서 설계된 ‘역량기반 Kompetenzorien- tierung’이라는 교육적 지향이 한국의 외국어교육에는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독일어교육의 기본적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오늘날 외국어교육은 언어적 기능을 키워주는 데서 나아가 언어교육, 문화교육, 역량교육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교육목표를 추구해야 한다. 이러한 현상들이 구현되는 양상을 독일어Ⅰ교육과정 문서에서 찾아 분석함으로써 ‘역량기반’ 관점의 교육적 취지, 학교현장에의 안착 필요성 그리고 일반적 교육지향에 부합하는 ‘학교독일어 Schulfach Deutsch’ 교육의 바람직한 모습을 탐색할 것이다. 현재 독일어Ⅰ과 독일어Ⅱ교육과정이 분리되어 있지만 후자는 교육과정 문서 진술에서 독일어Ⅰ교육과정과 대동소이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성이 있는 독일어Ⅰ교육과정만 분석한다.

      • KCI등재

        기본교육과정 초등과학 교과서 및 교사용지도서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수업 평가 일체화 연구

        권순황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과학교과의 본성에 맞춘 수업과 평가가 올바르게 편성 전개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첫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과 공통교육과정의 과학과의 성격을 분석하고, 둘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학년군별 교과내용을 분석하며, 셋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2015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3, 4학년군과 5, 6학년군의 교과를 교-수-평 일체화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이형빈(2015)의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과 공통교육과정 과학과의 성격은 유사하다. 둘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3, 4학년군과 5, 6학년군의 교과 내용선정 기준이 모호하여 중복과 발전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셋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교-수-평 일체화는 3, 4학년군과 5, 6학년군별 내용선정 및 수업에서의 교수-학습 모형 적용면에서 중복과 발전의 차별적이거나 위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단위시간별로 교-수-평 일체화의 형식을 지니고 있다. This study is built on the three following objectives to examine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ature of the 2015 revised basic and science curriculums.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rd,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the class-assessment alignment between the 2015 revised basic and science curriculums. This study employs the analytic framework suggested by Lee (2015)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alignment in the science education for third- and fourth-grade group and fifth- and sixth-grade group. First, the nature of 2015 revised basic and science curriculums are homogeneous. Second,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curriculum content for the third- and fourth-grade group and the fifth- and sixth-grade group are ambiguous. This ambiguity leads to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redundancy and development. Third,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grade group and the fifth-and sixth-grade group in content selection and class model application. Therefore,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class-assessment is not likely to accommodate the nature of science education. Meanwhile, the curriculum by unit time might achieve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alignment.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 내용 분석

        이상봉,이도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nit of 12 kind of textbooks at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in Practical Art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ccording to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09. Frequency and intensity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nit in the 12 textbooks were analyzed by category, theme and so on. For the content analysis, framework for analysis was adopted from the construction technology system of Jackson`s mill industrial arts theory, and category was selected by ‘input-process-output’ system, and unit was selected by theme. First, the analytical framework by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nit, was measured and analyzed the frequency. Second, the analytical framework by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nit, was measured and analyzed the intensity. These procedures a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new curriculum did accurately reflect the content in the textbooks and what is more emphasis on the content elements is presen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1) Disconnecting the rate of 12 kind of textbooks configuration, input, process, output, environment category and all its theme and sub-theme were present. (2) The results from the frequency analysis on category appeared to be in order of input, process, output, environment, and on each theme appeared to be in order of structures on a site, productive, people, materials, natural environment, energy, etc. (3) The results from the Intensity analysis on category appeared to be in order of output, process, input, environment and on each theme appeared to be in order of structures on site, productive, people, natural environment, materials, energy, etc. Based on the findings of a new textbook,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reflects a combination of analysis and study the textbook selection is proposed to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2013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12종 교과서의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있다.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내용 분석을 위하여 분석틀은 잭슨스밀 공업과교육과정의 건설 기술 체제로, 범주는 ‘투입-과정-산출‘ 체제로, 단위는 주제로 선정하였다. 첫째, 분석틀에 의해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빈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강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위 절차에 따라 분석된 결과를 통해 새로운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서에 명확히 반영되었는가와 더욱 강조된 내용 요소가 무엇인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 의한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내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종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비율은 다르나 투입, 과정, 산출, 환경 범주별로 내용 요소가 모두 구성되어 있었다. (2) 빈도 분석 결과 범주별로 투입, 과정, 산출, 환경의 순이었으며, 주제별로 현장 구조물, 생산 과정, 사람, 재료, 자연환경, 에너지 등의 순이었다. (3) 강도 분석 결과 범주별로 산출, 과정, 투입, 환경의 순이었으며, 요구 비율과 비교하여 산출과 환경은 증가하고, 투입과 과정은 감소하였다. 주제별로는 현장 구조물, 생산 과정, 사람, 자연환경, 재료, 에너지 등의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의 내용 분석 연구 결과가 교과서의 편성과 선정에 따른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이해와 교육과정 재구성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김동인,정은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9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 the recognition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practi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support needs for special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3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fan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Jeonnam. Results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higher than medium.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an infant and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although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the shorter their careers were, the mor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in finding effective methods. Third, the factors that hinder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were lack of preparation time and lack of methodolog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Four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practice of reconstruction. Lastly, in order to practic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it was required to disseminate reconstruction example materials, to provide practical training, and to reduce workloa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how to support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s, such as raising awarenes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mentoring of experienced teachers and low-career teachers, hands-on training and sharing reconstruction cases,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for teacher's curriculum expertise and the development of reconstruction manual.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실태와 지원 요구 사항을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남 지역 유아․초등․중등 특수교사 13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초등특수가 유아특수와 중등특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경력이 낮을수록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준비 시간 부족, 방법론적 지식과 경험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과정 이해도와 재구성 실천 간,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 인식과 재구성 실천 간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을 위해서는 예시 자료 보급, 실제적인 연수, 업무 경감 등을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와 함께 교사 멘토링, 실습 중심의 연수, 재구성 사례 공유 등 지원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고, 교육과정 전문성에 대한 평가 도구 개발, 재구성 매뉴얼 개발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싱가포르와 호주의 지리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대안적 방향 고찰

        김선영(Kim S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이 역량기반의 접근을 취한다고 할 때,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설계하는 대안적 방식을 사회(지리 영역)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역량기반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현황과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후 우리나라보다 먼저 역량적 접근을 시도해온 싱가포르와 호주 지리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대안적 방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역량기반 사회과 교육과정은 지향하고 있는 역량을 단순히 나열하는 항목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는 항목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역량의 성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교육내용의 제시및 그러한 교육내용 사이의 연계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항목, 실질적인 교수·학습 속에서 역량이 성취되는 과정에 영향을 주는 항목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lternative ways of designing the document system for subject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competency, and to focus on Social studies(geography domain) curriculum.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Korea s competency-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 system, and explored alternative direction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document system by analyzing the document systems of Singapore and Australia geography curriculum that presents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at Korea s competency-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need to introduce an item that can be fully explained and understood, rather than simply listing he competencies it is aiming for. It also proposed that an item should be prepared that would present educational contents that could enable achievement of competency, but that items that could emphasize the link between such educational content, and items that affect the process in which competency is achieved in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후보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모형 개발

        오승균,김진수 대한공업교육학회 200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1 No.2

        급변하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공업교육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성화고등학교는 변화하는 산업 현장과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인력 조건을 분석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전통적인 산업사회에서 지식기반사회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해가고 있는데 비해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전통적인 산업 현장의 직무를 분석한 작업(Task)에 관한 교육과정만으로 학교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이제는 산업 현장의 직무를 분석한 교육과정과 국가수준에서 요구하는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는 교과 교육과정의 도입도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3-type 교육과정‘의 모형을 찾아보고, 현장의 직무내용을 분석한 교육과정과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과 교육과정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3-type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특성화고등학교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방법과 공업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A change in industrial education has been demanded with the emergence of rapidly changing knowledge-based society. Keeping pace with the current trend,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should analyze what their students need and suggest what they should do to be qualified for work. Even though the education paradigm is in the process of change from traditional industrial society to knowledge-based society,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ill focuses on the out-of-trend traditional curriculum. Now, it's a time to introduce new curriculum which analyzes on-the-spot tasks and enhances students' creativity and capability to solve problems. For this study, new '3-Type school curriculum' models are examined. Furthermore, the on-the-spot based curriculum, which nurtures students' creativity and capability to take care of things should be adopted. This paper showed a direction toward the activation and generalization of the industrial education by specifying to which direction the 3-type curriculum-based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hould move.

      • KCI등재

        직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개관

        이지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2

        목적 이 연구는 1차 교육과정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우리나라 직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 및 편제상 특징을 중심으로 변천 과정을 개관하였다.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에 탑재된 고등학교 교육과정 원문을 수집하여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시기별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전문 교과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산업 구조 및 직업 세계의 변화에 따라 전문 교과를 중심으로 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을 일관성 있게제시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산업 수요 및 인력 양성 유형,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 역량과 경력 개발 등을 고려하여전문 교과 편제를 개편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역사회 및 직업계 고등학교 실정을 고려하여 전문 교과의 시간 배당 기준을설정하고, 이수 시간을 제시함으로써 시간 계획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첫째,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변화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평생 직업 준비를위한 교육 차원에서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을 보다 유연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산업기술 및 직업 세계의 직무 변화에 따른인력 양성 유형, 직업계 고등학교의 특성, 학생의 진로와 발달 수준, 전문 교과의 학습 위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문교과목을체계적으로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직업계 고등학교 학점제 운영으로 교육과정 이수 기준을 단위에서 학점으로 전환함에따라 전문 교과의 시간 배당 기준 및 이수 시간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 문서 체재의 일관성의 기제: 호주와 일본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중심으로

        권오남 ( Oh Nam Kwon ),박수민 ( Soomin Park ),이경원 ( Kyungwo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총론과 각론의 교육과정이 일관성 있게 개발되어 있는 호주와 일본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통해 총론과 각론의 일관성의 기제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차기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 총론과 각론의 연계 방안을 제시하고 핵심역량에 따른 교과 역량 개발에 시사점을 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나라 교육과정 문서 체재 및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조직 체계의 일관성을 분석한 후, 호주와 일본의 교육과정 문서, 교육부 및 관계 기관의 홈페이지 자료 및 협의회 보고서 등의 문헌 자료를 통해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면밀히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총론 개발 과정과 각론 개발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총론과 각론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개발될 수 있었던 일관성의 기제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chanisms of coherence between general curriculum and subject curriculum through curriculum development procedures of Australia and Japan, whose curriculums are developed consistently.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s about connection between general curriculum and subject curriculum in the revision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implies the development of subject competencies based on general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coherence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Korea, and then, analyzed curriculum development procedures based on documents data including the curriculum documents in Australia and Japan as well as website data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related organizations. Thus, the aspects of interactions in the development of general curriculum and subject curriculum were considered and the mechanisms of coherence were derived.

      • KCI등재

        통합교육과정의 학교자율시간 적용 가능성 탐색

        박일수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3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school autonomous hours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ng curriculum. Schools have the potential to enhance their development by integrating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es/skills, values/attitudes that are interconnected, and by focusing on specific topics and concepts, without differentiating between subjects and academic areas. Therefore,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concept of an integrating curriculum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during school autonomous hours.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y of school autonomous hours, which was newly introduc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identified four types of integrating curriculum that could be implemented during these hours: subject-centered, experience-centered, function-centered, and integration between grades. Finally, the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school autonomous hours based on the experience-centered integrating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e integrating curriculum will be used as a method of designing a school autonomous hours program. 이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신설되는 학교자율시간의 적용 가능성을 통합교육과정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단위 학교에서는 교과 및 학문 영역의 구분 없이 특정 주제와 개념을 중심으로 서로 관련 있는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통합하여 새로운 과목이나 활동을 개발하여 학교자율시간을 편성하여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통합교육과정의 아이디어가 학교자율시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학교자율시간의 이론을 탐색하고, 통합교육과정의 4가지 유형, 즉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체험중심 통합교육과정, 기능중심 통합교육과정, 학년 간 통합교육과정이 학교자율시간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체험중심 통합형 교육과정 유형에 기반한‘K-culture 문화 박람회’학교자율시간 프로그램을 예시적으로 개발하여, 통합교육과정의 학교자율시간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통합교육과정이 학교자율시간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