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하철역 역세권 공공공간 개선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윤현영,한영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4

        오늘날 지하철은 도시 안에서 살아가는 바쁜 현대인들에게 중요한 대중교통 수단 중에 하나이다.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그 지역의 가장 번화한 상권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어 지역의 이미지와 특성을 잘 보여줄 수 있는 공공공간이다. 본 연구는 지하철 역세권 개선 방안에 따른 국내의 사례공간에 대해 개선 전과 후에 대해 문제점과 개선점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개발되고 있는 지하철역 주변 공공공간 개선방안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지하철역 공공공간이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해 사용자들에게 휴식과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써 지역의 랜드 마크 역할을 하며, 나아가 지역이미지 및 정체성의 확보와 구축으로 브랜드 이미지화가 이루어지는데 토대가 되고자 한다. Subway is one of the major methods of transportation for the modern people living in metro cities recent days. It is taken by many passengers and located at the center of busiest commercial area thus it indicates the image and the characteristics in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the guidance for the plan of improvement public spaces around subway stations which are developed currently by compar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past cases that was implemented for the improvement of domestic station regions. It would conduce that public space in the subway could become the local landmark and complex which provide relaxing and cultural experience reflecting the regional and cultural feature, furthermore, the base of a secure foundation for the brand image building up regional characteristic and identity.

      • KCI등재

        서사적 공공공간을 위한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에 관한 연구

        노욱,서동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도시화가 가속화되고 도시 공공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공공공간 디자인은 기존의 단순한 기능적 고려에서 문화, 역사 및 사회적 의미에 더 중점을 둔 서사적 디자인으로 전환된다. 1970년대 대중 참여의 물결은 도시계획 분야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공공공간 디자인의 권리와 형식은 사회와 대중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고전적 서사에서 포스트 클래식 서사학으로의 서사 연구의 전환은 공간의 디자인 방법을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도출 과정에서부터 적극적인 참여자로서 새로운 구성과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참여 주체의 유형과 그것이 서사적인 공공공간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와 서사 주체의 발전 추세와 연관성을 분석하고 서사적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의 다원화된 참여 유형과 그것이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여 공공공간의 질적 향상과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의 구성 요소와 발전 추세를 명확히 하고 디자인 주체의 참여 방식과 특성을 도출한다. 둘째, 서술 주체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고전서사학과 포스트 클래식 서사학 연구에서 서사 주체가 보여준 서로 다른 특성과 둘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를 분석한다. 셋째, 현대 다원적 주체 협력의 관련 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서사적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과 다른 유형이 공간과 서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결과) 첫째, 공공공간의 유형적 다양성과 사회의 다양한 주체 간의 관계의 복잡성을 기반으로 공간 디자인에서 인간의 참여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 전문가, 이해관계자, 주민의 네 가지 측면으로 디자인 주체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주체 자신의 각도에 따라 공간에서 강점을 발휘한다. 둘째, 서사 주체의 특성은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의 특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모두 다양한 협력과 대중 참여의 요구를 반영한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사적 공공공간의 설계에 참여하는 것은 공공공간의 서사성과 공공성의 잠재력과 최적의 가치를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된다. 셋째,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을 다전공 협력형, 공모형, 공동 건설형(실제 참여형, 물질 참여형), 공모-공동 건설형, 자발형의 6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결론) 도시 공공공간은 복잡하고 다양한 존재이며 다양한 사회 주체도 다른 가치, 다른 참조 시스템 및 다른 조직 행동 방식을 가지고 있다. 서사적 공간의 스토리텔링 내용과 디자인 방법에 따라 적절한 참여 방식을 선택하여 디자인 주체를 구성하면 의미 있고 스토리 있는 도시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를 통해 공간의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을 객관적으로 선택하길 바란다. 공공공간의 품질과 서사적 표현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공공참여의 발전을 촉진하여 건전한 도시 건설 및 거버넌스의 토대를 마련한다.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네덜란드 도시기반시설의 건축통합적 디자인을 통한 공공성 구현에 관한 연구

        홍지학 ( Hong Jiha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화와 개인화의 흐름이 전통적인 공공공간의 정의를 해체시킴으로써 새로운 공공성의 패러다임을 요구하게 되었고, 다양한 시각에서 공공공간과 공공성을 정의하는 시도가 촉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적 공공공간이 일상적 삶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지 못했다는 반성이 90년대부터 중심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하면서, 현대 도시공간의 도시기반시설의 복합적 시스템이 도시의 공공성을 재편하는 현상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대도시의 급격한 도시화와 유동화 속에서 그 개념과 가치의 변화가 관찰되는 공공공간과 그 규범적 특성인 공공성을 건축과 도시기반시설의 결합관계를 통하여 재정립하고, 향후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건축과 도시기반시설이 통합적으로 디자인된 구체적 프로젝트를 사례분석의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네덜란드의 공공공간 관련 정책은 주택공간계획환경부의 공간계획 국가정책과 건축정책이 중요한 두 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문건들은 도시기반시설 디자인 프로젝트 사례들이 구현되기 위한 사회제도적 지원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주요한 연구 대상이다. (결과) 현대도시의 인프라스트럭쳐와 도시공공공간의 상호작용은 두 가지 특징적 양상을 이끌어내는데, 첫 번째는 인프라스트럭쳐를 중심으로 한 도시공공공간의 연계성과 통합성의 구현이며, 두 번째는 인프라스트럭쳐가 구축하는 경계공간의 일상성과 특정성의 구현이다. 전자는 공공공간 디자인을 교통공간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환경 디자인으로 확대시켰으며, 조경, 도시계획, 건축, 인프라 등을 통합적으로 디자인함으로써 다양한 프로그램의 중첩에 의해 유동성의 강도 및 밀도를 증진시킨다. 한편, 후자는 인프라스트럭쳐를 일상생활의 기반으로 포섭하려는 새로운 공공성 인식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결론)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하는 유럽 건축에서 폭넓게 논의되고 있는 도시기반시설과 건축설계의 통합적 실천은 건축과 도시기반시설의 관계를 통해서 현대도시의 유동성을 새롭게 사고하려는 시도이다. 이는 도시기반시설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도시공간의 사회-문화적, 경제적 의미를 포괄한 다경관적 공공성이 중요시 되면서 복합적인 의미의 공공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wake of glob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dismantling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public space, there is a need for a new paradigm of publicness, as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define public space and publicness from various perspectives. Since the 1990s, however, amid concerns that public spaces have no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veryday lif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processes by which the composite system of infrastructure in contemporary urban space restructures urban publicness. Accordingly, this thesis works toward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infrastructure-centered publicness in the design of urban public space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rastructure and public space, taking into account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publicnes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personalization, in the context of Dutch architectural policies. (Method)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documents related to the Dutch National Policy Document on Spatial Planning (NOTA) and the Architectural Policy of the Ministry of Housing, Spatial Planning and the Environment (VROM) to review important sections of Dutch policies related to public spaces. After examining the dominant discourse on public space and policies framed in the urban conditions of the Netherlands based on these data,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system as a whole, from the policy and systematic foundation to practical strategies. (Results) This relationship shows tw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ccessibility and adaptability of urban public space focused on infrastructure” and “diversity and specificity of the liminal space constructed by infrastructure.” The former demands an integrative environmental design approach to designing public space and traffic space in order to acquire a multi-layered architectural program incorporating attention to urban infrastructure, while the latter implies that infrastructure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foundation of everyday life. This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a new shared space unreflected in the divis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ace. (Conclusions) The infrastructure-integrated architecture and urbanism broadly discussed in Europe nowadays is merely a combination of architecture and dispersed infrastructure as a new condition for social mobility and communication, indicating the need for an urban landscape with attention not only to architecture, but also to public space in contact with infrastructure and the urban landscape simultaneously. This type of experimental thinking on the infrastructure-mediated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space and public space was made possible by the important role of the second and third Architectural Policy, which emphasized socio-cultural publicness as well as integrated management between entities for detailed project implementation, extending their influence beyond simply the physical space environment.

      • KCI등재

        ‘날것’으로서 공공 공간과 타자의 복원 로열 페스티벌 홀을 사례로

        김동완 한국공간환경학회 2014 공간과 사회 Vol.24 No.3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 ‘unmediated’ public space as an alternative againstterritorialized ones from the view point that the publicness of public space is notgiven, but achieved by continual practices for the deterritorialization of public spaces. By establishing the concept, I argue that the empty and value neutral image ofpublic space is ideological phantom, rather public space should be deterritorializedto include unmediated bodies and actions, and be filled up with them. The caseof this study, Royal Festival Hall in London, reveals its unmediatedness and a varietyof bodies and actions that can not be expected in other public spaces. What makesthis study significant in South Korean context is not merely the fact that the hallis a popular buzzing place, but it can include marginalized bodies. It could also,more generally, open up an alternative perspective about public space that enablespublics to encounter others, thereby create various ‘in-between’s. 이 글에서 필자는 ‘날것’으로서 공공 공간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공공 공간의공공성은 지속적인 영토 해체를 통해서만 가능한 정치과정이라 주장한다. 이러한주장은 국유나 공유와 같은 소유형태와는 무관하게 권력의 매개가 동질화시키는공공 공간은 공공성을 상실할 수밖에 없다는 반성에서 출발한다. ‘날것’인 공공공간은 비어 있는 가치중립의 공간이 아니라, 타자의 신체와 행위로 가득한 매개없는 공간이라는 점을 아렌트의 공공 공간 논의로부터 도출한다. 사례 공간 로열페스티벌 홀(Royal Festival Hall)은 1983년 노동당 GLC의 오픈 포이어 정책으로권력의 매개가 제거된 곳으로 묘사된다. 필자는 이를 통해 매개가 제거된 ‘날것’의 공공 공간에서 비로소 드러나는 신체와 행위들을 소개한다. 이 사례를 통해신자유주의의 공간 사사화에 대응해 ‘날것’을 생산하고 지키는, 또한 공공 공간을영토화하는 시도에 대응하는 정치과정을 제안한다. 끝으로 삶의 지평에 타자를보이게 만드는 일이, 공공 공간을 동질화하고 개인을 고립시켜 온 한국 사회이과제이며, 이를 위해 ‘날것’인 공공 공간을 생산하는 적극적 실천이 필요하다고지적한다.

      • KCI등재

        현대광장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동서양 광장 공공성 평가항목 중심으로-

        황건화,임선희,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들어 공공공간과 공공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광장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도 증가하고 있다. 이 때, 공공성에 대한 동양과 서양의 해석이 다르므로 광장의 공공적 특성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더욱 포괄적인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해 동서양의 공공성에 대한 관점을 종합하여 광장의 공공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동서양의 공공성 개념 및 공간구성 방법론과 광장 공공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광장의 공공성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장의 공공성을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선, 동서양 공공성의 철학적 개념과 동서양의 공간구성 방법론을 분석해 동서양 광장의 공공적 특성을 도출하였고, 광장의 공공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광장의 공공성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그 다음 최근 10년 내 설립된 현대광장을 대상으로 광장의 공공성 평가항목별 점수를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최근 10년 내 설립된 현대광장의 공공성 적합도는 강함~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공성 평가항목별 적합도는 공간인지에서 매우강함~강함, 공간구성에서 강함, 공간사용에서 강함~보통, 공간참여에서 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공성 평가 세부항목별 적합도는 맥락성에서 매우강함~강함으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고, 편리성에서 보통 수준으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광장 공공성 평가항목별 종합점수의 순위를 살펴보았을 때 B(공간인지) > C(공간구성) > D(공간사용) > A(공간참여)의 순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가 제시하는 광장의 공공성 평가항목은 공간참여, 공간인지, 공간구성, 공간사용 총 4가지 항목이며, 세부항목은 참여성, 개방성, 맥락성, 정체성, 접근성, 연계성, 가변성, 편리성, 쾌적성, 점유성 총 10가지 항목이다. 광장 조성 시 공공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의지를 반영할 수 있도록 참여 보장과 의식 고취 등의 방법으로 시민의 공간참여를 강화해야 하며,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공간 설계 및 필수 편의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향후 광장의 공공성 평가지표를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추가 사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광장의 공공성과 관련된 연구가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기대한다.

      • KCI등재

        공공공간과 상업공간의 환대서비스디자인 연구

        이돈일 ( Don Il Lee ),이은영 ( Eun Young Lee ),정정헌 ( Jeong Heon Je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정부는 최근 급속하게 확산된 무선인터넷, 스마트 모바일을 활용하여 국민 개개인이 광범위한 참여를 통한 양방향/맞춤형 행정 서비스 제공 체제의 구축이 시급하다는 정책적 판단에 따라 정부 3.0이라는 운영방침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공공공간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고, 실제로 공공공간의 서비스는 그 성격이 만간기업 수준으로 진화하는 추세에 있다. 이처럼 정부부처에서도 공공공간에 대한 서비스품질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전반적인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속적인 혁신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아직도 공공공간의 서비스는 상업공간의 서비스 디자인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공간에 대한 서비스디자인 중에서 사용자가 공간을 이용하며 대접받고 있다 느낄 수 있는 환대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간에 알맞은 환대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하여 비교적 환대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상업공간의 환대 서비스디자인 특성을 파악하여 공공공간의 환대서비스 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먼저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공공간과 상업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배경을 알아보고, 공간에서 제공될 수 있는 환대서비스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공공공간과 상업공간의 환대서비스 특성을 자세히 분석하여 실제 공공공간과 상업공간에서의 환대서비스 디자인이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결과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 하였다. (결과) 이에, 상업공간에서 대면업무가 필수적으로 존재하는 공간인 은행을, 공공공간에서는 대표적인 대면공간인 주민센터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검토하였다. 현장 조사 후 조사대상 분석으로는 환대 점수를 이용하여 환대를 수치화 하였는데 이는 Rust et al.(1995)의 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환대를 고객만족이 매우 높은 상태로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는 척도로 80점이상은 환대, 70-80점은 응대, 70점 이하는 홀대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이에, 인적요소, 물적요소, 시스템적요소의 점수를 내어 평균점수를 이용하여 결과를 다이어그램으로 제시하였다.(결론)상업공간과 공공공간의 환대서비스를 객관적인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공공공간이 가지고 있던 서비스의 성격에서 벗어나 상업공간의 서비스품질의 장점을 공공공간에 맞는 서비스를 제안함에 의의를 두고 향후 공공공간 관련 종사자와 전문가들이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유의미한 자료로서 활용되어 지기를 기대한다. The government is proposing a policy named Government 3.0 due to the judgment that there is an urgent necessity of an interactive and customized administrative service provision system establishment through individual citizens` widespread participation using the recently rapidly spread wireless internet and smart phones. Due to such influenc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demand of service quality in private space and the service in public space is evolving to the level of private enterprises. Realizing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in public space, government departments are devising sustainable innovative solutions to provide a user customized service overall, but service in public space does not reach the level of service in commercial space. Out of service design related to space, there is especially a lack of research on hospitality design with which the user can feel hospitality through the space. Therefore, this research seeks to provide a direction of improvement to hospitality design in public space through grasping characteristics of hospitality design in commercial space in which hospitality is better. (Research Method) Before conducting research, the background of public space and commercial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ity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space were examined through theoretical study. Based on this a case stud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hospitality service design in public space and that in commercial space and deduced meaningful conclusions. (Results) In terms of commercial space, banks, in which interactive tasks inevitably exist, and in terms of public space, community centres, representative interactive space, were selected to be examined. After a case study, subjects were analysed through a quantification of hospitality, using Rust et al. (1995)`s rating scale that defined hospitality as a state of high customer satisfaction, 80 points and above meaning hospitable, 70 to 80 points meaning normal treatment, and 70 and below meaning unhospitable, with a median of 70. An average of human, material, and systemic elements were presented in a diagram. (Conclusion) This research offers the positive aspects of commercial space as a solution for improving public space by analysing hospitality service in commercial space and in public space with objective standards and hopes it would be used as meaningful research by public space-related practicians or professionals in structuring space.

      • KCI등재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발전 방향 연구

        권지은 ( Kwon Jieun ),권기윤 ( Kwon Giyoon ),박현주 ( Park Hyunj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공공도서관은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단순한 정보 제공의 기능뿐만 아니라 교육, 여가활동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의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도서관은 지역의 활성화를 위하여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은 특정 지역의 고유문화 예술 발전의 구심점을 제공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조성하도록 하는 공공도서관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연구를 통해 지역문화 브랜딩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정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개념, 지역 사회와 관련한 역할,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이 어떤 의미인지 연구하고 둘째,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운영되고 있는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분석하여 셋째, 분석 결과를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복합문화공간의 기능은 상징성, 복합성, 전문성, 참여성, 접근성으로 분류하여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연계할 수 있다. 사례 분석결과, 다섯 가지 특성 요소 중 참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간을 제공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의 중요성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복합성과 접근성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의 공간에서 다양한 가치를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의미에 부합한다. 상징성은 모든 사례에서 가장 높은 척도로 평가되었다.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이러한 상징성을 바탕으로 지역의 특색을 살린 랜드마크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한 타지역민 유입이나 관광산업의 가치까지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지역의 특색에 맞는 문화공간의 콘텐츠를 개발, 전문적 정보 제공 등을 통하여 지역의 상징을 살릴 수 있는 랜드화가 가능하며 문화공간의 질적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공간의 하드웨어가 되는 건축물은 개성을 살리고, 소프트웨어인 운영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해야 하며 복합문화공간의 특징인 다양성을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과 서비스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공공도서관의 기본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복합문화공간의 역할과 공간구성을 융합한 방향성 추구는 그 지역 브랜딩과 지역 주민의 삶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beyond the place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education centered on books is demanding the symbol of the community and the value as a cultural community space. Accordingly, public libraries are developing in the form of complex cultural spaces to revitalize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ublic library to provide the central point of the development of unique culture and arts in a specific region and to create a cultural ident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libraries for local cultural branding through the study of public librar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Method) First, we studies the concept of public library, the role related to the community, and the meaning of the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Second, we analyzes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operating as complex cultural spaces. Thir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we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Results) The functio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can be linked to the function of a public library by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ism, complexity, expertise, participation and accessibility.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participation among the five characteristic elements was the highest, which could see the importance of encouraging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oviding various programs and spaces. The next high level of complexity and accessibility conforms to the meaning of a complex cultural space in that you can experience various values in an easily accessible space. Symbolism was rated as the highest scale in all cases. Based on this symbolism, the public library as a cultural complex will be able to be a landmark that accentu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thus gain the value of the tourism industry as well as the influx of people from other regions. (Conclusions) Public librar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can be landlocked and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al spaces by developing contents of cultural space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providing profess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rchitecture that serves as the hardware of space should be unique, and the operating program that is the software should meet the user's requirements. Variety, a characteristic of complex cultural spaces, needs to be appli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and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conclusion, the pursuit of directionality, which fused the role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mposite cultural space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is expected to help promote the local branding and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 KCI등재

        중국 쇼핑센터 공공공간의 예술화 유형 및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마려죽 ( Ma Lizhu ),임선희 ( Lim Sunhee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인터넷 기술과 택배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중국 온라인 비즈니스가 매우 활발하다. 반면 오프라인 비즈니스 운영은 타격을 입었고 오프라인 비즈니스 공간은 혁신이 필요하다. 쇼핑센터는 도시 오프라인 상업의 종합 공간으로서 중국에서 시민의 일상 생활에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으며 대중에게 봉사하는 사회적 책임을 지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과 대중소비주의는 상업공간이 상품판매의 상업적 기능뿐만 아니라 사상을 전파하는 문화적 기능도 갖출 것을 요구한다. 이 때문에 중국에는 예술문화를 등에 업은 쇼핑센터가 생겨났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화된 쇼핑센터 관련 문헌의 정리 및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우수한 쇼핑센터 사례 조사를 통해 공간 예술화를 바탕으로 쇼핑센터 공공공간 예술화의 유형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현대 상업 공간 활성화 방법을 모색하다. (연구방법) 중국 쇼핑센터 내 공공공간과 공간의 예술화에 관한 이론을 정리하고 분석을 통해 중국 쇼핑센터 공공공간의 특성과 공간의 예술화 특성을 종합하여 예술화 유형은 예술 장식, 예술 형태, 예술 활동의 세가지로 도출되었다. 주제다양성, 예술심미성, 문화기호성, 공공참여성, 체험상호성, 조직질서성의 여섯 가지 쇼핑센터 공공공간 예술화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 요소를 바탕으로 현재 중국에서 잘 운영되고 있는 다섯 가지 쇼핑센터 사례를 분석해 그 결과를 다이어그램화 하여 소결을 도출한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 중 주제다양성은 예술화된 쇼핑센터 공공공간의 가장 두드러진 공간적 특성이며, 조직질서성은 사례 중 종합평점이 가장 낮았다. 테마별 특색이 강한 쇼핑센터 공공공간은 테마와 슬로건을 공간 마케팅의 요소로 통했으며 대중이 공공 생활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예술심미성과 문화기호성이 더 많은 구현공간이 표현하는 사상 정신적 측면은 현대사회의 새로운 소비 문화적 요구를 구현한다. 공공참여성과 체험상호성 점수가 높지 않은 것은 쇼핑센터 공공공간의 현재 개발 목표가 상업 소비 위주이기 때문이다. (결론) 쇼핑센터 공공공간의 예술화는 공간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사람 중심의 사회적 가치, 체험을 지향하는 비즈니스 가치, 예술을 매개로 교육의 가치를 있다. 예술화의 유형과 공간 특성은 쇼핑센터의 공공 공간 활성화 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항목이자 지표다. 모든 예술화 유형을 포함하고 예술화 공간적 특성에서 균형 잡힌 쇼핑센터 공공공간은 디자인하기가 어렵지만 이 연구를 통하여 중국 쇼핑센터 공공공간 예술화 공간디자인에 대한 전략적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and the express delivery industry, Chinese online shopping is a thriving industry. On the contrary, offline business operations have been hit, and offline business spaces need innovation. As a comprehensive space for urban offline commerce, the shopping center has become an important medium for citizens’ daily lives in China and has a social responsibility to serve the public. Postmodernism and mass consumerism demand that the commercial space of the new era has not only the commercial function of commodity sale but also the cultural function of disseminating ideas. Shopping centers incorporating art and culture have been constructed in Chin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to revitalize modern commercial space by analyzing the artification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opping centers as public spaces through the summarization of artification of shopping center-related literature and a recent, in-depth shopping center case survey in China. (Method) Through summarizing and analyzing the theories on the artification of public spaces in Chinese shopping centers, the artific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rt decoration, art form, and art activit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rtification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thematic diversity, artistic aesthetics, cultural symbolism, public participants, experience interaction, and organizational order. Based on the analysis factors, five cases of shopping centers currently operating well in China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diagrammed to derive conclusions. (Results) Theme diversity is the most prominent spatial characteristic of the shopping center that has undergone artification and which subsequently acts as a public space, and organizational order has the lowest overall rating among the cases. The shopping center acts as a public space with strong characteristics by theme, uses themes and slogans as elements of space marketing, and induces the public to participate in public life. The ideological and spiritual aspects expressed by the implementation space with more artistic aesthetics and cultural preferences embody the new consumption cultural needs of modern society. The reason why the scores of public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interchange are not high is that the current development goal of the public space of the shopping center is mainly commercial consumption. (Conclusions) Artification of shopping centers that act as public spaces is a way to create a spatial atmosphere with people-centered social values, business values aimed at experiences, and educational values through art. The artification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items and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activation of public spaces in shopping center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esign public spaces in shopping centers that include all types of artification and are balanced in terms of artification-related spatial characteristics, we hope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strategic reference for the artification-related spatial design of Chinese shopping centers.

      • KCI등재

        베이징 고궁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의 요소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서사적 각도를 중심으로-

        조계해,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Background and Purpose) The museum is a rallying point for human civilization, where historical relics are housed and where human culture is studied. In particular, it is a place with scientific,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s and even educational meanings. Against this backdrop, the museum should not only be a space for displaying historical relics, but also for cultural exchange among viewers.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The Palace Museum is one of the most visited museums in the world, so there are a lot of public service spaces in the museum. The Palace Museum has a rich history and culture, so in order to promote the culture of the Palace Museum and experience the life of the Palace Museum, the public service space has a very close connection with the narrative concep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strategy of museum narrative public service space. (Methodology) Firs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necessity and spatial types of public service space in the museum,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nd second, the elements of narrative concept and narrative space design are theoretically examined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design. And third Through the above investigation, the analysis model is proposed. In particular, this study carries out field survey and theoretical research with the Chinese Palace Museum as its scope,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space design by targeting four public service spaces set up by the Palace Museum. And present strategies for narrative space design.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our selected cases show that the general public service space almost has the attributes of commercial space, among the three components, the museum cultural symbol (culture) has the highest degree of fit, and the distribution of public service attributes (publicity) and spatial function (functionality) is slightly different. In the design of narrative space, the emphasis on space plot (scene) is the highest. The space theme (logicality) and language symbols (complexity) also appear as important features. (Conclusion)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s narrative public service space from the two aspects of the museum's public service space and narrative space design, and obtains six characteristics: culture, publicity, functionality, scene, logicality and complexity.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four public service Spaces of the Palace Museum in Beijing shows that the six elements can be used as the evaluation criteria and basic features of the narrative public service space of the museum. In the future,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considered to be helpful in the study of the narrative public service space design in the museum and related fields, which can be applied as meaningful materials. (연구배경 및 목적) 박물관은 인류문명의 집결지로 역사적 유물을 소장하고 인류문화를 연구하는 장소이다. 특히 과학적 가치, 역사적 가치, 예술적 가치 등을 두루 갖추고 교육적 의미마저 내재하고 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박물관은 역사적 유물을 전시하는 공간일 뿐만 아니라 관람자들과 문화 교류를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 베이징 고궁은 세계 문화유산으로 세계에서 가장 관광객이 많은 박물관 중 하나이기 때문에 박물관 내에 많은 공공 서비스 공간이 있다. 고궁박물관은 역사와 문화가 풍부하기 때문에 고궁문화를 알리고 고궁생활을 체험하기 위한 공공 서비스 공간은 서사적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향후, 박물관 서사적 공공 서비스 공간디자인의 발전방향과 전략을 위해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의 필요성과 공간유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구성요소와 특성을 도출하고, 둘째, 서사적 개념 및 서사적 공간 디자인의 요소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서사적 디자인의 특성을 추출한다. 그리고 셋째, 이상의 고찰을 통해 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특히 본 연구는 중국 고궁박물관을 범위로 하여 실사와 이론연구를 실시하고, 고궁박물관이 설치한 공공 서비스 공간 4곳을 대상으로 하여 서사적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서사적 공간 디자인의 전략을 제시한다. (결과) 선정된 4사례를 분석해 보면 일반 공공 서비스 공간은 거의 다 상업 공간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3가지 구성 요소인 박물관 문화 기호(문화성)는 가장 적합도가 높고 공공 서비스 속성(공공성)과 공간 기능(기능성)의 분포에는 차이가 좀 있다. 그리고 서사적 공간디자인에서는 공간플롯(장면성)의 중시도가 가장 높고, 공간주제(논리성)과 언어기호(복잡성)도 중요한 특성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문는 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과 서사적 공간 디자인 두 가지 측면에서 박물관 서사적 공공 서비스 공간 디자인의 특징을 연구하여 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의 문화성, 공공성, 기능성과 서사적 공간 디자인의 장면성, 논리성, 복잡성 총 6가지를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베이징 고궁박물관 내 4개 공공 서비스 공간을 분석 사례로 분석한 결과 6요소는 박물관 서사적 공공 서비스 공간의 평가 기준과 기본적인 특성을 갖는 요소로 나타났으므로 앞으로 본 논문의 연구 성과가 박물관 서사적 공공 서비스 공간과 관련 분야의 디자인 연구에 도움이 되어 유의미한 자료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 KCI등재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한 공공건물 내부 길 찾기 용이성 연구 - 중국 내 공공 도서관을 중심으로 -

        장윤호,김경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Since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rapid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profoundly impacted the domains of spatial digitization and spatial cognition. This is especially significant in public buildings and libraries, where the spatial structure and visual accessibility in emergency evacuations play a critical role. Although China has the largest number of public libraries in the world, their evacuation structures' characteristics are not fully reflected, leading to fire safety issue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and visual accessibility of Chinese public libraries through the lens of Space Syntax theory, based on the principles of wayfinding behavior. Moreover, by comparing libraries from different construction periods,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spatial functionality and wayfinding convenience of public libraries over time. (Method)The study organized the concepts of relevant variables and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and prior research. Furthermore, based on the standards of first-class libraries in China, Dongguan Library in Guangdong Province, Jinling Library, Nanjing Library, Dongtai Library, and Shanghai Librar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or Space Syntax analysis. The data obtained through DepthMapX and VGA method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 revealing the impact of spatial structure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on wayfinding behavior in public libraries. (Results)The elements of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as ease-of-wayfinding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the understanding of public library spaces. Analysis of cases over time showed that public libraries built after 2010, compared to those built before 2010, exhibited an increasing trend in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This suggests easier wayfinding and enhanced spatial understanding. Spaces with specific functions such as children's areas, disabled loan rooms, and comprehensive service desks on the ground floor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However, spaces with relatively fixed functions like public e-reading rooms, study areas, book and magazine lending zones, and offic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hese aspects. (Conclusion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spatial digitization by capturing the data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spaces and providing quantitative public space data for design methods influenced by data technology. Additionally, to enhance wayfinding convenience in public library spaces, it aims to identify core elements applicable as design factors in public libraries and proposes guidelines for wayfinding convenience. This meaningful attempt is hoped to serve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future data-driven design support in public building wayfinding convenience. (연구 배경 및 목적) 21세기를 맞아 빅 데이터(Big Data),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같은 정보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공간 데이터화와 공간 인식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공공건물, 공공도서관에서는 비상 상황에서의 효율적인 대피에 관한 공간의 구조와 시각적 접근성은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중국에는 세계 최다수의 공공도서관이 존재하지만 대피구조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있어 소방안전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해 길 찾기 행동 이론에 기반 한 중국 공공 도서관의 공간 구조와 시각적 접근성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건설 시기에 따른 비교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기능과 길 찾기의 용이성에 대한 시기별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이론적 고찰과 선행 연구를 통해 관련 변수의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중국공공 도서관에 대한 중국1급도서관 기준을 바탕으로 광둥성(廣東省), 장쑤성(江蘇省), 상하이시(上海市) 세 지역의 동관(東莞)도서관, 금릉(金陵)도서관, 난징(南京)도서관, 동대(東台)도서관 및 상하이(上海)도서관동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공간 구문론 분석을 수행하였다. DepthMapX와 VGA 방법을 통해 얻은 데이터에 대해 SPSS통계 프로그램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 길 찾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였다. (결과)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라는 길 찾기 용이성의 요소는 공공 도서관의 공간에 대한 이해도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순서로 사례 분석한 결과, 2010년 이후 지어진 공공도서관의 경우 2010년 이전에 지어진 공공도서관에 비해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에 있어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길 찾기가 더욱 용이해진 것을 의미하며 공간에 대한 이해도 또한 높아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정 기능을 가진 공간인 어린이, 장애인용 대출실, 종합 서비스 데스크가 위치한 1층 공간은 구조의 명료도와 시각적 접근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공공 전자 열람실, 자습실, 도서, 잡지 대여구역 및 업무 사무실 등 상대적으로 고정된 기능을 가진 공간은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공간 데이터화에 대응하여 공공도서관 공간의 데이터 특성을 파악하고, 데이터 기술로 인해 변화하는 설계 방법에 대하여 정량화된 공공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또한, 공공도서관 공간에서 길 찾기의 용이성을 향상하고 공공도서관 설계 요소로 적용될 수 있는 핵심적 요소를 파악하여 길 찾기 용이성에 관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의미 있는 시도는 향후 데이터화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공공건물의 길 찾기 용이성 설계에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