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간찰’자료의 존재형태

        정진영(Jung, Jin-Young)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2 No.-

        이 연구는 고문서 자료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간찰의 자료적 가치를 재발견함으로써 역사 자료로 적극 활용되기를 희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간찰이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간찰은 그 자체로서만이 아니라 문집의 서로도 존재한다. 여기서 간찰이란 작성 당시의 원본을, 서란 이들 간찰이 문집에 수록된 형태를 말한다. 간찰은 일반적으로 皮封과 내용으로 구성되고, 내용은 다시 本紙와 別紙로 구성되기도 한다. 우리가 흔히 간찰이라고 하는 것은 편지의 본문이라고 할 수 있는 본지를 의미한다. 小紙, 胎紙등으로도 불리는 별지에는 본지에 적기 어려운 구체적인 내용이나 보내는 선물, 은밀한 부탁이나 청탁 등이 기록된다. 따라서 본지의 내용이 형식적이고 의례적인 것이라면, 별지에는 아주 구체적이고 은밀한 이야기가 담긴다. 별지가 더 의미 있는 자료적 가치를 가진다는 것은 다시 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이들 별지는 피봉과 함께 분리됨으로써 혹은 그 내용의 은밀함으로 말미암아 대부분 유실되거나 소각되어 오늘날에까지 전해지는 것은 그리 많지 않다. 문집에서도 問目을 제외하고는 별지가 수록된 경우는 거의 없다. 간찰의 자료적 이용에는 작성자와 수신자, 그리고 작성 시기에 대한 파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이 같은 정보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수신자와 작성자를 이름이 아니라 호칭이나 관직 또는 관계 명으로 표기하거나, 아예 생략[欠]해 버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작성 시기 또한 불명확한 간지나 그 일부 혹은 월일만으로 표기함으로써 그 정확한 년대를 추정하기 쉽지 않다. 현존하는 간찰의 양은 아주 많다. 그러나 그것은 실제 작성되었던 것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이들 간찰의 일부는 ‘편집’이라는 과정을 거쳐 문집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편집이란 당연히 취사선택과 내용에 대한 삭제 등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瓢隱金是榲과 藥圃鄭琢의 간찰(가서)과 그들의 문집(『瓢隱集』,『藥圃集』)을 통해 편집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았다. 김시온과 정탁이 남긴 간찰은 각기 50여 편과 39편이다. 이 가운데 그들의 문집에 수록된 것은 겨우 3편과 4편에 불과하다. 문집에 수록되었다 하더라도 원본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놓은 경우는 없었다. 즉, 상당한 부분이 삭제되었다. 특히『약포집』의 경우에는 모두 12편의 간찰이 다시 4편의 서로 편집되고, 수록된 분량 또한 43%에 불과하였다. 여타 특히 18,19세기의 문집 또한 위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문집에 수록되는 과정에서 삭제된 내용은 사소한 일상사, 혼사문제, 선물, 향중의 문제나 인근 지방관에 대한 언급 등이었다. 말하자면 아주 구체적인 내용들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문제는 문집 편찬에 포함되지 못한 보다 많은 간찰들이다. 이들 역시 삭제된 부분 못지않게 혹은 더 구체적이고 생생한 내용들을 담고 있을 수 있다. 문집 서는 간찰의 내용 일부 혹은 전부를 삭제하거나 배제함으로써 그것이 가지는 구체성과 풍부함을 상실한 체 의례적이고 무미건조한 안부편지로 전락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간찰의 자료적 가치는 이 같은 문제를 염두에 두고 다시 검토해야 할 문제이다. This study aimed to rediscover the values of ganchal (簡札, letters that refer to daily routine),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ancient documents, hoping to be more used as a historical data. Ganchal exist as they are and as anthologies, seo (書). Therefore, ganchal in this study refer to their written form itself and seo refers to the form of containing those letters in anthologies (文集). Ganchal are generally composed of outer envelopes (envelope, 皮封) and content, which is consisting of main papers (本紙) and annexed papers (別紙). The commonly called ganchal refer to main papers,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body of the letters. Annexed papers, which are also called as small papers (小紙, soji) or slip sheets (胎紙, taeji) record the details that are hard to be written in the main papers, presents, secret requests or solicitation. While main papers are about formality and courtesy, annexed papers contain very specific and confidential stories. It is essential to identifying the writers, receivers and writing period of the ganchal to take advantage of them as data. However, it is often not easy to confirm such information. Many ganchal are currently existing, however, they are only parts of those actually written in the late Joseon period. Parts of the ganchal were contained in anthologies through the process of ‘editing’. Of course, editing refers to the process of choice and deletion of content. This study figured out the details of editing through the ganchal written by Kim Si-on (金是榲) and Jeong Tak (鄭琢) and their anthologies: “Pyoeunjip (瓢隱集)” and “Yakpojip (藥圃集)”. Kim Si-on and Jeong Tak left 50 and 39 ganchal. However, only three and four ganchal were each contained in their anthologies. Although the ganchal were included in the anthologies, the original texts were never contained as they were. This means that most parts were deleted. When it comes to “Yakpojip,” only 43% of the original texts were included in the anthology. The deleted parts were about minor everyday affairs, marriage, present, local issues or mentioning of local officials. Anthologies, seo (書) had no choice but to fall into formal and dry letters of greetings with the loss of concreteness and abundance after deleting and excluding parts or all of the details of the ganchal.

      • KCI등재

        간찰의 산문 문체적 특징

        김효경(Kim Hyo-kyoung) 대동한문학회 2008 大東漢文學 Vol.28 No.-

          간찰은 문자를 빌어서 서로 소식을 통하는 일종의 응용 문체이다. 중국 산문문체를 연구한 전문서를 보면 간찰은 일찍부터 ‘書’라는 독립된 문체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간찰이 한문의 문체 분류에서 ‘書’라는 명칭으로 사용되었지만, 처음부터 개인적인 목적으로 보낸 것은 아니었다. 중국의 경우를 보면 초창기에는 간찰이 외교나 정치적인 사무를 목적으로 한 공용문서나 외교문서의 성격을 띠다가 兩漢 이후로 사적인 용도로 사용되었다. 우리나라도 중국과 마찬가지로 간찰이 초기에는 공용문서의 성격을 띠다가 차츰 사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었다.<BR>  간찰은 전해지는 방식에 따라 낱장, 첩, 일기, 문집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일기나 문집에 수록된 간찰은 전사하거나 제작하는 과정에서 소위 상투적인 문구(주로 두사와 결사 부분)가 삭제되기도 하고 본문(사연 부분)도 편집되어서 들어가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일기나 문집에 수록된 간찰을 대상으로 내용 구성의 실상을 살펴보는 데는 한계가 있다.<BR>  간찰의 내용은 두사, 본문, 결사로 구성되어 있다. 두사에는 기두인사ㆍ받는 사람과 보내는 사람의 안부가 들어가고, 본문에는 사연과 기원인사를 적고, 결사에는 종결인사ㆍ월일ㆍ성명을 쓴다. 일반 산문과 달리 간찰은 두사와 결사의 투식적 표현이 강하다는 것이 중요한 문체적 특징이다. 그리고 이러한 투식적 표현은 의미 없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받는 사람의 관품의 고하, 친소존비에 따라 표현방식과 언어품격을 상황에 비추어 각각 다르게 사용하여 상대방에 대한 예우의 뜻과 자기 겸양의 마음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간찰이 실용문에 기초를 하고 있는 만큼 완전한 산문으로서의 일정한 한계도 지닌다. 간찰에서만 사용하는 각종 어휘, 호칭, 官稱, 안부를 묻는 용어 등은 일반 산문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요소이다.   Ganchal(簡札) is a practical literary style to convey news through letters. According to a book that deals with Chinese prose styles, Ganchal was classified early as an individual literary style ‘Seo(書)’. Though Ganchal had been used by the name of Seo in Chinese writing style classification, it was not used for private purpose from the beginning. In China, Ganchal had taken on the characters of political or diplomatic document in early stage but had been used for private use after the Earlier and the Later Han(漢) Dynasty. Similar to China, Ganchal had taken on public characters in early stage, then had been gradually used for private use in Korea.<BR>  Ganchal can be divided into sheet, album, diary and collection according to the remaining shapes. In case of Ganchal remaining in diary and collection, so often, what is called conventional phrases (mainly opening word and concluding word) were deleted and the body (contents part) were edited during production or transcription. So, there is certain limit in examining the contents and structures of Ganchal with the Ganchals recorded in diary and collection.<BR>  The contents of Ganchal are composed of opening word, body and closing word. opening word includes greetings, inquiry after recipient and the present state of sender. Body includes contents and optative comment. Closing word contains farewell comment, date and name. Intensive stereotyped expressions in opening word and closing word are distinguished character of Ganchal style. Such stereotyped expressions were not included meaninglessly rather communicated respect and modesty by using different words and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official rank, intimacy and position of recipient. However, Ganchal has certain limit as an independent prose because it is based on practical style. Some words, titles and official titles used in Ganchal are not easily found in other proses.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 간찰(언간)의 여성주의적 가치에 대한 재고찰 시론

        홍인숙 이화어문학회 2014 이화어문논집 Vol.33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한글 간찰의 여성주의적 연구 가능성을 타진해보기 위한 시론적 논의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한글 간찰 연구가 주로 ‘조선 전기’의 ‘묘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신천 강씨나 인선왕후와 같이 강한 개성을 가진 여성 필자를 부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지적하였 다. 또한 조선시대 한글 간찰의 대다수를 이루는 대표적인 자료군은 ‘조선후기’의 ‘가문 전승’ 자료이며, 그 수집, 보존, 전승의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가문 남성’의 시각일 수밖에 없음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반적인 한글 간찰의 상황인 ‘조선후기 가문 전승’ 자료군 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적 의의를 찾기 위한 시론적 논의를 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조선후기 가문전승 자료군의 전반적 양상에 부합하는 창원 황씨 가문의 한글 간찰을 택해, 그 중에서도 ‘여성 간’에 왕복된 한글 간찰을 대상으로 ‘여성들끼리의 관계’가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본 ‘안사돈간 왕래 한글 간찰’에서는 사돈간 여 성들이 형식적인 말만 주고받는 관계였으리라는 예상에서 벗어나는 내용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첫째는 일상 안부의 잦은 교환과 친인척 범위의 광범위한 공유이다. 창원 황씨가의 안사돈간 한글 간찰은 19세기에 이르러서도 혼인한 딸이 여전히 자기 집에 머무는 반친영(半親迎)의 혼례 풍습 속에서 결혼한 아들은 자주 처가 방문을 해야 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양 가문의 잦은 교류 통로가 되었고, 사돈간 여성들은 잦은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과 가족에 관계된 일상적 안부를 나누고 어 렵고 힘들다는 호소를 나눌 수도 있는 관계를 맺게 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는 혼례 과정에서의 전략적인 의사 교환과 힘겨루기의 관계이다. 사돈간 여성들은 간찰을 통해 혼례 과정에 대한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불편한 심기를 노골적 으로 드러내기도 하고 상대와 힘겨루기를 하는 내용을 주고받기도 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고는 일부 작품에 지나치게 편향되었던 연구사적 시각 을 성찰하고, 조선후기 여성 한글 간찰의 새로운 여성주의적 연구 가능성을 모색 하고자 했다. This thesis is a demonstration discussion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tudying feminism of Korean written correspondence during Chosun Dynasty. For this purpose, it was pointed out that existing studies until now have been focused on the materials from early Chosun Dynasty which were excavated from tombs.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major studies highlighted only specific writers who were working for Sincheon Kang or Empress Insun. By conducting overall research on reference group, the typical reference groups representing Korean written correspondence of Chosun Dynasty are the ones handed down within the family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The importance in the process of collection,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placed on the male point of view in the family.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feminism among the reference group of “material handed down within the family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for having general circumstances of using Korean written correspondence. Korean written correspondence from Changwon Hwang Family was selected and especially the correspondences between females were studied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females. The most closely studied was the correspondences between families in law. Several unexpected contents were found which were beyond the greetings for form’s sake. Firstly, they were sharing a broad range of relatives as well as frequent greetings. Secondly, they were exchanging strategic opinions from each side and showing off their power for arranging marriage.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is research is to examine biased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tudying feminism of Korean written correspondence of the late Chosun Dynasty.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 간찰에 나타난 [閣筆]의 [理由] 고찰

        전병용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5

        본고는 조선시대의 한글 간찰을 대상으로 하여 [閣筆]의 [理由]를 유형화하고 그 표현 양상을 분석한 것으로서 필자가 진행하고 있는 ‘간찰의 상투적 표현’에 대한 연구의 하나이다. [이유]의 유형은 1단계로 發信者와 受信者의 上下 關係는 어떠한가, 2단계로 [발신자 처지]의 표현인가, [수신자 처지]의 표현인가를 기준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3단계로 발⋅수신자의 [內在的 要因]인가 [外在的 要因]인가, 4단계로 [내재적 요인]은 다시 [心理的 要因]인가 [身體的 要因]인가, [외재적 요인]은 [發信狀況的 要因]인가 [傳達者 要因]인가를 기준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유형을 분류한 결과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보내는 하상관계 간찰에서는 [수신자 처지]를 고려한 유형이 발달하였고,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보내는 상하관계 간찰에서는 [발신자 처지]를 고려한 유형이 발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유]의 표현 양상을 4단계 유형을 중심으로 特記할 만한 것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하상관계 간찰에서 [발신자 처지]의 표현 양상은 [내재적 요인]에 따른 [심리적 요인]의 표현이나 [신체적 요인]의 표현은 자주 나타나지 않는다. 발신자인 아랫사람이 수신자인 윗사람에게 심란하거나 아프다는 이유로 간찰을 서둘러 마친다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다만 ‘자식→어머니’ 사이처럼 허물없는 경우에는 쓰인다. [외재적 요인]에 따른 [발신상황적 요인]의 표현이나 [전달자 요인]의 표현은 자주 나타난다. 발신자가 바쁘거나 간찰을 전할 사람이 기다린다거나 하는 객관적 상황을 [이유]로 삼는 것은 그리 예의에 어긋나지 않기 때문이다. [수신자 처지]의 표현 양상은 [내재적 요인]이 자주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아랫사람이 간찰을 길게 쓰면 윗사람이 ‘읽기 지루하실까, 노환으로 힘드실까’ 등을 고려한 표현들이다. 상하관계 간찰에서 [발신자 처지]의 표현 양상은 [내재적 요인]에 따른 [심리적 요인]의 표현이나 [신체적 요인]의 표현이 자주 나타난다.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굳이 예의를 차리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각필]의 [이유]가 다양한 표현으로 자주 나타난다. 심지어 ‘더워서’ 더 이상 못 쓴다는 경우가 있을 정도이다. [수신자 처지]를 고려한 표현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어머니→자식’의 간찰에서는 발신자인 어머니가 수신자인 자식의 처지를 배려한 경우가 나타나며, ‘장모→사위’의 간찰에서 발신자인 장모가 수신자인 사위의 처지를 배려한 경우가 간혹 나타나기도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haracterize [reason] of [stop writing] and to analyze its expressive aspect of Hangul in the Joseon Dynasty. The type of [reason] can be typed based on whether there is a top-bottom relationship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in step 1, or whether it originated from [sender's position] or [receiver's position]. In the third step, it is the [intrinsic factor] or the [external factor] of the recipient and in the fourth step, it can be typed based on that whether [intrinsic factor] is [psychological factor] or [physical factor], whether [external factor] is [Sending circumstantial factor] or [messenger factor]. As a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 considering the [receiver's position] was developed in the Ganchal of lower-upper relationship that lower person send to upper person, and the type considering the [sender's position] was developed in the Ganchal of upper-lower relationship that upper person send to lower person . If I offer something special round the 4-step type, the aspect for the expression of [reason] are as follows. The expression aspect of [sender's position] is [intrinsic factor], rarely [psychological factor] or [physical factor]. Because when a lower person, who is a sender, stops the letter(Ganchal) to upper person, who is a receiver, because of his or her perturbation or sickness. However, it is used when there is no fault like 'child → mother'. [Sending circumstantial factor] or [messenger factor] frequently appear in [external factor]. It is not rude to take an objective situation (like the sender is busy or the person, who deliver the letter, is waiting.) as a [reason]. The expression aspect of [sender position] is characterized by frequent [intrinsic factor]. It is the expressions that lower person consider the upper person if it’s too long, whether it will be boring to read, and it will be hard to be old. In the upper-lower relationship Ganchal, the expression aspect of [sender's position] is [intrinsic factor], and [psychological factor] or [physical factor] frequently appears. Because the upper person does not need courtesy to the lower person, [reason] of [stop writing] often appears in various expressions. There is even a case in which he or she could not write because it is too 'hot'. Expressions that take into account [recipient's position] are scarcely seen. However, in the case of 'mother→child', there is a case where the mother who is the sender considers the position of the recipient child, and the mother-in-law, who is the sender, considers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who is son-in-law.

      • KCI등재

        조선시대 한문 簡札의 서예사적 의의

        이인숙(Lee In-Suk) 한국서예학회 2005 서예학연구 Vol.6 No.-

        This study is about the significance of the traditional correspondence in the Choson Dynasty from the calligraphic point of view. Traditional calligraphy is a specific art form which was handed down by intelligent people who were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Calligraphy in the letters(Khan-chal Seoye) is an important part in calligraphic history when we look at the remains and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ic works in Korea today. Because of the author's frequent experiences in calligraphy writing, they felt free to express themselves, their personalities and knowledge, and this they naturally reflected (unintentionally) in the descriptive nature of the letters. Therefore a lot of them are esteemed as wonderful works today. Letters written in Chinese calligraphy were not only used in ordinary correspondence which showed the culture in daily life but also they contained the life, education, and thought of authors. In addition, we can observe the person's cultural appreciation and style of that time through the handwriting and format of the letters. Letters called Khan-chal have value as relics which are handed down in the family as an authoritative work. They have been memorialized as a graceful handwork of ancestors. It is considered a necessity to study them(Khan-chal) as calligraphy works. 본 논문은 조선시대 한문 簡札의 의의를 서예사적 시각에서 살펴 본 것이다. 편지는 안부와 소식을 나누는 일상의 실용문이지만 한문 간찰은 한문 문장을 자유롭게 짓고 쓸 수 있는 文筆의 소양이 있어야 가능한 지식인들의 고급문화였다. 전통시대의 서예는 지식인들이 그 흐름을 주도했던 예술로서 簡札書藝는 서예사의 자료가 되며, 작품으로서의 가치를 가지는 것도 많다. 간찰은 사적 교신이라는 친근한 형식으로 이루어진 일상의 필기여서 의도하지 않은 書寫과정에서 자연스럽게 書者의 인성과 才識이 드러나고, 일상적으로 많이 쓴데서 나오는 익숙한 자유로움이 있다. 간찰서예의 특징을 자연스러운 書品, 편지라는 매체형식, 행초서 위주의 서체, 書寫형식 등의 면에서 탐구해 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간찰서예의 특징을 갖추고 작품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16세기 정치가인 이산해, 17세기 문장가인 남용익, 18세기 학자인 이덕무, 19세기 서예가인 김정희의 간찰을 시론적으로 탐구해 보았다. 간찰은 가문의 위세품으로서 家傳 유물적 가치나, 先人의 手澤이라는 기념적 의미뿐만 아니라 전통시대 서예사의 한 분야로서 연구되어야할 필요성이 크다고 생각 된다.

      • KCI등재

        16∼19세기한글간찰에서의처격형에대한고찰(Ⅰ)

        김성옥(Kim Seong-ok)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0

        본 연구는 16~19세기 한글 간찰을 대상으로 각 시기별 한글 간찰에서의 처격 양상과 처격의 변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16~19세기 한글 간찰에서는 처격이 ‘에’로의 확산이 아닌 처격 ‘의’로의 확산 과정을 보임을 살필 수 있었다. 일테면 16세기 중반 순천김씨 한글 간찰에서는 15세기의 처격인 ‘애/에/예’와 ‘/의’가 모두 쓰인 가운데, 1세대에서는 처격이 ‘:의=52.8%:15.8%’와 ‘애:에:예=7.7%:14.6%:8.9%’의 빈도율을 보이고, 2세대에서는 ‘:의=17.7%:46.6%’와 ‘애:에:예=4.4%:20.9%:11.1%’의 빈도율을 보인다. 이로써 이 한글 간찰에서는 15세기와는 달리 ‘애/에’보다는 ‘/의’가 더 많이 쓰인 가운데 1세대에서는 ‘’와 ‘의’ 중에 ‘’가 많이 쓰인 반면 2세대에서는 ‘의’가 보다 많이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초반 현풍곽씨 한글 간찰에서는 1세대에서는 ‘:의=1:57’의 빈도를, 2세대에서는 ‘:의=6:70’의 빈도를 보이는 등, 처격 ‘’는 1세대와 2세대 모두 약화됨을 보인다. 그리고 ‘애/에’ 또한 1세대에서는 ‘애:에=13.5%:34.8%’ 등으로 보이다가 2세대에 가서는 ‘애, 에’가 전체 5%의 빈도율만 보이는 등, ‘’와 함께 ‘애/에’도 급격히 약화됨을 보이는 데 반해, 처격 ‘의’는 전체 처격의 70% 정도가 쓰일 만큼 그 쓰임이 확산됨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중반~18세기 중반의 송규렴가와 송준길가 한글 간찰에서는 순천김씨와 현풍곽씨 한글 간찰에서 이미 생산성의 약화를 보인 처격 ‘애/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반면 처격 ‘의’는 전체 처격의 70~80% 이상의 빈도율을 보일 만큼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 더 나아가 18세기 후반~19세기에 가서는 김성일파 종택 한글간찰에서의 19세기 초 · 중반 김진화의 딸들과 며느리인 진성이씨 한글간찰의 경우, 처격 ‘예’의 6.3%(9회)를 제외하고는 처격이 모두 ‘의’로만 쓰이고, 추사 김정희 한글 간찰에서는 처격의 98.8%가 ‘의’로만 쓰일 만큼 이 시기에는 처격이 대부분 ‘에’가 아닌 ‘의’가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shapes of locatives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Korean Letters for each era during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ies. Thus, in the Korean Letters during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ies, it was examined that the locatives used not to be expanded to ‘에’, but to ‘의’. For example, in a Korean letter written by Mrs. ‘Kim’ from ‘Suncheon Kim Kindred’ during around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all of the locatives of the 15<SUP>th</SUP> Century, that is, ‘: 의=52.8%:15.8% (Frequency)’ and ‘애:에:예=7.7%:14.6%:8.9% (Frequency)’ used to be used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애:의= 17.7%:46.6% and 애:에:예=4.4%:20.9%:11.1%’ used to be used. Therefore, in the Korean letters, ‘애:의’ used to be used more frequently compared to ‘애:에’ unlike the 15<SUP>th</SUP> Century. During the 1st Generation, ‘’ was used more frequently than ‘의’ among ‘애:의’.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의’ was used more than ‘’.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Mr. “Kwak” from the ‘Hyunpoong Kwak Kindred’, ‘애:의’ were used at the frequency of ‘1:57’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and at ‘6:70’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Thus, locative of ‘’ was less used during the 1<SUP>st</SUP> and 2<SUP>nd</SUP> Generations. And also, ‘애:에’ were used at the frequencies of 13.5%:34.8%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but at only 5% for both locatives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So, the use frequencies of ‘애:에’ as well as ‘’ were reduced rapidly. On the other hand, the locative, ‘의’ was rapidly more used dominating around 70% of the total locatives during those eras.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Family of Mr. Gyu-ryem Song’ and ‘The Family of Mr. Joon-gil Song’ during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17<SUP>th</SUP> Century to the 18<SUP>th</SUP> Century, ‘애:에’ which used to be less used in the Korean Letters by Mrs. Kim from ‘Suncheon Kim Kindred’ and Mr. Kwak from the ‘Hyunpoong Kwak Kindred’ were not used at all. On the other hand, the locative, ‘의’ used to be used at a frequency of 70 to 80% in their letters. Moreover, during late 18<SUP>th</SUP> Century to the 19<SUP>th</SUP> Century,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nobles living in the head family house of the ‘Mr. Sung-il Kim Family Kindred’ an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daughters of Mr. Jin-hwa Kim during early and middle of the 19<SUP>th</SUP> Century and by Mrs. Lee from ‘Jinsung Lee Family Kindred’ who was his daughter in law, except for the locative, ‘예’ at the frequency of 6.3%, only the locative, ‘의’ was used. An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Mr. Jung-hee Kim nicknamed by ‘Choosa’, 98.8% of the locatives was ‘의’. So, it was found that ‘의’ used to be mostly used rather than ‘에’ during that period.

      • KCI등재

        간독첩과 간찰서식집 서발문을 통해 본 간찰에 대한 제 인식

        김새미오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5 No.-

        본고는 간독첩과 간찰서식집의 서발문(序跋文)을 통해, 간찰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간독첩에 실린 서발문을 통해 간찰에 대한 사대부집안의 생각을 정리하였다. 간독첩은 받은 간찰을 묶은 것이다. 간독첩의 서발문을 통해 조선시대 사대부계층은 학맥⋅집안⋅교유관계에 있어, 간찰 사용을 심도있게 고민하였다. 또한 간독첩이 간찰서식집 형성의 전 단계로서 큰 의미가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종류의 문헌 기록과 마찬가지로 간독첩은 대체적으로 임진란 이후에 다수가 확인된다. 이후 간찰은 실용적 성격을 인정받았고, 문학 장르의 한 형태로도 발전하였다. 그 이면에는 명대 간찰문화의 직간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간찰서식집 서문은 “한문필사본-방각본⋅활자본-순한글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문필사본 간찰서식집을 통해 간찰을 매우 중시했던 당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간찰을 도(道)의 구현물로 생각한 것은 매우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 방각본⋅활자본 간찰서식집은 대체로 세교(世敎)와 계몽(啓蒙)의 입장에서 접근하였다. 방각본은 여항인 층에서 편집된 경우가 많았고, 사대부의 서문을 받고, 간찰서식집의 권위를 높이려고 하였다. 순한글 간찰서식집은 조선 후기부터 있었지만, 서발문이 보이는 것은 일제강점기에 집중되었다. 주로 계몽적인 내용이지만, 인류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고민한 점은 매우 흥미로운 변화였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 작성주체에 있어 신여성과 학생이 등장하는 것도 매우 주목해야 할 문화현상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ly how perceptions regarding letters changed by looking into the prefaces and epilogues of Gandokcheop(Book of Letters and Poems) and Ganchalseoshikjip(Book of Letters). First, I identified from the prefaces and epilogues of Gandokcheop thoughts shared by gentry families of Chosun dynasty. It was identified that gentry families pondered over the relationships of academic circles, family ties and social networks. Gandokcheop is mostly found for the latter period of Chosun, particularl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Imchinlan). Afterwards, letters became recognized as a type of literature genres going beyond its practical character. It is considered that the culture of letters in Myung and Cheong dynasties of China had a direct influence upon such development of letters in Chosun. For the prefaces of Ganchalseoshikjip, I look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of it: manuscript in Chinese characters; manuscript by private publishers during latter period of Chosun(Banggakbon); manuscript printed in oil paper materials(Yujibon); manuscript in Korean characters. From the manuscript in Chinese characters, it was identified that the importance of letters was consciously emphasized. Of particular, what attracts our attention is that letters were recognized as an output of moral and religious cultivation. On the other hand, letters were approached in terms of lessons learnt from living life and enlightenment. The manuscript of Banggakbon was mainly edited by Chosun’s middle class and prefaces written by gentry class, this being interpreted as an intention to secure an authority of the manuscript. The manuscript in Korean characters was found extensively for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Mainly, it touched upon the issues of enlightenment but it also discussed the roles of people as a society member. It was identified that women as well as students became a significant author, which is a well deserved cultural phenomenon for our attentions.

      • KCI등재

        19세기 한글 간찰의 상호참조적 연구와 그 의미) - 초계 정씨 정현상 일가의 언간을 중심으로 -

        홍인숙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89 No.-

        This study examined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Hangeul letters in the 19th century.It with attention to the specificity and value of Hangeul letters of the Chogye Jung Clan. The Jung Clan’s Hangeul letters clearly show the background of their time and space and preserve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ir writers and receivers. They also abundantly describe the aspect of life and individuality of writers, which makes these materials highly valuable.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intertextual characteristics” through which the letters written by several family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erms of contents, or serve as mutual reference materials. The Jung Clan’s Hangeul letters were written over about 10 years from the 1870s to the 1880s between about seven orto eight family members. This concentration of time, writers, and receivers is the basis of the intertextuality that makes it possible to cross-mention characters or events in the letters. This thesis examined the intertextuality of the Jung Clan’s Hangeul letters in two dimensions as follows. First, regarding Jung Hyeon-Sang’s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the focus of congratulatory letters written by his daughter-in-law, mother, sister, and concubine, were different based on their position and situation. Second, it shows the mutual establishment of a special relationship of trust between his father-in-law and his eldest son’s wife, Miryang Byeon. This intertextuality of Hangeul letters cannot be easily found even in materials in Chinese characters. The Jung Clan’s Hangeul letters clearly highlight the solid feature of many individuals, and their positions and roles in the clan. Moreover, they are rare materials that show the relative truth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an important aspect of their great value. 이 논문은 19세기 양반 가문의 가족 내 언간을 통해 한글 간찰의 자료적 특성을 밝히고초계 정씨 가문의 간찰이 갖고 있는 특수한 성격과 가치를 주목하고자 하였다. 정씨 가문의 한글 간찰은 시공간적 배경과 작성자, 수신자의 인적 정보가 확실하게 밝혀져 있으며, 필자들의 개성과 삶의 양상이 풍부하게 서술된 내용성을 담고 있어 그 자료적 가치가 높다. 특히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가족 내 여러 명의 간찰 작성자가 쓴 내용이 서로 연결되거나 참고자료가 되어주는 특성이다. 정씨 가문 한글 간찰은 1870년대에서 1880년대까지 약 10여년의 시기 동안 쓰인 것으로, 7~8명 내외의 가족들이 그 주요 작성자이며 언간을 받은 수신인 역시 가문 내 일원들에 국한된다. 이러한 간찰의 작성 시기 및 수발신자의 집중성은 편지의 내용적 차원에서 인물이나 사건에 대해 자연스럽게 교차 언급을 하게 만드는데 본고에서는 이를 상호참조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상호참조적 관점에서 정씨 가문 한글 간찰을 바라보았을 때의 구체적인 특징은 다음의두 가지 차원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정현상의 과거 급제라는 동일한 사안에 대해 며느리, 어머니, 누나, 소실이 보낸 축하 언간이 각자의 가문 내 입장과 위치가 교차하면서 발생하는 차이의 지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었다. 둘째, 가문 내 주요 인물인 맏며느리 밀양변씨와 시부, 시백부 간의 특별한 신뢰와 자애의 관계성이 상호적이고 양 방향적으로 구축된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간찰의 상호참조적 읽기는 한문 간찰 자료에서도 쉽게 적용하기 어려운 것이다. 정씨 가문의 한글 간찰은 여러 인물들의 입체성과 그들의 가문 내 입지, 역할 등을 선명하게 부각시켜주며 또한 양 방향의 텍스트를 비교하여 특정 인물들이 맺었던 관계성의 상대적 진실을 확인하게 해주는 드문 자료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 KCI등재

        전주류씨 함벽당 종가 간찰의 내용과 성격

        김순석(金淳碩) 한국국학진흥원 2021 국학연구 Vol.- No.44

        간찰은 전통사회에서 받는 사람에게 문자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통신수단으로서 개인의 삶이나 일상생활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보내는 사람의 정서가 담긴 흥미로운 자료이다. 간찰은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글로서 소식을 전하는 매체였기 때문에 상대에 대한 배려와 예의 그리고 일정한 격식을 갖추어야 했다. 간찰은 부모와 형제, 일가 친척들과 친구들처럼 친밀한 사이에 많이 오고 갔으나 사돈과 같이 어려운 사이에도 왕래되었고, 드물기는 하지만 여성들이 한글으로 쓴 언간諺簡도 있다. 간찰에 담긴 내용은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소소한 일과 혼례나 상례와 같이 인간사에서 누구나 만나게 되는 큰 일에 축하와 위로의 소식을 전하는 것이 가장 많다. 뿐만 아니라 가뭄과 기근 그리고 전염병의 유행 등 자연재해에 어떻게 대처하였는지를 알 수 있는 것도 있다. 나아가서 심오한 학술적인 내용을 토론하는 간찰도 있으며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하는 것도 있다. 이처럼 간찰은 만나서 나누어야 할 이야기를 글로 대신 펼치는 것이어서 직접 대면하였을 때보다 더 정중한 예법이 필요하였다. 이 논문은 조선후기 안동지역의 유력한 가문이었던 함벽당 종가에서 오랫동안 보존되어왔던 자료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고 그것이 전통사회에서 어떤 성격을 가지는지를 검토하였다. 간찰은 전통사회에서 일어났던 일상적인 일들이 어떻게 처리되었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In traditional society, Ganchal(Letters) is an interesting means of communication that can convey one’s intention to another by text, and it is an interesting data that vividly shows the life of an individual or daily life and contains the emotions of the sender. Since the ganchal was a medium for delivering news in writing without meeting in person in various human relationships, it had to be used in a form of consideration and courtesy to the other person. The ganchal was specifically exchanged between parents, brothers, family relatives, and friends, but even in difficult relationships, such as in-laws, and there are rare letters written in Korean that women want to convey. The most common content in the inspection is to convey congratulatory and consolation news to the funeral, wedding ceremony, which happens to everyone, such as small daily lives, funeral and weddings. There is also an explanation of how they dealt with natural disaster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drought, and famine that were popular at that time. Furthermore, there is a letter to discuss profound academic content. The ganchal was to tell stories that should be met and shared instead of writing, so more polite manners were needed than when they were faced in person. This paper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Hambyeokdang family, which had been preserved for a long time, and examined the nature of the ganchal in traditional society. The ganchal is meaningful in that it giv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how everyday events that happened in traditional society were handled and what meaning it has.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 간찰과 이메일의 상투적 표현 고찰

        전병용 동양고전학회 2012 東洋古典硏究 Vol.0 No.49

        본고의 목적은 조선시대 한글 간찰과 이메일을 대상으로 상투적인 표현을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상투적 표현은 일반적으로 書頭부분과 結末부분에서 두드러지게 쓰인다. 서두에서는 呼稱과 安否人事에서, 結末에서는 結末人事와 結句에서 많이 쓰인 것을 알 수 있었다.人便을 통해 주고받던 조선시대 한글 간찰의 피봉(겉봉)에는 대부분 受信者의 정보만 담기는데, 간찰의 傳達者가 發信者와 受信者를 잘 아는 사람이기에 굳이 발신자의 상세한 정보를 피봉에 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호칭 상투적 표현의 경우, 卑稱에서는 ‘∼에게’ 형이, 尊稱에서는 ‘∼께’형이 간찰과 이메일에서 두루 쓰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계절인사는 간찰이나 이메일 모두에서 상투적 표현으로 자리 잡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안부인사는 [수신자 안부 + 발신자 안부]의 구성을 보이는데, 간찰에서는 이 구성이 상투적 표현으로 잘 드러나지만, 이메일의 경우는 상투적 표현으로 [수신자 안부]만 어느 정도 드러나고 [발신자 안부]는 상투적 표현으로 자리 잡지 못하였으며 생략되는 일도 흔하였다. 결말에서는 간찰의 경우, [결말 인사 + 결구]의 구성에서 상투적 표현이 잘 드러나지만, 이메일의 경우, 상투적 표현이 자리 잡지 못하였으며 생략되는 일도 흔하였다. 결론적으로 상투적 표현은 간찰의 경우, 16세기 <순언>에서 고유어 중심의 표현이 자리 잡기 시작하였으며 17세기 <현언>에서는 답보상태를 보이다가 19세기 <징언>에서는 한문 간찰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보수적 표현으로 퇴행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메일에서는 전반적으로 상투적 표현이 사라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f Hangul Ganchal in Cheosun Dynasty and Email. Conventional expression is used remarkably in introductions and conclusions. In introduction, it is used for addressing and safety greetings while in conclusion, it is used for closing address and closing words. In Cheosun Dynasty, an envelope of Ganchal only included the details of the receiver because the letter was genuinely delivered by someone who knew the receiver and the sender very well. An envelope of Ganchal is applicable to the screen of the internet which is used for emailing. In an email, we see the name of the sender and the title of the text and once we click the title, we are able to view the tex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anchal and the email was reflected on how the receiver’s detail showed on Ganchal and the email show the sender’s details. In a case of addressing in a letter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expression, we can see how we use “To∼” in humble term and “ ∼께” in a honorific term. We confirmed that the conventional expression has not yet settled in both of the Gnachal and email for the seasonal greetings. The safety greetings comprised with both of the senders’ and receivers’ latest updates. In Ganchal, this composition is well described conventionally, whereas in emails, only the receivers’ latest news are written but the senders’ latest updates are hard to be seen throughout the text. In Ganchal’s closing section, the closing address and closing words were expressed conventionally. However, in the case of email; those were again hard to be found throughout. To conclude, in Ganchal the conventional expression was developed and placed in 16thcentury(Sun-eon) when there was a focus in our native language. In 17thcentury(Hyeon-eon), it stood still for a sometime and moved on to 19thcentury(Jing-eon) when there was a strong in fluence of Hangul Ganchal, which resulted in regression to the conservative expression. In general, we are able to confirm that the conventional expression is slowly disappea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