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학교사와 함께하는 과학고전읽기의 성과 -코스모스(칼 세이건)을 중심으로-

        문영하 ( Moon Yung Ha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1 독서아카고라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코스모스(칼 세이건) 과학고전 읽기 프로그램을 통하여 비대면 상황에서 열린 독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주과학교사모임이 주관한 과학교사와 함께하는 과학 고전 읽기 전 과정을 정리해 보고 비대면 상황에서 줌(ZOOM)을 통하여 학생들과 함께할 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과학 고전 읽기 모집과 준비과정, 진행된 상황들을 공유하고, 변화된 생각들을 통해 함께 읽는 즐거움과 나눔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세 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과학고전 읽기를 통하여 과학적 상상력, 과학적 질문과 탐색, 협력을 통한 효과를 얻었다. 첫째, 과학 고전 읽기를 함께함으로써 방대한 분량의 책을 완독하고, 책에 담긴 내용을 통해 과학적 상상력을 신장시키고자 했다. 둘째, 독서를 통하여 학생 스스로 질문하고 그 해답을 직접 찾아보고 이해하는 시간을 경험하면서 과학적 질문을 생성하고 답하는 탐색 과정에서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우고자 했다. 생각하는 시간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스스로 질문하고 탐색 하는 시간을 주고자 했 학생들이 해결하지 못한 과제는 교사들과 함께 나누고 상호 교감의 시간을 통해 협력하여 해결책을 모색했다. 셋째, 학생들이 자신이 읽은 분야를 직접 PPT를 만들어보고 발표하는 훈련을 통하여 학생이 직접 결과를 도출하여 문제해결력을 키우고 함께 하는 독서의 즐거움을 맛보게 하였다. 척박한 과학의 토양에서 찬란한 꽃을 피우기 위해 영주과학교사모임이 추구하는 과학 고전 읽기 프로그램은 씨앗이 되어 학생들이 저마다의 찬란한 꽃을 피워 과학발전에 기여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open reading in non-face-to-face situations through the Cosmos (Carl Sagan) science classic reading program. The entire process of reading a science classic with a science teacher hosted by the Yeongju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was summarized, and a plan to be with students through ZOOM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was suggested. We shared the recruitment, preparation process, and progress of science classic reading, and examined the importance of sharing and the joy of reading together through changed ideas. First, by reading the classics of science together, we tried to complete a vast amount of books and to expand scientific imagination through the contents of the books. Second, through reading, students ask themselves questions and experience the time to find and understand the answers themselves, and to develop scientific thinking skills in the search process to generate and answer scientific questions. In order to give students who lacked time to think time to ask questions and explore on their own, the problems that the students could not solve were shared with teachers, and solutions were sought by cooperating through time for mutual communication. Third, through the training of making and presenting PPTs in the fields they read, the students drew results directly, so that they could develop problem-solving skills and enjoy the pleasure of reading together. The science classic reading program pursued by the Yeongju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in order to make a brilliant flower bloom in the barren scientific soil was to become the seed and lay the foundation for each student to bloom their own brilliant flower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 KCI등재

        암실 속 과학탐구를 경험한 과학교육자들의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인식

        김학범 ( Hak Bum Kim ),박승재 ( Sung Jae Pak ),차정호 ( Jeongho C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과학교육자들이 암실 속 과학탐구의 경험을 통해서 시각장애학생의 과학학습상황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게 되는가를 조사하려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한국과학교육학회에 참석한 과학교육자 중 24명에게 ``얼음의 분자 구조`` 및 ``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모형의 접촉과 대화를 통해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을 하게 하였다. 활동 전, 후에 설문을 하였고 활동 중의 개방적 대화와 끝난 다음의 자유토론을 녹음하여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암실 속 과학탐구를 통해 과학 교육자들은 시각장애학생의 과학교육이 필요하며 가능할 뿐 아니라, 이들의 학습상황에 대해 더욱 깊게 이해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자신들이 학생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지도하였음을 알게 되었음을 고백한 바 있다. 또한, 참여자들은 암실 경험을 통해 시각장애학생뿐 아니라 학습에 소외된 일반 학생의 입장을 더욱 깊게 이해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의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science educators on the learning situation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scientific inquiry in a darkroom. Twenty-four science educators who came to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cientific inquiry in the darkroom`` activities. They were encouraged to touch models of ``the molecular structure of ice`` and ``the structure of eyes`` and to discuss with participants during the activities. Surveys were done before and after darkroom activities, and the discussions during and after the activities were recorded and analyzed. As a resul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science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is both very feasible and necessary. Also, some of them, who have had an experience of teaching blind students and thought that they fully understood the learning situ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were especially surprised by the fact that they did not actually understand how it was like to be a visually impaired and responded that they were able to more deeply comprehend the learning situation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these activities. Through this experience, participants also became resolute to try more deeply to understand not only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but also sight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darkroom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명영역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동렬 ( Dong Ryeul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科學敎育硏究誌 Vol.39 No.1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에서 1학기 동안 ``과학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을 수강한 3학년 예비 초등교사162명을 대상으로 생명영역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수업은 3~4명이 한 조로 구성되어 10개의 실험 주제 중 한 주제를 선택하여 직접탐구한 후 그 결과를 동료 예비교사들 앞에서 발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자에 대한 특성에 대한 견해를 조사한 결과 탐구수행 경험 전후에 관계없이 과학자를 신중하고, 지적 수준이 우수하며, 창의적이고, 근면하다고 생각한 반면, 예술적이고 종교적이라고 여기지는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적능력이 우수한, 창의적인, 개방적인, 활발한, 책임감 있는 특성에 대해서는 탐구 수행후 더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자 그리기에서 나타난 과학자의 활동 유형은 탐구 수행 후 ``실험활동``이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활동장소로는 활동유형과관련된 ``실험실``이 가장 많았다. 이이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탐구 수행 경험 전후의 과학 교수 불안을 확인해 본 결과, 과학지식, 탐구 수업 준비, 탐구수업 운영,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탐구 경험이 과학 교수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of inquiry performance in the life on their images about a scientist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Thus, this study selected 162 college juniors who completed ``Science Teaching Material Research & Teaching Methods`` for one semester at a university of education. Groups of 3 to 4 pre-service teachers were made to select one of the 10 experimental topics and inquired it for themselves, and make a presentation about the results before the other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pinion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sts, it was found that they thought of scientists prudent, intellectually superior, creative, and hard-working, but did not consider them artistic or religious, no matter if they had inquiry performance experiences. Especially, to such characteristics as intellectually-superior, creative, open-minded, outgoing and responsible, they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after inquiry performances. Besides, in scientists`` activity types shown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rawing pictures of a scientist, ``Experimental Activity`` increased most after their inquiry performances, and in the place of activity, ``Laboratory`` was most since it was related to activity types.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per-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anxiety before and after inquiry performances, it was found that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domains, scientific knowledge, inquiry class preparation and inquiry class management. This finding could be interpreted as their inquiry experiences had positive effect on their having confidence in teaching science.

      • KCI등재

        교양과학 교과목과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의 접목 : 숙명여대 <현대사회와 과학기술> 사례를 중심으로

        정세권(Jeong, Se-Kwo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6

        본 논문은 숙명여대에서 2013년부터 개설해 온 교양과학 교과목 강좌에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을 시도한 과정과 그에 대한 평가, 그리고 향후 교양과학 교과목과 글쓰기 교육의 접목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숙명여대는 2013년 교양교육을 강화할 목적으로 새로운 교과목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교양과학 교과목인 <현대사회와 과학기술>을 개설했다. 이 교과목은 과학기술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사회학적 고찰 속에서 오늘날 주목받고 있는 과학기술의 다양한 성격과 쟁점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2013년 하나의 강좌가 개설된 이래 여러 분반, 그리고 다른 주제의 교양과학 교과목이 증설되었고,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는 데 기여해 왔다. 또한 해당 교과목의 수강생들은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큐멘터리를 한 편 시청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에세이를 작성하여 과제로 제출했고, 과학기술학을 전공한 교수가 간단하게 첨삭하는 방식으로 피드백해 왔다. 그런 와중에 2020년 2학기 숙명여대 교양교육연구소가 구축한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 시스템인 [사]을 활용하여 수강생들에게 더욱 수준 높은 글쓰기 지도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학생들은 강좌를 통해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함양하고,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을 통하여 글쓰기 교육 전공자로부터 표현, 구성, 내용까지 다양한 글쓰기 지도를 받았고, 이를 수정하여 교수에게 최종 제출했다. 본 논문은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의 성격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함양하는 교과목에서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을 접목했을 때 어떤 교육적 효과가 나올 수 있으며 그 한계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향후 과학기술에 대한 글쓰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encounter of science liberal education and on-line writing feedback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2020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rom lecture evaluations. While other universities has developed <Writ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courses for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track and the accredi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 since the early 2000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as two specific backgrounds for this encounter. Firstly, the science liberal course, <Science, Technology and Modern Society> has dealt with the history and social, moral, ethical issu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on science/technology, and additional courses have been installed until now. Secondly, the Gen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itiated the project for innovation of liberal education in 2019, and this project promoted the development of on-line writing feedback system. In 2020, students at this course, after lectures dealing with some issues on biomedicine, had to submit review paper about a documentary on genetic diagnosis and personal, social questions to on-line writing feedback system. Four experts on writing teaching read students" papers and made comments on expressions, structures, contents of papers via on-line feedback system, and students had to submit their revised paper to professor of this course.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as well as the ability to write 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aims and targets, curriculum contents and subject of education have to be pondered on, and new experiment to integrate science liberal education with writing teaching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uggest some implications on science and technology writing educations which have been promoted at many domestic university about two decades.

      • KCI등재

        과학관련 신문기사 분석을 통한 과학적 소양인의 과학적 소양 발현 메커니즘

        구민아,박다혜,박종석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1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scientific background is developed in order to raise the systematic strategy of scientific literate person's training, and provide the necessary foundation for the structure of future scientific literate person's training program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newspaper articles at the expert workshop of science education, discussed the true nature of scientific literate person, and derived the mechanism of manifesting scientific background. The derived mechanism was ranked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empathy, execution, and sympathy. Using the presented stages and the parameters of stage transi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educational program and train the actual scientific literate person through science education when it is applied to school sites. 이 연구는 과학적 소양인 양성의 체계적 전략 마련을 위해 과학적 소양이 어떻게 발현되는가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과학적 소양인 양성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과학교육 전문가 워크숍에서 신문기사를 분석하고 과학적 소양인의 참모습을 논의하여 과학적 소양 발현 메커니즘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메커니즘은 이해, 공감, 실행, 교감 순으로 위계적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각 단계와 단계 이행의 매개를 활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한다면 과학교육을 통해 실제적인 과학적 소양인을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과학·공학 융합 수업 준거틀 및 공학 설계 수준 제안

        남윤경,이용섭,김순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융합(STEM)교육의 핵심인 공학 설계를 기반으로 과학 수업에서 공학을 의미있고 쉽게 융함하 여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수업 준거틀을 제안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과학·공학 융합 수업 준거 틀은 과학과 공학 융합 교육에 대한 국내외 이론적, 실 제적 선행 연구 분석과 전문가 토의, 그리고 현장교사 들의 피드백에 근거하여 개발되었다. 과학·공학 융합 수업 준거틀은 과학 수업에서 공학 설계를 주요 교수 법 및 문제해결 방법으로 사용하며, 선행 연구에서 제 시된 공학 융합 수업의 핵심요소와 학년군별 성취수준 을 고려하여 공학 설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현장 교 사들이 쉽게 공학 설계를 과학 수업에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과학·공학 융합 수업 준거틀은 복잡하게 제시된 한국 STEAM 교 육 준거틀의 단점을 보완하여 현장교사뿐 아니라 예비 교사들이 쉽게 공학적 설계와 문제해결과정에 대해 이 해하고 이를 적용하여 과학 융합 수업을 설계하는데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proposes a lesson design framework to design a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lesson in a meaningful and easy way based on engineering design, which is the core feature of STEM educatio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lesson design framework is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papers and expert discussion on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education as well as the feedbacks from science teachers. The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lesson design framework uses engineering design as the main pedagogical method. The framework includes the core elements of the engineering integrated lesson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 achievement level of each grade group suggested in NGSS and provides a way for teachers to easily introduce engineering design into science classes. In addition, the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complements the shortcomings of the complicated Korean STEAM education framework. It can also provide specific guidance to in-service teachers as well as pre-service teachers to easily understand and apply engineering design and problem solving process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lessons.

      • KCI등재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영재교육의 방향

        서혜애 한국영재학회 2004 영재교육연구 Vol.14 No.1

        과학교육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탐구능력, 문제 해결력 등을 함양하여 21세기의 격변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과학적 소양을 갖춘 창의적 인 적자원의 기반을 마련해야 하는 시점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 에서는 과학교육 목표에서 제시된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적 소양을 논의하고 21세기 현대 과학의 특징을 고찰한 후, 미래 첨단과학기술 사회 발전의 핵심 이 되는 과학적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과학영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했 다. 논의한 바와 같이 과학적 소양에 기반을 과학적 창의성을 추구하는 과학 교육의 방향은, 첫째, 과학기술의 내용을 도입하며, 둘째, 통합적 과학 개념을 도입하고, 셋째, 개인․사회적 관점을 강조하고 넷째, 사회 문제 해결 중심의 탐구과정을 강조한다. 특히 과학영재교육을 통해 강조해야 할 탁월한 과학적 창의성은 첫째, 구체화된 자료를 전체적 관점에서 상상력을 적용하여 해석하 고, 둘째, 과학적 과정에 예술적 관점을 적용하며, 셋째, 직관적 관점에서 과 학의 현상을 해석하고 넷째, 개인적 만족감을 추구하는 데서 발휘된다.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이상과 같은 요소들을 경험할 수 있을 때 과학적 창의성 신장 과학교육과학영재교육이 실현된다고 볼 수 있다. The article attempts to suggest s a direction of science education in terms of development of creative human resources based on discussion about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tific creativity. Students are supposed to develop scientific attitude, inquiry skills,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cience learning, and be prepared for the 21st century of rapidly developing age. The paper introduces definitions of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tific creativity and discuss their meanings within science education in general as well as for the gifted. To enhance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science education should strengthen content of science related to technology, integrated science content, personal and social views, social inquiry for problem solving. In particular,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should emphasize students' holistic views in interpreting data, ability to connect artistic aspects to science process, intuitions to explain scientific phenomena and pursue of personal satisfaction. It may be said that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is realized when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such elements in their science learning.

      • KCI등재후보

        유아의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세하(Se-Ha Kim),박선영(Seon-Young Park)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유아의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만 5세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구성하여 총 10주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처치 기간 동안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과학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생활주제에 따라 교사가 미리 계획하여 제공하는 과학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과학활동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처치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에게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와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과학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총점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구성요소별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측하기, 관찰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과학적 태도의 총점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태도의 구성요소별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호기심, 자진성과 적극성, 객관성, 개방성, 비판성, 판단유보, 협동성, 끈기성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의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만 5세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reschool children’s scientific questions on the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of five-year-old children. In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0 five-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 group: 20; the comparison group: 20) for a total of ten weeks. During the period of experimental treatment, the experiment group engaged in science activities based on children’s scientific questions, whereas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science activities planned by the teacher according to the life topics in advance. Both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were tested on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research proces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experiment group that took part in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reschool children’s scientific questions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s in scientific process skills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 group made a significant increase in predicting, observing, measuring, and discussing scores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experiment group that took part in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reschool children’s scientific questions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s in scientific attitudes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 made a significant increase in curiosity, spontaneity & active participation, objectiveness, openness, critical ability, suspending judgment, cooperation, and perseverance scores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Those findings show that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reschool children’s scientific questions are effective for improving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과학사, 과학, 역사 과목에 대한 관계인식 탐색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진로선택 과목 ‘과학사’를 중심으로-

        이준기,하민수,신세인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science, history, and history of science which is one of the career elective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compares students’ perception before and after experiencing history of science course. To do this, data in the format of Venn diagram that students draw to represent their perception on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science, science, and history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inductively categori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enn Diagram data, there are five different kinds of categories: ‘History of science as an intersection of science and history,’ ‘History of science as an independent domain,’ ‘History of science as part of history,’ ‘History of science as part of science,’ and ‘History of science encompassing both science and history.’ And there were 27 different sub-categories within the 5 categories. In addition, before taking the course on history of science, many students tended to regard science history as the intersection of science and history. However, after the course, students’ perception changed and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ffiliated academic track. For the humanities, history of science is perceived as part of history, and for the students in science track it is perceived as a part of sc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history of science teaching-learning should be conducted that help high school students to experience a new perspectiv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urriculum in affiliated academic track.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진로 선택 교과목인 ‘과학사’ 과목과 과학과 역사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실제 과학사 수업을 경험하기 이전과 이후의 이 인식의 변화를 계열별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 학생 265명이 그린 과학사와 과학, 역사와의 관계를 표현한 벤다이어 그램 도형 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설명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최종적으로 범주화하였다. 벤다이어그램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과학과 역사의 만남으로서의 과학 사’, ‘독립영역으로서의 과학사’, ‘역사의 일부로서의 과학사’, ‘과학의 일부로서의 과학사’, ‘모두를 아우르는 과학사’의 5가지의 다양한 관계범주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유형들마다 다양한 세부 유형들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과학사 수업 경험 이전에는 많은 학생들이 과학사를 과학 과목과 역사 과목의 교집합으로 여기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과목 경험 후에는 인문계 학생들과 자연계 학생들의 관계인식변화는 서로 달라졌다. 인문계 학생들의 경우에는 과학사 과목이 역사과목의 일종이라고 여기는 인식이 더 증가했고, 자연계 학생들의 경우는 과학의 일종이라고 여기는 인식이 더 증가했 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사 교육이 기존에 자신이 속한 계열 내에서 익숙하게 배우는 기존의 교과들과는 다른 새로운 관점을 경험할 수 있는 과학사 교수-학습이 실현되어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과학관 전시해설 자원봉사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의 비형식 과학학습과 진로탐색 경험에 대한 인식

        김가형,정광훈,강형구,이현옥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n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career exploration through volunteering as a docent in a science museum. For this study, group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15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as a volunteer docent in an exhibition, Feynman’s Talk on Physics, and the field notes from museum staff. As a result, the student docent showed the convergent understanding of atom through the experience of informal learning in the science museum and a positive perception of informal learning through the connection and differentiation with formal education. Furthermore, they came to have stronger interest and confidence in science, beyond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concepts through a volunteer student docent activities. They also responded that communication with visitors affected on school achievement. Finally, they had a chance of career explorations to understand the practical job as an expert in a science museum, while learning about the daily life and accomplishments of the scientist. 본 연구는 과학관 전시해설 자원봉사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의 비형식 과학학습과 진로탐색 경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D과학관에서 운영된 ‘파인만의 물리이야기’ 특별전에서 전시해설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D시 소재 고등학교에 다니는 15명의 고등학생을 연구대상으로 그룹면담 자료 및 특별전 운영 직원의 현장 노트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전시해설 자원봉사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전시물에 대한 비형식 과학학습 경험을 통해 ‘원자’에 대한 융합적인 이해를 보여주었으며 학교교육과의 연결성과 동시에 차별성을 통해 비형식 과학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또한, 전시해설사로의 활동을 통해 단순히 과학개념의 이해를 넘어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과학주제를 중심으로 타인과의 의사소통 경험이 학교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특별전과 관련된 과학자의 인생과 업적에 대한 학습이 진로에 영향을 미치고 과학관 전시해설자로의 체험을 통해 실제 과학관 전문가로의 직업을 이해할 수 있는 확장된 진로탐색의 경험이 추후 진로결정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