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성리학 主理論의 발전 上에서의 大山 李象靖 - 寒洲 李震相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이상하(Lee Sang-ha)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5 No.-

          조선조 성리학에서 영남학파의 큰 흐름은 退溪 李滉-葛庵 李玄逸-大山 李象靖을 거쳐 寒洲 李震相에 이르러 理發一途를 주장, 主理論의 절정에 이른다. 이 글에서는 성리학의 인식논리와 관련하여 영남학파 主理論의 발전의 과정과 한주가 자기 학설의 논거로 사용한 대산의 설들을 살펴봄으로써 영남학파 주리론의 발전 上에서의 대산의 위상을 究明하였다.<BR>  退溪는 高峯 奇大升과의 四七論辨에서 자신이 四端·七情을 理發·氣發로 나누어 규정하는 논리적 근거로 渾淪看과 分開看이란 용어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용어는 이미 주자가 理·氣의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한 것이다.<BR>  寒洲 李震相는 위 혼륜간과 분개간을 竪看·橫看·倒看으로 더욱 나누었다. 그리하여 그는 주로 수간에 의하여 心의 本然은 理임을 주장하였는데 이것이 영남학파 주리론의 절정이라 할 心卽理說이다.<BR>퇴계와 고봉에게서 비롯한 사칠논변은 栗谷 李珥가 氣發一途說을 주장하여 퇴계의 互發說을 비판하면서 영남·기호 양학파간의 첨예한 論戰으로 전개된다. 영남학파에서 율곡의 학설을 본격적으로 비판하고 나선 학자는 갈암이다. 갈암은 율곡의 氣發一途說을 비판, 分開看을 강조하여 理·氣는 二物이므로 사단과 칠정도 그 근저에서 구별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이에 더 나아가서 사단과 칠정의 구별은 그것이 발하기 전에 이미 心中의 근본에서 다르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BR>  대산은 갈암 이후로 주로 분개간 쪽에만 치중한 영남학파의 四七說의 단점을 보완, 혼륜간을 함께 중시하였다. 그는 사단과 칠정이 각각 다른 길로 발하는 것이 아니라 한 길로 발하되 발할 때 각각 主가 되는 바를 가리켜 理發·氣發이라 한 것일 뿐이며 칠정도 그 本然은 性이 발한 것이라 했다. 칠정도 性이 발한 것이라는 설은 혼륜간에 의한 것으로 퇴계의『聖學十圖』중 心統性情中圖의 설에 부합한다.<BR>  한주는 자신의 학설이 퇴계의 정설에 어긋나지 않음을 힘써 증명해야 했는데 이 때 한주는 주로 대산의 설을 많이 인용했다. 그래서 한주의 저술에 朱子·퇴계 외에 가장 많이 논거로 인용된 것이 대산의 설이다.<BR>  한주는 대산도 七情理發을 인정했다는 증거가 분명히 있고, 그의 제자인 立齋 鄭宗老도 대산의 설을 이어 七情理發을 분명히 주장했다고 했다. 그리고 한주는 당시 영남학파를 대표하는 학자인 定齋 柳致明과 토론에서도 대산의 설을 근거로 들어 반박하였다.<BR>  한국 성리학 주리론의 발전 상에서 대산은 갈암 이후 분개간에 치우친 영남학파 성리설의 치우친 점을 바로잡고, 퇴계의 心統性情中圖에서 발원한 七情理發說을 복원, 발전시켜 한주에게로 이어지게 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e largest trend of Youngnam School in Korean Confucianism reached to the peak when Hanjoo Lee Jin-Sang suggested Lee-bal-il-do through Toigye Lee Hwang, Galam Lee Hyeon-Il and Daesan Lee Sang-Jung. This study speculat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huli in respect to the cognitive logic of Confucianism and Daesan"s theories used by Hanjoo as a base of his theory to identify Daesan"s status in the development of Chuli.<BR>  The Sachil originated by Toigye and Gobongwas developed into sharp debates between Yongnam School and Kiho School when Yoolgok Lee Yi criticized Toigye"s Ho-bal-seol suggesting Ki-bal-il-do. It was Galam in Youngnam School who criticized Yoolgok"s theory. He criticized the Ki-bal-il-do and emphasized Bun-gae-gan that the bases of Sadan and Chiljung should be differentiated as Ri and Ki are two different matters. He further suggested that the bases of Sadan and Chiljung are different even before they are differentiated. Daesan complemented disadvantages of Sachilseol of Youngnam School which was inclined to Bungaegan after Galam and focused on Honryungan, too. He suggested that Lee-bal and Kee-bal are created when Sadan and Chiljung are united into one way rather than two different ways and the origin of Chiljung is Sung. The theory that Chiljung is originated from Sung is originated from Honryungan which meets Sim-tong-sung-jung-joong-do of the Sung-hak-sip-do by Toigye.<BR>  Hanjoo had to demonstrate that his theory was not against the theory of Toigye when he usually cited Daesan"s theory. So in addition to Jooja and Toigye, Daesan"s theory was cited in Hanjoo"s books.<BR>  Daesan in the development of Chuli in Korean Confucianism corrected inclined Confucianism in Youngnam School which focused on only Bungaegan after Galam, rehabilitated Chil-jung-il-bal-seol originated from Sim-tong-sungjung-joong-do by Toigye and inherited it to Hanjoo.

      • KCI등재

        大山學 정립을 위한 小山 李光靖의 역할과 노력

        전병철 근역한문학회 202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3 No.-

        Sosan Lee Gwang-jeong (1714-1789) is significant in establishing Daesan-hak as he defined the meaning of Daesan Lee Sang-jeong (1711-1782)’s studies through Haengjang.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it. Lee Sang-jeong and Lee Gwang-jeong are brothers who are three years apart, and they read books and studied together from childhood and throughout their lives. After Lee Sang-jeong died, Lee Gwang-jeong took responsibility for conveying his brother’s virtues and studies to next generations. To this end, Lee Gwang-jeong devoted the rest of his life to publishing the collection of Lee Sang-jeong’s literature and writing Haengjang. Due to the death of Lee Gwang-jeong in 1789, however, the publication of Daesanjip was not achieved during his lifetime, and instead, his son, Yi-woo, completed the joint work in the fall of 1802 with 52 volumes and 27 books. Lee Sang-jeong’s Haengjang written by Lee Gwang-jeong consists of 6,256 letters, and it is a long piece containing very detailed information. The first half deals with Lee Sang-jeong’s life starting with his family and developing with his crucial deeds that are chronicled. The latter half is about Lee Sang-jeong’s studies and discipline, and it is mainly about ① how he practiced his principles, ② how he explored studies, ③ how he treated people, ④ how he lived in everyday life, ⑤ how he read books, ⑥ his political deeds, and ⑦ what he wrote. Concluding Haengjang, Lee Gwang-jeong said, “He could be even compared to Sir Toegye.” grounded on Lee Sang-jeong’s precise and fruitful studies and devout practices and waited for scholars’ evaluation posing this question, “How would men of virtue who talk about old people think of him?” By writing Haengjang, Lee Gwang-jeong attempted to reveal the fact that the legitimacy of Toegye was handed down to Lee Sang-jeong. After Lee Gwang-jeong identified the status of Lee Sang-jeong’s studies through Haengjang, Daesanhakdan (大山學團) named it as “Hohak” and declared its uniqueness. As “Hohak” is often confused with Noron’s “Horon” or the names of districts, Hoseo or Honam, however, it would be now clearer to name it as “Daesanhak” after Lee Sang-jeong’s pen name. 이 논문은 大山 李象靖(1711-1782)의 학문에 관해 小山 李光靖(1714~1789)이 行狀을 통해 그 의미를 규명하여 大山學이 정립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친 일을 고찰한 것이다. 이상정과 이광정은 세 살 차이가 나는 형제로, 어릴 적부터 평생토록 함께 강학하며 절차탁마했다. 이상정이 별세한 뒤, 이광정은 형의 덕행과 학문을 후세에 전하는 일을 자신의 책임으로 삼았다. 이것을 위해 이광정은 이상정의 문집 간행과 행장 찬술에 여생의 힘을 쏟았다. 그런데 대산집 의 간행은 1789년에 이광정이 별세하여 생전에 결과를 이루지 못했으며, 대신 그의 아들 李㙖가 1802년 가을에 52권 27책으로 공역을 마쳤다. 이광정이 지은 이상정의 행장은 총 6,256자로, 매우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는 장편이다. 전반부에는 이상정의 일생을 家系로부터 시작해서 연대순으로 중요한 행적을 기술했다. 후반부에는 이상정의 학문과 수양에 관해 서술했는데, ①도를 행한 것[爲道], ②학문을 탐구한 것[爲學], ③사람을 대한 것[及於人], ④일상생활에 드러난 것[見於日用], ⑤책을 읽은 것[讀書], ⑥政事에 시행한 것[施於事], ⑦저술한 것[論著] 등을 골자로 삼았다. 이광정은 행장의 서술을 끝맺으며, 이상정이 이룩한 정밀하고 깊은 학문과 독실한 실천에 근거한다면, “퇴계 선생의 적전이라고도 해도 가할 것이다.”라고 제기한 후, “옛사람을 논하는 군자들은 어떻게 생각할는지?”라고 학자들의 평가를 기다렸다. 이광정은 행장의 서술을 통해 퇴계의 적통이 이상정에게 이어진 사실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광정이 행장을 통해 이상정의 학문이 가지는 위상을 규명한 후, 大山學團의 학자들은 ‘湖學’으로 명명하여 독자성을 천명했다. 그런데 ‘호학’은 노론의 ‘湖論’, 지역명의 湖西ㆍ湖南 등과 혼동되기 쉬우므로, 오늘날에는 이상정의 호를 따서 ‘大山學’이라고 명명하는 편이 분명할 것이다.

      • KCI등재

        大山 李象靖 서찰의 편집 목적과 書節要類에 담긴 학맥의 嫡傳 의식 -『大山先生書節要』를 중심으로-

        김기엽 민족어문학회 2023 어문논집 Vol.- No.99

        The selected works by Daesan Yi Sangjung is found in 7 Books of Daesansunsaengseojeoryo(大山先生書節要) kept at the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and 4 Books of Daesanseojeoryo(大山書節要) kept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Based on the examples of Yi Hwang’s compilation of works by Zhu Xi and Yi Sangjung’s compilation of works by Yi Hwang, Jung Jongro complied the works by Yi Sangjung. Jung Dongchul, who is a descendant of Jung Jongro, wrote Daesansunsaengseojeoryobal(大山先生書節要跋) to clarify that Daesansunsaengseojeoryo was compiled by his great-great-grandfather, Jung Jongro. He also praised how Jung Jongro inherited the ancient sages and taught lessons to later generations. The Daesanseojeoryo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contains the letters according to compilation order of Daesanjip(大山集). The Daesansunsaengseojeoryo of the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categories Daesanjip into logic and circumstance of matter and academic logic. The two Seojeoryo materials, including Daesansunsaengseojeoryo and Daesanseojeoryo, reduces the introductory and last parts which deliver greeting, modesty, Lee Sangjung’s personal situation. Instead, they contain the full discourse in the middle part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t points in the logic and circumstance of matter and academic logic. The postfaces of Yijaseojeoryo(李子書節要), Toegyesunsaengseojeoryo(退溪先生書節要), and Daesansunsaengseojeoryo compiled by Yeongnam School’s scholar commonly indicate the criteria for selecting specific works and Pupilship for academic stream of Yi Hwang. The Jung Jijip, Yi Sisu, and Heo Hun who wrote preface and postface of Yijaseojeoryo by Jung Hon described that Korean academic stream transmitted in the order of Zhu Xi, Yi Hwang, Yu Sungryong, Jung Kyungsae, Jung Youngbang, and Junghon. Meanwhile, in the postface of Toegyesunsaengseojeoryo, Jung Jongro and Kim Goeng claimed that academic stream of Lee Sangjung transmitted in the order of Yijae, Yi Hyunil, Jang Heunghyo, and Kim Sungil and connected to Yi Hwang and Zhu Xi. In the postface of Daesanseojeoryo, Jung Dongchul described that Jung Jongro, who selected and compiled the works by Yi Sangjung, followed the ideas of Yi Hwang and Yi Sangjung who complied Jujaseojeoryo(朱子書節要) and Toegyesunsaengseojeoryo. This showed that Jung Jongro inherited the formats of Seojeoryo found in Jujaseojeoryo, Toegyesunsaengseojeoryo, and Daesanseojeoryo. The compilation by Yi Hwang and Yi Sangjung, selecting particular works, and adoption of Seojeoryo formats imply their reverence toward the ancient sages and guarantee of academic vein.

      • KCI등재

        조선시대 호계서원(虎溪書院)의 위상과 강학활동

        김자운 ( Kim Ja-w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5 No.-

        호계서원(虎溪書院)은 퇴계의 선향이자 퇴계가 어릴 적 독서하던 곳이라는 연고로 퇴계를 주향하기 위해 안동지역에 최초로 건립된 서원으로, 17세기 이후 안동의 수원(首院)이자 예안의 도산서원, 경주의 옥산서원과 함께 영남지역의 대표적인 서원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 같은 호계서원의 위상과 조선후기 병호시비의 근거지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동안 정치사회사 분야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호계서원 강학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략한 형편으로 19세기의 「호계강록(虎溪講錄)」을 다룬 두 편의 연구 외에 본격적으로 시도된 바가 없다. 이는 강학과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확인되는 기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관련 인물들의 문집 등에 수록된 시, 편지, 연보, 행장 등 관련 기록과 맥락을 최대한 검토, 추적하여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호계서원 강학의 전체적인 흐름과 변화상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퇴계 문인들에 의해 건립된 호계서원이 퇴계의 서원관과 도학론을 충실히 계승하는 한편, 당시까지 매우 부진했던 안동향교의 교육기능을 대신하여 관학에 버금가는 위상과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퇴계의 이산원규를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입원 규정에서만큼은 과거 입격자를 우선으로 규정한 호계서원의 원규, 안동부 및 안동향교와의 긴밀한 협력관계 속에서 설립, 운영되었으며 호계서원의 주요 인물들이 16세기 안동향교의 운영까지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17세기까지의 강학이 과업(科業)을 목적으로 한 거접 중심으로 시행되었고, 완공된 건물의 규모가 관학의 규모를 훨씬 능가하고 있다는 점 등을 통해 적어도 16세기의 호계서원은 관학에 버금가는 위상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16-17세기 강학의 전개상을 개략적으로 검토하였다. 권호문의 문집 기록을 통해 16세기 강학은 ‘알묘례-강학-수창시’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며, 16세기 강학은 퇴계 저술의 교정 작업과 병행하여 시행되었고, 강학과 교정은 때로는 일회적으로, 때로는 며칠씩 서원에서 유숙하면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 ‘누에 오르면 감발하는 효과가 있어 호연지기를 기르고 연비어략의 이치를 깨우치는 데 적합하다’고 하여 강당인 숭교당 외에 유식공간이었던 양호루가 강학 공간으로 자주 활용되었으며, 이는 ‘장수(藏修)와 유식(遊息)’을 아우르는 서원 강학의 목표와 의미를 드러내는 대목임을 지적하였다. 남치리의 원규에는 동몽 강학에 대한 규정이 없으나 배용길이 16세기 강회에 참여할 때마다 ‘소아(小兒)와 함께 동몽재에 우거하였’으며 동몽재의 규모가 15칸이나 되었다는 점, 또 18세기 김성탁이 15세의 나이로 호계서원 거접에 참여하였다는 기록을 토대로, 16세기부터 15세 이하 동몽들을 대상으로 동몽 강학이 시행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17세기 후반 김성탁이 ‘전례대로 수일간 거접에 참여하여 과거문자를 익혔다’는 기록에 따르면 17세기까지 과업(科業)을 목적으로 한 거접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4장에서는 18-19세기 강회의 변화상 및 심학적 성격과 실천적 학풍을 검토하였다. 18세기 후반으로 가면서 ‘알묘례-정읍례-상읍례-강독과 발문, 토론-강회 후 산수 유람-파재 시 수창시’의 순서로 강회의 절차와 방식이 체계화되었으며, 1765년 대산 이상정이 이끈 심경강회를 기점으로 강회 참여자의 명단과 강회의 전말, 문답 내용을 제명록, 차록, 강회록 등의 기록으로 남기는 관례가 정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 지방관의 흥학책과 그에 대한 적극적으로 대응으로 18-19세기 강회가 활성화되었으며, 18-19세기 호계서원 강회를 주도한 인물들의 사승관계 분석을 통해 호계서원 강회는 ‘퇴계로부터-학봉 김성일-갈암 이현일-밀암 이재-대산 이상정’으로 이어지는 학맥 형성에 핵심적인 매개체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18-19세기에 가장 많이 활용된 강회의 주요 텍스트는 심경이었으며, 강회에서 공부한 내용을 더욱 궁구하여 체득하고 일상생활의 언어와 동작에서 실천하는 자만이 진정한 ‘강학인’이라 강조하고, 19세기 붕당의 폐해와 유림의 분열상을 극복하기 위한 해법을 서명(西銘)에서 찾고 일상에서 이일분수의 실천을 강조한 19세기 강회 등을 통해 이 시기 호계서원 강회의 특징과 경향성이 심학과 실천적 학풍을 지향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호계서원 강학의 전체적인 흐름과 변화상은 개괄적으로 추적하였으나, 강학의 가장 핵심에 해당하는 강회의 주요 내용과 문답 기록까지는 미처 분석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 수집한 자료 외에 향후 관련 자료를 좀 더 추적, 보완하여 본고에서 미처 수행하지 못한 강회의 주요 내용과 문답 기록에 대한 분석은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Hogye-Seowon(虎溪書院) is the first Seowon established in Andong area to celebrate Toegye because it was a place where Toegye was reading when he was a child. After the 17th century, it has grown into a representative Seowon in the Yeongnam region along with Dosan-Seowon and Oksan-Seowon. Paying attention to the status of Hogye- Seow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political history. However, there are only two thesis on education in the 19th century on the study of Hogye-seowon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little data on education of Hogye- Seowon. Therefore, I tried to trace the overall flow and changes of Hogye Seowon educati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by investigating the data on Hogye-Seowon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In Chapter 2, I first analyz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Hogye-Seowon, and then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dongbu(安東府) and Hogye-Seowon. In 1576, Nam, chi-ri(南致利) creat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Hogye-Seowon, imitating Toegye's Isan-Seowon regulations. However,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addition, Hogye-Seowon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in a very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Andongbu.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Chapter 2 I confirmed that the 16th century Hogye-Seowon played the same status and role as the Andong-Hyanggyo. In Chapter 3, I review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Hogye-Seow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7th century. Through this, the operation status of children's education, the space used for educ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 method were confirmed. In Chapter 4, I reviewed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system of Hogye-Seowon, the changes in textbooks and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chool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Hogye-seowon's educational system began to change systematically starting with the Simkyung-Lecture(心經講會) led by Daesan(大山) Lee, Sang-jung(李象靖) in 1765. An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book they studied hardest at Hogye-Seowon was Shimkyung(心經). In addition, the teachers at Hogye-Seowon put great emphasis on practicing what they learned in Seowon in their daily life.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Hogye- Seowon educa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an be found in the learning of the mind and practical academic practices. Through the education at Hogye-Seowon, the people who led the schooling were forming a academic network leading to “Toegye Lee Hwang(退溪李滉)-Kim, Seong-il(金誠一)-Lee, Hyun-il(李玄逸)-Lee, jae(李栽)-Lee, Sang-jeong(李象靖)”.

      • KCI등재

        천사<SUB>川沙</SUB> 김종덕<SUB>金宗德</SUB>의 저술과 시세계

        이규필(李奎泌)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3

        천사川沙 김종덕金宗德은 18세기 퇴계학의 전개와 의성 지역의 퇴계학맥 연구를 위해 반드시 조명이 필요한 학자이다. 본고는 이 지점에 대한 문제의식 아래 천사의 독서 서목, 공부 이력, 저술 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 자세와 시세계를 고찰하였다. 천사는 철저히 주자 및 퇴계에서 대산으로 이어지는 학맥을 계승하였으며, 경세經世나 정책 제안 보다는 주로 위정자의 심성心性 수양에 관심이 있었다. 타인을 사랑하는 그 마음에 기반하여 독득獨得과 묵계默契를 강조하는 신의의 독서론을 폈고, 충서忠恕의 학문을 지향하였으며, 일상에서 그것을 몸소 실천하려고 노력하였다. 시세계로 말하면 주자와 퇴계의 학문에 침잠하며 경敬을 실천하는 즐거움, 참된 군자에 대한 고민과 성취의 노력, 조심操心과 극기克己의 실천과 체험 등을 시로 노래하였다. 천사의 시에 ‘성도成道의 시’와 같은 작품은 보이지 않는다. 이는 천리가 끊임없이 순환하는 것처럼 공부에 완성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은 천사의 사유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Cheon Sa Kim Jong Deuk is a very important scholar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Toegyehak in the 18th century. And for the study of local studies in Uiseong, lighting is necessary. Under the critical awareness of this branch, the Dong-A Ilbo reviewed Cheonsa’s reading books, study history, and writings in a rough manner, and based on this, it considered his academic attitude and the world of poetry. Cheonsa was thoroughly succeeded in the lineage of runner and Toegye to Daesan. And rather than national management or policy proposals, I was mainly interested in cultivating the minds of politicians. Based on his love for others, he developed a new book theory that emphasizes his enlightenment (獨得) and quiet proof(默契), aimed at the study of truth and tolerance(忠恕), and tried to practice it in everyday life. As for his poetry, he adored Do Yeon Myung(陶淵明)’s manners and the atmosphere of seclusion in his youth. Later, he calmed down on the studies of Zhu Xi and Toegye, the pleasure of maintaining a constant awakening(敬), and striving to become a true intellectual. He also tried to control his mind(操心) and overcome his desires(克己), and sang poems about his experiences. There is no work in Tom’s poem that sings the joy of realizing the truth(成道). This is because he didn’t think his study was complete like a ceaseless cycle of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