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명과 운명애 : 위안과 선택의 사이에서

        정세근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3 No.-

        철학실천에서 중요한 것은 이론을 넘어선 실천이다. 그런 실천 가운데 하나가 운명에 대해 쉽고도 상냥하게 이야기해주는 것이다. 철학자가 할 수 있는 영역이며 그런 자세야말 로 철학실천의 제1원리가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점집의 역할이 크다. 사람들은 걱정을 덜기 위해 점을 본다. 그것은 실 존적이며 돌봄의 행위다. 철학실천자들은 심려에서 시작하여 마침내는 배려로 나아가(가 가 빠짐!)야 한다. 우리의 근심 한 가운데 운명이라는 말이 놓인다. 운명은 대체로 과거명제로 쓰인다. 모든 것이 나의 업이고 응과응보란다. 운명은 대과거 다. 왜냐하면 운명은 이미 있(었)고, 지금에서야 현실에서 벌어졌기 때문이다. 운명의 가장 큰 장점은 우리를 위로해준다는 점이다. 가슴이 찢어지는 일을 당했을 때, 그것이 정해진 운 명이거나 신의 시련이거나 업보라고 하면 너무나도 쉽게 내 앞의 비극적인 일을 받아들이게 된다. 운명이라는 말로 모든 것이 이해된다. 그렇다면 철학이 운명을 비틀 수는 없을까? 많은 운명론은 윤리설을 설정함으로써 운명 비틀기 를 한다. 모든 것이 운명이기에 관 조하고, 절제하고, 희생하고, 하다못해 조롱이라도 함으로써 운명에 밟히더라도 지렁이처 럼 꿈틀댄다. 운명이 생명의 생로병사라면 함부로 덤빌 일이 아니지만, 그 앞에서 서보 기 , 사귀기 , 누리기 , 느끼기 를 덧붙여 감히 의지적으로 생각한다 . 이것이 철학이다. 운명과 운명애는 다르다. 운명은 수동적이지만 운명애는 능동적이다. 운명은 우리에게 위안을 줄뿐이지만, 운명애는 우리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사랑하게끔 한다. 그런 점에서 운 명애는 선택이다. 장자가 말했듯이, 세상은 황당 하고 맹랑 하다. 그러나 위안에 그치지 않고 선택할 때 운명은 즐거운 맞이 곧 환대가 된다. Practice is more important than theory in the philosophical praxis. One of these praxes is speaking about destiny easily and tender. It is a boundary where philosophers do something for their society. Easy and tender mind of philosophers should become a prima principle of philosophical Practice. The role of fortunetellers is greater than philosophers for people in Korea. People hope to reduce their anxiety to visit them. It is existential, also is a behavior of care. Practical philosophers have to get started their walking from worry about (Besorge) finally to care about (F rsorge). There is a word called destiny in the middle of our life. The sentences for destiny is almost told by past participate. All in life had been my karma and the result of cause and effect. The destiny has written, and the event follows it. Destiny consoles us. All things just happen by destiny. It is not your fault and you can avoid. Then, we could ask whether philosophers is able to twist destiny. The most theories of destiny assume their own ethics. It is a twist of destiny. We may contemplate it. We take control it a bit. We sacrifice ourselves. We deride it. Those are a sort of ethical attitude or human act. Destiny and loving-fate is completely different. We can do nothing in destiny, but we can do love our fate at least in loving-fate. So, loving-fate is a choice of human being. As Zhuangzi said, a life is embarrassing and ridiculous. But when you can do not hate your fate and love it instead, it afford your life the hospitality. We dare to consider and treat our destiny. This is philosophy.

      • KCI등재

        「페초린 수기」의 구성 시학

        윤새라(Saera Yo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4

        레르몬토프의 『우리 시대의 영웅』에 실린 다섯 편의 소설은 사건이 일어난 시간 순서대로 배열되지 않고 주인공 페초린의 내면으로 점점 더 다가가는 원리에 입각해 현재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음은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지적해온 바다. 본 논문은 분석 대상을 좁혀 『우리 시대의 영웅』에 포함된 「페초린 수기」의 구성 시학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페초린 수기」에 실린 이야기들을 관통하는 운명의 테마를 살펴보는데 구체적으로는 ‘운명’(судьба)을 비롯해 ‘숙명’ (предопределение)이라는 핵심어휘를 중심으로 텍스트를 분석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페초린의 의식이 얼마나 ‘운명’에 깊숙이 침윤되어 있는지 알 수 있으며 페초린이 ‘운명’에 대해 견지하는 모순적인 태도가 발견된다. 또한 「타만」에서는 우연히 운이 좋아 생명을 건진 것으로 그려진 페초린이 「공작영애 메리」에서는 운명의 형리로 타인의 운명을 결정 짓는 가해자이자 동시에 피해자 역할로 자신의 이미지를 구축하다가 마지막 소설인「운명론자」에 이르면 아예 타인의 운명을 예언하고 더 나아가 대담하게 절체절명의 위기 순간에도 운명과 대결해 승리하는, 신에 비견될 만한 전지전능한 능력까지 스스로에게 부여함이 드러난다. 따라서 「페초린 수기」에 포함된 세 편의 소설은 주인공 페초린이 자신의 운명 장악력이 증대되어 가는 방향으로 내러티브를 진행시켜가며 이 과정에는 소설에서 오리엔탈리즘이 작동하는 방식도 일조한다. 그리고 「운명론자」에서 완성되는 페초린의 모습은 레르몬토프의 또 다른 걸작 『악마』의 악마 형상과도 중첩되어 「페초린 수기」의 구성시학을 견고히 한다. It is a commonly accepted understanding that the raison d’etre of the five stories comprising A Hero of Our Time by Mikhail Lermontov is to take the readers closer to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In fact, as the narrative progresses, the reader comes to have an increasingly better look at Pechorin, the hero of the novel. This paper aims at unraveling the structural principle of “Pechorin’s Diary,” consisting of “Taman’,” “Princess Mary, and “The Fatalist.” Since the theme of fate runs through “Pechorin’s Diary,” I analyze the use of the keywords “fate,” along with “predestination.”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it turns out that the protagonist is indeed obsessed with “fate” and his actions can b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his ambivalent interpretation of fate. More importantly, the three stories of “Pechorin’s Diary” reveal the tendency of attributing Pechorin with the sense of omniscience and omnipotence. While Pechorin is described to be lucky in averting a life-threatening scheme against him in “Taman’,” he assumes a role of both agent and victim of fate in his plots against Grushnitsky and Mary in the next story. Pechorin’s image with regard to fate reaches its climax in the final story “The Fatalist,” in which he not only reads someone else’s predestination, but authors it for himself. This final stage of the protagonist’s self-fashioning image reminds the reader of Lermontov’s another masterpiece The Demon.

      • KCI우수등재

        윤대녕 소설에 나타난 ‘운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의미 - 「불귀」(1991)와 「경옥의 노래」(2016)의 대비를 중심으로 -

        유미애(You, Mi-ae)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0

        이 논문은 윤대녕의 초기작인 「불귀」(1991)와 최근작인 「경옥의 노래」(2016)에 나타난 ‘운명’의 양상을 비교해 인식의 변화와 그 의미를 밝히고, 작품 속에 드러나고 있는 내포된 작중인물의 현실 대응 의지를 고찰하였다. 윤대녕 소설에서 ‘인간의 실존’이라는 주제는 초기 작품에서 후기 작품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작가가 오랫동안 주지하고 있는 인간의 운명에 대한 인식이 특정한 상황과 시기에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그동안 한계로 지적되었던 현실성의 부재를 극복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불귀」는 작중인물 ‘여진’을 통해 숙명적으로 짊어진 실존에 대한 불안과 갈등을 밀어내고 구원에 길에 이르는 선택자로서, 운명을 긍정적으로 수용할 때 드러내는 재생의 삶을 보여준다. 반면 「경옥의 노래」는 「불귀」에서 드러난 초기 윤대녕 소설이 보여준 운명의식에서 벗어나 있다. 무당이 될 운명을 타고난 작중인물 ‘경옥’이 자신의 운명에서 벗어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지만 결국은 비극적인 생을 마감하는 운명의 패배를 보여준다. 이는 인간의 운명의 힘이 얼마나 검질긴 것인지를 규명하며, 윤대녕의 인간의 운명과 실존에 대한 인식의 본원적 모습을 나타낸다. 인간과 운명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작가가 당면하고 있는 현실 대응 방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윤대녕에게 어머니의 상실은 신화적, 종교적 의미로서가 아니라 지극히 현실적인 인간의 과정임을 자각하게 되는 시간이었을 것이라 짐작된다. 특히 작가는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사건을 작품에 반영하여 모순된 사회구조를 드러내고, 이로 인한 압도적인 죽음과 폭력 앞에서 느끼는 인간의 운명에 대한 회의와 분노를 보여준다. 이처럼 윤대녕의 운명의식의 변화는 두 작품에서 보여준 성(聖)과 속(俗)의 경계선상에 선 인간의 운명과 실존에 대한 인식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작중인물이 겪는 결핍과 상처 그리고 불안의식과 죽음의식의 차이를 드러내, 초기 작품부터 최근작 「경옥의 노래」에 이르기까지 ‘현실로부터의 떠남’이라는 양상이 반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윤대녕의 운명의식의 변화를 통해 작중인물에게 ‘현실로부터의 떠남’이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새로운 의미로 변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d the aspects of fate shown in Yoon Dae-nyeong"s early work, "No Return," and his recent work "Kyung ok’s Song," to reveal the changes in perception and its meaning and examine the will to respond to the reality of the implied work being revealed in the work. The themes of "human existence" in Yoon Dae-nyeong’s novels are repeated from early to later works. Most importantly, the writer"s long-held perception of human destiny is seeing changes in certain circumstances and times, through this overcoming the lack of reality that has been pointed out as a limit. In "No Return" shows a life of regeneration as it pushes away the anxiety and conflict over the existence of the destined existence through the work "Yeojin," and leads to salvation. On the other hand, in "Kyung ok’s Song," the novel, which was revealed in "No Return" in the early days, is out of the sense of fate shown by Yoon Dae-nyeong’s novel. The author, Kyung-ok, who is destined to become a shaman, tries hard to escape his fate, but eventually shows his tragic end to life. It identifies how strong the power of human destiny is, and represents Yoon Dae-nyeong’s original vision of human fate and existence. The change in perception of human beings and destiny can be seen in the way the writer is dealing with reality. It is assumed that the loss of the mother, which finds the source of existence and opens the way for regeneration in the novel, was not a mythical or religious meaning, but a very realistic human process. The writer, in particular, reflects the April 16, 2014 Sewol ferry incident in his works to reveal contradictory social structures, and shows skepticism and anger over the fate of humans he feels in the face of overwhelming death and violence. Such a change in Yoon Dae-nyeong’s sense of fate is revealed through his perception of the fate and existence of human beings on the borderline between the holy world and the reality the two novels. The difference between lack, injury and sense of insecurity and death in the film shows that the pattern of "exit from reality" has been repeated, from early works to the recent "Kyung ok’s Song." However, the change in Yoon Dae-nyeong’s sense of fate can confirm that the "exit from reality" for the workman is being transformed into a new meaning, not just a repetition.

      • KCI등재

        한국인의 운명적 하늘관

        윤천근 한국동서철학회 2010 동서철학연구 Vol.58 No.-

        우리민족에게 있어서 하늘은 지배적 신격이면서 동시에 위대한 자연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이중성은 우리민족의 종교적 의식이 유령관에서 유신관으로 발전하면서, 전자를 버리고 후자를 만들어 갖는 방식의 문화적 변모과정을 걸어 나간 것이 아니라. 전자 속에 후자의 성격을 가미시키는 방식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것은 우리 민족의 신성관념이 기본적으로 범신론적인 바탕을 갖는다는 점과 관계가 있다. 우리민족의 사유구조 속에서 하늘은 태양, 달, 별, 비, 구름 바람 등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고, 천신, 상제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전자는 유령관에서 유신관으로 진화하는 단계 속에 놓여지는 하늘의 자연신적 모습이고, 후자는 유령관에서 유신관으로 진화한 결과로서 나타나는 인격적 주재천의 모습이다. 이를테면 우리는 단군신화의 환웅신이 갖고 있는 ‘인간360여 가지 일을 다 주관’하는 모습에서 지배적인 주재천으로서의 모습을 본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인간의 삶에 대한 지배력을 이 인격적 주재천만이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동일한 능력을 산신에게서도 보고, 수신에게서도 보고, 여러 다른 신격들에게서도 본다. 다양한 자연물 속에 산재하는 다양한 신성들이 인간의 운명에 개입하는 것이다. 신성들이 행사하는 권능이 사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나타나는 것이므로, 어떤 사람이 어떤 신성과 보다 긴밀한 사적 관계가 맺어지느냐에 따라, 어떤 신성이 그 사람의 운명에 주도적으로 개입하느냐가 결정되는 것이다. 한국인은 그런 여러 신성들의 어떤 작용과 개입에 의해 운명은 만들어지며, 인간은 그런 운명에 따라 살아가는 존재라는 의식을 갖는다. 그렇게 인간의 운명을 만들어내는 모든 신성들의 작용력을 한국인은 ‘하늘이 주관하는 운명’으로 대표시켜 이해하는 것이다. 이렇게 일단 만들어진 운명은 피해갈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한국인은 생각한다. 그러므로 한국인은 기본적으로 운명론자라고 하겠다. 그러나 하늘이 우리에게 어떤 운명을 만들어 놓았는지는 명확하게 알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또 지성으로 하늘을 모시면 운명을 주관하는 하늘을 감동시켜 좋은 운명을 갖추어 주게 할 수도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한국인은 그 운명보다는 인간의 정성에 더 중요성을 부여한다. 그것은 또한 사적 관계를 ‘나의 하늘’로 그 의식 속에 놓여지게 되는 하늘이 자신에 대해서 ‘나쁜 운명을 만들어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낭만적 기대감도 전제되어 있는 문제라고 하겠다. 人間生於他的存在環境中, 這就是一定的自然環境. 自然自體置了客觀的領域, 而且無關我的實際生命活動. 自我必然地隨行他自身的生命活動, 故自我向這種存在環境, 表出一定關心, 生産一定關係, 這叫是‘自我的他者化之過程’. 通過這種他者化的過程, 一面自我受用他者變化一定他者化的自我, 一面他者變化分有自我性的他者, 結果形成了自我干涉他者的新種存在環境, 這是自我的世界觀. 自我的世界觀中的自然, 不是其自體的自然, 是自我的自然. 自我的自然, 因爲分有自我性, 終局看做了一定的具有人格性卽靈性的存在物, 而且登場自然神格的觀念. 韓國民族通過這種過程, 形成汎神論的世界觀. 韓國民族之長久的歷史過程中漸進形成的此種汎神論的世界, 具有一面水平的諸神觀, 又一面垂直的天神支配之相對優越的一神觀. 自然中的天保持一種比較優越的地位, 汎神論的體系中的天保持一種比較優越的權能, 當然兩者置於相互連繫的構造下. 觀於韓國民族之‘汎神論的構造上的優越一神觀’天是保有靈性的自然神格, 而且天是支配一切的主宰神格. 後者的側面, 看於檀君神話中的桓雄之支配力, 主官人間三百六十餘事, 這是保有絶對神格的 特徵, 但是沒有唯一神的性格. 前者的側面, 顯於朱蒙神話的構造, 柳花感化太陽光線而孕朱蒙, 這是保有自然中之天的屬性, 太陽代表天界的特徵, 這是顯示天神始端於自然的天而且蓄漸變化而形成一個絶對的神格之痕迹. 韓國人之天觀念, 爲形狀化從出這種兩側面之相互融和或綜合. 這種韓國人之天, 主管人間運命, 而且韓國人承認天神附與之自己運命. 這種運命論的前提下, 韓國人引出其精誠與不斷努力之情狀, 沒有墮落或降伏於巨大天的專橫與狂暴. 這是由何原因而可能麻? 我想, 因爲韓國人的天觀念造形於私的而且主觀的關係下, 於韓國人心性內面必然有了一定浪漫的期待感, 卽他保有‘我的天爲不與於我此種極端苛酷的運命’之內心, 故可能‘盡人事待天命’的處身.

      • KCI등재

        동양사상의 운명론 쟁점 -유불도 삼교사상을 중심으로-

        이석현(李席?)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5 No.-

        본 연구는 유·불·도 사상에서 바라본 ‘운명’ 이해를 통해 동양사상의 운명론을 탐색한 것이다. 운명론은 인간의 성격과 체질, 재능, 진로 가족 관계를 포함한 대인관계 및 인생의 흥망성쇠까지 삶의 전반에 작용하는 형이상의 틀을 주관하는 실체로서의 운명에 대한 의논을 의미한다. 운명 예측을 위해 신탁(神託)·점성술(占星術)·점(占) 등 여러 가지 주술적 방법이 발달하여 고대부터 철학의 주제가 되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 동서양을 막론하고 운명에 대한 생각은 절대적이지 않다. 서양의 경우 숙명론과 결정론 그리고 근대의 허무주의(니힐리즘)의 대두는 더 이상 운명론이 절대적이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동양에서도 유교·도교·불교의 각 사상에서 드러나는 운명론은 어느 하나도 일치되지 않고 있다. 유교는 공자의 천명론과 지명론, 묵자의 비명론 등이 특징적으로 드러나고, 불교의 경우 이렇다할 운명론을 특징지을만한 명칭은 발견할 수 없지만 연기론과 업론, 윤회론에서 운명론적 관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교(도가)에서는 노자의 복명론과 장자의 안명론이 운명론을 대변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study the fate theory of oriental thought through understanding of "destiny" in Confucian and Buddhist Taoism. Destiny refers to a discussion on fate as a substance that deals with the metaphysical framework that acts throughout life, including human personality, constitution, talent, career, family relationship,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rise and fall of life. Various magical methods have developed for the prediction of fate, and have been the subject of philosophy since ancient times; however, the idea of fate is not absolute, regardless of the East and the West today. In the Western case, fate theory, determinism, and the rise of modern nihilism (Nihilism) showed that fate theory is no longer absolute. In the East,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fatalism that is revealed in each idea of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Confucianism is characterized by Confucius"s Heaven mandate theory, Zhiming theory, and Anti-Fatalism of Mukja. In Buddhism, it can not find any name that can characterize such fate theory, but it can find fate theory in Pratītyasamutpāda theory, karma theory and Reincarnation. And in Taoism, the Fùmìn theory of the Laotzu and the Ahnming theory of the Chuangtzu can be summarized as representing the theory of destiny.

      • KCI등재

        구비설화 <삼정승 딸 만나 목숨 구한 총각>에 나타난 죽을 운명과 그 극복의 의미

        김혜미 겨레어문학회 2019 겨레어문학 Vol.62 No.-

        In this paper, discussed about the fate of death in the folktale. And explored how to overcome destiny. In Chapter 2, The boy was destined to die at home in the folktale. Destiny is what man has from birth. Parents are the destiny of the Son. Born as an only son is destined. Fate is a given environment from birth. In Chapter 3, through folktale, a methods of escape from fate were discussed. The tiger symbol is a scary society in the folktale. The daughters of Three ministers tells how to build relationships in scary society. It is the ability to know how to make an impossible relationship in The daughters of Three ministers. Thus, the boy was able to cope with a scary society. It has acquired sociality. 본고에서는 구비설화 <삼정승 딸을 만나 목숨 구한 총각>에서 호환당할 운명으로 태어난 삼대독자가 집을 떠나게 되면서 죽음을 극복하게 되는 내용에 주목하였다. 설화에서는 아들이 어릴 때 한 시주승이 찾아오게 되는데, 이때 스님은 삼대독자 아들이 호환당할 운명이라는 것을 언급한다. 부모는 호환당할 운명 극복의 방법을 스님에게 묻게 되는데 <삼정승 딸을 만나 목숨 구한 총각>에서 스님은 삼대독자가 삼정승의 딸들에게 장가를 가야 한다고 하였다. 삼정승 딸들과의 결연을 통해 죽음 극복의 조건을 충족한 삼대독자는 죽을 운명을 모면하게 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삼정승의 딸들과 결연담을 난제 극복, 세속적 욕망 추구 등으로 읽어내고 있다. 그러나 높은 벼슬을 가진 집안과의 결연을 통한 욕망 추구로 결연담을 해석하게 되면 일부다처제에 대한 긍정이 되어, 이 설화가 현대에 전승되어야만 하는 의미는 퇴색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죽음의 극복과 삼정승 딸들의 결연이 필연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하는 이유를 밝히는 것을 통해 이 설화의 현대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이에 2장에서는 설화의 전승 양상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죽을 운명이 의미하는 바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설화에서 시주승은 삼대독자인 아들을 ‘집’에 두면 죽을 운명이라고 하였다. 팔자 혹은 운명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것이다. 아들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것은 바로 ‘부모’이다. 부모는 자신이 선택하는 것이 아니며 운명적으로 주어진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삼대독자로 태어난 것도 운명이다. 손이 귀한 집안의 자녀로 태어난 것, 이것을 바로 운명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운명은 태어날 때부터 ‘주어진 환경’으로 해석하였다. 정리하면 죽을 운명이라는 것은 부모와 함께 주어진 환경 속에서 살다가는 죽을 운명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집에 있으면 죽을 운명이라는 것을 알게 된 아들은 ‘집’인 자신의 공간에서 타인의 공간으로의 이동한다. 아들이 집을 나가서 가는 곳은 또 다른 누군가의 공간이며, 집이 아닌 다른 곳으로의 이동을 통해 호환당할 운명을 벗어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공간 이동을 통해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며, 운명이 변화되기 위해서는 움직여야만 하는 것을 의미한다. 3장에서는 운명, 주어진 환경에서 벗어나 죽음을 극복하게 되는 방법을 밝히고자 하였다. <삼정승 딸을 만나 목숨 구한 총각>에서 아들은 팥죽할머니에서 정승 딸, 정승 딸에서 또 다른 정승들의 딸로 이어지는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무서운 사회를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되었다. 설화는 호랑이라는 무서운 사회에 대처하게 되면서 혹은 대처하기 위해 생성되는 네트워크식 관계 맺기가 죽음을 극복하고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설화에서 네트워크식 관계 맺기의 사회성 습득은 삼정승 딸과의 결연담으로 표현된다. 불가능해 보이는 관계까지도 맺을 줄 아는 것을 ‘사회성’의 한 면모로 볼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집을 나간 후 아들이 습득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성이라는 맥락에서 본다면 죽을 운명의 삼대독자 아들은 삼정승 딸과 필연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하고, 이에 따라 설화는 일부다처제를 넘어 설화의 현대적 전승 의미를 확보할 수 있다.

      • KCI등재

        사주와 운명론, 그리고 과학의 관계

        김만태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5 No.-

        한국인에게 있어 사주(四柱)내지 사주팔자(四柱八字)는 수긍하고 살아가야만 하는 운명의 틀이자 극복하고 이겨나가야 할 양가감정적(兩價感情的) 존재이다. 사주명리(四柱命理)는 한국인의 삶 속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으며 한국인의 운명관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주명리에 대해 학문적·공식적으로 제대로 된 담론이 없었다. 한국사회에서 사주와 운명에 관한 담론은 ‘운명-의지’ 와 ‘미신- 과학’ 의 두 측면에서 진행되어 왔다. 운명 담론을 분석해보면 인생은 운명결정론이나 자유의지론, 어느 한쪽에만 전적으로 매이는 것이 결코 아님을 알 수 있다. 인간의 운명은 선천적 요인이나 자유의지에 따른 필연적 결정이 아니라 씨줄이라는 운명아(運命我)와 날줄이라는 의지아(意志我)의 상보(相補) 작용에 의해 상대적·확률적·가능적·개연적 결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운명에 관한 담론을 이렇게 이해하는 것이 보다 인간적·현실적이다. 현대 과학에서 물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이제 더 이상 과학 진리를 필연적·절대적 위치에 두지 않는다. 따라서 이제는 우연·모호·개연등의 요소도 과학의 영역 안으로 수용된다. 인생은 피사의 사탑에서 같은 궤적을 그리며 떨어지는 쇠구슬이 결코 아니다. 아무리 운명함수(運命函數)의 모든 조건이 같을지라도 인간이란 유기적 존재가 그려내는 인생의 궤적은 결코 같을 수가 없다. 그러므로 사주명리를 미신이냐 과학이냐의 단순논리로 접근하기 보다는 삶에 대한 또 다른 의지의 표현으로 여기는 것이 동물이 아닌 인간으로서의 사람에 대한 이해를 보다 풍부하게 한다. For Koreans, the Four Pillars(Saju) or the Four Pillars and the Eight Characters(Saju-palja) are the framework of fate they should accept in the course of life and the entity of ambivalence they should conquer and overcome. The Four Pillars and the principles of life and nature determined by Heaven and Four Pillars(Saju-myeongli) have a deep-seated root in the lives of Koreans and enormous impacts on their views of fate. However, there has been no proper academic or formal discourse on the Four Pillars and the principles of life and nature determined by Heaven and Four Pillars. In Korean society, discourse on the Four Pillars and fate has been divided between “fate-will” and “superstition-science.” The analysis results of fate discourse show that life is not fully bound to only one of the Theory of Determination by Fate and the Theory of Free Will. Human fate is not necessarily determined by innate factors or free will, but it is formed by relative, stochastic, possible, and probable decisions by the supplementary action between the latitude of “ego of fate” and the longitude of “ego of will.” Understanding fate discourse in that way is more human and realistic. A new understanding of matter in modern science no longer places scientific true in an inevitable and absolute position. Now even such elements as chance, ambiguity, and probability are included in the realm of science. Life is not two metal balls falling from the Leaning Tower of Pisa in the same trajectory. However the same all the conditions of fate function are, the life trajectories of different human beings, organic entities, cannot be the same. Therefore, regarding the Four Pillars and the principles of life and nature determined by Heaven and Four Pillars as the expression of another will for life instead of approaching them in a simple logic between superstition and science will enrich the understanding of people as man rather than animal.

      • KCI우수등재

        야담에 작동하는 운명의 서사적 기제

        이강옥(Lee, Kang-ok)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본고는 사람의 힘과 의지를 부각시키는 조선 후기 야담에 운명적 요소가 그에 못지않게 나타나는 현상을 해명했다. 야담에 운명론적 요소가 강화되거나 그것이 다른 요소들과 습합되는 양상은 서술자나 주인공의 처지나 내면의식과 관련되었다. 텍스트의 서사적 전개 과정을 통해 보여지는 운명관과 그 텍스트를 향유한 사람들이 내면화한 운명관은 다르다. 서술자는 때로 주인공과 같은 자리에서 운명적 현상을 바라보지만 때로는 주인공과 떨어져 주인공의 처지를 바라보기도 한다. 운명에 대한 서술자의 시선이 이동하는 것이다. 서술자나 상대인물이 불운한 주인공에 대해 보내는 연민의 시선은 운명을 서사적 기제의 중심에 놓이게 하였다. 반면 운명은 자기 처지에 절망한 주인공이 스스로를 위로하는 서사적 기제로도 작용한다. 이런 서사적 기제에 의해 주인공은 자기를 학대하지 않게 된다. 다른 한편 운명은 주인공이 서사적 현재로부터 시작하여 더 긍정적인 처지를 창출하는 계기나 발판이 되기도 한다. 이것도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행위로 실현되지 않고 상상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기제이다. 주인공이 현실에서 구체적인 행위를 통하여 자기 처지를 개선할 여건이 아닐 때 상상의 세계를 추구하게 된다. 그것은 주인공이 자포자기 상태에서 꾸는 백일몽과 다르지 않다. 주인공이 영향력 있는 행위를 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인물을 내세우니, 그 운명을 꿰뚫어보는 탁월한 존재가 그 인물이다. 다음으로 주인공이 행운의 어떤 요소를 일상적 삶의 과정에서 활용하는 경우이다. 주인공의 부정적 운명은 주인공이 그것을 사전에 간파하게 함으로써 피해가게 하고, 긍정적 운명은 주인공이 어떤 난관에 빠지더라도 그것으로부터 헤쳐 나오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운명이 작동하는 서사 기제에서 역설적으로 주인공의 굴하지 않는 생의 의지를 읽어낼 수 있다. 운명은 서사체를 구성하는 서사적 요소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서사적 기제로서 서사 과정에 작동한다. 주인공이나 서술자는 운명에 대한 일정한 입장을 견지하기는 하지만 단지 운명 자체에 대해 어떤 관점을 취하는데 멈추지 않는다. 주인공과 상대인물, 서술자는 운명을 서사적 기제로 내면화하면서 타자와 자기에 대한 연민을 드러내기도 하고 타자나 자기의 삶을 새롭게 꾸려가는 활력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phenomenon that fate is equally significant in the late Chosen Yadam that foregrounds people’s will and power. It also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y fatalistic aspects are stressed and compromised with other elements and situations and consciousness of narrators and protagonists. It explains the narrative principles in which fate intervenes in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There eixsts a gap between fatalistic view exposed in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and that of people who appreciate those texts. The way fatalistic views in Yadam are strengthened and negotiated with other elements is closely related with character’s consciousness facing certain situation. In terms of narrative form, that is transformed into a perspective on fate. The greatest reason to place fate at the center of narrative principles is to have narrators or other characters emphasize with protagonists. Fate also plays a role of self-consolation to the protagonists in deep despair. Fate helps the protagonist build a mechanism that prevent them from self-torturing. On the other hand, fate provides the protagonists with a chance to turn their miserable situation into positive experience, which helps establish narrative principles that fate performs active parts. Two principles are notable. The one is a principle in which actions are only experienced through imagination. Imaginary experience is pursued when protagonist’s reality does not allow him any possibility of improvement. It is similar to the day-dream of a protagonist in self-abandonment. The other principle is to utilize certain aspect of fate in the protagonist’s everyday life. In this case fate becomes the essence of active mechanism. The protagonist can evade from the negative fate by actively sensing it. Positive fate can also provide the impetus that help the protagonist escape from the danger. Ironically, narrative principles of fate expose the protagonist’s indomitable will for life.

      • KCI등재

        『장자』를 통해 본 운명 수용과 자기서사의 재구성

        신로운,김경희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7 No.-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of fate confronted by people in painful situations, focusing on its two characteristics found in Zhuangzi: ‘the unknown’ and ‘the uncontrollable.’ It discusses ways to broaden one's horizons and deconstruct the ego to create new meaning in life, as a means of accepting fate. In Zhuangzi, ‘fate[命]’ is not considered a tangible force that can lead life in a specific direction, but a constructive concept that can alter situations. Zhuangzi helps us to understand imminent and painful situations as fate and accept its ‘unknown’ and ‘uncontrollable’ aspects, by attributing the inevitable turn of events to ‘fate.’ Acceptance of the ‘unknown’ is not realized when the existing values are presumed and only one viewpoint is accepted. Acceptance of destiny is possible by changing one's reasoning and considering the fateful situation from a larger perspective by releasing self-centered thinking. To achieve this, one must overthrow the existing and relative values. Acceptance of ‘the uncontrollable’ is not possible when one refuses to accept the turn of affairs that does not conform to one’s standards. However acceptance of fate is possible when one experiences and remembers fateful situations, deconstructs one's strong-willed ego, and creates new representations and meanings. Finally, for those facing fateful situations in their lives, the author propose a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self-narrative in literary therapy to transform one’s reasoning and deconstruct the ego. Literary therapy changes one’s reasoning by connecting self-narrative to other narratives and provides a mechanism to convert a fateful situation that may have been considered meaningless suffering to a narrative to be meaningful in one’s life. 본 연구는 『장자』를 통해, 고통스러운 사태에 처한 사람들이 직면하는 운명의 문제를 ‘알 수 없음’과 ‘할 수 없음’이라는 두 가지 특성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운명 수용의 방법으로서 자기 외연을 넓히는 사고의 전환과 삶의 의미를 생성하는 자아의 해체에 대해 논의하였다. 나아가 운명 수용의 방법에 대한 실제 적용으로 자기서사의 재구성을 돕는 문학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장자』에서 ‘운명[命]’은 삶을 특정 방향으로 이끄는 실재적인 힘으로서가 아니라 사태들의 변화에 작용하는 것으로 설정된 구성개념으로서 사유된다. 『장자』는 불가피하고 불가항력적인 사태들의 변화를 ‘운명’으로 포착함으로써, 우리가 고통스러운 사태들의 도래를 운명으로 이해하고 ‘알 수 없음’과 ‘할 수 없음’의 두 측면에서 운명을 수용[安命]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알 수 없음’에 대한 수용은 기존의 가치관을 절대적인 것으로 당연시하고 하나의 관점만을 추구할 때에는 실현되지 않는다. 운명의 수용은 사고의 전환을 통해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서 더 큰 관점에서 운명적 사태를 바라볼 수 있을 때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가치관을 전복하고 가치를 상대화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어찌할 수 없음’에 대한 수용은 자신의 가치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사태의 변화를 거부할 때에는 실현되지 않는다. 운명의 수용은 운명적 사태를 새롭게 경험하고 기억하면서 완고한 자아를 해체하고 자기에 대한 새로운 표상과 의미를 만들 때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태와 유연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사물과 상황 간의 연결고리를 만들 필요가 있다. 끝으로 운명적 사태 가운데 있는 이들에게 사고의 전환과 자아의 해체 활동을 적용하는 방안으로 문학치료의 자기서사 재구성을 제안한다. 문학치료는 서사접속 작업을 통해 자기서사와 다른 서사들을 연결함으로써 사고의 전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촉진할 뿐만 아니라 무의미한 고통으로 여겨졌던 운명적 사태를 삶에서 의미를 지닌 이야기로 구성하는 장을 마련한다.

      • KCI등재

        야담에 구현된 ‘운명’ 대응 방식과 그 의미 - 『어우야담(於于野談)』과 『청구야담(靑邱野談)』의 대비를 통해 -

        박현숙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5 한국문학연구 Vol.0 No.4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ways of adaptation to destiny as described in Yadam(野談) narrations and the meanings of them. Disposition of narration and the comments of editor of 『Eowoo Yadam(於于野談)』 implies that it views destiny as something to be understood and accepted, rather than something to be denied or actively overcome, pursuing the parallelism and liberation of emotions. 『CheongguYadam(靑邱野談)』 depicts stories of people, who overcomes and manages their destiny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relying on divination or preoccupying a propitious site to change the destiny. In the narration, desire is pursued as a ways of adapting to destiny and functions as a means of overcoming and changing the designated destiny. From the ways of acceptation to destiny in the two Yadams studied, the subtle change of perception on destiny in Yadam could be revealed. 본고에서는 야담 서사에 구현된 운명 대응방식과 그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했다. 특히 운명에 대한 지향과 대응방식이 다소 다른 『어우야담(於于野談)』과 『청구야담(靑邱野談)』의 대비를 통해 운명에 대한 관점과 수용방식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해명하고자 했다. 『어우야담』의 운명담은 운명을 부정하거나 적극적으로 극복하기보다는 운명을 자각하고 수용함으로써 정서적 평형과 감정의 해방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수록된 이야기의 성향과 편저자의 평어를 통해 알 수 있다. 『청구야담』에서는 운명을 바꾸기 위해서 명당을 선점하거나 점복을 이용하는 등의 운명을 극복하고 경영하기 시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여기에서 운명에 대한 대응방식으로 욕망이 추구되고, 욕망은 예정된 운명을 극복하고 변화시켜가는 기제로 작용되고 있다. 『어우야담』에서는 예정된 운명의 모습과 그 담담한 수용을 볼 수 있고, 『청구야담』에서는 운명에 대한 보다 적극적 대응방식으로 운명과 욕망이 합주되기 시작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두 야담의 운명에 대한 대응방식을 통해 야담에서의 운명인식의 변화를 미력하나마 감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