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툰의 매체 전환에 따른 캐릭터 스토리텔링 양상 연구 - 〈신과 함께-저승편〉을 중심으로

        김진철(Kim, Jin-Chul)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2

        이 연구는 웹툰 <신과 함께-저승편>을 원작으로 하여 라디오드라마, 뮤지컬, 일본판 만화, 영화 등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매체의 특성에 따른 캐릭터 스토리텔링 전략을 분석하였다. 라디오드라마 <신과 함께>는 캐릭터의 대사, 나레이션 등 청각적 요소로 이야기가 전달된다. 라디오드라마에 새로 추가된 삼신동자 캐릭터는 저승 에피소드의 대화를 풍부하게 하고, 저승 세계와 김자홍의 정보를 전달하며, 각 장면의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면서 청각적 요소의 한계를 보완하고 있다. 뮤지컬 <신과 함께-저승편>은 웹툰의 서사를 모두 반영하는데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다. 따라서 웹툰의 주요 장면을 선별하여 전달하면서 서사적 갈등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지장보살 캐릭터를 전면에 등장시키고 있다. 모든 영혼을 구제하려는 지장보살은 죄인의 엄정한 처벌을 주장하는 염라대왕과 선명한 갈등을 보여주면서 ‘구원과 단죄’라는 테마를 부각시킨다. 일본판 만화 <신과 함께>에서는 20대 이상인 연재 잡지 독자들의 선호를 고려하였다. 각 캐릭터들의 외모를 미청년으로 표현하고, 웹툰에 없는 여성캐릭터 하유나, 유단비를 추가했다. 그중 하유나는 저승검사로 등장하여 저승변호사 진기한과 대립을 통해 서사적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또한 지장보살 캐릭터가 삭제되면서 염라대왕은 진기한, 하유나와 같은 젊은 세대와 저승시왕과 같은 기성세대를 대립시켜 저승 세계의 개혁을 추진하는 역할로 변모했다. 이러한 대립 서사를 통해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차별성을 획득하고 있다. 영화 <신과 함께-죄와 벌>은 한정된 상영 시간 때문에 웹툰의 서사를 압축하고, 관객의 몰입을 이끌어 내기 위해 서사를 적극적으로 변형했다. 영화에서는 이승 세계와 저승 세계를 관통하는 김자홍 가족의 서사를 새롭게 구성했다. 소방관으로 사망 후 귀인이 된 김자홍과 군대에서 사망한 김수홍을 형제로 설정하고, 저승변호사와 저승차사의 역할을 저승차사가 모두 수행하면서 이승과 저승 세계 서사를 통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웹툰 <신과 함께-저승편>을 원작으로 한 OSMU 콘텐츠들은 각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캐릭터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캐릭터를 등장시켜 서사적 차별성을 획득하고 있다. 웹툰 <신과 함께>의 OSMU 과정에서 가정 변화가 많은 캐릭터는 저승변호사 진기한과 관련된 캐릭터였다. 라디오드라마의 삼신동자, 뮤지컬의 지장보살은 진기한의 조력자로, 일본판 만화의 하유나는 진기한과 적대자로 등장하며, 영화에서는 진기한 캐릭터가 삭제되기도 한다. 따라서 <신과 함께-저승편>의 OSMU에서는 이승 세계보다는 저승 세계, 특히 진기한 캐릭터와 관련된 요소에서 창작자의 상상력이 개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을 소유함’의 두 의미 -『행복한 삶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강인모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7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clear St. Augustine's expression, which makes the reader, who reads Augustine's De Beata Vita, confused. Augustine regards someone to be happy as one 'to have God.' For Augustine 'to have God' means being happy. Since he thinks that a man who has what he wants is happy, so far as he wants something good, and that the good thing should satisfy the condition in which nothing could deprive of the thing contrary one's will. Augustine, therefore, insists that who has God be happy. The saint, however, uses a similar expression as another meaning, 'to have propitious God,' which does not mean being happy, even if 'to have God' means being happy. This contradiction is raised, when he remarks Academicians who claim that the happy life of human being is only searching for the Truth. Otherwise, Ausugine maintains that the happiness is in finding the Truth. It is not pursuasive that someone who possesses God, is to be favored by God, is not happy, if someone who has God is happy. To make clear these expressions, 'to have propitious God' should be interpreted as fortunate, called divine Providence. In this paper, Augustine's usage of 'to have propitius God' would be regarded as 'living from God,' and again 'living from God' would be interpreted as fortunate. Augustine thinks that fortune helps men study philosophy, which leads to the habor of wisdom. According to Augustine, the talent and leisure are needed for men in order to be happy. Thus fortune provides the talent and leisure to a person who lives from God. 본 논문은 『행복한 삶에 대하여』에서 아우구스티누스가 사용하는 표현 ‘신을 소유함’과 ‘자비로운 신을 소유함’의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저서에서 ‘신을 소유함’을 행복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자신이 원하는 바가 선한 경우에 그것을 소유한 사람이 행복하다고 주장하는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있어, 자신의 의지에 반하여 상실할 수 없는 선인 신을 소유하는 것은 그 자체로 행복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신을 소유한 사람이 지혜로운 사람, 즉 현자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그는 ‘신을 소유함’과 비슷한 표현인 ‘자비로운 신을 소유함’을 다른 의미로 사용한다. 진리를 발견하는데 행복이 있다고 주장한 아우구스티누스와는 달리, 진리를 탐구하는데 행복이 있다고 주장한 아카데미아 회의주의를 고려하면서부터 두 표현에서 문제가 발견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을 이미 소유한 사람과 신을 추구하는 사람을 가리켜 자비로운 신을 소유한 사람이라고 말한다. 이중 후자는 아직 추구하기 때문에 그 대상을 소유하지 못한 사람이다. 그는 자비로운 신을 소유한 사람 중 아직 행복하지 않은 사람이 있다고 말하는데, 신을 소유한 사람이 행복하다는 전제에서, 특히 자신에게 자비로운 신을 소유한 사람이 행복하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모순이 된다. 즉, 아우구스티누스는 같은 책에서 ‘신을 소유함’과 ‘자비로운 신을 소유함’을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두 표현을 정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행복한 삶에 대하여』를 일관되게 독해하는데 필수적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자비로운 신을 소유함’의 의미를 ‘자비로운 신으로부터 사는 것’으로 이해하고, ‘운’(또는 섭리)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운은 사람들이 철학을 할 수 있도록 물질적 환경을, 즉 철학을 할 수 있는 여가와 능력을 제공해주는 신의 조력이고, 이것이 바로 아우구스티누스가 말하는 ‘자비로운 신을 소유함’인 것이다.

      • 시왕 이미지의 현대 콘텐츠 변용 연구

        양진호(Yang, Jin-ho)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5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6

        전통이미지원형은 우리나라 사람이 보편적으로 간직하고 있는 원형을 의미화하고 있다. 실례로써 시왕 원형과 시왕 원형을 문화콘텐츠화한 웹툰 『신과 함께:저승편』(이하 『신과 함께』)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래 우리나라에는 죽어서 이상세계에서 다시 태어난다는 죽음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불교가 들어오면서 업이라는 개념에 의해서 업을 씻어야 이상적인 사후세계에 갈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죄를 씻을 수 있는 정화의 공간으로서 시왕이라는 지옥의 공간이 만들어졌다. 시왕이 가지고 있는 정화의 기능을 증명하기 위해 시왕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들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려냄, 뜨거움, 묶음, 잠김의 네 가지 상징적 이미지들로 정화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었다. 시왕과 『신과 함께』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두 텍스트 외에 불교의 『시왕경』를 참조하였다. 왜냐하면 『신과 함께』가 무속의 시왕 외에 불교의 시왕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신과 함께』의 시왕지옥 형상화를 분석하였다. 『신과 함께』의 상징적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무속의 시왕과 다른 이미지로 파쇄(破碎), 빛남, 여성, 풍요의 이미지가 나타났다. 이 이미지들은 정화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부조리한 현실을 드러내주는 이미지들이었다. 지옥은 본디 당대의 현실을 반영하여 만들어진다는 원형성을 가진다. 『신과 함께』가 그려내는 지옥 역시 마찬가지이다. 거울이 현실을 반대로 비쳐보이듯이『신과 함께』는 부조리한 현실과는 달리 보상과 처벌이 엄격한 공간이다. 주인공 김자홍은 우리 대다수의 페르소나다. 평생 덕을 쌓아온 사람도 아니지만 특별히 나쁜 짓을 하지도 않았다. 그러한 김자홍에게 신장급 변호사의 실력을 가진 진기한 변호사가 변호를 한다. 사람들은 김자홍이라는 인물에게 자신을 투영한다. 이미지에 집중하여 전통문화원형과 전통문화원형을 바탕으로 한 문화콘텐츠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분석과 다른 통합적인 분석이 가능하였다. 시왕신앙이 만들어지게 된 과정과 의미를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원형성에 기대어 분석할 수 있었다.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신과 함께』가 시왕이미지의 원형성을 계승하여 공유하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The archetype of the traditional image would signify the archetype that Korean people universally cherish. To prove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archetype of Siwang and the webcomic 『With God』 that transformed it into cultural contents as an example. For this purpose, it first attempted to backtrack the reason that the archetype of Siwang came to occur. To prove the function of purification inherent in Siwang,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ymbolic meanings of images making expression in Siwang.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both Siwang and 『With God』, this study consulted『The Scripture of Siwang』 of Buddhism other than two tex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comparison, it attempted to analyze the embodiment of the Siwang hell in『With Go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ymbolic image of『With God』, it was found that it was the image different from Siwang of shamanism. These images are those which exhibit both the image of purification and the absurd reality. The hell has a nature of archetype that is originally made by mirroring the reality of that time. The hell portrayed in『With God』is the same. As the mirror reflects the reality in an opposite way, 『With God』 is the space in which compensation and punishment are strict, unlike the absurd reality. The protagonist Kim Jahong is the persona of most of us. People projects themselves into the figure of Kim Jahong. Integrative analysis was made possible by analyzing both the archetype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cultual contents based on it by focusing on the image. Both the process that the faith of Siwang was made and its meaning could be analyzed in reliance on the archetype inherent in the im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could be proved that 『With God』 succeeded to and shared the archetype of the image of Siwang.

      • KCI등재

        <신과 함께>의 검정, (비)물질과 지각의 상호작용

        김종국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7

        On the premise of Aristotle's color theory defined as the essence of matter and black as a non-material characteristic of digital images,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black filled in the space that constitutes the images and in the characters that lead the narrative of Along with the Gods. In this film which crosses the border between life and death, black composes the space in the world beyond and the character of the Grim Reaper. In Korean cinema, black is a useful color to represent the space of imagin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color culture in the East and West through the black used in the Along with the Gods, and analyzes the meaning of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context. First, the character and space of Along with the Gods are black, and black plays a leading role in relation to other colors and generates meaning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of (non) material and perception. Blackness is related to death in terms of tradition and custom, and in the field of visual aesthetics it is a device that expresses the world and space that no one has visited. Second, in Along with the Gods I can cite the theory of color based on Aristotle's material in its function and its essential meaning. He understands that all the colors of the world are possible with a mixture of black and white. Furthermore, Goethe classifies the (non) material properties of color phenomena into physi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colors, and suggests the polarity of light and dark as a principle. In this background, the space of Along with the Gods creates a black world that no one has ever seen before there was light in the beginning. Third, in Along with the Gods, the colors of the digital visual special effects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Goethe's physical characteristics. Physical color black, which is clear, fluid, temporary, imaginative, and fictional, represents the notion of immateriality of digital images, in addition to symbolic expressions of tradition and customs. 이 글은 물질의 본질로 규정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색채론과 디지털이미지의 비물질적 특성으로서의 검정을 전제로, 한국영화 <신과 함께>의 서사를 주도하는 인물과 이미지를 구성하는 공간에 채워진 검정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삶과 죽음의 경계를 오가는 <신과 함께>에서 검정은 저승의 공간과 차사라는 인물을 구성한다. 한국영화에서 검정은 상상의 공간을 표상화하는 유용한 색이다. 이 글은 한국영화 <신과 함께>에 사용된 검정을 통해 동서양 색채문화의 차이를 살펴보고,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첫째, <신과 함께>의 인물과 공간이 검정이며, 검정은 다른 색상과의 관계에서 주도적 기능을 하며, (비)물질과 지각의 상호작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의미를 발생시킨다. 전통과 관습의 차원에서 검정은 죽음과 관련되며, 시각미학의 영역에서는 아무도 가보지 않은 세계, 공간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둘째, <신과 함께>에서 검정의 기능과 본질적 의미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물질에 기반한 색채론을 인용할 수 있다. 그는 세계의 모든 색이 흑과 백의 혼합으로 생성된다고 이해한다. 나아가 괴테는 색채현상의 (비)물질성을 생리색, 물리색, 화학색으로 구분하며, 그 원리로 명과 암의 양극성을 제시한다. 이 같은 배경에서 <신과 함께>의 공간은 태초에 빛이 있기 전, 아무도 본 적 없는 검은 세계를 창조한다. 셋째, <신과 함께>에서 디지털시각특수효과의 색채는 괴테의 물리적 특성의 범주에 포함된다. 명료하고, 유동적이고, 임시적이고, 상상적이고, 허구적인 특성을 갖는 물리색의 검정은 전통과 관습의 상징 표현에서 나아가 비물질적 디지털이미지의 현실성을 극대화한다.

      • KCI등재

        주호민의 <신과 함께>에 나타난 한민족 신화 활용 스토리텔링 연구

        최수웅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41 No.-

        Joo Ho Min's webtoon <Along With the Gods> has received an attentio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torytelling using Korean myths. The storytelling of this work was conducted in two stages: examining the story value of Korean myths; and expression of the artist’s intention by changing and rearranging it. In the first stage of examining the value of stories, the author highlighted an angel of death, this world and after world, and gods of house, all of which being characteristic story elements of Korean myths. Joo Ho Min dabbled at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the said elements all while positively embracing their values. In the case of the angel of death, the character was differentiated by being assigned with a distinctive personality while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e myth, as the character would be shaken by human emotions or intervenes in the events of this world. In addition, the after world was used as the background of the story by accepting the assumption of the myth that the afterlife is a space that is closely linked with this world. With regard to the gods of house, the author highlighted the confrontation with the angels of death rather than exposing intimate side of the gods just as in usual myths all while retaining the original idea that the gods of house are actually the patrons of family. In the second stage of storytelling implementation, the story was examined from the following three directions. First, realization of justice and reflection of cold reality: <Along With the Gods> is based on the popular belief that justice, which has not been realized in this world, may be realized in the afterlife, an idea that echoes the theme of Korean myth. To express this theme, however, the author designed the setting and symbols appropriately to reflect the reality throughout the story. Second, building of an integrated world view: <Along With the Gods> succeeded in constructing an integrated world view by collecting the contents of Korean myths scattered along various materials and then reassembling them in accordance with the main theme. As such, the plausibility of the story has been warranted, thereby laying the groundwork for further utilization of Korean myths in other field of cultural contents. Third, the introduction of fun elements: Since web comics are exposed in real time to readers’ reactions, it is necessary for authors to incorporate fun elements partially. The storytelling of <Along With the Gods> put an emphasis on the fun aspects of each scene by employing direction techniques characterized for reality twist and emotional charge. As such, <Along With the Gods> succeeded in realizing an original storytell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values, characteristics, and systems embodied by Korean myths. However, the work failed to incorporate entire aspects of Korean myths. I hope that a variety of storytelling methods will be sought after if more works using Korean myths are actively released in the future. 주호민의 만화 <신과 함께>는 한민족 신화를 활용한 대표 사례로 주목받았는데, 이 작품의 스토리텔링은 다음과 같은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이야기 가치에 대한 점검 단계에서는 저승차사, 이승과 저승, 가택신 등의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들은 모두 한민족 신화의 특징적 화소인데, 주호민은 그 가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저승차사와 관련해서는 인정에 흔들리거나, 이승 사건에 개입하는 등 신화의 내용을 반영하면서도, 각 인물 별로 개성을 부여하여 구분했다. 또한 저승은 이승과 긴밀하게 연관된 공간이라는 신화의 내용을 수용하여, 작품 배경으로 활용했다. 가택신과 관련해서는 집안 식구들을 지킨다는 본래 의미를 유지하면서, 신화처럼 신들의 사연을 소개하기보다 저승차사들과 대립하는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제시했다. 다음으로 스토리텔링을 구현하는 단계는 다음의 세 가지 방향에서 점검했다. 첫째, 정의 구현과 현실 반영. <신과 함께>의 주제는 이승에서 이루어지지 못한 정의가 저승에서는 실현된다는 믿음인데, 이는 한민족 신화의 주제와도 상통한다. 다만 주호민은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작품 전반에 현실상황을 반영하고, 설정과 상징을 유효적절하게 활용했다. 둘째, 통합적 세계관의 구축. <신과 함께>는 여러 자료에 산재된 한민족 신화의 내용을 수합하고, 주제에 맞춰 조합하여 통합적 세계관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개연성이 확보되고, 나아가 이후 문화콘텐츠 각 분야에서 한민족 신화를 활용할 근거가 마련되었다. 셋째, 재미요소의 도입. 웹툰은 독자의 반응이 실시간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부분적인 재미를 함께 구현할 필요가 있다. <신과 함께>에서도 현실 비틀기와 감성을 강조한 연출법 등을 통해 장면의 재미를 강조하는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졌다. 이처럼 <신과 함께>는 한민족 신화가 지향하는 가치, 특징, 체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스토리텔링을 구현했다. 그러나 한민족 신화의 면모를 모두 담아내지는 못했다. 앞으로 한민족 신화를 활용한 작품이 활발히 발표되면, 다양한 스토리텔링 방법이 모색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본풀이적 세계관의 현대적 변용 연구

        황인순(Hwang In So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4

        본고는〈차사본풀이〉와 웹툰〈신과 함께〉에서 이승과 저승이라는 공간의 관계와 인물들의 공간 인식을 중심으로 삶과 죽음의 세계관이 구성되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웹툰〈신과 함께〉는 주호민 작가가 2010년부터 2년간 네이버에 연재했던 웹툰으로〈차사본풀이〉의 서사구조를 차용하면서도 차사 강림의 기능을 중심으로 이승과 저승의 관계, 그 외 주요 인물들의 공간 인식 양상이라는 두 측면에서 유의미한 변용을 보인다. 이에 주목할 때 두 텍스트 속 삶과 죽음의 세계관은 유사하지만 구분되며 본고는 이를 밝히고자 한다.〈차사본풀이〉를 위시한 제주 본풀이에서 공간은 이승과 저승, 인간계와 타계를 함축하는 개념이며, 동시에 삶과 죽음의 시간관과 세계관을 포괄하는 요소이므로 이에 주목하는 것은 유의미한 분석이 될 것이다. 웹툰에서는 본풀이에 비해 저승 공간이 예각화되며 구체화되고 이승과 저승은 보다 대비되지만 그 무게감은 동등해진다. 본풀이에서 삶과 죽음이 관념적으로도 연속적이며 따라서 하나의 순리가 지배하는 두 세계 내에서 삶은 죽음을 함축하는 것이었다. 반면 웹툰에서는 삶과 죽음이 보다 명징하게 대립되며 이승 공간의 대립적 거울공간으로서 저승 공간이 제시된다. This essay will focus on the conception of life and death space described in ChasaBonpuri and its modern translation webtoon With gods(Shingwahamke). ChasaBonpuri is one of korean shamanic narratives in Jeju island and Chase means the a messenger between life and death spaces. This webtoon represents the narrative structure of ChasaBonpuri and also transforms the original narrative form and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se two aspects of transformation. Firstly, Webtoon With gods tends to focus on the value of death space. There are three functions distinguished in one subject Kanglim in Bonpuri : as a traveler, an officer, and a messenger. However, the function as a traveler in afterworld has been separated from the subject Kanglim and became independent subject in modern webtoon. Secondly, the subjects in Bonpuri exist in their inner space with clear directivity, however, the subjects in webtoon, they are still making their own inner space. Even though both of them accept the similar circulatory conception of time, life and death, we can find the subtle difference in modern transformation. We can name it as the binary conception of life and death in webtoon Withgods, and the fuzzy conception in Chasabonpuri . This is because that the death space has become more equivalent values in modern webtoon Withgods for the reflection of modern times.

      • KCI등재

        영화 <신과 함께>의 저승 이미지 연구

        조혜정 ( Cho Hye-jung )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7 No.-

        영화 <신과 함께: 죄와 벌>, <신과 함께: 인과 연>은 각각 천만 관객 이상을 기록한 메가 히트작이다. 원작 웹툰 역시 포털에서 인기리에 연재된 후 단행본 만화로도 90만 부 이상이 판매되는 성과를 보였다.그간 <신과 함께>에 대한 연구는 주로 웹툰/만화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영화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화를 대상으로 하여 영화에서의 저승 이미지 구현과 상상력에 대해 초점을 맞춤으로써 영화를 지탱하는 주제를 살피고 한국 신화와 시왕신앙 등 우리 문화원형 자료들이 어떻게 영화적으로 활용 및 변용되어 효과적으로 주제와 메시지를 전달하는지 알아보았다.영화 <신과 함께>에서 가장 큰 볼거리는 단연 저승 이미지 구현이다. 7개의 지옥과 사이공간을 포함한 저승공간의 구현, 저승시왕 및 저승차사와 같은 상상적 존재의 형상화는 환상성과 몰입감을 증대시킨다. 물론 영화는 저승 이미지 원형을 원작 웹툰 나아가 한국 신화의 저승관, 시왕신앙을 도상화한 시왕도로부터 차용한 게 사실이다. 그러나 원형은 매체와 이야기, 그리고 시대적 감각과 정서에 맞게 변용되어야 한다. 영화 <신과 함께>는 이를 현대 한국 관객의 정서와 감성에 맞게 변용하였다. 그래서 테마파크의 놀이기구를 타듯 속도감 있게 이동하는 ‘저승 여정’의 스펙터클과 액션 판타지의 쾌감으로 관객의 감각을 붙잡는다. 또 한편으로는 자식과 부모의 관계, 진정한 뉘우침과 용서라는 메시지를 통하여 정서적으로 접근한다. 영화의 이러한 전략은 ‘과잉신파’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관객을 움직여 ‘쌍천만 영화’의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The movies Along with the Gods : The Two Worlds and Along with the Gods: The Last 49 Days were mega box office hits that recorded over ten million audiences each. The original webtoon was also popular on internal portals and also sold over 900,000 issues when published as comic books.Studies on Along with the Gods mainly focused on webtoons/comics, but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movi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image configuration and imagination of the afterlife in the movie to investigate the theme that supports the movie and to examine the how archetype of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such as Korean myths and shamanist beliefs(faith in Shiwang) were used and transformed cinematically to effectively convey its theme and message.The biggest attraction of the movie Along with the Gods was definitely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of the hell. The creation of the afterlife space including seven hells and half-way spaces and the configuration of imaginative beings such as the kings of hell and psychopomp enhanced fantastic elements and a sense of immersion. It is well-known that the movie used the original webtoon, views on the afterlife in Korean mythology, and Ten-King paintings(Shiwangdo) in creating its image of the afterlife. However, the original must be transformed to fit the media, story, and senses and emotions of the times. The movie Along with the Gods was transformed to fit the emotions and sentiments of Korean audiences. The senses of the audience are thus captivated with the spectacles of a roller-coaster-like speedy ‘afterlife journey’ and the excitement of action fantasy genres. It also approaches the sentiments through the message on the relationship of parents and children, genuine repenting and forgiveness. Such strategy of this movie moved audiences despite criticism that it is ‘excessively melodramatic’, thus being able to attract over ten million audiences for each episode.

      • KCI등재

        <신과 함께>의 체험 공간화 연구

        김대범(Dae Beom Ki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웹툰을 소재로 한 공간 스토리텔링의 체험 공간화를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 장소의 공간에 스토리텔링을 통한 체험적인 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장르인 웹툰 <신과 함께> 저승편의 체험 공간화 활용가능성에 대해 모색해 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및 내용으로는 <신과 함께> 저승편의 체험 공간 구성을 위한 서사구조 분석을 통하여 세 개의 단위(A, B, C)로 나누었다. 이 구조는 각각 독립된 성격을 가지며 저승에서의 사건단위를 중심으로 서사구조로 살펴 볼 수 있었다. 각각 죽음(A), 저승(B), 환생(C)으로 나누어 체험 공간에서 참가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스토리텔링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신과 함께> 저승편의 체험 공간화로 적합한 세 공간(강화 금화당, 순천 낙안읍성, 제주 민속촌)을 선정하여 프로그램화 할 수 있는 가능 여부를 살펴보았고, 각 공간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신과 함께> 저승편의 체험 공간화는 지역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로서 새로운 장르의 소재 개발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고, 지역공간의 이미지와 어울리지 않는다하더라도 충분히 창의적인 콘텐츠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정된 소재를 활용한 발전 방안에서 나아가 새로운 장르의 소재 발견을 통한 창의적 콘텐츠 개발을 시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의 논거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xperience spatialization of space story-telling based on Webtoons. It is to seek for the availability of experience spatialization of Webtoon 〈With God〉 Underworld, a new genre by developing experiential contents through story-telling in one place. As for the study method and details, we divided Webtoon 〈With God〉 Underworld into 3 categories (A, B, and C) by analyzing its narrative structures for composing the experience space of the toon. These structures are distinctive from each other, and the narratives are based on each event in the underworld. The toon is divided into death (A), underworld (B), and rebirth (C), each of which tries story-telling on programs which participants can accept in each experience space. Finally, we examined whether 〈With God〉 Underworld can become an experience space by selecting 3 places appropriate for the spatialization (Geumhwadang, Ganghwa; Nakaneupseong, Suncheon; and the Folk Village in Jeju), and reviewed the availability of each place. As a result of the study, experience spatialization of 〈With God〉 Underworld showed a potential for developing a new genre as contents for regional activation, and we confirmed that event when it was not suitable for images of a certain region, it could be utilized as creative contents. The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in addition to seek for a development plan utilizing limited materials, it is possible to develop creative contents by figuring out materials in a new genre.

      • KCI등재

        극장으로서의 지옥도: <신과 함께: 죄와 벌>에 나타난 특수효과 이미지 낯설게 하기

        박선,김금동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현대영화연구 Vol.16 No.3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al-effect images of Along with Gods (2017), focusing on their dramatic functions and the spectatorship that they elicit. Most existing literature on the film compares it with the original “webtoon” of the same title and the folkloric tales on which the original story is based. The studies devote themselves to interpret the moral and symbolic meanings underpinning the seven hells the movie portrays. This study attends to the rhetorical aspects of the film’s special-effect images in two respects. First, Along with Gods lays bare the devices of special-effect images, enabling the audiences to observe, not getting immersed in, the audio-visual spectacles. Second, the seven hells represent the architectural designs of Western theaters. This study notes that the hells are modeled after the drive-in theater, the hologram theater, the Octagon, and the Greek-style outdoor theater. These theatrical designs serve to show that genuine cinematic communication lies in catharsis, not in spectacles. 본 연구는 한국영화 <신과 함께: 죄와 벌>(김용화 감독, 2017)에 나타난 특수효과 이미지의 극적 기능과 잠재적 관객성을 고찰한다. <신과 함께>에 대한 국내 연구는 주로 동명의 웹툰원작과 그것이 기반으로 하는 한국 본풀이 신화와의 비교론적 관점에서 진행됐다. 그 결과 영화 속 일곱 개의 지옥도가 품은 도덕적, 상징적 의미를 풀이하는 데 집중되었다. 본 연구는 <신과 함께>를 디지털 특수효과의 수사학이라는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첫째, 해당 작품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가 특화시킨 특수효과 이미지의 관습적 쓰임새를 반복하는 동시에 전복시켜 관객으로 하여금 블록버스터 영화의 이미지시스템을 관조하도록 만든다. 둘째, <신과 함께>가 제시하는 일곱 개의 지옥도는 서구의 공연문화가 발전시킨 극장의 건축양식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각각의 지옥도에 드라이브인, 홀로그램, 격투장, 고대 그리스식 노천극장 등을 대입시켜 그 극적 기능을 해석한다. 지옥도의 극장형식은 영화의 진정한 소통이 스펙터클이 아닌 카타르시스에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