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언적(李彦迪)의 『대학(大學)』 이해 - 『대학』 편장 개정과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을 중심으로

        이원석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3 No.-

        조선 초기 유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은 주희의 『대학장구』 편장 개정 및 이른바 “격물보전(格物補傳)”이 『대학』의 본래 의미를 왜곡했다고 보았다. 그는 주희가 전문(傳文) 제4장으로 보았던 “청송[聽訟]” 절이 본래 경문 가장 마지막 부분에 있었던 것이며, 『대학장구』 경문(經文) 중 “知止而后有定” 소절(小節)과 “물유본말(物有本末)” 소절은 착간(錯簡)에 의해 현재의 자리에 놓인 것으로, 본래 그 두 구절은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을 설명하는 전문(傳文)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언적은 “청송” 절을 경문 마지막 부분에 놓음으로써, 통치자가 수양을 통해 도덕성을 회복하고 회복된 도덕성을 바탕으로 덕치(德治)를 펼쳐야 한다는 것이 대학의 핵심 종지라고 이해하였다. 이언적이 제시했던 덕치 이념은 통치자의 위력에 의해 백성을 복종시키는 것을 배제하고, 인심을 감동시키는 정치를 추구했다는 점에서 주희의 덕치 이념보다 철저한 것이었다. 한편, 이언적은 기존의 경문 구절을 갖고 와서 격물치지 전(傳)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그는 “격물치지”에 대해, 사회 제도와 관습의 형식에 매몰되지 않고 그 본질과 그 기원을 찾아내며, 그 본질과 기원이 인간의 덕성에 있다는 것과 그 덕성이 마음의 본원임을 자각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므로 이언적이 이해한 “격물치지”는 결국 인간의 덕성 회복으로 귀결되고, 인간이 덕성을 온전히 회복하였을 때 덕치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언적의 생각이었다. 대학장구의 편장 개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이언적의 성리학설은 겉보기에는 매우 실천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주지주의적(主知主義的)이고 정적(靜的)인 동시에 낙관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그는 구체적 상황을 도덕 원칙에 따라 바로 잡기보다 시선을 내면으로 돌려 자기마음 속에서 도덕 원칙을 확인하려 하였고, 도덕 원칙에 집중함으로써 마음을 안정시키려 하였으며, 안정된 마음에서 비롯한 고요한 사유로써 만물의 이치를 관조하는 데 치중하였다. 더 나아가 그는 만물의 이치를 체득할 경우 무위의 덕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을 제시했다. Lee Eun-Jeok, a Confucian scholar in early Chosŏn Dynasty, thought that Zhu Xi’s revision of Daehak(大學) and his “Complementary Explanations of ‘Investigation of Things’” distorted the original intentions of Daehak. He insisted that the phrase “hearing litigations[聽訟]”, which had been regarded as the forth explanatory notes by Zhu Xi, should be moved to the latter part of the first chapter of Daehak. Besides, He thought that the phrase “知止而后有定” and “物有本末” were originally the explanatory notes of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ring knowledge and moved to the first chapter by edit error in older times. By putting the phrase “hearing litigations” in the latter part of the first chapter, Lee regarded the core messages of Daehak as the ruler’s restoring of the moral nature and practising moral politics. The idea of moral politics presented by Lee excluded the subduing people with power and Lee pursued the politics of moving people’s heart. This idea of moral politics was more thorough than that of Zhu Xi. According to Le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means that men/women must not be buried in social institutions and customs, instead they should find the origins and the essences in the human mind. Therefor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understood by Lee resulted in the restoring of moral nature, and only then the moral politics would naturally be complete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Lee seems to be very practical, in fact it had the optimistic, quiet, and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correcting concrete situations according to moral principles, he tried to identify moral principles in his mind by turning his eyes inward, and setting his mind at rest by focusing on moral principles. Besides, he was drawn to contemplation of the principles of myriad things and events through the calm mind. Finally, he presented an optimistic outlook that the moral politics would naturally be practiced by fully restoring the moral nature in one’s mind in a way of learning the principles by oneself.

      • KCI등재

        『大學』의 주요 개념에 대한 이언적(李彦迪)과 이이(李珥)의 해석 비교 - ‘격물치지’와 ‘인’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이원석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5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Daehak,(『大學』) Lee Eun-jeok(李彦迪), a Confucian scholar in early Chosŏn Dynasty, defined the term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格物致知) as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key principles or virtues from political and social norms and their institutional forms. He further argued that more important than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is to gain a single and comprehensive principle which penetrates all the core principles or virtues, through ‘reasoning’(思). Lee Yi(李珥) expressed concern that the idea of ​​acquiring a single, comprehensive principle through ‘reasoning’ could approach the practice of Zen Buddhism or the theory of Lu Jiuyuan(陸九淵) and Wang Shouren(王守仁). Based on Zu Xi’s Daehak-janggu(『大學章句』), he argued that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itself is a thorough investigation and enlightenment(得), saying that a separate intellectual maturation process, such as ‘reasoning’ is not necessary, and that a separate stage of ‘enlightenment’ should not be placed as a final stage. Meanwhile, Lee Eun-jeok said that the core purpose of Daehak is to encourage the King to restore his virtue of benevolence(仁) through the practice of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us lead to government of benevolence. He was more concerned with the restoration of the King's virtue of benevolence and the execution of his virtuous governing than with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We can confirm from various literatures that Lee’s claim affected Lee Hwang(李滉) and No Sushin(盧守愼). According to Lee Yi, the misconception that the core purpose of Daehak is making the king restoring virtues through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was originated from not knowing that the core content of Chapter 9 and 10 of Daehak is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others by analogizing my situation.”(絜矩之道) Lee regarded the core purpose of Daehak as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which supports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others by analogizing my situation” on an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asis. Especially noteworthy is that Lee Yi showed a different political-philosophical point of view from Lee Hwang, in that he thought that anyone could be a virtuous person as long as he restored ‘Myongdeok(明德)’. While, Lee Hwang was mainly concerned with restoring the virtues of the King. 이언적(李彦迪)은 『대학』의 재편정(再編定)을 통해, 정치ㆍ사회적 규범 및 그 제도적 형식으로부터 핵심 원리 또는 덕목을 구별해 낼 줄 아는 것이 격물치지의 원의라고 규정했다. 그는 한 발 더 나아가 그런 앎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유[思, 慮]를 통해 제반 핵심 원리 또는 덕목을 관통하는 단일하고 포괄적인 원리, 즉 도(道)를 체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이(李珥)는 사유를 통하여 단일하고 포괄적인 원리를 체득한다는 구도가 선불교 또는 육왕학의 실천론에 접근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주희의 『대학장구』에 바탕을 두고서, 격물치지 자체가 이치의 철저한 궁구이자 체득임을 주장함으로써, 격물치지 이외에 사유와 같은 별도의 지적 숙성 노력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또한 별도의 체득[得] 단계를 깨달음의 완성 단계로 상정하면 안 됨을 말하였다. 한편 이언적은 『대학』 전체의 핵심 종지가, 왕으로 하여금 격물치지의 실천을 통해 어진 덕성을 회복하도록 함으로써 어진 정치를 펴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격물치지가 아니라 임금의 어진 덕성 회복과 어진 정치의 실시를 더욱 중시했던 것이다. 이언적의 이런 주장이 이황과 노수신에게 영향을 끼쳤음을 여러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이에 따르면, 왕으로 하여금 격물치지를 통해 어진 덕을 갖게 함을 『대학』의 핵심 종지로 보는 견해는, 『대학』 제9장과 제10장의 핵심 내용이 사실 ‘혈구(絜矩)의 도’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한 결과 성립한 오해였다. 이이는 『대학』의 핵심은 혈구의 도를 존재론적ㆍ인식론적으로 뒷받침하는 격물치지라고 보았다. 특히 눈여겨 볼 점은, 이이는 격물치지를 통해서 명덕(明德)을 밝힌 사람이야말로 어진 사람이라고 하여, 왕의 어진 덕성 회복을 위주로 사유했던 이언적는 다른 정치철학적 관점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 KCI등재

        穌齋 盧守愼과 晦齋 李彦迪, ‘心學’으로 맺은 학문 세계

        정호훈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71

        穌齋 盧守愼의 학문에 영향을 미친 인물은 적지 않지만, 스승의 반열에서 그를 가르치고 그의 사유를 이끌며 살찌운 인물로는 晦齋 李彦迪을 꼽을 수 있다. 노수신과 이언적과의 만남은 크게 두 양상으로 살필 수 있다. 첫째, 노수신이 그의 나이 27세 되던 해에 이언적을 만나 ‘심학’에 관한 가르침을 받았던 일이다. 이미 얕지 않은 학문적 깊이를 쌓고 있던 노수신은 이때의 만남에서 ‘道問學’보다는 ‘尊德性’의 방법을 중시하는 학문의 의미를 깊이 있게 접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이언적 사후, 이언적의 문집과 그의 대표작에 대한 서문을 쓰고, 이언적의 연보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노수신은 이언적의 학문을 ‘心學’으로 규정하였으며, 그의 주자학에 규정되지 않는 독자적 학문 활동을 높게 긍정했다. 이언적으로부터 심학에 대한 지침을 받고 또 이언적의 학문적 위상을 긍정하고 옹호했던 노수신의 활동은 주자학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 사상의 자장을 벗어나 ‘존덕성’의 방법에 기초하여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모색하던 16세기 중‧후반 조선 학계 일각의 움직임을 한층 풍부하게 하고 또 견고하게 다지는 일이었다.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igures in the study of Roh Su-sin was Lee Eon -jeok. Not much time was spent in Roh when he met with Lee and was taught. It was the first time that Roh received an answer to his questions about the study of the mind from Lee when he was 27 years old. Roh Su-sin, who had already accumulated a deep academic depth, was impressed with the study of preserving and nurturing the mind. The second meeting occurred after the death of Lee Eon -jeok. Roh Su-sin studied his thoughts through the writings and books left behind by his death. At this time, Roh Su-sin highly affirmed the ideological scholarship, which was not defined in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 and tried to spread his ideas in Joseon society.

      • KCI등재

        경주지역 孫李是非의 전말

        이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2 No.-

        This paper examined the course of events of a dispute between both families of Sohn and Lee at Yanggwa-dong, Gyeongju regarding disciplinary origin of relationship of maternal uncle and nephew between Sohn Jung-don(孫仲暾) and Lee Eon-jeok(李彦迪). The dispute occurred because Sohn Jung-don(孫仲暾) played great role at Lee Eon-jeok(李彦迪)’s entering government service and growth to be a great scholar. Such a phenomenon made appearance at the time when disciplinary origin regarding leadership of country village power was emphasized. The dispute made appearance since 1905, and it was made even before 1905. The dispute was already made one or two times because of insertion of Donggangseowon(東江書院) Myoujunggeonsangryangmun(廟宇重建上樑文) that was written by Lee Sang-jeong(李象靖) at the time of addition and revision of “Ujaesilgi(愚齋實紀)” in 1845, and it was expanded to be a serious quarrel between both families when Jangmun(狀文) and Mansa(輓詞, lament) on Sohn Jung-don (pen name: Ujae(愚齋)) that were written by Lee Eon-jeok(李彦迪) were discovered at Lee’s head family (Mucheomdang, 無忝堂) in 1904 to let Sohn family republish “Gyeongjeolgongsilgi(景節公實紀)”. In April 1905, Sohn family republished “Gyeongjeolgongsilgi(景節公實紀)” to include both Jangmun(狀文) and Mansa(輓詞) and to add Yeonwondomaekgu(淵源道脈句) of Sangryangmun(上樑文) that was written by Lee Sang-jeong(李象靖) to be a problem before: Based on the material, Si(詩) and Bal(跋) of Jingeong(眞城) Lee family’s Lee Man-do(李晩燾), Lee Byeong-ho(李炳鎬) and Lee Man-gyu(李晩煃) were published saying that Lee Eon-jeok’s science was originated from Sohn Jung-don. When “Gyeongjeolgongsilgi(景節公實紀)” containing such contents was republished, the dispute was expanded throughout Gyeongsang-do(慶尙道) from the beginning including Hyangnae(鄕內) because the problem was related to disciplinary origin of Yurim(儒林) society to have relation not with family level but with roads of Sarim(士林) society and to produce fierce struggle through Tongmun(通文) between both parties. At the beginning of the dispute, an arbitration in both Hyangnae(鄕內) and Donae(道內) was made, and it could not play a role to elevate conflicts continuously. Since then, the dispute was expanded up to other provinces to let Taehak(太學), Hoseoyusaeng(湖西儒生) and Honamyuhoeso(湖南儒生), etc send Tongmun(通文) blaming Sohn family strongly. 본 논문에서는 경주 양좌동내 손ㆍ이 양가문 孫仲暾과 李彦迪 舅甥 간의 학문적 연원 문제를 두고 벌어진 孫李是非의 전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시비가 나오게 된 배경은 이언적의 출사와 그가 대학자로 성장하는데 외삼촌인 손중돈의 역할이 컸다는데 있었다. 이 같은 사정이 향권의 주도권 문제와 관련하여 학문적 연원문제가 중요시 되는 이 시기의 시대적 상황과 맞물리면서 나타난 것이다. 이 시비가 본격화 된 것은 1905년부터이지만, 이미 그 이전부터 논란이 있어 왔다. 본 시비는 1845년 『우재실기』를 증보하여 간행할 당시에 李象靖이 지은 동강서원 廟宇重建上樑文의 삽입 문제로 이미 한차례 논란이 있었지만, 양 문중 간에 격렬한 시비로 확대된 것은, 1904년 이씨 종가(無忝堂)에서 이언적이 쓴 愚齋에 대한 狀文과 輓詞가 발견되면서, 이를 계기로 손씨측에서 『京節公實紀』를 중간하면서 부터이다. 1905년 4월에 손씨측에서 『경절공실기』를 중간하면서 이 狀文과 輓詞를 삽입하고, 또 그전에 문제가 되었던 이상정이 쓴 상량문의 淵源道脈句를 附註하고, 나아가 이들 자료에 근거하여 이언적의 학문이 손중돈에 연원하고 있다는 내용의 진성이씨 李晩燾, 李炳鎬, 李晩煃의 詩와 跋을 얻어 싣고 이를 반포하였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절공실기』가 중간되고 반포되자, 이 문제는 유림사회의 학문적 연원과 관련된 사안이기 때문에 문중 차원의 문제가 아닌 사림사회의 도맥과 관계된다는 점에서, 향내 뿐만 아니라 초기부터 곧바로 경상도 전역으로 확산되어 양측 간에 통문 등을 통한 치열한 공방전이 전개되었다. 시비 초기에 향내와 도내에서 중재의 움직임이 있었지만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계속 갈등이 증폭되어 갔다. 이후 이 시비는 타도 지역까지 확산되면서 태학과 湖西儒生․湖南儒會所 등에서도 손씨측을 강력히 성토하는 통문을 보내기도 하였다.

      • KCI등재

        을사사화기 이언적의 처신과 대응을 둘러싼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인수 택민국학연구원 2019 국학연구론총 Vol.0 No.24

        Lee Eon-jeok was placed in a Confucian shrine along with Kim Going-pil, Jeong Yeo-chang, Jo Gwang-jo, and Lee Hwang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He was the first figure of Joseon to be placed in a Confucian shrine. A lot of time and effort was invested to place these figures in a Confucian shrine with controversy over their qualifications in the process. A few of them were the subjects of controversy, but Lee Eon-jeok was the most controversial of all. This study reviews, in depth, contradicting evaluations of Lee's acts and reactions in the early days of King Myeongjong's reign. The study starts with the year that King Myeongjong ascended the throne when the Eulsa Literati Purge took place, and goes up to the fourth year of his reign when Lee Hong-yun was imprisoned as part of the Eulsa Literati Purge, by assessing Lee's acts and reactions during the period in a sympathetic manner. Lee was a serious representative statesmen that made forthright statements at many different meetings during the purg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royal family and prevent damage to literati. Some people may regret that Lee was not a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fucian literati, but it is not true that his acts deserved the evaluation that he made no forthright statements.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of the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 of a person before the assessment of his acts. The present study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s between those who made positive assessments of Lee and those who made negative ones. The assessments of Lee by those who underwent turmoil in those days, and those who read the chronicles of the period seem closer to the truth. The present study considered the assessments of Lee by those who read the records to be more accurate, even by those who neither underwent the turmoil, nor read the records of the chronicles assessed Lee. There are fundamental limitations in their assessments since they were based on a lack of data. Reliability of old assessments by people from the past also impacts the assessments. The circumstances and experiences of those who make assessments themselves have impacts as well. 회재 이언적은 광해군대에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황과 함께 문묘에 종사되었다. 조선조의 인물로는 처음으로 문묘에 종사된 것이었다. 이들이 문묘에 종사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경주되었고, 그 과정에서 자격 논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논란이 없었던 사람이 드물지만 그 중에서도 이언적과 관련된 논란이 가장 많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명종 초년 이언적의 처신과 대응에 대한 엇갈린 평가들에 대해 심층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명종 즉위년 을사사화부터 명종 4년 이홍윤 옥사에 이르는 시기를 을사사화기라는 시기로 설정하고, 이 시기 동안 이언적이 보인 처신과 대응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였다. 이언적은 을사사화 당시 각종 회의석상에서 왕실의 안위를 걱정하고 사류의 피화를 막기 위해 직언을 한 대표적인 중신이었다. 이언적이 사림의 피화를 막지 못한 데 대한 아쉬움은 토로할 수 있지만, 직언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들을 정도의 처신을 한 것은 결코 아니었다. 한 사람의 행위를 평가할 때는 그 사람의 처지나 환경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과 이언적에 대해 긍·부정적인 평을 내린 평가자에 대해서는 관점의 차이라는 점을 우선 고려하였다. 당시를 겪은 자와 당시 실록 기록을 본 자, 두 사람의 평가가 진실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그 중에서도 기록을 본 자의 평가가 더 정확하다고 보았다. 당시를 겪지도 못하였고 실록의 기록을 보지도 못한 이들의 평가도 있었다. 충분하지 못한 자료에 근거하여 평가를 한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이전 사람이 해 놓은 평가에 대한 신뢰 여부도 영향을 미치며, 평가자 자신의 처지나 경험도 작용한다고 보았다.

      • 회재 이언적에 대한 고찰

        이필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한국사상과 문화 Vol.98 No.-

        Purpose of this thesis is that it would be academically shed new light on HeoJae Lee Eon-Jeok’s philosophy shown on Mu-geuk-tae-geuk-byun. Accordingly, study of this thesis is shown below as following the research method of literature analysis 1st, It is focused on analyzing the beginning of controversy and its develop process referred to the letters, ’Seo-Mang-Jae-Mang-Ki-Dang-Mu-Geuk-Tae-Geuk-Seol-Hwoo’ and ‘Dap-Mang-Ki-Dang’ which were written on Jop-Jeo in collection of HeoJae’s works No5 2nd. It is deeply contemplated to the meaning of the history for Korean philosophy related to the controversy of Tae-geuk by Lee Eon Jeok and his mental world as his confucian scholar. 3rd. This thesis is analyzing. “Mu-geuk-tae-geuk-byun”’s impact on neo confucian at mid Joseon, comparing the confucian interpretation for “Mu-geuk-tae-geuk-byun“ by Lee Eon-Jeok to philosophy of Jo Han-Bo who insisted taoism-buddhism theory. 4th, This thesis would like to realize the limitation of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look into the topicality of this stud The result of study is shown next. Learning of Lee Eon-Jeok consist in the practical confucianism which is constantly looking back his own reality and manifestation of humanistic spirit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회재 이언적의「무극태극변」에 보이는 학문세계를 학술적으로 재조명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문헌분석적 연구방법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전개하였다. 첫째,『회재선생문집』제5권 잡저(雜著)에 수록된 서간문 중「서망재망기당무극태극설후(書忘齋忘機堂無極太極說後)」,「답망기당서(答忘機堂書)」에서 논쟁이 된 발단과 전개과정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이언적의 태극논쟁이 차지하는 한국철학사적 의의와 그의 유학자적 정신세계를 살펴본다. 셋째, 논쟁이 되었던「무극태극변」에 대한 이언적의 유교적 해석과 노불론(老佛論)을 주장한 조한보의 철학사상을 비교하고,「무극태극변」이 조선중기 이후에 유학의 발전에 끼친 영향을 분석한다. 넷째, 조선초 성리학의 한계상황과 이언적의 독창적인 학문세계를 밝히고, 그에 따른 연구의 시사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언적의 학문은 끊임없이 현실을 되돌아보는 실천유학의 관점에 있는 것이며, 더불어 인문정신의 발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주자학의 한국적 특성을 이루는 기초가 되었고, 중국의 아호논쟁과 달리 인간의 심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 문제로 집약되어 갔다. 특히 태극을 리(理)로 규정하면서 그 리에 능동적이며 창조적인 도덕성을 부여한 이언적의 주장은 뒷날 리를 우위에 두고 심성론을 철학의 주축으로 삼아 도덕적 가치를 강조한 이황의 철학의 토대가 되었다. 이런 점은, 선조 때 조선에 들어온 명의 사신들이 조선에도 공자, 맹자의 학문을 다룬 심학이 있는가를 물어 왔을 때 사신들에게 이언적의 글을 보여 주었던 사실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이처럼 이 논쟁에는 주자학적 이론의 깊이와 더불어 한국적 주자학의 전개에 있어서 회재사상의 심대한 가치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회재 이언적의 기행(紀行)시 일고 - 「서정시(西征詩)」를 중심으로 -

        장도규 ( Jang Do-gyu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한국사상과 문화 Vol.92 No.-

        기행은 일이나 여행을 목적으로, 자기가 살고 있는 곳을 떠나 객지를 다니면서 보고, 듣고, 느끼고, 겪은 것을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다. 예로부터 창작행위의 저변에, 문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상을 높이기 위해서 여행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였다. 「서정시」는 이언적과 같은 도학자들의 시에서는 보기 드문 장편 기행시로 그가 과거(科擧)에 응시하기 위해 한양으로 갈 때인, 24세 때 작품이다. 두보의 시 「북정」을 모범으로 해서 지어진 것으로 5언으로 해서 135운, 270구, 글자 수 1350자로 구성된 장편이다. 신라의 옛 도읍지 경주에서 한양까지의 여정을 통해 곳곳의 풍속과 지리, 경관 등에 대한 감회를 섬세하고도 진솔하게, 그리고 있어 과거 길의 젊은 선비로서의 번뜩이는 기개가 넘쳐흐르고 있다. 과거라는 중압감에도 불구하고 묘사나 구성에 있어 번잡스럽지 않고 간결하게 과감한 생략법을 사용하여 과거보러 한양까지 가는 도중의 여정의 감회를 평면적 서술 형태로 읊은 독특한 작품이다. 이언적의 중·후기 시가 보여 주는 정제 된 도학적 시풍이 어느 정도 배제되었음을 알 수 있고 과장이나 허구적인 것이 없는 사실적 시풍을 띠고 있어 그의 초기 시를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다. 길마다 만나는 백성의 삶과 고뇌를 깊이 이해하였고 각 지방의 풍물과 인심 그리고 지나는 곳의 승경을 읊고 있어 인문 지리적, 역사적, 문학적 측면이 어우러진 기행시의 여러 요소를 잘 갖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기행시나 산수유기와 같은 기행 문학에 대한 본격적 연구는 옛 선인들의 자연이나 국토에 대한 이해, 현대에 대비한 인문지리 개념의 확대, 유교· 불교· 도교를 포함하는 사상사적 변화의 추이 등 여러 분야의 이해에 이바지 하리라고 본다. Travel is for the purpose of work or travel, to write down what you saw, heard, felt, and experienced while away from where you lived. Since ancient times, travel ha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to enhance the spirit of being a writer on the basis of creative activity. Soejung poetry is a feature that is rare in urban scholars' poetry, such as Lee Eun-Jeok's. It is written when he was 24 years old and he went to Hanyang to apply in the past. It influences a feature of Doubo's poem, titled Bukjeong, which is composed of 135, 270, and 1350 letters in five languages. He can be said to us he is a brilliant scholar of the past because despite of the pressures in the past, he describes well about the customs, geography, and scenery of the past with detail and sincerity throughout his journey from Gyeongju to Hanyang. It is a unique narrative form that describes the emotion of one's journey to Hanyang as a view of the past, using bold omission methods that is not complicated in description or organiz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efined urban visual style of poetry, as shown in the latter phase of Lee Eun-Jeok's poems. It was somehow excluded like exaggerated or fictional styles in the early style of poetry but instead it is included the fact. I deeply understand the lives and sufferings of the people whom we meet on every street, and can recite local customs, so I can enjoy many elements of traveling with various aspects of human geography, history, and literature. And a serious study of traveling literature, such as sanctuary or cross culture, is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r land of the ancients, expansion of the concept of human geography against the modern age, and changes i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 KCI등재

        이언적의 『中庸九經衍義』와 『中庸九經衍義別集』의 경학사상사적 특색

        엄연석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3 No.-

        본고는 이언적이 지은 『중용구경연의(中庸九經衍義)』와 『중용구경연의별집(中庸九經淵義別集)』이 주희의 성리학적 중용관과 비교하여 어떤 경학사상사적 특색과 함께 그의 경학사상의 전체적 체계 속에서 이들 저술이 가지는 경학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특히 이 글은 조선 전기 경학사상이 대하여 문화다원론적 관점에서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하는 점을 『중용구경연의』와 『별집』의 경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언적은 정심(正心)을 궁리(窮理)를 전제로 가능한 것으로 봄으로써 성리학의 관점에 따라 『대학』 구절을 이해하였고, ‘일(一)’을 천도의 성(誠)으로 해석하면서 이를 천리인욕론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성리학적 수양론의 핵심 개념으로서 경(敬)을 성(誠) 및 성인의 마음과 연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중용구경연의』에서 『중용』 가운데 주로 구경(九經)에 초점을 맞추어 천하국가를 다스리는 요점으로서 구경을 강조하며 이것을 행하기 위한 덕목을 성(誠)으로 보고 이를 위한 수양의 근거를 『대학』의 격치성정(格致誠正)에서 보완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특히 그는 『중용구경연의』를 임금에게 올리고자 하는 취지에서 지음으로써 여기에 제왕학으로서의 특성을 강하게 반영시켰다. 그는 『중용』 구경(九經)을 해설한 『중용구경연의』와 『중용구경연의별집』의 취지를 상보적인 연속성을 가지는 관계로 보았다. 그는 임금이 통치를 행하는 제왕학적 관점에서 재상이나 신하를 등용하는 문제를 강조하고 있다. 또 그는 하늘이 상서와 재앙을 내리는 것은 이처럼 임금의 덕이 한결같음 여부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여기에서 그는 천리와 인욕을 대비하여 임금의 덕을 말한 것으로부터 성리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서도 그는 제왕이 순일한 마음을 유지할 것을 강조하는 점에서 그의 『중용』 구경(九經)에 대한 인식이 임금의 수양과 실천을 강조하는 제왕학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elucidates special features of I Eonjeok’s Jungyong gugyeong yeonui and Yeonui byeoljip, mainly in comparison with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Zhongyong. It also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these two works in I Eonjeok’s entire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I Eonjeok understands the Daxue in accordance with Neo-Confucianism, especially when he regards the investigation of the principle [窮理] as the precondition for correcting the mind [正心]. In addition, he interprets ‘one’ [一] as the sincerity [誠] of the way of Heaven and discusses it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of the heavenly principle and human desire [天理人欲論]. I Eonjeok understands that reverence [敬], one of the core concepts of Neo-Confucian moral cultivation, is in line with sincerity and the sagely mind. In the Jungyong gugyeong yeonui, I Eonjeok emphasizes the Nine Rules [九經] of the Zhongyong as the key principles on which one governs the world. He believes that one can fulfil this task through sincerity, and as a way of cultivation, he recommends the investigation of things, expansion of knowledge, sincerity, and correcting the mind [格致誠正] instructed in the Daxue. According to him, sincerity is construed as the way of Heaven and the King can observe the Nine Rules by getting a firm grasp of the way of Heaven. The Jungyong gugyeong yeonui was intended to be presented to the King; therefore, it exhibits strong characteristics as the disciplines of kingship [帝王學]. The Jungyong gugyeong yeonui and Yeonui byeoljip, both of which explain the Nine Rules, provide complementary explanations to each other. I Eonjeok interprets Confucius’ saying that the King should appoint a person who has the virtue of cherishing people's lives as emphasizing that the King is able to benefit the people with pity only when he is assisted by the subject with this virtue. He stresses the significance of appointing the prime minister and other minist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ciplines of kingship. In addition, he believes that fortune or misfortune from Heaven depends on whether the King has consistent virtue or not. I Eonjeok is under the influence of Zhu Xi’s Neo-Confucianism in that he contrasts the heavenly principle and human desire when discussing the virtue of the King. Besides, his interpretation of the Nine Rules is deemed as the disciplines of kingship in that he underlines the pure mind of the King.

      • KCI등재

        李彦迪의 朱子 『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이동희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이 논문은 晦齋 李彦迪(1491-1553)이 주자 『대학장구』에 대한 비판적 연구 결과인 『大學章句補遺』와 『續大學或問』을 분석한 것이다. 그는 여기에서 『대학장구』에 대해 편차를 개정하기도 하고, 자구의 의미를 새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자의 「格物補傳」을 부정하고, 주자 『대학장구』에서 經文에 속하였던 부분을 「격물전문」으로 보았다. 둘째, 『대학장구』의 「釋本末章」을 없애고, 그것을 經文의 「結語」로 보았다. 셋째, 「格物致知」의 해석은 편차개정과 연관되는데, 주자는 물론 송 이후 중국 諸儒의 견해와 달랐다. 넷째, 그는 「安而后 能慮 慮而后 能得」의 「慮」를 「思」로 해석하여 주자의 해석과 견해을 달리 하였다. 회재는 주자 『대학장구』의 편차를 개정하면서 주자의 「격물보전」을 부정하고, 『古本大學』에 원래 「格物致知條」의 傳文이 있었다고 보고, 「知止而后有定」과 「物有本末」 두 小節이 바로 그것이라고 하였다. 또 주자의 傳4章인 「釋本末章」을 없애고 『大學』 구조를 經1章, 傳9章으로 하여 주자 보다 傳文 하나를 줄이는 식으로 편차를 개정하였다. 회재의 이러한 개정에 대해 조선조 주자학자 중에는 찬반 논란이 있었고, 그후에도 학자들은 계속 주자 『대학장구』에 대해 관심을 가졌는데, 그 효시가 회재이다. 그런 점에서 회재의 『대학장구보유』와 『속대학혹문』은 매우 중요한 한국 經學思想의 업적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晦齋 李彦迪의 『奉先雜儀』 연구

        김순미(Kim, Soon-mi) 한국고전번역원 2014 民族文化 Vol.43 No.-

        『봉선잡의』는 우리나라 풍속에 『가례』를 어떻게 적용시켜나갈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책이라는 점, 예의 본질과 실제를 모두 다루고 있다는 점, 우리나라에서 禮書 형태를 갖춘 최초의 책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봉선잡의』와 『가례』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본 것들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회재가 『가례』를 따르지 않고 國制를 따른 것은 대표적으로 3대 봉사를 들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는 꿇어앉거나 엎드리는 것을 경건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봉선잡의』에서는 『가례』와 달리 사당에 고할 때 주인이나 축이나 모두 꿇어앉는다. 셋째, 『봉선잡의』에서는 고사나 축사에 아버지와 어머니를 ‘考’ ‘?’라 칭하는데, 『가례』에서는 ‘皇考’와 ‘皇?’라 칭하고 있다. 넷째, 『가례』에서는 기제사에 단설하는 것으로 규정하지만, 회재는 고비를 합설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다섯째, 『가례』에는 3월 상순에 묘제를 한 번 지낸다고 했지만, 회재는 시속대로 명절마다 묘제를 지내도 좋다고 했다. 여섯째, 후토제를 지낼 때, 『봉선잡의』와 『가례』에는 제수 음식의 규모가 다른데, 회재는 찬품을 줄여서 기술하였다. 예는 본질과 형식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서는 안 될 만큼 둘 다 중요하지만, 형식이 조금 바뀌더라도 본질에 합당하다면 이를 따르는 것이 옳다 하겠다. 이런점에서 회재는 우리의 습속이 예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우리의 생활과 문화, 규모에 합당하며 합리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를 추구했다고 하겠다. The meaning of the BongSeonjapui(奉先雜儀) is largely a three way. make sure Zhuzijiali(朱子家禮) can be applied to the Chosun Society rituals book. It is describing both the meaning and the ceremony’s procedures of rituals. Chosun Society the first ancestral worship rituals book.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differences between BongSeonjapui and Zhuzijiali. The first, BongSeonjapui is performed extend the reach of their grandparent’s parents rituals and Zhuzijiali is performed extend the reach of their grandparent’s grandparents rituals. The second, BongSeonjapui has the master of religious rites in the drop or kneeling, and Zhuzijiali the master of religious rites in standing. The third, BongSeonjapui is called the ‘GO(考)’ ‘BI(?)’, the dead parents and Zhuzijiali is called the ‘Hwang-GO(皇考)’ ‘Hwang-BI(皇?)’ the dead parents. The fourth, BongSeonjapui is the couple, together with the offerings and Zhuzijiali is on the day of the memorial service offerings of each. The fifth, BongSeonjapui has national holiday every grave sacrifice and Zhuzijiali once grave offerings in early March. The sixth, When a sacrifice to God of land, reduced the number of the food in BongSeonjapui. It is important for all of the procedures and means ritual. But the procedure is more important than the meaning, so this is good to follow. In this respect, Hoejae thought it was reasonable because Chosun′s customs have followed this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