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임거십오영(林居十五詠)>과 그 반향

        이종묵 ( Lee Jong-mook ) 한국한시학회 2018 韓國漢詩硏究 Vol.26 No.-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대표작인 <임거십오영(林居十五詠)>은 이언적이 자옥산(紫玉山) 아래 독락당(獨樂堂)에 은거하던 1535년 제작한 작품으로, 15수 연작으로 되어 있다. 이언적은 주자(朱子)가 서재에 머물면서 철학, 윤리, 역사 등을 노래한 <재거감흥(齋居感興)>을 변용하되, 숲속에서 은자와 학자, 충신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담아 산림에 물러나 사는 학자의 삶을 노래하는 전형을 만들었다. 7년이 지난 1560년 이황(李滉)은 이 시에 차운한 작품을 남겼는데, 이언적의 맑은 삶을 대체로 긍정하면서도, 은자나 충신보다 학자의 이미지에 집중하였다. 특히 ‘임거’에서 수양의 공부를 하는 방식, 임금에 대한 태도 등에 대해 생각을 달리하면서 이언적의 지향을 우회적으로 비판하였다. 그리고 5년 후 다시 <산거사시음(山居四時吟)>을 지어 도산(陶山)에서 살아가는 학자의 노래를 새로 제작하였다. <임거십오영>은 이황 이후에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신지제(申之悌), 권필(權韠), 이희조(李喜朝), 채팽윤(蔡彭胤), 박태무(朴泰茂), 조의양(趙宜陽), 정충필(鄭忠弼), 이야순(李野淳), 이재영(李在永) 등이 이언적의 작품에 직접 차운하기도 하고 이 작품에 차운한 이황의 시에 차운하기도 하였으며 운자를 따르지 않고 제목만 취한 작품도 나타났다. 권필이 <임거십오영>을 받아 들여 자신의 삶을 형상화하였고 신지제가 이를 차운하여 비슷한 내용을 담았다. 이언적이 붙인 소제목을 따르면서도 운자는 같은 것을 쓰지 않았는데, 한편으로 이언적의 삶을, 다른 한편으로 이황의 삶을 지향하면서도 시인으로서의 맑고 고운 흥취를 담아내어 ‘임거’를 담은 시의 수준을 높였다. 그 후 이희조, 채팽윤, 박태무, 이야순 등은 이황의 시에 차운하면서 이황이 보여 준 ‘임거’의 뜻을 추종하였다. 이에 비해 정충필과 이재영, 그리고 근대의 문인들은 이언적의 시에 직접 차운하면서 수양에 힘쓰는 이언적의 삶을 중심으로 하되 이황의 뜻을 절충하였다. 조선 후기 학자의 ‘임거’를 노래하는 전통이 이러하였다. In 1535, Yi Eon-jeok(李彦迪) wrote his representative work Imgeosiboyeong (林居十五詠), a 15 part serial poem, while he resided in Dongnakdang(獨樂堂) under Ja-Ok(紫玉) Mountain. Yi Eon-jeok succeeded and appropriated Juja(朱子)’s Jaegeogamheung(齋居感興), a poem written inside Juja’s personal library, musing about philosophy, ethics, and history. Then, Yi Eon-jeok wrote his own poem musing about ‘the life of a scholar in the forest(林居),’ portraying the life as a recluse and a royal subject ; this poem became an example for the later scholars. In 1560, Yi Hwang(李滉) wrote a poem borrowing rhyme from Imgeosiboyeong. In this poem, Yi Hwang concurred with Yi Eon-jeok’s uncluttered lifestyle ; however, he put more emphasis on portraying life as a scholar, compared to that as a recluse or a royal subject. Specifically, with regard to ‘the life of a scholar in the forest,’ Yi Hwang expressed different interpretations from Yi Eon-jeok’s on the studying method and the attitude towards the king ; these differences can be interpreted as Yi Hwang’s implied criticism towards Yi Eon-jeok. Five Years later, Yi Hwang wrote another poem, Sangeosasieum(山居四時吟) in which he sang a portrait of a scholar’s life in Dosan(陶山). Ever after affecting Yi Hwang, Imgeosiboyeong has had prolonged effects on the poetry of the later scholars such as Sin Ji-je(申之悌), Gwon Pil(權韠), Yi Hui-jo(李喜朝), Chae Paeng-yun(蔡彭胤), Bak Tae-mu(朴泰茂), Jo Ui-yang(趙宜陽), Jeong Chung-pil(鄭忠弼), Yi Ya-sun(李野淳) and Yi Jae-yeong(李在永). Some of them borrowed rhymes from Yi Eon-jeok or Yi Hwang’s poem, and some of them wrote poems only borrowing the title. Gwon Pil accepted the theme of Imgeosiboyeong and tried to portray his own life, and Sin Ji-je wrote a similar poem by borrowing rhymes from Gwon Pil’s poem. In terms of poetic format, these two poets followed the sub-headings of Yi Eon-jeok’s poem, but did not borrow the rhymes. While showing their will to follow Yi Eon-jeok and Yi Hwang’s lifestyles, their poems also convey a clear and pleasant sentiment, which elevated the quality of poetry musing about ‘the life of a scholar in the forest.’ Afterwards, poets such as Yi Hui-jo(李喜朝), Chae Paeng-yun(蔡彭胤), Bak Tae-mu(朴泰茂), and Yi Ya-sun(李野淳) not only borrowed rhymes from Yi Hwang’s poem but also followed Yi Hwang’s attitude and will. On the other hand, modern literari such as Jeong Chung-pil(鄭忠弼) and Yi Jae-yeong(李在永) borrowed rhymes from Yi Eon-jeok ; their poems focused on Yi Eon-jeok’s self-cultivation, but also conveyed the agreement on Yi Hwang’s philosophy. The aforementioned poems allow us to picture the Confucian scholars’ poems which mused about ‘the life of a scholar in the fores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이언적과 중(中)의 정치

        박홍규 ( Hong Kyu Park ),박설수 ( Sul Soo Park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4 韓國 政治 硏究 Vol.23 No.1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은 사화가 연달아 벌어지던 16세기 초 조선에서 중앙정치의 정상화를 모색하였던 인물이다. 특히, 명종 즉위년(1545) 벌어진 을사사화의 파국 속에서 이언적은 신중한 자세로 최대한 피화의 범위를 축소하고 권신의 독주를 막으려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시기 이언적의 행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그의 저작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책에서 등장하는 주요개념인 중(中)과 본말은 이 시기 이언적의 문제의식, 구체적 대응방식과 연관된다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관관계는 선조(宣祖) 때 벌어진 문묘종사 논쟁에서 영남 유생들에 의해 다시 언급되기도 하였다. 정치적 파국이 거듭되었던 16세기 초의 조선의 정국 속에서 “진실로 그 중(中)을 잡아”(允執厥中) 정국의 평형을 유지하였고, 신중하게 당대 정치의 핵심과제인 중앙정치의 정상화를 모색하였던 이언적은 문묘종사를 통해 후대인들에게 하나의 모범적인 정치가 상으로 자리잡았다. 정치적 갈등의 양상이 나날이 복잡해져가는 대한민국의 상황 속에서 이언적의 정치가 상을 복기하는 작업은 오늘날에도 유의미한 일이 될 것이다. Lee Eon-jeok (李彦迪: 1491-1553) is a scholar and statesman who tried to settle the Joseon Dynasty`s political instability in the 16th century. This instability was mainly caused by a series of literati purges. When the last purge, Ulsa Sahwa (乙巳士禍), occurred in 1545, Lee attempted to reduce the scale of the calamity and prevent Yoon Won-hyung`s group―which persecuted other political groups to take power-from monopolizing political authority. In this paper, Daehak jangguboyu (大學章句補遺), one of Lee`s books, will be analyzed to explain his behavior in 1545. The concepts of Jung (中) and Bonmal (本末), which are emphasized in Daehak jangguboyu, properly represent his awareness of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and the discreet manner in which he reacted to Yoon`s group. More than 50 years later, the literati from Yeongnam region also used the terms Jung (中) and Bonmal (本末) to clarify Lee`s intentions and behavior in 1545. Lee strove to stabilize the Joseon Dynasty`s politics, while prudently minimizing damages from constant purges under intricate and harsh circumstances in 1545. As a result, Lee became one of the most revered Confucian scholars and an ideal statesman of the times. Remembering Lee`s political thought and behavior also gives meaningful lessons in today`s era of complicated political circumstances.

      • KCI등재

        이언적(李彦迪)의 『대학(大學)』 이해 - 『대학』 편장 개정과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을 중심으로

        이원석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3 No.-

        조선 초기 유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은 주희의 『대학장구』 편장 개정 및 이른바 “격물보전(格物補傳)”이 『대학』의 본래 의미를 왜곡했다고 보았다. 그는 주희가 전문(傳文) 제4장으로 보았던 “청송[聽訟]” 절이 본래 경문 가장 마지막 부분에 있었던 것이며, 『대학장구』 경문(經文) 중 “知止而后有定” 소절(小節)과 “물유본말(物有本末)” 소절은 착간(錯簡)에 의해 현재의 자리에 놓인 것으로, 본래 그 두 구절은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을 설명하는 전문(傳文)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언적은 “청송” 절을 경문 마지막 부분에 놓음으로써, 통치자가 수양을 통해 도덕성을 회복하고 회복된 도덕성을 바탕으로 덕치(德治)를 펼쳐야 한다는 것이 대학의 핵심 종지라고 이해하였다. 이언적이 제시했던 덕치 이념은 통치자의 위력에 의해 백성을 복종시키는 것을 배제하고, 인심을 감동시키는 정치를 추구했다는 점에서 주희의 덕치 이념보다 철저한 것이었다. 한편, 이언적은 기존의 경문 구절을 갖고 와서 격물치지 전(傳)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그는 “격물치지”에 대해, 사회 제도와 관습의 형식에 매몰되지 않고 그 본질과 그 기원을 찾아내며, 그 본질과 기원이 인간의 덕성에 있다는 것과 그 덕성이 마음의 본원임을 자각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므로 이언적이 이해한 “격물치지”는 결국 인간의 덕성 회복으로 귀결되고, 인간이 덕성을 온전히 회복하였을 때 덕치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언적의 생각이었다. 대학장구의 편장 개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이언적의 성리학설은 겉보기에는 매우 실천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주지주의적(主知主義的)이고 정적(靜的)인 동시에 낙관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그는 구체적 상황을 도덕 원칙에 따라 바로 잡기보다 시선을 내면으로 돌려 자기마음 속에서 도덕 원칙을 확인하려 하였고, 도덕 원칙에 집중함으로써 마음을 안정시키려 하였으며, 안정된 마음에서 비롯한 고요한 사유로써 만물의 이치를 관조하는 데 치중하였다. 더 나아가 그는 만물의 이치를 체득할 경우 무위의 덕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을 제시했다. Lee Eun-Jeok, a Confucian scholar in early Chosŏn Dynasty, thought that Zhu Xi’s revision of Daehak(大學) and his “Complementary Explanations of ‘Investigation of Things’” distorted the original intentions of Daehak. He insisted that the phrase “hearing litigations[聽訟]”, which had been regarded as the forth explanatory notes by Zhu Xi, should be moved to the latter part of the first chapter of Daehak. Besides, He thought that the phrase “知止而后有定” and “物有本末” were originally the explanatory notes of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ring knowledge and moved to the first chapter by edit error in older times. By putting the phrase “hearing litigations” in the latter part of the first chapter, Lee regarded the core messages of Daehak as the ruler’s restoring of the moral nature and practising moral politics. The idea of moral politics presented by Lee excluded the subduing people with power and Lee pursued the politics of moving people’s heart. This idea of moral politics was more thorough than that of Zhu Xi. According to Le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means that men/women must not be buried in social institutions and customs, instead they should find the origins and the essences in the human mind. Therefor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understood by Lee resulted in the restoring of moral nature, and only then the moral politics would naturally be complete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Lee seems to be very practical, in fact it had the optimistic, quiet, and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correcting concrete situations according to moral principles, he tried to identify moral principles in his mind by turning his eyes inward, and setting his mind at rest by focusing on moral principles. Besides, he was drawn to contemplation of the principles of myriad things and events through the calm mind. Finally, he presented an optimistic outlook that the moral politics would naturally be practiced by fully restoring the moral nature in one’s mind in a way of learning the principles by oneself.

      • KCI등재

        『大學』의 주요 개념에 대한 이언적(李彦迪)과 이이(李珥)의 해석 비교 - ‘격물치지’와 ‘인’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이원석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5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Daehak,(『大學』) Lee Eun-jeok(李彦迪), a Confucian scholar in early Chosŏn Dynasty, defined the term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格物致知) as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key principles or virtues from political and social norms and their institutional forms. He further argued that more important than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is to gain a single and comprehensive principle which penetrates all the core principles or virtues, through ‘reasoning’(思). Lee Yi(李珥) expressed concern that the idea of ​​acquiring a single, comprehensive principle through ‘reasoning’ could approach the practice of Zen Buddhism or the theory of Lu Jiuyuan(陸九淵) and Wang Shouren(王守仁). Based on Zu Xi’s Daehak-janggu(『大學章句』), he argued that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itself is a thorough investigation and enlightenment(得), saying that a separate intellectual maturation process, such as ‘reasoning’ is not necessary, and that a separate stage of ‘enlightenment’ should not be placed as a final stage. Meanwhile, Lee Eun-jeok said that the core purpose of Daehak is to encourage the King to restore his virtue of benevolence(仁) through the practice of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us lead to government of benevolence. He was more concerned with the restoration of the King's virtue of benevolence and the execution of his virtuous governing than with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We can confirm from various literatures that Lee’s claim affected Lee Hwang(李滉) and No Sushin(盧守愼). According to Lee Yi, the misconception that the core purpose of Daehak is making the king restoring virtues through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was originated from not knowing that the core content of Chapter 9 and 10 of Daehak is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others by analogizing my situation.”(絜矩之道) Lee regarded the core purpose of Daehak as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which supports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others by analogizing my situation” on an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asis. Especially noteworthy is that Lee Yi showed a different political-philosophical point of view from Lee Hwang, in that he thought that anyone could be a virtuous person as long as he restored ‘Myongdeok(明德)’. While, Lee Hwang was mainly concerned with restoring the virtues of the King. 이언적(李彦迪)은 『대학』의 재편정(再編定)을 통해, 정치ㆍ사회적 규범 및 그 제도적 형식으로부터 핵심 원리 또는 덕목을 구별해 낼 줄 아는 것이 격물치지의 원의라고 규정했다. 그는 한 발 더 나아가 그런 앎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유[思, 慮]를 통해 제반 핵심 원리 또는 덕목을 관통하는 단일하고 포괄적인 원리, 즉 도(道)를 체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이(李珥)는 사유를 통하여 단일하고 포괄적인 원리를 체득한다는 구도가 선불교 또는 육왕학의 실천론에 접근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주희의 『대학장구』에 바탕을 두고서, 격물치지 자체가 이치의 철저한 궁구이자 체득임을 주장함으로써, 격물치지 이외에 사유와 같은 별도의 지적 숙성 노력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또한 별도의 체득[得] 단계를 깨달음의 완성 단계로 상정하면 안 됨을 말하였다. 한편 이언적은 『대학』 전체의 핵심 종지가, 왕으로 하여금 격물치지의 실천을 통해 어진 덕성을 회복하도록 함으로써 어진 정치를 펴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격물치지가 아니라 임금의 어진 덕성 회복과 어진 정치의 실시를 더욱 중시했던 것이다. 이언적의 이런 주장이 이황과 노수신에게 영향을 끼쳤음을 여러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이에 따르면, 왕으로 하여금 격물치지를 통해 어진 덕을 갖게 함을 『대학』의 핵심 종지로 보는 견해는, 『대학』 제9장과 제10장의 핵심 내용이 사실 ‘혈구(絜矩)의 도’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한 결과 성립한 오해였다. 이이는 『대학』의 핵심은 혈구의 도를 존재론적ㆍ인식론적으로 뒷받침하는 격물치지라고 보았다. 특히 눈여겨 볼 점은, 이이는 격물치지를 통해서 명덕(明德)을 밝힌 사람이야말로 어진 사람이라고 하여, 왕의 어진 덕성 회복을 위주로 사유했던 이언적는 다른 정치철학적 관점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 KCI등재

        穌齋 盧守愼과 晦齋 李彦迪, ‘心學’으로 맺은 학문 세계

        정호훈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71

        穌齋 盧守愼의 학문에 영향을 미친 인물은 적지 않지만, 스승의 반열에서 그를 가르치고 그의 사유를 이끌며 살찌운 인물로는 晦齋 李彦迪을 꼽을 수 있다. 노수신과 이언적과의 만남은 크게 두 양상으로 살필 수 있다. 첫째, 노수신이 그의 나이 27세 되던 해에 이언적을 만나 ‘심학’에 관한 가르침을 받았던 일이다. 이미 얕지 않은 학문적 깊이를 쌓고 있던 노수신은 이때의 만남에서 ‘道問學’보다는 ‘尊德性’의 방법을 중시하는 학문의 의미를 깊이 있게 접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이언적 사후, 이언적의 문집과 그의 대표작에 대한 서문을 쓰고, 이언적의 연보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노수신은 이언적의 학문을 ‘心學’으로 규정하였으며, 그의 주자학에 규정되지 않는 독자적 학문 활동을 높게 긍정했다. 이언적으로부터 심학에 대한 지침을 받고 또 이언적의 학문적 위상을 긍정하고 옹호했던 노수신의 활동은 주자학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 사상의 자장을 벗어나 ‘존덕성’의 방법에 기초하여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모색하던 16세기 중‧후반 조선 학계 일각의 움직임을 한층 풍부하게 하고 또 견고하게 다지는 일이었다.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igures in the study of Roh Su-sin was Lee Eon -jeok. Not much time was spent in Roh when he met with Lee and was taught. It was the first time that Roh received an answer to his questions about the study of the mind from Lee when he was 27 years old. Roh Su-sin, who had already accumulated a deep academic depth, was impressed with the study of preserving and nurturing the mind. The second meeting occurred after the death of Lee Eon -jeok. Roh Su-sin studied his thoughts through the writings and books left behind by his death. At this time, Roh Su-sin highly affirmed the ideological scholarship, which was not defined in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 and tried to spread his ideas in Joseon society.

      • KCI등재

        을사사화기 이언적의 처신과 대응을 둘러싼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인수 택민국학연구원 2019 국학연구론총 Vol.0 No.24

        Lee Eon-jeok was placed in a Confucian shrine along with Kim Going-pil, Jeong Yeo-chang, Jo Gwang-jo, and Lee Hwang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He was the first figure of Joseon to be placed in a Confucian shrine. A lot of time and effort was invested to place these figures in a Confucian shrine with controversy over their qualifications in the process. A few of them were the subjects of controversy, but Lee Eon-jeok was the most controversial of all. This study reviews, in depth, contradicting evaluations of Lee's acts and reactions in the early days of King Myeongjong's reign. The study starts with the year that King Myeongjong ascended the throne when the Eulsa Literati Purge took place, and goes up to the fourth year of his reign when Lee Hong-yun was imprisoned as part of the Eulsa Literati Purge, by assessing Lee's acts and reactions during the period in a sympathetic manner. Lee was a serious representative statesmen that made forthright statements at many different meetings during the purg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royal family and prevent damage to literati. Some people may regret that Lee was not a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fucian literati, but it is not true that his acts deserved the evaluation that he made no forthright statements.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of the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 of a person before the assessment of his acts. The present study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s between those who made positive assessments of Lee and those who made negative ones. The assessments of Lee by those who underwent turmoil in those days, and those who read the chronicles of the period seem closer to the truth. The present study considered the assessments of Lee by those who read the records to be more accurate, even by those who neither underwent the turmoil, nor read the records of the chronicles assessed Lee. There are fundamental limitations in their assessments since they were based on a lack of data. Reliability of old assessments by people from the past also impacts the assessments. The circumstances and experiences of those who make assessments themselves have impacts as well. 회재 이언적은 광해군대에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황과 함께 문묘에 종사되었다. 조선조의 인물로는 처음으로 문묘에 종사된 것이었다. 이들이 문묘에 종사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경주되었고, 그 과정에서 자격 논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논란이 없었던 사람이 드물지만 그 중에서도 이언적과 관련된 논란이 가장 많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명종 초년 이언적의 처신과 대응에 대한 엇갈린 평가들에 대해 심층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명종 즉위년 을사사화부터 명종 4년 이홍윤 옥사에 이르는 시기를 을사사화기라는 시기로 설정하고, 이 시기 동안 이언적이 보인 처신과 대응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였다. 이언적은 을사사화 당시 각종 회의석상에서 왕실의 안위를 걱정하고 사류의 피화를 막기 위해 직언을 한 대표적인 중신이었다. 이언적이 사림의 피화를 막지 못한 데 대한 아쉬움은 토로할 수 있지만, 직언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들을 정도의 처신을 한 것은 결코 아니었다. 한 사람의 행위를 평가할 때는 그 사람의 처지나 환경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과 이언적에 대해 긍·부정적인 평을 내린 평가자에 대해서는 관점의 차이라는 점을 우선 고려하였다. 당시를 겪은 자와 당시 실록 기록을 본 자, 두 사람의 평가가 진실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그 중에서도 기록을 본 자의 평가가 더 정확하다고 보았다. 당시를 겪지도 못하였고 실록의 기록을 보지도 못한 이들의 평가도 있었다. 충분하지 못한 자료에 근거하여 평가를 한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이전 사람이 해 놓은 평가에 대한 신뢰 여부도 영향을 미치며, 평가자 자신의 처지나 경험도 작용한다고 보았다.

      • KCI등재

        경주지역 孫李是非의 전말

        이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2 No.-

        This paper examined the course of events of a dispute between both families of Sohn and Lee at Yanggwa-dong, Gyeongju regarding disciplinary origin of relationship of maternal uncle and nephew between Sohn Jung-don(孫仲暾) and Lee Eon-jeok(李彦迪). The dispute occurred because Sohn Jung-don(孫仲暾) played great role at Lee Eon-jeok(李彦迪)’s entering government service and growth to be a great scholar. Such a phenomenon made appearance at the time when disciplinary origin regarding leadership of country village power was emphasized. The dispute made appearance since 1905, and it was made even before 1905. The dispute was already made one or two times because of insertion of Donggangseowon(東江書院) Myoujunggeonsangryangmun(廟宇重建上樑文) that was written by Lee Sang-jeong(李象靖) at the time of addition and revision of “Ujaesilgi(愚齋實紀)” in 1845, and it was expanded to be a serious quarrel between both families when Jangmun(狀文) and Mansa(輓詞, lament) on Sohn Jung-don (pen name: Ujae(愚齋)) that were written by Lee Eon-jeok(李彦迪) were discovered at Lee’s head family (Mucheomdang, 無忝堂) in 1904 to let Sohn family republish “Gyeongjeolgongsilgi(景節公實紀)”. In April 1905, Sohn family republished “Gyeongjeolgongsilgi(景節公實紀)” to include both Jangmun(狀文) and Mansa(輓詞) and to add Yeonwondomaekgu(淵源道脈句) of Sangryangmun(上樑文) that was written by Lee Sang-jeong(李象靖) to be a problem before: Based on the material, Si(詩) and Bal(跋) of Jingeong(眞城) Lee family’s Lee Man-do(李晩燾), Lee Byeong-ho(李炳鎬) and Lee Man-gyu(李晩煃) were published saying that Lee Eon-jeok’s science was originated from Sohn Jung-don. When “Gyeongjeolgongsilgi(景節公實紀)” containing such contents was republished, the dispute was expanded throughout Gyeongsang-do(慶尙道) from the beginning including Hyangnae(鄕內) because the problem was related to disciplinary origin of Yurim(儒林) society to have relation not with family level but with roads of Sarim(士林) society and to produce fierce struggle through Tongmun(通文) between both parties. At the beginning of the dispute, an arbitration in both Hyangnae(鄕內) and Donae(道內) was made, and it could not play a role to elevate conflicts continuously. Since then, the dispute was expanded up to other provinces to let Taehak(太學), Hoseoyusaeng(湖西儒生) and Honamyuhoeso(湖南儒生), etc send Tongmun(通文) blaming Sohn family strongly. 본 논문에서는 경주 양좌동내 손ㆍ이 양가문 孫仲暾과 李彦迪 舅甥 간의 학문적 연원 문제를 두고 벌어진 孫李是非의 전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시비가 나오게 된 배경은 이언적의 출사와 그가 대학자로 성장하는데 외삼촌인 손중돈의 역할이 컸다는데 있었다. 이 같은 사정이 향권의 주도권 문제와 관련하여 학문적 연원문제가 중요시 되는 이 시기의 시대적 상황과 맞물리면서 나타난 것이다. 이 시비가 본격화 된 것은 1905년부터이지만, 이미 그 이전부터 논란이 있어 왔다. 본 시비는 1845년 『우재실기』를 증보하여 간행할 당시에 李象靖이 지은 동강서원 廟宇重建上樑文의 삽입 문제로 이미 한차례 논란이 있었지만, 양 문중 간에 격렬한 시비로 확대된 것은, 1904년 이씨 종가(無忝堂)에서 이언적이 쓴 愚齋에 대한 狀文과 輓詞가 발견되면서, 이를 계기로 손씨측에서 『京節公實紀』를 중간하면서 부터이다. 1905년 4월에 손씨측에서 『경절공실기』를 중간하면서 이 狀文과 輓詞를 삽입하고, 또 그전에 문제가 되었던 이상정이 쓴 상량문의 淵源道脈句를 附註하고, 나아가 이들 자료에 근거하여 이언적의 학문이 손중돈에 연원하고 있다는 내용의 진성이씨 李晩燾, 李炳鎬, 李晩煃의 詩와 跋을 얻어 싣고 이를 반포하였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절공실기』가 중간되고 반포되자, 이 문제는 유림사회의 학문적 연원과 관련된 사안이기 때문에 문중 차원의 문제가 아닌 사림사회의 도맥과 관계된다는 점에서, 향내 뿐만 아니라 초기부터 곧바로 경상도 전역으로 확산되어 양측 간에 통문 등을 통한 치열한 공방전이 전개되었다. 시비 초기에 향내와 도내에서 중재의 움직임이 있었지만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계속 갈등이 증폭되어 갔다. 이후 이 시비는 타도 지역까지 확산되면서 태학과 湖西儒生․湖南儒會所 등에서도 손씨측을 강력히 성토하는 통문을 보내기도 하였다.

      • KCI등재후보

        회재 이언적에 대한 고찰

        이필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8 No.-

        Purpose of this thesis is that it would be academically shed new light on HeoJae Lee Eon-Jeok’s philosophy shown on Mu-geuk-tae-geuk-byun. Accordingly, study of this thesis is shown below as following the research method of literature analysis 1st, It is focused on analyzing the beginning of controversy and its develop process referred to the letters, ’Seo-Mang-Jae-Mang-Ki-Dang-Mu-Geuk-Tae-Geuk-Seol-Hwoo’ and ‘Dap-Mang-Ki-Dang’ which were written on Jop-Jeo in collection of HeoJae’s works No5 2nd. It is deeply contemplated to the meaning of the history for Korean philosophy related to the controversy of Tae-geuk by Lee Eon Jeok and his mental world as his confucian scholar. 3rd. This thesis is analyzing. “Mu-geuk-tae-geuk-byun”’s impact on neo confucian at mid Joseon, comparing the confucian interpretation for “Mu-geuk-tae-geuk-byun“ by Lee Eon-Jeok to philosophy of Jo Han-Bo who insisted taoism-buddhism theory. 4th, This thesis would like to realize the limitation of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look into the topicality of this stud The result of study is shown next. Learning of Lee Eon-Jeok consist in the practical confucianism which is constantly looking back his own reality and manifestation of humanistic spirit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회재 이언적의「무극태극변」에 보이는 학문세계를 학술적으로 재조명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문헌분석적 연구방법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전개하였다. 첫째,『회재선생문집』제5권 잡저(雜著)에 수록된 서간문 중「서망재망기당무극태극설후(書忘齋忘機堂無極太極說後)」,「답망기당서(答忘機堂書)」에서 논쟁이 된 발단과 전개과정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이언적의 태극논쟁이 차지하는 한국철학사적 의의와 그의 유학자적 정신세계를 살펴본다. 셋째, 논쟁이 되었던「무극태극변」에 대한 이언적의 유교적 해석과 노불론(老佛論)을 주장한 조한보의 철학사상을 비교하고,「무극태극변」이 조선중기 이후에 유학의 발전에 끼친 영향을 분석한다. 넷째, 조선초 성리학의 한계상황과 이언적의 독창적인 학문세계를 밝히고, 그에 따른 연구의 시사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언적의 학문은 끊임없이 현실을 되돌아보는 실천유학의 관점에 있는 것이며, 더불어 인문정신의 발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주자학의 한국적 특성을 이루는 기초가 되었고, 중국의 아호논쟁과 달리 인간의 심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 문제로 집약되어 갔다. 특히 태극을 리(理)로 규정하면서 그 리에 능동적이며 창조적인 도덕성을 부여한 이언적의 주장은 뒷날 리를 우위에 두고 심성론을 철학의 주축으로 삼아 도덕적 가치를 강조한 이황의 철학의 토대가 되었다. 이런 점은, 선조 때 조선에 들어온 명의 사신들이 조선에도 공자, 맹자의 학문을 다룬 심학이 있는가를 물어 왔을 때 사신들에게 이언적의 글을 보여 주었던 사실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이처럼 이 논쟁에는 주자학적 이론의 깊이와 더불어 한국적 주자학의 전개에 있어서 회재사상의 심대한 가치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옥산서원과 여주이씨

        이수환 ( Lee Soo-hwan ) 한국계보연구회 2014 한국계보연구 Vol.5 No.-

        본고는 조선시대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인 옥산서원과 그 제향자인 이언적 가문에 대해 검토하였다. 경주의 驪州(驪江)李氏는 본래 경기도 驪州牧 土姓으로 고려후기까지 여주의 戶長職을 세습하다가, 고려 말에 본관을 떠나 영남으로 내려온 것 같다. 영남에 정착한 초기에는 迎日에 살다가 이언적의 조부 李壽會가 경주인 生員 李點의 사위가 되어 경주로 온 것이다. 이 가문이 경주 지방에서 확고한 재지적 기반을 갖게 된 계기는 이수회의 아들 李蕃이 손소의 사위가 되면서부터이며, 이로 인해 그의 처가 소재지인 양좌동은 마침내 손·이 양 성의 세거촌이 되었다. 경주 여강이씨 가문은 17세기 이후 급격히 족세가 번창하면서 경주권의 어느 가문보다 대·소과 합격자를 많이 배출하여 대표적인 명문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名祖 이언적이 사후에 ‘宗廟配享’[明宗]과 ‘文廟從祀’라는 人臣으로서 또는 학자로서 최고의 영예를 향유한 데서 이후 이 가문은 영남의 대표적인 명문으로 자리 잡았다. 옥산서원은 이언적 사후 경주 지역 사림들이 이언적의 학통을 계승하기 위해 1572년(선조 5)에 건립하였다. 옥산서원은 당시 慶州府尹 李齊閔이 權德麟(이언적 門人) 등 鄕中士林 13명의 건의를 받아들여 이를 監司에게 보고하자, 감사 任說이 禮曹에 狀請하여 창건하였다. 옥산서원은 설립 후 당시 조선왕조의 서원진흥책에 힘입어 급속한 발전을 보게 되었으며, 특히 제향자인 이언적이 1610년(광해군 2)에 ‘동방 5현’의 한 분으로 文廟에 종사되자 그 영향력은 더욱 크게 증대되었다. 이후 옥산서원은 막대한 경제적 기반을 토대로 경주부의 유림사회를 실질적으로 대표하면서 지역 유림들의 교육 및 정치·사회적 활동의 중심지로 역할하였으며, 나아가 당시 중앙 정계의 치열한 정쟁 속에 도산서원과 함께 영남 남인의 대표적인 서원으로서 남인의 정치적 명분 제공과 이들의 상호결집을 위한 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한편 옥산서원은 인조반정·갑술환국 등 중앙 정계의 정쟁에서 남인 세력이 점차 실세함에 따라 院勢가 상당히 위축되었지만, 영·정조 대에 와서 다시 중앙 정계로부터 주목받았다. 영·정조 두 왕은 『대학』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이때 주자의 『大學章句』의 결유된 부분을 보완하여 『大學章句補遺』를 다시 편한 이언적의 학문이 주목되면서 그를 봉양하는 옥산서원도 중앙으로부터 특별한 대우를 받았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옥산서원은 경주권을 넘어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으며, 대원군의 전면적인 원사훼철 때에도 文廟從祀諸賢의 서원으로서 남게 되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Oksanseowon, a representative academy in Youngnam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Lee clan who were responsible for Confucian ritual at the academy. The Yeoju Lee clan in Gyeongju came from Yeoju-mok, Gyeonggi-do where their ancestors lived until the late Goryeo dynasty, some of them served as Hojang in Yeoju. The clan is believed to have left Yeoju and moved to the Youngnam region around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Early in their settlement in the Youngnam region, they lived in Youngil until Lee Su Hee, grandfather of Lee Eon Jeok married to a daughter of Lee Jeom, a saengwon in Gyeongju and the entire clan moved to Gyeongju. The clan came to power in academic aspects in Gyeongju when Lee Beon, a son of Lee Su Hee, became a son-in-law of Son Soh. Finally, Yangja-dong, home to his wife’s household, became a village of residence for generations of both Son and Lee clans. The Yeogang Lee clan in Gyeongju enjoyed prosperity all of sudden since the 17th century, produced more successful examinees in national civil service exams than any other clan in the Gyeongju area, making the clan establish itself as a representative noble family. In particular, after his death during the reign of Myeongjo, Lee Eon Jeok enjoyed the highest honor as a subject to the king and as a scholar such as Jongmyobaehyang [Myeongjong] and Munmyojongsa, which was a key influence to make this clan a leading noble family in the region. Oksanseowon was built in the 5th year of King Seonjo in 1572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area after his death with the aim of inheriting academic tradition of Lee Eon Jeok. The academy was established as the then Gyeongju mayor Lee Jae Min accepted a suggestion of 13 Confucian scholars in the village including Gwon Deok Lin, a pupil of Lee Eon Jeok and reported it to Governor Im Seol E, who recommended to the Ministry of Rites. Since its foundation, Oksanseowon witnessed a rapid growth with the help of academy promotion policy of the then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especially, when its former ritual manager Lee Eon Jeok was enshrined as one of the five sages in the Orient in the 2nd year of King Gwanghae in 1610, its influence grew stronger than ever before. Afterwards, with enormous economic resources, Oksanseowon became a symbol of Confucianism in Gyeongju, playing a center of education, politics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local Confucian scholars. Beyond that, as a representative academy of the Namin camp in the Youngnam region together with Dosanseowon, Oksanseowon played a role in providing a political cause for the entire Namin camp and uniting them amid fierce political struggles in the then central government. While the academy’s influence considerably decreased, as the Namin camp began to lose power in political struggles in the central government such as Injobanjeong and Gapsulwhanguk, it drew attention again of the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reign of Youngjo and Jeongjo. The two kings had special interest in Daehak. Accordingly, while the two kings ruled, much attention was paid to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Lee Eon Jeok who supplemented missing parts of Daehakjanggu of Chu Hsi and re-complied Daehakjangguboyou, and therefore, the academy which enshrined him was treated speciall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n this situation, the academy established its firm status as a representative academy in Gyeonggju and Youngnam region and survived Daewongun’s full-scale destruction of academies and temples as an academy of sage enshrined in a Confucian shrine.

      • KCI등재

        몽암(蒙庵) 이채(李埰)의 생애와 「유도덕산록(遊道德山錄)」

        김동협 ( Donghyub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4 No.-

        이 본문은 몽암(蒙庵) 이채(李埰:1616-1684)의 생애와 그의 도덕산 유람에 대한 기록인 「유도덕산록(遊道德山錄)」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몽암(蒙庵) 이채(李埰)는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1491-1553)의 직계 후손으로서 경주 양동(良洞)에서 태어나 평생 과거 공부를 한 유생(儒生)이었다. 그는 나이 50이 되던해에 진사에 합격하여 상사생(上舍生)이 되었으나, 대과에는 실패하고 말았다. 60 세에 반천(泮薦)으로 영릉참봉(英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아니 하였고, 다음 해에 두 번이나 빙고별검(氷庫別檢)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나아가지 아니하였다. 곧 그는 평생에 관료가 되어 자기의 뜻을 펼쳐볼 수 있는 기회는 얻지 못하였었다. 그는 현종 10년(1669년)에 경주 부사 민주면(閔周冕), 진사 김건준(金建準) 등과 함께 「동경지」를 편찬하면서 찬집도감(纂集都監)을 맡았고, 현전하는 경주 『향안(鄕案)』을 최초로 만드는데, 최국추(崔國樞) 등과 함께 노력하였다. 또 노비 문제로 인해 경주부(慶州府)가 경주목(慶州牧)으로 강등된 적이 있었는데, 경주 사민(士民)을 대표하여 「경주청복구호소(慶州請復舊號疎)」를 올려 마침내 경주부로 복호(復號)하게 하였다. 그의 시문(詩文)에 대하여는 「서문(序文)」, 「행장」, 「묘갈명」을 지은 많은 사람들이 모두 평담소산(平淡蕭散)하다고 하였다. 그는 나이 27 세 되던 해인 인조 21년(1643년, 계미년) 초여름 음력 4월에 하루 동안 도덕산을 유람하고, 「유도덕산록」을 지었다. 그는 10년 전에 이미 계획을 해서 도덕산 유람을 실시했는데, 그 때는 두덕암(斗德庵)까지 갔으나, 날이이미 어두워져 정상에는 가지 못하였다. 그의 도덕산 유람 경로는 세심대(洗心臺)에서 출발해서 두덕암(斗德庵)을 거쳐 정상, 그리고 올라갔을 때와는 다른 편근(便近)한 길로 다시 두덕암(斗德庵)에 도착해서 계촌(溪村)으로 오는 행로를 택했고, 이 유람에는 성인 8명과 동자(童子) 3인 및 하인 몇 명이 수행했으며, 승려 여러 사람으로부터 길 안내, 오반(午飯), 그리고 석식(夕食) 등의 도움을 받았다. 그는 독서하는 사람이 독서하는 여가에 산수 유람을 하면, 흉차(胸次)를 열리게 할 수 있고, 문장 공부에 도움이 되며, 심지(心地)를 넓히고, 도덕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이채(李埰)의 직계 선조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이 도덕산이란 이름을 붙였고, 도덕산 아래에는 이언적을 향사(享祀)하는 옥산서원, 그리고 그의 별서(別墅)인 독락당 등이 위치해 있다. 그의 도덕산 유람은, 물론도덕산 자연 경물(景物)을 탐승하는 것이었지만, 그의 선조 회재 이언적의 도덕(道德)과 기상(氣像), 학문(學問)과 사업(事業)을 배우고 싶어하는 것도 도덕산유람의 큰 목적의 하나였다. 그리고 불교적인 것에 대한 경시 내지 하대(下待)의 입장도 견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유도덕산록」은 필자의 본 논문에 의하여 처음으로 학계에 소개되었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examined the life of Lee, chae(李埰) and Yudoduksanrok(유도덕산록) which is the recording of the Doduksan(도덕산) mountain sightseeing. Lee, chae was born in Gyeungju(경주) in 1616 and died in 1684. He was descendants of Lee, eun-juk(이언적). He also was a Confucian scholar. When he was 27 years old, He went to his Doduksan mountain sightseeing. And he produced Doduksanyuramrok at that time. He regarded mountains and waters sightseeing tour as the pursuit of learning. Lee, eun-juk lived at Doduksan mountain environs. The ancesttral tablet hall which decated a shrine to Lee, eun-juk was located at Doduksan mountain vicinity. Lee, chae respect Lee, eun-juk. Therefore he went to Doduksan mountain sightseeing. He disregarded and ignored Buddhism and mon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