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嶺南地域에서의 蘆沙學派와 寒洲學派의 成立과 學說交流

        김봉곤 한국공자학회 2007 공자학 Vol.14 No.-

        Nohsa(蘆沙) Scholars’ faction in Youngnam area was formed through Yeongnam Sarim(士林-gentlemen) increasingly keeping company with Nohron (老論-a political party). in the 19th century. Not only Jung Yeo Chang(鄭汝昌)’s family firmly tied with Kim In Hoo(金麟厚)’s family by marriage but also many scholars all around Jinju, Sancheong and Hapcheon including Jo Sung Ga(趙性家), Choi Sook Min(崔琡民), Jung Jae Gyoo(鄭載圭) and etc. Most of Nohsa Scholars’ families in Youngnam area tried to make scholarly achievement based on their economical success around the 19th century. They made strong connection with Nohron families in that area based on their scholarly power and extended their activity spaces by conducting various activities in that area where Jo Sik and Jung Yeo Chang were respected. Gi Jung Jin’s philosophy of Li-Yil-Li-Bun-Soo(理一理分殊) and idea of Wi-Jung-Cheok-Sa(衛正斥邪) deeply influenced Hanju Scholars’ Faction. For although Hanju(寒洲) Scholars’ Faction in 1870’s period was formed in Youngnam area by the scholars including Heo Yu(許愈), Gwak jong suk(郭鍾錫), Lee Jeong Mo(李正模) etc, facing to Lee Hwang(李愰) scholars’ attact to the theory of mind equal to reason(心卽理), Hanju Scholars’ Faction wanted to firmly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faundation by suppoting Nohsa(蘆沙)’s theory. Therefore in the theory Hanju(寒洲) Scholars’ Faction was similar to Nohsa(蘆沙) Scholars’ faction and Heo Yu(許愈), Gwak jong suk(郭鍾錫) was deeply tied with Jung Jae Gyoo(鄭載圭) in the many sides including political, social, scientific activites. 본고는 19세기 후반 전반적으로 주리설이 확산되는 배경하에 영남지역에서 기호학파인 노사학파와 심즉리설을 주장한 한주학파가 어떻게 성립되었으며, 두 학파간에 어떠한 학술 교류를 진행하였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먼저 영남지역의 노사학파는 영남 사림들이 기호학통 계통의 인물들과 활발히 교유하면서 형성되었다. 기정진 대에는 함양의 정여창 가문과 장성의 김인후 가문이 혼반관계로 연결되어 있어서 함양의 사림들이 기정진을 자주 찾아오기 시작하였다. 이후 함양의 정여창 가문과 가까운 산청의 여흥민씨 가문을 비롯해서 진주의 趙性家, 崔琡民이 찾아오고, 합천에서 鄭載圭 등이 찾아오면서 노사학파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대체로 영남의 노론가문 출신으로, 왜란 때 창의하였거나 이괄의 난 등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웠으나, 상당기간 동안 영락한 집안의 후손들이었다. 이들은 당대나 부친 대에 재산 형성에 성공하고 학문을 통해서 영남지역에 다시 두각을 나타내고자 한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학문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이 지역 노론 가문과 연대를 강화해 나갔으며, 조식과 정여창을 숭앙하는 기풍이 강한 이곳에서 그들의 선양 활동을 다양하게 전개해 갔다. 그러한 결과 하동, 진주, 산청, 함양, 합천, 의령 일대에 노사학파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지고, 많은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한편 한주학파는 寒洲 李震相(1818-1886)이 1870년에 이르러서야 허유 등에게 비로소 적극적인 강학활동을 전개하면서 형성되었다. 그러나 영남 서부 지역은 오랫동안 퇴계학설의 영향이 깊은 곳으로 이진상의 심즉리설이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이진상은 자신의 심즉리설이 주자와 퇴계설의 근본 취지를 계승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이진상이나 그의 문인들은 정재규와의 논쟁을 통해 호남의 저명한 성리학자였던 기정진으로부터 자신들의 학설을 입증받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진상의 호발설이나 명덕, 지각설 등이 기정진에 의해서 검토되었고, 이진상이나 허유, 곽종석 등은 기정진의 학설중에 사단칠정을 리발로, 명덕을 리로, 지각을 리의 작용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남 지역 노사학파는 지각설이나 심설에 대해서 이진상의 학설과 밀착되게 되어 기정진의 학설이 더욱 주리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영남지역 노사학파와 한주학파는 이진상 사후에도 지속적인 교류가 이루어져 노사학파의 조성가와 최숙민, 정재규, 그리고 한주학파의 허유, 곽종석간에 밀접한 교분이 있게 되었다. 특히 정재규는 허유와 함께 삼가지역의 학문을 이끌면서 함께 조식을 크게 선양하였으며, 곽종석과도 자주 성리학과 시국에 대해 토론하였다.

      • KCI등재

        조선시대 영ㆍ호남의 학문과 사상 교류

        고영진 ( Koh Young-ji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0

        조선시대 영남과 호남의 학문·사상 교류는 시기별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졌는데 이 글은 영·호남의 학문과 사상 교류를 두 시기로 나누어 16-17세기 전반의 시기는 지방관 역임과 유배, 교제와 서신 등을 중심으로, 17세기 중반 이후의 시기는 서원과 예송, 서적과 학파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먼저 16-17세기 전반 시기 지방관 역임을 통한 교류는 김종직과 노진, 김성일 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유배를 통한 교류는 김굉필과 노수신, 교제·서신을 통한 교류는 이현보와 이황, 박영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당시 영남과 호남의 성리학은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이론적으로도 당대 최고 수준이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김종직·김굉필·이황 등의 영남사림과 김인후·이항·기대승·유희춘 등 호남사림과의 활발한 학문·사상적 교류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영남과 호남의 학문·사상 교류는 16세기에는 학파와 당파를 초월해 폭넓게 이루어졌다. 또한 17세기 전반까지만 하더라도 조선사회는 서로 다른 붕당끼리 혼인도 자유스럽게 하고 학문 교류도 활발히 하였는데 이는 성리학과 예학을 비롯한 학문·사상의 수준을 높이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중반 이후 서인·노론으로의 권력 집중과 붕당 간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영·호남의 교류도 점점 그 폭이 좁혀져갔다. 그리하여 주로 영남남인과 남인계 호남사림(호남남인) 간에 교류가 이루어졌는데 서원과 예송, 서적·학파 등을 통한 교류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서원을 매개로 한 교류는 경현서원과 미천서원, 자산서원 등의 경우를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예송에서도 남인계 호남사림과 영남남인은 예학적 입장을 같이 하며 학문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또한 서적과 학파를 통한 교류는 『반계수록』을 둘러싼 유형원·배상유·이현일·최흥원 등의 교류와 영향, 기정진학파의 문인집단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유형원은 학문적으로 배상유와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반계수록』은 이현일과 최흥원 등에게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또한 17세기 중반 이후 독자적인 학파를 형성하지 못한 호남사림이 다시 학파로 결집되는 것은 한말 기정진에 가서였는데 기정진학파는 16세기 호남사림의 인맥과 학맥이 다시 결집되는 양상을 보일 뿐만 아니라 영남지역의 학자들도 대거 문인을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조선시대 영남과 호남은 학문·사상적으로 또는 정치적으로 교류·제휴하면서 중기에는 사림의 시대를 열고 성리학을 심화·발전시키는 데 기여하였으며 후기에는 서인·노론의 권력 집중화에 반대하고 한말에는 위정척사사상을 내세우며 제국주의의 침략에 저항하는데 함께 하였던 것이다. There are various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in Joseon Dynasty. This study looks into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focusing on the work of local official, exile, friendship and letter during the 16th century and the early 17th century. and also focusing on Seowon and Yesong(Ritual disputes), book and school after the middle 17th century. First, I look into the exchanges of local official work by Kim Jong-jik and No Jin, Kim Seong-il. Second, I look into the exchange of exile by Kim Goeing-pil, No Soo-shin, and the exchanges of friendship and letter by Yi Hyeon-bo, Yi Hwang, Park Young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In those days Neo-Confucianism developed diversely and reached highest level. This owes to vigorous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sarim like Kim Jong-jik, Kim Goeing-pil, Yi Hwang and Honam sarim like Kim In-hoo, Yi Hang, Ki Dae-seung, Yoo Hwi-choon. The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is made widely beyond the school and faction. Even until the 17th century the people married opposite faction without reserve, and had vigorous scolastic exchange. This largely contributed to raise the level of learning and thoughts as Neo-Confuciansm and Yahak(Ritual thoughts). But as the concentration of power to Seoin Noron and the conflict of factions were intensified after the middle 17th century, the width of the exchange came to be narrowed. Therefore mostly exchanges between Youngnam namin and Honam namin were made by Seowon and Yesong, book and school. First, the exchanges through Seowon could be looked into by Kyeonghyeon seowon and Micheon seowon, Jasan seowon. Honam namin and Youngnam namin had a effect academically each other in Yesong too. In the case of book and school there were exchanges and effects of Yoo Hyeong-won and Bae Sang-yoo, Yi Hyeong-il, Choi Heung-won, and the members of Ki Jeong-jin School. Yoo Hyeong-won had a effect with Bae Sang-yoo academically and 『Bangyesurok』 affect on Yi Hyeon-il and Choe Heung-won. Honam sarim which had no independent school was concentrated into Ki Jeong-jin School in the middle 19th century. Ki Jeong-jin School shows that personal connections and academic line of Honam sarim in the 16th century were concentrated and also scholars in Youngnam region participated in Ki Jeong-Jin School. Like this Youngnam and Honam scholars have scolastic and intellctual, polical exchanges. They opened the period of Sarim and contributed to develop the Neo-Confucianism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They also opposed the concentration of power of Seoin Noron in the late Joseon and resisted the invasion of the imperialism together.

      • KCI등재

        기호 영남학파의 율곡 리통기국(理通氣局) 비교 연구

        서원혁 ( Suh Won-hyu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6 No.-

        율곡 이이의 이기론은 이와 기의 관계성에 따라 이기지묘(理氣之妙), 기발이승(氣發理乘), 리통기국(理通氣局)으로 집약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위의 3가지 이론 중 하나인 리통기국에 대해 기호학파에서 전개된 양상과 영남학파에서 연구된 양상을 비교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먼저 율곡 이기론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리통기국이 기호학파와 영남학파에서 각각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과정으로 진행하게 된다. 기호학파의 양상은 직전제자인 사계 김장생를 비롯해 우암 송시열에서 나타난 형태를 살핀 후 수암 권상하 문인들 사이에서 벌어진 인물성동이논쟁에서 리통기국이 어떤 변화 과정을 거치는지를 탐구한다. 이어 영남학파에서 연구되어지는 리통기국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먼저 동시대를 살았던 갈암 이현일과 우담 정시한이 생각한 리통기국에 대해 연구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성리학 체계를 유지했던 한주 이진상를 통해 어떻게 탐구했는지 여부를 살핀다. 율곡학을 계승했던 기호학파는 주로 리통기국을 수용 또는 계승의 측면이 강했다면 퇴계의 영향을 받은 영남학파는 그 자체에 대해 반대적 비판 입장을 취하면서 그 필요성 자체에 대해서도 부정하기도 했다. 기호학파는 그 전개 양상이 직전 및 제전제자들은 이를 수용, 계승하려 한 반면 이후 후학들은 리통기국에 대해 해석을 달리하며 그 의미를 확충해 나갔다. 반면 영남학파는 리통기국에 대해 아예 의미 없다고 밝히며 부정한 것은 물론 그 용어를 변용하여 완전히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등 율곡비판의 한 부분으로 간주하면서 그 의미 자체를 용납하지 않기도 했다. 율곡의 리통기국 철학은 그의 사상에서 백미라 할 수 있지만 그 전개양상은 기호학파와 영남학파에서 각기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The RiGi Theory of Yuguk Yi I is concerned Rigizimyu, Gibarisung, Etonggikuk. and focused on three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aspects developed by the Kiho School with those studied by the Youngnam School for The Etonggikuk of the three above theories. First, we will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Yulgok's egotism, and then we will analyze how it was developed in this school of Kiho and the school of Youngnam. The phenomenon of the kiho shoool is explored by Kim Jang-saeng, a former disciple, and Uam, Song Si-yeol, and how the Inmusungdongyinonjang, which took place between the writers of Suam Kwon Sang-ha, goes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Then It will discuss the Etonggikuk, which will be studied by the Youngnam School. First of all, we will study the lyrical organs of Galam Lee Hyun-il and Udam Jeong-han who lived in the same era. It will look at how he explored the Etonggikuk through Hanju Lee Jin-sang, who maintained his own unique sexuality system. The Kiho school, who inherited Yulgok, were mainly based on his acceptance or critical succession about the Etonggikuk. On the other hand, the Youngnam School, which was influenced by the Toegye, took a negative stance against the school itself and denied the need. The development of Kiho school is as follows. The immediate disciples succeeded in accepting this. Since then, the latter schools have expanded their meaning by interpreting different things. On the other hand, the Youngnam School didn't mean in the Etonggikuk of Yulgok and Used in a different sense. They didn't condone it. Although the Etonggikuk of Yulgok is the best part of his thought, The development is very different from the Kiho and the Youngnam School.

      • KCI등재후보

        영남지역 서원의 정치사회적 성격

        김학수(Kim Hak-su) 한국국학진흥원 2007 국학연구 Vol.11 No.-

        조선시대의 서원은 교육과 존현尊賢이라는 두 가지 기치 하에 출범하였지만 17세기 이후 사림정치가 본격화되면서 서원의 기능도 크게 확대 되어 갔다. 이 글은 조선시대 서원문화가 가장 먼저 시작되었고, 또 가장 많은 서원을 보유하였던 영남지역 서원의 정치사회적 성격을 검토한 것으로 시기적으로는 17세기 초반인 광해군 연간에서 18세기 후반인 정조 연간에 이르는 조선후기가 중심을 이룬다. 먼저 사회적 성격으로는 17세기 이후 심화되었던 위차논쟁에 주목하였다. 위차논쟁은 단순히 예식상禮式上의 문제가 아니라 학통學統 내지는 도통道統의 전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됨으로써 논쟁도 그만큼 치열하게 전개되었던 것이다. 1620년 유성룡ㆍ김성일의 여강서원 합향논쟁은 원향체계와 학통의 상관성을 극명하게 보여준 사례였다. 물론 ‘애동학서厓東鶴西’로 위차를 정하는 과정에서 마찰이 적지 않았고, 이런 갈등은 후일 전개되는 ‘병호시비 屛虎是非’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지만 양인의 합향은 유성룡ㆍ김성일계가 조목계와 더불어 퇴계학파의 주요 문파門派의 하나로서 위상을 제고하는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 그리고 장현광의 임고서원 병배논쟁?配論爭은 여헌문인들의 극렬한 사문추양론에서 기인하는 것이지만 병향론의 명분으로 제시되었던 ‘불유사승론不由師承論’은 기존의 도통체계에 대한 일종의 거부감을 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되는 현상이었다. 지금까지 우리는 영남학파[퇴께ㆍ남명학파]의 학통을 퇴계ㆍ남명이라는 양대 구도 속에서 이해하려는 경향이 컸었는데, 임고서원 병배논쟁은 이와는 사뭇 다른 성격을 보여주고 있었다. 조선후기 영남서원의 정치적 성격과 관련하여 주목할 것은 서인계 서원의 양적 증가와 기호학통의 확산이었다. 통상적으로 영남은 정치적으로는 남인세가 강했고, 학문적으로는 퇴계학파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인조~숙종조를 거치면서 상주ㆍ진주 등지를 중심으로 서인세가 크게 확산되었다. 영남내 서인계는 크게 서인 기호학파로서 영남으로 이거한 세력과 원래남인 퇴계학파로서 서인 기호학파로 정치ㆍ학문적 입장을 전향한 세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영남내 서인 공론公論을 대변하며 남인계와 대립하는 가운데 자신들의 정치ㆍ사회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원우 건랩에 박차를 가했는데, 숙종 이후 영남지역에 이이ㆍ김장생ㆍ송시열ㆍ송준길 등 서인 기호학파의 거물들을 제향하는 서원이 상당수 건립된 배경도 여기에 있었다. 특히 영조~정조 연간에 발생한 진주 종천서원 하홍도河弘度 출향黜享 사건은 영남지역에 친서인제[친노론계] 세력을 부식시켜 자파의 외원으로 삼고자 했던 노론들의 정략이 개입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정치사적 의미가 매우 큰 사건이었다. The high level education system of the Joseon Dynasty(1392-1910), the private academy Seowon(書院), with two principals of education and respect for great Confucian masters(尊賢), had extended its function after 17th century when the literati or Confucian scholars had appeared as a major political subject in the politics of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o-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private academy Seowon in Yeongnam Province from the early 17th century in the reign of Gwanghaegun and early 18th century in the reign of the King Jeongjo which was the birthplace of the educational system of Seowon. First, the writer gives focus on the Confucian ritual issues raised in the court after 17th centry which reveal the social features of the Seowon or the Confucian group at the time. The debate of the Confucian ritual process in the court was not about the format of the ritual but about the orthodox of the learning of the Confucianism or Tao; therefore the issue produced a heated controversy among counterparts. The debate of the placement of the memorial tablet of Yu Seongnyong and Kim Seongil in 1620 is the typical case which showed the connectedness between the ceremony for the respect for the late Confucian scholars and the school ties. The placement of each memorial tablet of Yu Seongnyong and Kim Seongil to the direction of the East and West caused steep discussion among their students and later became another cause of the dispute between two academie of Byeongsan and Hogye(屛虎是非)over the tablet placement of four Confucian scholars in the Confucian Shrine in 1805. But the practice of the tablet placement of Yu Seongnyong and Kim Seongil in the same academy means that they were positioned in tie school tie with Tyoegye Yi Hwang. Many papers dealing with the school ties among private academies in Yeongnam province understood their scholastic lineage from Yi Hwang and Jo Sik, but the issue of the respect ceremony for jang Hyeongwang in tile Im-go Seowon could not be explained through former theoretical framework because the students of Jang Hyeongwang suggested that the respect ceremony not be performed i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political feature of the private academies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l7and 18th centuries were the expansion of the academies and the spread of the Kiho school over the country. While usually the Namin faction politically dominated the census of Yeongnam province and academically Tyoegye school had power among literati, Seoin faction gradually had got the power in the area of Sangju and Jinju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and Sukjong. The Seoin faction in the Yeongnam province was constituted by some of former members of Kiho school who moved to the Yeongnam province and former members of Namin Tyoegye school who changed their political and scholastic favors to Seoin Kiho school. With the political purpose to extend their statue against the Namin faction in the Yeongnam province they positively launched the foundation of the academies following their favorite Confucian masters such as YI Yi, Kim Jangsaeng, Song Siyeol, Song Junkil who are categorized into Seoin Kiho school. In particular, the displacement of the memorial tablet of Ha Hongdo in the Jongcheon Seowon, Jinju, was a political scandal that Noron faction tried to extend their political power destroying the foundation of the pro-Seoin faction in the Yeongnam province.

      • KCI등재

        영남학파 문인록을 통해 본 조선후기 문인집단의 확대와 변화

        김지은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5

        이 글은 영남학파 문인록을 통해 조선후기 문인집단의 변화와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17세기에는 성주권의 정구와 장현광, 상주권의 정경세를 중심으로 한 문인집단이 영남학파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고, 18세기에는 그 무게감이 안동권의 이현일과 이상정의 문인집단으로 옮겨졌다. 이 시기 문인집단은 해당 학자의 주 근거지 및 학문적‧정치적 행적에 따라 규모와 범위 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침체한 진주권의 남명학파를 흡수‧통합하는 경향을 보였다. 19세기는 지역별 학맥에 연원을 둔 분화 양상을 보이며 안동의 류치명과 김흥락, 상주의 류주목, 칠곡의 장복추, 성주의 이진상, 김해의 허전을 중심으로 문인집단을 형성하였다. 해당 학자의 학맥과 활동 지역을 중심으로 문인집단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17세기부터 이어진 학파별 문인의 중첩현상은 19세기에도 이어졌다. 변화 과정에서 확인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인집단 권역에 포함된 지역의 범주가 영남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문인집단의 규모가 17세기와 19세기를 기점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인집단의 가학적 성격이 뚜렷해졌으나 질적 수준과 연관되는 과거 합격 및 관직자의 비율은 대폭 감소하였다. 이는 문인집단의 위상과 영향력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문인록의 자료적 한계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또 19세기 다양한 사회 변화에 따라 영남학파 내에서 학문 그 자체를 향유하는 ‘독서인’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 또한 중요한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독서인의 성장과 학적 네트워크로의 포함은 19세기 말~20세기 초, 대규모 결속력을 바탕으로 한 문인집단의 척사운동과 국권회복운동 등 다양한 대응에 기반이 되었다. 바로 이점이 19세기 영남학파 문인집단이 갖는 역사적 의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ciple group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record of disciple of the Yeongnam School. In the 17th century, the disciple group centered on Jeong Gu(鄭逑), Jang Hyeon-gwang(張顯光) in Seongju(星州) , and Jeong Gyeong-se(鄭經世) in Sangju(尙州) was the mainstream of the Yeongnam School, and in the 18th century, the weight was shifted to Lee Hyeon-il(李玄逸) and Lee Sang-jung(李象靖)'s disciple group in Andong(安東). During this period, the disciple group differed in size and scope depending on the scholar's main base and academic and political activities, and tended to absorb and integrate the stagnant Nammyeong School in Jinju(晉州). In the 19th century, a group of disciples was formed around Ryu Chi-myeong(柳致明) and Kim Heung-rak(金興洛) in Andong, Ryu Jyu-mok(柳疇睦) in Sangju, Jang Bok-chu(張福樞) in Chilgok(漆谷), Lee Jin-sang(李震相) in Seongju, and Heo Jeon(許傳) in Gimhae(金海). A group of disciples was formed around the academic background and activity area of the scholar, and the overlapping phenomenon of disciples by school continued in the 19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change are as follows. First, the category of regions included in the disciple group area expanded throughout Yeongnam. Second, the size of the disciple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17th and 19th centuries. Finally, the family scholarly character of the disciple group became clear, but the quality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will not be irrelevant to the data limitations of the record of disciple, which reflects the intention to show off the status and influence of the disciple group. In addition, due to various social changes in the 19th century, the increasing number of "a reader of books" who enjoy learning itself within the Yeongnam School would have been an important factor. The growth of a reader of books and their inclusion in the academic network formed the basis of the various response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cluding the movement to eradicate disciple groups and the movement to restore national rights based on large-scale solidarity. This i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disciple group of the Yeongnam School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영남학파의 『소학』 중시가 가진 철학적 특징과 교육적 함의

        이상호(李相虎)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8

        이 논문은 주자학과의 차별적 특징으로서 영남학파가 가진 철학적 특수성을 『소학』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주희의 주자학 체계 내에서 『소학』은 ‘도문학 공부’의 필요성에 대한 것으로, 주로 ‘이치를 궁구’하는 단계인 『대학』의 이전 공부 단계 정도로 한정된다. 더불어 공부의 대상 역시 ‘어린아이’에 한정되며, 그 내용은 ‘개별 상황에서의 행위 양식을 직접 몸으로 익혀 습관처럼 행동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중심을 이룬다. 특히 여기에서는 왜 그러한 행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치’공부는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소학』은 철저하게 『대학』으로 이행되어야 하는 과정으로서의 공부에 불과했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정몽주와 길재를 잇는 사림파들에 의해 특히 『소학』이 강조되었고, 이들이 이후 조선의 학계와 정계를 지배하면서 『소학』은 그들의 정신세계와 가치를 강조하는 책이 되었다. 특히 이황과 그의 학맥을 잇는 영남학인들에게 있어서 『소학』은 사서四書의 반열에 오른 책이되었다. 『소학』을 통해서 충분하게 성인됨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함으로써 독자적인 경전으로 인정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주자학에 입문하면서 반드시 가장 먼저 공부해야 하는 ‘중요한 경전’이 되었던 것이다. 특히 이황은 『소학』을 단순한 ‘도문학 공부’의 영역에만 한정시키지 않고 ‘경’을 완성시켜가는 ‘마음 공부의 요체’로 설명함으로써 주자학과는 뚜렷한 이론적 차별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은 주자학의 교육에 있어서도 기초와 기본을 강조하며, 공부의 궁극을 ‘실천’에 두는 모습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학문적 특징은 퇴계학을 모토로 하는 영남학파의 중요한 성격으로 자리잡는다. 특히 영남학파는 ‘마음’을 강조하는 철학적 특징으로부터 출발하여 그것에 기반한 강한 실천력을 자랑하게 되는데, 이것은 곧 ‘소학 교육’의 특징과 일맥상통하는 영남학파만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that Yeongnam School different from Zhuxi’s Philosophy involves, focused on the perception for Sohak. Sohak in the system of Zhuxi’s Philosophy is mainly defined in the study stage degree before Daehak which is stage ‘investigating thoroughly principle’, as for the necessity of ‘Knowledge of Learning(Domoonhak)’. Moreover, object of study is limited in ‘children’, a core of the content is ‘to get well enough to behave like habit, becoming proficient directly by the body patterns of behavior in the separate situation’. Specially, There isn’t involved ‘principle’ study, why should do such a behavior. Thus, Sohak was merely study as the course which should be made a transition to Daehak. However, in the Joseon dynasty, specially Sohak was emphasized by Sarim faction that succeeds Jeong Mong-ju and Giljae, followers of Sarim faction control the academia and the political world of Joseon dynasty, so that Sohak became book which emphasizes their the world of spirit and value. Sohak, for Yeongnam scholars that suc ceed Yi-Hwang and his scholastic vein, became book which rises to the grade of The Four Books. By believing thought enough to become saint through Sohak, it was accepted as independent scripture, through it, Sohak become the first ‘an important scripture’ which has to study when enters Zhuxi’s Philosophy. Yi Hwang doesn’t limits simply Sohak only in the domain of ‘Knowledge of Learning’, but shows theoretical distinction from Zhuxi’s Philosophy by interpreting Sohak as ‘main point of study of mind’ which completes ‘Gyeong敬’. For education of Zhuxi’s Philosophy, these characteristics emphasize basics, and come out look which puts finality of study on ‘practice’. These scientific characteristics entrench as an important character of Yeongnam School which makes Toegye’s Philosophy their motto. Specially, Yeongnam School prides on strong action that bases on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of it, starting from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which emphasizes ‘mind’, these is only characteristic of Yeongnam School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characteristic of ‘Sohak education’.

      • KCI등재

        한강(寒岡) 정구(鄭逑)에 관한 한국사 분야의 연구 회고와 전망

        정재훈 ( Jae Hoon J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嶺南學 Vol.0 No.25

        본고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학자였던 한강(寒岡) 정구(鄭逑)에 관해서 한국사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의 추이와 앞으로의 연구 전망에 대해 살핀글이다. 정구는 조선 중기의 영남을 대표하였던 대학자이자 경세가였다. 영남 학문의 연원이 되는 퇴계를 기준으로 할 때도 그의 대표적인 제자 가운데 하나였다. 따라서 그에 대한 연구는 조선시대의 영남의 학문과 사상, 영남사림의 실천을 염두에 둘 때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더구나 정구의 학문은 영남을 넘어서 기호의 남인에게 전파되어 전국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고 있는 형편이다. 종래 한국사 분야에서 정구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그의 학문적 위상을 고려하여 그가 관심을 가졌던 예학, 지리학, 영남학파 내에서의 위상, 사학사, 경세관 등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개인에 대한 연구가 동시기 관련 학파에 관한 연구의 대표성을 띤다는 점에서 그에 대한 주목은 앞으로도 계속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정구의 예학에 대해서는 당대에서 정구의 주장과 후대에서 주목되는 그의 주장을 구분하여 살필 필요가 있다. 또 이론만이 아니라 예학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천하였는지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예의 실천과 관련하여 그의 지방관으로서의 경험을 연결하여 살필 필요도 있다. 또한 정구가 관심을 가졌던 읍지의 편찬이 동시기 사림들이 향촌사회에 대해 가지고 있던 구상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살필 필요가 있다. 읍지의 편찬은 앞으로 지방을 이끄는 방향을 제시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정구는 영남의 좌도와 우도, 영남남인과 기호남인의 매개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므로 그 문인들에 대한 입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Examined in this study are Korean historical studies done upon Hang’gang(寒岡) Jeong Gu(鄭逑), who was a renowned philosopher and scholar in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lso included in this article is a contemplation made upon future research prospects. He was a significant scholar representing the Yeongnam region and had a vision of how to govern the world. He was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disciples of Twegye Yi Hwang. He is a crucial figure in the studies of the Yeongnam region’s academic traits, philosophy and the actions made by the Yeongnam Sarim circle. Jeong Gu’s studies spreaded to the Southerners in the Giho region as well, and had country-wide influences. Past studies on him, in the area of Korean history, examined many aspects of his, such as his ritual protocol studies, his geographical works, his status in the Yeongnam school, his historical writings, and his perception of the world and his ideas that concerned how to govern it. More studies need to be done in the future. Especially, studies of Jeong Gu’s ritual protocol theories should try to differentiate his arguments which were considered important during his time, from his other arguments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today. And not only his theories but also how he tried to apply them to real life situations, especially during his services as a local governor, should be examined as well. Jeong Gu was very much interested in publishing local county almanacs, which shows how the people of the time viewed the local communities. This aspect of his efforts should be examined more in the future, because all these almanacs signified which kind of direction would be taken in the governance of local regions. Jeong Gu also served as a sort of intermediary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Yeongnam region (Jwa-do and Wu-do provinces), and between the Southerners in the Yeongnam and Giho regions. So more studies should be done upon Jeong Gu’s disciples as well.

      • KCI등재

        영남 유학과 기호 유학의 소통 사례와 지역갈등 융화 방안

        김문준 ( Kim Moon Jo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4

        한국사회의 동서 지역 갈등을 극복하는 지속적인 소통 노력은 여전히 필요한 일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과거 한국 역사에 내재한 왜곡과 갈등의 역사를 수정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가운데 한국철학사상사 인식에서도 일반인들의 왜곡된 이해를 바로잡는 노력이 필요하다. 과거에 조선시대 한국 성리학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는 학파와 지역을 연계하여 영남학파ㆍ기호학파로 양분하고, 다시 학파와 정파를 연계하여 영남학파-남인, 기호학파-서인으로 양분하여, 이 양자를 지속적인 갈등 관계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다. 이러한 왜곡된 이해는 수정되어야 한다. 동서(東西) 개념과 이와 연관한 학문 분화, 정치 갈등에 내재한 오해와 과장된 갈등 구조는 수정되어야 한다. 선조때 정치권이 동서(東西) 분당(分黨)이 되었는데, 이 때의 동서는 서울 내에서의 동서 지역을 의미하며, 영남(동)과 기호(서)가 아니다. 당시의 동서 분당과 영호남 지역인의 지역 분열은 관계없는 일이다. 사실 한국 성리학을 대표하는 많은 유학자들이 학파-정파-지역을 넘어 친밀하게 교류한 사례가 많다. 조선 중기의 조식과 성운, 이황과 기대승, 이황과 이이, 노수신과 이이, 조선 후기의 정경세와 김장생, 정경세와 송준길, 조선말의 곽종석과 김복한 등 당대를 대표하는 선비들은 서로 인격 존숭과 학문 교류에 기초한 친교가 깊었다. 이들 기호ㆍ영남 인사들의 친교 사례는 조선 선비들의 인격과 학문과 정신세계의 높은 수준을 표현하고 있다. 오늘날 이러한 한국 전통의 정신적 문화적 무형 자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앞으로 영남(경상)-경기-호남(전라)-호서(충청) 지역의 선비들의 교류와 소통 사례를 더욱 발굴 홍보하여 영호남 화합의 정신문화적 토대로 활용해야 한다. 그 구체적 활용 방안으로는 동서 유학자들의 친교와 관계된 양 지역 지자체의 기관 교류, 공동 기념행사, 양 지역 유학자들의 명가(名家) 교류, 양 지역 박물관의 동서 화합 특별전 개최, 지역 축제 공동 개최, 공동 문화 프로그램 운영, 양 지역의 서원교류 등 선현들의 교류를 홍보하고 공동 사업으로 활용해야 한다. It is as necessary as ever to make constant efforts to overcome the regional strife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Korea and come to a mutual understanding. To achieve this, we must endeavor to correct Korean people`s distorted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ical thoughts. Ordinary Koreans commonly and mistakenly associate the academic circles of Korean Neo-Confucianism with certain regions by which to divide them into Giho School and Yongnam School and then go as far as associating the schools and parties and pegging them `Namin`(南人) to refer to as the followers of Yongnam School and `Seoin`(西人) as the followers of Giho School. Such false notions must be correc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political factions of Joseon were split into Yongnam and Giho, or East and West. At the time, the two cardinal directions East and West were only used to refer to the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Seoul, and not Yeongnam(East) and Giho(We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factional split at the time has nothing to do with regional cleavages. In fact, a majority of scholars representing Korean Neo-Confucianism maintained a friendly relationship regardless of the school, party, and region. Many leading scholar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namely Jo Sik(曺植)/Seong Woon(成運), Lee Hwang(李滉)/Ki DeaSeung(奇大升), Lee Hwang(李滉)/Lee Yi(李珥), Noh Susin (盧守愼)/Lee Yi, the on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ong Gyeong Se(鄭經世)/Kim Jang-Saeng(金長生), Jeong Gyeong Se(鄭經世)/Song Joon Gil(宋浚吉), and also those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Kwak JongSeok(郭鍾錫) and Kim BokHan(金福漢) deeply respected each other and had a close friendship rooted in their academic commitment. The friendship between the leaders of Giho and Yongnam is a testimony to the high level of their character,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llect. More than ever, such intangible intellectual and cultural resources drawn from Korean tradition must be utilized to the fullest. From this point on, we need to further promote the friendship and mutual understanding the scholars of Yongnam(Gyeongsang-do), Gyeonggi, Honam (Jeolla-do), and Hoseo(Chungcheong-do) enjoyed, and use them as a cognitive basis for harmony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the country . These invaluable assets can be specifically used in the promotion of exchange between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of the regions where above-mentioned scholars built an amicable relationship, joint commemorative events, exchange between families of the scholars of both regions, opening of special exhibitions dedicated to the harmony between Yongnam and Giho at museums in the two regions, co-organization of local festivals, joint operation of culture programs, and relationship and exchange between the `seowons` in both regions, through which to promote the long history of exchange between the scholars of the past and utilize it in joint projects.

      • KCI등재후보

        “東儒學案”의 學派 分類에 관한 考察

        최일범 한국유교학회 200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21 No.-

        It was edited by Hageamjin(河謙鎭, 1870-1946), ≪Tonguyhakahn(東儒學案)≫ divided korea 151 confucianist to a School and is composed by three book and 23 chapters. Each deal with a school of korean confucianism has many things. First, It described about source of each school, and told lifetime, and a specific character of representive scholars. also we can show many thesis about represetive the thought. There a few specific characters about ≪Tonguyhakahn≫'s school composition. 1. Lihak(理學) is a Confucianism's direct line and Jujahak(朱子學) was compiled with a point of view that it is also a Confucianism's direct line. 2. It was basised by Teoge's school(退溪學派). 3. It was compiled by subjectivity and Daeiltong(大一統)'s views. Hageamjin compiled ≪Tonguyhakahn≫ vision of Teoge's school belong to him and closed in with vision of a character and so there is a problem to shortage of objectivity. Although this problem, ≪Tonguyhakahn≫ has its value about korean confucianism's only deal with a school of korean confucianism, and there is a meaning that it is a importance material for korean confucianism's schools and recognition of Teoge's school. 동유학안은 한국유학사에서 유일한 학안으로서 河謙鎭(1870-1946)에 의해 편집되었다. 동유학안은 한국의 유학자 151명을 학파에 따라 분류하여 상・중・하 3책, 2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학안에는 먼저 각 학파의 연원에 대해서 간략하게 서술하고 그 학파를 대표하는 학자들의 생애와 학문의 특성을 말하고 그 사상을 대표하는 중요한 논문 등을 揭載하여 각 학파의 학문과 사상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東儒學案의 학파 구성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이 있다. 첫째는 理學(道學, 性理學, 義理學)이 儒學의 正統이며, 朱子學이 또한 理學의 正統이라는 道統論的 觀點에서 편찬되었다는 것이며, 둘째는 陶山學派(=退溪學派) 중심의 편찬이라는 것이며, 셋째는 人物과 道統을 중심으로 한 主觀的, 大一統的 觀點의 編纂이라는 것이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河謙鎭은 자신이 속한 陶山學派를 중심으로 東儒學案을 편찬했으며, 학파간의 차이를 學問的 觀點에서 접근하기 보다는 人物과 道統을 중심으로 접근함으로써 객관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東儒學案은 조선유학의 유일의 학안이라는 가치가 있으며, 朝鮮儒學의 學派와 學脈에 대한 當時 嶺南學派(=退溪學派)의 認識을 살필 수 있다는 점에 그 意義가 있다.

      • KCI등재

        영남 남인 권상일의정치사회적 활동과 위상

        우인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민족문화논총 Vol.62 No.-

        Cheongdae Gwon Sang-il was a Namin(南人) government official and scholar that had the most thorough reverence and will for the succession of Toigye Lee Hwang and exhibited considerable interest and pride in the Youngnam(嶺南) region and its people. He made several difficult attempts at the state exam, finally passing it and holding a government position. Since the Youngnam Namins no longer dominated in the central political arena those days, his life as a government official was naturally not a smooth one.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Lee Hyeon-il, the leader of the Youngnam Namins, failed to escape from the yoke of being a criminal, meaning that those who were under his influence had to suffer. Moreover, they were subjected to an even harsher ordeal due to the fact that many Namins were involved in the revolt by military officials in the early days of King Yeongjo's rule. It was fortunate that Gwon was slightly distant from those two events. He was from Sangju, distant from Ahndong, and did not learn under Lee Hyeon-il. During the revolt by military officials, he made some contributions to the suppression of the revolt as the Suryeong of Jeolla Province. In that background, he started to attract attention as a figure to represent the Youngnam Namins. When King Yeongjo decided to appoint some Namins according to his Tangpyeong policy, he received special treatment from the ruling class as well as the king. Having the intention of ruling over the balance of factions, King Yeongjo found a solution to check the solo lead of the Norons in the Namins of the Youngnam region. It was Gwon that was equipped with desirable conditions including outstanding academic skills and literary background among the Youngnam Namins. Supported by those circumstances, his status grew higher and higher. Gwon attracted attention from the political circles because he earned trust from the Namins and Sorons in the Geungi area by having exchanges with them. He made connections with Lee Man-bu, who was a Namin from Geungi and moved to Sangju, and the connections became a valuable link for him. He devoted himself to his call and roles to inherit and maintain the heritage of exchanges between the “Youngnam Namins” and “Geungi Namins” and pass it down to the next generation, thus claiming certain historical significance. He did not remain at the level of simple exchanges and made further efforts to preserve the study of Lee Hwang, thus claiming certain significance in the society of the Youngnam Namins, as well.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Gwon Sang-il held the status of leader of the Youngnam Namins during a difficult time. He, however, had limitations too partly because the power of the Namins was too weak to implement their ambitions at the central political circle and partly because he was in advanced old age. 권상일은 퇴계 이황에 대한 존숭과 계승 의식이 매우 투철하였고, 영남지역과 영남인에 대한 관심과 자부심도 대단히 컸던 영남 남인 관료이자 학자였다. 그가 활동한 숙종대 후반에서 영조대에 이르는 시기는 영남 남인이 중앙 정계에서 실세한 시기였다. 영남 남인의 지도자였던 이현일이 죄인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였던 데다가 영조 초년에 일어난 무신란戊申亂에 남인이 대거 가담한 사실로 인해 매우 엄혹한 시국이었다. 다행히 권상일은 위의 두 가지에서는 약간 벗어난 위치에 있었다. 지역적으로도 상주 지역에 거주하면서 이현일과 사승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무신란 때는 전라도 수령으로 있으면서 오히려 난을 진압하는 데 일정한 공을 세운바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그는 영남 남인을 대표할 수 있는 존재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영조대에 탕평책의 시행으로 남인의 등용이 일부 이루어지는 시점을 맞이하여서는 집권층과 영조로부터 특별한 대우를 받았다. 붕당간의 균형 위에 군림하려는 의도를 가진 영조에게 영남지역의 남인은 노론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었다. 그 영남 남인 중에서 학문적 실력과 문과 출신이라는 좋은 조건을 가진 이가 권상일이었다. 그의 위상은 더 높아질 수 있었다. 권상일이 정계로부터 받은 주목은 평소 근기지역 남인이나 소론과의 교류를 통해 다져진 신의에서 비롯된 것임은 물론이다. 근기 남인 출신의 이만부가 상주에 내려와 살게 되면서 맺은 인연이 소중한 연결 고리가 되었다. 결국 권상일은 ‘영남’과 ‘경남’의 교류라는 전통을 계승 유지하여 다음 세대에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자신에게 주어진 소명과 역할을 수행한 점에 역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것도 단순한 교류에 그치지 않고 이황의 학문을 지키려는 노력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영남 남인 사회 내에서 일정한 의미를 가졌다고 하겠다. 그러나 조정에서 제대로 포부를 펼치기에는 남인의 힘이 약하였으며, 그 자신도 너무 연만한 상태였다는 점은 한계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