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기 선호여가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수행도 및 여가만족도의 차이분석: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교

        우예신(Woo, Ye-Shin),박다솔(Park, Da-Sol ),신가인(Shin, Ga-In),박혜연(Park, Hae-Yeon)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2

        본 연구는 노인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고 선호하는 여가의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만족도와 여가수행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의 제 6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 부가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자는 전기노인 2,212명, 후기노인 1,985명으로 총 4,19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전기노인(6.83시간/7.39시간)에 비해 후기노인(7.64시간/7.81시간)의 주중 및 주말 여가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하고 있는 여가활동유형은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요일에 관계없이 휴식활동이 80%이상(TV 시청 및 라디오듣기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선호여가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수행도와 여가만족도 결과, 주중의 경우 선호하는 여가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후기노인의 여가수행도가 더 높았고, 주말의 경우에는 선호여가 수행여부와 관계없이 후기노인의 여가수행도가 높았다. 여가수행도의 경우에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수행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만족도의 경우,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모두 보통으로 응답하였고 전기노인의 여가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여가변화요구도의 경우 선호여가 수행여부나 요일에 관계없이 전기노인의 여가변화요구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지만 두 집단의 응답 점수는 변화하고 싶지 않음에 가까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만족을 향상시키고 여가수행을 지속하기 위한 여가제약요인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건강관리제도 도입과 같은 실천적인 움직임이 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활동 현황이나 유형분석에서 더 나아가 여가참여에 영향을 주는 주관적 요소 등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한 체계적인 조사척도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performance according to whether elderly people are performing their preferred leisure activities. For the analysis, we used sample from the 6th (2015) panal data a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data of 4,197 elderly (2,212 young-old and 1,985 old-old) were analyzed. As a result, weekday and weekend leisure time of the old-old (7.64 hours / 7.81 hours) than the young-old (6.83 hour / 7.39 hour) was increased and resting activites (over 70% of watching TV and listening to the radio) accounted for more than 80% of the both elderly leisure activities. Leisure performance were higher in old-old who did not perform preferred leisure activities during weekdays. Leisure performance on weekends was higher in old-old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d preferred leisure time. Average of leisure performance was high in both groups and they responded leisure satisfaction was moderate. In the case of need for leisure change, young-old was higher than oid-old regardless of preference leisure performance and day of the week. However, the responses of the both groups are closed to those that do not want to chan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hould be practiced such as develomenting program and introduction of health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leisure constraints to improve leisur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of leisure activities for young-old and old-old. We also emphasize the need for a systematic survey scal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qualitative aspects of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the subjective factors influencing leisure participation.

      • KCI등재

        손상으로 입원한 전·후기 노인의 융복합 비교분석

        선미옥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2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principal diagnosis, injury-related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ransportation accidents between young-old and old-old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owing to injury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s. We used a complex sample cross tabulation analysis (chi-square test) and complex sample generalized linear model (t-test). Therefore, the primary focu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working with the old-old should prevent falls in the home and increase the available medical care, financial aid plans, and psychosocial support for aging. Additionally education on traffic accident prevention and road safety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old-old patients. 본 연구는 손상으로 입원한 노인을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으로 구분하여 전·후기 노인의 일반적 특성, 주진단명 특성, 손상관련 특성 및 운수사고 유형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질병관리본부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복합표본 교차분석(카이제곱 검정)과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은 전기 노인은 건강보험이 높은 반면, 후기 노인은 의료급여가 높게 나타났다. 주진단명 특성은 전기 노인은 뇌 손상이 높았고 후기 노인은 대퇴골 골절이 월등히 높았다. 손상관련 특성은 전·후기 노인 모두 낙상이 가장 높았고, 후기 노인에서 손상발생장소로 가정이나 주거지가, 일상생활 중, 의도성 자해가 높았다. 운수사고 유형은 전기 노인은 승용차 운전자가 높았고, 후기 노인은 보행자 사고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후기 노인은 전기 노인에 비해 더 많은 의료서비스, 경제적 지원, 주거지 중심의 낙상 예방 대책 및 자살 등 의도적 손상 예방을 위한 사회 심리적 전략이 요구되며, 후기 노인의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 및 도로 등 안전한 보행 환경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전ㆍ후기 노인의 손상특성이 NISS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은미(Eunmi Lee),남영희(Younghee Na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5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를 전ㆍ후기노인으로 구분하여 노인의 외상으로 인해 발생한 일반적 특성, 손상특성, NISS(신 손상중증도 지수)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여 노인의 외상성 질환의 예방을 위한 정책적 제안 및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자료는 2018년 제14차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전체 퇴원손상 환자 중 65세 이상 7,9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23.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전기노인은 남성(54.1%)이, 후기노인은 여성(60.1%)이 손상 발생률이 높았다(p<.001). 전기노인은 이동 중 운수 사고로, 후기노인은 일상생활 중 낙상으로 다수의 손상이 발생하였다(p<.001). 대사증후군 요인 질환은 전ㆍ후 노인 모두 중등증 손상에서는 2개 이상의 대사증후군 요인 질환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p<.001). NISS는 전기노인은 경증(51.1%)이, 후기노인은 중등증(65.3%)이 가장 많았다(p<.001). NISS에 따른 전기노인의 손상특성은 성별, 입원 경로, 재원일수, 대사증후군 질환, 손상기전, 발생장소, 손상 시 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후기노인은 성별, 입원 경로, 재원일수, 보험 유형, 대사증후군 질환, 손상기전, 발생장소, 손상 시 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따라서 노인은 전ㆍ후기 연령층에 따라 손상의 특성이 상이하였고, 전ㆍ후기로 구분된 맞춤형 예방교육과 노인대상 국가정책 및 사업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proposals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traumatic diseases in the elderly by dividing the research subjects into early and late elderly. The data of this study were used in the 14th In-Depth Discharge Injury Survey in 2018. 7,993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included among the total discharge injury patients. Data processing was analyzed with SPSS 23.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cidence of injury was high in men(54.1%) of early elderly and in women(60.1%) of late elderly(p <.001). A large number of injuries occurred in the early elderly due to transport accidents while moving, and in the late elderly due to falls during daily life(p <.001). Early and late elderly had two metabolic syndrome factors at moderate injury(p <.001). In NISS,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mild(51.1%) in the early elderly and moderate(65.3%) in the late elderly(p <.001). According to the NISS, in the early elderly, gender, route of admission, length of stay, metabolic syndrome disease, injury mechanism, place of injury and activity at inju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 <.001). In the later elderly, gender, route of admission, length of stay, type of insurance, metabolic syndrome disease, injury mechanism, place of injury, and activity at inju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 <.001). Therefore, the early and later elderl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injury according to the previous and later age groups, so customized prevention education and national policies and projects for the early and later elderly are required.

      • KCI등재

        후기고령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에 대한 사업 운영방안 연구

        이석원,허수정,변재관,홍진주 서울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anagement and arrangement methods of ‘Job Creation Projects for Elderly,’ while focusing on the oldest old (aged 80 or old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o see which method of job selection and management is more suitable for the oldest old: (a) selecting jobs fit for the elderly from already existing jobs, and providing those jobs exclusively to the oldest old, or (b) allowing the oldest old and the young old to participate in the workplace together, which is a method that is currently in use. The data used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status of the oldest old in the abovementioned project were provided by 2014-2015 Saenuri system.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a total of 77 participants, including those aged 80 or older, under 80, staff members affiliated with executing the project, and clients of the project.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system of placing the oldest old and the young old together, developing new jobs exclusive for the oldest old with deteriorating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is expected to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providing jobs for the elderly. With this result, we suggest classifying and dividing jobs based on physical and cognitive abilities, rather than age. This way, young old suffering from premature deterioration of functions may also participate in the work force along with the oldest old.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80세 이상 후기고령노인을 위한 사업 운영 및 배치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일자리 중 후기고령 노인의 특성에 맞는 일자리를 선별, 별도의 일자리를 분리하여 운영하는 방안과 현재와 같이 전기고령 노인과 후기고령 노인이 같은 사업에 함께 참여하는 방안 중 어떤 방법으로 일자리를 운영하는 것이 더 적합할지 고찰하였다. 새누리시스템 자료를 분석하여 후기고령노인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실태를 분석하였고,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의 총 4개 기관의 80세 이상 참여자, 80세 미만 참여자, 수행기관 담당자, 수요처 담당자를 대상으로 총 77명에 대한 표적집단 면접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안별 장단점을 살펴본 결과, 본 연구에서는 후기고령노인, 즉 상대적으로 기능이 저하된 노인들을 위한 우선추천일자리를 개발하되, 후기고령 노인과 전기고령 노인을 한 사업단에 배치하여 운영하는 현행 방안을 유지하는 방안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실제 사업 운영에서는 단순히 연령에 따른 구분을 하기 보다는 참여 노인들의 신체적‧인지적 기능을 중심으로 판단하여 전기고령노인이라도 기능이 저하된 노인은 후기고령 노인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업에 참여하게끔 하는 것을 권하는 바이다.

      • KCI등재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의 여가생활 특성 비교 분석

        오세숙(Sae-Sook Oh) 한국여가문화학회 2023 여가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전기노인(65세~74세)과 후기노인(75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여가활동 실태 및 여가생활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21 국민여가활동조사」를 원시자료로 하여, 전기노인 2,241명, 후기노인 1,490명으로 총 3,731의 65세 이상 노인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6.0을 사용하였다. 우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여가활동유형, 동반자유형, 여가활동빈도, 그리고 여가공간을 포함한 여가활동 특성에 있어서 분포 차이의 유의도를 검정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에 여가자원이용, 여가인식, 그리고 행복수준을 포함한 여가생활 특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활동 실태에서는 여가공간을 제외한 여가활동유형, 동반자, 여가활동 빈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모두 가장 많이 참여한 여가활동유형은 휴식활동으로 나타났고, 동반자 유형에서는 혼자서, 여가활동 빈도에 있어서는 매일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을 대상으로 여가생활 특성인 여가자원이용, 여가인식, 그리고 행복수준에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고, 그 결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모든 집단에서 여가자원이용, 여가인식 그리고 행복수준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isure activity characteristics, and leisure life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 elderly into the young-old(65-74 years old) and the old-old(75 years old and ol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used the data of a total of 3,731 elderly aged 65 or older with 2,241 young-old and 1,490 old-old using the 「2021 Korean National Leisure Activities Survey」 as a raw data. SPSS 26.0 was used for the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Chi-squared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a distribution differences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the type of companion,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y, and leisure space of two age-separated groups. In additio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life characteristics including leisure resource use, leisure awareness, and the level of happiness betwee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statistics were p<0.05,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isure activity characteristics of two age-separated groups in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the type of companion, and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y excluding leisure space.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that both the young-old and the old-old participated the most was ‘take a rest’ in the type of activity, ‘alone’in the types of companion, and ‘daily’in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y. Fi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leisure resource use, leisure awareness, and the level of happiness, which are leisure life characteristics, and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resource use, leisure awareness, and the level of happiness in two-aged separated groups.

      • KCI등재

        전기·후기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요인

        임성옥 ( Lim Sung Ok ),김경희 ( Kim Kyung H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8 사회복지정책 Vol.45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연령 집단별 자살생각 예측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경로구조를 분석하여 연령군에 따른 노인의 자살생각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의 이차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10,299명이다. 이 중 65-74세의 전기노인 5,892명(57.2%)과 75세 이상의 후기노인 4,407명(42.8%)명으로 구분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및 AMOS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자살생각 및 예측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살생각을 제외한 모든 예측요인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은 전기노인에 비해 후기노인이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경제수준도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전기노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은 후기노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효과크기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집단 간 경로계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 경제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그리고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경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기노인의 경우,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제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이 후기노인에 비해 의미 있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후기노인은 전기노인에 비해 주관적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redicting factors of suicide ideation among the elderly and to analyze the pathway structure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Secondary data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 were used for the elderly in 2017, and the total number of elderly people aged 65 and older was 10,299. Of these, 5,892 (57.2%) were elderly people aged 65-74, and 4,407 (42.8%) were elderly people aged 75 or older. The analysis used SPSS 18.0 and AMOS 22.0.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icidal ideation between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old-old elderl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dictive variable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elderly. Subjective health and economic levels were found to be worse in old-old elderly people than young-old elderly people.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in young-old elderly than old-old elderly. And the depression was higher in the old-old elderly than in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higher.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old-old elderly in the path of subjective health, the path of economic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the path of subjective health to depression and the path of depression to suicide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suicide prevention of the elderly were suggested.

      • KCI등재

        제주지역 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비교

        김재희(Kim, Jaehee)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1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제주지역 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7년에 실시한 노인실태조사의 제주지역 전기노인 200명, 후기노인 232명, 총 432명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수인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은 정서적, 도구적, 신체적, 경제적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에게 도움받음은 도구적, 신체적, 경제적 지원 영역에서 전기노인보다 후기노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녀에게 도움줌은 경제적 지원 영역에서 후기노인보다 전기노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기노인 집단에서는 지원교환 변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후기노인 집단에서는 자녀에게 정서적 지원을 많이 제공할수록, 경제적 지원을 많이 제공할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 수준에 차이가 있고,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 영역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지역 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 특성과 그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고,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할 수 있는 노인가족복지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influence of the intergenerational support of children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young-old and old-old groups among the Jeju elderly. The study analyzed 432 cases (200 young-old and 232 old-old) of elderly in Jeju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elderly in Korea. Intergenerational support of children living apart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emotional, instrumental,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instrumental,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elderly score are higher in the old-old than in the young-old category. Besides, the elderly’s financial support of their children shows a higher score in the young-old than the old-old category. Second, in the young-old group, none of the intergenerational support variable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However, in the old-old group, the elderly’s providing thei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 positively impacts their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improving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s life satisfaction by enha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es and their children who live apart.

      • KCI등재

        전·후기 노인 암 환자의 재원일수 결정요인

        선미옥(Suhn Mi Oh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암으로 입원한 전체 노인을 연령대별로 나누어 전기 노인(65~74세) 및 후기 노인(75세 이상)의 일반적 특성 차이, 재원일수 차이 및 재원일수 결정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질병관리청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t-검정,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은 전기노인은 수술시행과 수도권 병원이 높은 반면, 후기 노인은 의료급여, 응급실 경유가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원일수는 전·후기 노인 공통으로 여성, 의료급여, 응급실 경유, 암 질병 동반, 수술시행, 100~299병상일 경우가 더 길었고. 후기노인의 평균재원일수가 12.4일로 전기노인의 11.7일보다 0.7일 더 길었다. 재원일수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을 제외하고 전·후기 노인 모두에서 진료비지불방법, 입원경로, 부진단, 주 수술여부, 병원소재지, 병상규모 등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입원 노인 암환자의 재원일수를 줄이기 위해 후기 노인에서는 여성인 경우와 전·후기 노인 모두에서는 입원경로가 응급실 경유나 외래경유인 경우, 부진단이 암 질병인 경우, 병원 소재지가 경상도인 경우, 의료기관의 병상 규모가 100~299병상, 300~499병상, 500~999병상인 경우에 재원일수 관리를 위한 교육 및 적극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ng-old (age 65-74) and old-old (over age 75), length of hospital stay, and the determinants of hospital stay based on data of the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s provided by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A complex sample cross tabulation analysis (chi-square test) and complex sample generalized linear model (t-test, analysis of varianc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s a result, primary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hospital stay were drawn to medical fee payment method, admission route, comorbidity, operation, location and bed size of hospital in young-old and old-old except gender, Conclusively, to reduce the length of hospital stay, female of old-old, admission via emergency room (ER) and out patient department(OPD), cancer as comorbidity, Gyeongsang-do as location of hospital, and 100-299, 300-499, 500-999 bedsize of hospital for both case of young-old and old-old should be managed proactively.

      • [자유주제 2] 연령대별 노인의 건강상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배지윤(Jiyoon Bae)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6

        본 연구는 2016년에 실시된 제6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자료를 활용하여 전기 노인 1,396명과 후기노인 1,48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일반특성 및 건강상태를 비교하고 연령대별 노인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일반특성의 경우 전기노인은 후기노인 대비 도시 거주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기노인은 후기노인 대비 고등교욱(고등학교 졸업 이상)을 받은 비율, 본인을 중위층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비율, 자가 주택 소유 비율, 거주주택 외에 부동산 자산보유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원 특성의 경우 모임에 참여하는 전기노인의 비율이 후기노인의 비율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생활양식의 경우, 전기노인의 규칙적 운동 비율, 평소 음주 비율, 현재 흡연 비율이 후기노인의 비율 대비 높게 나타났다. 건강상태의 경우 후기노인이 전기노인 대비 주관적 건강상태 및 객관적 건강상태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기노인의 경우 사회경제적 요인, 사회적 지원 요인, 건강생활양식이 이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객관적 건강상태에는 사회적 지원 요인을 제외한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생활양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노인의 경우 사회경제적 요인, 사회적 지원요인, 건강생활양식이 이들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객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of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old-old elderly using ths KLoSA data conducted in 2016, And to analyze the factors. First, in the case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ate of the young-old elderly living in the c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old-old elderly. The proportion of the young-old elderly taking higher education is higher that that of the old-old elderly. The proportion of the young-old elderly who think that they are more than middle-class i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old-old elderly. In addition, the ration of the young-old elderly owning real estate assets, residential housing is higher than that of the old-old elderly. In the case of social support characteristics, the proportion of the young-old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ocial activities is higher than that of the old-old elderly. In the case of lifestyle, the percentage of the young-old elderly who regularly exercise, drink alcohol, and smoke is higher than that of the old-old elderly. In the case of health status, the old-old elderly perceived that their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status is lower than that of the young-old elderly. After that,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status of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old-old elderly were analyzed.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young-old elderly are socioeconomic factors, social support factors, and lifestyle factors. Also the o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young-old elderly is influenced by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lifestyle facto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old-old elderly, socioeconomic factors, social support, and lifestyle factors were found th heavily affect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status.

      • KCI등재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감에 대한 연구

        백지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loss experience,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between young-old and old-old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effect of loss experience o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65 elderly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First, the young-old were more likely to have spouses than the old-old. Second, old-old experience more loss of health, relationships, economy, and role than young-old. And old-old had higher aging anxiety and lower depression than young-old. Third, for young-old, loss of health, economy, and role affected depression. And for old-old, loss of role affected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and loss of economy affected aging anx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data for preparing policy and system to supplement loss experience suitable for young-old and old-old. 본 연구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 일반적인 특성,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에 있어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상실경험이 노후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6명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에 있어서는 전기노인이 후기노인에 비해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다른 변인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후기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 건강, 관계, 경제, 역할에 있어서의 상실경험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노후불안은 더 크고, 우울은 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전기노인의 경우 건강, 경제, 역할상실이 클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으며, 후기노인의 경우 역할상실과 경제상실 경험이 클수록 노후불안이 컸으며, 역할상실이 클수록 우울이 높았다. 본 연구는 노년기를 세분화하여 노년 전기와 후기에 적합한 상실경험 보완 정책 및 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