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曹雪芹의 『紅樓夢』에 출현하는 호칭어의 양상 연구

        윤애경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5

        A address term is a word that calls the other person in the conversation directly to draw listener's attention, and a reference term is a word that indicates an object. The address term is relatively independent and can be omitted. 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term is impossible to omit it, because it forms a linguistic relationship with other sentence components in the sentence. In this paper, I grasped indirectly the aspects of address terms which was used in China's Qing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address terms in the classic novel 『Dream of the Red Chamber』written by Cao Xueqin of the Qing Dynasty. Even in the Qing Dynasty, address terms were used in a wide variety of forms. These various types of address term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address subject and internal structure. First, if the address term is categorized according to its address subject, the address term can be divided into the kinship term of addresswhich is used among people of kinship and the social term of addresswhich is used among other members of society. Next, if the address term is categorized according to its internal structure, there is the simplest type of the basic kinship term of address and the general term of address. And there are types of combination of numeral, hao or qin, lao or da or xiao and wode in front of these basic kinship term of address or general term of address. In addition, there is the type that adds a first name or a family name in front of the basic kinship term of address or general term of address. Finally, there is the type of 'family name + first name' or frist name or nickname. 호칭어는 청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대화의 상대방을 직접 부르는 말이고, 지칭어는 어떠한 대상을 나타내기 위해 그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호칭어는 비교적 독립적이며 생략이 가능한 반면에, 지칭어는 문장 속에서 다른 문장 성분과 모종의 어법적 관계를 형성하여 생략이 불가능하다. 본고는 청나라 시대의 작가 조설근(曹雪斤)이 저술한 고전소설 『홍루몽(紅樓夢)』에 등장하는 호칭어의 분석을 통해, 중국 청(淸)나라 시기에 사용되었던 호칭어의 양상을 간접적으로 알아보았다. 『홍루몽』의 호칭어를 먼저 호칭 대상에 따라 분류해보면 크게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 간에 사용하는 ‘친족 호칭어'와 기타 사회 구성원들 간에 사용하는 호칭어인 ‘사회 호칭어'로 나눌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 구조에 따라 호칭어를 분류해보면 우선 가장 단순한 ‘기본 친족 호칭어’와 ‘일반 호칭어’의 유형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 친족 호칭어와 일반 호칭어의 앞에 ‘수사’, ‘好’나 ‘親’, ‘老’나 ‘大’ 혹은 ‘小’, ‘我的’ 등이 함께 결합하는 유형이 있다. 이 밖에 기본 친족 호칭어나 일반 호칭어의 앞에 성이나 이름, 또는 자 전체를 붙이기도 하고 이름이나 자가 두 글자일 경우에는 그 중 한 글자만 사용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성+이름’의 형식이나 성을 뺀 이름, 또는 별명으로 상대방을 부를 수도 있다. 『홍루몽』의 호칭어는 친족 호칭어이든 사회 호칭어이든 모두 일반 호칭어보다는 기본 친족 호칭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이는 혈연관계를 중시하는 중국인들이 친족관계가 아닌 사람들에게까지 기본 친족 호칭어를 사용함으로써, 그들과의 관계를 친족관계처럼 친근하게 만들기 위함이다.

      • KCI등재

        現代漢語社會群體稱謂系統語義特及功能分析

        류소단 한국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文學 Vol.64 No.-

        현대 중국어 사교 호칭 계통은 지칭 수량에 따라서 개체호칭 계통과 단체 호칭 계통으로 나누어 있다. 대량의 문헌을 고찰 해 보면, 언어학자들이 개체 호칭 계통만 주시하여 연구하고 단체 호칭을 관해 연구한 내용은 거의 없다. 본 논문은 단체 호칭 계통에 대해 세 방면으로 연구했다. 우선 개체 호칭 계통 기능에 따라 분류 한 기초를 바탕으로 단체 호칭의 구성 특징에 따라 “단항식(單項式)단체 호칭어”와 “다항식(多項式)단체 호칭어”로 나누었다. “단항식 단체 호칭어” 중에 “N們”, “각위 N(各位N)”, “각위(各位)/제위(諸位)/수(數)+위(位)”, “영형식(零形式)” 네 부분을 나누었다. 그리고 “다항식 호칭어” 중에서 각종 형식을 철저하게 열거했다. 단체 호칭 계통 분류를 바탕으로 단체 호칭어의 어의(語義) 특성을 서술했다. 단체 호칭어의 어의특성을 전체 지칭 특성(整體指稱性)과 籠統지칭 특성 두 개로 나 눴다. 마지막으로 단체 호칭 계통의 기능 분석을 한다. 즉 호소기능과 한정하는 기능, 감정 표현 기능, 관계기능으로 나누었다. 본 논문 연구 내용 주로 세 부분을 한다, 단체 호칭 계통의 분류, 그의 어언 특성과 기능 분석, 현대 중국어 사교 호칭어 계통의 연구를 완선하게 하는 것이 본 논문 연구의 주지이다.

      • KCI등재

        현대국어 호칭어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손춘섭 한국어의미학회 2010 한국어 의미학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better systems of terms of address through classification of modern korean terms of address. There were studies that terms of address connected with postposition were included in the category and ‘jeogiyo’ or ‘yeoboseyo’, which are for getting attention, were included as well. But this classification is not so proper. So this study divided the terms into two categories; common terms of address and kinship terms of address. Most of the terms of address are nouns, which are subdivided into three; ‘Noun+Suffix/Bound Noun, Noun, and Pronoun. The first two kinds of nouns have five subcategories, and they have geononymy and teknonymy. Another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terms of addres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built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structure of terms of address and what kind of speech level of hearer honorifics could be used with. As a result, we found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sing in the speech level according to types of terms of address. So we organized the using context, and this will lead to understanding of restriction of using terms of address. We hope this study provides opportunities of self-examination on ambiguous categorizing system and establish reasonable system of terms of address. It also helps other studies on categorizing system of terms of address in Korean and better education of using terms of address.

      • KCI등재

        한국 영화 영어 더빙본의 호칭어 번역 연구

        윤미선 ( Yoon Mi-seon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1

        본 연구는 한국 영화 영어 더빙본의 호칭어 더빙 번역을 정량 및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어 호칭어가 영어 더빙되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호칭어는 상대방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기 때문에 대인관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각 문화권마다 사회구조와 체계를 반영하여 고유의 호칭어가 발달하게 되며, 한국과 영미권의 문화나 사회가 다른 만큼 한국어와 영어의 호칭어 체계도 매우 상이하다. 특히 영화 대사에서 호칭어는 등장인물을 소개하고 관객에게 그 인물을 각인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므로 그 번역 양상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분석 결과, 한국 영화의 영어 더빙본에서 한국어 호칭어는 삭제 또는 추가되는 양상을 가장 두드러지게 보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 세 가지다. 첫째, 이름이나 성이 들어간 명사형 호칭어, 친족 호칭어 및 의사(擬似) 친족 호칭어가 영어 더빙본에서 다수 삭제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사극이나 전쟁물 장르을 위주로 직함 호칭어의 추가가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어 더빙본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호칭어는 이름(first name) 호칭어로 파악되었다. 한국어의 다양하고 복잡한 호칭어 사용이 영어 더빙본에서는 주로 이름으로 번역됨으로써 원본 대사의 다층적인 관계가 제한적으로 전달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Address terms represent crucial elements in the interactions of human relations, shaping the interpersonal space between the interlocutors. The difference in address terms across cultures is staggering, owing to different culture and social structures, and that between Korean and English is no exception. Address terms play a pivotal role in fictions, especially in films where such terms are functional in introducing and identifying various characters on scree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use of address terms in English-dubbed Korean films and suggests implications on how address terms in Korean should be translated into English.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ress terms are mostly deleted or added in dubbed versions of Korean films, First, kinship terms or pseudo-kinship terms tend to be deleted in English-dubbed Korean films. Second, title terms are added in dubbed versions of specific genres such as war films concerned with warfare with combat scenes central to the drama or historical films showing past events or set within a historical period. Finally, first name terms of address are used frequently in dubbed versions, occasionally failing to deliver the dynamic and complex usage of address terms in the original.

      • KCI등재

        한중 호칭어 대비 연구

        한청(Han, Jing)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10 국제문화연구 Vol.3 No.1

        본고는 한중 호칭어를 이름호칭어, 직함호칭어, 대명사호칭어, 친족호칭 어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실제 사용상에서의 차이점을 고찰했다. 이름호칭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한국어에서는 성 뒤에 호격조사나 접미 성분을 사용하여 불렀으나 중국어에서는 나이가 비슷하고 익숙한 사이면 남녀를 불문하고 상대의 이름을 부를 수가 있었다. 직함호칭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한국어에서는 직함 뒤에 님 이나 직함 앞에 성을 붙여야만 호칭어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중국에서는 직함이 단독적으로 호칭어가 될 수 있었다. 대명사호칭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한국의 대명사호칭어는 등급이 세분화 되어 있어 제약이 많았은데 중국어의 대명사호칭어는 제약을 받지 않기에 한국어에 비해 사용 면에서 훨씬 자유로웠다. 친족호칭어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한국어의 호칭어는 화자의 성별에 따라 호칭어가 뚜렷하게 구별됐다. 반면 중국어는 화자의 성별에 관계없고 그 호칭어가 같았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이 인식하는 한국어 호칭과 문화와의 상관성 연구

        박미숙,오영훈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5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4 No.2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 담화상황에 서 사용되는 호칭어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한국의 호칭어는 한국문화와 어 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의 대학원에 재 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유학생 들이 한국의 호칭어에 대한 인식과 호칭어가 한국문화와 상관관계에 대한 결론을 다음 과 같이 도출하였다. 먼저 한국의 호칭어에 대한 인식은 첫째, 모국과 다른 한국의 호칭어를 쉽고 빠르게 익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상황에 따른 호칭어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외 국인 유학생들은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한국어의 지위, 연령, 성별, 직업에 따 라 호칭이 바뀌는 부분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셋째,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배운 호칭어와 실제 담화상황에서의 호칭어는 차이가 크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한국어의 호칭어에 대 한 습득은 실제적인 담화상황에서 한국인이 행하는 것을 보면서 배우고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의 호칭어가 문화와 상관관계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첫째, 한 국의 호칭어는 한국의 수직적이고 서열적인 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호칭어를 통하여 담화상황에서의 사회적 서열순위를 알 수 있다. 둘째, 호칭어에는 많은 사람들이 대접받 고 싶어 하는 한국의 문화가 많이 내포되어 있다. 셋째, 한국 문화에서는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고 있어, 한국 사람들은 ‘우리’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 사람들은 낯선 관계의 호칭에서 ‘이모’와 ‘삼촌’ 등 상대방을 존중하면서도 격 이 없고 친밀감 있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문화와 한국어의 호칭어가 밀접하게 관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나라의 학생들을 중 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perception of ‘address forms’ used to target international students attending school in Kore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ddress forms’ and Korean culture based on the awareness of foreign students. For the study, we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people who is the foreign graduat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An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ere derived as follows: the four conclusions. First, foreign students are trying to learn quickly and easily address forms of Korea i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different with their home country. Secondly, this is slightly different for each country, but foreign students are a part of changing this title was difficult, depending on status, age, gender, occupation and Korean. Third, they were large differences are recognized, address forms in the actual discourse situation is different with address form cla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rth, they learn address forms of Korean with looking Koreans are at doing that, they saw the Koreans are doing in the actual discourse situation. We came up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dress forms and Korean culture. First, Korea’s address forms have a keen relationship with Korea’s vertical and hierarchical culture. Second, address forms has implied a lot of the culture of Korea that many people wish to be treated with respect. Third, due to the tendency of emphasizing community spirit, Koreans frequently use the word us. Fourth, Koreans use words that express both respect and a sense of kinship, such as aunt or uncle, even to someone whom they have never met before. This shows that Korean culture favors a neighbor-like atmosphere of wanting to stay close to other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foreign students recognize that they address forms of Korea and Korean culture are closely related. Therefore, th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basis of many students from diverse countries.

      • 한국어 교재의 호칭·지칭어

        고성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09 통합인문학연구 Vol.1 No.2

        The use of address and reference forms has not been perceived as important in Korean textbooks because it is seen as a small - thus less significant - part when learning Korean. However, since honorification is important in Korean, it would only make sense to learn the correct usage of address and reference form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it. Moreover, inappropriate or outdated examples must be avoided because Korean textbooks are basic textbooks for foreigners to learn Korean with and are meant to provide them with typical and correct usages of the language. Everything down to the last detail must be exemplary and correct. Three issues concerning the use of address and reference forms in Korean textbooks come into focus: 1) Excessive use of the address form, “ssi.” 2) Inappropriate usages of address and reference forms. 3) Consistency. The second and third issues can be easily resolved once the editors of Korean textbooks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and take interest in address and reference forms. The first issue can also be resolved by taking measures as follows. First, diverse situations should be set to give examples of diverse uses of address and reference forms, and more typical or general forms should be provided. Second, address or reference forms that can be omitted should be omitted. Third, “family name + given name + ssi” format should be used instead of “given name + ssi” format. 호칭·지칭어는 한국어 교재에서 그다지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호칭·지칭어는 한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구문을 익히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이고 또한 주변적인 문제로 인식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호칭·지칭어가 상대경어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 이에 따라 호칭·지칭어를 잘못 사용하게 되면 경어법에 어긋나 게 된다는 점,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들도 적절한 호칭·지칭어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는 점을 생각할 때 호칭·지칭어를 배우는 것 역시 한국 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필수적이고 중요한 내용임에 틀림없다. 한국어를 가르치는 데 있어 한국어는 경어법이 복잡하고 어렵다는 점은 강조하면서도 경어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호칭·지칭어에 대해서는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는다는 것은 논리상 맞지 않는 면이 있다. 더욱이 외국인들에게 한국어의 전형적이고 올바른 표현을 제시해 주어야 할 한국어 교재에서 한국어의 현실과 맞지 않거나 부적절한 예가 제시되는 것은 반드시 지양되어야 할 부분이다. 또한 한국어 교재는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기본 교재가 되므로 사소한 것 하나까지도 모범적 이고 올바른 형식으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은 매우 자명한 사실이다. 한국어 교재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호칭·지칭어 문제는 대체로 세 가지 정도를 지적할 수 있다. 첫째, 호칭어 ‘씨’의 과다 사용 문제이다. 둘째, 부적절한 호칭·지칭어의 사용 문제이다. 셋째, 호칭·지칭어 사용의 일관성 문제이다. 호칭·지칭어 사용의 부적절성 문제와 일관성 문제는 한국어 교재 편찬자들이 이들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심을 기울이는 것 만으로도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나머지 문제들도 다음과 같은 방안을 통해 다소나마 해결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한국어의 호칭·지칭어가 다양한 만큼 다양한 호칭·지칭 방식을 보여 줄 수 있는 상황 설정이 필요하며, 보다 보편적 인 상황에서 쓰이는 호칭·지칭어를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둘째, 생략 가능한 호칭·지칭어는 생략한다. 셋째, 한국어 교재의 대화 상황에는 ‘이름+씨’의 유형보다 ‘성 + 이름+씨’와 같이 성명이 모두 쓰이는 호칭·지칭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한 국어의 호칭·지칭 형식에 맞는 것이라 할수 있다.

      • KCI등재후보

        중국어 호칭어 분석

        신지언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과학연구 Vol.0 No.20

        ‘호칭어’란 사람을 부르거나 가리키는 데 사용되는 갖가지 표현방식을 말한다. 호칭어는 상대방을 부르거나 가리킬 뿐만 아니라, 화자와 청자 사이의 모종의 관계를 드러내는 감정이나 태도를 담아내기도 하며, 부르는 사람과 불리는 사람간의 신분관계나 연령, 직업 까지도 나타내는 중요한 언어의 구성 부분이다. 호칭어는 대명사를 이용한 호칭어, 통용호칭어, 친족 명칭을 사용한 호칭어, 직함이나 관직ㆍ직업을 사용한 호칭어, 나이에 대한 구분을 담고 있는 호칭어, 문화적 함의가 담긴 호칭어로 나눌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는 이런 다양한 호칭어가 가지고 있는 사회문화적 함의와 가치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보통 사람의 이름은 하나에 불과하지만 호칭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데, 동일한 인물에 대해 다양한 호칭이 부여된다는 것은 그 인물을 대하는 태도와 감정이 여러 가지 방식을 존재함을 설명하며, 새로운 의미 부여의 역할까지 하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국어에는 한국어 문화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호칭어도 많은데, 이런 다양한 호칭어의 연구와 학습은 정확하고 적실한 중국어를 구사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문장의 함의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중요한 구성요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중국어 남녀 호칭어 비대칭에 대한 소고

        한용수(Han, Yong-Su),李明?(Lee, Myung-Ah)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8

        호칭어는 사회구조와 문화를 반영하여 화자와 청자의 상호적 관계를 나타낸다. 다양한 관계로 얽혀있는 사회적 구조에서 사람들은 다양한 호칭어를 선택하여 사용하며 교류를 하고 있다. 이러한 호칭어 체계는 각 나라마다 그 특징이 있는데 같은 한자문화권인 한국과 중국의 호칭어 체계에서도 유사성과 차이점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 호칭어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중국어 남녀 호칭어의 비대칭 현상을 살펴본다. 의미 비대칭은 남녀 호칭어에 포함된 의미 범위, 감정 의미, 의미 형태소 등의 차이를 통하여 나타나고, 형태 비대칭은 일부 친족 호칭어와 직업 호칭어, 남녀 복수형 호칭어의 성별 배열에서 나타난다. 중국어 남녀 호칭어의 의미.형태의 비대칭은 화용론적인 면에 영향을 미치며, 성별에 따른 호칭어 사용에 제약을 가져오는데, 이 연구는 중국어교육에도 큰 영향을 끼쳐 중국인과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어휘 분야에서 남녀 호칭어의 화용론적인 면을 연구할 수 있는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이다. Address terms not only reflect the social structure and culture, but also represent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In the social structure which has a variety of intertwined relationships people choose a variety of address terms in communication. These address terms system in each country has its own characteristic, for example there appear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hinese and Korean cultural systems. As Korea and China share the cultural area in that both use Chinese character, the two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regarding address terms, just as every country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using them. We look at the asymmetric phenomenon in Chinese male and female address terms in order to select and use appropriate Chinese address terms in this study. Semantic gender asymmetry phenomena include the semantic scope, emotional, meaningful differences while morphological asymmetry phenomenon appear through some relatives and professional address terms, and in an array of plural men and women address terms. The semantic, morphological asymmetry phenomenon of Chinese male and female address terms affects aspects of pragmatics, and it brings restrictions in usage about gender. This study will have a great impact in Chinese Educa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inese that address terms pragmatics of lexical aspect in the field of gender studies can be a positive action. This gender study of address terms in lexical aspect of pragmatics could be positive influence on Chinese Education and the communication in Chinese.

      • KCI등재

        現代漢語社會群體稱謂系統語義特及功能分析

        유소단 한국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文學 Vol.64 No.-

        현대 중국어 사교 호칭 계통은 지칭 수량에 따라서 개체호칭 계통과 단체 호칭 계통으로 나누어 있다. 대량의 문헌을 고찰 해 보면, 언어학자들이 개체 호칭 계통만 주시하여 연구하고 단체 호칭을 관해 연구한 내용은 거의 없다. 본 논문은 단체 호칭 계통에 대해 세 방면으로 연구했다. 우선 개체 호칭 계통 기능에 따라 분류 한 기초를 바탕으로 단체 호칭의 구성 특징에 따라 “단항식(单项式)단체 호칭어”와 “다항식(多项式)단체 호칭어”로 나누었다. “단항식 단체 호칭어” 중에 “N们”、 “각위N(各位N)”、 “각위(各位)/제위(诸位)/수(数)+위(位)”、 “영형식(零形式)” 네 부분을 나누었다. 그리고 “다항식 호칭어” 중에서 각종 형식을 철저하게 열거했다. 단체 호칭 계통 분류를 바탕으로 단체 호칭어의 어의(语义) 특성을 서술했다. 단체 호칭어의 어의특성을 전체 지칭 특성(整體指稱性)과 笼统 지칭 특성 두 개로 나눴다. 마지막으로 단체 호칭 계통의 기능 분석을 한다. 즉 호소기능과 한정하는 기능, 감정 표현 기능, 관계기능으로 나누었다. 본 논문 연구 내용 주로 세 부분을 한다, 단체 호칭 계통의 분류, 그의 어언 특성과 기능 분석, 현대 중국어 사교 호칭어 계통의 연구를 완선하게 하는 것이 본 논문 연구의 주지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