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 동태와 의미

        천선행(Cheon seonhaeng),정다운(Jeong dawoon)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6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climate change, ecological environment, and excavated artifacts (stone composition), etc. of the Neolithic ruins in Honam area, and examines the movem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mains of the Neolithic period in Honam area. As a result, the early remains of the Neolithic period in Honam area are confined within the southwestern coast. In addition to the formation of the same cultural area as the southern coastal area, the ruins have expanded to the middle southwest coastal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This re-confirmed that Yongson-dong’s earthenware culture spread to the southern coastal area. After the middle period, cultures of the south coast region, Geum River Basin, south¬ern inland area, and the southern coastal region are mixed at the same time in Honam area. Mainly, the two cultural paths that showed the ripple of dominance were [Southern inland area – Honam inland – middle southwest coastal region] and [South coast – Southwest coast]. On the other hand, the phenomenon of ruins rapidly declining in Honam area during the middle period was already seen as a result of mid-scale off-shore activities. The decline of the ruins is a result of a combination of factors such as cold weather, millet farming, and disconnection of information from the southern coast. In the process, the native Neolithic people were kept alive using shell mounds, or transferred to the inland. Though the southern inland culture was introduced, most of them were forced to leave the area of Honam. This complex pattern and selection of native Neolithic people is presumed to have created the middle period of the Honam area which differentiated Honam from other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Finally, in the concluding late period, the ruins increased again, especially in the late period as the ruins of shell mounds in the southwest coastal area prominently in¬creased. This is seen as a result of the influx of late groups in the Neolithic era from areas such as the south coast region, southern inland region, and Chungcheong region. In addition, towards the late period, the ratio of excavated earthenware pottery from the middle southwest coast of and Honam inland was low, and the number of ruins be¬came stagnant or declining as farming, which was centered on the team leader, be¬came unstable after the middle period. In the westsouth coasts, the ruins of shell mounts increased.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the sites were used as an occupational base, middle stopover, and exchange base in the early/middle period, it was assumed that the sites were only occupied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as a place for living resource acquisition rather than for long-term residence at the end period. These changes in the way of life towards the end period were a result of the decline in agriculture and hunting and thus led the groups going back to their migratory way of life. Based on the examination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eolithic culture of Ho¬nam area was a dynamic culture that changed according to the cultures of the neigh¬boring areas, rather than being a unique culture that resulted from the long-term set¬tlement of the groups. 본고는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공간적 분포와 기후변화, 생태환경, 출토유물(석기구성) 등과 의 관계를 검토하여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 동태와 전개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유적은 서남해안지역에만 한정되고, 남해안지역과 동일문화권을 형성한 점, 전기에는 남해안지역 영선동식토기문화가 파급되어 중남서해안지역까지 유적이 확대 됨을 재확인하였다. 중기 이후 호남지역으로 중서해안•금강유역•남부내륙•남해안지역 문화가 동시 에 복합적으로 유입되는데, [남부내륙-호남내륙-중남서해안], [남해안-서남해안]으로의 두 문화파급 경로가 지배적이었다고 보았다. 한편, 중기에 호남지역 유적이 급감하는 현상은 [전기 말-중기]에 걸친 한랭화, 잡곡농경에 대한 정보인지, 남해안으로부터의 정보 단절이라는 복합적 요인에 따른 결과이며, 그 과정에서 토착 신석 기시대인들은 일부 패총으로 명맥을 유지하거나 내륙으로 진출하고, 남부내륙문화가 유입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호남지역 이탈이라는 선택을 강행하였다고 보았다. 이러한 복잡한 양상과 토착 신석 기시대인들의 선택이 한반도 여타지역과 차별화된 호남지역의 중기 모습을 낳았다고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후•말기에는 유적이 다시 증가하는데, 이는 남해안지역 및 남부내륙지역, 충 청지역으로부터 신석기시대 후기집단들이 유입된 결과로 보았다. 한편, 말기에 중남서해안 및 호남내륙지역에서 이중구연토기의 출토비율이 적고, 유적 수가 정체하거나 감소하고 있어 중기이후의 조•기장을 중심으로 한 농경이 불안정해지기 시작하였다고 보았다. 서남해 안지역에서는 패총유적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데, 이 지역 조•전기에 생업 근거지•중간 기착지•교류 거점지가 확인되었던 데 비해, 말기에는 모두 장기거주라기보다 생계를 위해 한시적으로 점유되었다고 추정하였다. 말기의 생업방식 변화는 농경 및 수렵에 대한 비중 이 더욱 약화되면서 이동성이 강한 생활로 복귀하였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호남의 신석기시대문화는 신석기시대 각 집단들이 오랜 기간 정착하여 이룩한 독특한 호남만의 문화라기보다 주변지역 문화에 연동하여 변동하는 역동적인 문화였다고 평가하였다.

      • KCI등재

        호남지역의 3·1운동

        김종수 육군군사연구소 2015 군사연구 Vol.- No.139

        Generally, people say that the March First Movement that took place in Honam(湖南) area was rather more passive than the other March First Movements that developed locally.And they explain this was because there was lack of man power that could lead Independence Movement due to the failure of Donghak(東學) Farmers’ Movement in 1894 and Japan’s tactic of great suppression on South Korea in1909.But this recognition that the March First Movement in Honam area was more passive than in the other areas is basedon the materials prepared by Japanese General Government,and i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reality. According to 「The Table ofthe March FirstMovement」 contained in Pak Eunsik’s The Bloody History of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the March First Movement in Honam area did not any more passively develop than in the other regions but was quite active indeed. People in Honam area experienced Japan’s merciless massacre and suppression so naturally had higher anti-Japanese sentiment than those in the other regions. Besides,in Honam having agriculture as its major industry, farmers’ exploitation and degrading to tenant farmers were far more seriousthan in the other regions on account of Japanese agricultural capitalists’ entrance into it and their pillageof land,so there was an even higher anti-Japanese struggle in Honam. Accordingly, Honam’s farmers resisted Japan’s forced ruling and colonial exploitation andwas actively involved in the March First Movement in order to struggle to defend their right to live. Just like the other regions, the March First Movement in Honam was promoted mainly by religious circles and students. Even after Donghak(東學) Farmers’ Movement in 1894, Honam played its roles as the center of Cheondogyo(天道敎). Also, in Honam area, the US Namjangro(南長老) School missionaries performed their mission work aggressively and built Christian schools all over the place around 1910. Using Cheondogyo(天道敎) and Christian organizations,they developed the March First Movement systematically in Honam area. Meanwhile, purposeful celebrities and students in Honam also contributed considerably to the spread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Honam, too. Key words: The March First Movement in Honam(湖南) area, The Bloody History of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Cheondogyo(天道敎), Christian organizations in Honam area 일반적으로 지방에서 전개된 3·1운동 중 호남지역의 3·1운동은 타 지역에 비해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말해지고 있다.이것은 1894년 동학농민운동의실패와 1909년 일제의 소위 ‘남한대토벌 작전’에 의해 독립운동을 지도할 인적기반이 상실되었기 때문으로 그 이유가 설명되고 있다.그런데 호남지역의 3·1 운동이 타 지역에 비해 소극적이었다는 인식은 조선총독부가 작성한 자료에근거한 것으로서 실상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 나오는 「3·1운동 일람표」를 보면 호남지역의 3·1운동은 타 지역에 비해 결코뒤지지 않고 활발하게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호남지역은 일제로부터 무자비한 학살과 탄압을 경험하여 타 지역보다 반일감정이 클 수밖에 없었다.또한 농업이 주산업인 호남은 일본인 농업자본가의진출과 토지침탈로 인해 농민의 착취와 소작인화가 타 지역보다 훨씬 심해 항일 투쟁심이 매우 높았다.이에 호남지역 농민들은 일제의 무단통치와 식민지수탈에 반발하여 생존권 수호 투쟁 차원에서 3·1운동에 적극 가담하였다. 호남지역의 3·1운동 역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종교계와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추진되었다.호남지역은 1894년 동학농민운동 이후에도 천도교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또 호남지역에는 미국 남장로파 선교사들에 의해선교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1910년을 전후하여 각 처에 기독교계 학교가설립되었다.이러한 천도교와 기독교 조직을 이용하여 호남지역에서는 조직적인 3·1운동이 전개되었다.한편 호남지역의 뜻있는 인사들과 학생들의 활동 역시 호남지역 3·1운동의 확산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주제어 :호남지역의 3·1운동,한국독립운동지혈사,토지조사사업 반대투쟁, 전북지역의 3·1운동,전남지역의 3·1운동,천도교,기독교국문초록

      • KCI등재

        호남지역 다문화선교의 현황과 과제

        박흥순(Heung Soon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3 선교와 신학 Vol.32 No.-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이주아동(청소년), 다문화가정을 포함한 이주민이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면서 한국교회의 중요한 일원으로 편입되고 있다. 전체인구의 2.9%에 해당되는 이주민이 더불어 살아가며 급속도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다문화선교는 낯선 주제처럼 보인다. 호남지역에 거주하는 이주민을 위한 다문화선교는 이주민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는 동시에 다문화선교를 담당하는 교회와 기관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 글은 첫째로 호남지역 다문화선교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다. 호남지역에 거주하는 이주민의 현황을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통계와 행정안전부의 통계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이주민에 대한 지역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이해를 돕는다. 둘째로 호남지역 다문화선교의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이주노동자 중심의 다문화선교에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확장하는 다문화선교의 현황을 살펴본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위탁을 받은 기관과 센터를 교회가 운영하는 곳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지역교회의 다문화선교 현황을 파악한다. 셋째로 호남지역에서 다문화선교를 담당하는 예장 통합 교단의 교회와 기관에 대한 파악을 통해서 유기적 관계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예장 통합 국내선교부가 파악한 교회와 기관과 호남지역 다문화선교협의회에 속한 교회와 기관의 상이점을 지적함으로써 총회와 지역노회의 긴밀한 협력의 필요를 인식하게 한다. 넷째로 호남지역 다문화선교를 담당하는 예장 통합 교단에 속한 교회와 기관을 다섯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소개한다. 교회 중심의 예배공동체 사역 유형, 교회부설 센터 중심의 사역 유형, 이주민센터 혹은 비영리 민간단체의 독립적 사역 유형,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위탁운영 사역 유형, 자조모임 사역 유형으로 나누어서 살펴본다. 다섯째 호남지역 다문화선교의 미래지향적 방향을 네 가지로 간단하게 제안한다. 호남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선교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는 일은 쉽지 않다. 교단이나 이주민협의체에서 파악할 수 없는 교회와 기관이 많기도 하지만 다양한 관심과 목적을 갖고 진행하는 다문화선교를 유형별로 분류하는 것도 복합적이기 때문이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에서 다문화선교를 실시하는 대표적인 교회와 기관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수준에 머무르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남지역에서 전개하고 있는 다문화선교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지향적 방향을 제시하는 시도는 다문화선교에 관심을 갖고 있는 지역교회와 그리스도인을 위한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호남지역의 예장 통합 교단에 속하면서 다문화선교를 담당하는 교회와 기관을 파악함으로써 광주광역시를 포함해서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를 포괄하는 다문화선교협의체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문화선교는 이주민이 한국사회에 올바로 적응할 수 있도록 인권과 복지의 측면에서 지원하고 관심을 갖는 동시에 목회와 선교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따라서 이주민에 대한 현황을 파악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과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한국사회의 구성원과 한국교회의 그리스도인을 위한 다수자 교육도 병행해야 한다. 다문화선교가 지닌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하면서 호남지역에 위치한 교회와 이주민 지원기관이 교단이나 교파를 초월해서 협력함으로써 효율적인 다문화선교를 진행하도록 연대할 필요가 있다. The immigrants including migrant workers, inter-marriage men and women, multicultural families are becoming important members of Korean society as well as Korean churches. The number of people who reside having the immigrant background is about 1.5 million which accounts for 2.9% of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 Korean society is now going to enter into multicultural society which should coexist with people who come from different cultural,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immigrants have faced with identity crisis when they are struggling to adapt themselves to new circumstances in Korea. First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immigrants as well as the multicultural mission of the local churches and centres in the Honam region in order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s. Second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e should look a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multicultural mission which have been expanded from migrant workers to inter-marriage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irdly, investigating local churches and centr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which have served multicultural mission, I will suggest the organic solidarity of these local churches and centres in the Honam region. The National Mission Ministry of the PCK have checked up the state of multicultural mission in 2011. The Association of the Multicultural Mission in the Honam region also have investigated th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mission in 2009. However, it did not match the list of churches and centres of multicultural mission of the two institution. In this point, we should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close solidarity among the PCK and the local churches. Fourthly, we will classify multicultural mission into five types as follows: the type of church-centred worshipping community, the type of church-operating centre, the type of migrant centre or Non Profit Organisation, the type of charging from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he type of self-support group. Finally, I briefly propose four developmental directions of multicultural mission in the Honam region.

      • KCI등재

        호남지역 마을굿의 분포 양상과 지역적 특징

        김월덕(Kim Wol-Duk)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2 No.-

        본 논문은 그동안 전남과 전북에서 각각 이루어져 온 마을굿 조사와 연구 성과를 통합하고, 거시적 관점에서 호남지역 마을굿의 분포 양상과 지역적 특징을 조망해 본 결과이다. 호남지역 마을굿은 제의와 풍물굿으로 이루어지는 ‘당산제’가 호남지역에 전반적으로 분포하는 가운데, 비슷한 자연ㆍ인문적 환경 조건 속에서 역사와 문화를 공유해온 각 권역별로 마을 수호신의 신격 분화에 따라 제의의 중층 구조가 형성되고, 집단적 대동놀이가 결합되기도 하면서 호남지역의 마을굿은 다양한 형태들이 공존하고 있다. 시군별로 지역적 형평성을 고려하여 추출한 마을굿 표본 사례들을 중심으로 호남지역 마을굿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중심 제의와 놀이, 연행 시기, 주요 사제 및 연행자, 연행 방식 등의 측면에서 호남지역 마을굿의 전반적인 특징과 권역별로 드러나는 다양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호남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당산제는 유교식 제사와 풍물굿의 유기적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제의와 놀이의 전 과정에서 풍물패가 전면에 나서서 진행을 주도하거나 뒤로 물러나면서 전체 과정을 이끌어 간다. 다른 지역과 비교해서 볼 때 호남지역의 마을굿에서 풍물굿이 차지하는 비중과 위상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연행 시기는 정월 대보름 전후로 집중되어 있다. 호남지역은 세습무 지역에 속하지만 마을굿에서 무당의 역할을 미약하다. 호남지역 마을굿에서는 제의만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제관과 함께, 연행자로서 제의와 놀이를 모두 담당하는 풍물패의 역할이 중요하다. 연행 방식은 제의와 풍물굿과 대동놀이가 일정한 패턴으로 결합되며 마을굿의 양상이 다양하게 전개된다.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호남지역 북동부 산간지역 마을굿이 다른 권역과 구분 되는 특징은 ‘산(신)제’의 분포에 있다고 할 수 있고, 풍물굿으로 하는 놀이 이외에 대동놀이로서 보편적으로 하는 놀이는 크게 발달하지 않았다. 서부 평야지역의 마을굿의 중요 제의는 ‘당산제’와 ‘천룡제’이다. 천룡신은 주로 마을 뒷산 주령에 위치하는데, 이처럼 산신의 위치를 잠식하면서, 당산신과 평야지역 제의의 중요 대상신으로 공존한다. 농경문화의 핵심지역인 평야지역에서는 지신이자 마을 수호신인 당산신에 대한 제의와 강우신이자 우순풍조를 담당하는 천룡신에 대한 제의를 행하여 마을 수호와 함께 풍농을 기원한다. 평야지역의 마을굿에는 줄다리기와 같은 역동적인 대동놀이가 발달해 있고, 제의와 줄다리기가 일체화되어 있다. 동남부 중간지역은 동북부 산간지역과 서부 평야지역의 중간지역으로 두 지역의 특성이 공존한다. 서부 평야지역처럼 당산제가 널리 분포하고 천룡신에 대한 제의가 나타나지만, 천룡신의 성격은 평야지역보다 미약하고 대동놀이도 발달하지 않았다. 아울러 산간지역의 탑제가 중간지역까지 분포해 있다. 산간지역 마을굿의 특징적 제의 형태가 ‘산제/산신제’라면, 해안ㆍ도서지역의 특징적 제의 형태는 ‘용왕제/갯제’이다. 용왕제가 다른 제의들과 중층적 구조를 이루는 양상을 보이며, 다른 권역에 비해 무속의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an aspect of the distribution of Maeulgut in Honam and the regional features. We can tell that there are overall features and features by each area in the view of a distribution chart of Honam Maeulsgut which is drawn as a result of sampling them. Dangsanje is distributed widely throughout Honam region. Dangsanje is an organic combination of a Confucian service and Poongmulgut. Poongmul performers lead the whole sequence of ritual and play in Honam Maeulgut by taking the lead in it or backing up somewhat. The position and proportion of Poongmul-gut in Honam Maeulgut are very high compared with other regions. The timing of performing Maeulgut concentrates before and after January 15th of the lunar calendar, reflecting the cultural feature of Honam region as a well-cultivated region. The position of shaman is not that important in Honam Maeulgut even though Honam is an area of Seseupmu, a kind of shaman whose role is usually hereditary. Priests who are selected by habitants of the village and Poongmul performers who lead the whole process of ritual and pla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onam Maeulgut. Honam Maeulgut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attern which consisrs of a Confucian ritual and Poongmulgut. The features of Maeulgut of Honam region by each a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ortheast area of the mountains of Honam is marked by San(sin)je (a religious service for the mountain god). Secondly, the ritual part of Maeulgut in the western field areas of Honam region combines Dansanje with the united play such as drawing a rope of straw. Thirdly, Cholryongje which is equivalent to San(sin)je of the mountainous areas is found out in the western field area of Honam and the southeast area. Fourthly, Yongwangje (a religious service for the sea god) or Gatje is an important ritual in the seaside districts and islands of Honam region and consists of a multi-layered ritual structure.

      • KCI등재후보

        논문 : 3~6세기(世紀) 호남지역(湖南地域)의 철기생산(鐵器生産)과 유통(流通)에 대한 시론(試論) -영산강유역(榮山江流域) 자료(資料)를 중심(中心)으로-

        김상민 ( Sang Min Kim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7 No.-

        본고는 3~6세기대 호남지역의 철기생산과 유통구조의 추론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남한지역의 제철유적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생산공정에 따라 제철유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남한지역 제철공정에 있어서 호남지역 철기생산의 위치를 확인하고, 호남지역에서도 정련단야 이상의 공정이 존재한다고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일본에서 실시된 제철 실험 자료와 화순 삼천리유적 출토품의 비교검토를 실시하여, 호남지역에 있어서 제련로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철공정 중 호남지역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단야공정에 대한 분석을 위해 하부구조와 송풍구의 형태를 중심으로 형식분류하고, 이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호남지역의 단야유적을 정련단야유적과 단련단야유적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유통구조는 정련단야유적에서 생성된 2차 생산소재가 단련단야유적으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생산과 유통구조에 대한 변화상을 정리하면, 3~6세기대 호남지역의 철기생산은 외부에서 유입된 2차 소재에 대한 단련단야공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6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제련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단야공정에서는 대규모 취락이 생산과 유통의 중심지가 되며, 그 중심지는 5세기중엽에 이르면 영산강의 중하류에서 중상류로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overview of ir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e Honam Region from 3rd century to 6th century. This is achieved by first presenting a compilation of iron smelting sites located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are then categorized by the type of production process that occurred at each site. It was then followed by the identification of locations associated with iron production sites in the Honam region while considering smelt products of the southern region. Based on there sults of this study, it appears that iron production was not limited to the process of smelting and refining within the Honam region. A comparison of data from a smelting furnace experiment conducted in Japan was compared with artifacts from the Samchun-ri site verifies this observati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sets of data confirm the existence of smelting furnaces similar to those from experiment within the Honam region. Moreover, forging sites central to iron production in the Honam region were classified by the furnace substructure and ventilation systems. As a result, smelting sites can be categorized into those that performed refining and forging and those where Danryun forging occurred. Furthermore, the refining and forging sites produced refined iron which was then distributed to Danryun forging sites. As this study demonstrates, iron production in the Honam region from 3rd century to 6th century. involved the refining and forging of iron which utilized smelt material imported from outside the Honam region. There is also evidence for the production of smelt material in the region around the 6th century. It is believed that large settlements were central to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ron as show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forging process and the distribution of forging sites and that these sites moved from the central downstream area to the central upstream of the Yeongsan River during the 5th century.

      • KCI등재

        백제의 호남지역 경영과 5방체제

        지원구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8

        이 연구는 백제의 호남지역 진출 과정의 추이를 5방체제의 성립과 운영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백제의 호남지역 진출은 한성시기인 근초고왕 대부터 시작되었는데, 당시는 직접적인 영역의 편제가 아니라 거점적 간접지배 형태로 구축되었다. 호남지역에 대한 직접적인 경영이 이루어진 것은 백제의 웅진천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강성한 고구려를 상대로 북방 지역으로 진출을 모색하기보다는 남방 지역의 구마한지역과 구가야지역으로의 진출을 시도한다. 그 결과 남방 지역이 완전히 백제화되자 새로운 지역 지배 방식을 적용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5방체제의 성립이다. 따라서 백제의 호남지역 경영은 5방체제의 성립 과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기능한다. 구마한지역에 중방성이 설치되고 구가야지역에 남방성이 설치되는 것이 그것이다. 중방성은 고고학적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고부의 고부구읍성이 유력하다. 남방성은 가야지역 진출 과정에서 역사지리적으로 가장 중요시된 남원지역으로 비정되며, 치소성은 척문리산성으로 이해된다. 중방성과 남방성의 설치는 마한인과 가야인을 포섭하여 통치하려는 백제의 고도의 전략이다. 한편 호남지역의 방성은 백제부흥운동에서도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였는데, 백제의 군사체계 중 지방군이 존속되었다는 점과 연동되는 부분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gress of Baekje's entry into the Honam area(湖南地域)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5 Bang System(5方體制). Baekje's entry into the Honam area started in the rule of King Geunchogo(近肖古王) during Hanseong era(漢城時期). At that time, it was established in an indirect form of ruling, not a directly territorial management. The direct management of the Honam area is closely related to Baekje’s transfer of the capital to Ungjin(熊津). Rather than seeking to advance into the northern area against the powerful Goguryeo(高句麗), Baekje tried to advance into the old Mahan(馬韓) and Gaya(加耶), located in the southern area. As a result, when the southern area was completely Baekje’s, a new way of ruling the area was applied. That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5 Bang System. Therefore, Baekje's management in the Honam area function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5 Bang System. It was the establishment of Jungbangseong(中方城) in the old Mahan and Nambangseong(南方城) in the old Gaya. Based on the archaeological findings, it was likely that Gobugueupseong(古阜舊邑城) in Gobu(古阜) was Jungbangseong. The Nambangseong was designated as the Namwon area, the most important area in history and geography in the process of advancing into the Gaya and the Chisoseong(治所城) was understood as Cheokmunrisanseong(尺門里山城). The establishment of Jungbangseong and Nambangseong was a Baekje’s smart strategy to rule by embracing Mahan and Gaya people. Meanwhile, Bangseong in the Honam area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he Baekje Revival Movement(百濟復興運動), which is connected to the existence of a regional army in the Baekje military system.

      • KCI등재

        호남지역 철기문화 중심세력의 전환과 그 의미

        김상민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58

        호남지역은 한반도 남부지역 내에서도 일찍이 철기가 유입되고 발전하지 만, 철기의 등장부터 삼국시대 철기문화의 발전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은 연 속성을 보이지 않는다. 또한 호남지역 내 3세기 이후 등장하는 철기문화 역 시 지역성이 강하며 그 편차가 큰 편이다. 본고는 최근 호남지역 철기문화의 등장과 발전과정에서 보이는 소위 「공백기」, 「단절기」로 표현되는 기원 1~2세 기 철기문화를 특정하고, 3세기대 호남지역 지역 정치체와의 상호관계를 살 펴보고자 하였다. 호남지역 철기문화의 중심세력은 철기의 유입과 함께 만경강유역을 중심으 로 세력을 형성하여 주변 일대로 내적 확장하였으나, 이후 기원전 1세기를 기점으로 철기문화의 중심세력으로는 성장하지 못한다. 그리고 서남해안·영 산강유역을 중심으로도 소규모 세력이 등장하지만 해양거점을 중심으로 단조 제 철기류를 유입한 정도에 그친다. 즉 호남지역의 철기문화는 기원 1세기 이후 기술과 소재의 한계로 인해 독자적인 철기문화 중심세력으로 성장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철을 비롯한 선진문물의 중요성을 사전에 인지 한 지역이나 해로를 통해 문화교류를 활발하게 하였던 해양거점은 배후 집단 의 등장시키는 촉매제가 되었으며, 이후 3세기대 지역 정치체로 성장하는 배 경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The region of Honam is one of the places locate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in which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iron culture were prosperous. Despite this fact, a series of processes leading from the appearance of iron to the development of the iron culture in the Age of Three Kingdoms did not show consistency. Furthermore, the iron culture that emerged from 3th century in the region of Honam shows a strong preponderance according to locality and its deviation is wide.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specify the iron culture during the first and second century BCE often referred to as 「the Vacancy Period」, 「the Disconnection Period」and reviews its interrelationship with the political system in the region of Honam in third century AD. The central force of the iron culture in the region of Honam formed forces centered around Mangyeong River with the introduction of iron, expanding inward into the areas around it; however, it failed to grow into the central force of the iron culture up to the first century BCE. In addition, a small force around the Southwest coast and the area of Yeongsan River emerged; however, their contribution did not exceed the introduction of forging iron products centered around the sea. That is to say, due to limitations of technology and materials, the iron culture in the Honam area is considered to fail to grow into an independent central force of iron culture. However, by engaging in cultural exchanges with the regions well aware of its advanced development of culture and materials or through the sea route, the marine base played a role of a catalyst to conduced to the emergence of the hinter land forces, which paved the way to growing into regional political entities in the third century.

      • KCI등재

        지역연구(area studies)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 :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홍석준 ( Seok Joon H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6

        현대사회는 전지구적 문화(global culture)와 지역문화(local culture)가 공존하는, 복합적이면서도 다양한 문화적 현상이 지배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소위 ``지역연구``(area studies)에 대한 각별한 관심은 이러한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에 관심을 기울여 온 인류학에서 지역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실천의 역사는 다른 학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편이다. 인류학이 지역연구에 기여한 바는 지역에 대한 관심과 실천에 있어서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시켰다는 점일 것이다. 특히 특정 지역의 문화 전반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온 문화인류학자들은 초창기부터 부족, 종족, 국가 단위뿐만 아니라 문화라는 단위를 지역연구의 기준으로 사용할 것을 주창해 왔다. 그러나 지역연구가 활성화되고 발전함에 따라 부족이나 종족, 국가 단위의 분류는 지역연구의 대상과 영역을 사실상 협소화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문화의 개념에 기초한 구분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여기서는 지역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작으로, 지역연구와 문화인류학의 관계를 살펴본 후, ``호남 지역문화`` 연구를 사례로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를 거쳐 향후 호남 지역연구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나아가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지역연구로서의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이를 위해선 어떠한 이론적, 방법론적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호남 지역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재해석을 요하는 일로,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지평을 확장, 심화하기 위해선 지역문화를 다루는 다양한 학문 분야로부터의 다각적인 접근을 어떻게 통합 또는 융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토론의 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critically. In doing so, I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ea studies and anthropology, estim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호남)``(including Jellanam-do and Jellabuk-do provinces which are located in Southwestern area of Korea Peninsula) area studies, and propose the orientations towards the development of ``honam`` area studie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 review some issues on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works to reflect and develop the ``honam`` area studies in Korea. And I think that this study is to (re)interpret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 area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honam`` culture and society, including cultures and societies of islanders` everyday of lives, urban history and culture of port cities, and maritime culture and history and folklore. Furthermore, I review how to integrate the various approaches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fields of ``honam`` area studies into a new academic area or an united knowledge system to provid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honam`` culture and society.

      • KCI등재

        지역연구(area studies)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홍석준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6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critically. In doing so, I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ea studies and anthropology, estim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호남)’(including Jellanam-do and Jellabuk-do provinces which are located in Southwestern area of Korea Peninsula) area studies, and propose the orientations towards the development of ‘honam’ area studie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 review some issues on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works to reflect and develop the 'honam' area studies in Korea. And I think that this study is to (re)interpret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 area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honam’ culture and society, including cultures and societies of islanders' everyday of lives, urban history and culture of port cities, and maritime culture and history and folklore. Furthermore, I review how to integrate the various approaches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fields of ‘honam’ area studies into a new academic area or an united knowledge system to provid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honam’ culture and society. 현대사회는 전지구적 문화(global culture)와 지역문화(local culture)가 공존하는, 복합적이면서도 다양한 문화적 현상이 지배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소위 ‘지역연구’(area studies)에 대한 각별한 관심은 이러한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에 관심을 기울여 온 인류학에서 지역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실천의 역사는 다른 학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편이다. 인류학이 지역연구에 기여한 바는 지역에 대한 관심과 실천에 있어서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시켰다는 점일 것이다. 특히 특정 지역의 문화 전반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온 문화인류학자들은 초창기부터 부족, 종족, 국가 단위뿐만 아니라 문화라는 단위를 지역연구의 기준으로 사용할 것을 주창해 왔다. 그러나 지역연구가 활성화되고 발전함에 따라 부족이나 종족, 국가 단위의 분류는 지역연구의 대상과 영역을 사실상 협소화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문화의 개념에 기초한 구분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여기서는 지역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작으로, 지역연구와 문화인류학의 관계를 살펴본 후, ‘호남 지역문화’ 연구를 사례로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를 거쳐 향후 호남 지역연구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나아가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지역연구로서의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이를 위해선 어떠한 이론적, 방법론적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호남 지역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재해석을 요하는 일로,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지평을 확장, 심화하기 위해선 지역문화를 다루는 다양한 학문 분야로부터의 다각적인 접근을 어떻게 통합 또는 융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토론의 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 KCI등재

        호남지역 유적조사 성과를 통해 본 마한·백제 - 2016년을 중심으로 -

        이동희 ( Lee Dong-hee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0

        이 글은 2016년도에 호남지역에서 발굴조사된 마한·백제 관련 주요 유적의 성과 외에도, 2016년도에 발간된 발굴조사 보고서와 논문을 살펴보고 호남지역의 마한·백제를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2016년도에 발굴조사된 유적조사 현황을 바탕으로 호남지역 마한·백제의 주요 논점을 검토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마한 기원과 관련한 분묘, 화천이 다량으로 출토된 광주 복룡동 토광묘의 성격, 경질무문토기의 하한과 타날문토기의 상한, 호남 동부권에 주로 분포하는 백제 산성의 의의와 백제의 지배형태 등이다. Ⅲ장에서는 2016년 발간 주요 보고서 및 논문으로 본 호남지역의 마한·백제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2016년에 발간된 호남지역 발굴조사보고서 가운데 마한·백제 관련 주요 유적은 마한 초현기의 분묘, 호남 최초의 빈(殯) 관련 의례유적, 철기 제작과 관련된 대규모 취락, 백제 오방성 가운데 하나인 정읍 고사부리성, 6세기대 전남동부지역의 백제 영역화를 보여주는 고분 등이 있다. 한편, 2016년에 발간된 논문 가운데 호남지역 마한·백제와 관련 연구 경향은 다음과 같다. 즉, 전북지역에서는 마한 성립기의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 전북지역 마한·백제 묘제의 양상과 의미, 익산과 마한·백제 등이 논의되었고, 전남지역에서는 영산강유역의 마한·백제 고분과 출토유물에 대한 글이 주를 이룬다. 즉, 묘제·토기·금동신발로 본 복암리 세력과 주변지역의 동향, 복암리 출토 목간으로 본 나주의 위상, 영산강유역의 왜계 고분과 마한·백제·왜와의 관계, 서남해안 해상교통로와 백제·왜 관계, 영산강유역의 백제 지방도시, 마한토기의 정체성과 동북아시아적 의미 등이 거론되었다. 호남지역에서 마한의 상한, 마한·백제의 전환기, 5~6세기 고총의 피장자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이지만, 쉽게 결말이 나지 않고 있다. 다른 지역에 비해 문헌이 빈약한 호남지역에서는 여전히 새로운 고고자료가 필요 하고,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shed new light on Mahan and Baekje in Honam region of Korea by examining major remains related with Mahan and Baekje excavated and examined in Honam region in 2016 as well as the excavation reports and essays published in 2016. Chapter Ⅱ examined major issues about Mahan and Baekje in Honam reg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excavation of remains in 2016. Major contents of this chapter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ombs related with the origin of Mahan and the wooden coffin tombs of Bokryong-dong, Gwangju where ancient coins of China were found in a great quantity and the significance of Baekje fortresses mainly located in the eastern area of the Honam region and the form of governance of Baekje. Chapter Ⅲ examined the research results on Mahan Baekje in Honam region through major reports and essays published in 2016. The trends of essays on Mahan and Baekje of Honam region published in 2016 are as follows; Studies conducted in Jeollabuk-do region mainly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during the establishment of Mahan and the meaning of Mahan-Baekje burial system in Jeollabuk-do, while studies conducted in Jeollanam-do mainly discussed Mahan-Baekje tombs on the side of Yeongsangang River and artifacts excavated from them and the sea lanes in the Southwest co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