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태론 중재가 학령기 학생들의 영어 문식성 성취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강혜경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2 글로벌교육연구 Vol.14 No.1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on morphology intervention research from 2000 to 2019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orphological interventions, which are important predictors on literacy achievement outcomes for English-speaking students. 27 morphology intervention papers including school-age students from grades 1-12 were finally selected and meta-analyzed to find out the effect size of morphology interv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ubgroups. The effect size of 326 research data calculated from the analysis target paper was .720 (.640.~.800), indicating an intermediate range. And among the four types of morphology intervention types, single morphology awareness had the greatest effect (1,686), followed by morphology + reading/writing (.651), morphology + linguistic awareness (.626), and morphology + vocabulary (.266). Examining the effect size of the achievement results for each intervention target area, it was found to be word reading 1.253, morphology awareness .965, vocabulary .625, spelling .542, reading comprehension .217, and writing .167. The effect size of 326 morphology intervention research data suggests a positive trend in the literacy achievement results of school-age students. These results can affect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achieving Hangeul literacy with developed morphemes as an important instruction elements. In addition, it may be considered to include morphological content so that grammatically appropriate words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roles and functions of words in Korean sentence instruction. And, based on this study, we propose the necessity of morphological interventions for application to Hangeul. 이 연구는 영어를 사용하는 학생들의 문식성 성취결과에 중요한 예측변인이되는 형태론 중재의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0∼2019년까지 형태론 중재연구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학령기 1-12학년까지 다양한 학년과 학생들이포함된 형태론 중재 논문 27편을 최종 선정하여 형태론 중재의 효과크기와 하위집단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메타분석을 하였다. 분석 대상 27편 논문에서 산출한 연구자료 326개의 효과크기는 .720 (.640.∼.800)로 중간 범위로 나타났다. 그리고 형태론 중재유형 4개 집단 중 단일 형태론인식의 효과가 가장 크며(1,686), 형태론+읽기/쓰기 (.651), 형태론+언어인식 (.626), 형태론+어휘 (.266) 순으로 효과를 나타냈다. 중재 목표 영역별 성취결과의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단어읽기 1.253, 형태론 인식 .965, 어휘 .625, 철자 .542, 읽기이해 .217, 쓰기 .167로 나타났다. 형태론 중재 연구자료 326개의 효과크기는 학령기 학생들의 문식성 성취결과에 긍정적인 경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형태소가 발달한 한글 문식성 성취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교수 요소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한글 문장교수에서 단어의 역할과 기능에 따라 문법적으로 적절한 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형태론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영어 문식성 성취에 대한 형태론 중재의 효과성을 기초로 하여 한글에 형태론 중재를 적용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한국어 형태론의 문제점과 그 대안

        최명옥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서강인문논총 Vol.22 No.-

        이 논문은 구조주의 형태론Structural Morphology과 생성형태론Generative Morphology 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 형태론의 문제점에 대해서 논의하고 한국어 형태론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한국어 형태론에 대한 필자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파생어’나 ‘합성어’ 등을 포함한 모든 단어는 역사적인 산물이므로 모두 어휘부에 등재되어 있다고 해야 한다. 그러므로 한국어 형태론은 공시형태론Synchronic Morphology과 통시형태론Diachronic Morphology(또는 역사형태론Historical Morphology)으로 구분하는 것이 좋다. 공시형태론에서는 ‘활용conjugation’과 ‘곡용declension’에 관여하는 언어요소들linguistic elements이, 통시형태론에서는 단어를 구성하는 언어요소들이 논의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단어는 모두 공시형태소synchronic morpheme에 속하며 단어의 구성요소들은 모두 통시형태소diachronic morpheme에 속한다. 그리고 형태소는 그것의 이형태allomorph를 합리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단일형unique form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problems with Korean morphology, which is based on structural morphology and generative morphology, and to show my opinions as a suitable alternative. The point I want to make is that every words including 'derivative' and ‘compound’ words are to be registered in lexicon, because words are historical products. Therefore, I propose to devide Korean morphology into two branches; Synchronic Morphology and Diachronic Morphology (or Historical Morphology). In synchronic morphology, the object of study should be the linguistic elements participated in conjugation and declension, and in diachronic morphology, it should be the linguistic elements forming words. All words belong to synchronic morpheme and all word formative elements belong to diachronic morpheme. In addition, a morpheme must be represented as a unique form from which derived its allomorphs reasonably.

      • KCI등재후보

        방언 형태론의 연구 대상

        채현식 한국방언학회 2008 방언학 Vol.- No.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subjects of dialect morphology. Dialect Morphology is a sub-component of regional dialectology which is a field of dialectology. The subjects of dialect morphology is the same as that of general morphology if we think the purpose of dialect morphology is to establish morphology system of individual dialects. The core of morphology is in the lexicon. And the core subjects of dialect morphology lies in the speakers' lexicon of the dialect. The lists of stems and syntactic atoms(endings, particles) are in the lexicon, which are inserted to syntactic component as inputs. And words in the lexicon are organized inter-acting one another. While synchronic dialect morphology deals with synchronic structures of individual dialects, diachronic dialect morphology deals with the changes of the lexicon of individual dialects. Synchronic dialect morphology determines lists morphemes and words, and investigates morphological connections of words through establishing underlying forms of stems, syntactic atoms of individual dialects. Diachronic dialect morphology investigates diachronic changes of morphemes and word-formation of individual dialects. 이 논문은 방언형태론의 대상을 확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언형태론은 방언학의 한 분야인 지역방언론의 하위 분야이다. 방언형태론이 개별방언의 독자적인 형태론적 체계 수립에 목적을 둔다고 할 때, 그 연구 대상은 일반형태론의 연구 대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 형태론의 중심 영역은 어휘부이다. 따라서 방언형태론의 주요 연구 대상 역시 해당 방언 화자의 어휘부가 된다. 어휘부에는 통사부에 입력이 되는 어간, 조사, 어미의 목록이 저장되어 있으며, 어휘부 안에 저장된 단어들은 서로 연결을 맺으며 조직화되어 있다. 공시방언형태론은 해당 방언의 어휘부의 공시적인 구조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 반면, 통시방언형태론은 해당 방언 어휘부의 통시적인 변화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공시방언형태론에서는 해당 방언의 어간과 조사, 어미의 기저형 설정을 통해 형태소 목록을 작성하고 단어들 사이의 형태론적 연결 관계를 탐구한다. 통시방언형태론에서는 형태소의 통시적 변화와 단어 형성을 다룬다.

      • KCI등재

        구문 형태론에 기반한 형태론 용어들의 정의

        정병철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9

        본고는 학교 문법에서 통용되고 있는 형태론 관련 용어들이 어떤 문제점과 모순을 발생시키는지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구문 형태론의 관점에서 형태론 관련 용어을 보다 타당하게 정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 문법은 학문 문법의 성격과 규범 문법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는데, 현재 학교 문법에서 통용되는 형태론 관련 용어들의 정의는 고전적인 형태론이 반영된 규범주의에 기울어 있어, 언어의 실제에 대한 탐구 활동 및 새로운 언어학 모형의 설명력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형태론 관련 용어들에 대한 구조주의 관점의 정의들은 기계 은유의 영향으로 단어의 형성 과정이 선조적이며 절차적일 것이라 단정하지만 구문 형태론에서는 단어와 구문이 기계적인 순서가 아닌 언어 사용의 경험을 통해 발생한 도식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구문 형태론의 관점에서 형태론의 다양한 용어들, 즉 형태소와 단어,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어근과 접사와 같은 용어들을 새롭게 정의해 보고, 그 새로운 정의가 한국어 사용의 실제에 대한 설명적 타당성을 개선해 주고 효율적인 탐구 활동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韓國 漢文文法의 形態論 敎育論 硏究

        안재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3 No.-

        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형태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 한 것은 한국인이 한문문법 형태론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 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敎授者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형태론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보려한 것은 형태론 교육의 목표, 형태론교육의 내용(품사론, 어휘 분류와 방법), 형태론 교육론의 교수법, 형태론 교육론의 평가법 등이다. 1. 형태론 교육의 목표1.1 형태소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1.2 형태소의 기능과 의미구조에 대하여 안다.1.3 형태소와 형태소의 결합관계를 안다. 1.4 품사의 개념과 분류 기준을 안다. 1.5 단어의 분류와 그 방법을 안다. 1.6 허사의 기능을 안다. 2. 형태론 교육의 내용2.1 품사론2.1.1 ‘品詞’는 단어(어휘)를 의미와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공통된 성질을 가진것끼리 모아 놓은 단어들의 갈래다. 단어는 보편적으로 문법적 특성에따라 가름한다. 문법적 특성은 형태(form), 의미(meaning), 기능(function)에 따른 특성이며, 이 기준에 따라 구분한 單語(語彙)群을 ‘품사’라 하고, 이러한 ‘품사에 대한 연구’를 ‘品詞論’이라 한다. 2.1.2 한국 학교문법에서는 품사를, 10품사로 구분하고 있다. 10품사는 實詞와虛詞로 구분한다. ‘實詞’에 속하는 품사로는 名詞, 代名詞, 數詞, 動詞, 形容詞, 副詞 등이 있고, ‘虛詞’에 속하는 품사로는 介詞(前置詞), 連詞 (接續詞), 語助詞, 感歎詞 등이 있다. 2.2 單語(語彙) 分類와 그 方法 2.2.1 漢字語의 性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어휘의 개념은 단어, 낱말, 語詞, 한자어 등의 개념과 유사한 개념으로 統稱되고 있다. 한자어의 성격은 한문 체계로 보면, 한자어는 漢字, 漢字語, 漢字成語로 이루어진 ‘漢字 語彙’의 한 갈래로써, 한문의 單語, 句, 文章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게되는 문법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문 체계 속에서 볼 때, 한자는 한자어와 명확하게 구분된다. 한자는 그 자체로 문법 구조를 이루고 있지 못하지만, 한자어는 단어, 어휘이면서 문장의 통사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한문 체계에서 한자어는 2~3음절의 어휘만을 일컫는 것이 타당성이 있다 할 수 있다. 2.2.2 漢字語 語彙의 分類: 近代以前은 ‘漢文文語’에 나타나는 한자어를 중심으로 하고, 근대이후는 ‘신생 한자어휘’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2.2.3 單語의 形成 方法에 따른 分類: 單語는 일반적으로 單純語와 複合語로나뉜다. 단순어는 다시 單音節單純語와 多音節單純語로 구분하고, 복합어는 다시 合成語와 派生語로 구분한다. 合成語는 다시 類似語와 相對 語, 統辭的 構造語로 나누고, 派生語는 ‘基語+接辭’의 구조로 된 것과2.3 形態論 敎育論 敎授法 2.3.1 語彙에 관한 敎授法에 대한 硏究는 單語의 짜임의 경우, ‘造語分析法’ 등의 교수 수업 방법이, 단어의 갈래 및 어휘(성어)의 경우는 ‘言語活用 法’ ‘索出法’, ‘比較學習法’ 등이 효과적이다 할 수 있다. 2.3.2 語彙의 字義와 語義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교수법으로는, ‘字義 분석을 통한 지도방안’과 ‘語義 분석을 통한 지도 방안’이 효과적이라 할수 있다. 2.3.3 多音節 語彙의 敎授․學習法으로는, ‘故事成語’의 경우, 기존의 ‘토의학습법, 역할놀이 학습법’등이 있다. 이외에, 壓縮性을 띤 다음절 어휘는‘이야기를 중... This thesis suggests the research direction of educating morphology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in Korea. This thesis mainly focuses on two things. First, developing Korean’s interpretation ability to the original text through the knowledge about morphology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Second, studying the way instructors teach Classical Chinese in morphological methods. In other words, we will look through the objects, contents, instruct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 of educating morphology. The objects of educating morphology1.1 Know the concept and type of morpheme. 1.2 Know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morpheme. 1.3 Know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of morpheme. 1.4 Know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a part of speech. 1.5 Know the classification of words. 1.6 Know the function of an expletive. 2. The contents of educating morphology2.1 Theory of a part of speech2.1.1 ‘A part of speech’ is the group of word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classified according to functions and meanings. Generally, words are classified by grammatical features. Grammatical features includes forms, meanings and functions. A group of words that are sorted by these features is called ‘A part of speech’, and the research about these groups of words is called ‘Theory of a part of speech’. 2.1.2 Words are grouped in ten parts in Korean school. Ten parts of speech are sorted to a substantive and an expletive. A substantive contains a noun, a pronoun, a numeral, a verb, an adjective and an adverb. An expletive includes a preposition, a conjunction, a particle and an exclamation. 2.2 Classification of words2.2.1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Chinese words’ :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consists of ‘characters’, ‘words’, and ‘idioms’ in the respect of system of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words’ are one part of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and make grammatical structure that contains the functions of words, phrases and sentences. In the system of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re clearly different from ‘Classical Chinese words’.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cannot make grammatical structures, but ‘Classical Chinese words’ make syntax structure of sentences. It is proper to say that ‘Classical Chinese words’ are di- or trisyllabic words in the system of Classical Chinese. 2.2.2 Classification of ‘Classical Chinese words’ :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Written language’ before modern ages, and ‘newly made words’ after modern ages. 2.2.3 Classification of words by formation methods : In general, words are sorted to ‘Simplex’ and ‘Compound’. ‘Simplex’ consists of monosyllabic simplex and multisyllabic simplex. ‘Compound’ consists of compound, which is classified to an analogous term, a relative term and structural term, and derivative, which is classified to ‘root+affix’ structure and ‘affix+root’ structure. 3. Instructing method of morphology3.1 When educating the organization of words, ‘Coined-word-segmentalization method’ is effective, and when educating the sort of words, ‘Language-application method’, ‘Search-out method’, and ‘Comparative-learning method’ are effective. 3.2 ‘Instructing method through analyzing meanings of characters’ and ‘Instructing method through analyzing meanings of words’ are helpful to educating characters of Classical Chinese and words of Classical Chinese, respectively. 3.3 When educating multisyllabic vocabulary, ‘discussion, play-a-role method’, ‘comprehending-through-tales method’,‘comprehending-transformative-use-of-vocabulary method’,‘comprehending-characteristics-of-onomatopoeic-and-mimesis method’ are effective to teaching idioms, compressive words, argot, and adjective words, respectively. 4. Evaluation method of instructing morphologyEvaluation of instructing morphology about Classical Chinese should be done as an exte...

      • KCI등재

        우리말 혼성어 연구와 심리언어학적 실험 - 어휘판단과제 활용법을 중심으로 -

        송원용 형태론 2022 형태론 Vol.24 No.1

        본고는 ‘어휘부-유추 기반 형태론’을 실증적 방법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시작된 심리언어학적 실험을 활용한 형태론 연구의 방법을 우리말 혼성어에 대한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함으로써 심리언어학적 실험을 활용한 형태론 연구 방법론의 전망을 공유하고자 한다. ‘어휘부-유추 기반 형태론’은 구성주의적 관점의 형태론 연구이며, 기능주의적 형태론의 한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우리말 단어를 관찰 가능한 언어 현상으로 이해함으로써 ‘심리적 어휘부의 내용과 조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고, 보편적 인지 과정으로서의 단어 형성을 ‘유추’를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하였을 뿐 아니라, 심리적 어휘부에 저장된 단어가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되는 상황과 맥락을 ‘어휘 접근과 어휘 정보 인출’이라는 어휘부의 기능에 포함시켜 포착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심리언어학적 방법을 활용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어휘판단과제라는 심리학적 실험과 해당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적 검정이라는 방법을 활용하여, 형태론 연구의 다양한 층위에 존재하는 문법 단위의 심리적 실재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는데, 본고는 그러한 연구 방법론을 종합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소개함으로써 구성주의적이고 기능주의적 형태론 연구의 저변이 확대될 수 있도록 돕는 디딤돌을 놓고자 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method of morphology research using psycholinguistic experiments that started to support 'vocabulary-inference-based morphology' as an empirical method, focusing on research cases on Korean hybrid languages, and thus morphology using psycholinguistic experiments. We would like to share the prospects of research methodology. ‘Vocabulary-Inference-based Morphology’ is a study of morphology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and can be said to be an aspect of functionalist morphology. By understanding all Korean words as observable linguistic phenomena, we tried to study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 psychological lexicon', and not only tried to explain word formation as a universal cognitive process based on 'analogy', but also This is because it attempts to capture the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the stored words are used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by including them in the function of the lexicon of 'vocabulary access and lexical information retrieval'. Most of the research up to now using psycholinguistic methods has attempted to verify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grammatical units that exist in various layers of morphological research by using a psychological experiment called a lexical judgment task and a statistical test for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is paper intends to lay a stepping stone to help expand the basis of constructivist and functionalist morphology research by introducing such a research methodology comprehensively and concretely.

      • KCI등재

        구성 형태론은 가능한가

        최형용(Choi, Hyung-yong) 형태론 2013 형태론 Vol.15 No.1

        보이(2010)은 형식과 의미의 쌍으로 이루어진 ‘구성’ 개념을 바탕으로 어휘부에 등재되는 구성들을 대상으로 한 ‘구성 형태론’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구성 가운데서 단어의 성격과 함께 문장의 성격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되어 온 의사-명사 포합 구성, 분리적 복합 동사 구성, 진행 구성, 구적 명명, 수사 구성 등에 초점을 두어 이를 ‘틀’로 포착함으로써 일정한 특성을 가지는 구성들이 어휘부 내에서 다각적인 관계망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경계 요소로서 문제를 제기하였던 것들에 일관적인 측면에서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우선 ‘구성’에서 형태소가 제외됨으로써 언어 단위로서의 지위도 부정될 수 있는 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적지 않다. 또한 무엇보다도 ‘구성’은 어휘부의 등재요소이기는 하지만 전통적으로 단어 내부 요소를 관심 대상으로 삼던 ‘형태론’과 결합되어 ‘구성 형태론’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모종의 모순을 가져오게 된 측면이 있다. ‘구성’은 경계를 탈피하려는 시도에서 나온 것인 데 비해 형태론은 일정한 경계를 속성으로 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이(2010)이 강조한 형태론과 통사론의 경계 요소를 ‘구성’으로 간주하고 형태론의 영역을 확대하는 대신 형태론의 관심사를 ‘구성’의 관점에서 ‘틀’로 포착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밖에는 없다. 한편 ‘틀’을 통해 포착되는 ‘구성’ 가운데는 한국어에도 적용될 만한 것이 적지 않은데 이는 분석적 사고가 지배적이었던 그동안의 연구 경향에 대해 종합적 사고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Booij (2010) aimed to establish a construction morphology dependent on construction, that is, pairings of form and meaning listed in the lexicon. For this, Booij (2010) focused on the incorporation of quasi-nouns, separable complex verbs, progressive constructions, phrasal names and numerals which are regarded as existing on the boundary of morphology and syntax.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to reconsider. In the first place, to deny the morpheme, which is excluded from the lists of construction, as a linguistic unit is open to debate. Above all, the concept of construction (in construction grammar), which was risen from the denial of demarcating the boundary of sub-components of grammar is incompatible with the concept of morphology, which deals with the internal structure of words. To resolve this contradiction, there is no room except that construction only denotes the morphological phenomena instead of concerning the abovementioned phenomena which exist on the boundaries. Meanwhile, Booij (2010) has deep significance in that the idea of construction using schema can be applied to the various phenomena of Korean, presenting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point of view contrary to the analytic tendency so far.

      • KCI등재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형태론

        최형용(Choi, Hyung-yong) 형태론 2014 형태론 Vol.16 No.1

        그동안 공통된 의미를 가지는 단어들의 묶음인 어휘장은 의미론의 관심사로 여겨져 왔다. 그런데 같은 어휘장에 속하는 단어들 가운데는 공통된 요소를 가지는 것들이 존재한다. 이들에 관심을 기울이면 그동안 단어 형성이 공통 요소인 접사를 중심으로 파생어에 한정되었던 경향에서 벗어나 합성어도 계열 관계의 측면에서 언급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휘장 형태론은 형태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어휘들이 가지는 의미 관계를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나름대로 의의가 있다. 같은 어휘장에 속하면서 동일한 요소를 공유하는 단어들은 형태론적으로도 평행한 구조를 보이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사칙]의 어휘장에 속하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은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모습을 보인다. '덧셈'은 부사 '더'가 사이시옷을 개재하고 접두사화한 '덧-'이 단어 형성에 참여한 파생어라 할 수 있고 '뺄셈'은 용언의 어간이 관형사형을 가지고 단어 형성에 참여한 합성어이다. '곱셈'은 명사 '곱'이 합성 명사 형성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단어 형성의 범위에 들어오지만 '나눗셈'은 어간 '나누-'가 사이시옷과 결합하여 단어 형성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독특한 단어 형성을 보여 준다. 이들은 겨우 네 단어뿐이지만 어휘장 형태론의 입장이 아니면 단어 형성에 대한 규칙의 입장은 물론 계열 관계를 중시하는 유추의 입장에서도 한데 묶어 다루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 준다. So far, lexical field, a group of words sharing a common meaning, has been regarded as a matter of semantics. However, there are some words that have elements in common in a same lexical field. By focusing on these words, we can get a chance to investigate compounds in aspects of paradigmatic relation as derivatives. Also, such lexical field morphology offer an opportunity to observe vocabulary in the respect of morphological viewpoint. It is natural that a group of words belonging to a same lexical field show an internal structure equally. In this respect 'tesseym', 'ppaylseym', 'kopseym', and 'nanwusseym', as a member of [four arithmetic], show very interesting aspects in the respect of word-formation. Firstly 'tesseym' is a derivative in which 'tes-' is considered as a result of prefixation of adverb 'te' and 'saisios' construction. In 'ppaylseym', we can observe an adnominal form of verbal stem 'ppay-', while 'kopseym' shows a general aspect of noun compound, because 'kop' is a noun. Lastly 'nanwusseym' gives us a dynamic aspect of word-formation in that verbal stem 'nanwu-' has 'saisios'. Both rule and analogy cannot explain the process of word-formation of just these four words.

      • KCI등재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에 대한 일고찰

        홍희정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6 No.-

        Phonology and morphology are separate branches of linguistics that are strictly distinct. However, when observing the linguistic phenomenon that actually appears in modern Korean, it can be seen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completely the phenomenon by choosing only one subfield. In particular, the alternation of morpheme has been drawn a lot of attention as one of the phenomena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of phonology and morphology. The alternation of morphem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phonemes at the boundary change into other phonemes when morphemes and morphemes are combined, and the issue of whether it belongs to the domain of phonology or morphology has been discussed. In this process, the establishment of ‘morphophonology’, a new field that deals only with the alternation of morpheme, was also discussed. However, considering the problem of the unit called morphophoneme, it can be seen that the establishment of morphophonology is unnecessary. Accordingly, this study discussed the properties of the interface of phonology and morphology and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irregular conjugation, one of the examples of such interfaces. It is certainly true that there are interfaces between phonology and morphology, which overlap each other, and through the linguistic phenomenon corresponding to these interfaces, we can understand phonology and morphology at a higher level.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irregular conjugation is a representative linguistic phenomenon that can understand the interface between phonology and morphology. Unlike the regular conjugation, the phonological phenomenon that occurs in irregular conjugation is difficult to explain the combination of the stem and the ending with synchronic phonological rules or constraints. It is also impossible to generalize the phonological environment of predicates that shows the same pattern. Therefore, by examining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irregular conjugation, it is possible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face of phonology and morphology. 음운론과 형태론은 엄밀히 구분되는 별개의 언어 부문이다. 그런데 현대국어에서 실제로 나타나는 언어 현상을 관찰하다 보면, 하나의 하위 부문만을 택하여 그 현상을 온전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형태소의 교체는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에 해당하는 현상 중 하나로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형태소 교체는 형태소와 형태소가 결합할 때 그 경계에 놓인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변동하는 현상으로서, 이를 음운론의 영역에 속한다고 볼 것인지 형태론의 영역에 속한다고 볼 것인지의 문제가 논의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형태소의 교체만을 다루는 새로운 부문인 ‘형태 음운론’의 설정이 논의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형태 음운이라는 단위의 문제 등을 고려하면 형태 음운론의 설정이 불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이 가지는 속성과 그러한 접면의 예 중 하나인 불규칙 활용에서의 음운 현상을 논의하였다. 음운론과 형태론 사이에 서로 겹치는 부분인 접면이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고, 이러한 접면에 해당하는 언어 현상을 통해 음운론과 형태론을 보다 높은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불규칙 활용에서의 음운 현상은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을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인 언어 현상이다. 불규칙 활용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은 규칙 활용과는 달리 어간과 어미의 결합을 공시적인 음운 규칙이나 제약 등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같은 양상을 보이는 용언들의 음운 환경을 일반화할 수도 없다. 따라서 불규칙 활용에서의 음운 현상을 살핌으로써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 KCI등재

        이형태 교체의 조건에 대하여

        이영제 형태론 2020 형태론 Vol.22 No.2

        It is common to distinguish between two types of phon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and morph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in Korean.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ypologically that alternation, which is a condition of a specific grammatical properties, is observed cross-linguistically. Second, based on this, it is argued that the semantic condition at the level of grammatical properties in Korean can be a condition that determines alternation. Semantic conditions according to grammatical properties are distinct from lexical semantic conditions and are grammatical conditions that are also distinct from phonological conditions. The semantic condition of the grammatical properties was also treated as a syntactic condition or a syntactic-semantic condition. However, this study tri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a morphosemantic condition instead of a syntactic condition because the alternation discussed is due to the semantic condition of grammatical properties. 한국어 형태소의 이형태 교체 조건은 음운론적 조건과 형태론적 조건으로 구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중 쟁점은 형태론적 조건과 주로 관련되는데, 이 연구는 첫째, 형태론적 조건 중에서 특정한 형태나 어휘의 출현이라는 조건 이외에 특정한 문법적 기능이 조건이 되는 교체 현상이 범언어적으로 관찰되고 있음을 유형론적으로 고찰하고, 둘째, 이를 토대로 한국어에서도 문법적 기능 차원의 의미적 조건은 이형태 교체를 결정하는 조건이 될 수 있음을 검토한다. 이때의 문법적 기능 차원의 의미적 조건은 순수 어휘적 의미 조건과 구별될 필요가 있으며 음운적 조건과는 명확히 구별되는 문법적 조건이다. 문법적 기능 차원의 의미적 조건은 통사론적 조건 등으로 다루어지기도 하였으나 본고에서는 관련되는 이형태 교체 현상들이 형태론적 맥락을 벗어난 것은 아니며 문법적 의미 기능에 의한 것으로 풀이될 수 있으므로 형태의미론적 조건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최근 한국어 문법론 연구에서 유형론적 접근방식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와 같은 흐름이 근래 들어 더욱 분명해졌으나 형태론 분야에서는 제한적인 부분에 그치고 있는 듯하다. 이 연구는 한국어 형태론 연구에서 유형론적 접근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통찰이 무엇인가를 보여주는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