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설화의 분류에 관한 제언: 형식담(形式譚)에서 유희담(遊戱譚)으로

        이홍우 ( Hong Woo Lee ),김경희 ( Kyung Hee Kim ),정숙영 ( Sook Young Chung ),조선영 ( Sun Young Cho ),심우장 ( Woo Jang Sim ) 겨레어문학회 2014 겨레어문학 Vol.52 No.-

        본 논문은 스티스 톰슨(Stith Thompson)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되었고, 그간 학계에서 통용되었던 ‘형식담(形式譚)’이라는 용어가 과연 적합 한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톰슨은 중심사건(central situation)은 단순하지만 그것을 다루는 형식은 어떤 복잡성을 띠는 이야기를 형식담 (formula tales)이라고 명명했다. 하지만 톰슨이 분류한 형식담의 하위 항목들이 그가 규정한 형식담의 개념에 부합되는지 검토한 결과 많은 문 제점을 발견할수 있었다. 한국설화의 유형 분류에서도 형식담은 톰슨의 형식담 분류가 지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고스란히 안고 있으면서 몇 가지 문제가 추가되 었다. 소화와의 구분이 모호하고, 민요와 교섭하는 양상을 보이며, 모방 담이 형식담에 포함될 수 없는 이유가 불명확하다는 점이다. 이에 ‘형식 담’이라는 용어와 그것이 포괄하는 유형 범주가 설화의 분류항으로 적절 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새로운 용어를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형식담이라는 용어와 그것이 포괄하는 유형 범주가 분류항으로서 부적절하다는 것과는 별개로 기존에 형식담이라고 일컬었던 일군의 작품들은 군집성과 독립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이 설화들은 구연 현장의 목 소리에 주목할 필요가 있었는데, 여기에서 이 설화들의 주요한 특징으로 ‘놀이적 성격’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 설화들은 화자가 이야기를 매개로 청자를 놀리거나 당황하게 만드는 놀이의 양상으로 펼쳐지는데, 이에 형 식담이 아닌 유희담(遊戱譚)이라는 용어를 제안했다. ‘형식’이 아닌 ‘유희’ 라는 점에 주목하면 이 유형의 설화들이 가지고 있었던 범주적 혼란을 많은 부분 해소할 수 있었다. 마지막 장에서는 유희담의 분류를 시도했는데, 이는 유희담으로의 실 제적인 분류가 가능한지를 가늠해보려는 시안적인 성격이 짙다. 이에 유 희담은 크게 ‘이야기유희담’과 ‘노래유희담’으로 나누고, 이야기유희담은 다시 ‘형식유희담’과 ‘상황유희담’으로 분류했다. This paper began with doubts as to whether the term “formula tale,” first proposed by Stith Thompson and since widely adopted in academia, is actually appropriate. Thompson referred to tales in which “the central situation is simple, but the formal handling of it assumes a certain complexity” as formula tales. However, an examination of whether the subcategories of formula tales as classified by Thompson correspond to the concept of formula tales as he defined them led to the discovery of a number of problems.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folktale types suffers from the same problems found in Thompson’s classification of formula tales, and to these are added a few more problems: the distinction between tales and jokes is vague, aspects of interaction with folk songs are evident, and the reason why imitation tales cannot be included in formula tales is unclear. As a result, it was judged that the term “formula tales” and the type categories that this term includes are not suited as classifications of tales, and there was the need to propose a new term. Setting aside the issue of the inadequateness as classifications of the term “formula tales” and the type categories that it includes, the corpus of works that have been referred to asformula tales exhibited both grouping and independence. In particular, there wa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voice of the teller at the time and place of the telling, and it was possible to isolate “playful character” as a primary characteristic of these tales. These tales exhibited a playful aspect, in which the teller through the medium of the story teased or bewildered the listener(s), and as a result the term “play-oriented tales” (yuhuidam) was proposed instead of “formula tales.” When the orientation toward play, rather than the formula, became the focus, it was possible to resolve much of the categorical confusion surrounding this type of tale. The final section attempted a classification of play-oriented tales as a tentative attempt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such a classification. Play-oriented tales were first divided into “story play-oriented tales” and “song play-oriented tales,” and then “story play-oriented tales” were further classified as either “formula play-oriented tales” and “situation play-oriented tales.”

      • KCI등재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품사 분류 기준에 대하여

        최형용(Choi, Hyung-yong)(崔炯龍) 형태론 2012 형태론 Vol.14 No.2

        품사의 분류 기준으로 주로 언급되는 것에는 ‘의미’, ‘기능’, ‘형식’의 세 가지가 있다. ‘의미’는 단어들의 추상적 의미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개별 언어의 품사 분류에 있어서 그 나름대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미 유형’의 측면에서는 유형론적 보편성을 추구할 수 있는 도구로 평가된다. ‘기능’은 문장에서의 역할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품사 본연의 정의를 위해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유형론적 특수성을 도출해 내기 위해서는 ‘기능’ 속에서 포괄적으로 논의되던 ‘분포’를 ‘기능’과 다른 독자적인 기준으로 구별해 내야 할 필요가 있다. 품사 분류 기준으로서의‘형식’은 단어 내부에 굴절 요소를 둘 수 있는가 여부를 따지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조사와 결합 가능하다든지 어미와 결합이 가능하다든지 하는 것은 ‘형식’이 아니라‘분포’로 간주하여야 한다. 한국어는 그동안 형태론적 특성에 따라 교착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으면서도 학교 문법을 포함한 학계 일반에서 동사와 형용사 즉 용언의 활용을 인정해 왔다는 점에서 ‘형식’을 품사 분류 기준의 하나로 인정해 왔다. 한국어의 품사 분류에 대한 초기의 업적들을 대상으로 할 때 용언에만 활용을 인정한 것은 절충적 체계로서 어미와 결합하는 어간의 높은 음운론적 의존성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품사분류를 위해 필요한 단어 개념은 음운론적 단어나 어휘적 단어가 아니라 문법적 단어 개념이다. 따라서 이를 중시한다면 조사뿐만이 아니라 어미에도 단어의 자격을 부여해야 한다. 이는 곧 용언의 활용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며 한국어에서 굴절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함과 동시에 품사 분류 기준으로서의 ‘형식’의 지위를 부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최현배의 절충적 체계가 출현하기 이전까지 가장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주장되었던 분석적 체계는 품사 분류의 측면에서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수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합적 체계는 물론 절충적 체계보다 더 나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Generally ‘meaning’, ‘function’, and ‘form’ are considered as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Meaning’ refers to the abstract meaning of the same word class, not the lexical meaning of a word, and it is related to typological universality. ‘Function’, which represents a large percentage of classifications of parts of speech, refers to the role of a word in the sentence and is therefor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However, from a typological standpoint, ‘distribu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function’. ‘Form’ concerns the inflection of a word. Although Korean is classified thus far as an agglutinating language, ‘form’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criteria of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in terms of school grammar, which allows the conjugation of verbs and adjectives in Korean. This is the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phonological dependence of stems combined with endings. However, it is a concept pertaining to grammatical words, not a concept about phonological words, as necessary for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Therefore, endings as a syntactic unit are considered as a part of speech. This also means that in Korean, there exists no inflection, while ‘form’ as a criterion for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is denied.

      • 『東文選』문체 분류의 성격

        김종철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문체 분류 자료들을 연구함에 있어서, 각각의 자료들이 지니고 있는 분류기준과 방법, 성격 등이 정확하게 제시되어야만 각 자료가 지닌 문체 분류 개성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당연히 논의되었어야 했음에도 지금까지 한번도 본격적으로 논의된 적이 없는 『동문선』이 지니고 있는 문체 분류기준과 방식 그리고 그러한 기준과 방법으로 형성된 『동문선』문체 분류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동문선』은 문학의 형식을 분류기준으로 삼고 있다. 문장을 분류함에 있어서 먼저 辭賦·詩·文의 문장 형식을 대상으로 하여 治敎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지닌 문장들을 모아 형식 분류하였다. 文類들을 나열하는 순서에 있어서도 辭賦→詩→騈體의 奏議類→散文體의 文類→有韻文인 儒彿道의 哀祭類와 같이 형식별로 나열하여 형식 분류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보여 주고 있다. 다음으로 『동문선』은 文類를 제시하고 그 아래에 직접 문장을 제시하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選文層次 분류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문체론이나 子目분류 없이 문장을 선집하여 직접 제시하는 선문층차 분류 방식은 詩文의 형식적 다양성을 문체론이나 자목의 제시 없이 선문된 문장으로 직접 보여주는 것이다. 『동문선』 편찬자들은 바로 이러한 선문층차 분류방식을 이용하여 중세 한문학의 다양한 형식적 모습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동문선』은 騈文과 散文의 문류들을 균등하면서도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騈散兼宗의 문체 분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동문선』이 문체 분류 대상으로 삼고 있는 문류들을 살펴보면 "詔勅→敎書→制誥→冊→批答→表箋→啓→狀→露布→檄書→箴→銘→頌→贊→奏議→箚子→文→書→記→序→說→論→傳→跋→致語→辨→對→志→原→牒→議→雜著→策題→上梁文→祭文→祝文→疏→道場文→齋詞→靑詞→哀詞→뢰→行狀→碑銘→墓誌"와 같이 분류되어 나타나고 있다. 詔勅에서 箚子까지는 四六의 騈文인 奏議類 문장이고, 文에서 策題까지는 文藝文으로서 산문의 형식을 가진 문류이고, 上梁文에서 墓誌까지는 의례에 사용되는 有韻文의 형식을 가진 문장들이다. 이렇게 『동문선』은 騈文문류와 散文문류 그리고 有韻文문류를 모두 포함하는 병산겸종의 성격을 나타낸다. 이상의 논의 결과로 『동문선』이 『문선』의 체계를 본받았다는 평가는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시문선집들이 지니는 분류기준과 자료형태라는 보편성의 측면에서는 동질성을 가지고 있으나, 개개의 시문선집이 자료로서 지녀야 하는 개성적인 측면 즉 문체 분류 방식과 그 성격에 있어서는 『문선』과는 선명한 차별성을 지닌 개성적 문체 분류 자료라는 것이다. In studying the material for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the features of the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of each work would be shown only when the standard and method of classification, specific character, and so on should be precisely suggested. Therefore,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of Dongmoonseon which have not genuinely been discussed once so far even though they should have been done. First of all, Dongmoonseon used a form of literature as classification standard. On classifying the sentences, they were classified after collecting the useful sentences to teach people, having the forms of writings such as Sabu, poetry, and prose as subject. According to the order arranged the kinds of sentences, it shows the clear position to classification based on form by placing them in accordance with the forms like Sabu -->poetry -->Joouiryoo of Byeonche -->sentences in prose -->Aejeryoo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r Yoowoonmoon. Next, Dongmoonseon takes the simplest way of classification which shows the type of sentence and presents the sentence below it directly. The way of classification like this shows the formal variety of poetry and prose with the anthologized sentences straightly without presenting stylistics or Jamok. The compilers of Dongmoonseon tries to systematically show a variety of form of Korean literatures during the medieval times by using this way of classification. In conclusion, Dongmoonseon is characteristic of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like Byeonsangyeomjong, which equally and generally includes all the types of sentences such as Byeonmoon, prose, and Yoounmoon.

      • KCI등재

        型式學的屬性分析法의 理解

        安 在 晧(Ahn, Jaeho) 부산고고학회 2016 고고광장 Vol.- No.18

        본 논문은 형식학적속성분석법에 대한 비판에 대한 반박과 이해를 돕고자 작성되었다. 형식학적속 성분석법은 형식학과 속성분석법을 결합한 편년연구방법으로서, 유사한 용례는 岡村秀典(1993)의 중국 한경 편년이 있다. 형식학적속성분석법을 비판한 것은 이 방법이 잘못 사용된 논문에 근거한 것으로서 타당한 지적도 있지만, 대부분은 몬테리우스의 형식학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오해에서 비롯된 것임을 기술하였다. 형식학은 가설이라는 두 계열의 형식조열을, 동시성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내포된 일괄유물의 검증을 통하여 평행관계를 밝힘으로써 비로소 형식조열이 시간의 순서임을 증명해 보인 것이다. 형식학 적속성분석법은 형식학의 형식을 속성단위로 치환하여, 1 개체에 내재한 속성들의 동시성을 검증도 구로 삼은 것이고, 그 분석은 속성분석법의 상관성을 밝히는 방법을 응용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고고학=분류학」이라는 입장에서 고고자료의 계통적 기능적 형태적 분류를 통한 기종의 엄중성을 강조하였다. 기종 내의 속성계열을 방향성에 따른 객관적이고 체계화된 분류와 형식의 계기적인 연속성을 속성분석에서 중시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최소단위의 시간대로 상대편년을 완성 하여, 분류체계와 그 결과의 공유를 목적으로 삼았다. This article is written as a response to Doo Chul Kim’s critique of Typological Attributes Analysis method. Typological Attributes Analysis is a method of chronology which conjoins Typology and Attribute Analysis. Hideo Okamura’s chronology of Chines bronze mirrors in Han dynasty could be considered one of the example of its application (Okamura, 1993). Given that Professor Kim’s critiques are brought up regarding my previous research which misapplied the method, some aspects of his critique might sound reasonable. However, I argue in this article that most of his counterarguments are rooted in misconceptions and misunderstandings of Typology given by Montelius. The Typology aims to demonstrate that two hypothesized series are indeed aligned chronologically by investigating a synchronism nested as a historical fact in the artifacts from two series; which exposes a parallelism existing between two series. The Typological Attributes Analysis method splits types in the Typology into attribute units then uses these attributes nested in an artifact as a tool for the investigation of chronology; in which the Attributes Analysis’ method of revealing relevance between attributes is appropriated. Based on a stance that “Archaeology=Taxonomy,” this article emphasizes the exactitude in the types of earthenware which could be inferred from the classification of archaeological data according to their serial, functional, and morphic features. In the attribute analysis, it i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objective and systemic typology of earthenware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implied in series and the continuity within a series. Ultimately, by providing a completed chronology of artifacts aligned by minimum time units, this article aims to share a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the outputs of it.

      • KCI등재

        韓國 靑銅武器의 型式分類와 硏究 動向 –尹武炳 선생의 1966·72年 論文과 그 以後-

        허준양 한국청동기학회 2021 한국청동기학보 Vol.28 No.-

        한국의 청동무기 연구는 尹武炳의 청동단검 형식분류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동북아지역의 청동무기 중 한국에서 출토되는 동검의 특징적인 마연 현상을 찾아낸 것이다. 이후 이를 기반으로 세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는 바 아직까지 이보다 先見을 가진 형식분류가 나오지 못한 것은 그의 완성도 높은 논문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해 그의 청동무기 형식분류는 현재에도 생명력을 잃지 않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尹武炳의 청동무기 형식분류는 공반품의 검토에서 오류가 발생하는데 필자는 선생의 연구를 기반으로 재분류를 진행하였다. 즉 동검 Ⅰ식과 Ⅱ식 마연의 세부적인 분류를 진행하고, 공반품을 통해 각각의 공존기간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요령식-한국식동과의 계보 문제(단절), 중세형 청동무 기의 제작지(국산화)에 대한 견해를 간략히 제시하였다. 이는 1960년부터 2020년까지 청동무기 연구사와 출토 사례를 기반에 둔 분류·분석의 결과로 생각되는 바이다. 이상을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생각해본다면, 형식분류의 확대보다 선학의 연구사를 받아들이고, 치밀한 관찰을 통해 한국고고학에서 밝혀내지 못한 점을 특정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나아가 고고학 연구는 다양한 방향 모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각화된 쟁점 및 학제 간 협동 연구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tudy of bronze weapons in Korea is based on the typology of bronze daggers by Youn Moo-Byong. He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nishing phenomenon of the bronze sword, excavated in Korea among bronze weapons in Northeast Asia. Based on such findings, various and detail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d it is thought that the fact that the typology with foresight did not appear shows that his research holds a high degree of completion. In other words, it is suggested that Youn Moo-Byong's typology of bronze weapons does not lose its vitality until now, which is continuously used. However, errors occur in the Youn Moo-Byong's typology of bronze weapons when examining associated goods. For this reason, the author adds additional plans based on this study. For example, detailed taxonomy was conducted on bronze dagger Ⅰ and bronze dagger Ⅱ, and the coexistence period was established through associated goods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briefly presents the views on the issue(severance) of genealogy between Liaoning type-bronze dagger and Korean type-bronze dagger and the production site of middle slender bronze weapons(localization). This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bronze weapons and the research history of bronze weapons based on excavated cases from 1960 to 2020. Considering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history of previous studies rather than the unnecessary expansion of typology and it is needed to specify the parts undiscovered in the Korean archaeology through the careful observation. Furthermore, archaeological research requires a variety of directions. To seek out the directions, mutual cooperation in various ways will be essential.

      • KCI등재

        일본 고분시대 횡구식석곽(橫口式石槨)의 형식학적 연구

        김규운(Kim, Gyu-un)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5 일본연구 Vol.24 No.-

        횡구식석곽에 대한 기왕의 연구사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으로 논문을 시작하였다. 먼저 횡구식석곽이라는 용어 자체에 대한 검토에서 개념상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독특한 형태를 강조하고 시공간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용어로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다고 결론 내렸다. 그리고 횡구식석곽의 규정에도 저석의 유무, 단장 등 여러 견해가 제시되었으나 역시 기본적으로는 전실, 연도보다 규모가 작고, 관을 매납하 기 위한 곽의 기능을 염두에 둔 것을 횡구식석곽이라 정의하였다. 이러한 횡구식석곽의 분류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평면형태로 전실과 연도의 상관관계를 기준으로 Ⅰ류와 Ⅱ류, Ⅲ류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시 Ⅰ류는 석곽부와 전실과의 규모 차이를 기준으로 ⅠA형식과 ⅠB형식으로 분류하고, Ⅱ류와 Ⅲ류는 석곽부 축조방식에 따라 각각 ⅡA형식과 ⅡB형식, 그리고 ⅢA형식과 ⅢB형식으로 나누었다. 이 형식들에 대해 출토토기와 형식학적 관점에서 6세기 말에서 7세기 말에 이르기까지 각 형식별로 연대를 비정하였다. 기왕의 견해에는 이 형식들이 석관계와 석실계 등, 각기 다른 계보관계를 가지는 것 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シシヨツカ古墳을 시작으로 자체적으로 영향을 받고 형식변화하는 것으로, 같은 계보관계 속에 있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횡구식석곽이 각 시기별로 어떻게 분포하는지 그 양상에 대해 파악하였다. 6세기 말에서 7세기 전엽에 해당하는 1기에는 ⅠA형식의 횡구식석곽이 처음으로 출현하고 이에 영향을 받아 ⅠB형식의 횡구식석곽이 축조된다. 그리고 河內지역에 집중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기는 7세기 중엽에 해당하는 시기로 1기에 이어 ⅠB형식이 축조되면서도 ⅡA형식과 ⅡB형식이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축조된다. 그 분포지역은 이전 중심지역이 河內지역을 비롯해 야마토지역으로 확대되며, 일부 서일본지역에서도 축조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3기에는 이전과 달리 거의 완전하게 석곽화가 이루어진 ⅢA형식과 ⅢB형식이 축조되고, 중심 분포지역도 河內에서 야마토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았다. This research examines stone chamber tombs, which were built as memorials. It begins wit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such structures and concludes by stating that the term stone-chamber tomb refers to a unique type of memorial according to how and when it was constructed. A stone-chamber tomb had a burial chamber of a smaller scale than its passage and functioned as a grave for burying a corpse. The tombs can be categorized in accordance with flat-panel format types. Grave forms are categorized as types Ⅰ, Ⅱ and Ⅲ ba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aisle. The tombs were excavated relics from the late seventh century; therefore, they took their perspective and form from the late sixth century.シ シ ヨ ツ カTomb was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mound format, which is assumed to be from the same lineage. Finally, the cross-fashioned seokgwak shows aspects regarding each period. During the late sixth century to the early seventh century, the first ⅠA-type stone chamber tomb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ansverse seokgwak ⅠB-type. In the mid-seventh century, ⅠB-type tombs were built, as well as ⅡA- and ⅡB-types. Prior to the late seventh century, the tombs took on a different format, ⅢA- and Ⅲ-B type structures, and the central distribution area was moved to Yamato in the Kawachi area.

      • KCI등재

        일반논문 : 일본 고분시대 횡구식석곽(橫口式石槨)의 형식학적 연구

        김규운 ( Gyu Un Kim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4 No.-

        횡구식석곽에 대한 기왕의 연구사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으로 논문을 시작하였다. 먼저 횡구식석곽이라는 용어 자체에 대한 검토에서 개념상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아니지만, 독특한 형태를 강조하고 시공간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용어로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다고 결론 내렸다. 그리고 횡구식석곽의 규정에도 저석의 유무, 단장 등 여러 견해가 제시되었으나 역시 기본적으로는 전실, 연도보다 규모가 작고, 관을 매납하기 위한 곽의 기능을 염두에 둔 것을 횡구식석곽이라 정의하였다. 이러한 횡구식석곽의 분류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평면형태로 전실과 연도의상관관계를 기준으로 Ⅰ류와 Ⅱ류, Ⅲ류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시 Ⅰ류는 석곽부와 전실과의 규모 차이를 기준으로 ⅠA형식과 ⅠB형식으로 분류하고, Ⅱ류와 Ⅲ류는 석곽부축조방식에 따라 각각 ⅡA형식과 ⅡB형식, 그리고 ⅢA형식과 ⅢB형식으로 나누었다. 이 형식들에 대해 출토토기와 형식학적 관점에서 6세기 말에서 7세기 말에 이르기까지각 형식별로 연대를 비정하였다. 기왕의 견해에는 이 형식들이 석관계와 석실계 등, 각기 다른 계보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シシヨツカ古墳을 시작으로 자체적으로 영향을 받고 형식변화하는 것으로, 같은 계보관계 속에 있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횡구식석곽이 각 시기별로 어떻게 분포하는지 그 양상에 대해 파악하였다. 6세기 말에서 7세기 전엽에 해당하는 1기에는 ⅠA형식의 횡구식석곽이 처음으로 출현하고 이에 영향을 받아 ⅠB형식의 횡구식석곽이 축조된다. 그리고 河內지역에 집중 분포하는것을 확인하였다. 2기는 7세기 중엽에 해당하는 시기로 1기에 이어 ⅠB형식이 축조되면서도 ⅡA형식과 ⅡB형식이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축조된다. 그 분포지역은 이전 중심지역이 河內지역을 비롯해 야마토지역으로 확대되며, 일부 서일본지역에서도 축조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3기에는 이전과 달리 거의 완전하게 석곽화가 이루어진 ⅢA형식과 ⅢB형식이축조되고, 중심 분포지역도 河內에서 야마토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았다. This research examines stone chamber tombs, which were built as memorials. It begins wit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such structures and concludes by stating that the term stone-chamber tomb refers to a unique type of memorial according to how and when it was constructed. A stone-chamber tomb had a burial chamber of a smaller scale than its passage and functioned as a grave for burying a corpse. The tombs can be categorized in accordance with flat-panel format types. Grave forms are categorized as types Ⅰ, Ⅱ and Ⅲ ba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aisle. The tombs were excavated relics from the late seventh century; therefore, they took their perspective and form from the late sixth century.シ シ ヨ ツ カTomb was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mound format, which is assumed to be from the same lineage. Finally, the cross-fashioned seokgwak shows aspects regarding each period. During the late sixth century to the early seventh century, the first ⅠA-type stone chamber tomb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ansverse seokgwak ⅠB-type. In the mid-seventh century, ⅠB-type tombs were built, as well as ⅡA- and ⅡB-types. Prior to the late seventh century, the tombs took on a different format, ⅢA- and Ⅲ-B type structures, and the central distribution area was moved to Yamato in the Kawachi area.

      • KCI등재

        조선시대의 日象文 연구

        김주미 조선시대사학회 2009 朝鮮時代史學報 Vol.51 No.-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에 전개된 日象文을 대상으로 하여 日象文의 形式 분류, 시기별 樣式 특징, 天下觀의 推移 등을 고찰했다. 먼저 日象文의 形式은 우리나라에 日象文이 처음 선보인 고구려 고분 벽화의 日象文을 근간으로 하여 ⅰ) 형식 Ⅰ〔원 안에 날개를 접은 채 서 있는 瑞鳥〕, ⅱ) 형식 Ⅱ〔원 안에 날개를 반원형으로 펼친 채 서 있는 瑞鳥〕, ⅲ) 형식 Ⅲ〔원 안에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瑞鳥〕, ⅳ) 형식 Ⅳ〔원으로 구성된 日象文〕로 분류했다. 한편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보이는 兩亂(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중심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日象文의 시기별 양식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선 전기에는 형식 Ⅰ․형식 Ⅱ가 왕실 발원 佛畵 몇 점에 보이고, 형식 Ⅲ은 中宗 反正 이후에 나타나며, 형식 Ⅳ는 士大夫 墓碑에 다수 표현되었다. 또한 조선 후기에는 作例에 상관없이 형식 Ⅳ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형식 Ⅱ는 보이지 않고 형식 Ⅰ은 대둔사 佛畵 몇 점과 日月圖刺繡 袈裟에서, 형식 Ⅲ은 直指寺 藥師如來圖와 日旗에서 살필 수 있었다. 그러나 日象文에 그려진 瑞鳥의 경우, 前代〔고구려, 고려〕와 같은 시기별 특징〔맹금류, 닭, 물새〕은 나타나지 않았다. 治天下와 왕권의 상징물로 사용된 日象文의 시기별 특징을 시대상과 이에 따른 天下觀의 推移라는 측면에서 고찰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조선 전후기 모두 형식 Ⅳ〔원으로 구성된 日象文〕가 다수를 차지한다. 형식 Ⅳ는 원 안의 瑞鳥 표현을 태양의 흑점을 나타낸 것으로 인식했고, 태양의 흑점 역시 태양을 가리는 것으로 여겨 瑞鳥 없이 원으로만 日象〔태양〕을 표현한 中原 유교 문화권의 日象文 전통을 반영하고 있다. 이처럼 형식 Ⅳ가 조선시대 日象文의 다수를 점하고 있는 것은, 유교를 國敎로 삼았고 明과 事大 관계를 맺으며 중국 중심의 국제질서 하에 있었던 조선의 정치 상황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둘째, 형식 Ⅲ〔원 안에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瑞鳥〕은 조선 전기에는 中宗 反正 이후에 제작된 왕실 발원 佛畵 및 反正과 관계된 사대부 墓碑에 나타나고, 조선 후기에는 直指寺 藥師如來圖(1744년)와 大韓帝國 시기의 日旗에서 볼 수 있다. 日象 안의 瑞鳥를 天命의 전달자로 볼 때, 날아가는 瑞鳥는 天命이 다른 곳으로 옮겨감을 의미한다. 이를 말해주듯, 형식 Ⅲ은 反正의 당위성과 통치자의 합법성이 중요시 되었던 中宗 反正 이후, 明이 몰락한 후 조선이 中華 문화를 계승할만한 유일한 문화국가임을 표방한 朝鮮中華 사상이 팽배했던 英祖代, 조선 王國의 종언을 고하며 帝國을 등장시켰던 大韓帝國 시기에 나타난다. 셋째, 형식 Ⅰ〔원 안에 날개를 접은 채 서 있는 瑞鳥〕은 조선 전후기의 佛畵 몇점과 조선 후기의 日月圖刺繡 袈裟를 제외하고는 볼 수 없고, 형식 Ⅱ〔원 안에 날개를 반원형으로 펼친 채 서 있는 瑞鳥〕는 成宗 때 제작된 藥師三尊十二神將圖에만 표현되었다. 형식 Ⅰ과 형식 Ⅱ는 그 수는 많지 않지만, 조선 초기의 경우 명목상으로는 明을 섬기면서도 왕권 확립과 함께 주변국에 대한 영향력을 넓혀가며 조선 중심의 국제 질서를 구상하고자 했던 15세기 왕실 발원 佛畵에서 살필 수 있어 주목된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日象文이 시대상을 반영하며 또한 자국 중심의 세상 인식인 天下觀을 보여주는 매체로서 기능해...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the solar patterns of the Joseon Dynast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s by period, and the transitions in world view. This study used the solar patterns of the mural paintings in Goguryeo tumuli, the first solar patterns in Korea, to classify the types of solar patterns into i) type I〔auspicious birds standing in a circle with wings folded〕, ii) type II〔auspicious birds standing in a circle with wings spread in a semi-circle〕, iii) type III〔auspicious birds about to fly off from a circle〕, iv) type IV〔solar patterns made up of circles〕. Meanwhile, the author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olar patterns by period and the transitions in world view before and after the two wars.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type Ⅳ appeared on a number of tombstones of Sadaebu (men of noble birth), and type Ⅲ was intensively found in years after Jungjong Banjeong (enthronement of King Jungjong subsequent to the dethronement of Yeonsangun), whereas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ype IV was the dominant type. If the characteristics of solar patterns symbolic of ruling the nation and royal authority are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the transitions in world view,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erived. First, type IV was most prevalent both in the first and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is is indicative of the small China ideology imitating the Chinese order. In the Chinese Confucian cultural area the auspicious birds in the circle were perceived as sunspots, and the sunspots were thought to block the sun. Accordingly, only circles were used to represent solar patterns. Second, type III solar patterns were concentrated in years after Jungjong Banjeong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while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y could be found in Yaksayeoraedo (painting of Bhaisajyaguru) of Jikjisa Temple, and the Japanese flag during the period of Korean Empire. When the auspicious birds in the solar pattern is viewed as the messenger of Providence, flying auspicious birds mean that the providence moves to another place, that is, the king or dynasty will be replaced. As if to prove it, type III appeared after Jungjong Banjeong emphasizing the legitimacy of it,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when the Joseon China ideology was prevalent arguing that Joseon is the only civilized nation to succeed to the Chinese culture after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and in the period of Korean Empire when the end of the Joseon Kingdom was announced and an empire made its appearance. Third, type I can hardly be seen except a few Buddhist paintings in the first and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nd in the Ilwoldojasu Gasa (monk's robe embroidered with the painting of the sun and the moon), and type II was only expressed in the Yaksasamjon Sipyisinjangdo pain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Types I and II are not numerous, but it is noteworthy that Buddhist paintings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are found in the 15th century when Joseon served Ming externally, but conceived of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order with Joseon at the center while expanding its influence on neighboring countries as well as its royal authority. This study revealed that solar patterns served as a medium of reflecting the times and the world view placing Joseon at the center of the world.

      • KCI등재

        扶餘 陵山里寺址 出土 瓦當의 再檢討

        李炳鎬(Lee Byong-Ho)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1

        본고는 부여 능산리사지 가람중심부에서 출토된 와당의 형식 분류와 상대편년안, 기와 공급체계를 재정리한 것이다. 567년 이전에 건립되어 660년 무렵에 廢寺한 이 절터에서는 502점의 와당이 출토되었는데, 형식 분류 결과 13종류의 蓮花文瓦當과 2종류의 巴文瓦當, 1종류의 素文瓦當이 확인되었다. 연화문와당은 연판 문양과 중방의 형태, 연자의 수, 와당과 수키와의 접합방식 등에 따라 세분된다. 1형식은 創建期 와당으로 모두 5가지로 세분되며, 567년 이전부터 생산된 것으로 보인다. 1형식의 세부 형식들은 태토와 소성도, 연판 문양, 접합방식, 와당과 접합된 수키와의 형식 등에서 차이가 발견되기 때문에 그 내부에 工人差, 工房差, 年代差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3형식과 4형식, 9형식도 초기에 제작된 와당들이다. 초기의 와당들은 1형식과는 태토, 소성도, 접합 기법, 연판 문양 등이 다르기 때문에 생산 공방과 공인, 연대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지만 대체로 창왕명 석조사리감이 매립된 567년 이후에 제작되어 공급된 것으로 보인다. 다른 형식의 와당들은 6세기 후반부터 멸망기까지 시기적으로 중첩되면서 계속해서 생산된 것으로 보인다. 이 와당들은 출토 수량이 적고, 일부 와당의 경우 특정 건물에만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경향이 있으며, 연대적으로 초기 와당들 보다 한두 단계 늦게 출현하기 때문에 補修用 와당으로 생각된다. 보수용 와당 중 2형식과 5형식, 8형식 와당은 가람중심부가 1차적으로 완비된 이후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반에 제작 사용되고, 7형식과 11형식은 7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6형식을 비롯한 10형식, 12형식, 13형식 및 파문 1식은 7세기 전반에서 중엽에 제작되고, 파문 2식과 소문 와당은 7세기 중엽 이후에 제작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5형식은 금당지, 6형식은 목탑지, 7형식은 강당지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기 때문에 이 건물들의 보수를 위해 특별히 제작?공급된 와당으로 생각된다. This article analyses type, relative chronology and supply system of roof-end tiles excavated from central area of Neungsan-ri temple site, Buyeo. Established around 567 AD to be abandoned in 660s, this temple leaves 502 pieces of roof-end tile. Designs could be categorized into 13types of lotus design, 2types of meandering design and patternless design of single type. Classification of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is based on leaf design, shape of carpel, number of anther, joining method of convex-concave tiles. Among the 13 types, Type 1, contemporary with the foundation of temple, can be classified into 5 sub-types. Variations in clay, degree of firing, leaf design, joining method employed, type of convex tile connected to the roof-end tile suggest existence of several artisans and workshops as well as difference in manufacturing period. Type 3 and 4 are also products from initial stage. Clay, degree of firing, joining method, leaf design dissimilar to Type 1 indicates that they were on the whole manufactured and used after 567 AD when the stone reliquary with "King Chang"inscription was enshrined, although the workshop, artisan or manufacturing period is not necessarily identical. Roof-end tiles of other types, not large in quantity, seem to be produced from the late 6th century until the downfall of the Kingdom, overlapping with each other periodically. The fact that these are often found crowded in specific building sites and appear 1-2 phase later than the initial ones indicates these were made for repair. Among the repair roof-end tiles, Type 2, 5 and 8 are thought to be manufactured between the end of 6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7th century when central area of the temple was completed primarily, whereas Type 7 and 11 are outcomes of the first half of 7th century. Type 6, 10, 12 and 13 as well as Ripple Type 1 is thought to be from the early and mid 7th century, while Ripple Type 2 and Patternless Type to be made after the mid 7th century. It is noteworthy that Type 5 is concentrated in the Main Hall site, Type 6 in wooden pagoda site, Type 7 is in the Lecture Hall site. This leads to the point that these were supplied for the repair of specific buildings.

      • KCI등재

        韓國 古代 木簡의 分類 方案

        김재홍 한국목간학회 2022 목간과 문자 Vol.- No.28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number classification of ancient Korean wooden documents by stage after being excavated from the ruins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relic storage), and classifies the types of wooden documents based on the planar conformation. Tho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search by identifying the appearance of wooden documents, and to prepare a classification standard of wooden documents. The classification plan between wooden docum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number classification and type classification. The number of wooden documents is a classification that easily identifies the wooden documents with the name of wooden documents, and it is numbered step by step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wooden documents will be given numbers such as ①The location number of the excavated site, ②The number of the organization, ③The number of the report, and ④The number of national attribution number(official number goven by the country). The type classification of wooden documents set up on consideration of the planar conformation, the upper and lower(upper and lower ends), and cross-sectional shape. Considering the planar conformation of the wooden documents, it was classified into Ⅰ: elongated square type, Ⅱ: bar type, and Ⅲ: crumb type for set as a standard. 이 글은 한국 고대 목간을 대상으로 유적에서 출토된 이후 수장고에 수장하는 단계별로 번호 분류의 의미를 살피고 평면 형태를 기준으로 목간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목간의 외형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검색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목간의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목간의 분류 방안은 크게 번호 분류와 형식 분류로 나눌 수 있다. 목간의 번호는 목간의 명칭과 더불어 목간을 쉽게 파악하는 분류 방식이며, 정리하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번호가 부여된다. 목간은 ①출토 위치 번호, ②정리(임시) 번호, ③보고서 번호, ④국가귀속번호 등의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출토 위치 번호는 목간의 출토 위치와 층위를 표현한 번호로서 학문적인 자료로서의 지위를 부여 받는다. 목간의 최종적인 번호는 소장 기관의 수장번호를 반영하는 국가귀속번호이며, 목간의 번호 분류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목간의 형식 분류는 평면 형태와 상·하단 형태, 단면 형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먼저 목간의 평면 형태를 고려하여 Ⅰ: 장방형, Ⅱ: 봉형, Ⅲ: 부스러기로 분류할 수 있다. Ⅰ: 장방형의 하위 단위로 상단 형태는 알파벳 대문자, 하단 형태는 알파벳 소문자로 세분할 수 있으며, Ⅱ: 봉형의 하위 단위는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한다. 폐기 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파손은 ‘×’로 표현하여 현존 상황을 나타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