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적 관점에서 본 세계유산 창덕궁의 현장체험학습 설계 및 모바일 시스템 구현

        한상미,강영옥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3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최근 학교에서는 교과학습 외에 현장체험학습을 통해 재량활동의 영역을 확대하고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바탕으로한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이를 기반으로 증강현실기술, GPS활용 기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이 현장체험학습 지원을 위해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는 미미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유산 창덕궁을 주제로 지리적 관점에서 현장체험학습 내용을 설계하고, 이를 모바일 앱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한 현장체험학습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세계유산 및 창덕궁을 다루고 있는 교과서분석을 통해 세계유산 및 창덕궁의 학습개념을 도출하고, 둘째, 관련 문헌 분석과 현장답사를 통해 창덕궁의 장소별 학습내용을 구체화하였으며, 셋째, 앞서 도출된 학습내용을 모바일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활동으로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학습내용 및 학생활동을 모바일 앱 형태로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앱은 2차례에 걸쳐 앱의 구동여부를 테스트 하였으며, 이후 지리교육 전공자를 대상으로 앱의 학습내용 구성, 학생활동으로의 연계, 현장체험학습의 적합성 여부 등을 테스트 하고 인터뷰를 통해 시사점과 보완사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민간에서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는 창덕궁 관련 앱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내용과는 달리, 지리적 관점에서 학습내용과 학생활동을 설계하였다는 점에 차별성이 있으며, 학습내용과 학생활동을 모바일 앱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현장체험학습에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geographical field experience learning based on a mobile device by designing a mobile application program for the UNESCO World Heritage Site Changdeokgung. This study was threefold. First, we derived the learning concept for Changdeokgung through an analysis of related text books. Second, we concretized the learning content by locating Changdeokgung through field investigations. Third, we reconstructed the derived learning content, and then developed a mobile application by which students could learn the content through the use of mobile devices. We tested the application twice to ascertain its feasibility. Geography education specialists then retested the application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of the learning content, its connection with student activities, and the suitability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We refined the application by applying the test results produced by the geography education specialists. We consider the study to be distinctive in that the learning content and student activities at Changdeokgung have been designed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comparing to the current applications that provides only gener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the applicability of a mobile application to field experience learn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support system based on mobile devices.

      • KCI등재

        특수학급 학생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초등특수학습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김지영,황순영,장우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3

        본 연구는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특수학급 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학급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효과, 문제점, 효율적인 방안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평균, 빈도, 백분율로 결과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특수학급 현장체험학습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장애아동의 흥미유발과 사회적응력 향상을 주요한 효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현장체험학습의 문제점으로 교통편에 대한 문제점을 가장 높이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장체험학습의 효율적인 방안으로는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효율적 활동내용으로 인식하였고 보조원의 전반적인 활동보조와 현장체험학습 관련 연수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체험학습 프로그램과 자료개발을 현장체험학습에 필요한 우선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현장체험학습 관련기관의 홍보연수나 교육청 연수, 특수학급 교사들간의 정보교환 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개선방안으로 현장체험학습과 관련된 교통지원 방법 모색, 다양한 체험학습 프로그램과 자료개발, 관련된 다양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examine the awareness of field experience study which is done in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33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in Busan and Gyungnam regions and survey papers were used as study tools. In order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ffects and problems of field experience study of special class, we executed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awareness about improvements of field experience study of special class, we have calculate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each category. Study results through thes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class teachers awareness of field experience study of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showed that field experience study is effective positively. Especially, They aware of inducement of interest and social adaptation ability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cause of field experience study. Second, recognition of teachers who in charge of special class showed generally positive responses about field experience study of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but they seemed to have difficulties in transportation. In order to execute efficient field experience study of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neighboring schools also have to flock together and execute activities together with the assistance of general activities by the supporters. Third, training for the teachers regarding field experience study is necessary and it is desirable to execute such training as promotional training by relevant institutions of field experience study. More than anything else, development of various field experience study programs is required to vitalize field experience study.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학교 초등부 교사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실태 및 개선 방안

        최미정,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9 시각장애연구 Vol.25 No.2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ctual state, problems and amelioration method, and analyze some difference.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tions items are composed of, according to the areas concerning the recognition of actual experience learning, actual state, problems and amelioration method.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the need for the actual experience learning, public schools appear higher than private and national schools and, in the area of the interest degree and the need for the previous education, advanced teacher are higher than lower class teachers and in the area of actual experience carry out inning, the inning of public and private schools is once per month, each, and public schools are two innings per semester and regardless of the inning, there are the most carry out innings according to careers. According to the career, there is one inning per month among under five years and over eleven years, and from six to ten years there are the most cases regardless of the innings, according to theme to carry out among actual experience lesson places, the item the students experience directly, that is, most used in museum and learning places, is most, and in the area of previous activity methods. According to career and age, 'Teachers' explanation is most. Second, among the problems in the time of real experience learning, there is the most innings in that it is the most difficult to control owing to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behavior handicaps. So the most desirable form is that both male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have the most correlations between schools and homes. In the area of training contents, the twenties, there are the most cases as to the information delivery concerning the visually handicapped actual information delivery concerning the visually handicapped' actual experience learning text and among over the thirtieth and fortieth the visually handicapped' actual area experience learning adaption methods are most founded on education curriculums. As to demanded items concerning actual experience institution, touching experience learning is most and as for actual experience learning activation strategies, there are the most cases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actual experience learning places. 본 연구는 전국 시각장애학교 초등부 교사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과 실태 그리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영역으로 문항을 구성하여 이들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필요성은 공립학교가 사립이나 국립학교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사전교육의 필요성은 고학년 담당교사가 저학년 담당교사보다 더 높았다. 현장체험학습 실시 횟수는 국립과 사립학교가 ‘월1회’, 공립학교가 ‘한 학기에 2회’와 ‘횟수에 상관없이 주제에 따라 실시’가 가장 많았고. 경력별로는 5년 이하와 11년 이상은 ‘월1회’, 6~10년은 ‘횟수에 상관없이 주제에 따라 실시’가 가장 많았다. 현장체험학습 장소로는 ‘박물관’과 학습 장소에서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아동이 직접 체험하기’가 가장 많았고, 사전활동 방법은 경력별, 연령별에서 ‘교사가 체험 장소와 내용에 관해 설명하기’가 가장 많았다. 둘째, 현장체험학습 시의 문제점은 ‘중복장애아동의 행동장애로 인해 통제가 어렵다’가 가장 많았고,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바람직한 형태는 남녀교사 모두 ‘학교와 가정의 연계 형태’가 가장 많았다.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연수내용은 20대는 ‘시각장애아동의 현장체험학습지에 대한 정보전달’, 30대와 40대 이상은 ‘교육과정에 의거한 시각장애아동의 현장체험학습 적용방법’이 가장 많았다. 현장체험기관에 대한 요구 사항은 ‘만지기 체험학습’이 가장 많았고, 현장체험학습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다양한 현장체험학습 장소 개발’이 가장 많았다.

      • 고등학교 지리과 현장체험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정재승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1 學校敎育硏究 Vol.6 No.2

        수업이 표면수준의 학습인데 반하여 현장체험학습은 현상에 대한 분석과 해석에 초점을 둔 심화학습(인지적⋅정서적 학습과 전이 기능)을 증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양적 분석과 인터뷰, 비참여자의 관찰을 통한 질적 분석 등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장체험학습이 교실수업에 비해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장체험학습은 학업성취도 효과에서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체험학습은 교실수업에 비해 전이 기능의 획득에 더 효과적이었다. 넷째, 현장체험학습은 교실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정서적 학습을 증진하였다. 다섯째, 학생들의 논술 평가에서 현장체험학습은 교실수업에 비해 새로운 상황에서 획득한 지식을 분석, 해석, 적용하는 능력이 더 우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fieldwork on students' deep-level learning. fieldwork is a method designed to promote deep-level learning involved with cognitive affective learning and transferable academic skills through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phenomenon, whereas surface learning takes place mostly in the classroom. In the experimental design, Static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tilized as a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interview as a metho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eldwork was effectiv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achievement through fieldwork. Third, fieldwork was more effective for students' acquisition of transferable academic skills than classroom learning. Forth, fieldwork was more effective in promoting affective learning than classroom learning. Fifth,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eldwork were superior to those who participated in classroom learning in terms of the level of analysis,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gained in novel situation.

      • KCI등재

        초등 특수학급 현장체험학습 실태 분석을 통한 현장체험학습 활성화 방안 탐색

        김지영,황순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 특수학급 현장체험학습의 실태를 분석하여 현장체험학습의 교육적 가치를 제고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 특수학급 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특수학급 현장체험학습에 대해 계획, 실시, 평가의 단계로 구분하여 실태를 조사 한 후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결과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현장학습 운영 실태가 특수학교 수준만큼 활성화 되어 있지 않았고, 현장체험학습의 운영방식 역시 특수학급이라는 독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특수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현장체험학습과 내용 및 방법 등이 거의 비슷하였다. 그리고 현장학습의 교육적 가치를 살릴 수 있는 사후 학습 관리나 부모에게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사전ㆍ사후 안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가정과 연계한 학습으로까지 교육적 활동이 연결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특수학급에서의 현장체험학습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현장체험학습이 가능할 수 있는 지역사회 내 인프라 구축, 교통편 및 안전상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지원책 마련, 학부모와의 상호 협력 등이 이루어져야함을 활성화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특수학급 학생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김지영,황순영,장우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3

        본 연구는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특수학급 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학급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효과, 문제점, 효율적인 방안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평균,빈도, 백분율로 결과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특수학급 현장체험학습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장애아동의 흥미유발과 사회적응력 향상을 주요한 효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현장체험학습의 문제점으로 교통편에 대한 문제점을 가장 높이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장체험학습의 효율적인 방안으로는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효율적 활동내용으로 인식하였고 보조원의 전반적인 활동보조와 현장체험학습 관련 연수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체험학습 프로그램과 자료개발을 현장체험학습에 필요한 우선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현장체험학습관련기관의 홍보연수나 교육청 연수, 특수학급 교사들간의 정보교환 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개선방안으로 현장체험학습과 관련된 교통지원 방법 모색, 다양한체험학습 프로그램과 자료개발, 관련된 다양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제안하였다.

      •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현장체험학습 활동내용 분석

        고인기(In-gi GO) 한국마이너리티학회 2019 마이너리티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현장체험학습 실시 장소의 중복 여부 및 현장체험학습 활동내용의 학년 간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활동내용의 학년 간 연계성이란 학생의 연령과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현장체험학습의 활동내용이 심화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현장체험학습 관련 문서 공개가 비교적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지체장애 특수학교 J학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2016~2018학년도 3개년 동안의 현장체험학습 관련 문서의 내용을 통해 현장체험학습 실시 장소와 활동내용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2018학년도 기준 초등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들의 현장체험학습 장소와 활동내용을 분석하고 장소의 중복 여부 및 활동내용의 학년 간 연계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체험학습의 장소가 중복된 사례는 총 5건이 있었다. 둘째, 이 5건의 사례 중 두 학년도 연속적으로 중복된 경우가 3건, 1년 이상 간격을 두고 비연속적으로 중복된 경우가 2건이 있었다. 셋째, 현장체험학습의 장소가 중복된 5건의 사례 중 1건은 학년 간 연계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이전 학년도보다 활동내용이 단순화되었으며, 3건은 활동내용의 학년 간 연계성이 잘 이루어졌다. 1건은 활동내용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지 않고 활동내용의 파악이 어려웠다. 이상과 같이 현장체험학습에서 학생들의 실질적인 경험의 확대와 학습이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해서는 활동내용의 단순 반복이나 일회성 체험에 그치는 것으로는 부족하며 학년간 연계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사 차원에서는 학년 간 연계성을 고려하여 현장체험학습 운영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학교와 교육청 및 지역사회 차원에서는 이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duplication of place and inter-grade connection of activity contents in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physical disability school. ‘Inter-grade connection of activity contents’ refers to deepening of contents as students’ grade or age increases. For this study, physical disability school ‘J’ selected as the subject and longitudinally analyzed that the place and inter-connection of activity contents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through the official document related field experience learning from 2016 to 2018. The target of the analysis was the duplication of place and activity contents of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of students from the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in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5 cases that the place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was duplicated. Second, There were 3 cases that consecutively 2 years duplicate and 2 cases that nonconsecutive with intervals at least 1 year duplicate. Third, in the 5 cases, there was 1 case that activities contents has more simplified than the previous grade rather than Inter-grade connected. And there were 3 cases that Inter-grade connection of activities contents was well don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following points. In order to learning and expansion of experience is done, a simple repetition or one-time experience is not enough,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er-grade connection. Therefore, teachers should consider inter-grade connection in planning phase to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Schools, Office of Educations and Communities should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is.

      • KCI등재

        모바일 기반 창덕궁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역사과 교수·학습 방안 개발

        지연정,오영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기존의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창덕궁 현장체험학습 앱은 역사교육의 학습목표나 핵심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지식의 정보를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다. 또한 현장에 가지 않고도 체험학습 이 가능하도록 학습활동이 구성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 세계문화유산 중 창덕궁을 대상으로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모바일 활용 방안을 개 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의 현장 활동이 지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교육의 ‘조선시대의 국가통치’(a), ‘특정한 역사적 사건’(b), ‘생활사의 복원’(c), ‘전통건축의 특징’(d), ‘전통적인 세계관’(e), ‘시대에 따른 변화’(f) 라는 핵심적인 학습개념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현장에 직접 가서 미션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현장성을 극대화 하였다. 셋째, 장소별 미션 수행을 위해 한자 쓰기, 사진 찍기, Drag-and-drop 등 모바일의 첨단 기능을 적극 활용하였다. 넷째, 교사가 모바일을 통해 학생들의 미션 수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장체험학습은 미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탐색하고, 유추하는 등 다양한 차원에서 사 고 과정을 경험할 수 있으며, 조별로 활동함으로써 학습자 구성원들 간에 협동이 이루어 질 수 있 다. 현장체험학습을 교육 현장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이 지속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existing field-experience learning App on Changdeokgung Palace simply aims to deliver knowledge-based information without incorporating the learning goals of historical education and key contents. Also, the learning activities included in the APP are arranged so that it is possible to learn without going to the field. This study developed a mobile application scheme for field-experience learning on Changdeokgung Palace, one of the UNESCO World Heritages in Korea, by supplementing aforesai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APP. The key characteristics of mobile learning activities propos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y incorporate core learning concepts such as 'Role of the State in the Joseon Dynasty' (a), 'Specific historical incidents' (b), 'Restoration of life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c), 'Features of traditional architectures' (d), 'Traditional worldviews, (e), and 'Changes by period' (f). Second, the sense of realism was maximized by making it possible to accomplish missions on the field. Third, advanced mobile functions including Chinese character writing, photographing, and Drag-and-drop were utilized to make possible mission accomplishment by location. Fourth, teachers are able to check on the progress of students' mission accomplishments using mobile devices. During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students can experience a long and diverse thinking process, such as exploring and inferring problems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missions, and cooperating with other students by working in groups.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scheme is required to apply field experience in education.

      • KCI등재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탐색

        김유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는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초등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의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내용 요소 및 유형,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내용 요소 및 유형을 분석한 결과, 1, 2학년의 통합교과에서는 주로 식문화 체험 및 식재료 체험 관련 내용이 나타났고, 3학년에서는 실험실습 체험 및 식품안전 체험 관련 내용이 과학, 체육 교과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4학년에서는 식생활환경 체험 관련 내용으로까지 확대되어지고 있다. 5학년에서는 실험실습 체험 관련 내용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6학년에서는 식재료 체험을 제외한 나머지 현장체험학습 유형 관련 내용 요소들이 골고루 나타나고 있다. 둘째,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은 주로 박물관, 농어촌체험공간 등에서 식문화 체험 및 실험실습 체험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현장체험학습 장소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부실하고 다양하지 못하므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actual overall condition of dietary life field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link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ontents, elements, and types of dietary life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e types of dietary life field experience learning being currently opera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grams were also analyze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are that the combined curriculum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mainly dealt with the experience of food culture and the investigation and experience of food ingredients, the curriculum for third graders dealt with experiment practice and food safety experience in the subjects of science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for fourth graders expanded into dietary life environment experience. The curriculum for fifth graders most dealt with experiment practice, and the curriculum for sixth graders equally dealt with the contents and elements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other than the investigation and experience of food ingredients. Second, dietary life field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being currently operated are mostly executed centered on food culture experience and experiment practice in museums, and farm and fishery experience villages.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places and programs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are not sufficient and diversified, and therefore, more detailed and systematic measures are required to be established.

      • KCI등재

        박물관 디지털 전시공간에서 현장감과 인지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선혁,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과학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박물관 전시 공간에는 흥미를 유발하는 다양한 전시 수단이 부족하다. 이로 인해 관람객이 전시장 공간에서 온전히 몰입하면서 사실감과 현장감을 체감하기가 어렵다. 이런 배경에서 박물관 전시 공간에 VR, AR, 실시간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전시 형태로 전달 효과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박물관에서 디지털 전시 공간의 현장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인지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하고 분석하며, 박물관 디지털 전시 공간 디자인을 위한 제안 및 전략을 제시하는게 목적이다. (연구방법)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박물관 디지털 전시 공간의 개념과 영향 요인을 도출하고 현장감과 인지 체험의 개념과 요인들을 정의한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특성 및 현장감 극대화를 위한 인지체험의 특성 및 요인들을 통해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를 선정하여 연구모형을 제안한다. 셋째, 연구가설을 제시하고, 24개 문항의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SPSS 26.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측정항목의 신뢰도, 유효성, 요인 및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또한 가설 결과를 검증하며, 마지막으로 박물관 디지털 전시 공간에서 현장감과 인지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한다, 그리고 박물관 디지털 전시 공간에 대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한다. (결과) 가설검증 결과을 보면 우선 박물관 디지털 전시 공간 4가지 영향 요인(지각된 흥미, 지각된 사용 용이성, 상호작용, 미학적 특징) 중 3가지 영향요인(지각된 흥미, 지각된 사용 용이성, 상호작용)이 현장감과 인지 체험 극대화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학적 특징은 현장감과 인지 체험 극대화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특히 현장감은 인지 체험에도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현장감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박물관 디지털 전시 공간 영향 요인(지각된 흥미, 지각된 사용 용이성, 상호작용)에서 인지 체험의 관계에서 일부 매개효과가 존재하였으나 미학적 특징과 인지 체험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결론) 검증을 거쳐 박물관의 디지털 전시공간 영향 요인에서 지각된 흥미, 지각된 사용 용이성, 상호작용을 현장감과 인지 체험을 현저히 향상 시킬 수 있다. 지각된 흥미, 지각된 사용 용이성, 상호작용을 현장감에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인지 체험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지각된 흥미는 인지체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가장 뚜렷하며, 향후 박물관 디지털 전시 공간에서는 지각된 흥미, 지각된 사용 용이성, 상호작용 세 가지 영향 요인에 주목해야 하며, 이 세 가지 영향 요인을 운용하여 전시 공간에서의 효율과 재미를 높여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Despite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existing museum exhibition spaces lack various exhibition methods that arouse interest, making it difficult for visitors to fully immerse themselves in the exhibition hall space and experience a sense of realism and presence. Against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elivery in the form of exhibitions using VR, AR, and real-time big data in museum exhibition spaces.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extract and analyze factors affecting cognitive experience in order to maximize the sense of realism of digital exhibition spaces in museums and present suggestions and strategies for designing museum digital exhibition spaces. (Method) First, through prior research,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museum digital exhibition space, sense of realism, and cognitive experience are derived. Second, based on the derived characteristics and factors, independent variables, mediating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re selected, an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are proposed. Third, data i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n analyzed, and hypotheses are verifi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Finally, extract factors that affect the sense of realism and cognitive experience and present a design strategy for the museum's digital exhibition space. (Results) First, among the four influencing factors of museum digital exhibition spaces (perceived interest, perceived ease of use, interaction, and aesthetic features), three influencing factors (perceived interest,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ractivity) maximize the sense of realism and cognitive experience.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aesthetic featur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ximizing the sense of realism and cognitive experience, but on the other hand, the sense of realis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experience.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realism, there was som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influence factors (perceived interest, perceived ease of use, inter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xperience, but no mediating effec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features and cognitive experience.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erceived interest,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ractivity, which are influential factors in museum digital exhibition space,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sense of realism and cognitive experience. In particular, perceived interest,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ractivity are not only directly related to the sense of realism, but can als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ognitive experience. In future museum digital exhibition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three influencing factors of perceived interest,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raction and operate them effectively to increase efficiency and fun in the exhibition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