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원기반론 관점에서 중소기업 역량의 성과 영향효과에 관한 연구

        서주환(Ju Hwan Seo),조대명(Daemyeong Cho),전승표(Seung-Pyo Ju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자원기반론적 측면에서 기업간 혁신성과의 차이는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차이에 그 원인이 있다고 본다. 자원의 차이로 발생되는 역량의 차이는 혁신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전략의 이행에 영향을 주게된다.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의 경우, 규모적 한계로 인해 발생되는 자원적 제약과 역량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혁신성과의 양적인 측면은 물론 질적인 측면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원의 차이로 발생될 수 있는 시장실패는 해당 자원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 성과의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상황의 개선을 위해, 중소기업 대상의 다양한 혁신지원 정책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을 대상으로 해당 사업을 수행한 중소기업의 역량과 혁신성과간의 영향 경로와 효과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기획역량은 R&D역량과 마케팅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R&D역량과 마케팅역량은 기업 매출이라는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하지만 연구기획역량의 혁신성과에 대한 직접 효과는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 이는 R&D기획지원사업이라는 정책적 도구를 통해, 해당 역량이 향상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중소기업들이 혁신성과 창출에 오히려 유리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R&D 지원과 R&D지원 등의 정책지원이 중소기업의 어떠한 자원과 역량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영향요인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정책도구를 통해 역량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구체적 경로를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R&D기획지원사업과 같은 정책도구의 효과적 집행이라는 측면에서, 정책지원의 효과성이 높은 기업을 선별할 수 근거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정책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erms of resource-based theory, the difference in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companies is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resources. The difference in competencies arising from the difference in resources affects the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that can generate innovation performance. In general, for SMEs, there may be differences in resource constraints and competencies arising from scale limitations, and these differences may have a negative impact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on innovation performance. Market failures that may arise from resource differences can be coordinated through policy support of the resource. In Korea, we are providing various innovation support policies for SMEs in order to improve the gap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SMEs" competence and innovation performance on SME R&D planning support projects. As a result, research planning competitiv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R&D capacity and marketing capacity, and R&D capacity and marketing competitive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However, the direct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the research planning capacity has a negative impact. This means that SMEs with the capacity to improve their competencies can be more advantageous in creating innovation through policy instruments such as R&D planning support proj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factors affecting the resources and capacity of SMEs such as non - R&D support and R&D suppor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rasps the concrete path of competency to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the policy tool and it can select the companies with high effectiveness of policy support in terms of effective execution of policy tools such as R&D planning support project It is thought that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policy.

      • KCI등재

        기술혁신역량이 기업의 지식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 중소벤처기업 R&D사업을 중심으로

        설동철,박철우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4

        Due to the recent mid- to long-term slump and falling growth rates in the global economy, interest in organizational structures that create new products or services as a new alternative to survive and develop in an opaque environment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enhance organizational sustainability through changes in production methods and business innova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In this atmosphere, we agree that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and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enhanc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the members so that these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can enhance and sustain their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lso to investigate how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correlate with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and to analyze the role of network capabilities to organize the strategic activities of enterprise to obtain the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o be used for value creation from external networks. In other word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on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by using network capabilities as paramet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innovation capabilitie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by using network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should respond quickly to new changes in an environment where uncertainty has increased, and lead to macro-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s well as overcoming long-term economic downturns so that they can become the nation's new growth engine as well as sustainable growth and survival of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within the organiz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R&D and learning capabilities amo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have no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In contrast, it was shown that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fact that non-financial factors such as quality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are identified in the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utilizing their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s contrary to a number of studies by those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affect financial performance during prior research. The reason for this result is that research companies have been out of start-up companies for more than seven years, but sales are less than 10 billion won, and unlike start-up companies, R&D and learning capabilities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intangible non-financial performance than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hile R&D and learning capabilities have a positive (+)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by parameters of network capability.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have been shown to have no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R&D and learning capabilities have no impa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It could be seen that the parameter effects of network competency are limited to when R&D and learning competencies are derived from quantitative financial performance. It could be seen that the parameter effects of network competency are limited to when R&D and learning competencies are derived from quantitative financial performance. 최근 글로벌 경제의 중장기적 불황과 성장률 하락에 기인하여, 대내외적으로 불투명한 환경하에서 생존하며 발전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새로운 서비스와 상품을 탄생시키고 생산방식의 변화와 업무 혁신 등으로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기술혁신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성이 지대하다는 것을 다수가 공감 중이며, 그런 중소벤처기업들이 기업 성과를 높이고 성과의 지속이 가능하도록 구성원들의 기술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역시 중소벤처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이 지식경영의 성과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기업의 전략적 활동을 조직화하여 가치 창출에 사용될 자원과 조직 능력을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하게 하는 네트워크역량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확대 또는 강화해야 하는 영향요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내·외부적인 역량을 강화하도록 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역량이 중소벤처기업의 네트워크역량을 매개로 삼아, 기술혁신역량이 지식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기술혁신역량을 기반으로 한 경제활동이 코로나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환경에서 새로운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며, 장기적 경기 침체 극복은 물론이고 거시적 경제 성장과 발전을 이끌어 조직의 지속적 성장과 생존뿐 아니라, 국가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조직 내 가장 중요한 지식경영성과의 종속변수 설정을 통해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술혁신역량 중 연구개발역량과 학습역량은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기업혁신 활동은 재무적성과 및 비재무적성과에 모두 정(+)의 영향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혁신역량을 활용하여 연구개발 활동을 하는 중소벤처기업 경영에서 무형적이며 비재무적인 요인 영향성이 확인되는 것은 선행연구 중 기업혁신 활동이 재무적성과에 영향성을 미친다는 다수의 연구와는 반대되는 결과이지만 일부 연구와는 유사한 결과이다. 이런 결과도출의 이유로는 조사기업들 다수의 업력이 7년 이상으로 스타트업 기업은 벗어났으나 매출은 100억 이하인 중소벤처기업들로서 매출 수익 일변도의 스타트업 시점과는 달리 연구개발역량과 학습역량이 재무적인 성과보다 무형적 비재무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많이 끼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기업혁신 활동은 재무와 비재무적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구개발역량과 학습역량은 네트워크역량을 매개변수로 재무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혁신 활동은 네트워크역량의 매개변수 영향성이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 모두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개발역량과 학습역량도 비재무적성과에는 영향성이 없었다. 네트워크역량의 매개변수 효과가 나타내는 것은 연구개발역량과 학습역량이 계량적 재무적성과를 도출할 때로 한정됨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들을 토대로 추후 연구개발사업의 성과측정에서는 비재무적성과 측정을 강화하도록 하는 정책 시행을 제시하는 바이다.

      • 산업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기업 간 협력방안

        이광호,김종선,배용호,송종국,임채윤,서병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주요 산업에서의 글로벌 경쟁은 과거 개별 기업 간 경쟁에서 기업 네트워크 간 경쟁으로 변화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제조업이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이고 후발 추격국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개별 기업 자체의 혁신역량 강화와 함께 기업 간 협력에 의한 혁신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기업 간 협력은 IMD 조사에 의하면 주요 경쟁국에 비해 매우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갖고 기업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기업 간 협력과 기업의 기술혁신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기업 간 협력의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위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업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과 정책적 수단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초점이 된 제조업은 우리나라 주력 산업 중 비중이 크고 관련 기업 수가 많은 자동차 산업과 전기·전자 산업이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기업 간 협력과 산업혁신과의 관계를 계량적 통계 분석에 의해 규명하는 것과 기업 간 협력 유형에 따른 협력 특성을 살펴보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의 분석을 위해서는 STEPI가 2005년 조사한 ‘기술혁신조사’의 Data Set을 활용한 계량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후자를 위해서는 기업의 내재적 기술혁신역량과 생산제품의 특성에 따른 분류 기준을 활용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총 1298개의 분석대상 기업 중 기업 간 협력 경험이 없는 기업은 760개로 경험이 있는 538개 기업보다 40% 가량 많아 아직까지 우리나라 기업 간 협력은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각 산업별로 협력기업과 비협력기업의 분포는 유사하였다. 해외그룹의 국내계열사들과 국내기업과의 협력 활동은 활발하지 못하여, 선진 해외기업으로부터의 기술 확산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협력기업은 비협력기업에 비해 제품혁신, 공정혁신 모두 활발하게 진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업의 혁신활동과 협력이 중요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협력기업은 비협력기업에 비해 각종 조직혁신을 보다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었으며, 조직혁신에 있어서 협력기업이 상당 부분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주요 영향 요인들을 계량 분석한 결과, 제품혁신과 공정혁신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변수는 기업 연령, 연구개발 활동, 협력활동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내재적 혁신역량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외부 기업과의 협력 활동이 기업의 혁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기업의 협력활동에 미치는 주요 영향 요인들을 계량 분석한 결과, 기업 연령, 기업형태, 연구개발 활동, 발명에 대한 보상, 종업원에 대한 교육훈련 등이 긍정적인 변수들로 분석되었다. 이때, 연구개발 투자와 교육훈련이 증가할수록 협력활동이 늘어나는 결과는 연구개발 투자 규모가 확대될수록 내부 자원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연구개발 투자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타 기업과의 협력 및 내부 직원에 대한 교육훈련이 매우 중요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앞의 분석 결과와 연결시켜 보면, 연구개발 투자의 확대는 협력활동의 증가를 가져오며, 이는 다시 혁신 성과를 높이는 선순환 체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업 간 협력 유형은 기업의 내재적 혁신역량의 높고 낮음과 생산제품의 Integral, Modular 특성에 의해 2×2 Matrix로 나타낼 수 있다.(인력 개발형, 생산성 향상형, 제품혁신 촉진형, 표준/특허 강화형) 첫째, 혁신역량이 낮은 기업이 인티그럴적 제품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인력개발형 협력은 혁신역량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자사 엔지니어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상위기업과 교육, 훈련을 매개로 한 협력관계를 구축할 때 이루어진다. 둘째, 혁신역량이 낮은 기업이 모듈러적 범용 제품을 대량 생산할 때 발생하는 생산성 향상형 협력은 대규모 설비투자를 하고 있지만 연구개발투자가 부진한 기업들이 생산성 향상에 의해 원가절감을 도모하기 위해서 수요 대기업과 경영혁신, 품질관리 등을 매개로 한 협력관계를 구축할 때 이루어진다. 셋째, 혁신역량이 높은 기업이 인티그럴적 제품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제품혁신 촉진형 협력은 제품혁신에 의한 신제품 출시가 기업 생존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기업들 사이에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은 타 기업과 활발한 공동연구개발을 통해 제품 설계와 아키텍처 혁신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교환하고 있다. 넷째, 혁신역량이 높은 기업이 모듈러적 제품을 대량 생산할 때 발생하는 표준/특허 강화형 협력은 신제품 개발 주기가 짧고 국가/기업 간 경쟁구도가 발달한 가전, 디스플레이, 휴대폰 관련 대기업들 사이에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은 표준 선점에 의한 시장 주도권 확보와 지적재산권 분쟁에 대비하기 위한 기업 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결론 기업 간 협력 활동은 기업의 제품혁신 및 공정혁신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실제 우리나라 기업의 기업 간 협력 활동은 활발하지 못하다. 또한 기업의 적극적인 연구개발과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은 기업 간 협력을 촉진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협력 활동이 실질적인 성과로 연계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내적 역량 개발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사례연구 결과에서 기업은 생산하는 제품의 속성과 혁신역량에 따라 협력 수요가 달라지고 기업이 속한 산업 환경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협력 형태도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정책제언 현재 정부 정책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보다 폭넓은 범위의 기업 전반에 걸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내적 역량과 생산제품의 특성을 고려한 세부 정책설계가 요구된다. 혁신역량이 취약하고 인티그럴적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에게는 엔지니어의 역량 개발을 위한 수요기업과의 연계 프로그램 개발·지원이 필요하다. 혁신역량이 낮고 모듈화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게는 공정혁신과 품질개선을 위한 전·후방 기업과의 기술협력을 촉진하고 새로운 경영기법 도입을 위한 협력 지원이 필요하다. 혁신역량이 높고 인티그럴적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게는 제품혁신과 사업다각화에 초점을 맞춘 공동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혁신역량이 높고 모듈화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게는 공동 표준화를 위한 로드맵 제시와 관련 시장에 대한 다양한 특허분석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과 혁신성과의 관계: 성장단계별 차이

        강신형,박상문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2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endeavor to overcome the adverse resource conditions and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overall or specific dimensio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examined their performance impact. However, there has been less scholarly attention o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or its performance impact at the different growth stages of a firm. In this vei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ME innovation cap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at each growth stages of a firm.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of manufacturing SMEs in Korea, we found that all dimensio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had positive effects on innovation performance. However, each dimens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had different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by the growth stages. The planning capability can improve innovation performance at the growth and maturity stages. Manufacturing capability can have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at the maturity stage. Both of new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y and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contribute to innovation performance at all of the growth stages. This study suggests the guidelines for enhanci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t the different growth stages of SMEs. It also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growth-stage specific program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중소기업들은 기술혁신과 기술혁신역량 확보를 통해 불리한 자원규모나 경쟁여건을 극복하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다. 기존 연구들은 총체적인 기술혁신역량이나 특정 기술혁신역량 차원들에 초점을 두고 각 혁신역량과 성과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반면 성장단계별 기술혁신역량의 상대적 중요성이나 성과 영향의 차이와 같은 동태적 특성에 대한 관심은 미흡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과 성과간의 성장단계별 차이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중소제조기업들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결과,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의 모든 세부 차원들은 혁신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장단계별로는 기술혁신역량의 세부 차원별로 혁신성과에 상이한 영향관계를 보여준다. 기획역량은 성장기와 성숙기에서 혁신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역량은 성숙기에서 혁신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품개발역량과 사업화역량은 모든 성장단계에서 혁신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들의 성장단계에 따라 실무적 기술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또한 성장단계별 정책적 지원프로그램 설계와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들을 제시했다.

      • KCI등재

        혁신형 중소기업의 CEO유형에 따른 기술혁신 역량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지훈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2

        This study micro-analyzed the impact of innovation capabilit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by type of CEO, with innovative SMEs being subject to research. In addition, the impact of CEO type on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he impact of innovative capabilit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were studied together.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250 innovat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registered in the medium-term department as research targe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type of CEO on the capacity of innovation shows that market-oriented, technology-driven and consultant-type CEO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mount of technology change reduction, but managed CEOs do not se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technology change reduction areas. Managed CEOs did not se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technology change-sensitive area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current type of CEO of small businesses does not affect the R&D technology digestion capacity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rd, the analysis of the adjustment effect between the type of CEO and the capacity of innovation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 of small businesses shows that the technology and the consultant-type CEO affect the amount of the area of technology change, but the managed and market-type CEOs did not have the adjustment effect. Fourth, the analysis of the capacity of innovation and the effect of adjustment between innovation and innovation in the growth phase of innovative SM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본 연구는 혁신형 중소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CEO의 유형에 따른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혁신형 중소기업특성에 따라 CEO유형이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기부에 등록된 혁신형 중소기업 250社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O 유형이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시장중심형 CEO, 기술형 CEO, 컨설턴트형 CEO는 기술변화 감지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리형 CEO는 기술변화감지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혁신형 중소기업의 CEO유형은 기술혁신역량의 R&D기술 소화역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술혁신역량과 기술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중소기업 성장단계에 따른 CEO유형과 기술혁신역량 간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술형 CEO와 컨설턴트형 CEO는 기술변화감지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나, 관리형 CEO와 시장형 CEO는 조절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넷째, 혁신형 중소기업 성장단계에 따른 기술혁신역량과 기술혁신성과 간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KCI등재

        기술혁신의 영향요인 분석 : 조직의 혁신역량을 중심으로

        조희진,조근식 한국행정연구원 2013 韓國行政硏究 Vol.22 No.4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실시한 「2010년 기술혁신활동조사」를 바탕으로 제조업체들이 보유하고 있는 혁신역량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혁신역량은 `새로운 기술을 장기적으로 개발하고 상용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적재적소에 투입시키고 그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혁신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조직의 혁신 추진 능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내부관리역량(혁신학습역량, 인적자본역량, 혁신관리역량), 외부환경 변화대응역량, 외부자원 활용역량(정부지원역량, 정보네트워크역량)으로 구분된다. 개별 조직은 조직 내부의 관리 및 전략 외에도 외부 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하고 관련 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관리 전략을 통해 혁신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토대로 혁신역량과 기술혁신의 관계를 실증분석한 결과, 내부관리 역량의 인적자본역량과 혁신관리역량, 외부환경 변화대응역량, 외부자원활용역량의 정보 네트워크 역량이 기술혁신 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부관리역량의 혁신학습 역량, 외부자원활용역량의 정부지원역량은 기술혁신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혁신을 통한 기술경쟁력의 향상을 위해 인적자본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관리, 혁신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함께 불확실한 외부 환경에 적극 대응하고 다양한 부문에서 자발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기술개발 전 과정에 대한 정부의 다각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기술혁신역량과 SCM활동이 기업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신발산업을 중심으로

        천종기,신용존,배후석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0 산업혁신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최근 신발산업 내 환경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신발산업의 기술혁신과 공급사슬관리에 대한 여러 이론을 고찰하고 기술혁신역량으로서 연구개발 역량과 기술사업화역량, 공급사슬관리 활동 및 기업혁신성과 등 변수 간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신발기업의 연구개발 역량과 기술사업화역량이 높을수록 기업혁신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연구가설 1과 2는 채택되었으며, 검정결과에 의하면 신발기업의 연구개발 역량과 기술사업화역량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업혁신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의 함의가 도출되었다. 가설 3은 기술혁신역량에 의한 기업혁신성과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서 공급사슬관리 활동 수준의 조절변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경쟁력 향상에는 공급사슬관리의 정보공유가, 기업성장성 제고에는 공급사슬 유지?협력 활동이 긍정적인 조절변수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실무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일차적?단기적인 혁신성과로서의 제품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접근방법은 연구개발 역량-특히, 연구개발 기능과 학습기능-의 강화와 공급사슬관리의 정보공유의 확대가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이차적?장기적인 혁신성과로서의 기업성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기술사업화역량-제조기능과 마케팅기능-의 강화와 공급사슬유지?협력 활동 수준의 제고가 상대적으로 유효할 것이라는 점이다.

      • KCI등재

        기술혁신역량이 개방형혁신활동 및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성홍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4 경영컨설팅연구 Vol.24 No.1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시장에서 기업이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이 필수적이다. 기업은 기술혁신을 통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상품 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고객을 창출하며 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확립할 수 있다. 이처럼 기업이 차별화된 역량을 구축하여 지속적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기술혁신 패러다임이 폐쇄형혁신에서 개방형혁신으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기업이 효과적으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기술혁신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혁신역량과 관련한 용어와 측정방법은 학자마다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혁신역량과 기술혁신성과의 관계 또한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역량을 내부혁신역량과 개방형혁신역량으로 구분하고, 이들이 개방형혁신활동 및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201개의 표본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내부혁신역량은 개방형혁신역량, 개방형혁신활동, 기술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방형혁신활동도 기술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기업이 기술혁신성과를 통해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내부혁신역량을 확고히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개방형혁신역량을 확보하여 개방형혁신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Technological innovation is essential for companies to survive and grow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market.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anies can develop new products and services, increase product value by improving processes, create new customers,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growth.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s being emphasized in order for companies to build differentiated capabilities and secur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n addi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aradigm is changing from closed innovation to open innovation, more divers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re required for companies to effectively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However, terms and measurement methods related to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re presented in very diverse ways by each scholar, and accordingly,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s also found to be inconsistent. This study divide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to inter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open innovation capabilities,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to analyze their impact on open innovation activit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d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201 samples. As a result, internal innovation capabiliti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pen innovation capabilities, open innovation activit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dditionally, open innovation activities were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o summarize the analysis results, in order for a company to create sustainable competitivenes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first firmly build internal innovation capabilitie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secure open innovation capabilities and carry out open innovation activities.

      • KCI등재후보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핵심성과지표로서 기술경쟁력의 영향

        서리빈 ( Ri Bin Seo ),윤현덕 ( Heon Deok Yoo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4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7 No.4

        혁신활동과 기업가정신의 활성화를 강조하는 창조경제의 시대에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성과창출이 갖는 경제적, 정책적 및 전략적 의미와 그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들 중소기업이 목표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선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시장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사의 혁신활동을 조정·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정과 개선은 성과평가의 지속성과 정확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는 경쟁자의 모방이 어려운 기업특수자원의 개발·확보가 경쟁우위와 성과창출에 기여 한다는 자원 기반관점에 근거하여 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있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성과지표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는 특허를 포함한 지적재산권의 수, 혁신제품 매출비중,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과 같은 정량적 혁신성과지표와 함께, 매출액 성장률과 투자대비 수익률과 같은 재무적 기업성과지표를 주요지표로 채택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위와 같은 정량적 지표가 자원의 한계성이 높고 혁신의 범위가 좁은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내재적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는가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체계화된 경영관리능력과 연구개발경험이 부족한 중소기업, 특히 신생벤처기업의 경우에는 기술개발에 필요한 자원과 역량을 확보하고 일련의 혁신 프로세스를 통해 기업성과를 창출하기까지 시간적 격차, 즉 리드타임을 겪게 된다. 이들의 혁신 프로세스가 내포한 높은 복잡성과 불확실성에 견주어 볼 때, 측정 가능한 수치적 혁신지표가 가시화되기 어려운 상황 하에서 정량적 평가요소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오히려 지속적인 성과평가를 저해한다. 이는 시장 및 기술변화에 대응하고 신속히 자사의 혁신활동을 조정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소기업에게 보다 중요한 향후 혁신 잠재력에 대한 평가는 간과될 여지가 높다. 또한 자원기반관점에 기반한 다수의 선행연구가 투입-산출-결과의 혁신 프로세스(innovation process input-output-outcome)를 구조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주로 중소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만을 분석한다는 점에서도 학문적 보완이 시급하다. 이상으로 논의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이 기술혁신을 수행하는 가운데 활용 가능한 정성적 핵심성과지표로서 기술경쟁력(technological competitiveness)의 측정을 제안하고, 그 도입의 효과성과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대한 문헌검토를 통해, 앞서 기술한 정량적지표가 갖는 문제점을 논의하고 정성적 성과지표 도입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기술보증기금이 운용 중인 기술가치평가시스템의 정성적 평가요인을 본 연구목적에 부합하도록 조작적 정의를 실시, 중소기업이 개발하는 기술요소에 대하여 우수성, 시장성, 사업성이라는 세 가지 기술경쟁력 측정항목을 산정하였다. 다음, 선행연구에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주요혁신자원으로 규명된 혁신역량(innovation capabilities)과 기업가적 지향성(entrepreneurial orientation)을 혁신 프로세스 투입으로, 기술경쟁력을 투입에 따른 산출로, 기업성과(business performance)를 투입과 산출의 결과로서 구조화시킨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벤처기업인증을 획득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총 360개의 유효표본에 대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가설검증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혁신역량(R&D역량, 생산역량, 마케팅역량, 전략계획역량, 조직관리역량, 학습역량, 자원배분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의 모든 하위요소는 기술경쟁력을 대변하는 개발기술요소의 우수성, 시장성, 사업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케팅역량을 제외한 혁신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의 하위요소는 기업성과의 증진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투입-산출(혁신역량/기업가적 지향성→기술경쟁력)의 영향관계가 투입-결과(혁신역량/ 기업가적 지향성→기업성과)보다 높은 설명력과 적합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술경쟁력의 세 가지 하위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검증됨과 동시에, 기술경쟁력이 투입(혁신역량/기업가적 지향성)과 결과(기업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혁신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술 경쟁력의 강화를 산출하고, 강화된 기술경쟁력이 기업성과라는 혁신 프로세스 결과를 이끄는 순차적이고 구조화된 관계를 분명히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는 연구자가 제안한 기술경쟁력 개념과 측정항목이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정성적 핵심성과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혁신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약한 유의적 영향관계를 통해서 추론할 수 있는 리드타임 동안에는 기술경쟁력이 전략적 성과관리목표로서 인식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투입-산출- 결과의 관점으로 구조화된 혁신 프로세스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증진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해당 모형을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혁신 잠재력을 반영하는 기술경쟁력 평가의 적용가능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결론에서 상세히 기술하였다. To achieve high performance standards depends on effectively measuring and monitoring company``s performance by reflecting continuously whether a firm reacts and adapts to external changes. A growing number of empirical works support key assertions of the resource-based view (RBV) literature that a firm``s competitive advantage and performance originated from its unique firm-specific resources and inimitable capabilities. Most based on the literature have examined the immediate impact of resources which a firm possesses on performance, and many of them have emphasized on quantitative indicators to measure innovation performance. However, high-tech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suffering from lack of resources and managerial expertise usually requires a longer lead time from obtaining resources to achieving anticipated outcomes than expected due to high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thei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During the lead time, the SMEs with insufficient ability to keep evaluating current performance measurement continuously can face a challenge to identify directions for innovation in coping with external changes. In line with RBV,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of innovation process that enables high-tech SMEs to identify the main weaknesses and take corrective measures during R&D periods. Starting from a review of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provided in the literature regarding technology and innovation management in SMEs, we propose that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C) may be a more accurate, key performance indicator of high-tech SMEs than widely accepted indicator, such as innovative product rates, patent numbers, and R&D spending. The concept of TC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Korean Technology Guarantee Fund``s technology rating system that measures technological superiority, marketability and feasibility of a developing technology. In the samples of 360 Korean high-tech SMEs with the Venture Business Certificate issued by Korean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 integrated research model structured with innovation capabilities (IC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TC, and business performance was tested through multi-regression model. The results confirms that TC affected positively by ICs and EO should be considered a significant innovation process output that reinforces business performance of high-tech SMEs. Both of ICs-R&D, manufacturing, marketing strategic plann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learning, and resource allocation capability- and EO-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have more positively effect on TC than business performance. Lastly, TC fully mediates the weaker relationships of ICs and EO with business performance. This framework of high-tech SMEs, the ICs/EO-TC-business performance relationship, contributes to forming the input-output-outcome mechanism of their innovation process as well as deeper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adapting TC into a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ment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