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르메스의 지팡이와 마술피리 - 동서양의 마술피리에 대한 연금술적 해석

        원동훈 한국니체학회 2013 니체연구 Vol.24 No.-

        Hermes, who is normally regarded as the herold of Zeus in greek mythology,originally belonged to the pre-Olympian God in Sumerian period like Medusa before he was integrated in the new Olympian pantheon, as Arthur Frothingham had demonstrated. The god Pan, appearing as the son of Hermes in Greek mythology, was also an Oriental deity, who served the Great Mother Cybele just as Satyros did. The stories of Apollo and Pan, Midas and donkey ears in ‘Metamorphoses’ of Ovid mark the decline of the ancient alchemical wisdom which was represented by Hermes’ Caduceus and Pans flute, both of which symbolized alchemical unity of celestial and earthly energy. The process of exclusion of the earthly dimension from the alchemical unity revealed itself in the monopolization of Apollonian power of sun and light, and the killing of the snake goddess who represented the power of darkness and the invisible world. The korean version of the story of King Midas, namely the story of King Kyongmun, where the pan flute was replaced by the snakes, shows how the Magic Flute and snake confront the same fate, as soon as the alchemical union of Yin and Yang is lost. According to the alchemical ideal, the ‘Magic Flute’ of Mozart - where the snake and the Queen of night were also destroyed - is nothing else than the reproduction of the same story which exists since the story of the King of Midas.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속에 나오는 판 플루트와 미다스 왕 이야기와..삼국유사..에 등장하는 만파식적과 경문왕 이야기는 헤르메스와 여와(女.)에서 출발하는 동서 마술피리 이야기를 그 원형으로 하고 있으며 ‘헤르메스 지팡이’와 ‘복희여와도’로 상징되는 고대 연금술의 지혜와 관계된다. 니체가 ..비극의탄생..에서 전하는 로마 티베리우스의 시대에 울려 퍼졌다는 ‘판의 죽음’은 비극의 죽음뿐만 아니라 연금술적인 지혜의 종말을 의미하며 고대 수메르 시대까지거슬러 올라가는 여신과 뱀 숭배의 최후의 몰락을 의미한다. ..변신이야기..의 판플루트와 미다스 왕 이야기와 ..삼국유사..의 만파식적과 경문왕 이야기는 아폴론의 시각이 아니라 헤르메스의 시각에서 볼 때만 그 진의(眞意)가 드러나며 비의(秘儀)와 선도(仙道)에 입문한 미다스 왕과 경문왕의 이야기가 주목되었을 때그 연금술적 의미가 드러난다. 니체가 ‘그리스적인 것’, ‘영원회귀’, ‘비의신앙’을같은 것으로 보고 ‘독수리’와 ‘뱀’의 상징을 통해 차라투스트라를 등장시키고 ‘자기 초극의 인간(Ubermensch)’을 설파하는 것은 고대 연금술의 지혜의 부활을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마을 만들기 운동과 패러다임의 전환

        전동진 ( Chun Dong-jin ),황정현 ( Hwang Jung-hyu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4 존재론 연구 Vol.35 No.-

        1960년대 이후 고도경제성장기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로의 인구집중의 가속화로 인해 도시의 주택난과 교통혼잡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주택의 양적 공급 대에 주력했지만 아파트 일변도의 개발 사업은 주거유형을 획일화시켰고, 사업성 확보 위주의 고밀개발은 도시경관을 마구잡이로 훼손시켰다. 그럼으로써 우리의 도시들은 결국 장소성과 역사성을 상실한 개성 없는 곳으로 변하게 되었다. 게다가 철거 위주의 방식으로 진행되어온 각종 대규모 재개발, 재건축은 오랫동안 거주하던 주민들을 떠나게 만듦으로써 공동체들을 파괴하고 말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상황과 시대가 변하면서 부각됨에 따라, 1990년대 중반부터 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에 기반을 두고 물리적 환경개선과 삶의 질 향상 및 공동체 활성화를 꾀하는 “마을 만들기”가 대규모 개발방식에 대한 대안적인 도시관리 방법으로 시도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의 마을 만들기 사업은 특히 일본의 “의 『마을 만들기의 발상』에 의마치즈쿠리(마을 만들기)”를 모범 삼아 시행되기 시작했다. 그래서 본 논문은 먼저 주로 다무라 아키라거하여 마을 만들기의 개념에 대해 알아본다. “마을”은 주민들이 수동적으로 그저 세 들어 살기만 하면 되었던 이제까지의 마을이 아니라 주민들이 주인이 되어 적극적으로 만들어 가야 하는 공동의 장을 의미한다. 그리고 “만들기”란 여기서 물질적인 것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면도 포괄하며, 나아가 창조라는 의미도 갖고 있는 용어다. 이러한 마을 만들기 운동은 도시패러다임의 근본적 변화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는 일본과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20세기 후반에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의 유럽 국가들에서도 일어난 근본철학적 패러다임의 전환, 즉 획일주의적인 근대적 패러다임으로부터 탈주체·탈중심주의적인 탈근대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바로 이 패러다임의 변환을 롬바흐는 아폴론적 사유방식으로부터 헤르메스적 사유방식으로의 전환이라고 파악한다. 롬바흐에 의하면 서양의 문화는 고대 그리스부터 지금까지 줄곧 아폴론적 원리에 의해 지배받아왔다. 아폴론은 중앙으로부터 모든 것을 가르고 각자에게 자신의 자리를 지정해주며, 작고 악한 것을 맨 구석으로 쫓아 버리는 빛이다. 즉 아폴론적 질서는 사물들이 함께 어우러져 작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근본 질서로서 사물들에 선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폴론적 세계에 저항하는 사람들이 예전부터 붙잡고자 했던 것이 헤르메스적 원리다. 하지만 그것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지금껏 이루어졌던 수많은 저항들이 모두 실패했다고 롬바흐는 생각한다. 바로 이 헤르메스적 원리를 파악하고자 하는 롬바흐의 “철학적 헤르메틱”을 국내의 마을 만들기 운동을 염두에 고찰함으로써 마을 만들기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이 본 논문의 주목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관이 주도하는 마을 만들기 정책의 문제점에 관해 살펴본 다음, 구체적 일례로 경기도 성남 기성시가지에서 마을 만들기가 시도될 때 건축적 차원에서 반영되어야 할 점들을 몇가지 제안해보고자 한다. There was a period of high economic growth in South Korea the 1960s. It caused the city problems such as housing shortage and traffic congestion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of city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rapid industrializ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has focused on quantitative supply of houses. They have developed mainly the apartment houses, the type of urban housing was unified and the landscape of the city was impaired for high-density urban development in pursuit of only the business feasibility. As a result, the cities of South Korea was changed in the absence of uniqueness that lost locality and historicity. In addition, because the redevelopment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by using of the removal method, town communities had destroyed, the residents who lived long in the area have been away from there. People gradually began to recognize these problems. When they were proceeding with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ey began to think carefull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local characteristics fo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from the mid-1990s. The method of “town design” has begun to be used as another way of developing a large-scale urban project. The town re-development projects in South Korea began to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model of Japan “machizukuri/machidsukuri(まちづくり, town design)” movement. This article mainly try to examine the concept of town design, based on the “idea of machizukuri” of Akira Tamura. The “town” has been changed as a place for neighbor community relationship matters where inhabitants must make it voluntarily. The “design” does not mean only the physical aspect simply, but is a term that includes aspects of software and also has the meaning of creativity further. “town design” movement refers to the fundamental change of the city paradigm. And not only in Japan and in South Korea, but the philosophical paradigm-shift occurred in Wester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in the late 20th century. This means the conversion to de-subject, de-central and de-modern paradigm from the monolithic modern-paradigm. Rombach regards this paradigm-shift as a transition from the apollonian principle to the hermetic. According to him, western culture has been dominated by apollonian principle all the way until now from ancient Greece. Apollon, who is the god of light, divides all things from the center and specifies their positions and relegate the small or evil to the far corner. This means that the apollonian principle precede the things, not formed by acting together, but exists as a fundamental order. According to Rombach, the people, who had resisted to such apollonian world, always tried to catch the hermetic principle. But they have failed to make it until now, because they could not understand it properly. The main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find some suggestions for the town design movements by examining the Rombach’s “Philosophic Hermetic” to comprehend the hermetic principle. On the basis of this, we would like to propose some architectural ideas to be used in Seongnam city.

      • KCI등재

        마을 만들기 운동과 패러다임의 전환

        전동진,황정현 한국하이데거학회 201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5

        There was a period of high economic growth in South Korea the 1960s. It caused thecity problems such as housing shortage and traffic congestion according to theacceleration of city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rapid industrialization. In order to solve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has focused on quantitative supply of houses. They havedeveloped mainly the apartment houses, the type of urban housing was unified and thelandscape of the city was impaired for high-density urban development in pursuit ofonly the business feasibility. As a result, the cities of South Korea was changed in theabsence of uniqueness that lost locality and historicity. In addition, because theredevelopment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by using of the removal method, towncommunities had destroyed, the residents who lived long in the area have been awayfrom there. People gradually began to recognize these problems. When they wereproceeding with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ey began to think carefully the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local characteristics for the environmentalimprovement from the mid-1990s. The method of “town design” has begun to be usedas another way of developing a large-scale urban project. The town re-developmentprojects in South Korea began to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model of Japan“machizukuri/machidsukuri(まちづくり, town design)” movement. This article mainly tryto examine the concept of town design, based on the “idea of machizukuri” of AkiraTamura. The “town” has been changed as a place for neighbor community relationshipmatters where inhabitants must make it voluntarily. The “design” does not mean onlythe physical aspect simply, but is a term that includes aspects of software and also hasthe meaning of creativity further. “town design” movement refers to the fundamentalchange of the city paradigm. And not only in Japan and in South Korea, but thephilosophical paradigm-shift occurred in Wester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in the late 20th century. This means the conversion tode-subject, de-central and de-modern paradigm from the monolithic modern-paradigm. Rombach regards this paradigm-shift as a transition from the apollonian principle to the hermetic. According to him, western culture has been dominated by apollonian principleall the way until now from ancient Greece. Apollon, who is the god of light, divides allthings from the center and specifies their positions and relegate the small or evil to thefar corner. This means that the apollonian principle precede the things, not formed byacting together, but exists as a fundamental order. According to Rombach, the people,who had resisted to such apollonian world, always tried to catch the hermetic principle. But they have failed to make it until now, because they could not understand itproperly. The main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find some suggestions for the towndesign movements by examining the Rombach’s “Philosophic Hermetic” to comprehendthe hermetic principle. On the basis of this, we would like to propose some architecturalideas to be used in Seongnam city. 1960년대 이후 고도경제성장기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로의 인구집중의 가속화로 인해 도시의 주택난과 교통혼잡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주택의 양적 공급확대에 주력했지만 아파트 일변도의 개발 사업은 주거유형을 획일화시켰고,사업성 확보 위주의 고밀개발은 도시경관을 마구잡이로 훼손시켰다. 그럼으로써 우리의 도시들은 결국 장소성과 역사성을 상실한 개성 없는 곳으로 변하게 되었다. 게다가 철거 위주의 방식으로 진행되어온 각종 대규모 재개발,재건축은 오랫동안 거주하던 주민들을 떠나게 만듦으로써 공동체들을 파괴하고 말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상황과 시대가 변하면서 부각됨에 따라,1990년대 중반부터 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에 기반을 두고 물리적 환경개선과 삶의 질 향상 및 공동체 활성화를 꾀하는 “마을 만들기”가대규모 개발방식에 대한 대안적인 도시관리 방법으로 시도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의 마을 만들기 사업은 특히 일본의 “마치즈쿠리(마을 만들기)”를 모범 삼아 시행되기 시작했다. 그래서 본 논문은 먼저 주로 다무라 아키라의『마을 만들기의 발상』에 의거하여 마을 만들기의 개념에 대해 알아본다. “마을”은 주민들이 수동적으로 그저 세 들어 살기만 하면 되었던 이제까지의 마을이 아니라 주민들이 주인이 되어 적극적으로 만들어 가야 하는 공동의 장을 의미한다. 그리고 “만들기”란 여기서 물질적인 것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면도 포괄하며, 나아가 창조라는 의미도 갖고 있는 용어다. 이러한 마을 만들기 운동은 도시패러다임의 근본적 변화를의미한다. 그리고 이는 일본과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20세기 후반에 미국과영국, 프랑스 등의 유럽 국가들에서도 일어난 근본철학적 패러다임의 전환,즉 획일주의적인 근대적 패러다임으로부터 탈주체⋅탈중심주의적인 탈근대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바로 이 패러다임의 변환을 롬바흐는아폴론적 사유방식으로부터 헤르메스적 사유방식으로의 전환이라고 파악한다. 롬바흐에 의하면 서양의 문화는 고대 그리스부터 지금까지 줄곧 아폴론적 원리에 의해 지배받아왔다. 아폴론은 중앙으로부터 모든 것을 가르고 각자에게 자신의 자리를 지정해주며, 작고 악한 것을 맨 구석으로 쫓아 버리는 빛이다. 즉 아폴론적 질서는 사물들이 함께 어우러져 작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근본 질서로서 사물들에 선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폴론적 세계에 저항하는 사람들이 예전부터 붙잡고자 했던 것이 헤르메스적 원리다. 하지만 그것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지금껏 이루어졌던 수많은 저항들이 모두 실패했다고 롬바흐는 생각한다. 바로 이 헤르메스적 원리를 파악하고자 하는 롬바흐의 “철학적 헤르메틱”을 국내의 마을 만들기운동을 염두에 고찰함으로써 마을 만들기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이 본 논문의 주목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관이 주도하는 마을 만들기정책의 문제점에 관해 살펴본 다음, 구체적 일례로 경기도 성남 기성시가지에서 마을 만들기가 시도될 때 건축적 차원에서 반영되어야 할 점들을 몇가지 제안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바슐라르와 상상력, 그리고 현대 디지털 아트

        송희영(Song, Heeyoung)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

        예술은 무엇인가? 예술가로 하여금 작품을 창조하게끔 만드는 힘(원천)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사람들을 감동시키며 끌어당기는 예술작품의 힘은 무엇인가, 즉 예술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세 가지 의문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인류 역사 이래 오랫동안 반복되어 온 이와같은 근원적인 질문에 적합한 답을 찾기 쉬운 일은 아니지만, 본 연구에서는 몇몇 예술가들의 창작에 대한 견해와 경험담, 고백을 토대로 예술은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보편성에 대한 예술가 개인의 독특한 창조적 표현의 결과이며, 사람들은 그 보편성을 공유하고 공감하고자 예술작품을 향유하고자 하며, 예술가로 하여금 작품을 탄생케하는 힘은 다름 아닌 예술가의 의식 속에 자유롭게 움직이는 힘, 즉 상상력이라고 규정하였다. 상상력은 현실이 아닌 비현실적인 것, 그러나 없는 것이 아니라, 있을 수 있는 그 무엇을 지향하는 인간의 꿈이요 희망이요 의지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상상력의 원천은 어디인가? 라는 또 다른 의문에 직면하여 본 연구는 과학철학자이자 상상력의 철학자로 불리는 바슐라르의 물, 불, 공기, 흙을 지칭하는 4원소론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그중에서도 공기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대상으로 공기의 이미지가 전파해주는 속성에 기반한 인간의 상상력과 예술창조의 상관관계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바슐라르의 <공기와 꿈>을 토대로, 가볍고 눈에 보이지 않는 비물질적이며, 어디든지 이동이 자유로우며, 멀리 떨어져 있는 공간과 공간, 이질적인 존재와 존재를 연결해주고 융합해주는 공기의 이미지를 발견하였다. 또한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숨(호흡)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생명력과 삶의 의지, 꿈, 이상, 비상과 상승의 이미지를 도출해내었다. 이로부터 본 연구는 그리스 신화 속에서, 상이한 것들 간의 중소통과 교착, 융합, 경계를 무너뜨림으로써 발생되는 새로운 창조의 상징으로 인식되는 헤르메스의 이미지를 유추해내었다. 공기적 상상력을 지닌 헤르메스의 상징성으로부터 본 연구는 현대의 뉴테크놀로지의 발달에 힘입은 예술과 과학의 만남으로 파생된 현대뉴미디어아트의 탄생과 발전의 배경을 인간의 공기적 상상력의 결과로 인식하였다. 상이한 장르간의 교류와 결합으로부터 출발하여 기존의 예술의 질서에 반기를 든 플럭서스 운동으로부터 비디오 아트, 설치예술, 퍼포먼스아트, 디지털아트, 컴퓨터아트, 쌍방향참여예술의 개념을 두루 포괄하는 의미로 확장된 21세기 뉴미디어아트의 발전 역사를 되돌아보면서 뉴미디어아트가 현대 사회에 끼치고 있는 긍정적인 힘과 부정적인 결과들, 그리고 앞으로 우리가 해결해야 문제점들을 짚어 보았다. “뉴미디어아트”는 장르와 영역, 인종과 문화를 초월하며 시공간에 대한 고정 관념을 전환시킨다. 또한 예술에 대한 개념을 확신시키며 예술 창작과 소비(감상) 방식에 조차 대 변혁을 일으키고 있다. 뉴미디어아트의 가장 큰 힘은 확산과 분산을 통한 소통과 융합의 기능에 있다고 하겠다. 뉴미디어아트는 예술과 과학, 예술가와 관객, 예술가와 예술가, 사람과 기계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지구촌을 하나의 거대한 망으로 연결하며, 상이한 두 존재와 대상들의 참여와 쌍방향 소통을 지향하는 가히 인류사회의 혁명과도 같다. 그러나 그에 따른 부작용과 문제점도 만만치 않다. 화해와 소통, 융합을 지향하면서 한편으론 아이러니하게도 예술가와 관객, 사람과 기계와의 소통부재와 소외, 그리고 수준과 질을 가늠할 수 없는 예술이 범람하기도 한다. 그러나 예술과 과학의 공존과 융합, 소통에 따른 긍정적인 힘과 부정적인 문제점들이 교차하는 이 모든 상황은 단지 예술과 과학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한계와 현실의 제한을 극복하고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 이상과 꿈을 향해 상승하고 비상하고자 하는 인류의 도전 과정에서 파생된 것에 다름 아니며, 다만 이 모든 것을 맘껏 향유하되 잘못된 것을 개선해나가려는 노력과 의지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것이 바로 바슐라르의 4원소론에서 기원된, “미래를 향한 비상의 벡터를 갖고 있는 공기적 상상력“이 우리에게 전파해 주고 있는 의미이며, 변화와 전이, 소통과 웅합 교착점과 화해를 만들어가는 헤르메스적 지혜와 실천을 배워야할 이유라고 생각된다. This paper aimed to have two purposes. The first one was to review the imagination of Gaston Bachelard based on the book titled as <L air et les songes>, one of the Bachelard s four consecutive works on the four elements such as the water, fire, air and earth,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of the air that Bachelard had introduced to us. The second purpose was to find out an actual arts case around us that the Bachelard s imagination could possibly be applied to in terms of its process of creation or its circumstances of appreciation. To reach these objectives, I firstly analyzed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of the air driven by Bachelard, and summarized several points as follows, Firstly, the air tends to be non-material, invisible and free to move to everywhere, Secondly, the air can be considered as a catalyst that connects a place with another places far away and as a messenger who communicates with individual people or groups who have led different life styles because of its own attribute of immaterial, invisible and free movement. The final character that I found from the image of the air was a tendency of propagation that gives willingness and desire for life to the lives. Therefore, the air supplies dynamics to human beings toward ascension to the heaven, a symbol of ideal land and make them to move forward to get better lives. On the other hand, through this process, I inferred Hermes in Greek and Roman mythology from the image of the air in terms of the role of messenger of gods. Hermes wears shoes with wings on them and uses them to fly freely from Heaven to the earth calling as a messenger from Olympus to motal world. He takes a role as an interpreter who bridges the boundaries with strangers and delivered gods messages to humans and finally devotes to make reducing conflict and confusion. As Bachelard asserted in his works on <the Four Elements>, imagination is believed that it is the most essential resource that provides motivation and creative capability to the artists. To better understand more abo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human s imagination and the process of creativity of the arts, i.e., to see how the imagination works in creating arts products, I observed the overview of the history and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new media arts from Plexus movement to video arts, installation art, computer arts and telepresence performances, since I believe new media arts presents a symbol of the imagination of the air. New media arts was appeared by the merger of arts and technology in 1960 s, It has rapidly developed adopting the modern electronic technologies in usage of materials and the way of expressing the artist s idea, Consequently, new media arts rises up as a symbol of breaking rules and reforming the old traditional arts world. For instance, firstly, it broke up concrete definition of the arts and secondly it even removes the boundaries between artists and audiences since every one who is able to either easily access personal computer or operate digital video camera, can connect with the arts products in a second and he or she might be participate the process of completing arts products as a creator or an artist. Moreover, new media arts which applies the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more than any times tends to eliminate limits and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at has long been crossed between different culture and territory in the world. One the other hand, it is true that some of negative problems happen on the way of developing new type of arts. Diffusion of new media arts could be one of these cases. however, it could be understandable phenomena like a co-existence of bad air and fresh air at the same atmosphere.

      • KCI등재
      • KCI등재

        ‘세계’와 ‘세계들’

        양국현(Yang Kook-Hyun) 한국현상학회 2004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2 No.-

        각각이 다 합쳐진 것을 우리는 하나되었다라고 말한다. 여럿인 각가의 합은 ‘하나’다. 전체는 통일이자 하나이다. 이것의 가장 보편적인 현상중 하나가 ‘세계’이다. 세계는 하나이고, 모든 것을 자기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전체’이다. 그러나 이 ‘전체’는 ‘전체’로서 생겨나지도, 체험되지도 않는다. 오직 ‘각자’로서만 가능하고, 우리의 체험은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세계들’로 향하여 있다. ‘자기 세계’ 그리고 ‘자기 세계와 다른 세계가 함께 있음’이에 더 나아가 ‘세계들 간의 대화’등이 이 철학적 체험이 가고자 하는 ‘길’이다. ‘세계’와 ‘세계들의 세계’를 체험하기 위하여, 기초존재론에서의 세계이해와 서양근대철학의 보편학(Mathesis Universalis)에서의 ‘체계적인’ 세계이해를 밝히고자 한다. 우리는 ‘세계들’이 매번 그때마다 열리는 것을 알고 있다. 이 세계의 열림은 헤르메스적 삶의 체험이다. 옛 세계에 대하여 고유한 세계가 열린다. 이 세계는 앞서의 세계에서 도출되는 세계가 아니라, 전적으로 새로운 세계이다. 우리의 논의는 우선 이 새로운 세계의 출현을 예고하는 것까지 나아가는 것이다.

      • KCI등재

        "테오리아"(Theoria)인가 "테우르기아"(Theurgia)인가?: De Mysteriis에 나타난 이암블리코스의 "영적 플라톤주의"

        송현종 ( Hyone Jong Song ),박규철 ( Kyu Cheol Park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3 No.-

        시리아 학파의 태두인 이암블리코스는 고대 말 신플라톤주의 흐름에서 ``제설혼합주의``(syncretism)를 주창한 대표적인 신플라톤주의자이다. 그는 헤르메스주의(Hermetism)를 통해 고대 그리스에 등장한 이집트 신학과 『칼테아 신탁집』(Oracular Chaldaica)의 종교 의례적 전통을 ``영적인 플라톤주의``라는 맥락에서 절묘하게 융합시키고, ``테우르기아``(theurgia)에 기반 하여 자신의 독특한 일원론적 형이상학을 전개한다. 무엇보다도 이암블리코스의 영적인 플라톤주의는 신플라톤주의의 창시자인 플로티노스와 로마학파의 대표자인 포르피리오스의 ``관상(contemplation)적 일원론``에 대한 비판과 반성 속에서 형성된다. 플로티노스는 물질을 악으로 규정하고 영혼의 하강을 부인하나, 이암블리코스는 물질을 선으로 규정하고 영혼의 하강을 긍정한다. 또한 이암블리코스는 플라톤주의의 수학화·추상화·이성화를 비판하는 차원에서 플로티노스와 포르피리오스의 관상 개념도 비판한다. 이런 비판을 통하여, 이암블리코스는 플라톤 철학의 고유한 이상을 ``신인합일``, 즉 인간의 ``신적 동화``에서 찾는 영적인 플라톤주의를 정립한다. 『이집트 신비에 관하여』는 이암블리코스의 이러한 영적인 플라톤주의, 즉 테우르기아에 기반 한 그의 영적인 플라톤주의가 잘 드러나 있는데, 여기에서 그는 ``신성의 수용체로서 물질에 대한 긍정``, ``신적 질서의 투영체로서의 우주`` 그리고 ``영혼의 완전한 하강을 통한 인간의 신격화``이라는 3가지 논점을 특별히 강조한다. 또한 그는 ``테우르기아적 합일``을 다음 2가지, 즉 물질에 영혼을 불어넣는 ``조상 제의``(telestike)와 육신을 통하여 신을 현전시키는 ``육화(肉化)제의``(eiskrinein)로 구분하면서, 이 구분을 통하여 세계의 성화(consecration)라는 우주론을 형성하고, 신인합일에 근거한 존재론적 변형과 구원론(soteriology)을 제시한다. 이암블리코스의 이러한 영적인 플라톤주의는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지성적 사유와 종교적 경험의 통합을 지향하는 그의 형이상학은 천상과 지상 그리고 영혼과 육체의 대립을 통합적으로 사유하는 전통을 부활시킴으로써, 그리스 철학과 기독교로 대변되는 서양 문화의 이면에 자리해온 신비주의적 전통을 온전히 드러낸다. 다음으로 이암블리코스 철학은 추상적 관념주의와 유물론적 세계관이라는 현대의 극단적 이원론을 통합시키는데 기여함은 물론, 이론 중심적 사유와 실천 중심적 삶을 통일시키는 데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지상의 인간은 필멸하는 신이요, 천상의 신은 불멸하는 인간이다."- Corpus Hermeticum, X.25 A Syrian neoplatonist, Iamblichus(c.250-c.330 CE), was a syncretistic scholar and mystagogue with theurgic fervor in late antiquity. Under the influence of Greek philosophy based on the Hellenistic milieu, he accepted the context of the spiritual Platonism, focusing on two mystical sources: Hermetism appeared from the Egyptian theology and Oracular Chaldaica putatively originated from Babylonia. Contrary to the contemplative monism of Plotinus and Porphyry, his therugical monism, emphasizing on the hieratic ``ergon``, was introduced as a methodological strategy for restoring the Hermetic tradition, in pursuing the unification of mystical experience and intellectual philosophy. Subsequently, Iamblichus severely criticized the overweight of rationalization in the geometrical Platonism for succeeding to the spiritual Platonism which proclaimed ``a homoiosis theo as a ultimate goal of Platonic paideia. In this regard, there are three cardinal argumentations on ``matter``, ``cosmos``, and ``soul``, in his refutative epistle, De mysterii. First he characterizes matter as the receptacle of divinity. Second cosmos is grounded on the divine order. Finally, the deification of the soul is justified as his doctrine of the embodied soul, due to the idea that the soul is fully able to descend into human body. As a result theurgic union, in contrast to the metaphysics of ``theoria`` of Plotinus,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of ritual arts; ``telestike``, animating of statues depending on the use of ``sumbola`` or ``sunthemata``, and ``eiskrinein``, incamating a god in mediumistic trance of the initiate. The former implies the consecration of cosmos and the latter, relating to the ontological transformation, reveals the Platonic paideia which arms at a soteriological task. The concept of the Platonic paideia contains the stages of soul`s ascent to the gods. After having fully descended to the mortal world, a soul could be reoriented from his self-alienation by the driving force of eros. Iamblichus` attempt to synthesize religion with philosophy has decisively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e dark side, or "(pagan) Other" of mainstream currents of western culture represented by the Greek philosophy, Christianity, and Science. Today, Iamblichean teachings shed light on the fundamental matter of the transcendent vs immanent dichotomy,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participatory attitude about the academic research, from the spirit inscribed on the Emerald Tablet of Hermes: ``As above, so below``.

      • KCI등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서 부당거래행위의 의미-“위계” 개념의 해석론을 중심으로 -

        이석배 한국경제법학회 2011 경제법연구 Vol.10 No.1

        Die Vorschrift des § 188-4 Abs.4 kWpHG lauten: “In Bezug auf den Erwerb oder die Veräußerung eines Wertpapiers oder sonstige Transaktionen darf niemand die folgenden Handlungen vornehmen: 1. Zur Verschaffung eines ungerechten Vorteils vorsätzlich falsche Kurse oder falsche Tatsachen sowie Gerüchte verbreiten oder einen irreführenden Plan benutzen.” Auch §178 Abs.2 Gesetz über den Kapitalmarkt und das Finanzdienstleistungsgewerbe nutzt auch den Begriff “einen irreführenden Plan” ähnlich. Nach der Rechtsprechung unter “einen irreführenden Plan” zu verstehen sei ein(en) “Mittel oder Vorhaben oder Trick, das/der auf die Täuschung eines anderen (Anlegers) und die Verleitung dessen zum einem (mit dem Wertpapierhandel verbundenen) Verhalten abziele.”Die subjektivistische Verständnis der “List” weicht allerdings von der eingrenzenden Auslegung des Korean Supreme Court ab, die es bis jetzt angesichts der “List” i. S. d. Tatbestände des kStGB ständig entwickelt hat. Es versteht dabei – unabhängig von verschiedenen Tatbeständen – unter “List” das Verhalten, das ein Irrtum eines anderen erregt oder ihn in Unkenntnis versetzt und dies zur Erreichung eines weiteren Handlungsziels ausnutzt. Es verlangt also einen kausal verursachten Irrtum und eine Ausnutzung dessen zum weiteren verfolgten Ziel. Das Korean Supreme Court will nun – unter gänzlichem Verzicht auf eine nachvollziehbare Begründung für das unterschiedliche Auslegung wortgleichen Terminus – die “List” i. S. d. § 188-4 Abs. 4. Nr. 1 2. Alt. kWpHG so versubjektivieren, dass es sich bei der Auslegung des Tatbestandsmerkmals allein auf die Täuschungs- und Verleitungsabsicht abstellt und damit schon aufgrund der vorhandenen Absicht jegliche Vornahme eines Teilmoments gesamten Tatplans als Benutzen listigen Plans darstellt. Dadurch aber müsste begrifflich nicht zwingend die Geschicktheit des motivunterschiebenden Verhaltens verlangt werden, geschweige denn die Irrtumserregung und/oder eine Ausnutzung derer. Die einseitige Fokussierung der vorgeblichen subjektiven Komponente, die den Schwerpunk des Unrechtsgehalts überschießend auf das Subjektives verlagern muss, könnte zwar unter Berufung auf das Wortlaut des Tatbestandsmerkmals nicht von vornherein ausgeschlossen werden, doch ist aus den folgenden Überlegungen heraus wenig überzeugend. Als Zwischenergebnis ist dagegen festzuhalten, dass der Wortsinn der Tatbestandsmerkmale des § 188-4 Abs. 4 Nr. 1 2. Alt. kWpHG nichts anderes als Täuschung i. S. d. Fehlinformation sein. Auf was sich die Täuschung beziehen sollte, ist allerdings eine andere – aber sicherlich wichtige – Frage. Danach wurden der Hermes-Fonds-Fall und der Lone-Star-Funds-Fall überprüft. Bei beiden Fällen können die Aussagen der Täters beim Interview eine täuschende Komponente enthalten, diese Interviews werden unter “List” § 188-4 Abs. 1 Nr. 4 kWpHG subsumiert. 현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재178조 제2항은 과거 증권거래법 제188조의4 제4항과 마찬가지로 “위계”를 부당거래행위의 유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에 대하여 대법원은 위계를 “거래 상대방이나 불특정 투자자들을 기망하여 일정한 행위를 유인할 목적의 수단, 계획, 기교 등을 쓰는 행위”라고 정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행위개념을 주관적인 의도 또는 목적에 따라 해석함으로써, 행위개념이 주관화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자본시장법과 증권거래법은 잠재적 시장참여자인 정보수용자에게 손해를 가하고 그것을 통해서 이익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어야 한다. 증권거래법 제188조의4 제4항과 형법 제347조 제1항의 사기죄와 유사성은 (불법)이득의 의사로 구성요건 행위인 허위정보의 전달을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행위와 불법구조의 유사성에 비추어 증권거래법 제188조의4 제4항의 위계를 기망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위계개념이 주관적 요소에 의해 무한히 확장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기망행위와 동일하게 축소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규정이 적용된 대표적인 사례인 헤르메스사건과 론스타사건이 모두 대법원의 관점과는 달리 “위계”에 해당할 수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 학술 논쟁의 교육적 함의

        송상헌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역사교육연구 Vol.- No.34

        Controversial debates in historiography present the most suitable materials for teaching about historical research,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proper material for teaching ‘doing history’. It is meaningful in teaching history to make contents of controversial debates into source material for historical controversy dispute lesson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learners to comprehend a concrete content of historical controversy. A fake book or document in history gives a useful opportunity for student to study historical meaning and to learn ‘doing history’. Typical examples of fake books were 『Corpus Hermeticum』 and 『Constitutum Constantini (Donation of Constantine)』. Although these were forgery books, these books gained historical perspectives and meaning in history. Therefore, deciding the value of these books is not simple; it is very complicated. We introduced students with the points asserted by historians on the controversial dispute about whether Hwarangsegi is a true or fake book. Many suggested points of issues in Hwarangsegi dispute are beneficial for learners. Through Hwarangsegi dispute, learners gain the chance to indulge into the world of discipline history. We hope that more plentiful source-materials about historical controversial dispute to be presented in the future. These source-materials have the value in the point of making the opportunity to comprehend controversial dispute in history. 역사학의 학술 논쟁은 학문으로서의 역사 연구의 면모를 가르칠 수 있는 최적의 자료이다. 학술 논쟁을 통해 역사학과 역사하기(doing history)를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내용이 너무 학술적이고 전문적인 것이어서 학습자가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학술 논쟁의 유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 책이나 문서의 진위논쟁은 역사학계에서 흔히 벌어지는 일이다. 진위논쟁에서 유의할 것은 위서도 역사성을 얻는 경우 역사학적 전망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헤르메스의 서』나 『콘스탄티누스의 기진장』은 대표적인 위서 논쟁의 대상이었는데 그 문서가 가진 역사학적 전망 때문에 위서 논쟁은 아주 복합적이고 다양한 의미가 개입되어 전개된 바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진위 문제에 대한 판단은 진위를 가리는 것에서 끝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진위논쟁 대상 문서나 책은 일차원적으로 그 가치를 결정하거나 판정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학술 논쟁 교육 문제에 대한 논의의 출발로 『花郎世紀』 진위논쟁을 살펴보았다. 『花郎世紀』 논쟁의 논점 요소는 아주 많다. 수많은 역사가와 국문학자, 어문학자가 논쟁에 가담하여 박창화가 필사한 『花郎世紀』의 진위 판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실적으로 이런 논점 모두를 추출하여 제시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핵심이 된다고 생각하는 논점만을 최소한으로 짚어내고, 이를 역사화하는 방법으로 제시해 보았다. 주로 용어, 인물, 기사의 정합성, 모본과 발췌본의 관련성, 향가 등에 대한 논점을 제시하였다. 학습자가 이런 논점을 파악하게 되면 역사가가 역사 연구에서 행하는 연구 기법이나 추론 방식, 인식의 과정, 역사적 판단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花郎世紀』 진위논쟁은 역사학자들의 과제 처리 방식이나 논점, 연구의 결론 모색, 구체적 사실의 일반화, 사실의 시대사적 의미 규정, 역사 흐름에서의 개별 사실의 의미와 기여, 새로운 관점의 제시와 정당화 방식 등 수많은 역사 연구에서의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익한 학습 자료이다. 물론 학습자가 논쟁의 결론을 스스로 판단하게 된다는 점도 가치있는 일이다.

      • KCI등재

        독일 미텔슈탄트의 수출성과에서 공적 수출신용보증제도의 역할에 관한 연구

        홍성헌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14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5 No.4

        WTO와 OECD 협약 등에서 정부의 수출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상당히 높게 규제되고 있지만 수출금융은 시장실패에 기인된 자본제약의 부정적 무역효과를 경감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 수단으 로 평가된다. 수출신용보증(export credit guarantees)은 수출계약과 관련하여 은행이 수출자 에게 수출신용보증서를 담보로 대출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출자의 상환채무에 대해 공적 수출신용 기관이 그 지급을 연대 보증하는 것으로 은행은 안심하고 수출금융을 취급할 수 있고 수출자도 담보 부담 없이 금융을 활용할 수 있는 정책금융의 일종이다. 이는 특히 자원한계에 노출되어 있는 중소기업에게 해외시장 진출 성공을 보증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독일 수출 산업의 역군으로 평가받고 있는 미텔슈탄트의 수출경쟁력 원천을 기업 외부적 요인으로서 국가의 수출금융 지원에서 찾고자 하였다. 특히 독일의 공적 수출신용보증(Hermesdeckungen)의 미 텔슈탄트 수출성과에 미치는 역할을 조명하였다. 수출신용보증제도가 없었더라면 수출이 성사될 수 없는 상황에 놓이는 미텔슈탄트들에게 안정적인 수출사업을 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ublic export credit guarantees are an important instrument in financing international trade, particularly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which exposed under an shortage of financial capital. Therefore, many countries use them as a tool for promot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exports despite of highly restrictions by international agre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he german public export credit guarantees, so-called Hermesdeckungen, plays a significant role for the success of Mittelstand. The term, Mittelstand, has no exact english translation for the definition, but, today, Mittelstand refers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 mostly family-owned firms in Germany. The Mittelstand is called the backbone of the german economy because it drove the economic miracle after World War II. During the global recession and the Euro zone's debt crisis in recent years, in which european businesses have faced the near-collapse of competitiveness particularly in manufacturing, the german exports are booming and exceeded those of China in 2012. Most importantly, the german economic performance has been widely attributed to the strength of the Mittelstand. German federal export credit guarantees(Hermes Cover) support german enterprises, especially, Mittelstand in their efforts to open difficult markets and expand traditional markets in unfavourabl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