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약제생집성방』에 수용된 『성제총록』과 ‘금원사대가’의 의미 -고려시대 의학이론의 전개 과정-

        이경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동방학지 Vol.203 No.-

        이 글에서는 고려시대~조선초기 의학이론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1399년)을 연구하였다. 특히 『향약제생집성방』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성제총록(聖濟總錄)』과 최초로 소개되기 시작한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본문에서는 먼저 『향약제생집성방』이 의존하고 있는 의서들에 대한 양적인 분석과 질적인 분석을 통해 『성제총록』과 금원사대가의 비중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이를 통해서 『향약제생집성방』에 담긴 의료제도 측면의 배경과 의학이론 측면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는 『향약제생집성방』 단계에서 『성제총록』과 금원사대가를 수용했던 현상이 고려시대 의학지식과는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신집어의촬요방(新集御醫撮要方)』·『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향약제생집성방』 등의 병인론(病因論)을 주축으로 삼아, 이들 의서가 계승될 수 있었던 의학이론의 내적인 흐름을 종합하였다. 고려시대 이래의 의학이론의 변화 과정을 요약한다면, 『신집어의촬요방』에서는 내상론(內傷論)에 기반하였고, 『향약구급방』에서는 외감론(外感論)으로 관심을 돌렸으며, 조선초의 『향약제생집성방』에서는 외감론을 계승하였다. 여말선초 의학계가 급변했던 표면적인 이유는 원대(元代)에 새로 간행된 『성제총록』이나 점차 명성을 쌓아가던 금원사대가의 새로운 학설 때문이었다. 하지만 내적으로는 고려시대 이래로 전개된 병인론을 둘러싼 의학이론의 변동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처럼 내적 원인과 외적 원인이 결합하여 나타난 외감론 중시가 한국 중세사에서 『향약제생집성방』이 차지하는 의학사적인 의미였다.

      • KCI등재

        퇴계의 향약 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자치조직 연구

        김상현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3 No.-

        이 글은 우리 전통 내부에 존재했던 자치조직의 흔적을 찾아보고 그것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통해 우리사회에 적합한 자치조직의 모습을 그려보기 위한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와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우리는 조선향약의 기원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퇴계의 향약 을 주목할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퇴계의 「향입약조」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향 촌자치조직의 규약인 향약의 모습이 어떠한지, 그리고 그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가 무 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에 적합한 자치조직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퇴계의 「향입약조」가 향약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기 때문에, 먼저 퇴계의 「향입약조」를 향 약으로 볼 수 있는지를 규명해야 한다. 다음으로 그것을 향약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면 조 선향약으로서 대표성을 지닐 수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조선향약을 대표 할 만한 지위를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면 과연 그 속에서 긍정적인 요소를 발견할 수 있 는지, 그리고 그것이 바람직한 자치조직을 건설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먼저 향약 개념의 모호성이 어디에서 비롯 된 것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퇴계의 「향입약조」를 향약으로 보아도 무방하다는 점을 밝혔다. 다음으로 향약의 전형으로 평가받는, 그래서 조선사회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던 주자의 증손여씨향약 과 퇴계의 향약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 서 퇴계의 향약은 주자의 향약과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그러한 특징은 조선사회가 가진 독특한 역사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퇴계 향약이 조선향약의 기원을 열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조선향약의 기원을 열었다고 평가되는 퇴계 향약 에 담긴 가치를 규명함으로써 조선향약의 의의를 밝히고, 오늘날 바람직한 자치조직을 수 립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퇴계 향약의 긍정적 가치를 소개하였다. This thesis is intended to find traces of th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that existed inside our tradition, and to portray what forms of th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are desirable in our society by correctly evaluating i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will pay attention to Toegye s Hyang-yak(鄕約), which is considered to have established the origin of Joseon Hyangyak.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will first analyze where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Hyang-yak comes from. Through this analysis, we will reveal that Toegye s Hyang-Lip-yak-jo(鄕入約條) can be seen as a Hyang-yak. Next,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oegye s Hyang-yak and Xhu xi's Hyangyak(Jeung-son-yeo-ssi-hyang-yak『增損呂氏鄕約』), whic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seon society. In this process, Toegye s Hyang-yak is different from that of Xhu xi s, and since such features come from the unique history of Joseon society, it will be revealed that Toegye s Hyang-yak has opened the door to the origin of Joseon s Hyang-yak. Finally, by clarifying the value contained in Toegye s Hyang-yak, which is said to have established the origin of Joseon Hyang-yak, we will reveal the significance of Joseon Hyangyak and introduce the positive value of Toegye s Hyang-yak, which can help establish a desirabl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today.

      • KCI등재

        1902년 전라남도 保民鄕約의 운영과 특징

        백지연 한국역사민속학회 2022 역사민속학 Vol.- No.63

        This paper is about op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omin Hyangyak(保民鄕約) in Jeollanam-do, based on the data from “Bomin Hyangyak” distributed by the Governor of Jeollanam-do Province, Lee Geun-ho(李根澔).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eollanam-do province suffered repeated civil unrest, the spread of Donghak, and the influx of new ideas, and confusion in the hyangchon community continued. Measures were needed to correct the discipline of the collapsed society and edify the hyangchon residents. In September 1902, the Governor of Jeollanam-do Province, Lee Geun-ho implemented Bomin Hyangyak throughout Jeollanam-do Province. The primary sources related to Bomin Hyangyak were identified in Gwangyang-gun, Jangheung-gun, and Jangseong-gun, and so on. And a total of 19 sour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sources, Bomin Hyangyak was divided into 「Gwanyak(官約)」, 「Myeonyak(面約)」, 「Beolyak(罰約)」, 「Gangyak(講約)」 and 「Chuyak(追約)」. The 「Gwanyak」 contains information on family registers(戶籍) and taxes. So you can look at the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s of Bomin Hyangyak. 「Myeonyak」 contains information on organizations, systems, and mutual assistance between local residents such as Ogajaktongjae(五家作統制), Songgye(松契), and Sahwanje(社還制). 「Beolyak」 includes the largest contents like family ethics, social ethics, and to correct public order with the reward and punishment in accordance with the gravity of the offense. And the 「Gangyak」 handled the operation of the Ganghwae(講會). Gwanghwae was opened twice a year in each gun and every month in each myeon. It was given reward and punishment in accordance with the evaluation and test conducted in Gwanghwae. 「Chuyak」 in against executives of support and information was provided. The government office issued 100 subsidies to each local along with the Bomin Hyangyak . Throughout the sources of Bomin Hyangyak in Gwangyang-gun and Jangheung-gun,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rating expenses of Hyangyak were composed of subsidies and membership fees collected from Yakwon(約員). While the contents of the Bomin Hyangyak found in each region were all the same, Jangheung-gun supplemented the sections about the Ganghwae and Sungwajuk(善過籍). In Jangheung-gun, when having a Ganghwae, reviewed the lineage and punished or prized. It is emphasized the role of the edifying people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 characteristic which can be seen in Bomin Hyangyak is that the role of administrative assistance has expanded. Hyangyak originally assists the administration to proceed smoothly, but Bomin Hyangyak contains more details on taxes and family registers(戶籍), indicating that the administrative and auxiliary roles have been strengthened compared to conventional Hyangyak. In addition, the governor tried to closely connect the county to each side, Ri, Tong, and Jeong by performing Ogajaktongjae, a local control device, along with Bomin Hyangyak. Ogajaktongjae functions as a supplement to the family register, a function of neighboring, and a tax storage organization, and served as a basic unit for the operation of local villages. In addition, it allowed the influence of Hyangyak on each regional unit and supplemented the administrative work in the region. In 1902, the period when the Bomin Hyangyak was implemented was the period of modern transformation. However, looking at the Bomin Hyangyak, it is rather based on the traditional order. Despite the abolition of the status system, the status was classified in Bomin Hyangyak. Also, the four virtues of Hyangyak presented by Yeossi Hyangyak, the mutual aid of the Hyangchon private sector, and etiquette for the eldest were included in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hyangchon community emphasized that the private farming and commerce should be done by dividing them into their duties, and at this time, the scholar mentioned that the... 본 논문은 1902년 전라남도관찰사 이근호가 전라남도 전역에 배포한 保民鄕約 자료를 바탕으로 保民鄕約의 운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19세기 말 전라남도는 거듭된 민란과 동학의 확산, 새로운 사상의 유입 등을 겪으며 혼란이 지속되었다. 무너진 기강과 풍속을 바로잡고 향촌민들을 교화시킬 수 있는 방책이 필요했으며 1902년 9월, 전라남도관찰사 이근호는 전라남도 전 지역에 보민향약을 시행했다. 전라남도 보민향약의 자료는 광양군, 장흥군, 장성군 등지에서 총 19개가 확인된다. 보민향약은 조목의 내용에 따라 「官約」, 「面約」, 「罰約」, 「講約」, 「追約」으로 나뉘어 작성되었다. 「관약」에서는 호적과 세금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어, 보민향약의 관치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면약」에서는 五家作統制와 松契, 社還制 등 면내 제도와 향촌민간 相互扶助 등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벌약」에는 가장 많은 조목이 포함되었는데, 가족간 윤리, 사회 풍속 윤리 등을 담아 사회의 질서를 바로잡고자 했으며, 죄의 경중에 따라 上罰, 次上罰, 中罰, 次中罰, 下罰로 구분하였다. 「강약」에서는 講會 운영에 대해 다뤘다. 각 군에서는 매년 2회, 각 면에서는 매달 강회가 열렸다. 강회에서는 강독과 시험이 진행되었으며 평가에 따라 賞罰이 부여되었다. 「추약」에서는 관의 지원과 임원에 대한 조목이 제시되었다. 관에서는 보민향약 자료와 함께 100량의 지원금을 각 군에 내렸다. 그리고 광양군, 장흥군의 보민향약 자료를 통해 군에서는 보조금과 약원들로부터 거둔 회비를 모아 향약 운영비로 사용했고, 식리하여 재정을 관리했음을 알 수 있다. 각 군에서 확인된 보민향약 자료의 조목은 모두 동일한 반면, 장흥군에서는 강회와 선과적에 관한 조목을 보충했다. 강회에서 선과적을 검토하고 상벌을 내렸는데, 이를 통해 다른 지역에 비해 향약의 교화적 기능이 강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민향약의 조목을 바탕으로 그 특징을 살펴보면, 향약의 지방행정 보조적 역할이 확대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향약은 본래 행정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기도 하는데, 보민향약에서는 보다 자세히 세금, 호적 등에 대한 내용을 담았으며 관의 역할을 조목에 명시했다. 또한 관찰사는 보민향약과 함께 지방통제장치인 오가작통제를 실시하여 군으로부터 각 면, 리, 통, 정까지 긴밀하게 연결시키고자 했다. 오가작통제는 호적 보완의 기능, 鄰保의 기능, 부세 수납기구의 기능 등을 하며, 향촌 운영의 기초 단위로 역할했다. 그리고 각 지역 단위에까지 향약의 영향이 미칠 수 있도록 했으며 지역 내 행정 업무를 보완하였다. 1902년, 보민향약이 시행된 시기는 근대적 변혁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그러나 보민향약을 살펴보면 향약 조목이 오히려 전통적 질서에 기반을 둔 것을 알 수 있다. 신분제가 폐지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신분을 구분했으며, 향약의 4대 덕목, 相扶相助, 尊長者에 대한 예절을 조목에 포함했다. 그리고 향촌사회에서 士農工商을 구분하여 직분을 다할 것을 중시하였는데, 선비에게는 과거가 폐지되었음에도 舊學에 매진할 것을 언급하고 있다. 또한 시벌을 통한 통제와 교육을 통한 교화에서도 유교적 질서가 그 기반을 이루었다. 향촌을 다시 일으키고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시대상에 따라 새로운 질서보다는 추구하기보다는, 종래의 성리학적 질서를 바탕으로 하여...

      • KCI등재

        주희의 〈증손려씨향약〉과 조선사회 -조선향약의 특성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이근명 ( Geun Myung Lee ) 한국중국학회 2002 중국학보 Vol.45 No.-

        鄕約最初在北宋后半時期神宗年間出現于中國北部, 就是由住在京兆府藍田縣的呂大鈞爲主的呂氏兄弟四人以敎導鄕村爲目的而制定的<呂氏鄕約>. 當時, <呂氏鄕約>未能引起社會的關注, 而到南宋中葉, 朱熹將<呂氏鄕約>改編爲<增損呂氏鄕約>以後, 才得到推廣. 之后, 朱熹的<增損呂氏鄕約>便成爲中國鄕約制的模範. <增損呂氏鄕約>以`德業相勸`, `過失相規`, `禮俗相交`和`患難相恤`的四項作爲敎導鄕村, 確立儒敎的鄕村秩序的原則, 在內容上可以設是重踏<呂氏鄕約>的覆轍. 但是兩者不盡相同, 首先, 鄕約所敎導的對象是鄕村里的`有力者`. 基于鄕約如`德業相勸`和`讀約禮`等規定, 一般的平民百姓沒有在鄕約組織里邊與有力者或士大夫在一起的可能性. 其次, 朱熹所制定的鄕約徹底指向確立鄕村的自治秩序, 因爲宅注重和提倡的是種與國家權力毫無關係的以鄕村的有力者爲中心的秩序. 所以, 爲了達成敎導鄕村的目的, 主導鄕約的士大夫階層應當起核心作用. 但是, 當時鄕村士大夫的影響力非常有限, 就是爲根本阻??約制圓滿實行的絆脚石. 鄕約制在16世紀初中宗之世傳入朝鮮社會. 那時, 以趙光祖爲首的新進士類將朱熹的鄕約制看做實現道學政治的環節, 力求引進宅來改組朝鮮的鄕村社會. 因此, 無可否認, 他們的活動基本上處在把朱熹的鄕約規定紹介到朝鮮社會的初步階段, 盡管如此, 朝鮮的知識階層却幷不滿足于全般照撤朱熹爲中國社會而制定的規定. 鄕約到朝鮮不久時, 已經有了不少與朱熹規定不同之處, 如國家權力對其施以影響, 鄕約組織可以行使强力的處罰權等等. 在明宗末期和宣祖年間, 朝鮮的鄕約越發推廣, 其韓國特色也隨之願著起來. 而此一過程中扮演過關鍵角色的人物乃爲退溪和栗谷. 當他們于16世紀后期制定鄕約以後, ??擴散在全國各地, 起到廣泛作用, 經過一般時間, 適合于朝鮮社會的具有朝鮮特色的朝鮮鄕約遂漸成立, 其與朱熹鄕約之間有如下不同之處 : 第一, 朝鮮鄕約組織具有包括裁判權, 鄕約組織的活動與洞契和社倉等結合在一起, 有效地把`患難相恤`一項付諸實踐. 흔明顯, 在宋代源于中國的鄕約當同朝鮮社會接觸融合時, 漸漸經過了變形. 盡管如此, 制定鄕約的本意尙未消失, 反而由于因朝鮮現實而制宜, 朝鮮鄕約就能??更爲有效地體現鄕約的本意. 사 形式上似和朱熹的鄕約不同, 朝鮮特色明顯突出, 但本質上則更貼近朱熹制定鄕約的初中. 應該設, 這種現象正合乎當時思想界的潮流, 卽隨着對性理學了解的不斷深化, 內容更向追究性理學精髓的方向發展, 而表面形式則向顯現朝鮮特色的方向變化. 那末, 朝鮮社會的나個特點帶來這些變形? 經過對韓國歷史的硏究, 我們可以發現, 那歸功于我國鄕村和村落社會中比較堅固的自治傳統. 韓國的鄕村根深幇固地留下組織鄕村共同體或實現鄕村自治的秩序來, 警如鄕村支配階層的鄕飮酒禮, 族契形態以及以民衆爲中心的香徒等. 中國則與韓國不一樣, 從整個社會結構來看, 國家權力渗透了鄕村社會的各個角落, 如宋代的保甲制和明代的里甲制. 總而言之, 韓國鄕村社會獨特的存在形式和自治傳統均對朝鮮鄕約的實行起到重要的作用.

      • KCI등재

        고려시대 전염병과 질병관

        이현숙(Lee Hyun-Sook),권복규(Kwon Bok-Gyu)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8

        본 연구는 고려 고종 연간 몽고 침입기 강화도의 大藏都監(설치 기간: 1232-1251)에서 출간된 고려 의학서 『鄕藥救急方』의 구성과 질병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약구급방』의 성격을 파악하고, 나아가 고려시대 사람들이 질병과 전염병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 전기에 편찬된 다른 구급방서, 특히 1466년에 편찬된 『구급방』의 내용과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새롭게 밝힐 수 있었다. 첫째, 『향약구급방』에서 선정된 질병은 ①흔한 질병이고 ②신속한 대처를 요하는 질병이면서, ③증상이 분명하거나, 눈에 명확히 보이는 질병으로서 ④환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남성과 여성, 성인과 소아의 질병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둘째, 『향약구급방』이 일반 민을 위해 편찬된 구급방서라는 기존의 이해와 달리 강화도로 천도한 지배계층을 위해 편찬된 구급의학서라는 점이다. ①다른 구급방서에 다루고 있는 凍死라던가 기아나 기근에 대한 대응책이 없는 반면, 술로 인한 숙취나 알콜 중독이 구급 질병으로 취급되고 있다는 점, ②일반 민이 구하기 어려운 금을 약재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 ③몽고와의 전쟁을 피해 강화도로 피난 온 상태에서도 기미나 여드름 등 외모와 관련된 피부질환과 겨드랑이나 몸에서 나는 냄새조차도 질병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본서의 성격이 철저하게 당시 지배층을 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六淫(風寒暑濕燥火)에 의한 질병관에 주로 근거하고 있으며, 급성 전염병과 같은 사회적 질병보다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개인 질병에 대한 서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넷째, 전염성 질환에 대한 인식은 있었지만, 구급방에 많이 채록되지 못하였다. 광견병과 소아완두창이 전염성 질환으로서 중시되었다. 『향약구급방』은 중국에서 약재를 수입할 수 없었던 몽고전란기 상황에서 약재의 구성을 향약으로 할 수 밖에 없었던 당시 지배층을 위한 구급 의학서였던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characterization Hyang-yack-gu-geup-bang(鄕藥救急方:the Remedies for First Aid by korean medicine) and analyzation recognition of diseases in Goryeo dynasty, by analyzing the diseases of the medical book, Hyang-yack-gu-geup-bang(鄕藥救急方:the Remedies for First Aid by korean medicine). Hyang-yack-gu-geup-bang was published in Dae-jang-do-gam(大藏都監 the administrative office of publishing Sutra:1232-1251) of Gangwha island(江華島), where was once temporary capital of Goryeo during the Mogol's invasion. And as a method of the study I compared many Gy-gup-bang-seo(救急方書 : the books of remedies for First Aid) which published in early Joseon dynasty expecially Gu-gup-bang(救急方:the remedies for First Aid), published in 1466.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diseases which were compiled in Hyang-yack-gu-geup-bang are ①common diseases, ②needed rapid treatments, ③ symptoms appeared distinctly and ④classified by men, women and children's. Secondly, it was not true that Hyang-yack-gu-geup-bang was made for the common people's rescue without medical doctor but, it is for ruling class who transfer to Ganghwa island. Because I found that ① there wasn't the remedy for death from cold, starvation and famine which most medical books taking care of. But there was the remedy for hangover and alcoholism. ② Some prescriptions mentioned gold as drug stuff. ③ there were prescriptions for facial chloasma and pimples, as well as bad underarm odor even people in Ganghwa island transferred to take refuge from war with Mongol. It reveals this medical book was published for the aristocrats who had refuged in small island and couldn't get the Chinese expensive medicine. I think that's the main reason to publish it by using korean medicine, Hyang-yack(鄕藥: drugs and medicine from korean territory). Thirdly, its cognitions of diseases depended on chinese traditional medical books, such as the theory of six yin(六淫論:風寒暑濕燥火). It had described mostly private diseases rather than public or contagious diseases, such as small pox.

      • KCI등재

        1930년대 향약 단체 운영과 단체장의 성향

        한미라(Han, Mi-Ra) 한국역사민속학회 2017 역사민속학 Vol.0 No.52

        본고는 1933년 조선총독부로부터 향약장려보조금을 지원받은 44단체와 함경북도의 동약을 중심으로 1930년대 향약 단체의 운영과 구성, 단체장의 성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향약 단체의 운영은 郡, 面, 洞․里 등 단체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군단위의 향약 단체는 면이나 리에하부조직을 두었다. 또한 동과 리단위의 단체는 군이나 도의 통제를 받았으며, 이러한 특징은 함경북도나 평안남도, 전라북도 등에서 두드러진다. 향약 단체의 역원 구성도 단체마다 상이하다. 그러나 역원에서는 전통적 향약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평의원, 간사 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요한 일을 결정하거나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단체장이나 고문 등의 역원 선임은 官과 연관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향약 단체장을 비롯한 향약 단체의 주도 인물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 번째는 향약 장려 보조금을 신청할 당시에 道知事, 郡守, 面長 등의 관직에 있었던 유형이다. 두 번째는 區長, 학교장, 도평의원, 면협의회원, 조합장 등을 역임했던 적이 있었던 유형이다. 세번째는 특별한 경력은 없지만 한학에 소양이 있거나 학식이 있는 자 혹은 洞內유력자로서 상당한 자산을 가지고 있었던 유형이다. This research is research is about the operation and formation of Hyangyak organizations and tendencies of the leaders of 44 organizations, which received subsidies to promote Hyangyak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Dongyak of Hamgyeongbuk-doin the 1930’s. Each organization operated in many different ways in Gun (County), Myeon (Township) and Dong or Ri (Village) unit. The Hyangyak organizations in Gun units have sub-organizations in Myeon or Ri and organizations in Dong or Ri units are controlled by Gun or Do. This tendency is noticeable in Hamgyeongbuk-do, Pyeongannam-do and Jeollanbuk-do. The compositions of high-ranking officers in Hyangyak organizations differ from one another. Among them, positions that are not found from the traditional Hyangyak such as Councilors and Secretariesare confirmed. Also, the appointment of high-ranking officers who has the decision-making authorities on important matters and can exercise influences on the organization is related to Kwan (Government). Leading figures in Hyangyak organizations including the chief of Hyangyak can be classified into 3 types. The first type is the people who were government officials at the time like Governor of Do, Governor of Gum and Head of Myeon when Hyangyak Promotion Fund was applied. The second type is the people who served as Head of Gu, Principal, Councilor of Do, Member of Council Meeting of Myeon and Union Representative. The third type is the people who didn’t have any special career but had knowledge in Chinese classics, were well educated or were potentate with considerable asset in the town.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사림의 정치참여와 향촌자치의 이념

        최연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5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2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litical tension that existed between regalpower and Neo-Confucian scholar officials during the Choson dynasty withemphasis on the ideology of local autonomy embedded in the CommunityCompact. The archetypes of the Choson style Community Compact are foundin the Community Compact of LFamily and Master Chu Revision of theLFamily Community Compact.But the architects of the Choson dynasty hadput emphasis on maintaining a stable powerful central government and werenot positive toward introducing the Neo-Confucian political doctrine of ChuHsi. To this regard, the diffusion and development of the Choson styleCommunity Compact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theoretical maturity ofNeo-Confucianism and the growing political influence of Neo-Confucianscholar officials.The spread of Hyangyak was first discussed in Choson under the reign ofKing Chungjong. However the Hyangyak Movement of that period waspushed ahead too radically to the extent that its leader Cho Kwangjo becameapprehensive of the dangers in the movement rapid progress. With this consideration, Yi Hwang and Yi I designed the Community Compact concentrating on methods of self regulation, provided that the local community did not exceed the dominance of the central government. Moreover Yi I explored the balance between central power of the state and autonomy of local communities by on the one hand giving local organization the authority to regulate violations of community covenants, and on the other hand putting emphasis on sacrifice and devotion to the state.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시대의 전제왕권과 사림세력 사이에 존재했던 길항관계를 향약에 내포된 향촌자치의 이념에 주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이황과 이이의 노력에 의해 완성된 이른바‘조선향약’의 원형은 북송의 여대균 형제가 창안한「여씨향약」과 그것에 대한 주희의 수정증보판인「증손여씨향약」이었다. 그러나 조선의 설계자들은 공권력의 발동에 의한 중앙집권체제의 안정을 강조했고, 주희의 정치이념을 수용하는 데도 소극적이었다. 이 점에서‘조선향약’의 보급과 발전은 성리학의 이론적 성숙 및사림세력의 정치적 성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조선에서 향약의 보급이 처음 논의되기 시작했던 것은 중종 대였다. 그러나 사림파가 추진했던 향약은 사림파의 영수 조광조가 시인할 정도로너무 급박하게 추진되었다. 따라서 이황과 이이는 관권 우위의 행정체계를 부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율적으로 향촌사회를 규율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향약을 입안했다. 특히 이이는 공동체의 규약에 대한위반행위를 자율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권한을 향약기구에 부여하면서도,동시에 국가에 대한 헌신과 봉사를 강조함으로써, 국가권력과 향촌세력사이의 균형을 모색하고자 했다.

      • KCI등재

        자치법규로서의 향악에 대한 법적 연구

        이춘구(Lee Choon Goo)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7 No.-

        전라북도 정읍의 고현향약처럼 5백40년 넘게 마을 공동체의 자치규약이 유지되고 실행되는 것을 다른 나라에서는 찾기 어려울 것이다. 조선시대 이래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미풍양속을 권장하고 도의를 실현하고자 하기 때문에 향약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본다. 향약은 향민들이 자치적으로 만든 것으로 일종의 사회법적 계약이다. 향약은 자치정신의 발로이며, 오늘날의 자치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전단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민주주의 발전의 초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된다.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향약은 구성원이 평등하게 참여하고 평등하게 의사를 결정한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시대에 아고라, 광장과 시장, 거리에서 시민이 정보를 주고받고 공동체의 주요한 사항을 결정한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향약이 실시되는 향촌은 향민이 공동의 관심사에 대해 정보를 주고받고 공동체의 의사를 결정하는 우리식의 사상의 자유시장(marketplace of ideas)으로 유추할 수 있다고 하겠다. 이 같은 유추는 우리 법제사 안에서 우리식의 민주주의의 싹을 찾기 위한 것에 다름 아니다. 향약의 가입자격이 일부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상층의 양반계층을 중심으로 제한되는 점은 봉건사회의 벽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향약 조항을 위반한 경우 위반자에게 일정한 제재를 가하도록 한 것은 향약이 단순한 민간규약에 그치지 않고 실효적 자치법규로서 기능한 점을 인정할 수 있다. 우리 민족이 유구한 역사를 통해 자연의 법, 최고의 이성법으로 삼고 지켜온 것이다. 여기서 향약의 법원성이 인정된다. 이 같은 이상도 결국 경제와 복지가 전제된다. 이에 따라 향약의 단체법, 사회법, 노동법적 특질이 표출된다 하겠다. 더불어 사는 마을 공동체를 재건하기 위해서 향약의 현대적 계승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 연구에서는 향약의 성립과 규약의 내용, 법적 성격 등을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특히 의사결정 구조와 실현과정을 사상의 자유시장적 관점에서 고찰하기로 한다. 향약은 향민의 주체적 결단에 따라 제정된 규약이라는 점에서 법원성이 인정되는 것에 주목한다. 특히 고현향약의 실시 전 과정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고, 고현향약안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는 방향 등을 제언한다. We Can not find out the similar example like Go-Hyeon Hyang-yak of Jeon-buk province which has lasted for 540 years more in the world. It is natural because Hyang-yak has tried to exercise good customs and to realize the right way in the community since Cho-seon Dynasty. Hyang-yak is a social law contract that has been legislated by the community members. It represents the spirit of self-government, and is the previous step for the realization of self-governing democracy. Especially it may be concentrated that it will be the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We can understand that it has been not the simple private contract but has worked as the effective self-governing law. Korean people has tried to keep it as the natural law and the best rational law for a long history. The ideal of Hyang-yak needs also economic prosperity and common welfare. So Hyang-yak has the characteristics of entity law, social law and labor law. It is worth while to watch that community members have taken part in the Hyang-yak equally and have made decisions equally. It is similar to the agora, marketplaces and streets in ancient Greece and Rome where citizens met with others and gave and took informations to decide the important affairs for the city. So I try to suggest that we can analogize the marketplace of ideas in Hyang-yak where community members have given and taken informations to decide the important affairs for the community. Through this we are able to search out the sprout of korean democracy in our legal history. But it has the limits of class society and Neo-Confucianism, so the lowest class of people could not enter the Hyang-yak and in part liberal ideas have not been able to bloom. I try to study the building of Hyang-yak, the contents of contracts, the legal characters etc.. Especially I try to concentrate the system of decision-making mechanism and the process of re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rketplace of ideas. At last I suggest Go-hyeon Hyang-yak to be enlis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nd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of UNESCO in future.

      • KCI등재

        투고논문 : 강릉향약(江陵鄕約)에 대한 소고(小考)

        정광무 ( Kwang Moo Chung ) 근역한문학회 200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26 No.-

        강릉향약은 嶺南 尙州 출신인 洛坡 柳厚祚가 철종6년(1855)에 강릉부사로 부임하여 재임하는 동안에 立定 實施한 향약이다. 낙파는 西厓 류성룡의 후손으로 영남에서는 보기 드문 顯職仕宦으로 이어진 명문가 출신이다. 고종 3년(1866) 정월에 우의정에 올라 淸에 使臣하고 議政府에서 近7년간 大臣으로 國政에 임한 뒤 奉朝賀로서 여생을 마친 遺德大臣으로 평가된 인물이다. 낙파는 강릉부사로서 강릉향약을 立定하면서 그 취지에서 이르기를 시대가 오래되어 습속이 많이 바뀌고 환경이 변하였기 때문에 不肖한 내가 감히 보태고 깎아 내어서 4대 綱領은 呂氏를 본 땄으며 罰條는 주자와 퇴계의 향약을 轉用하였다. 향약은 인심을 바르게 하고 풍속을 도탑게 하는 근본이니 立約하여 실시하지 않을 수 없다. 라고 하였다. 이에 본 소고에서 『朱子增損呂氏鄕約』과 퇴계의 『禮安鄕約』, 그리고 율곡의 『西原鄕約』과 비교하면서 다음과 같은 江陵鄕約의 特殊性을 살펴보았다. ① 낙파의 父親이 三朝桂坊(純祖, 翼宗, 憲宗)과 장수, 의성 고을의 수령 등 內·外 職을 거치는 동안 侍奉하면서 얻은 見聞으로 官·民間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보는 기회가 많았다. ② 낙파 본인이 尙瑞院 直長, 典設司 別提, 형조 좌랑, 정랑 등의 내직과 장수 현감, 평창 군수, 장흥 부사 등의 외직을 경력하고 강릉대도호부사가 되고서 2년 동안 善治하여 신망을 얻은 다음 立定하였기 때문에 民生苦와 수령으로서의 隘路 등을 소상히 체득하여 내용이 가장 切實하다. ③ 刑曹에서 실질적인 실무책임을 맡는 郞官을 경험했기 때문에 刑律에 밝았고 국가적인 眼目에서 立定하였다. ④ 학문과 경험이 완숙한 耳順의 경지에 들어서 立定했기 때문에 그 내용이 가장 完璧한 데도 지금까지 연구 보고되지 않았다. Gangneung Hyangyak was instituted by Nakpah Yu Whojo in 1855 (the sixth year of the reign of King Chuljong) when he served as a vice-envoy of Gangneung. Born in Sangju, Youngnam, Yu Whojo was a descendant of Yu Sungryong, whose lineage was highly distinguished in Youngnam. He was an outstanding government official and a much admired scholar. He was appointed Wueuijung (one of the three prime ministers in Chosun Dynasty) in 1197 (the six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ojong) and served as the Chosun ambassador to Qing Dynasty. Later he participated in administration as a cabinet member for about seven years and retired Bongjoha. Based on Yu Whojo`s experience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affairs and wisdom gained through his life, Gangneung Hyangyak is more practical than any other Hyangyaks; it also finds its significance in being the last model of Hyangyak in Chosun Dynasty. However, surprisingl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Gangneung Hyangyak. This study examinesit in comparison with two most influential Hyangyaks in Chosun D angneung Hyangyak and demonstrates its excellence and superiority. By so doing, this study calls for attention to an important subject that has been largely neglected and hopes to set a groundwork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1920∼30년대 일본인관학자(日本人官學者)의 조선향약(朝鮮鄕約) 연구에 대한 검토

        이광우 ( Gwang-woo Yi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6 石堂論叢 Vol.0 No.65

        鄕約은 조선시대 재지사족 주도로 운영되던 대표적인 자치 규범이었기에, 조선을 식민지화한 일제는 원활한 지방 통치를 도모하기 위해 향약을 주목하였고, 이를 보조하려는 日本人官學者들의 향약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20∼30년대 일본인 관학자 3인의 향약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들 연구는 근대적인 방법으로 향약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가치가 있으나, 식민주의적 역사인식이 반영 된 연구이기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먼저 조선총독부 관료이자 식민지 조선의 지방관이었던 도미나가 분이치[富永文一]는 민풍개선 과 사회구제에 향약이 활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咸鏡北道知事를 지내면서 직접 향약을 제정하기도 했다. 마츠다 코[松田甲]는 1930 년 조선총독부의 지방자치제도 개정에 발맞추어 향약을 연구하였다. 그는 향약을 현대적 의미로 계승한 것이 昨今의 지방자치제도라고 평 가하면서, 지역민의 협조를 강조하였다. 다카하시 도루[高橘亨]의 향 약 연구는 1931년 조선총독부의 중견청년 및 중견인물 양성정책과 관련되어 있다. 이들은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협조하기 위해 양성되었는데, 다카하시는 향약을 제정했던 栗谷이 과거 조선의 가장 이상적인 중견인물이라고 하면서, 그의 행적과 향약을 소개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일본인 관학자들은 전근대 이상적인 교화정책으로 향약을 주목 하였고, 그것의 현대적 활용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그 현대적 모색은 일제의 식민지 통치를 보조하는 것이었다. Hyang-yak was the representative autonomous norms that were administered by provincial noble family of Joseon era. When Japan colonized Joseon, it focused on Hyang-yak for the ease of controlling regions and Japanese governmental scholars assisted it and conducted studies on Hyang-yak. This paper reviewed Hyang-yak studies of three Japanese governmental scholars in the 1920s∼1930s. Their studies are historically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they dealt with Hyang-yak in a modern way bu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search period that reflects colonial historical awareness. An example of such was Dominaga Bunichi, an official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local governmental official of colonized Joseon, thought that Hyang-yak could be used for improving folkways and social relief. So while he was a governor of North Hamkyung Province, he enacted Hyang-yak himself. Matsuda Ko studied Hyang-yak along with the revision of local autonomy system in 1930. He viewed that the contemporary local autonomy system came from Hyang-yak translated in a modern way and emphasized the cooperation of local people. Takahashi Doru’s study on Hyang-yak is related to the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train leading youth and important personnel. They were educated to cooperate with the colonial policy of Japan and among them, Takahashi referred to Yulgok Yi as the most ideal leading youth of past Joseon and introduced his activities and Hyang-yak. Like this, Japanese governmental scholars focused on Hyang-yak as an ideal reform policy from premodern days and searched for ways to use it in a modern way. But the modern studies were to assist Japanese colonial ru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