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기의 해방 전 시사 인식과 담론화 양상 연구

        박민규(Park Min-kyu)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해방기는 일제강점기의 한국 근대시에 대한 현실주의와 문예주의 양쪽의 시각이 최초이자 체계적으로 정립된 시기이다. 해방기의 여러 시사적(詩史的) 논의들은 당대의 순수시 논쟁 못지않게 좌와 우의 시적 정체성을 형성, 보존, 확대재생산하기 위한 일종의 수행발화적 성격을 띠었다. 이 연구는 좌와 우의 다양했던 시사적 논의들을 구도화하고 나아가 그 시사론들의 담론화 양상과 의도를 분석하였다. 즉 좌우의 문학 단체들 각각이 ‘정치’와 ‘순수’의 시적 이념들을 어떻게 한국 근대시사라는 통시적 맥락에 안착시켰으며 이를 통해 자신들의 시적 신념을 어떻게 보다 강화해갈 수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1920년대 『백조』의 낭만주의와 신경향파 및 카프의 시들을 논한 한효와 서정주의 시각 차이를 살핌으로써 좌와 우에 의해 시도된 시사적 계보화의 작업들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해방기에 처음 발견된 소월 시의 가치를 오장환과 서정주가 어떠한 이유에서 전유하고자 했는지 분석하였다. 4장은 1930년대 정지용의 시에 대한 좌와 우의 평가를 다루었다. ‘실천’과 ‘정신’을 앞세우며 대립하던 문학가동맹과 청년문학가협회의 문인들이 1930년대 지용의 시를 비판하게 된 이유와 아울러 그 비판을 해방기의 지용에까지 연장하게 된 경위를 조명하였다. It i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that Korean modern poetry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e was first discussed and structured systematically. This study purposed to organize various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poetry by the left and right wings in those days and to analyze the discourse patterns of the discussions. Many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poetry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aimed at the formation, preservation, and expanded reproduction of the poetic identity of the left and right wings. Both the left and right wings reinforced their poetic beliefs through proving their respective poetic values ‘politics’ and ‘purity’ in the diachronic context of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In order to examine this process, Chapter Ⅱ examined the difference in view between Han Hyo and Seo Jeong?joo who discussed the Romanticism of “Baekjo (白潮)” and the poems of the New Tendency Group and KAPF in the 1920s. Chapter Ⅲ compared how Oh Jang?hwan in the left wing and Seo Jeong?joo in the right wing looked at Kim So?wol’s poems. Chapter Ⅳ analyzed why the literati of the left and right wings, who confronted each other with advocating ‘practice’ and ‘spirit,’ respectively, criticized Jeong Jiyong’s poems in the 1930s, and how the criticism was extended to Jeong Ji?yong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1930년대 한효의 문학비평 고찰

        박찬모 현대문학이론학회 200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investigation into the characteristics of Han Hyo's criticism which had deployed in latter 1930's. Existing studies on the Han Hyo's criticism were very loose and performed only in respect of its reception, even if it is studied in the context of modern literary criticisms. Properly the essential aspect has been ignored. By very reasons of these, to adjust in order his critical accomplishment which had continued to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nd to give some supplementary explanation to the historical system of Korean modern literary criticism, this study aimed at Han Hyo's criticism. To appreciate the characteristics of Han Hyo's criticism, this study borrowed some conceptions of Michel Foucault; Discourse, Other, Knowledge-Power. The strategies of Han Hyo, devised to penetrate the principles of socialist realism, are inquired out. They are 'will toward truth', 'principle of genus' and 'horizontal arrangement of objects'. Investigation into these strategies shows that as an extension of KAPF's literary criticism Han Hyo's socialist realism is a result of antithetical thought of identity which is inclined to 'theory' and 'cont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반논문 : 응향 사건의 배경과 여파

        박민규 ( Min Kyu Park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4 No.-

        해방기의 북한 문학사에서 응향 사건은 순문예주의에 대한 당의 관료적 통제와 검열 체제의 시작을 알려준 사례였다. 그것은 당파적 계급주의 문학 이외의 어떠한 문학적 경향도 용인될 수 없다는 북문예총의 이념적경직성을 대변해 보인 사건이었다. 그간의 연구는 시집 『응향』의 발간, 북문예총의 결정서, 백인준의 평문으로 대변되는 소위 ‘응향 사건’의 실체와그 의미를 규명하는 데 주로 천착해 왔다. 하지만 정작 응향 사건의 배경과 원인 및 이 사건이 훗날 북한 문단에 끼친 영향에 대해선 체계적으로 논의되지 못했다. 이 논문은 응향 사건의 ‘앞’과 ‘뒤’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우선은 응향 사건의 원인과 배경으로 주다노비즘과 건국사상총동원령뿐 아니라 북예총에서 북문예총으로 이어지면서 강화된 투쟁적 주체의 성립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응향 사건은 이 세 가지요인의 상호작용이 배경이 되어 일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응향』의 단죄는 백인준에 의해 완료됐지만, 이후에도 이 시집의 문제점은 안함광과 한효에 의해 지속적으로 재소환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응향』은고상한 리얼리즘, 고상한 애국주의, 국토완정 등 북문예총의 핵심적 문예원칙들 및 문학사 서술을 정당화하기 위한 맥락에 적극적으로 동원되어 활용되었다. The Eunghyang incident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in the period of liberation shows the incipience of the bureaucratic control and the censorship on pure literature. It was the incident representing the rigid ideology of the literary world in North Korea that no other literatures than sectional classism was allowed. Studies have identified the reality and the meaning of Eunghyang represented by the publication of Eunghyang, resolution of ‘The General North Korea Alliance of Literature (NKAL)’ and commentary of Paik In-jun. However, conventional studies could not discuss the backgrounds, causes and effects on the future of literary world in North Korea of this incident. First of all, this article attempted to make detailed review on ‘Before’ and ‘After’ the Eunghyang incident. This article focused on the enforcement of fighting subject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NKAL as well as Zdanovism and the Total Mobilization Campaign of Thought for the State Building as the cause and backgrounds of the incident. This incident happened with the interactions of those three factors. Although the convict of Eunghyang was completed by Paik In-jun, problems of this collection of poems have been recollected by Ahn Hamgwang and Han Hyo continually. During this process, Eunghyang was actively mobilized to justify core principles and descriptions in literature history of NKAL such as noble realism and noble patriotism.

      • KCI등재

        1950년대 중후반 ≪청년문학≫의 편집주체와 결절점(結節點): 1957년 11월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제2차 전원회의를 중심으로

        남원진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2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ditors and nodes of Youth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the central committee paper of Josun Author Alliance during the period of controversies about the North Josun literary world in the middle and late 1950s. During this period, the editorial board system of Youth Literature led by Park Ung-geol (editor in chief) featured the characteristics of rising writers as a literary magazine in line with the enhanced autonomy of Josun Author Alliance editorial board. It held a special position in the history of the North Josun paper that had been enjoying a certain freedom for a while at that time, and it played a role when the 2nd Josun Authors’ Conference and the 2nd Plenary Meeting of Josun Author Alliance were held. After the 2nd Josun Authors’ Conference was held in October 1956, the 2nd Plenary Meeting of Josun Author Alliance was held in November 1957 as an important node. In this meeting, the non-party activities of Han Hyo, An Ham-gwang, and Park Im who were ideologically connected to Hong Sun-cheol stigmatized as an anti-party insurgent were also disclosed. Particularly, the denunciation against Hong Sun-cheol well reflects the metastasis of signs, that is, the relentless progress of the self-replicating and self-variation of signs. In addition, the 2nd Plenary Meeting of Josun Author Alliance was held in the context of rigidity and flexibility in the interpretation of socialist realism of Josun Author Alliance. As it was connected to the ‘August Plenary Meeting Incident’ in 1956, the interpretation of socialist realism developed into focusing on the rigidity of the communist literature construction that emphasized Lenin’s principles, that is, the party’s unitary leadership. This Plenary Meeting was a sort of guide map of the party’s literature in the rigidity of socialist realism. It also became a milestone to proot the remaining bourgeois ideas and construct the communist literature while the waves were heading to a climax in the ideological conflicts to eradicate the remaining old ideas among writers and to be thoroughly equipped with the party’s ideas under its leadership. Under the editorial board system of Youth Literature led by Park Ung-geol (editor in chief), it also indicated and directed the transition to the new editorial board system of Park Tae-yeong (editor in chief) or Jeong Seo-chon (editor in chief). 이 글은 1950년대 중후반 북조선 문단의 논쟁 속에서,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의 지형도 안에서 ≪청년문학≫의 편집주체 및 굴절점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이 시기 ≪청년문학≫의 박웅걸(주필) 편집위원회 체제는 조선작가동맹 편집위원회의 자율성 증대에 따른 신진작가 중심의 문예지적 성격이 강화된 편집체제인데, 이는 한순간 자유로웠던 북조선 기관지 역사에서 특이한 위치에 놓여 있으며, 또한 제2차 조선작가대회와 조선작가동맹 제2차 전원회의의 유동하는 자리에 위치한다. 1956년 10월 제2차 조선작가대회 이후 1957년 11월 조선작가동맹 제2차 전원회의는 중요한 결절점인데, 이 회의에서 반당 종파분자로 낙인찍힌 홍순철과 사상적으로 연계된 한효나 안함광, 박임 등의 비당적 활동이 폭로되는 자리이기도 하다. 특히 홍순철에 대한 매욕은 기호의 전이 현상, 즉 기호의 끝없는 자기 증식과 변이의 과정을 거쳐 가혹하게 진행된 것도 또한 사실이다. 그리고 조선작가동맹 제2차 전원회의는 조선작가동맹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해석의 경직성과 유연성의 흐름 속에서 발생한 사건인데, 1956년 ‘8월 전원회의 사건’과 연결되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해석은 레닌적 원칙성을 강조하는 공산주의 문학 건설이라는 경직성, 또는 당의 일원적 지도체제로 치닫는 계기가 된다. 또한 이 전원회의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경직화에 따른 당 문학으로 나아가는 길의 도표인데, 작가들 속의 낡은 사상 잔재, 즉 ‘부르주아 사상 잔재를 뿌리뽑고 당의 영도와 당의 사상으로 철저히 무장하기 위한 사상 투쟁’이라는 부르주아 사상 잔재 청산과 공산주의 문학 건설이라는 ‘광풍’(?)의 정점으로 치닫는 이정표가 된다. 또한 ≪청년문학≫의 박웅걸(주필) 편집위원회 체제에서 박태영(주필)이나 정서촌(주필) 편집위원회 체제로 넘어가는 길표이기도 하다.

      • KCI등재

        식민과 해방; 두 "탑" 사이의 거리 -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본 오장환의 해방기 시-

        장만호 ( Man Ho Jang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4

        이 논문은 오장환의 해방기 시문학에 관한 연구이다. 해방 후 발간된 『病든 서울』을 중심으로 한 해방기 시편들과 필자가 새롭게 발굴한 월북 이후 오장환의 시를 통해 해방에서 월북에 이르는 오장환의 시적 이력과 정치적 행보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필자가 찾아낸 오장환의 시 「탑」과 번역시 「튀스터-氏」, 한효의 오장환 관련 평문은 해방을 맞이한 순간부터 월북에 걸친 시기의 오장환의 시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오장환은 식민지 시기의 행적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을 일회성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었고 이 점에서 오장환의 자기반성은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의 해방기 시편들은 피식민의 역사를 건너 온 한 시인의 자기반성과 머뭇거림을 당대 어느 시인보다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개아적(個我的) 진정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월북 후 오장환은 「탑」을 발표하는데 이 시는 식민지 시기 「絶頂의 노래」와 상호 참조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탑」을 통해 새로운 세계에 대한 희망과 다짐을 노래하였지만 북한 내에서 이 시는 봉건적이며 재래적인 시라는 비판을 받게 된다. 두 시의 대상인 ``탑``의 거리는 오장환 개인에게 있어 피식민의 억압으로부터 새로운 세상을 기약하고자 한 바람의 거리였지만, 해방기 시문학사로 보면 해방기 남과 북, 또는 정치와 시의 거리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h, Jang-hwan`s career as a poet and political practices from the liberation to detection to North Korea through his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in ``Byeong-deun Seoul``(Diseased Seoul)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and poems written after his detection to North Korea, newly unearthed by the author. Especially, his poem ``T`ap``(Pagoda) and translated poem ``Mister Twister`` newly unearthed and Han, Hyo`s criticism related to Oh, Jang-hwan are expected to offer new perspectives on the understanding of Oh`s poems. It seems that Oh, Jang-hwan had been thoroughly and consistently reflecting on his whereabouts in the colonial period not as a one-off thing and in this respect, we needs to shed new light on Oh`s self-reflection. His poems in the liberation period much more clearly showed self-reflection and hesitation of a poet who had passed the history of colonized nation than any other poets in that period and displayed ``individual sincerity`` based on this. After detection to North Korea, Oh wrote ``Pagoda``, which showed the cross-referential characteristics with poem ``Song of Zenith`` written in the colonial period. He expressed his hope and promise for a new world in poem ``Pagoda``, however, it was criticized as feudal and conventional in North Korea. To Oh, Jang-hwan, the distance between two ``Pagodas``, objects of poems, was the distance of his hope and promise for a new world, free from the suppression due to the colonization, but it also showed the dista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or politics and poetry in the liberatio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poetic history back then.

      • KCI등재

        부동산 유치권의 대항력 제한에 관한 법리 연구 - 대법원판결과 관련하여 -

        김태건 ( Kim¸ Taegeon ),오세준 ( Oh¸ Saejoon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일감부동산법학 Vol.- No.23

        유치권은 점유를 상실하면 유치권도 바로 소멸하므로 목적물의 점유를 침탈당하면 점유권에 의한 물권적 청구권만 인정되고 본권에 의한 물권적 청구권은 인정되지 않으며, 점유 상실시 물상대위성과 추급력도 인정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치권은 누구에게도 대항할 수 있고 전면적 인수주의가 적용됨으로써 사실적 우선변제권이 인정될 뿐만 아니라 유치권의 오남용 등의 문제점 또한 적지 않고 이에 관한 학설 또한 분분하다. 그러나 유치권의 본질과 오남용은 존재의 평면을 달리하는 서로 다른 문제이기 때문에 유치권을 폐지하는 것보다는 본질을 살리고 오남용을 줄이기 위하여 유치권의 성립과 효력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유치권의 대항력 제한은 경매절차에서 다른 권리와의 관계 및 최근 대법원 판례의 혼돈과 관련하여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문제는 유치권의 대항력을 제한하는 근거 또는 법리인데, 결론부터 언급하면 절차법상(압류·가압류·체납처분압류의 경우)으로는 처분금지효(대항력제한효)가, 실체법상으로는 신의칙(민법 제2조)이 법리상 타당하다고 본다. 한편 대법원은 2005다22688 이전(以前)의 판결과 저당권과 유치권의 충돌에 관한 2008다70763 판결에서는 유치권의 본질론에 입각하여 유치권의 대항력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2005다22688판결(압류 후 유치권 성립)에서는 처분금지효론으로, 2009다19246 판결(가압류 후 유치권 성립)에서는 처분금지효론과 절차적 안정성론으로, 2009다60336 전원합의체 판결(체납처분압류 후 유치권 성립)에서는 다시 집행절차의 법적 안정성론으로, 최근에는 신의칙 위반론(2011 다84298 판결)까지 매우 혼란스러운 판결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대법원의 오락가락한 판결은 ‘사실적 처분행위’를 처분금지효의 처분으로 보지 않으려는 논리적 귀결로서 가압류는 잠정처분이라는 이유로, 체납처분압류는 공매절차와의 필연적 연계성이 없다는 이유로 애석하게도 절차적 안정성이라는 일반적·추상적인 우회법리를 내세워 유치권에 대한 대항력을 부정하였다. 종래의 통설ㆍ판례가 유치권의 대항력 제한 문제에서 혼란을 일으켰던 것은 ‘처분행위의 도그마’에 갇혀서 ‘대항’의 문제를 ‘처분’의 문제로 봄으로써 처분금지효론의 처분에는 ‘법률적 처분행위만’ 해당한다는 생각과 오해에서 벗어나지 못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고, 대법원의 법리 혼란도 학설의 영향을 받아 애초의 처분금지효의 처분행위에 대한 잘못된 해석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결국 대항의 문제를 처분으로 봄으로 인하여 생긴 논쟁은 ‘처분’을 ‘대항’으로의 인식 전환을 함으로써 종식될 수 있고, ‘대항력제한효론’에 의하면 처분행위에 대한 더 이상의 논쟁은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향후 2009다19246 판결(가압류 후 유치권 성립), 2009다60336 전원합의체 판결(체납처분압류 후 유치권 성립)도 2005다22688 판결(압류 후 유치권 성립)과 동일한 법리인 ‘처분금지효론’으로 회귀함이 타당하며(사견으로는 ‘처분금지효론’은 용어상ㆍ내용상 문제가 있으므로 ‘대항력제한효론’이 용어상 옳다고 본다), 2009다60336 전원합의체 판결의 반대 견해가 취한 ‘처분금지효론’은 용어상ㆍ내용상 문제가 있으므로 ‘대항력제한효론’에 입각함이 옳다. 결국 향후 유치권의 대항력 제한에 관하여 적용되어야 할 근거 법리는 처분금지효론(사견에 의하면 대항력제한효론)과 신의 칙론이라고 생각한다. In relation to the limiting the opposing power of real estate liens, the Supreme Court recognized the opposition of the opposing power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opposing power in the 2008 170763 ruling on the conflict between the opposing power and the ruling of the previous ruling of 2005. However, in the 2005da22688 ruling (the establishment of lien after seizure), the first landmark ruling to limit the opposition of lien by imposing the ban on disposal was made, sparking controversy about lien. The debate between academic and industrial field was hot over the factual disposition of the transfer of possession to the disposition of the prohibition of disposition, and the Supreme Court, unlike the seizure, is a logical consequence of not looking at the factual disposition as the disposition of the prohibition of disposition. It denied the opposition to lien by introducing the general and abstract bypass law of procedural stability.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conventional wisdom caused confusion in the issue of the restriction of the opposing force of the lien because it was confined to the dogma of the disposition act and did not escape from the idea that the disposition of the disposition prohibition act was only a legal disposition act and misunderstanding. In the end, the futile argument caused by a disposition of the problem of the opposition can be ended by converting the ‘disposition’ into ‘countermeasures’, and according to the anti-force restriction theory, no further debate on the disposition act is required. Furthermore, the 2009 da19246 ruling (preemption) and the 2009 da60336 ruling (preemption of delinquent disposition) are valid to return to the same legal principle as the 2005 da22688 ruling (exemption), and the new ruling after the return and the opposition to the 2009 da60336 all-agreement ruling are valid. I think it is right to judge based on the ‘restriction of counter-force’ as in the new interpretation theory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e legal principle that will be applied to the restriction of the counter-force of lien in the future is right to be right based on the ‘no-disposition’ (the ‘anti-force restriction’ according to the opinion) and principle of good faith. Finally, the ruling can only gain trust from the people when it governs the dispute with the general and abstract principle of legal stability of the enforcement procedure 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operation, and the clear legal principle of ‘restriction of counter-force’ based on the provisions of the actual law or at least the rational interpretation theory based on the actual law. The solution of special problems, not the daily life of human history, is not solved by retreating to the periphery, but it is only possible and objective trust when entering the center and observing and discussing things from there. Writes in anticipation of the Supreme Court’s Copernican prelude.

      • 가족체계 변화에 따른 효 생성 에너지에 관한 고찰

        이선희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2013 인권복지연구 Vol.- No.13

        전통적 가족체계에 나타난 효는 부모에게 복종하고 부모를 공경해야한다는 주종관계의 윤리적 특징이 강하다. 이러한 상명하복적인 질서가 유지되도록 환경의 억제력이 강하게 작용하였지만 현대사회는 자유, 평등, 개인의 삶을 존중하는 사회 변화로 인해 효는 부모와 자식 간 갈등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적 가족체계를 분석하여 효 윤리를 배양하는 요소를 찾고 현대사회의 가족체계에서 효 윤리를 고양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전통적 가족체계에 있어서 부자관계 외에 부부관계도 가부장적 권위주의에 기초한 불평등한 관계이며 형제관계 또한 장유유서의 질서가 분명하여 장남을 우선시하는 윤리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현대사회로 오면서 부모와 자녀 관계는 부모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한 자녀에게 오히려 배워야하므로 부모의 권위는 약화되고 있다. 부부관계도 여성의 사회적 지위 상승으로 여성의 희생만 강요하지 않게 되었다. 형제관계 장남 중심의 위계질서보다 친구, 동반자 관계로 장남의 권위는 찾아볼 수 없다. 전통적 가족관계에서 여성, 장남의 희생적 요소가 효를 생성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현대사회에서 효의 열쇠는 부모에게 있다. 부모 자녀 간 쌍무적 인격존중의 관계를 유지해야하며 형제간 유대감은 부모에게 효를 하는 원동력이 되므로 부모는 화목한 가족 분위기를 만들어 효를 배양하는 토양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Filiality in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is strongly characterized by its emphasis on children to obey and respect their parents. Environment of order-obedience patter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ad been strongly maintained, but in modern society by long since differed view in freedom, equality and individualism, filiality is becoming causes of conflicts between the parents and the s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and find factors to cultivate and enhance Hyo-ethics in family system of our modern society. First of all, not only parents-children but also husband-wife relationship is unequal relationship which bases its root on patriarchal authoritarianism. Elder and younger brothers' relationship is also clear to its up-down order. It is the ethical aspect that the first born son always comes first. But, parents' authority has weakened as modern society requires parents to hold newly enforced status to learn innovative knowledge from their younglings in a tumultuous stream of era.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also moderated to not compel wife-side sacrifice as women's social status improved. Authority of the first son can not be found anymore in brother-sister's relationship, rather it now resembles friendship or partnership. In the traditional family relationship, sacrifice of women and firstborn was the power and energy to maintain Hyo. The key of Hyo now remains in the palms of parents. Mutual respec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timate brothership are the motivation of Hyo. Thus parents should try to make family atmosphere peaceful and sweet, the very good soil to cultivate Hy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