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 사용, 그리고 지시

        김보현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7 No.-

        기술적 지시론은 화자가 이름을 사용하여 대상을 지시하는 것은 대상이 유일무이한 특 성을 지니고 있으며 화자는 그것을 알고 한정기술구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에 반하여, 인과 역사적 지시론은 화자는 이름을 고리에서 고리로 전달하는 언어공동 체의 일원이기 때문에, 이름사용자들 사이에 형성되어 대상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소통 사슬의 도움을 받아 대상을 지시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어린애가 태어나서 그의 부 모가 그에게 이름을 지어주고 친지들에게 그에 관하여 말하면, 사람들은 그를 그 이름으로 부른다. 그 이름은 다양한 소통수단을 통해 마치 사슬처럼 고리에서 고리로 퍼져 나간다. 인과 역사적 지시론자들은 기술적 지시론이, 지시체에 대해 잘못 알고 있거나 또는 거 의 모르는 사람도 그것을 지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그들의 지시론이 기술적 지시론보다 더 나은 지시상(指示 像)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즉, 그들의 지시론에서는 이름을 그 임자에게 연결하는 끈이 화자의 바른 지식이 아니라 사용된 이름들 사이의 고리사슬이고 그 결과 그 이론은 지시를 지식에서 해방시키고 위의 사실을 올바로 평가한다는 것이다. 인과 역사적 지시론에서는 이름은 이전의 이름에서 지시를 빌려오고 따라서 화자의 믿 음(지식)에 들어맞는 대상이 지시체가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지식이 필요 없다고 주장된다. 그러나 나는 그런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명명식에 참석한 사람들은 지시체에 관해 소위 대면지라는 것을 지니고 있다. 이들이 처음으로 사용하는 이름들은 지시를 빌려 올 이전 이름이 없고 따라서 지시체에 들어맞음으로써 지시체를 식별하게 하는 화자의 지 식(한정기술구)이 필요하다. 나는 이런 점에서 인과 역사적 지시론이, 최소한 부분적으로 는 기술이론의 반복이라고 본다. 그뿐 아니라, 명명식에서 최초 이름 사용자가 대상을 오인 함으로써 인과사슬 위에 있는 이름들이 모두 지시체를 지시하지 못 할 위험 또한 지적한다. The description theory of reference says a speaker can refer to an object by its name because the object uniquely possesses its properties which the speaker is to know and mention in the definite description. Compared to that, the causal-historical theory of reference asserts that a speaker can refer to an object with the help of a chain of communication going back to the object which has been established among the users of the name, for he is a member of a community which passed the name on from link to link. For example, when a baby is born and his parents give him a name and talk about him to their friends, people call him by that name. Through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the name is spread from link to link as if it were a chain. Causal-historical Theorists criticize the description theory for not doing justice to the fact that even a speaker with false knowledge or without any knowledge of the referent can refer to it. They claim that the causalhistorical theory presents a better picture of the reference than the description theory, because for the former, the bond connecting the name to it's bearer is not the speaker's true knowledge, but the causal link among the used names; with the result that it liberates reference from knowledge and deals with the above fact correctly. The causal-historical theory is claimed not to need any true knowledge about the referent because a name borrows reference from its previous name lest the referent should be the object of which the beliefs (knowledge) are true. But I do not agree to this claim. The persons who were present at the naming ceremony have the so called knowledge by acquaintance about the referent. The names used first by those people have no previous name to borrow reference from and require a backing of the speaker s descriptions (knowledge) identifying the referent by its fitting them. In this respect I argue that the causal theory is at least partially a repetition of the description theory. In addition to that, I pointed out the danger that all the names on the causal link of the used names come to fail to refer to the referent owing to misidentification by the first speaker at the naming ceremony.

      • KCI등재

        ‘우리 마누라’와 험티덤티 문제

        최성호(Choi Sungho) 한국분석철학회 2016 철학적 분석 Vol.0 No.36

        일부일처제가 비교적 엄격한 혼인제도로 자리잡은 한국사회에서 복수 일인칭 대명사를 포함하는 ‘우리 마누라’라는 한국어 표현이 폭넓게 사용된다는 사실은 상당히 흥미로운 언어현상임이 분명하다. 어떻게 한국어를 사용하는 유부남들이 ‘우리 마누라’를 사용하여 자신의 부인을 가리킬 수 있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이 요구된다 하겠다. 정대현은 최근 한정기술구에 대한 도널렌의 속성적/지칭적 용법의 구분을 통하여 그러한 설명을 시도하지만, 그것은 곧 강진호의 반대논변에 직면한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논문은 ‘우리 마누라’에 대한 정대현의 설명, 그리고 그에 대한 강진호의 반대 논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필자는 정대현에 대한 강진호의 반대논변이 충분히 견고하지 못하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우리 마누라’에 대한 정대현의 설명이 틀렸다는 강진호의 생각에 동의하고, 이에 정대현에 대한 한층 견고한 반대논변을 제시할 것이다. Monogamy has been a strict social norm for Koreans for centuries. Curiously enough, however, the expression, ‘Uri manura’, whose wordfor-word English translation is ‘Our wife’, has wide currency among Korean speakers. How is it possible that a Korean-speaking husband can refer to his wife by using ‘Uri manura’? This cries out for a systematic theoretical explanation, semantic and/or pragmatic. Professor Daehyun Chung gives a shot at such an explanation by relying on Donnellan’s famous distinction between the referential/attributive uses of definite descriptions. But this has come in for Professor Jinho Kang’s severe criticism. Against this backdrop,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bring under scrutiny Chung’s explanation of how ‘Uri manura’ works and Kang’s criticism of it. Keeping this in mind, I will first find faults with Kang’s criticism and pronounce that it doesn’t hold water. But this doesn’t mean that I find Chung’s explanation agreeable. On the contrary, I will present what I take to be decisive criticisms of it, which is hoped to demonstrate, once and for all, that Chung’s explanation is a mistake.

      • KCI등재

        ‘우리 마누라’의 의미

        강진호(Jinho Kang) 한국분석철학회 2010 철학적 분석 Vol.0 No.21

        정대현 교수는 2009년 《철학적 분석》 겨울호에 실린 논문에서 우리말 표현 ‘우리 마누라’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해 매우 흥미있는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나는 본 논문에서 그의 분석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적 분석을 발전시킨다. 나는 먼저 ‘우리 마누라’의 기본적 사용법이 정 교수의 주장과 달리 지칭적 사용이 아니라 속성적 사용임을 논증한다. 이어서 나는 표현 ‘우리 마누라’가 속성적으로 사용될 때 정확히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이 표현을 이루고 있는 두 단어 ‘우리’와 ‘마누라’, 그리고 두 단어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나는 ‘우리 마누라’가 〈화자 가족의 구성원인 화자의 아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제안한다. 나는 이러한 분석이 왜 정 교수의 분석보다 더 만족스러운지 설명한다. In an article recently published in this journal (Winter 2009), Daihyun Chung provides a highly interesting analysis of how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Korean expression 'uri manura[our wife]'. I discuss its main problem and develop an alternative analysis. I first argue that, pace Chung, the basic use of 'uri manura' must be an attributive use rather than a referential one. I then consider exactly how we sh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uri manura' in its attributive use. Based on my investigations of the meanings of two words 'uri' and 'manure', as well as of the relation between them, I suggest that 'uri manura' means speaker's wife who is one of the speaker's family members. I explain why this analysis is superior to Chung's.

      • KCI등재

        “우리 마누라”의 사용 - 강진호와 최성호의 속성론

        정대현 한국분석철학회 2017 철학적 분석 Vol.0 No.38

        The Korean expression of “uri manura” (transliterated into English as “our wife”) is an ordinary idiom as Korean official dictionaries attest. Yet some Koreans question its propriety. I tried to shed a light on the question by analyzing the expression in such a way that it is used “referentially”. Recently, Professors Jinho Kang and Sungho Choi respectively offered an alternative solution by claiming that the idiom is used “attributively”. I am ready to admit that their interpretations make the expression richer and more attractive but I presume that their program does not satisfy a counterfactual criterion which any expression is supposed to meet. I conclude that their proposal needs an expansion or a correction. 한국어에서 “우리 마누라”라는 어귀는 국어사전들이 기록하는 것처럼 일상적 표현이다. 그런데도 “우리 마누라, 이거 틀린 말 아닌가요?”라는 의문이 많은 사람들에게 없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의문에 대해 필자는 이 표현은 “지칭적으로” 사용된다고 하여 표현의 문법성을 논의했다. 그러나 강진호 교수와 최성호 교수는 최근에 이 표현이 “속성적으로” 사용된다고 하여 필자의 제안에 대해 흥미 있는 대안적 문법을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속성적 해석이 이 표현의 풍성함을 높여주지만 한 가지 반사실적 표준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점을 논의하여 확장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유명 의미의 지시와 내포

        박재연 한국어의미학회 2012 한국어 의미학 Vol.37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property of the proper names. First, I examine the criterion that the proper names are the names which have unique referents. It must be revised because proper names can have plural or uncountable referents. I suggest that the referents of proper names are not unique but homogeneous. Second, I examine deictic property of proper names. I insi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roper name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pronouns and rather similar to those of common nouns. Third, I investigate the connotational meaning of proper names. Proper names have semantic duplicity of motivational meaning and real encyclopedic meaning. Motivational meanings are divided into three kinds: identificational, descriptive, desirable. Even though proper names can not be interpreted into other languages in general, some proper names can be translated. This is also an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motivational meaning.

      • KCI등재

        "시적인 것"의 실재론이라는 스캔들 -황지우 시론 연구 (1)-

        정한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사이 Vol.5 No.-

        필자는 이 논문에서 황지우의 주요 시론을 대표하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호」와 「시적인 것은 실제로 있다」를 이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두 편의 글 사이에 보이는 `시적인 것`의 존재론적 지위의 차이와 그 맥락을 논구하였다. 「신호」에서 황지우는 `의사소통으로서의 문학`이라는 연역적 대전제로부터 `시적인 것`이 간주관적인 제도와 성층에 위치하고 있음을 추론해내는데, 3년 후 보다 학술적인 형식의 발표문인 「시적인 것」에서는 칼 포퍼의 상식적 실재론을 적용하여 `시적인 것`의 객관적 실재론을 주장하게 된다. 필자는 황지우가 전편에서 부정하고 있었던 포퍼류의 객관주의를 받아들인 것은 그 자신의 검열기제와 방어기제로서 동시에 작용하고 있었던 환원주의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그럼으로써 그가 `시적인 것`의 실체를 증명하지 않고도 그 자율성과 척도, 객관성과 진화 가능성을 보증할 수 있게 되었음을 논리적 맥락을 추적함으로써 밝혔다. 황지우는 포퍼의 객관적 실재론의 논구를 뒷받침하는 `세 개의 세계`론과 반증 가능성의 논리를 시론에 도입함으로써 문학에 관한 질문을 세계에 대한 질문이라는 메타 질문으로 받아들이고 문학에 있어서의 입장이 보다 근본적으로는 세계에 대한 입장으로부터 비롯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이는 문학사적인 시각에서 보건대, 이는 1980년대의 리얼리즘/모더니즘이라는 양 진영의 문학 논의를 실재론이라는 존재론적·인식론적 입장으로 포괄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대담하고 중대한 사고실험의 결과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