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 : 황진이 시조 <니언지 >를 중심으로

        임주탁(Yim Ju ta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는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에 대한 면밀한 검토 결과를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방향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가 가장 많은 작품 가운데 하나인 황진이 시조 를 통해 한국 고시가에 대한 번역 유형별 번역의 양상을 살피고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고시가 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을 추론해 본 것이다. 번역된 텍스트는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이해하고 감상하기에 충분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번역 대상 텍스트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얼마만큼 충실하게 번역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은 원전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정확하게 번역하였다. 그에 비해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한어 번역은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원전과 전혀 달랐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위의 「소악부」에 포함된 한어 번역의 원전을 번역자가 잘못 비정하고, 원전과 한어 번역이 공통으로 함축한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데서 생겨났다. 그런데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원전 비정과 한어 번역의 결과는 이후 에 대한 해석과 번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가 연가(love song)라는 해석이 지금까지도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조선 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국어 번역에서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과 흡사하게 시적 상황이나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사뭇 다르게 번역되고 있는 데서 그러한 사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 원전 또는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와 같이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전혀 달랐다. 따라서 원전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과 같은 번역 수준을 보여 주는 원전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외국어 번역이 기본적으로 원전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을 바탕으로 하게 마련이라는 점에서 외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은 결국 원전 또는 조선시대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이 거듭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한국 고시가의 번역에 다음 사항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즉, 원전 비평(textual criticism)이 충분히 이루어진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는 점, 번역 대상 텍스트와 번역된 텍스트 모두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분명해야 한다는 점, 현대 한국어 번역이 원전의 창작 상황에 부합하는 해석과 성공적인 외국어 번역에 관건이 된다는 점,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번역된 텍스트에서 파악하는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재료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원전 혹은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 파악하는 것과 동일한지가 번역 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점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what is problematic, important, and needed now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into other target languages which contain modern foreign language, modern Korean language and old Chinese language, through comparing translated texts with their source language texts. So it deals those issues with all the renderings of a Hwang Jini's Sijo work, Have I ever, the renderings can be classified by most types of translation.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1) by three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Korea, do not have any problem because all of them had bilingual competence and could grasp the very inner context (poetic and linguistic context) and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OT-1). 2.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2) by one or two intellectu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 have a little serious problems. The translaters did not have bilingual competence so sufficient to grasp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only the original texts (OT-1, OT-2) but the old Chinese translation by a former intellectual, Shin Wi. In fact, OT-2 is different from OT-1, but it seemed to be the very OT of Shin Wi's rendering version of which OT was not OT-2 but OT-2. In spite of it,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ei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OT-2 have had an nation-wide authority as the very one of OT-1 over their modern subordinates after their times. 3. We are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he two, the original (OT-1) and the translated text (TT1-1). However, research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have not translated TT1-1 into modern Korean language entirely, or mistranslated it, it is, I think, related to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comprehend the same inner context of meaning of the two like former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period, intellectuals who selected OT-2 as OT of the rendering by Shin Wi. 4. All the translated texts into foreign language (TT5) have the same problems as their source language texts which were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y Korean translaters, writers, or researchers (TT2). While meeting renderings of TT5, we are not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s in which all the texts have their own unity of meaning as ones of the original lingual texts (OT-1). These results implies several meaningful things as follows; 1. Textual criticism about Korean classical poems has not been sufficient for us to translate them into foreign languages. 2. We need to translate all the texts, OT and TTs,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efore studying all the renderings of them. It will let us to know whether all the texts and renderings can be acceptable not only to us but also to foreigners. 3. While evaluating if every TT is successful, we have to check if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T is the same one of its OT or source text because the primary goal of translation is to make readers whose mother tongue is the same one as the target language.

      • KCI등재

        근현대 중국어 신조어에 반영된 서양 지식의 사회화 ― 『근현대한어신사사원사전(近現代漢語新詞詞源詞典)』을 중심으로

        량야오중 한국중문학회 2018 中國文學硏究 Vol.0 No.73

        본고는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중기에 이르는 시기에 형성된 근현대 중국어 신조어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시기 신조어에 대해 홍콩 중국어문학회는 2001년에 『近現代漢語新詞詞源詞典』을 편찬하였다. 『詞典』에 수록된 5275개의 근현대 중국어 신조어는 청말민초(淸末民初) 시기 중국어 어휘의 형성과 서양 지식 개념의 도입 상황을 사실적으로 반영하였다. 본문은 『詞典』 중 신조어의 형성 방식과 지식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근대 서양 지식 개념이 신조어 형식으로 중국에 도입되는 경로와 사회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서양 지식이 중국에서 사회화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탐구하였다. 근현대 중국어 신조어에 나타난 서양 지식 개념이 중국의 사회화에 반영된 현상을 분석하면서,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중국 근대 시기의 번역활동은 서양 지식 개념이 도입되는 중요한 경로였고, 또한 서양 지식을 중국 사회화에 수용 시키는 중요한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신조어는 두 가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중국 근대 시기에 서양 지식 각 분야의 개념을 도입하고 확립하였는데, 이는 서양 지식이 중국 사회화에 도입된 첫 걸음이었다. 둘째, 신조어가 포괄하는 지식 영역은 광범위하여, 사회의 모든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의 각 층면에 흡수되어, 사회 구성원 각 계층의 사람들이 폭넓게 서양 지식 개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지식 사회화의 정도를 심화시켰다. 상술한 두 가지 역할 중, 첫 번째 역할은 음역과 의역의 번역 방식을 통하여 중국 어휘 시스템에 서양 지식 개념이 도입되고 실현된 것이다. 『近現代漢語新詞詞源詞典』의 신조어 형성 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신조어의 주요 번역이 서양 외래어에서 유래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역할은 신조어의 수용 범위와 도입된 시기에 따라 사회상을 반영하는 형식으로 구현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近現代漢語新詞詞源詞典』에 수록된 신조어가 포함하는 지식 영역 및 현대 중국어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근현대 중국어 신조어의 예로부터 알 수 있다. 공시적 측면에서 보면, 근현대시기에 형성된 중국어 신조어가 반영하고 있는 지식 영역이 매우 광범위하고, 통시적 층면에서는 이러한 근현대 중국어 신조어가 시대의 발전을 지나 현대 중국어에서도 여전히 사용되면서, 중국 현대 사회 각 분야의 지식 개념을 반영하는 주요 어휘로 활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근현대 중국어 신조어에 반영된 서양지식 개념이, 중국의 사회화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을 알 수 있다. 본고의 분석 결과에 제시된 바와 같이, 근현대 중국어 신조어는 중국 근대 각 분야의 지식 개념과 시스템이 점차 확립되는 과정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화 과정을 통하여 현대 사회에까지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從鴉片戰爭到五四運動前後的100年間,西方的人文科學、自然科學名詞術語大量傳入中國,使得漢語詞彙得到了極大的發展,產生了很多新詞。本文將近現代漢語新詞的研究範圍限定於十九世紀初至二十世紀中期,以香港中國語文學會編撰的近現代漢語新詞詞源詞典中收錄的5275條新詞爲考察對象,分析這些漢語新詞的產生方式和所屬知識領域,從而探究近現代漢語新詞中反映的西方知識概念在中國的社會化過程。並得到了如下結論: 1.中國近代時期的翻譯活動是引入西方知識概念的重要途徑, 也是推動西方知識在中國社會化的重要力量。可以說這一過程中新詞發揮了兩項重要作用:(1)在中國近代引入並確立了西方知識中的各項概念,這是西方知識在中國社會化的第一步。(2)新詞涵蓋的知識領域廣泛,在社會中從上至下廣泛流傳,滲透進社會的各個層面,使各階層的人民都接受到西方知識概念,加深了知識社會化的程度。 2.上述兩個作用中, 第一項作用是通過音譯和意譯兩種翻譯方式在漢語詞彙系統中引入了西方知識概念而實現。通過對近現代漢語新詞詞源詞典中新詞產生方式進行分析,可以發現新詞主要翻譯自西方外來詞。而翻譯的方式又分爲音譯和意譯。由此產生的音譯詞是通過用漢字標注外來詞的發音,在漢語詞彙系統中直接引入西方知識概念而產生的新詞;而意譯詞則是利用漢字自身代表的知識概念再組合產生新詞來引入西方知識。 3.第二項作用是通過新詞的傳播範圍和流傳時間而實現的。在通過對近現代漢語新詞詞源詞典收錄新詞涵蓋的知識領域及在現代漢語中仍在使用的近現代漢語新詞比例可以看出,在共時層面,中國近現代時期產生的漢語新詞涵蓋的知識領域十分廣泛,传播的受众范围包括所有社会阶层,因此新词代表的西方知识概念在中国社会化的程度较广;在曆時層面,這些近現代漢語新詞經過時代的發展仍在現 代漢語中大量使用,成爲表述中國現代社會各領域知識概念的主要詞彙。由此可以看出由近現代漢語新詞表達的西方知識概念在中國的社會化程度非常深。 通過這兩個作用,中國近代的各項知識概念和知識系統逐漸確立並延續至今。

      • KCI등재

        <박통사> 언해류에 나타난 물음말 연구

        장숙영 ( Suk Young Jang ) 겨레어문학회 2012 겨레어문학 Vol.48 No.-

        이 연구는 <박통사> 언해류에 나타난 한어 물음말이 국어로 번역되는 양상을 밝히고, 이것을 바탕으로 물음말을 분류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문헌자료는 한어 원문에 한어 음을 달아 놓고 각 구절을 국어로 번역한 책이다. 한 책에 한어와 국어가 같이 있으므로 두 나라의 물음말을 비교하여 연구할 수 있는 문헌 자료이다. 이 연구는 원대 한어 물음말이 국어로 번역될 때 두 나라의 물음말이 어떠한 양상으로 번역되었는지를 밝히고, 그것을 바탕으로 국어 물음말을 묻는 내용과 대상에 따라 분류하였다. 번역 양상은 한어 물음말과 국어가 1:1로 대응되어 번역되는 유형과, 1:다(多)로 번역되는 유형으로 분류하여 목록을 만들었다. 이 목록으로 묻는 내용과 대상에 따라 물음말을 분류하였다. 그 분류는 ``사람 물음말``, ``공간 물음말``, 장소 물음말``, ``시간, 때 물음말``, ``수량, 정도 물음말``, ``이유, 방법, 상태 물음말``, ``사물 물음말``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ranslation patterns from Chinese wh-words into Middle Korean, which are found among all of the annotated books of Baktongsa, and then to classify wh-words found on them. Those documents have their original Chinese texts, Chinese pronunciations written in the Korean alphabet and their Korean translation. Due to this fact, we can find both of Korean and Chinese wh-words on the very ducuments. This study has revealed how Chinese wh-words were translated into Middle Korean, and also classified them based upon the patterns. According to the translation patterns we have studied, Chinese wh-words were translated as the ones with only one translation and the ones with more than one translation. Wh-words are classified based upon these patterns, and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the target of question. The classifications include ``human wh-words,`` ``spacial wh-words,`` ``locative wh-words,`` ``temporal wh-words,`` ``quantity wh-words,`` ``reason, method & status wh-words`` and ``object wh-words``.

      • 한어의 수량사 번역에 대하여

        리운룡(李云?)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3 중국조선어문 Vol.244 No.-

        한어의 수량사(数量词)란 수사와 량사(量词)를 결합하여 쓴 단어로서 조선어의 수사와 단위명사에 해당된다. 하지만 한조 대역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용법에는 매우 큰 차이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한어의 수량사와 조선어의 수사, 단위명사의 발달상황도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한어의 수량사를 조선어로 옮김에 있어서 아래와 같은 몇가지 면에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우선 한어의 수사, 량사와 조선어의 수사, 단위명사간의 의미적, 론리적 관계를 정확히 리해하고 그것이 번역문에서 똑똑히 구현되게 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한어의 수사, 량사를 조선어로 옮김에 있어서 조선어의 표현습관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원문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조선어의 발달된 격조사와 어미를 신축성 있게 선택하는 한편 원문의 조건적 관계와 인과적 관계, 양보적 관계와 가설적 관계 등을 다른 관계로 전환시킴으로써 전반 문맥의 류창한 흐름을 보장하여야 한다.

      • KCI등재
      • [招請論文] 元代蒙文站赤及捕獵文書的漢語直譯與文譯

        洪金富(홍금부) 한국교통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9 동아문헌연구 Vol.- No.-

        몽골이 중국을 통치하고, 원 왕조를 건립하면서부터 중국에서 몽골어가 ‘국어’가 되고, 위구르차자(Uighur)자모와 뒤에 만든파스파(八思巴; ’Phags-pa)를 포함하여 몽골문자가 국자로 되는상황이 나타났다. 몽골어문서는 곧 몽골자모로몽골어를 표기한 관방문서인데, 여기에는황제의 성지(聖旨), 태후와 황후, 공주의 의지(懿旨), 태자나 왕들의 영지(令旨), 그리고 각급 관료나 관청에서 주고 받는 행정문서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공문은 대체로 원문은 몽골어로 작성되고, 아울러 그 당시에 흔히 ‘직역체 한어’라 부르는 어색한 억지번역체의 중국어로 번역이 함께 진행되었다. 그런데 이후 몽골어 원문은 거의 일실되었으므로 직역체 한어 문서가 1차 자료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이후 법전이나 사서의 편찬에서 이들 직역체 문서를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든 고쳐쓰기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고쳐쓰기는 대체로 문언화의 경향이 있으므로이글에서는 ‘문역(文譯:문언문으로의 번역)’이라 한다. 현존하는 모든 직역문, 그리고 그에 대응하는 문역문을 고찰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 이글에서는 《원전장(元典章)》에서 〈참적(站赤)〉과 〈포랍(捕獵)〉 부분의 직역문을 대상으로 하여 후대 문서에서 동일 기사에 대응하는 문역문을 비교한 것이다. 이를 통해 1차 사료로서 직역문의 중요성, 그리고 사서의 기록에서 생략된 문구가 가져올 수 있는 오류 가능성 등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원대나 원명교체기와 같이 직역문을 직접 접했을 사람들도 직역체 한어에 대해 잘 못 이해하였을 가능성을 볼 수 있으며, 현대 학자들이 직역체 한어 문장을 볼 때 극히 신중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The research object of this article is the Chinese scripts literal translation of the Mongolian documents in the Yuan Dynasty. The rewriting of Chinese literal translation characters, whether it is to maintain the simple modification of the literal translation style, or to translate into spoken Chinese or even Chinese classics, it may happen that the original meaning is not changed or the original intention is damaged to varying degrees. How the actual situation has never been verified by scholars. The most primitive first-hand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the most accurate and reliable. However, the Yuan Dynasty Mongolian scripts documents have been lost, and its direct translation of Chinese has become the primary research object of Yuan history. Scholars in the Yuan Dynasty or the Yuan and Ming transitional period, especially those who have contact to the literal translation, are responsible for this kind of work. For example, scholars who actually engage in or supervise the translation of Mongolian literal translation into Chinese, and then incorporate it into books, can they correctly understand the documents processed and perform accurate editing work? The most primitive surviving Chinese literal translation documents of the Yuan Dynasty, Was it still faithful to the literal translation of the Yuan dynasty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modification into Chinese classicalization, and when it was rewritten and incorporated into the History of Yuan (Yuanshi) in the early Ming Dynasty? Or have different degrees of deviation been produced? I limited my research to two aspects: post station (the so-called “站赤Jamči” by Yuan Mongolian people) and hunting. There are two reasons for this: First, the post system and falconry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by the Yuan government. The second is that the relevant information in these two areas is relatively concentrated. The material is limited to the literal translations seen in the three volumes of Statutes of the Yuan Dynasty (Yuan DianZhang). Of the 125 documents in the three volumes of Jamči and Falcon Hunting in the Yuan DianZhang, 66 contained literal translations. Only seventeen of these literal translations were later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and compiled into the History of Yuan. After comparing and researching the above literatures, I found that in the early Ming Dynasty, historian did not have a careful and cautious attitude towards the historical data resources held by them. No wonder the Qing Confucian criticized the historian for writing the History of Yuan in the early Ming Dynasty. It’s not groundless. To review the detailed differences between literal translation and text translation, you must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literal translation. The simplific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has lost important information on historical examinations, and literal translations are undoubtedly closer to the original historical data. When using “History of Yuan” to study Yuan history, we should check Yuan DianZhang, Only then can we know the true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韓國 漢字 語彙의 범위와 그 특징

        김동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3 漢字 漢文敎育 Vol.31 No.-

        This paper examine Korean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about the differences of meaning with Chinese vocabulary. To do this work, I used Korean dictionary which is called 『PyoZunKukAweDaeSaZun標準國語大詞典』 published by Korean government and Baidu internet cite. The scope of usage and application of Korean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especially in this 『PyoZunKukAweDaeSaZun標準國語大詞典』 is limited than Chinese vocabulary usage. And it is not easy for Korean people to use Korean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easily. Now, many Korean classic that i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are translated into korea language. It is the time that 『PyoZunKukAweDae SaZun標準國語大詞典』 have to adopt the Korean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which is in Korean classic as an example of usage. And then this dictionary will be more abundant to use. It also solve many difficulties for korean people to learn how to apply Korean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n Korean langage. After restriction on the use of Korean word in Chinese word after 1945, Korea still have many obstacles to use Korean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as an government official document.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PyoZunKukAweDaeSaZun標準國語大詞典』 needs more supplement explanation. And the reference of Chinese and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explanation is very helpful to find out its usage and meaning. If 『PyoZunKukAweDaeSaZun標準國語大詞典』 adopt new way, it is also possible for Korean to understand Korean classics more easily and correctly. 漢字語와 漢字 語彙는 한국어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리고 이런 漢字語와 漢字 語彙는 대부분 『표준국어대사전』에 자세한 설명이 되어있고, 또 여기에 수록된 어휘는 공인된 우리의 漢字語와 漢字 語彙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그동안 한국 한자어에 대한 위상이 많이 달라졌고 한자어에 대한 인식도 변화가 있어왔다. 특히 고전번역원에서 번역한 우리 고전은 ‘고전번역DB’를 통해 접할 수 있어 이전에는 생각할 수도 없는 양의 한자 어휘를 접할 수 있다. 대부분 한자어를 번역하여 놓았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지만 종종 한자 어휘를 그대로 노출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이해가 容易롭지 않을 때가 있다. 이 경우 일반인들은 『표준국어대사전』을 참고 하게 되는데, 이 사전을 통하여 충분한 해답을 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성경에 있는 단어로 창세기 같은 어휘를 수록하고 있고, ‘愛惜’ 같은 한자어는 『조선왕조실록』에 있는 예문까지 소개하여 수록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고전의 중요 어휘인 ‘創新’과 ‘情量’ 같은 어휘는 수록되어 있지 못하다. 또 『조선왕조실록』에 있는 ‘輪廓’의 의미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되지 않았다. 이처럼 표제어가 없거나 있어도 그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문제는 바로 이런 어휘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 져야 된다고 본다. 이를 위해 한자어와 한자 어휘의 경계도 검토되어야 한다. 한자어와 한자 어휘의 범위와 경계, 그 세밀한 의미 같은 것은 많은 학자들이 참여하여 공론을 거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구체적인 접근 방법으로는 먼저 중국의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자어 중에서 우리도 사용하고 있는 한자어를 뽑아서 비교한다. 뽑은 한자어를 한국 한자어는 『표준국어대사전』을 통하여 살펴보고, 중국 한자어는 『漢語大詞典』, 『辭海』 『現代漢語詞典』 같은 사전을 참고하여 비교 한다. 그리고 한자어의 예문은 고전번역원의 ‘고전번역DB’에 있는 예문을 사용한다.

      • KCI등재

        漢譯 불전의 외래어 수용 현상 연구 -‘梵語 유래 외래어’와 ‘英語 유래 외래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이경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7 No.-

        Language is a basic tool to exchange cultures between nations or ethnic groups. Therefore, the influx of different cultures affects the language phenomena. The influx of Indian Buddhist culture was the biggest cultural shock that ancient China had experienced. Until the end of the Ch’ing dynasty, there had not been foreign cultures comparable to Buddhist culture in China, nor had there been such foreign cultures as Buddhism that penetrated every corner of life an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lture and in-depth consciousness of people. From the linguistic point of view, the transl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was an epoch-making event to translate massive loan words for the first time in China. A number of words were loaned into Chinese from Sanskrit while the Buddhist scriptures were being translated. In modern times, making its way to reforming and opening doors, China experienced Western cultural diversity, and received massive loan words as a result. Loarnwords from English take up the largest portion. Both English and Sanskrit belong to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If traced back, their parent language is the same. The same phenomena that appeared when English received Sanskrit occurred in Chinese loan words from English. This study explores, through “Loanwords from Sanskrit” found in the Buddhist scriptures and “Loanwords form English” created in modern times, the aspects loan words took on when Chinese received them, the way they were assimilated to Chinese, and their developments. 언어는 국가간 혹은 이민족간 상호 문화교류의 기본수단이다. 따라서 異 문화의 유입은 언어현상에도 영향을 끼친다. 중국이 고대에 겪은 최대의 외래적 문화 충격은 인도불교 문화의 유입이라 할 수 있다. 불전 번역은 언어학적으로 보았을 때 중국에서 최초로 대량의 외래사를 번역한 일대 사건이었다. 불전의 번역 과정을 통해 범어에서 유래된 수많은 외래어가 중국어에 흡수되었다. 근ㆍ현대에 이르러 개혁 개방의 길을 걸으면서 중국은 서양의 문화적 다양성을 접하게 되었고 언어 또한 그 영향으로 대량의 외래어를 흡수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영어에서 유래한 외래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영어는 범어와 동일한 인도 유럽 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면 그 조상어가 같다. 때문에 중국어가 범어를 수용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 영어를 수용하면서도 유사하게 출현함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불전 속에서 찾을 수 있는 ‘범어 유래 외래어’와 근현대 시기에 만들어진 ‘영어 유래 외래어’의 비교를 통해, 중국어가 외래어를 수용할 때 외래어의 외래적인 요소가 어떠한 양상으로 존재하고 중국어에 어떻게 동화되었는지, 그 발전 양상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