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의 한미동맹과 미국의 역할 변화

        조윤영(Yun Young Cho) 한국정치학회 2004 한국정치학회보 Vol.38 No.1

        한미간 동맹의 역사는 지난 50년간 국제체제의 변화, 미국의 세계전략의 변화 및 한국의 대응전략 등으로 동맹관계의 역동적 변화를 겪고 있다. 한국전쟁의 종료와 관련된 이승만대통령과의 갈등을 시작으로 지미 카터 대통령의 주한미군 철수결정으로 인한 한미간의 미묘한 감정의 대립, 최근 북핵문제의 등장과 주한 미군의 위상문제 등은 한미간 동맹의 재검토라는 심각한 관계설정논의가 진행될 위기에 놓여있다. 하지만 이를 위한 정책의 방향 및 범위 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반과 실천적 작업이 구체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듯 하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본으로 하여 개념적 틀을 설정하기 위해 한미관계를 동맹이론으로 분석하고자한다. 하지만 한미관계의 분석을 단순히 동맹이론으로 분석하는 것은 한미관계를 역동적으로 그려내는 것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향후 예상되는 한미동맹의 재검토상황에서 그 정책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문제해결 능력과 정책적 제안을 결여 할 수 있다. 따라서 한미관계를 동맹과 동맹구조에서 발생하는 교환동맹모델, 동맹의 딜레마 등의 문제점을 분석틀로 하여 냉전기와 탈냉전기의 한미동맹의 변화와 그 변화 속에서 발생하는 한계와 갈등의 문제를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미관계의 갈등과 해결 과정을 협상의 틀과 미국의 한반도에서의 역할변화를 3자 개입의 틀로 적용 분석하고자한다. 마지막으로 한미동맹의 갈등의 한계를 보완하고 한반도의 평화구축을 위한 중재자로서의 미국과 그 가능성을 중재(mediation) 이론 틀로 분석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ifty years’ security alliance of Korea and United States and issues that both Korea and the U.S. should deal with in order to establish a more mature, constructive alliance partnership in the future. Korea and United States have experienced various ups and downs in their relationship due to following factors: the changes both in international order during the past fifty years and in global strategies of the United States, and countermeasures of Korea. Although detering war has been successfully completed there are many questions to be resolved by Korea-U..S. alliance partnership. Based on historical review,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Korea-U.S. relations with the alliance and negotiation theory in order to settle conceptual framework. Using this theoretical framework,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bilateral alliance and the problems resulting from it, and apply the changes of, as well as the problem of limit and conflict in, the Korea-U.S. alliance during and after the Cold War to the present situations. It will also analyze the changes in the role of the United States in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framework of the third party intervention. Finally, this paper will analyze the United States as a mediato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Korea-U.S. alliance and to build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 KCI우수등재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 조건 - 당파가설과 국력가설의 검증 -

        정재용(Jaeyong Jung) 한국국제정치학회 2021 國際政治論叢 Vol.61 No.4

        본 논문은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친 주요 독립변수가 정권의 성격인지, 국력 신장인지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보수정권인 박정희 정권과 진보정권인 노무현 정권을 대상으로 한 반례증명법(proof by counterexample) 사례 연구를 통해 진보정권은 한미동맹에서 자율성을 추구했지만 보수정권은 자율성을 추구하는 대신 동맹의 결속력을 중시했다는 ‘한미동맹 당파가설’을 검증한다. 박정희 정권은 자주국방과 핵 개발 정책을 통해 한미동맹에서 자율성을 추구하였으며, 노무현 정권은 이라크 파병을 통해 한미동맹에서 자율성 추구를 자제하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미국과 긴밀한 정책 협력을 유지하였다. 본 논문은 이어 정권의 성격보다는 한국의 국력 신장이 한국의 자율성 추구를 더 적합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한미동맹 국력가설’을 주장한다. ‘국력가설’의 적합성을 밝히기 위해 한국의 국력 신장과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분석틀을 제시한 뒤 이를 이승만, 노태우, 김대중, 이명박 정권 등 4개 정권의 한미동맹관계에 적용하여 검증한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국력 신장(독립변수)은 (1) 민주주의로의 이행과 엘리트 층의 교체로 인한 동맹 및 북한 위협에 대한 인식 변화, (2) 외교 관계의 다변화 및 미국 이외 국가들과의 상호의존성 증대, (3) 한국의 동맹 기여 강화와 국제관계에서 한국의 역할 증대와 같은 세 가지 경로로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종속변수)에 영향을 끼친다. This paper is to verify whether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R.O.K’s pursuit of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is the (partisan) nature of the regime or the growth of its national power. To that end, this paper conducted case studies of six regimes from the Rhee Syng-man administration which launched the alliance in 1953 to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e research shows that the R.O.K.‘s pursuit of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is more related to the R.O.K.’s national power growth than the partisan nature of the regime. First, this paper tried to test the partisan hypothesis which argues that progressive administrations sought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while conservative administrations valued the solidarity of the alliance more than the pursuit of autonomy. To that end, this paper conducted case studies for the conservativ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nd the progressive Roh Moo-hyun administration by using the proof by counter-example method. This paper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did indeed pursue an autonomy strategy within the R.O.K.-U.S. alliance through its self-reliance on national defense and nuclear weapons development policy. On the other hand, by allowing the deployment of a second round of troops to Iraq,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showed refraint in pursuing an autonomy strategy within the R.O.K.-U.S. alliance. Further policy cooperation with the U.S. can also be seen through, for example, the R.O.K.-U.S. Free Trade Agreement (FTA). By presenting examples showing the conservative government pursuing an autonomy strategy while the progressive government did not, this paper was able to logically prove that the partisan hypothesis regarding the R.O.K.-U.S. alliance is not correct. Secondly, this paper attempted to test the adequacy of the national power hypothesis regarding the R.O.K-U.S. alliance which states hat “the R.O.K’s pursuit of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is related more to the R.O.K’s national power growth rather than the partisan nature of the administration in power”. To test this argument, the paper conducted case studies of four regimes: Rhee Syng-man, Roh Tae-woo, Kim Dae-jung, and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fter establishing an analytical framework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K.’s national power growth and its pursuit of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applied to the four case studies.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national power hypothesis concerning the R.O.K-U.S. alliance is based on the logic that the R.O.K.’s national power growth (independent variable) led its pursuit of autonomy (dependent variable) in the R.O.K.-U.S. alliance through three channels. Using the aforementioned analytical framework, the case studies show that the national power hypothesis concerning the R.O.K.-U.S. alliance matches the historical facts of the alliance.

      • KCI등재

        한미동맹의 미래 비전과 목표

        구본학(KOO Bon Hak)(具本學)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4

        지난 65년간 한미동맹은 북한의 남침을 성공적으로 억제해 왔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민주화와 경제발전을 견인하는 역할을 수행했지만, 탈냉전기에 들어오면서부터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 왔다. 최근에는 한국의 진보정권 등장과 남북관계의 변화와 더불어 미국 우선주의를 추구하고 있는 트럼프 정부의 등장으로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 증대되었다. 특히, 지난 4월 판문점에서의 남북정상회담과 6월 싱가포르 미북정상회담 이후 한미동맹에 대한 도전을 더욱 심각해졌다. 문재인 정부는 조속한 전작권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트럼프대통령은 한미연합군사훈련의 중단 또는 연기를 언급하고 있다. 북한 비핵화와 대북제재 해제, 한미연합훈련의 중단 및 축소, 미래연합군사령부 및 전작권 전환, 방위비분담금 등의 이슈를 둘러싸고 한미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동맹의 이완 또는 결별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미간 굳건한 동맹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국이 지키고자 하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의 가치를 공유하고, 긴밀한 정책공조를 통해 상호 신뢰의 수준을 제고해야 하며, 일국이 일방적으로 수혜받는 관계가 아닌 상호호혜적인 동맹관계를 발전시켜야 한다. 또한, 새로운 국제질서에 적응하고 진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한적인 군사적 동맹에서 포괄적인 전략동맹으로 전환해야 하며, 한반도뿐만 아니라 아태지역 및 글로벌 차원의 동맹으로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한반도 통일과정과 통일 이후에도 한반도 및 지역 차원에서 평화와 안전을 도모하는 안정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맹으로 발전해야 한다. For the past 65 years, the ROK-US alliance has successfully deterred the outbreak of all-out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the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 Korea. The alliance, nevertheless, has faced various challeng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post-Cold War era. Moreover,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Moon in South Korea and President Trump in the US have increased uncertainty over the future of the alliance. After the Panmunjom South-North Summit in April and the Singapore US-North Korea Summit in June, the ROK-US alliance faced more serious challenges. President Moon has pursued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of the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currently possessed by a four-star general of the US Army, to an ROK four-star general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The two governments maintain different ideas and approaches on such issues as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uspension and reduction of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s, transfer of OPCON, defense burden-sharing, and so on. Scholars and specialists worry about relaxation or possible decoupling of the alliance. In these circumstances, the two governments must make strenuous efforts to maintain and develop the blood-bonded alliance. The alliance must share the values of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 increase mutual confidence through close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and develop a mutually reciprocal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two governments must exert all possible efforts to accommodate a changing international order. The ROK-US alliance, therefore, must transform itself from a Korean Peninsula military alliance to a regional comprehensive alliance. The alliance must be maintained even after unification of the peninsula as a regional stabilizer to promote peace and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the Asia-Pacific.

      • KCI등재

        한미동맹의 동맹 딜레마와 향후 한국의 한미동맹 전략

        전재성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6 국가안보와 전략 Vol.16 No.2

        This article explores various aspects of alliance dilemma of the ROK-US alliance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ty threats from North Korea, the rise of China, restraint gam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Japan-the United States trilateral cooperation. The alliance goe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security threats, and experiences changes in the degree of threats. Alliance tends to maintain itself by overcoming these dilemmas with differing degrees of coherence. Dilemmas are to be managed, but not to be fundamentally solved. States try to cope with security threats with military powers combined, but also intends to restrain the ally to maximize one’s strategical aims. The ROK-US alliance thought out long history has faced with many dilemmas. South Korea has experienced many difficulties to coordinate security policies with Washington and to go well with American rebalancing. Strategic dialogue between the two regarding the rise of China is crucial as well. South Korea needs to maintain close strategic dialogue with Washington, at the same time wisely coping with the U.S. restrains policy. Also strategic cooperation with China should not viewed as contradictory with South Korea’s alliance partnership with the United States. This article examines the outcome of different dilemmas on the past and future trajectory of the ROK-US alliance. Also it studies how South Korea’s strategy toward North Korea and China will affect the ROK-US alliance, how the United States conduct the restraint policy toward South Korea, and how the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Seoul, Tokyo, and Washington affects the alliance. 본 논문은 한미동맹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동맹 딜레마를 북한의 위협, 중국의 부상, 한미 간의 동맹 제지 게임, 그리고 한미일 삼각 협력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동맹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안보위협의 대상이 달라지기도 하고, 위협의 강도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에 따라 동맹의 목적이 재정립되기도 하고, 동맹의 응집성이 변화하기도 한다. 동맹은 다양한 딜레마를 겪으면서 유지된다. 딜레마는 용어의 의미대로 해결할 수 없는 본래적 갈등이 내재된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되기보다는 관리될 수밖에 없다. 동맹은 공동의 위협에 대한 대처라는 합의에 기반한 것이지만, 때로는 동맹 상대국을 자신의 의사대로 묶어두고 관리하기 위한 결박과 제지의 수단이기도 하다.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한미 동맹 역시 21세기 들어 많은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은 대북 강경, 혹은 관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국과의 의견 차이를 불식시키면서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대처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미 간의 전략 소통도 중요하다. 중국의 부상에 따르는 위협 혹은 기회에 대해 한미 간 전략 대화를 추구하면서 미국의 제지 전략에 대처해야 한다. 동시에 중국과의 전략 협력을 강화하면서 대중 협력이 한미동맹 강화와 반드시 배치되지 않는다는 점을 미국에 설득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이 글은 동맹을 둘러싼 다양한 딜레마들이 현재 한미동맹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고, 향후 한미 동맹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해갈지를 연구해본다. 우선 한국이 북한, 중국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방식에 따라 한미동맹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알아보고, 한미 간의 동맹 제지의 양상을 살펴본 후, 한미일 삼각 안보 협력 관계 속에서 한미동맹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 KCI등재후보

        한미군사동맹과 글로벌 파트너십의 발전

        김강녕(Kangnyeong Kim)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6 국가와 정치 Vol.22 No.-

        본 논문은 한미군사동맹과 글로벌파트너십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미관계의 전개와 군사동맹으로의 발전, 한미 포괄적 전략동맹과 글로벌 파트너십 추진현황, 한미군사동맹의 중요성과 향후 발전과제의 순서로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 본 것이다. 한미동맹은 6·25전쟁 속에서 태동했으며, 1953년 10월에 한국과 미국이 맺은 「한미상호방위조약」에 기초하고 있다. 지난 60여 년 동안 한미동맹은 끊임없는 북한의 위협과 도발 속에서도 대한민국이 자유민주주의와 경제적 번영을 달성하는 굳건한 초석이자 원동력이 되었다. 한미동맹은 한반도의 안정은 물론 아·태 지역 그리고 전 세계 안보와 번영의 초석이 되어 왔다. 한미동맹은 이제 안보협력을 넘어 정치, 경제, 문화, 인적 교류분야에서 폭넓은 협력을 바탕으로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격상되었다. 2009년 ‘한미동맹 공동비전’을 통해 한미동맹은 포괄적 동맹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한미 양국은 자유민주주의와 인권, 시장경제의 가치를 공유하며 군사, 외교, 안보, 경제, 사회, 문화를 포괄하는 호혜적 협력을 추구하기로 하였다. 한반도를 넘어 동아시아와 세계의 평화 와 번영에 기여하는 동맹으로 발전하는 데도 뜻을 같이하였다.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 국방비전’과 ‘한미 국방협력지침’, ‘한미동맹 60주년 공동선언’ 등에서 제시한 포괄적 전략동맹으로의 발전을 위해 동맹의 협력 분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가고 있다. 한미 양국의 국방관계는 안보협력을 넘어 미래를 위한 포괄적이고 전략적인 동맹으로 성장하고 있다. 양국은 「한미 상호방위조약」 원칙에 기초하여 집단적 방위 노력을 강화하고 사이버 위협, 대량살상무기 등 초국가적 안보위협에 공동으로 대처하면서 세계 평화와 안정에도 기여하고 있다. 주한미군의 안정적 주둔 여건을 보장함은 물론 한미 간 상호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도 추진하고 있다. 한미는 향후에도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신뢰에 기초하여 한미동맹을 심화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앞으로도 한미양국은 동맹의 협력분야를 지속적으로 확대함으로써 한반도는 물론 동북 아 및 세계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ROKU. S. military alliance and global partnership.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ROK-U.S. rel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military alliance, current situation of ROK-U.S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and global partner ship, Importance of ROK-U.S. military alliance and future tasks, and conclusion. The ROK-U.S. Alliance dawned during the Korean War, and it is based on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which was concluded in October 1953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or over 60 years, the ROK-U.S. Alliance has been a firm foundation and driving force for the ROK to achieve a liberal democracy and economic prosperity in the face of persistent North Korean threats and provocations. The ROK-U.S. Alliance has been the foundation for peace and prosperity not onl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n the Asia-Pacific region and the world. Today, the Alliance has been upgraded to a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that goes beyond security cooperation based on a broad range of cooperation in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personnel exchanges. The “Joint Vision for the ROK-U.S. Alliance” of 2009 was a key initiative that developed the ROK-U.S. Alliance into a comprehensive alliance. The ROK and the United States decided to pursue cooperation that incorporates military, diplomacy, security,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a mutually beneficial manner while sharing common values such as liberal democracy, human rights and a market economy. The ROK and the United States continuously expand their cooperation areas in order to develop the Alliance into a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as presented in the Joint Vision for the ROK-U.S. Alliance, Guidelines for ROK-U.S. Defense Cooperation, and the Joint Declaration in Commemoration of the 60th Anniversary of the ROK-U.S. Alliance. ROK-U.S. defense relations are developing into a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that transcends their traditional security cooperation. The ROK and the United States reinforce their collective defense endeavors and cope jointly with transnational security threats such as cyber threats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thereby contributing to world peace and stability. In addition, the two nations pursue various initiatives to not only ensure a stable stationing environment for the U.S. Forces Korea(USFK) but also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ROK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future, the ROK-U.S. Alliance should be further developed based on the trust that has continued from the past. The ROK and the United States will contribute to the peace and stability of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by continuously expanding the areas of cooperation for the Alliance.

      • KCI등재

        중국의 부상과 한미동맹의 변화: 동맹의 방기(Abandonment) - 연루(Entrapment) 모델적 시각에서

        서정경(徐正京)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1

          본고의 목적은 한국정부의 대북 편향성이라는 전제하, 중국의 부상이 한미동맹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과 한미동맹이라는 양자 관계를 제약하는 외부적 체제요인, 즉 동북아시아에 전통적으로 존재하는 계층적 질서 및 21세기 중국의 부상으로 인한 동북아 세력구조의 변화와 행위자 요인, 즉 중국과 한미동맹간 상호작용을 함께 살펴보았다. 부상하는 중국의 대미국, 한국 인식 및 전략이 어떠한지, 그리고 미국과 한국의 동맹전략이 중국에 대한 고려를 중심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본 후, 실제 한미동맹에 발생하였던 몇 가지 방기와 연루 사례들, 즉 제2차 북핵문제, MD 편입문제 및 한미동맹의 전략적 유연성 문제로 인한 동맹의 안보딜레마 현상을 중국요인과 함께 논의하였다.<BR>  분석결과, 중국은 중국위협론을 잠식시키고 미중관계의 안정을 기하기 위해 북핵문제 해결에 최대한의 협력을 제공하는 한편, 미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보다 나은 위치에 서기 위해 한국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의도 및 외교행태는 한미 양국의 동맹 인식 및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주변국 한국의 안보전략을 끌어당기는 원심력으로 작용함으로써 한미간 동맹의 방기-연루 현상을 초래ㆍ심화시키고 있다. 즉 중국의 적극적 개입 및 한중간 공조로 인한 한미간 갈등의 심화는 동맹 응집력에 일정한 영항을 주며, 한미동맹의 변화를 일정부분 추동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은 중국과의 관계 증진 및 공조를 통해 미ㆍ중간 충돌에 연루될 위험을 낮추려 하였고 전략적 공간의 확대를 기하려 하였으나 이러한 의도는 큰 성과를 얻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the shift of ROK-U.S. Alliance affected by China"s rise under the premise of Korea government"s inclination toward pro-N.K.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both external structure factors - traditional hierarchical order in northeast asia, shifts of power distribution caused by China"s rise, and internal unitary factors - interaction between China and ROK-U.S. Alliance. It mainly analyze rising China"s perception and strategy on ROK and U.S. Shifts of ROK-U,S"s alliance strategy and ROK-U.S alliance"s security dilemma cases.<BR>  Through this article we can learned that the rise of China indeed influence and motivate the shift of ROK-U.S Alliance. China provide U.S. with cooperation actively to eliminate the "china threat theory," and tries to draw ROK into it"s sphere of influence with the intention of getting more favorable position within U.S-China"s competition, so it gives rise to and deepens the ROK-U.S. alliance"s security dilemmas-entrapment and abandonment crisis. China"s active intervention to Korea peninsula issues, constructive cooperation with Korea government, and discord between ROK and U.S complicated by China"s intervention undermines the cohesion of ROK-U.S Alliance, and facilitates the shift of alliance. This article also shows us that Korean government"s intention of broadening the diplomatic space using China card doesn"t seem to obtain fruitful outcomes.

      •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

        이종섭 ( Lee Jong-sup ) 한국군사학회 2020 군사논단 Vol.100 No.1

        한미동맹은 65년의 역사를 통해 한반도에서의 전쟁을 억제하고 평화를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이는 한미 양국이 국제체제 및 국내환경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동맹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기 때문에 가능했으며, 그 노력의 중점이 시대별로 변화해 왔다. 주한미군 규모, 연합사의 기능, 방위역할 분담, 동맹에 대한 인식 등이 발전적으로 변화해 왔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범위와 수준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시점에서 동맹의 발전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4가지를 선정하였다. 동맹 본질에 대한 인식, 위협에 대한 인식, 제도적 장치, 그리고 국내 정치적 요인을 선정하여 각 요소별로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먼저, 동맹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통해 상호 신뢰와 동맹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한미 양국은 안보달성을 비롯한 직·간접적인 이익뿐만 아니라 재정적 또는 정치·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는 동맹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러한 비용을 기꺼이 지불하겠다는 의지가 필요하다. 아울러 포기와 연루의 동맹딜레마라는 또 다른 본질도 피할 수 없는 우려와 부담이며, 한미 양국은 이러한 우려와 부담을 최소화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위협(북한)에 대한 인식은 비핵화 과정에서 한미간 갈등 요소로 잠재해 있다고 봐야 하며, 향후 비핵화 협상 과정 등에서 한미간 공통된 인식이 매우 중요하며 이견 최소화를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함을 설명하였다. 한미간 효율적 제도적 장치 마련이 동맹 발전을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고, 한미간 각종 군사협의체와 전작권 전환 이후의 연합지휘체계(조직) 발전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방위비분담금의 성격 이해를 통한 방위비분담특별협정의 올바른 정착과 유엔군사령부의 위상 및 기능 발전 등을 통해 이들이 국내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기 보다는 발전요인으로 역할을 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정치적 요인으로서 반미감정의 촉발 또는 확산을 방지하는 노력을 동맹 발전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제시하였다. 반미감정의 촉발 요인은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분야에 내재해 있으며, 한미간 각종 현안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언제라도 촉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특별히 유의할 것을 강조하였다. The ROK-US alliance has been playing a key role in deterring war and maintaining peace in Korean Peninsula since 1953. This was possible due to both countries’ continuous efforts to strengthen the alliance, with the changes of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domestic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The focus of these efforts has changed along the journey fo the alliance. The scale of US forces in Korea, the function of the Combined Forces Command, the defense burden sharing, and the perception on the alliance have progressively changed and are expected to continuously advance in various scopes and levels.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advisable policy directions on four factors that are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alliance in the current stage: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ROK-US alliance, the perception on threats,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domestic political parameters. To do this, this paper examined and analyzed each factor respectively. First, this article stresses that efforts to strengthen mutual credibility and value of the alliance should be persist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alliance. ROK and the US must recognize the nature of an alliance, which generates not only direct and indirect profits but also financial, political and social costs to accomplish security, and be willing to pay these costs. Also, both countries need to understand the inherent dilemma of abandonment and entrapment in an alliance, which casts inevitable concerns and burdens, and perceive the necessity of combined efforts to minimize these concerns and burdens. This article also asserts that perception on North Korean threats should be considered as a latent conflict factor between Korea and the US in the course of denuclearization, and reaching a common understanding and efforts to minimizing disagreement are critical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for denuclearization. It also stresses the importance of efficient institutionaliz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for the enhancement of the alliance, and presents the development of various military consultative systems and Combined Forces Command structure after transfer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command as a critical factor. In addition, this article emphasizes the need for proper settlement of the Special Measures Agreemen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cost sharing, and the need for the growth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s status and role, in order to make them work as a growth factor rather than a domestic conflict factor. Lastly, effort to prevent the outbreak and spread of anti-Americanism is suggested as a critical factor in assuring the viability of alliance. Anti-Americanism is latent in unpredictably various categories, and should be attended to because it could be provoked at any time during the process of settling pending issues between ROK and the US.

      • KCI등재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실태 비교: 동맹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박휘락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5 국가안보와 전략 Vol.15 No.3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in comparison with the U.S. and Japan alliance especially in the wake of the amendment of the defense cooperation guideline between the U.S. and Japan in April 2015. This paper finds that the two alliances are almost identical in terms of hardwares of the alliance such as the treaty, the security consultative mechanism and the stationing of the U.S. forces. They have similar level of the softwares of the alliance such as common strategic goals, combined command structures and cost sharing practices, except for some differences on the quality of the softwares. South Korea and the U.S. does not have a full agreement regarding the threat preception of China contrary to the united U.S. and Japan. The strength of combined command structures in South Korea-U.S. alliance diminishes due to the South Korean demand for the transition of the operational control authority, contrary to the U.S.-Japan Alliance's recent establishment of the Alliance Coordination Mechanism. The gap between the South Korea-U.S. alliance and the U.S.-Japan alliance can be seen bigger from the U.S. perspective. The U.S. congress may demand the fundamental review of the necessity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including the withdrawal of the U.S. forces from South Korea, if a very risky situation occurs in the Korean Peninsula. If South Korea cannot select China as its ally instead of the U.S. it should strengthen the alliance with the U.S. and try to improve its relations with Japan. 본 논문은 2015년 4월 개정된 “미일방위협력지침”을 통하여 미일동맹이 크게 강화된 것을 본 후 한미동맹의 현 주소를 파악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지금까지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에 관한 비교가 적지 않았으나 대부분 변화된 상황에 대한 양 동맹의 대응방향을 비교하는 성격이 많았다. 이러한 동태적 비교는 특정 상황에서는 흥미롭지만, 동맹의 본질적인 차이를 이해하는 데는 미흡함이 있었다. 따라서 고루할 수도 있지만 경성요소와 연성요소로 구분하여 양 동맹의 구조를 본질적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은 조약, 안보협의체제, 미군주둔 등의 경성요소에서는 거의 동등하고, 공통 전략목표, 연합지휘체제, 방위비분담 등 연성요소에 해당되는 요소들도 기본적으로는 유사하다. 다만, 연성요소의 경우 공통 전략목표에 있어서 한미 간에는 중국과 관련하여 전략목표의 차이점이 노출되고 있는 반면에 일본과 미국 간에는 공통성이 더욱 커지고 있고, 연합지휘체제에 있어서 한국에서는 한미연합사 해체 논란이 장기간 지속되어 왔는데 비하여 일본은 동맹조정 메커니즘을 강조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한국이 인식하는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차이보다 미국이 인식하는 그 차이가 더욱 클 수 있다. 한미동맹의 경우 공통 전략목표나 연합작전수행태세가 점점 혼란스러워질 경우 미 의회 등에서 한미동맹에 관한 전반적 재검토나 주한미군의 감축 또는 철수를 요구할 수도 있다. 한미동맹과 한중관계가 상충되었을 경우 한국이 중국을 선택할 수 없다면, 한미동맹을 더욱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일본과의 관계도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북한의 핵위기 조성과 한미동맹의 대응

        손한별(SOHN, Hanbyeol)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5 전략연구 Vol.67 No.-

        북한이 어떻게 지난 20년간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제재와 강압외교에도 불구하고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지 않고 끌어왔는지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있다.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불안을 조성해 온 책임은 분명히 북한에 있지만, 한국이 보다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하기 원하는 시각에서는 한미동맹이 북한의 핵위협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동맹의 공동 위협인 북한의 핵무기 위협에 대하여 한ㆍ미 양국이 상이한 인식차와 정책옵션을 갖고 있으며, 위기가 고조될 때마다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왔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비대칭동맹의 상이한 핵인식과 국가선호 때문에 한미동맹이 북한의 핵위기조성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저균형” 대응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한다. 한미동맹의 북핵대응 과정에서 강경책과 온건책이 동시에, 혼합되어 나타난 것은 북한의 태도와 요구에 따라 동맹이 전략적으로 선택한 것이라기보다 비합리적인 전략결정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미동맹의 상호작용과정 또는 양국의 선호정책 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치적 결과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본 논문은 저균형정책의 결정요인으로, 국가선호의 비합일성, 상이한 위협인식, 그리고 비대칭동맹의 동맹갈등을 제시하였다. 1차 핵위기에서 현재 3차 핵위기에 이르기까지 한미동맹이 저균형 대응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탈냉전기 들어 극명하게 드러난 동맹정치, 상이한 대북인식에서 비롯된 상이한 국가선호, 국내정치의 분절로 인해 일관된 대응전략의 추진 자체가 어려워진 데서 그 원인을 찾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reactions of ROK-U.S. Alliance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threat. Many scholars have analyzed how North Korea have dragged on it’s nuclear program over the past 20 years, despite sanctions and coercive diplomac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me who want South Korea to do a more active and leading role insisted that the ROK-U.S. Alliance have not responded appropriately until now. Through the case study, this paper argues that the ROK-U.S. Alliance have brought an ”under-balancing” against the North Korea nuclear threat. That means responses of the alliance have not come from the normal balancing in accordance. It might to be a result of an irrational and political decision making process, not a rational process. There were three determinants of alliance’s under-balancing; perception of threat, solidarity of the alliance, and cohesion of the domestic politics. The reasons why the alliance responded with the under-balancing behavior are the difference of threat perception between the two allies, the weakening of the alliance solidarity, and the domestic segmental situation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70주년을 맞는 한미동맹의 현안과 미래지향적 발전방향

        박동순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안보전략연구원 2023 재향군인회 안보전략연구 Vol.10 No.-

        2023년은 동맹을 체결한 지 70주년이 되었다. 한미동맹은 북한의 남침과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상호방위조약을 기초로 한국과 미국이 체결한 동맹이다. 한국은 미군정 하에서 1948년 정부를 수립했고, 2년도 채 되지 않아 6ㆍ25전쟁을 겪었다. 유엔군 참전으로 미국과 군사적 관계를 맺은 한국은 불안전한 정전협정의 조건으로 전쟁 재발을 막기 위해 1953년 10월 1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했다. 냉전시대의 한미동맹은 군사동맹과 경제지원 위주였으나, 탈냉전을 맞으면서 다양한 분야로 확장과 체제 변화를 겪으며, 현재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먼저 한미동맹 변천과 70년을 맞는 현주소에 대해 공간사를 통해 진단해 보았다. 병행하여 한미동맹의 인식에 대해 전문 기관의 여론조사와 동맹의 당사자와 제3자 및 상대편들의 정성적 평가를 분석하였다. 한미동맹은 국제질서의 재편과 미중 패권경쟁, 북한의 핵 위협 증가 등에 따라 새로운 변화가 요구됨을 바탕으로 세 가지를 전망해 보았다. 첫째, 북핵 위협의 대응으로 ‘워싱턴선언’과 동맹의 역할이다. 둘째, 조건에 기초한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에 따른 과제 셋째, 유엔군사령부 재활성화에 대한 문제와의 복합적 연계성이다. 그리고 한미동맹의 미래지향적인 발전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연구결과 70주년을 맞이한 한미동맹은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을 지향하며, 현안인 북핵의 평화적 해결과 장차 한반도의 분단 극복을 위해 새로운 준비가 필요하다. 동맹은 한반도를 넘어 인도-태평양전략과 연계하여 역내의 평화 정착과 지구촌 번영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비대칭성을 극복하고 호혜적이고 건전한 동맹관계로 발전함으로써 새로운 한미동맹 100주년을 지향하는 지혜와 노력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