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第)7차(次) 한문과(漢文科) 개정(改定) 교육과정(敎育課程) 평가(評價) 연구(硏究) 시론(試論)

        원용석 ( Yong Seok Won )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2 No.-

        이미 改定 第7次 敎育課程이 發表되었다. 한문과 개정 교육과정은 總論에 立脚하여 改定이 이루어졌므로 敎育課程 評價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漢文科 敎育의 位相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포함되지 못하여 中學校는 敎科 裁量 活動으로, 高等學校는 敎養 科目群에 編成되어 있다. 개정의 과정은 學生/學父母 討論會와 敎科 專門家의 協議會와 討論會를 거쳤으며 교사들에게는 設問調査와 協議會 및 討論會를 가져 이 결과를 연구 개발진에서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특히 중·고등학교 교사들은 `漢字, 漢字語, 漢文을 익혀 日常生活에 活用하는 側面을 强化하는 側面으로`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개정 제7차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의 `한자·한자어·한문`이었던 內容 體系 大領域을 `漢文·漢文知識`으로 교체하였다. 이러한 제7차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學者들의 論議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안은 한문과를 `言語에 관한 敎科`로 認識하였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둘째, 內容 體系의 大領域은 `言語 習得`과 `言語 習得에 관한 知識`으로 나눈 것이므로 긍정적이다. 셋째, 한문과 교육과정을 `한문`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漢字語`는 새로운 視覺에서 接近해야 한다. 넷째, `한문`영역의 `읽기·이해`는 國語科의 `읽기`에 대한 差異를 糾明해야 한다. 다섯째, `漢文 知識`의 語彙가 `漢字`와 `文章`의 中間子的인 役割을 擔當할 수 있는 지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여섯째, 漢文을 익히는 과정에 대한 硏究를 追加하여 그 硏究 結果를 考慮하여야 할 것이다. 일곱째, 제7차 교육과정 改正案이 施行된 敎室 수업은 무엇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되어야 한다. 漢文科 敎育課程 開發은 국가·사회 혹은 학부모·학생의 要求 事情에 대한 수렴과 言語學과 認知心理學의 硏究에 의한 교과 內容의 選定과 方法의 改善 그리고 한문과 교육이 시행되는 學齡에 관한 問題를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한문 교과 교육과정의 평가는 開發 評價뿐만 아니라 運營 評價와 成果 評價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그것들은 다시 피드백하여 새로운 敎育課程에 適用되어야 한다. 종합하면 한문과 교육과정은 理論과 實行의 모든 한문 교과 교육학 關聯의 硏究에 의한 結果物이어야 한다. The revised seventh national curriculum has already been introduced. Since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Sino Korean subject has been revised based on the general summary, the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has been properly conducted. Currently, the status of Sino Korean education is that it is conducted as discretionary activity subject in middle school and formed in the cultural subject group in high school, as it is not included in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The process of revision is said to have undergone student/parent debates and the council and debates of subject experts and teacher survey research, council and debates to incorporate the results by the developers. Especially,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responded with `the aspect of strengthening the aspect of everyday life purpose by learn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words and Chinese writings`. However, the revised seventh curriculum substituted the major area of content organ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words and Chinese writings` of the seventh curriculum with `Chinese writing, Chinese writing information`. To summarize the arguments of the scholars for such revised seventh Sino Korean subject are as follow. First, the revision is desirable in the aspect of recognizing Sino Korean subjects as a `language related subject`. Second, the major area of content organization is positive in the sense that it divided into `language learning` and `language learning information.` Third, `Chinese words` should be approached from a new perspective as the focus of the Sino Korean subject is on `Chinese writing.` Fourth, `reading & comprehension` for `Chinese writing` area should look into the difference with the `reading` of Korean language subject. Fifth, can the vocabularies of `Chinese writing information` play the intermediating role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 Sixth, the study result should be considered by adding the study for Chinese writing learning process. Seventh, how will the class lessons that implement the revision of the seventh curriculum become different? The development of Sino Korean curriculum must consider the refle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nation, society or parents/students, select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study of linguistics and cognitive psychology and method improvement and the issue of the school age for which Chinese writing and education are implemented.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Sino Korean curriculum must include not only development evaluation but also administ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s which should be applied to new curriculum through feedbacks. To summarize, Sino Korean curriculum must be the result of the study related to Sino Korean pedagogy for every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글로벌 시대의 국가경쟁력과 한문교육의 위상

        진재교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9 No.-

        This paper pointed out the wrong direction of the Chinese Classics in school education and the collapse of the eduation of Chinese Classics caused by this wrong direction, and proposed a way of the restroration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in school. From enforcing the core curriculum in school education,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became an elective subject and the subject's status nosedived. As a result, various problems and harmful consequece caused by the change of the status of the Chinese Classics hindered the reinforment of the publich eduation and did not meet the social expection. Thus, during the past 3 years, the number of studens who took the courses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has decreased and the number of teachers has shrunken comparing to the number of teachers in other subjects. This paper pointed out that this situation happened right now is basically caused by the reason that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is is excluded as the reuqired subject of national college enterence exam. As this dilapidated Chinese Classics in school education is the result of the wrong educational policy, the Eudcation Minstry have to reform the Chinese Classics in the school educational system. In addition, the insolvency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in school does not match for the social request to reinforce the eud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diminishe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is paper claimed an alternative and proposed a way of the reinforment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이 글은 현행 학교 현장에서 한문교과 운영의 파행성과 위상, 그리고 그것에 따르는 한문교육의 황폐화를 제시하고, 그것을 정상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집중 이수제 이후 학교 현장에서 한문교과가 기타과목으로 위상이 추락되면서 생긴 문제점과 그 폐해는 결국 공교육의 정상화를 방해하고, 사회적 요구에도 부응하지 못한 모순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최근 3년 동안 한문교과목의 이수학생이 줄어든 것은 물론 교사의 수도 다른 과목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한문교과가 대학입시와 무관하기 때문에 나타난 것임을 지적하였다. 학교 현장에서 한문교육의 황폐화는 기본적으로 잘못된 교육정책 시행의 결과라는 점에서 그 해결 역시 교육부의 의지와 관련되는 문제이다. 더욱이 한문교육의 부실화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한문교육의 강화요구와도 배치된다는 점에서 국가경쟁력의 약화와도 관련이 깊다. 이를 위해 현행 교육과정 범위 안에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한문교육의 강화 방안을 서술하였다.

      • KCI등재

        한자(漢字), 한문교육(漢文敎育) 현장실천(現場實踐) 지향적(指向的)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 연구(硏究)의 현황(現況)과 성과(成果)

        ( Dong Gyu A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4 No.-

        이 글의 검토 대상은 ‘한자·한문교육 현장실천 교수-학습 방법’이다. 그간의 연구현황 및 성과를 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의 과제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자료는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지 『한자한문교육』과 한 국한문교육학회지 『한문교육연구』이다.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한국한문교 육학회 창립 30주년기념 학술대회(2011)와 한국한문교육연구총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론』(2012)에서 그간의 연구실적을 정리하였다. 연구의 현황과 성과는 ‘한자’, ‘어휘’, ‘한시’, ‘산문’으로 분류하고,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일반자료’로 모아서 정리 하였다. 또한 ‘매체 활용교육’ 관련 자료도 별 도로 언급하였다. 이상을 검토해 본 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과제가 확인되었다. 첫째, 한시·산문 관련 교수-학습 방법 연구 성과가 부족하다. 이 부분에 대해 서는 학회차원에서 기획주제로 다루어 이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업모형’이나 ‘교수-학습 방법의 체계화’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해져 서 연구성과가 교육과정에 더 많이 축적되어야 하겠다. 현장교사들에게 있어 교육 과정은 직접적인 수업안내 지침이기 때문이다. 셋째,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이론연구보다 현장실천 연구실적이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이의 해결을 위해 전공 교사들의 학회 참여 유도가 필요하리라 본다. 교사 개인이 지닌 우수 지도방안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field-base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Based on examining the present situation of prior studies done so far, it aims to present suggestions for improvement.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한자한문교육)』, a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한문교육연 구)』, a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ere us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current situation of study. The previous researche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done at a conference in celebration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30th Anniversary(2011), and 『Classical Chinese and Teaching-Learning Methods』(2012), a collection of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current situation and result of this research are categorized into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Chinese poetry``, and ‘Prose``. Other than these categories are gathered and labeled as ‘General data``. Also, related materials of ‘Media Application Education`` are referred separately. As examined so far, problems are pointed out as follows, and also a few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added. First of all, current results of researches on Chinese poetry and prose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not good enough. It seems necessary that these researches be activated by setting up the issue as subject of conferences. Secondly, result of researches on ‘class models`` or ‘systematiz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should be accumulated more through activation of these studies, since this could be direct teaching guidelines for teachers at the chalkface. Lastly, the field stud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s relatively poor in research result than what the theoretical study is. To solve this, there is a need to lead teachers majoring the subject to participate conferences to share their individual greatness.

      • KCI등재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목표의 한문(漢文) 교과서 적용 양상 연구

        김연수 ( Yeon Soo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한문과 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고시된 제3차 교육과정부터 현재까지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을 살펴볼 때 2007 개정 및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상당히 혁신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전 제6차와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과 체재와 내용 면에서 현격히 구별된다. 한문과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열망이 담겨있고 새로운 변화를 추동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새로 설정한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는 목표에 그러한 열망과 변화의 의지가 담겨 있다. 이 목표는 기존한문과 교육과정과는 다른 차원으로 한문과 교육의 의미와 목표를 설정한 것으로 주목을 요한다. 본 연구는 2007 개정 및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새로 설정한 목표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먼저 살펴보고, 이 목표가 중등학교 『漢文』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그 구체적인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설정한 목표 ‘비판적 이해’와 ‘심미적 향유’가 한문 교과서 적용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漢文』교과서 13종과 고등학교 『漢文Ⅰ』 교과서 10종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단원 학습 목표및 학습 내용 선정과 학습 활동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비판적 이해’와‘심미적 향유’라는 목표가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을 거의 반영된 경우, 부분적으로 반영된 경우, 아예 반영되지 않은 경우로 분류하였다. 중등학교 『漢文』 교과서의 분석결과를 통해 동일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개발한 교과서라도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실행하는 정도와 양상은 교과서마다 매우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문과 교육과정이 『漢文』 교과서를 비롯하여 한문과 수업 현장에 온전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한 학계와 학교 현장의 지속적인 소통과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irst looked into what``s the meaning of the goal newly set in the Chinese Classics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2009;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ritically understand and aesthetically appreciation various types of Chinese Classics" and then analyze its detailed aspects of how this goal is reflected in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books. For critical understanding of Chinese Classics materials, learners should be able to evaluate & accept the contents & values of the materials in a critical way from learners`` perspective after they grasp their contents & stylistic features according to writing types. Results of analysis on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books showed that Chinese Classics textbooks revised in 2009 and high school textbooks; Chinese Classics Ⅰreflect the goals of the newly set curriculum more than those revised in 2007 &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 books do. It``s also found that the most idealistic is to connect previously set goals of textbook units to related learning activities and that how much a curriculum is performed depends upon the quality level of its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투고논문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字形) 연구 -『강희자전(康熙字典)』 자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영옥 ( Young Og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본고는 2000년 12월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한 <漢文 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의 字形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밝히고 나아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이렇게 조정하였습니다』(교육인적자원부, 2000)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康熙字典』에 근거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 확정의 일차적 기준은 『강희자전』의 자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강희자전』이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에 미친 영향, 그리고 『강희자전』과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에 대한 비교 검토 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강희자전』의 자형에 대해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것이 어떠한 양상으로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본론에서 진행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강희자전』 자형과의 비교·검토 결과,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강희자전』 正字의 자형과 동일한 경우도 있었으나 또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강희자전』 正字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강희자전』 正字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는, 새로운 整字의 사용, 部件의 차이(부건의 위치 변화, 簡略化, 繁化, 類化), 필획상의 차이 등 세 가지 경우와 컴퓨터 글꼴에 의한 차이로 나누어 그 양상을 파악하였다. 특히 부건이 간단하거나 복잡한 부건으로 대체된 경우에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강희자전』의 이체자를 따른 경우가 많았고, 『강희자전』의 정자 중 일부 부건을 형태가 유사한 다른 부건으로 類化한 경우와 필획상 차이가 보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건에 대하여 여러 형태의 자형으로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는 한자와 한문의 교수·학습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가지는 문제점은 교수자나 학습자 모두에게 혼란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자 표준 자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어야할 것이며, 또한 한자 자형 표준화를 위한 전면적인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through examination of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urren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n Dec. 2000, aims to disclose problems included in shapes of such Chinese characters and furthermore to seek methods for solving those problems. To do that, this paper looked into problems contained in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of 『Kangxizidian』 which is deemed to be the primary basis in deciding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rough the above-mentioned study, it would be possible to confirm features and problems of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to raise recognition of standardization of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one of methods for solving such problems.

      • KCI등재후보

        중등교육의 “한문교과”와 대학 교양 과정의 “한문·한자교육” 연계성 연구

        신현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2

        Study on the linkages of the "Chinese"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and liberal arts college "Chinese·Chinese character" education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ollege educated Chinese 'Chinese character' knowledge of aspects only considering, but should focus on the impact of 'Chinese' and the value of literature written numerous it. Chinese character course of activation is not induced by the instructor of internal groups, such as the academic requirements for an upsurge of interest and Philology of the Chinese curriculum and complementary. Chinese character learning of the crash phase of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popularization of college education, including students of Chinese character ability is increasingly falling, whereas the changes in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nd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increasing necessity becaus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in this regard had been left in the learner's private education market in any part of the reverse, with a certain academic level to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institutional education can see the relationship positive. Well as how Chinese students due to the insolvency of the second·secondary education without basic Chinese knowledge training will be a mark on Chinese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is the center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itiatives in the direction of the liberal arts focus of Chinese education will not. This character education through liberal arts education is not possible character education itself, whether on the right or wrong to say that, but to say that the classic Chinese education has value as a liberal arts education, how is it possible if such training are struggling to do the desirable attitude will. 이 글은 중등교육의 “한문교과”와 대학 교양과정의 “한문·한자교육”의 연계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대학의 교양한문은 ‘한자’의 지식적 측면만 고려한 것이 아니라 ‘한문’으로 쓰인 수많은 문헌의 가치와 그것이 주는 영향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최근 한자교과의 활성화는 한문 교과와의 상호보완이나 문자학에 대한 관심의 고조와 같은 교수자 집단 내부의 학문적 요구에 의해 유발된 것이 아니다.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위상의 추락과 대학 교육의 대중화 등으로 대학생들의 한자 능력은 갈수록 떨어지는 데, 반해 대학 입시 제도의 변화와 취업 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한자 학습의 필요성은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대학의 한자교육은 사교육 시장에 내맡겨졌던 학습자의 일부라도 제도권 교육으로 되돌리고, 일정한 학문적 수준을 갖춘 교육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순기능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교양 한문 교육의 초점은 초·중등 교육의 부실로 인해 기초 한문 지식이 없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떻게 한문 교육을 실시할 것인가가 되어야지, 한문 교육이 아닌 한자 교육 중심의 교양교육을 구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서는 안 될 것이다. 이것은 한자 교육을 통한 교양교육이 불가능하다든가 한자 교육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고전을 통한 한문 교육이 교양 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면 그러한 교육이 어떻게 가능할까를 고민하는 것이 바람직한 태도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 KCI등재

        漢文 散文을 활용한 ‘事例-過程中心의 自己紹介書’ 글쓰기 교육 -고등학교 한문과 교과서를 中心으로-

        이미흔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6 No.-

        現 중・고등학교 현장의 한문과 내용체계에서는 ‘한문 산문을 활용한 글쓰기’ 영역이 따로 편성되어 있지 않다. ‘글쓰기’란 ‘읽고’, ‘이해’하기 다음 단계로 ‘고도의 사고활동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대학입시에 급박하여 작성되는 ‘일회성 자기소개서’가 아닌 자신만이 쓸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는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 교육과정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를 어떤 방법을 가지고 한문과 교육과정에 접목 시켜 학생들에게 투입시킬 수 있겠는가?본고는 학생들에게 자기소개서라는 결과물만을 얻고자 하는 실용적 글쓰기에 그 목적이 있지 않다.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모습과 미래의 나는 사전이나 검색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나이테만큼 자아도 성장했는지? 자신이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자신이 가장 관심 있어 하는 분야는 무엇인지? 자신만의 반성적 성찰 방법은 무엇인지? 독창적인 언어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지?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자신은 어떻게 변화 되었는지? 다른 사람의 삶에 대해 궁금해 본 적이 있었는지? 내가 하고 싶은 일과 내가 잘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해 봤는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미래의 자신을 예견하며 상상해 본적이 있는지?를 고민해 보며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본다. 본고의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란 선현들이 수천 년 동안 쌓아온 생활 속의 정서, 지혜, 사상이 담긴 한문산문을 감상하고 이해하여 자신만의 자기소개서를 구체적 또는 점진적 과정을 거쳐 작성해 보도록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간접체험을 바탕으로 직접 실천한 사례들을 발표・토론함으로써 극복방안을 찾아보도록 한다.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는 대학입시 수시전형의 서류로 제출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일반전형 심층면접에 까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처럼 자기소개서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본고에서는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 글쓰기 방법을 모색하고자 ‘讀盈反切’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讀盈反切’ 전략이란, 讀書尙友・盈科而後進 成章而後達・反求諸己・切磋琢磨의 첫 字를 취하여 ‘讀盈反切’ 전략을 구안했다. 2007・2009개정 한문교과서에 제시된 ‘金得臣傳’, ‘看書痴傳’, ‘李安訥傳’의 작품을 활용해 대교협 공통양식에 의거하여 자기소개서 글쓰기 교육을 실시한다.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글쓰기 교육’이 지니고 있는 가치는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주는 교육적 활동이 될 것이다. 또 본고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4년 4월 15일)에 발표된 ‘대교협 自己紹介書 공통양식’을 바탕으로 ‘자신에게 묻는다! <부록 1> 100문 101답’ 문항을 만들어 학습자들이 쉽고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자신의 성장과정을 한눈에 확인해 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체크리스트□)이 될 것이다. 자기소개서 글쓰기는 학습자들 간의 개인차를 극복하기는 힘들 것이다. 하지만 투박하고 서툴더라도 대필과 표절이 아닌 자신만의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작업은 분명 한 인간을 성장 발전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글쓰기’는 두 영역을 융합시켜 교수하였기 때문에 창의적 ... ‘Writing utilizing Chinese prose’ is not separately organized in contents system of classical Chinese class of existing middle⋅high school field. I think ‘writing’ is ‘reading’; ‘understanding’; and next, ‘process of high-degree thinking activity’. It is required to have a curriculum of ‘examples- and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to establish identity through specific examples instead of a ‘one-time self-introduction letter’ prepared on the verge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recently. How is it possible to graft self-introduction letter utilizing Chinese prose onto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order to input to students?This study does not aim at practical writing for students to get results of self-introduction letter only. My former self, present appearance and my future cannot be known through a dictionary or a search. Agonizing over following questions, I attempt to write an ‘examples- and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whether self has been developed as much as one’s own growth rings? Who I am and how I will live? In which field I am most interested? What is my own reflective introspection method? Can I express myself in creative language? How did my former self and present life change? Have I wondered about other people’s life? Have I agonized over what I wanted to do and what I could do well? Have I looked back upon life and then, forecasted and imagined my future?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Chinese prose containing emotion, wisdom and thoughts in life accumulated by ancient sages for thousand years, we attempt to prepare my own ‘examples- and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through specific or gradual process. And, learners will try to find out the solution through presentation⋅discussions of direct practiced examples based on indirect experience. A ‘self-introduction letter’ utilizing Chinese prose can be submitted as a document for nonscheduled admission of university examination and furthermore, it will also be a help to in-depth interview of regular admission, I think. As self-introduction letter is of great importance, this study suggest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Dokyeongbanjeol’ to seek a writing method of ‘examples- and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Dokyeongbanjeol’ strategy was made by the initial letter of Dokseosangwoo, Yeonggwaeehuzin, Seongjangeehudal, Bangujeogi, and Jeolchatakma. Utilizing works of Kimdeuksinjeon, Ganseochijeon, and Eeannuljeon included in 2007⋅2009 revised Chinese writing textbook, writing education of a self-introduction letter is conducted according to KCUE’s common modality. Value possessed by ‘writing education of examples- and process- 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utilizing Chinese prose’ will be an educational activity to give a new opportunity to learners. In addition, this study created item of ‘Ask you yourself! 100 questions and 101 answers’ on the basis of ‘KCUE's common modality’ announced by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April 15, 2014) in order for learners to be prepared easily and systematically. This will be a simple method (checklist) to check one’s own growth process during high school days at a glance. It will not be easy to overcome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 in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However, it will be a great help to develop a person if one prepares one’s own self-introduction letter, rough and poor, instead of ghostwriting and plagiarism. It is expected that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utilizing Chinese prose’ will make creative and peculiar outcome because it fuses two fields for teaching.

      • KCI등재

        中・高 漢文敎科書 ‘漢字’ 領域 分析 및 構成 方向 摸索

        김경익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5 No.-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and roles of textbook, we need to analyze the aspect of realization of the field and explore the direction we should go.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alization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from a correlational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way to design that of ‘Chinese characters’ that will be effective in actual classroom.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several subjects for inquiry are selected. First, to analyze and review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Second, to review styl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ird, to find the way to desig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view that learners are main agents of learning. In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I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curriculum in textbook. The transforma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reduction, expansion, supplement and deletion of the content. In the organization styl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the way how to design units was examined. In this study, I suggested several plans to desig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extbook with consideration for actual classroom and learners. A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 proposed some problems awaiting solution as regards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漢字’에 대한 지식은 한문 능력의 핵심 資質이다. 한자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부족하면 漢文 讀解나 語彙 학습의 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자가 지닌 본질적 가치와 더불어 학습자가 인식하는 한문 학습에서 한자 학습의 비중 또한 가볍지 않다. 학습자가 ‘한자’에 대해 지니고 있는 막연한 두려움과 학습 부담을 덜어내지 않으면, 성공적인 한문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준수하여 집필된다. 하지만 각 교과서마다 전개 방식은 다르다. 개별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실행의 大綱을 짐작할 수 있다. 교과서 구성 방식이 교수・학습 실행에 끼치는 영향은 至大하다. 한문 학습에서 차지하는 ‘한자’ 영역의 중요성과 교과서의 기능 및 역할을 고려할 때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현 양상을 분석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문과 교육과정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현을 상관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문과 교실 수업에 유효한 ‘한자’ 영역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몇 가지 연구문제를 생성하였다. 첫째, 중・고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의 상관성을 분석, 검토한다. 둘째,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한문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검토한다. 셋째, 한문 학습자가 한문 학습의 주체라는 관점을 토대로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안을 모색한다.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의 상관성은 주로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변형되어 구현된 경우를 살펴보았다. 변형은 교육과정의 내용의 축소와 확장, 추가와 삭제로 구분하였다. 중・고 한문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은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단원 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경우가 달랐다. 고등학교에 비해 중학교 교과서가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세분화, 구체화하여 수록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교실 수업’과 ‘학습자’를 고려한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안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해당 교과서의 본문에 쓰인 한자의 뜻을 중심으로 편집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목록을 별책 형태로 제시하여, 학습 자전의 대체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습한자 구성 방식과 제시 방식에 대한 검토가 요청된다. 셋째, 한자 쓰기 활동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한자’ 영역과 관련하여 향후 과제를 생성하였다. 첫째, 한문 학습을 위한 한자 수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중・고 학습자의 한자 지식 실태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한자 습득에 대한 기초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 KCI등재

        漢文敎育學 博士學位論文의 成果와 課題

        김왕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9 漢字 漢文敎育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Doctoral Degree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total number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ubmitted to universities as doctoral dissertations is 28.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doctoral dissertation. In particular, the paper was analyzed based on research areas, research topics, content and objectives, and research methods and data. Through this process, the paper on the doctoral dissertation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compiled and several proposals were made. Over the past 20 years, a total of 28 doctoral dissertation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ve been reported. The "Classical Chinese Language Teacher as a Researcher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olidified its status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re are two types of degrees: Doctor of Education and Doctor of Literature. He used literature research as a basic method of research, and selected and utiliz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papers that carried out the integr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also submit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and in the case of classroom class study,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transcription data were generated. Classical Chinese textbooks before and after modern times and Classical Chinese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post-modern curriculum were widely used as research materials for research. This paper has no purpose in determining or carrying out the 是非 of individual doctoral dissertations. Checking 成果 and 課題 through review of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data of individual papers is judged to be 羅針盤 and 礎石 in the future, the selection and analysis of Classical Chinese-language education research topics by writers and alumni. 이 연구의 목적은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에 대한 내용 분석이다. 대학에 박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된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은 모두 28편이다. 이 연구는 박사학위논문의 내용 분석에초점을 두었다. 특히, 연구 영역, 연구 주제, 내용 및 목적, 그리고 연구 방법과 자료를 중심으로해당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의 成果를 정리하고, 課題를 몇 가지제안했다. 지난 20여 년 사이 모두 28편의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이 보고되었다. ‘한문교육학 연구자로서의 한문 교사’가 연구의 주체로 그 지위를 확고히 했다. 학위기는 교육학 박사와 문학 박사 두종류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연구를 기본으로 활용하였고, 양적 연구, 질적 연구를 선택, 활용한논문도 적지 않았다. 특히 양적, 질적 연구를 통합 수행한 논문도 제출되었다. 연구 방법에 따른양적,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 생성했고, 교실 수업 연구의 경우, 관찰 및 면담, 전사 자료 등을생성했다. 근대 이전 한문 교재와 근대 이후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 교과서가 연구 자료로 폭넓게활용되었다. 이 논문은 개별 박사학위논문의 是非를 따지거나 褒貶을 수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지 않다. 개별 논문의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및 자료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成果와 課題를 확인하는 작업은향후 필자와 동학들의 한문교육학 연구 주제 선정 및 연구 자료 수집, 분석에 羅針盤과 礎石이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 이수 정도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한문 학력차 해소를 위한 설문 조사와 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김왕규 ( Wang Kyu Kim ),김경익 ( Kyung Ick Kim )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2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문 학력차 실태 분석에 대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정상적 운영을 위한 고등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 한문 학력차 실태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한문 학력차 발생 요인을 감쇄하거나 한문 학력차를 해소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의 한문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한문 학력차 실태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전국의 고등학교 한문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고, 전문가로 구성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한 결과, 한문 학력차는 고등학교 한문 교육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 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등을 통해 발굴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실행 교사와 E-mail면담 등을 통해 의견을 청취하고, 시험 문항, 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표 등의 자료를 다각도로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모색하고 제시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과 현장 사례는 크게 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편성·운영,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 평가 내용의 다각화, 교재 재구성 등이다. 셋째, 한문 교육의 당면 과제를 통합연구방법설계를 통해 접근하여 해결하였다. 직관이 아닌 실증적이며 심층적인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조사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E-mail 면담, 문헌 연구 등 질적·양적 연구 방법을 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설계와 연구 방법 적용은 이후 한문교육 관련 연구의 과학화와 체계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중학교 한문 이수 여부 및 이수 정도에 따른 한문 학력차가 고등학교 한문교육 부실의 주요 요인이며, 시급히 해결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진단하였다. 아울러 몇몇 현장 사례를 통해 한문 학력차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이 모색되고, 현장 적용 사례가 발굴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find the solution for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choosing of classical Chinese as an optional subject in middle school. This research`s main result is as follows. First, we observed deeply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that active teachers had recognized. 102 teachers in high schools throughout the nation are the object of study. And the specialists had interviewed with them. According to the interviews, we grasped that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influenced negatively. Second, we tried to find the solution for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We listened to opinions on e-mail from teachers who conducted the solutions and gathered all kinds of materials. In this research, what we suggested the solutions for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are the flexibl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school curriculum, diversif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and reconstruction of teaching materials. Third, we solved the facing problems through the combined research methods. We did researches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as like a survey, focus group interview, interview on e-mail, and studying documents. This research`s design and method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researches related to classical Chinese teaching. In this research, we diagnosed the main cause of poor classical Chinese teaching in secondary schools was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in middle schools. We have to find the solution urgently. And we suggested the solution for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through some cases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