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류경험이 한국무용의 인지도와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오유진(Oh, You-Jin),박지혜(Park, Ji-Hye),곽혜은(Kwak, Hye-Eun),배기형(Bae, Ki-Hyu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의 대중화를 위해 컨텐츠 개발 및 전략수립에 대한 근간으로 한류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여 국제적 문화척도를 구현하는 데 일익을 돕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문화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류경험을 바탕으로 한국무용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를 측정하였으며, 중국 문화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류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드라마, 음악, 영화, 연예인, 한국무용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컨텐츠의 경험을 토대로 한국무용에 대한 중국 문화소비자들의 인지도와 호감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경험 중 한국음악에 대한 경험이 인지도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한류에 대한 경험 중 한국음악과 한국연예인에 대한 경험이 많을수록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한국무용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한국무용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In this study, it has perceived that wide range of Korean wave contents are required for the popularization of performance arts, especially of the Korean dance. It has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Chinese people, the center of Korean wave, in order to assist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s developing strategy for the Korean dance and its globalization as well as for the persistent development of Korean wave.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Korean wave fans in China, for the research of this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variables has been analyzed to obtain the research result as follow. In the research for the preference of Korean cultural contents, first, it has shown the highest value to the Korean music, which is followed by Korean dance. Second, Korean has shown that Korean music is affecting the recognition of Korean dance. It has appeared that Korean music is an important factor to the recognition of Korean dance. Third,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dance, the preference of Korean dance is elevated while its recognition is being increased.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의 대중화를 위해 컨텐츠 개발 및 전략수립에 대한 근간으로 한류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여 국제적 문화척도를 구현하는 데 일익을 돕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문화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류경험을 바탕으로 한국무용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를 측정하였으며, 중국 문화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류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드라마, 음악, 영화, 연예인, 한국무용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컨텐츠의 경험을 토대로 한국무용에 대한 중국 문화소비자들의 인지도와 호감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경험 중 한국음악에 대한 경험이 인지도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한류에 대한 경험 중 한국음악과 한국연예인에 대한 경험이 많을수록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한국무용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한국무용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In this study, it has perceived that wide range of Korean wave contents are required for the popularization of performance arts, especially of the Korean dance. It has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Chinese people, the center of Korean wave, in order to assist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s developing strategy for the Korean dance and its globalization as well as for the persistent development of Korean wave.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Korean wave fans in China, for the research of this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variables has been analyzed to obtain the research result as follow. In the research for the preference of Korean cultural contents, first, it has shown the highest value to the Korean music, which is followed by Korean dance. Second, Korean has shown that Korean music is affecting the recognition of Korean dance. It has appeared that Korean music is an important factor to the recognition of Korean dance. Third,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dance, the preference of Korean dance is elevated while its recognition is being increased.

      • KCI등재

        중국인의 한국 드라마 시청정도가 한류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한류호감도와 문화유입 수용성의 다중매개효과

        이희진(Hee-J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본 연구는 한류 지속가능성에 한류 드라마 ‘시청정도’가 미치는 직접효과와 ‘한류호감도’ 및 ‘문화유입수용성’의 매개효과 그리고 ‘경쟁의식’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표본은 중국 광서성의 계림시와 하남성의 정주시에 거주하는 대학생(N=371명)이다. 분석 결과, 한국에 대한 ‘경쟁의식’이 상대적으로 약한 응답자들의 경우에는, ‘한류 지속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경쟁의식이 상대적으로 강한 응답자들은 한국 드라마 ‘시청정도’가 증가할수록, 오히려 한류 지속가능성에 대해서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하여 주목하게 되었고, ‘경쟁의식’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한류 드라마를 많이 시청할수록, ‘한류 호감도’도 증가시키지만, ‘문화유입 수용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시청정도’가 증가할수록, ‘한류지속 가능성’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경향은 ‘한류 호감도’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될 수 있어, ‘한류 호감도’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시사점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of: (1) whether Chinese young people think Korean Wave would lasts; (2) the direct effect of viewing degree of Korean contents on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Wave; (3) the mediation effect of liking for Korean Wave and receptiveness to foreign cultural inflow on that sustainability; (4) the moderating effect of sense of rivalry between Korean and China.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371 chinese people between high teen and early 30s, located in Guilin of Guangxi and Zhengzhou of Henan in China.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While the group with strong rivalry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f viewing degree on the sustainability for Korean Wave, the group with weak rivalrous sense and higher viewing degree of Korean contents predict shorter sustainability of Korean Wave, therefore, the moderating effect of sense of rivalry between Korea and China is significant .Next, liking for Korean Wave shows a full mediating effect among Chinese with weak rivalry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mong them with strong rivalry. The mediating effect of receptiveness to foreign cultural inflow is non-significant.

      • KCI등재

        한류 인기 요인에 대한 지역별 차이와한류콘텐츠 호감도와의 관계 비교연구- 아시아, 미주,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

        문효진,박성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3 국제지역연구 Vol.17 No.3

        This study conducted comparison and analysis for the real evaluation of Korean wave’s popularity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recipients in Europe, America as well as Asia.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good feeling for Korean contents is investigated which is expected to suggest reference materials fo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contents. As a result, the popularity factors of Korean wave’s contents are largely divided into 3 categories;fun and moved contents itself “contents interest”, fascination of Pop singers, actors and actresses who appear in TV, drama, and movies “humane attractiveness”, and drama and movies’ structured scenarios, shooting techniques, Korean stars’ acting abilities, and K-pop singers’ singing abilities “professional contents”. An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ave popularity factors and feelings for Korean contents, it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t levels of influences in each region, which impacts on the feelings. 본 연구는 아시아에서 시작된 한류가 비아시아권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류가 인기를 얻고 있는 인기요인이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했다. 또한 그동안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살펴본 한류 연구를 아시아를 포함해 유럽과 미주 수용자를 대상으로 한류의 인기요인을 실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상호 비교·분석했다. 더불어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 콘텐츠에 대한호감도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한류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통하는데 있어 이들 인기요인이 참고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 한류의 인기요인 콘텐츠 자체가 전달하는 재미와 감동 등을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 흥미성’, K-Pop 가수들이나 드라마, 영화에 등장하는 배우들의 외모에 대한 매력도로 구성된 ‘인적 매력성’, 영화나 드라마의 탄탄한 스토리 전개나 촬영기술, 한류스타들의 연기력과K-Pop 가수들의 가창력 등을 포함한 ‘콘텐츠 전문성’ 등 크게 3가지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 콘텐츠 호감도와의 관계에서 지역별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정도에 차이는 존재했지만, 조사 지역 모두 ‘콘텐츠 흥미성’, ‘인적 매력성’, ‘콘텐츠 전문성’이한류 콘텐츠 호감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중국소비자의 한국 의료관광의향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윤성준(Yoon, Sung-joon),오몽순(Wu,Meng-ch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날로 성장하고 있는 한류문화컨텐츠 시장에 비추어 볼 때, 한류의 핵심수용국가 중 하나인 중국내 소비자들의 한국에 대한 의료관광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규명할 목적으로 한류에 대한 호감도가 국가 이미지, 한류스타동일시, 의료서비스품질의 세 매개변수를 통해 의료관광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 하였다. 본연구의 검중결과 첫째, 한류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호감도는 국가이미지 (경제 이미지와 관계이미지)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가이미지는 의료관광의향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 호감도는 스타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타동일시는 의료관광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셋째, 문화 호감도는 의료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의료서비스품질은 의료관광의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In the light of rapidly growing market for Hallyu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what causes Chinese consumers to intention to visit Korea for medical trorism. Th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preference for Hallyu influences medical tourismintentionthrough country image, Hallyu celebrity identification, and medical service quality. As a result, first the Chinese consumers’ preference for Hallyu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ountry image that consists of economy image and relationship image. On the other hand, country image was found not to exert impact on medical tourism intnetion. Second, Hallyu preference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elebrity identifica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medical tourism intention. Third, Hallyu preference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medical service quality, but medical service quality partially influencedmedical ourismintention. 본 연구는 날로 성장하고 있는 한류문화컨텐츠 시장에 비추어 볼 때, 한류의 핵심수용국가 중 하나인 중국내 소비자들의 한국에 대한 의료관광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규명할 목적으로 한류에 대한 호감도가 국가 이미지, 한류스타동일시, 의료서비스품질의 세 매개변수를 통해 의료관광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 하였다. 본연구의 검중결과 첫째, 한류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호감도는 국가이미지 (경제 이미지와 관계이미지)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가이미지는 의료관광의향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 호감도는 스타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타동일시는 의료관광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셋째, 문화 호감도는 의료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의료서비스품질은 의료관광의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In the light of rapidly growing market for Hallyu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what causes Chinese consumers to intention to visit Korea for medical trorism. Th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preference for Hallyu influences medical tourismintentionthrough country image, Hallyu celebrity identification, and medical service quality. As a result, first the Chinese consumers’ preference for Hallyu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ountry image that consists of economy image and relationship image. On the other hand, country image was found not to exert impact on medical tourism intnetion. Second, Hallyu preference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elebrity identifica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medical tourism intention. Third, Hallyu preference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medical service quality, but medical service quality partially influencedmedical ourismintention.

      • KCI등재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한류 인식과 한류콘텐츠 만족도 및 제품 선호도, 국가 호감도 관계 연구

        문효진(Hyo Jin Mo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0

        본 연구는 한국 대중문화의 인기로 대변되는 한류가 아시아를 비롯해 비아시아권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방한한 외국인 유학생(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유럽, 미주 등)을 대상으로 한류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연관 효과를 살펴보았다. 특히, 한류가 인기를 얻고 있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들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콘텐츠 만족도와의 관계 그리고 한류 인기요인, 만족도와 한국제품 선호도 및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한류의 인기요인은 ``한류콘텐츠 전문성`` 요인, ``한류콘텐츠 차별성`` 요인, ``한류스타의 감성적 매력`` 요인 등 총 세 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이들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콘텐츠 만족도와는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한류 인기요인, 만족도와 한국 제품 선호도 및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즉, 한류 인기요인 중 ``한류콘텐츠 차별성`` 요인이 한국 제품 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용자들이 ``한류콘텐츠 차별성`` 요인으로 한류콘텐츠를 만족하면 할수록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도 높아진다는 점이 확인 되었다. 더불어 한류 인기요인 중 ``한류콘텐츠 전문성`` 요인이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류콘텐츠 전문성`` 요인으로 한류콘텐츠 만족도가 높아지면 한국에 대한 호감도도 증가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The Korean wave is expanding to non-Asia countries beyond As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popular factors of the Korean wave and the Korean wave``s effects are. Especially,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he Korean wave, the Korean wave contents, the products preference and national image. And the sample is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of all the popular components of the Korean wave turned out to be such factors as the Korean wave contents professionalism, the Korean wave distinction and the Korean wave celebrity emotion appeal. Second, the Korean w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Korean wave contents satisfaction. As well as there were the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Korean wave, the Korean wave contents, the Korean products and the country image of Korea. The Korean wav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Korean product preference and the likability of Korea.

      • KCI등재

        한식콘텐츠 이용 경험자에게 형성된 한식호감도가 한류호감도, 국가이미지,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선(Jisun Lee),정라나(Lana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는 한식콘텐츠 이용 후 형성된 한식에 대한 호감도가 한류호감도, 한국의 국가이미지, 그리고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식콘텐츠를 ‘한국 음식과 관련된 각종 정보나 내용물’로 정의하고, 한식 레시피 콘텐츠, 한식 식문화 콘텐츠, 한식 레스토랑 가이드, 한식 미디어 콘텐츠의 4가지 콘텐츠 유형으로 제시한 뒤 한 가지 이상의 한식 콘텐츠 이용 경험이 있는 2030 베트남 젊은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LS-SEM 기반의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 한식 콘텐츠 이용 후 형성된 한식호감도는 국가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거나 또는 한류호감도를 매개로 한국의 국가이미지나 한국 방문의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성이 입증되지 않아 기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식 콘텐츠의 이용경험은 한식호감도, 한류호감도, 국가이미지, 방문의도 등 국가 브랜드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따라서 한류 콘텐츠로서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독립적이며 전문적인 질적 성장까지 체계화시키고 고도화시켜 나간다면, 한식 세계화의 미래 방향성을 견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Korean food contents influence to the Korean wave favorability, country image, and visit intention to Korea. Korean food contents are defined as that information or contents related with Korea food. In this survey, total 4 type of Korean food contents, Korean food recipe contents, Korean food culture story contents, Korean food restaurant guide contents and Korean food media contents were explained. The respondents were 147 young Vietnamese in residing in Ho Chi Minh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PLS-SEM to explore influence of Korean food favorability with Korean food contents usage. After using Korean food contents, Korean food favorability influence country image and visit intention to Korea, mediating with Korean wave favorability. While Korean food favorability was not shown to influence visit intention directly.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make strategic Korean food contents and distribution, further accord with Hansik Globalization.

      • KCI등재후보

        유경험자과 무경험자의 브랜드 정보처리과정의 차이

        현소은(Hyun, Soeun),박성용(Park, Seong Yo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사전지식, 호감도, 신뢰도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의 영향을 고려할 때, 기존 연구는 사전지식을 친숙도와 동일시하여 취급하였거나, 이들 변수의 직접적 효과만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사전지식과 친숙도를 구분하는 것을 간과하였고, 사전지식과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와의 상호작용 또는 사전지식의 조절변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사전지식을 무경험과 유경험으로 구분하고, 경험여부에 의하여 구분하여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의 영향을 비교한다. 특히 무경험자의 호감도, 신뢰도, 친숙도가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즉 무경험자와 유경험자의 브랜드 정보처리과정에서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호감도, 신뢰도, 친숙도가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간접적 영향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한다. 무경험자는 유경험자에 비해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에서 낮은 평균값을 가질 것이고, 무경험자에 있어서는 호감도가, 유경험자에 있어서는 신뢰도가 중요하다는 기존연구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제품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저관여 제품, 고관여 제품, 서비스에 따라서 브랜드 평가의 영향력에 대한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소주, 에어컨, 헤어숍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시도하여 본다. 분석결과는 제품이나 서비스 경우 모두에서,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호감도와 신뢰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저관여 고관여 제품 모두, 무경험인 경우에는 호감도가 영향을 미치고, 유경험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이고, 서비스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임을 보여주었고, 친숙도는 무경험인 경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 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분석결과에 따른 문화적 의미를 무경험자와 유경험자의 차이를 통해 도출하였다. When previous research studies investigated the impact of brand equity compooents such as familirity, favor, trust on brand attitude or purchase intention, they considered only direct impacts of them or they dealt previous experience as familirity. As a result, they failed to differentiate familiarity with previous experience and did not consider the possibility ofmoderating role or interactions of previous experience with the relevant brand equity components. In this research, we divide previous experience into no-experience and experience and estimate the impacts of brand equeity component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impacts of brand equity components under no experience situation. First, we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brand equity components between no-experience and experience situation. Then, we explore the possible difference in the brand equity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no-experience and experience. By using path analysis, we propose and test hypothesis on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brand equity components on dependent variables. No-experence situation has low scores on the familirity, favor, and trust compared with experence situation. There has been several previous research studies that showed that , for no-experience people, favoriteness and for experenced people, trust is important factor and showed that the results depend on the types of products. While recognizing the possibility that results differ according to low-involvement, high-involvement, or service, we test hypothesis using soju, air-conditioner, and hair-shop. E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rand attitude affects bran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favor, and trust influeces brand attitudes for products and service. For products, in the case of no-expereince, favor and in the case of experience, trust are the important variables, and for services, trust is important variable regardless of involvement. Familiarity is also important variable for no-expereince case. In addition, we discuss the cultural meanings or implications through no-experence and experence difference. 사전지식, 호감도, 신뢰도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의 영향을 고려할 때, 기존 연구는 사전지식을 친숙도와 동일시하여 취급하였거나, 이들 변수의 직접적 효과만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사전지식과 친숙도를 구분하는 것을 간과하였고, 사전지식과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와의 상호작용 또는 사전지식의 조절변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사전지식을 무경험과 유경험으로 구분하고, 경험여부에 의하여 구분하여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의 영향을 비교한다. 특히 무경험자의 호감도, 신뢰도, 친숙도가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즉 무경험자와 유경험자의 브랜드 정보처리과정에서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호감도, 신뢰도, 친숙도가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간접적 영향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한다. 무경험자는 유경험자에 비해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에서 낮은 평균값을 가질 것이고, 무경험자에 있어서는 호감도가, 유경험자에 있어서는 신뢰도가 중요하다는 기존연구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제품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저관여 제품, 고관여 제품, 서비스에 따라서 브랜드 평가의 영향력에 대한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소주, 에어컨, 헤어숍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시도하여 본다. 분석결과는 제품이나 서비스 경우 모두에서,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호감도와 신뢰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저관여 고관여 제품 모두, 무경험인 경우에는 호감도가 영향을 미치고, 유경험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이고, 서비스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임을 보여주었고, 친숙도는 무경험인 경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 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분석결과에 따른 문화적 의미를 무경험자와 유경험자의 차이를 통해 도출하였다. When previous research studies investigated the impact of brand equity compooents such as familirity, favor, trust on brand attitude or purchase intention, they considered only direct impacts of them or they dealt previous experience as familirity. As a result, they failed to differentiate familiarity with previous experience and did not consider the possibility ofmoderating role or interactions of previous experience with the relevant brand equity components. In this research, we divide previous experience into no-experience and experience and estimate the impacts of brand equeity component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impacts of brand equity components under no experience situation. First, we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brand equity components between no-experience and experience situation. Then, we explore the possible difference in the brand equity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no-experience and experience. By using path analysis, we propose and test hypothesis on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brand equity components on dependent variables. No-experence situation has low scores on the familirity, favor, and trust compared with experence situation. There has been several previous research studies that showed that , for no-experience people, favoriteness and for experenced people, trust is important factor and showed that the results depend on the types of products. While recognizing the possibility that results differ according to low-involvement, high-involvement, or service, we test hypothesis using soju, air-conditioner, and hair-shop. E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rand attitude affects bran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favor, and trust influeces brand attitudes for products and service. For products, in the case of no-expereince, favor and in the case of experience, trust are the important variables, and for services, trust is important variable regardless of involvement. Familiarity is also important variable for no-expereince case. In addition, we discuss the cultural meanings or implications through no-experence and experence difference.

      • KCI등재

        한국에 대한 경쟁의식과 문화유입수용성이 중국인들의 자국방어적 대응에 미치는 영향

        이희진(Hee-J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들의 한국인에 대한 경쟁의식과 문화유입수용성이 국가 간에 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중국인들의 자국방어적 대응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영향에 합리적 분쟁해결인식의 매개효과와 한류호감도의 조절효과가 어떻게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11개 도시(7개 성소재)에 거주하는 30세 미만의 695명의 중국인들을 설문조사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한류호감도가 높은 경우에는 국가간 경쟁의식이 한국과의 분쟁의 합리적 해결에 부적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한류호감도가 낮은 집단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류호감도가 높은 경우에는 문화유입수용성은 합리적 분쟁해결인식을 매개(mediation)로 하여 자국방어적 대응 성향을 완화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된 반면 한류호감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한류호감도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가 입증되었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함의를 모색하며 논의하였다.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of: (1) the direct effect of Chinese`s sense of rivalry toward Korea and receptiveness to foreign cultural inflow on national defense respond; (2)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asonable dispute resolution between China and Korea; (3) the moderating effects of liking for Korean Wave.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695 Chinese people under 30, located in eleven cities of seven provinces.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while the sense of rivalry does not negatively effect on the reasonable dispute resolution between China and Korea among group with high liking for Korean Wave, the sense of rivalry does have negative effect on the dispute resolution among Chinese with low liking for Korean Wave. Second, the reasonable dispute resolution shows a buffer effect between the receptiveness to foreign cultural inflow and the sense of rivalry toward Korea among group with high liking for Korean Wave, however, the mediation effect of the reasonable dispute resolution is not significant among low group. Thus, it is prov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liking for Korean Wave is significant.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 한국 의료관광의향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윤성준(Yoon,Sung-joon),오몽순(Wu, Meng-chun)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2

        본 연구는 날로 성장하고 있는 한류문화컨텐츠 시장에 비추어 볼 때, 한류의 핵심수용국가 중 하나인 중국내 소비자들의 한국에 대한 의료관광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규명할 목적으로 한류에 대한 호감도가 국가 이미지, 한류스타동일시, 의료서비스품질의 세 매개변수를 통해 의료관광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 하였다. 본연구의 검중결과 첫째, 한류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호감도는 국가이미지 (경제 이미지와 관계이미지)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가이미지는 의료관광의향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 호감도는 스타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타동일시는 의료관광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셋째, 문화 호감도는 의료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의료서비스품질은 의료관광의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한류콘텐츠의 인기 요인, 소비 경로 및 효과에 관한 연구:인도네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문효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2

        The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advance into the Indonesian market, focusing on hallyu contents such as Korean dramas, music and movies. To this end, we have empirically explored the reasons why local people in Indonesia like Korean wave contents, its consumption channels, its popularity factors for Korean wave contents and its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reasons for the popularity of Korean wave contents were confirmed by the quality of the contents itself and the human appeal of the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path was mainly through television, and the favorable impression of Korean wave content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ve feeling toward Korea and the willingness to visit Korea. 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 음악, 영화 등 한류콘텐츠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도네시아 현지인들이 한류콘텐츠를 좋아하는 이유, 소비 경로, 한류콘텐츠에 대한 호감도와 그효과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한류콘텐츠의 인기 이유는 콘텐츠 자체의 품질과 해당 콘텐츠의 인적 매력도 등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소비경로는 주로 TV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한류콘텐츠의 호감도는 한국에 대한 호감도 및 한국에 대한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