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류스타가 국가 브랜드 이미지와 한국 제품 구매력에 미치는 실증 분석

        이제홍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15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중국, 베트남, 몽고, 필리핀 등 젊은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류 스타가 한국 국가 브랜드 이미지에 얼마나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한국 제품 구매력에 어떠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리고 한국 국가 브랜드 이미지가 한국제품 구매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한류스타가 국가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한류스타의 공연과 공손함이 한국국가브랜드에 영향을 미치며, 한류스타의 외모와 진정성 요인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스타가 한국 제품구매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한류스타의 외모, 한류스타의 공연, 한류스타의 진정성이 한국제품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며, 반면, 한류스타의 공손함은 한국제품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셋째, 국가브랜드 이미지가 한국제품구매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국가브랜드 이미지는 한국제품 구매력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외국 구매자는 한국이라는 국가에 대해 호의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지 않고, 단지 제품의 품질이나 브랜드에 의해 구매할 뿐만 아니라 한류스타의 영향에 의해 제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Wave Stars are getting popularity because of the refined image technique, the outstanding appearance, excellent grouping dancing and glaring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Korean brand image and Korea products purchase power effect by the Korean Wave(Hanllyu) Star. Especially, Korean Wave star factors of this study consisted in the star's appearance, star's performance, star's sincerity and star's humility. In this paper, I did a empirical study using survey. The statistical packages SPSS 22 program was used for the following statistical techniques. This study points out that Korean brand image is supported by Korean Wave star performance, humility, however, Korean brand image is supported by not affected by Korean Wave Star appearance, sincerity. and Korean product purchase power is supported by the Star's appearance, Star's performance, and Star's sincerity, however, Korean product purchase power is support by not affected by Korean Wave Star's humility. Lastly, Korean brand image have not positively effects on Korean product purchase power.

      • KCI등재

        한류 속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에 따른 스타일과 컬러 관련성

        한정아(Chung Ah Han),김시찬(Si Cha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2012년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세계를 강타하며 한류를 세계의 문화로 전파하고, 각광을 받으며, 경이 적인 기록과 함께 인기와 더불어 많은 패러디로 공감을 받았다. 본 논문은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에 내재되어있는 기존과는 차별화된 한류현상 속 싸이의 이미지 분석으로 스타일과 컬러의 연관성을 조명하였다. 단적으로 표현한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공통적인 “Dress Classy”는 옷은 클래식하게 정통적인 정장 슈트를 입고 “Dance Cheesy”는 춤은 모두가 즐겁게 유행이 될 수 있도록 우스꽝스럽고, 굉장히 가볍게 추는 모습을 전세계인들에게 시각적으로 강하게 어필하였다. 한류스타의 스타일과 컬러의 관련성을 연구목적으로 하여 기존 한류의 아이돌의 스타일과는 차별화된 유머와 코믹 안에 공존하는 즐거움과 유쾌함이 색채조화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분석해보았고, 화려한 색감의 부조화의 정장과 반복되는 가볍고 해학적인 몸동작에서 남녀노소를 즐기게 만드는 크로스오버의 포스트모던이즘적인 다양성과 차별성이 가미되어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문헌자료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류 속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에 나오는 모든 장면들을 캡쳐하여 가수 싸이의 이미지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여 독창적인 스타일 및 컬러조화에 관한 배색사례를 연관지어 내용분석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가수 싸이는 클래식과 댄디의 이미지컬러 코디네이션으로 정장을 기본으로 한 블랙 포멀슈트를 기본으로 화려한 색채를 가미시켜 우스꽝스럽고, 편안한 감정 속에서 디지털 미디어 시대 속에서 유행에 민감하고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하며, 변화와 유머에 민감한 전세계인들을 매료시켰다. 경쾌함, 편안함, 활기찬, 즐거움과 같은 형용사적 배색이미지와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유머와 위트로 많은 패러디와 플래스몹 등 후광효과로 전 세계인들에게 한류현상의 주역이 되어 기존의 주도되고 있던 한류 문화와의 좀더 차별화된 특징을 보이며 강남의 라이프스타일을 흥미와 유모로 구체적이며 보편화하여 상용화하였다. 패션스타일에 관해 가장 많이 고려 되어지는 시각적 디자인 요소인 컬러와의 연관성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관련성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댄디(dandy)와 클래식과 상반되는 이질적 요소를 크로스오버 (crossover)로 교차시키며, 재미라는 코드를 검정의 무채색 중심(neutral color), 밝고 비비드(vivid)컬러들을 매치하여 분리색(separation) 배색을 위주로 전혀 다른 분위기를 어울릴 수 있게 하는 배색기법을 사용하였다.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에는 모던과 클래 식에 밝고 비비드(vivid)한 컬러의 배색을 통해 즐거움이 내재되어 웃음 속에서 가볍고 경쾌한 배색을 완성하였다. 강남스타일은 불황기에 나타나는 대중의 독특한 소비 심리를 정확하게 꿰뚫고, 불안감 등이 원초적 자극을 갈망하는 대중들의 심리를 표현하며, 섹시와 유머에 말춤이라는 복고 요소가 결합되어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들로 투영돼 있다. Singer Psy propagated to the world through the Korean wave cultures around the world to hit the limelight in singing the Gangnam style with many parody of relating Psy & the Gangnam style in 2012. It is causing a lot of sympathy for the Korean culture. The Korean wave in the Psy differentiated image analysis of existing and inherent in the Gangnam style of singer Psy, style and color of the enlightening color harmony and association. Psy expressed Gangnam style which has common clothes in his suit authentic suit, classic dance all enjoyable fashion could be so ridiculous and really look lightly dance. The research method represents style and coordination to the strong visual appeal. The mind set of this dance is ``dress classy and dance cheesy`` Psy shows it doesn`t matter shape, size or K-Pop song choice, it can be done with embrace colourful accessories. Differentiated Post-modernism is shown to the such as crossover style compared to the existing the Korean wave leading Idols` went from the mode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ways. Gangnam Style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preading the Korean Wave to other countries and expressed by oneself various personality, character, and images through the beauty and fashion coordination color. It is based on the Korean culture and coloration images and airiness, comfort, fun and lively from the same adjectives that everyone can relate to the humor and wit of the world to a lot of parody and flash mob lead to the halo effect. Psy presents Gangnam style such as dandy image correlated with the heterogeneous elements that crossover expresses most about the fashion style is considered the relevance of the visual design elements of color and fin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fun, code-named neutral color to black and match the color of bright and vivid through the separated color coordination by coloration on the basis of fast fashion in the digital media era, and the pursuit of diversity and individuality. It has shown to the bright and vivid appearance of color in mixing up the modern and classic styles inherent joy, laughter, and light-hearted from cheerful color scheme was completed. Psy also did not overlook this part of through the music video code two such as sexy and humor. Gangnam style combines humor, sexy and retro as the slack of the public hearing socio-economic consumer sentiment has been projected.

      • KCI등재

        중국소비자의 한국 의료관광의향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윤성준(Yoon, Sung-joon),오몽순(Wu,Meng-ch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날로 성장하고 있는 한류문화컨텐츠 시장에 비추어 볼 때, 한류의 핵심수용국가 중 하나인 중국내 소비자들의 한국에 대한 의료관광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규명할 목적으로 한류에 대한 호감도가 국가 이미지, 한류스타동일시, 의료서비스품질의 세 매개변수를 통해 의료관광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 하였다. 본연구의 검중결과 첫째, 한류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호감도는 국가이미지 (경제 이미지와 관계이미지)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가이미지는 의료관광의향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 호감도는 스타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타동일시는 의료관광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셋째, 문화 호감도는 의료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의료서비스품질은 의료관광의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In the light of rapidly growing market for Hallyu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what causes Chinese consumers to intention to visit Korea for medical trorism. Th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preference for Hallyu influences medical tourismintentionthrough country image, Hallyu celebrity identification, and medical service quality. As a result, first the Chinese consumers’ preference for Hallyu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ountry image that consists of economy image and relationship image. On the other hand, country image was found not to exert impact on medical tourism intnetion. Second, Hallyu preference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elebrity identifica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medical tourism intention. Third, Hallyu preference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medical service quality, but medical service quality partially influencedmedical ourismintention. 본 연구는 날로 성장하고 있는 한류문화컨텐츠 시장에 비추어 볼 때, 한류의 핵심수용국가 중 하나인 중국내 소비자들의 한국에 대한 의료관광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규명할 목적으로 한류에 대한 호감도가 국가 이미지, 한류스타동일시, 의료서비스품질의 세 매개변수를 통해 의료관광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 하였다. 본연구의 검중결과 첫째, 한류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호감도는 국가이미지 (경제 이미지와 관계이미지)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가이미지는 의료관광의향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 호감도는 스타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타동일시는 의료관광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셋째, 문화 호감도는 의료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의료서비스품질은 의료관광의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In the light of rapidly growing market for Hallyu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what causes Chinese consumers to intention to visit Korea for medical trorism. Th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preference for Hallyu influences medical tourismintentionthrough country image, Hallyu celebrity identification, and medical service quality. As a result, first the Chinese consumers’ preference for Hallyu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ountry image that consists of economy image and relationship image. On the other hand, country image was found not to exert impact on medical tourism intnetion. Second, Hallyu preference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elebrity identifica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medical tourism intention. Third, Hallyu preference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medical service quality, but medical service quality partially influencedmedical ourismintentio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중국인들의 한류스타에 대한 동일시욕구 및 관광기념품 선택속성이 한류 스타 관련 관광기념품 만족도, 재구매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Ding, Jing-Yi,남윤재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level of the selective attribute of tourism souvenirs related to Hallyu stars and fandom and the desire for homogeneity for them affect purchasing behavior, including repurchase and friendly word-of-mouth behavior.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y and uniqueness of tourism souvenirs and the atmosphere,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of the store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However, the language, knowledge, and attitude of salespersons who sold of Hallyu star souvenir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Also, the desire to identify with Hallyu star fandom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for Hallyu star souvenirs. Furthermore, all optional attributes of Hallyu star tourist souvenirs and the desire for identification of fandom had a direct effect on word-of-mouth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s with Hallyu star tourism souvenirs, which have not been thoroughly covered in the previous research.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desire to identify with the fandom of Hallyu stars was studied together wi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satisfaction and post-purchase behavior is more significant than previous studies, which have mainly focused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m souvenirs. 본 연구는 한류스타의 이미지를 활용해 제작한 관광기념품의 선택속성과 한류 스타에 대한 팬덤으로 인한 동일시 욕구가 한류스타 관광기념품 구매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구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한류스타의 관광기념품의 품질, 독특함 그리고 점포 분위기 및 접근성은 구매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류스타 관광기념품을 판매하는 판매원의 언어, 지식, 태도는 구매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류스타에 대한 동일시 욕구도 구매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재구매 및 구전의도에 통계적으로 직접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많이 다루지 않은 한류스타 관광기념품을 소재로 다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관광기념품의 선택 속성에 주로 중심을 두었던 선행연구들에 비해 한류스타에 대한 팬덤의 동일시 욕구를 함께 연구하여 구매만족과 구매 후 소비행동과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 화장품 브랜드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 특성이 한류 스타 애착 및 브랜드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이수희 ( Su-hee Lee ),정갑연 ( Gap-yeon Jeong ) 국제지역학회 2016 국제지역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기업의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를 휴먼브랜드로 간주하고, 광고모델로써 휴먼브랜드의 특성인 신뢰성, 전문성, 매력성, 친밀성, 유사성, 호감성이 중국소비자들의 한류 스타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고, 애착을 가진 중국소비자들이 한류 스타가 광고한 한국 화장품 브랜드에 대해 한국 화장품 기업의 제품, 판매인, 기업 자체등을 포함하고 있는 진정성을 인식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총 1개월 간 중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화장품과 관련된 정보를 활발하게 공유하는 대표적 설문 조사사이트(http://www.sojump.com)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94부가 실증분석에 이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 화장품 기업의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의 특성 중 신뢰성, 매력성, 유사성은 한류 스타에 대한 중국소비자들의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전문성, 친밀성, 호감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류 스타에 대한 애착은 한류 스타가 광고한 브랜드 진정성 즉, 제품, 판매인, 기업 진정성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취할 수 있는 광고 모델 전략 및 자사 브랜드 진정성 구축을 위한 다양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iew Korean Hallyu stars, the advertisement models of Korean cosmetics brands, as human brands in the Chinese cosmetics market.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whether the attributes of human brands, such as reliability, professionalism, attraction, intimacy, similarity and favorable impression, affect Chinese consumers’ affection toward Korean celebrities, and whether such Chinese consumers recognize the authenticity of the products, sellers, and companies of Korean cosmetics brands advertised by Korean star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ndicated that among the attributes of Korean stars, the advertisement models of Korean cosmetics companies, Chinese consumers’ affection toward Korean stars was positively affected by reliability, attraction and similarity, but not by professionalism, intimacy and favorable impression. Furthermor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umers’ affection toward Korean stars positively affected the authenticity of the brands advertised by the celebrities.

      • KCI등재

        中國 인터넷에서의 韓流 傳播 效果와 그 發展

        박종연(Park Jong Yeon),巴丹(Ba Dan)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6 No.-

        韓流는 文化 現象이자 經濟 現象이며, 또한 傳播 行爲이면서도 經濟 行爲이다. 韓流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外延이 분명하지는 않지만, 그 지향점이 매우 분명하여, 문화와 그 요소가 제품에 녹아들어 있다. 즉 국가 이미지를 만들어 국가 브랜드를 확산시키려는 목적을 실현하여, 정치적인 도움이 얻고자 하는 동시에 경제적인 효과를 취하려고 하기에, 국가의 강력한 소프트 파워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적 특색의 문화 요소는 드라마나 영화, 노래, 게임 등의 콘텐츠 형식을 통해, 책임감 있고 개방적인 한국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었다. 韓流가 전파되기 시작하면서, 그 배후에는 국가적인 힘이 있었고, 이 주체적인 힘은 韓流의 傳播가 뚜렷한 公共 外交의 속성과 특징을 갖도록 했다. 본 논문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 인터넷에서의 韓流 관련리뷰 내용 등을 수집해 ‘韓流’의 傳播 效果에 관해 연구했다. 특히 중국 젊은이들의 韓流 전파에 대한 태도 변화와 그에 따른 문화적 영향을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韓流가 중국 인터넷에서 전파되는 과정에 어떠한 문제가 존재하는지를 연구했다. Korean Wave(韓流) is a cultural and economic phenomenon as well as influential behavior. Its direction that culture and its elements are incorporated into the product is very clear although the external influence of Korean Wave(韓流) itself is not clear. In other words, it is emerging as a strong soft power of the country because it seeks to achieve the purpose of spreading the brand of the country by creating a national image, to obtain political help and to achieve economic effects at the same time. Cultural elements with Korean characteristics have created a responsible and open image of Korea through content formats such as dramas, movies, songs and games. As the Korean Wave(韓流) began to spread, there was a national force behind it, and this independent force made the spread of Korean Wave(韓流) hav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public diplomacy. This thesis studied the propagation effect of Korean Wave on the Chinese Internet by collecting reviews related to Korean Wave on the Chinese Internet from 2016 to 2018. In particular, changes in the attitudes of Chinese young people toward the spread of Korean Wave and its cultural impact and based on this analysis, what problems exist in the process of Korean Wave spreading on the Internet in China have been studied.

      • KCI등재

        한류스타를 활용한 응원봉 제품 디자인 개발 연구

        박석훈,김진성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6 No.-

        Korean-Wave is currently facing changes into diverse areas and new growth indus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duct for in-depth Korean-Wave fans by using K-Beauty business with high potential value and K-Pop as the symbol of Korean-Wave in order to cope with the era in need of new cultural contents.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for design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Wave contents and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fragrance products market out of K-Beauty business, and also researched the products for in-depth Korean-Wave fans. Secon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setting up the direction, purpose, and contents of design in the planning of design. Finally, we suggested in the development of design such as 3D simulation and conducted the final design development through expert evaluation. The conten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increased interest and consumption of Korean-Wave contents, the continuous contents that could more strengthen them would be needed. Second, in order to build up new competitive brands by converging the rapidly-growing K-Beauty industry and K-Pop market, the direction and goal of product design for in-depth fans of Korean-Wave stars were presented. Third, through the development of lightstick product used for the communion between Korean-Wave stars and fans, the new cultural experiences and the diversity of K-Culture could be provided. This study could become a case of product development for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new industry and experiencing the diversity of K-Culture through the convergence of contents. 현재 한류는 다양한 분야와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문화콘텐츠가 필 요한 시대에 대응하여 잠재적가치가 높은 K-Beauty사업과 한류의 상징인 K-Pop을 활용하여 심층 한류팬을 위한 제품을 개발이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내용으로는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한류 콘텐츠 현황과 K-Beauty사업 중 향기제품시장의 발 전가능성을 분석하고 심층 한류팬을 위한 제품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둘째, 문헌 조사를 통해 디자인 기획에서는 디자인 방향 및 목적, 디자인 개발 내용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3D 시뮬레이션, 전문가 평가를 통해 최종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 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지속적인 콘텐츠가 필요하였다. 둘째, 급성장중인 K-Beauty사업과 K-Pop시장을 융합하여 새로운 경쟁력 있는 브랜 드를 구축하기 위해 한류스타의 심층 한류팬을 위한 제품 디자인의 방향 및 목표를 제시하였다. 셋째, 한류스타와 팬이 교 감할 수 있는 응원봉 제품개발을 통해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체험할 수 있고 한류 문화의 다양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콘텐츠간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한류문화의 다양성을 경험 할 수 있는 제품개발의 사례 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한국의 홍콩 스타 수용과 팬덤의 문화적 함의

        김정은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3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70

        홍콩 스타들이 한국의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력과 파급력은 매우 컸다. 본고에서는 한국에서 홍콩 스타들의 한국 수용과 홍콩 스타 팬덤의 문화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특히 1970년대부터 1990년대 한국에서 문화 아이콘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했던 대표적인 홍콩스타인 ‘이소룡’, ‘주윤발’, ‘장국영’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소룡은 한국에서 홍콩영화 속의 ‘배우’이자 ‘절권도’라는 무술을 구사하는 한 명의 ‘무술인(스포츠맨)’으로서 혼종적 정체성을 가지고 수용되었고, 그의 팬덤은 남성 팬들이 주요 구성원을 이뤘다. 주윤발은 나쁜 남자와 의리/순정의 사나이라는 이중적 이미지를 구축하며, 성별을 초월한 시대의 아이콘으로서 그의 팬덤은 남성과 여성 팬들을 모두 아울렀다. 장국영은 원조 꽃미남 스타로서 그의 사후에도 여성 팬들의 영원한 오빠로, 그의 팬덤은 여성 팬들이 주요 구성원을 이루고 있다. 이소룡과 주윤발의 남성 팬들은 여성 중심의 대중문화 팬덤에서 남성 팬들의 활동과 가능성을 구축했고, 주윤발과 장국영은 남성다움 만을 강조하던 기존 남성 스타들과는 다른 이미지로 한국의 남성 스타 수용에 다양성을 제공했다. 또한, 이들의 한국 수용과 그들의 팬덤은 한류스타의 초국적 활동과 한류 팬덤 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The influence and impact of Hong Kong stars on the landscape of Korean popular culture has been significant. This paper aims to scrutinize the acceptance of Hong Kong stars within Korea and to delve into the cultural implications stemming from the fervent fandom surrounding these personalities. Specifically, attention is directed towards Bruce Lee, Joo Yun-bal, and Jang Kook-young, three prominent Hong Kong stars who cemented their status as cultural icon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the 1970s to the 1990s. Bruce Lee gained acceptance in Korea embodying a hybrid identity, recognized both as an "actor" within Hong Kong cinema and as a "martial artist (or sportsman)" dedicated to practicing the martial art form of "Jeet Kune Do." His fan base primarily comprised male admirers. Zhu Yunbal fashioned a dual persona, characterized as both a rebellious figure and a paragon of loyalty and purity. As a gender-neutral symbol of his era, his fan base appealed to audiences encompassing both male and female admirers. Jang Kuk-young, recognized as the original flower boy star, retained a predominantly female-dominated fan following even after his demise. The male fans of Bruce Lee and Joo Yun-bal notably suggested the roles and potentials of male followers within a predominantly female-driven domain of pop culture fandom. Simultaneously, Joo Yun-bal and Jang Kook-young introduced a range of diversity to South Korea's reception of male celebrities by portraying images distinct from prevailing masculine stereotype. Their reception in Korea, along with their respective followings, significantly impacted the transnational activities of Hallyu (Korean Wave) stars and the evolution of Korean wave fandom culture.

      • 한국 화장품 브랜드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 특성이 브랜드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

        정갑연,이수희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기업의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를 휴먼브랜드로 간주하고, 광고모델로써 휴먼브랜드의 특성인 신뢰성, 전문성, 매력성, 친밀성, 유사성, 호감성이 중국소비자들의 한류 스타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고, 애착을 가진 중국소비자들이 한류 스타가 광고한 한국 화장품 브랜드에 대해 한국 화장품 기업의 제품, 판매인, 기업 자체 등을 포함하고 있는 진정성을 인식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총 1개월 간 중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화장품과 관련된 정보를 활발하게 공유하는 대표적 설문 조사사이트 (http://www.sojump.com)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94부가 실증분석에 이용되었 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 화장품 기업의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의 특성 중 신뢰성, 매력성, 유사성은 한류 스타에 대한 중국소비자들의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전문성, 친밀성, 호감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류 스타에 대한 애착은 한류 스타가 광고한 브랜드 진정성 즉, 제품, 판매인, 기업 진정성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취할 수 있는 광고모델 전략 및 자사 브랜드 진정성 구축을 위한 다양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