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미술에서 동시대 미술(컨템포러리 아트)이란 무엇인가: 비평적 담론에 대한 논고

        정연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3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6 No.-

        2015년 안팎을 기점으로 한국 미술에서는 ‘동시대(컨템포러리, contemporary)’라는 용어가 빈번하게 등장했다. 학계와 현장에서는 지금의 미술을 지칭하기 위해 현대 미술이라는 용어보다는 동시대 미술을 사용하여 ‘지금, 여기’를 더욱 면밀하게 다루는 동향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에 본 논문은 첫째, ‘동시대’라는 용어가 시간을 의미하는 정의로 한국 미술에서 비평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시점을 살펴보며, 언제부터 한국 미술의 ‘동시대’가 출발했는지 비평가들의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에 대해 비평한다. 동시대 미술이 모던 아트와 어떤 관계성 속에서 지속되고 또 단절되었는지, 동시대 미술의 태동을 시간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 비평가들의 시각과 글을 통해 우리는 동시대라는 용어가 시간성의 개념에 머물지 않고 점차 공간 개념으로 새로운 관계를 맺으며 확장하는 것을 살펴본다. 동시대 미술의 기원을 알려주는 전지구적, 아시아적 문맥과 전지구화, 비엔날레의 확산 등으로 인한 포스트콜로니얼 담론의 확장, 네트워크의 변화, 무엇보다도 한국에 들어선 새로운 제도적 장치와 다양한 전시 담론의 대두를 동시대적 변화의 조건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동시대는 시대착오적이며, 비선형적이고 비역사적인 혼종적 공간이자 관계적 네트워크를 형성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셋째, 현장과 뮤지엄, 큐레토리얼 실천에서 한국 컨템포러리 아트는 사전적 의미를 넘어 비평적 담론으로 자리를 잡아가는데, 동시대성이 글로벌 아트의 대두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 본 논문은 한국 컨템포러리 아트는 이제 세계 미술사를 재구조화할 수 있는 담론적 위치에서 새로운 의의를 찾아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한다. Commencing in the approximate year of 2015, the term “contemporary” embarked on a notable ascent in the realm of Korean art. Within academic, professional discourse, and critical examination, the expression “here and now” progressively emerged as a means to delineate art relevant to the contemporary era, in contrast to the established terminology of “modern art.” This shift in nomenclature signifies an emerging tendency towards a more intricate consideration of temporal dimensions in the realm of art. Consequently, this paper initiates an inquiry into the precise juncture in history when the term “contemporary” assumed a pivotal role in the context of Korean art, principally connoting a temporal concept. The analysis entails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critical texts authored by esteemed experts in the field, aiming to pinpoint the moment at which the term “contemporary” garnered significance within the twenty-first-century Korean art landscape. The primary aim of this investigation is to expound upon the genesis of contemporary art within the Korean art milieu and scrutinize its evolving interplay with modern art, discerning instances of continuity, disjunction, and negation. Furthermore, by looking into the perspectives and writings of critics, we can assess whether the concept of “contemporary” transcends its temporal confines and gradually extends to forge novel associations with the concept of space. This expansion is influenced by the global and Asian context that underpins the genesis of contemporary art. Factors such as globalization, the proliferation of postcolonial discourse through the propagation of biennales, shifts in networks, and, most notably, the emergence of diverse exhibition discourses all contribute to this transformative terrain. Through this analysis, it becomes evident that the contemporary manifest as anachronistic, non-linear, and non-historical hybrid spaces, establishing intricate relational networks. Moreover, in the realms of museums and curatorial practice, Korean contemporary art surpasses the constraints of its dictionary definition and assumes a position of critical discourse. This recognition acknowledges that contemporaneity is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the ascent of global art. Consequently, this paper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Korean contemporary art to unearth fresh significance within a discursive framework capable of reshaping the landscape of world art history.

      • KCI등재

        한국 동시대미술 속 군대 표상에서 드러나는 정치성 - 푸코의 권력이론을 통한 박경근, 서도호, 오인환의 작품 분석

        김영인(Youngin Arial Kim)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0 No.-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군대 표상에 관한 연구는 한국전쟁기(1950-1953) 혹은 1960-1970년대 군사정권시기에 제작된 작품을 집중적으로 다뤄왔다. 한국전쟁기의 군대를 묘사하는 작품은 주로 전장의 상황이나 전쟁의 참상을 재현하며, 기록적 성격을 띤다. 나아가 박정희 정부(1961-1979)의 주도로 만들어진 기념 동상이나 민족기록화 속의 군대 이미지는 해당 정권이 내세운 국가건설과 민족문화진흥이라는 테제를 반영한다. 위 두 시기의 작품에 대한 미술사적 서술은 비교적 축적되어 온 반면, 군 표상을 다룬 한국 동시대미술 작품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흔치 않다. 이 논문은 한국 동시대미술에서 발견되는 군대 표상의 정치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탈냉전 시대에도 여전히 휴전 중인 분단국가로서, 헌법에 국방의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남성 국민은 병역의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특수한 정치적 조건을 목도하거나 직접 경험한 동시대 미술가들은 다양한 형식의 미술실천을 통해 군대 표상을 다루어 왔다. 본고는 특히 박경근(1978- ), 서도호(1962- ), 오인환( 1965- )의 2000년대 이후 작품에서 군인, 군 조직, 병영문화, 군대문화 등 군대를 상징하는 이미지를 분석한다. 세 작가의 작품을 연구하는 데 있어 본고는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1926-1984)의 권력이론을 개념적 틀로 사용한다. 푸코는 권력이 사회제도와 결합하여 개인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방식에 천착했다. 본 연구는 푸코의 권력이론 중에서도 특히 그가 저서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1975)에서 논구한 규율권력 개념을 통해 박경근, 서도호, 오인환의 작품 속 군대 표상을 분석하고, 규율권력의 정치적 특성이 드러나는 부분을 규명한다. 정치철학 담론을 미술사 연구에 적용하고자 시도한 본 연구가 한국 동시대미술 작품 속 군대 표상에 대한 담론을 보다 확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delves into military images in Korean contemporary artworks, applying the theory of disciplinary power by French theorist Michel Foucault (1926-1984). It summarizes the history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disciplinary power and refers to them to analyze military images in the works of Kyung Kun Park (1978- ), Do Ho Suh (1962- ), and Inhwan Oh (1965- ). Identifying how they reflect the politics of disciplinary power, this paper also compares the artists’ varying perspectives regarding the disciplinary power in the army: ambivalent or critical.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zation (1910-1945), research on military images in Korean art has mostly focused on the two historical periods: the Korean War period (1950-1953) and the military regime in the 1960s and the 70s. Military images from the former period are mostly limited to those of soldiers and troops fighting in the battlefields. Public monuments and the National Documentary Paintings promoted by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1961-1979) consist of military images from the latter period. Heroic soldiers and battles won were frequently portrayed, reflecting the regime’s agenda of nation-building and the promotion of national culture. While research on the military images from these two periods has been accumulated, few are available on those in Korean contemporary art. This paper investigates this so far overlooked topic. As the Korean War has not officially ended since the ceasefire in 1953, all males over the age of eighteen in South Korea are required to complete their military obligation. Korean contemporary artists affected or inspired by these circumstances have incorporated military images representing soldiers, military organization, and military culture in their artworks. This paper examines the examples in the contemporary works of Kyung Kun Park, Do Ho Suh, and Inhwan Oh since the 2000s. Employing the political theory of power to interpret their artworks, it aims to expand the academic discussion on military images in Korean contemporary art.

      • KCI등재

        ‘역사화’ - 동시대 한국미술과 한국전쟁

        사이먼 몰리(Simon Morley),박미주(번역자),이예은(외),박소현(감수)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0 No.-

        이 글은 국립현대미술관이 개최한 《낯선 전쟁(Unflattening)》전(2020)을 간략히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 전시에 대한 나의 관심은 주로 한국전쟁의 유산에 대한 동시대 한국 예술가들의 반응을 다룬 섹션에 있었으나, 이런 관심을 좀 더 확장하여 동시대 미술과 전쟁에 관한 보다 보편적인 주제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나는 전쟁을 인지적 ‘평면화(flattening)’의 패러다임으로 간주하고, 어떻게 이미지나 이미지-언어의 혼합물이 전쟁을 덜 ‘평면화된’ 시점에서 인식하게끔 할 수 있는지를 질문하고자 한다. 전쟁의 재현에 관해 논의하기 위해서 나는 먼저 역사서술과 미술사가 어떻게 역사의식을 반영하는지를 살펴봤다. 그리고 ‘역사화’라는 장르를 논하되, 전쟁을 포함한 최근의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모든 예술에까지 그 의미를 확장시켰다. 그리고 나서 다시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로 돌아와 동시대 한국 예술가들의 작품이 한국 전쟁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나의 주장은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한국전쟁에 관한 전시는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불가피한 곤경에 처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한 동시대 미술의 일반적인 양식적 관행이 전쟁과 같은 트라우마적 사건을 당대의 징후들 속에서 다룰 때 특히 문제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I first present an abbreviated overview of the exhibition Unflattening which was recently at the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My interest in this essay is primarily on the sections of the exhibition that involves Korean contemporary artists responding to the legacy of Korean War, but I extend this remit to consider some more general issues concerning contemporary art and war. I consider war as a paradigm of cognitive ‘flattening’, and ask how images and image-word hybrids can help us perceive war in general from a less ‘flattened’ vantage point. I make a short detour into historiography and art history in order to discuss representations of war and how they reflect historical consciousness. I discuss the genre of ‘History painting’, and extend its meaning to include all art that engages with recent historical events, including war. I then return to the exhibition at the MMCA to consider how the works by the contemporary Korean artists can aid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I argue that inevitably an exhibition about the Korean War in the Republic of Korea today is hobbled by the fact that the conflict continues, albeit it at a now diffuse level. I also argue that the stylistic conventions of contemporary art in general can prove problematic when dealing with an event as traumatic as war, especially in its contemporary manifestations.

      • KCI등재

        대량 이미지 시대와 동시대 미술 현장의 변화

        문혜진(Mun Hye Jin)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2 No.-

        본 논문은 이미지 범람으로 묘사되는 동시대 이미지 환경과 상관관계에 기반한 통계학적 패턴의 알고리즘 통치학이 동시대 미술현장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미지의 폭증은 이미지를 보고 선택하고 재구성하는 감각, 이미지 분석과 해석에 필요한 개념 및 방법론, SNS 등 온라인 플랫폼의 작동 방식, 이미지의 생산·유통·수용과 관련한 프로세스, 제도적 승인 절차와 가치 부여 체계 등 동시대 미술현장의 전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미지의 양적 증가는 데이터의 빈도, 상관도, 선호도 등 계측 가능한 수치로 가치를 부여하는 양의 논리가 콘텐츠의 내용에 기반해 가치를 부여하는 기존 미술장의 질의 논리에 빠르게 침투하고 있음을 가리킨다. 이 글은 동시대 한국미술 현장을 대상으로 대량 이미지에 기반한 양의 논리가 새로운 프로토콜을 창출하고 기존 미술의 가치체계를 전환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논의는 구체적으로 세 가지 갈래로 진행된다. 먼저, 최근 미술 시장을 강타한 NFT가 자유로움과 투명성, 물성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여러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미술의 개념과 얼마나 상이한 지반에 기반해 있으며 정보 자본주의적 관점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는 크게 원본성, NFT의 지반 및 구조, 플랫폼자본주의와의 관계, 자본가치가 생성되는 방식의 네 가지 관점에서 분석된다. 다음으로, 2010년대 이후의 한국미술계가 대량 이미지와 데이터자본주의 역학에 연루되기 시작한 시점과 방식을 살펴본다. 이는 일종의 양의 논리가 질의 논리를 압도하게 만든 로 데이터로서의 작가 수의 증가와 이렇게 발생한 대량 이미지를 생산 및 유통, 평가하는 새로운 프로토콜로서의 SNS 정치로 시작된다. 이 과정에서 2015년 즈음 대두된 신생공간 및 이들의 연합전이자 아트페어 《굿-즈》는 핵심적 역할을 한다. 신생공간은 발생계기부터 인정의 추동력과 이후 미술계에 끼친 구조적 변화까지 대량 데이터와 직결되어 있다. 신생공간을 추동케 한 구조적 원인은 작가 수 증가에 따른 제도적 소외고, 이들을 하나의 흐름으로 미술계에 알리고 변화를 일으킨 물리적 동력은 스마트폰과 SNS다. 이를 통해 장을 움직이는 작인과 작동방식이 변화한다. 마지막으로 살펴보는 것은 이와같은 프로토콜의 변화가 보다 심층적 차원에서 미술의 가치체계를 전환하는 측면이다. 생물학적 용량을 초과한 전시/이미지의 양은 각자의 관심사에 따른 원자화된 경험만을 가능케 하며, 이는 동시대 미술 현장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공동의 지반을 사라지게 만든다. 이 같은 측면은 관조로 대변되는 개별성과 독창성, 유일무이성에 기반한 질적 가치체계가 흔들리기 시작했음을 뜻한다. 이와 관련해 크게 네 가지 관점에서 가치 체계의 변화를 분석한다. 선별기준의 타당성, 승인 원리의 변화, 비평과 담론의 소멸, 참석과 홍보의 경제가 그것이다. 이 모든 것에 작용하는 원리는 가장 좋은 것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제일 많이 회자된 것이 제도의 선택을 받는 검색 엔진의 논리다. 중요한 것은 차이를 오류로 인지하고 동질적 조화와 합의를 상정해 갈등을 삭제하며 차별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만드는 알고리즘의 역학이 다름과 무용성을 비판적 성찰을 위한 토대로 활용해 온 미술의 토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숙고하는 것이다. This essay analyses the shifts 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that are prompted by contemporary condition of images characterized by its overflow and algorithm governmentality based on correlational statistical patterns. The quantitative soar of image is influencing every dimension of contemporary art, ranging from the sense of accepting, selecting and reconstructing images; concepts and methodologies required for it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modus operandi of online platforms including social networks; the process related to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reception of image; to procedures of institutional approval and systems of value attribution.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images indicates how rapidly the logic of quantity––that assigns value based on measurable numbers including data frequency, correlation and preference––is permeating into the logic of quality in the existing art field that attributes value conforming to the quality of contents. This essay proposes that the logic of quantity based on mass image generates new protocols and induces shifts to the conventional value system within contemporary art fields in South Korea. The discussion will be forked to three specific considerations. Firstly, regardless of how non-fungible token (NFT) suggests diverse possibilities of freedom, transparency and liberation from materiality, I will observe how its boom in the art market is anchored to a ground incompatible to previous concepts of art and how it operates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capitalism. This will be analysed from four angles: the question of authenticity, the terrain and structures for NFT, its relation to platform capitalism and the modes of generating capital value. Secondly, I will examine the timeline and ways in the South Korean art scene, as it started engaging with the dynamics of mass image and data capitalism in the 2010s. This began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artists as raw data, kind of representing the logic of quantity overwhelming the logic of quality, as well as the politics of social networks as a novel protocol producing, circulating and evaluating mass image that resulted from such increase. During this process, the rise of young project spaces around 2015 and their co-organized exhibition and art fair GOODS (2015) played a key role. These independent spaces are directly proximate to mass data, in terms of their founding motivations, catalyzed by the desire of recognition and responded by their influence on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entire art scene. The structural cause that motivated those project spaces was the generation’s institutionalized exclusion due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artists, while the physical impetus that established them as a new wave and triggered shifts in the art scene was facilitated by smartphones and social networks. By means of these, the agencies and modes of operating the field could undergo changes. Lastly, I will investigate the aspect of how such changing protocol shifts the art value system from a more fundamental dimension. The amount of exhibitions/images exceeding the quantity of biological perception enables only atomized experiences as per individual interests,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common grounds for discussions about the fields of contemporary art. This aspect shows that the system of qualitative values, which used to be based on individuality, uniqueness and originality advocated by contemplation, has started shaking. In this regard, I will scrutinize the shifts in the value system predominantly from four perspectives: the validity of selecting criteria, the change in the principles of approval, the decline of criticism and discourses, and the economy of presence and promotion. The basic principle applying to all this is the epistemology of search engine, according to which only the most often-repeated is selected by the institution, rather than the best in quality surviving. At this point, it will be more c

      • KCI등재

        현대한국채색화의 네오팝 경향과 의미

        허나영(Nayoung HUR)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5

        현대한국채색화에서 네오팝 경향의 작품은 대중문화의 이미지와 한국 전통을 순수예술의 시각으로 결합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작품의 특성을 알아보고, 현 시대와 미술교육에 있어서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팝아트와 다르게동북아시아에서 이루어지기 시작한 네오팝의 특성을 일본비평가 사와라기 노이의 논점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네오팝과한국채색화가 접목되는 방식을 전통적 요소의 차용과 현대적 요소들의 혼종이라는 특성을 중심으로 한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 작품들은 전통을 그대로 계승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현대한국인들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소재들과 기법, 조형적 요소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특성을가지고 있다. 이러한 작품을 통해 한국채색화의 가치를 재발견하였고 또한 더 이상 중심과 주변의 이중적 문화는 존재하지않는다는 동시대 미술의 관점에서 그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더 나아가 전통문화와 현대적 방식의 결합이라는 측면에서, 현대한국채색화의 네오팝적 경향의 작품들이 디지털매체나 대중매체에 익숙한 학생들이 한국의 문화적 맥락을 기반으로 주변의것들을 더 들여다보고 창의적인 예술 활동을 해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contemporary Korean color paintings, Neo-Pop s works have combined images from popular culture and Korean tradition with visual art.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works and considered their meaning in the current era and art education.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Neo-pop were looked at, as they began in Northeast Asia, unlike pop art. Also, how Neo-pop and Korean color paintings are grafted was studied, with specific works that used traditional elements and mixed modern elements. Rather than focusing on inheriting tradition, these works used materials, techniques, and formative elements that contemporary Koreans can fully sympathize with. Through these works, the value of Korean painting was rediscovered and its meaning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art that there is no longer a dual culture around the center and surroundings. Furthermore, in terms of combining traditional culture and contemporary methods,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who are familiar with digital media or mass media will be able to take a closer look at their surroundings and engage in creative artistic activities based on the cultural context of Korea.

      • KCI등재

        신학철의 <한국현대사-초혼곡> 연작(1994-5)과 ‘5월 광주’의 동시대화

        유혜종 현대미술학회 2021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5 No.2

        Best known for his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 series, critical studies on Shin Hak-chul’s artworld have been limited to his 1970-80s artworks. To remedy this situation, this paper will discuss his 1990s artworks by mapping out his artistic problematics and sociopolitical realities he faced during the period. This paper will pay particular attention to Shin Hak-chul’s 1994- 5 Chohongok(Invocation of the Spirits of the Dead) series which deal with the Gwangju Uprising in 1980. This paper argues that by embracing the politics of mourning and remembrance in the 1990s, Shin attempts to preserve and remember the legacy of the prodemocracy movement of the 1980s which was rapidly forgotten in the new reality. In the process of engaging with the politics of mourning and remembrance, this series forged a new artistic practice as well as a new form of ‘aesthetic politics.’ 대표적인 민중미술 작가 신학철의 미술 세계에 대한 논의는 1970년대 모더니스트 작품과 1980년대의 <한국근․현대사> 연작으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미술사적 담론에서 조명받지 못하였던 신학철의 90년대 미술 작업의 복합성을 그려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특히나 신학철의 90년대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1994-5년 <초혼곡> 연작에 주목할 것이다. <초혼곡> 연작에서 그는 90년대의 시대적 상황이 요청하였던 애도와 기억의 정치를 형상화함으로써 소멸되어가던 민주화 운동의 유산을 지키고 기억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그가 어떻게 새로운 미술적 실천, 새로운 ‘예술적 정치성’의 양식을 제시하였는지 논의한다.

      • KCI등재

        동시대 한국조각에 나타난 매체적 특성 연구

        김석 ( Suk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20세기 후반 미술의 흐름에 있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아래 다원주의와 절충주의와 같은 이념이 지배적이었다. 이런 문화현상으로 인해, 미술의 영역 구분은 허물어 졌고 또한 모호한 표현방식과 다양한 주제표현으로써 탈 장르화 되었다. 주제 면에서도 포스트모더니즘이 지향한 탈 숭고의 역사해석이 이루어졌으며 지역주의의 반영, 인간의 일상성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펼쳐졌다. 표현 수단인 매체역시 매우 빠르게 변모하였는데, 기존의 전통적 표현매체에서 탈피하여 혼합매체를 비롯한 사진, 비디오, 오디오와 같은 매스 미디어 등도 직, 간접적으로 활용되었다. 20세기 후반 한국의 미술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념과 동일한 맥락아래 기존의 미술적 양상과 표현방식을 새롭게 해석하기 시작했다. 특히 조각가들은 매체에 주목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적인 방식의 조각형식은 재료의 한계를 극복하며 표현성을 극대화시키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이 시기를 기점으로 동시대 조각에서 새롭게 주목하게 된 매체 사용방식과 표현적 특성을 연구목적으로 한 논문이다. 2000년대 이후 동시대 한국조각에 나타난 매체적 속성과 개괄적인 조각의 흐름을 살피게 된 것은 위의 내용들이 계기가 되었다. 연구자는 인터넷 검색과 미술문헌연구 그리고 작품비평, 작가 연구 등을 통한 연구방법을 수단으로 하여 매체와 조각과의 표현성에 주목하였다. 결론적으로 금속재료의 변화, 사물 오브제의 적극적 활용 그리고 사진매체의 확장은 필연적인 특성이었다. In the way of a art stream of the late 20th century, an ideology like pluralism and eclecticism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was dominant. By this cultural aspect, a demesnial part of an art was demolished and decategorized to an ambiguous expressional mode and various thematic expression. In the theme, also a historial interpretation of a desertion from a sublimity that a post-modernism aims is made, and was spaciously unfolded until a reflection of regionalism, a dailiness of human, etc. A medium of expression means also was speedily changed very well, a mass media like photograph, video, audio, etc including a mixed Media away from traditional expression medium also were direct and indirectly utilized. A Korean art of the late 20th century newly started to interpretate an artistic aspect and an expressional mode of a existing under the context like ideology of post-modernism. Especially, sculptors begun to pay attention to at medium. A sculptural form of traditional mode started to maximize an expressivity with overcoming a limitation of material. This search is a treatise that studies a medium using mode and an expressive quality newly to be noted at the start this time. this researcher has been looked a medium attribute and a stream of general sculpture expressed at a contemporary Korean sculpture since the 2000s because these contents served as a momentum. This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an expression of medium and sculpture by means of a researching method through an internet surfing, art reference research and work criticism, worker research, etc. Resultingly, It was an inevitable characteristic that expansion of photograph and assertive use of Ready-made, transition of metallic material.

      • KCI등재

        민중미술 연구사

        유혜종(柳慧宗) 한국미술연구소 2020 美術史論壇 Vol.- No.50

        Minjung art is considered a critical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Korean art. Ref lecting its significance, this essay delineates a history of studies on minjung art based on common problematics and methods of analysis which many art historians and critics shared since the 2000s. Although this essay focuses on the literature on minjung art after the early 2000s, it also looks into art critiques, exhibitions and art history writings produced during the period of the 1980-90s as they provide basic frameworks and concepts for the discussion of minjung art in the current scholarship semicolon; yet the studies after the 2000s have expanded the earlier discussions to a great extent while bringing new and diverse perspectives on this art movement. While discussing the unfolding of studies on minjung art, this essay also attempts to demonstrate that these studies ultimately are intertwined with the objective of rewriting and reconfiguring contemporary Korean art history. At the same time, this essa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riting minjung art in a global perspective, thereby going beyond the national boundary of Korean art.

      • KCI등재

        ‘연결접속(connection)’으로서의 전통과 동시대 미술

        강지은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3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9 No.1

        본 연구는 전통에 연원을 둔 한국화의 의미를 한국 동시대 미술로서 재고하고자 한 시도이다. 전통의 수사학으로 인해 과거로 회귀하는 한국화의 경향들은 동시대 미술에서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한국화 작가들이 매체를 다양화하며 외연을 확장할 뿐 아니라 전통을 새로운 경험으로 받아들이며 활용하고 있음에도 전통과는 영원히 결별할 수 없는 것이 한국화의 숙명이다. 이에 연구자는 장자의 철학을 해체이론의 관점으로 읽어보고, 이를 한국화를 해석하는 새로운 미적 가능성으로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요유의 세계를 통해 한국화의 매체와 작가의 조형 의식을 전통과 연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통을 읽는 방식을 새롭게 제시하고, 한국화의 경계를 확장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