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근대사 교육의 쟁점과 과제

        김한종(Kim, Han-jo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6

        이글에서는 한국근대사 교육의 쟁점과 과제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한국근대사 교육의 쟁점으로는 세계사적 맥락을 강조하는 한국근대사 이해 방법, 틀에 박힌 근대사의 체계와 학습 방안, 한국근대사 연구성과의 학교 역사교육 반영, 한국근대사 인식을 둘러싼 사회갈등을 들 수 있다.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는 세계사적 맥락에서 한국근대사를 이해할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한국근대사와 세계사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는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다. 교과서에서 한국근대사에 영향을 미친 서구 국가들의 정책이나 세계적 상황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교과서나 교실수업에서 다루는 한국근대사의 체계는 1970년부터 현재까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 한국근대사 연구성과는 한국사교과서에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 그러나 교과서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역사적 사실이 집필기준이나 교과서 검정과정에서 달라진다. 한국근대사 인식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은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다. 문호개방과 개화정책의 평가, 식민지 근대화론을 둘러싼 논란, 이승만의 독립운동 등은 논란이 되고 있는 주제들이다. 한국근대사 교육의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내용을 재구성해야 한다. 한국근대사 교육내용을 재구성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사 내용체계를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한국 근대사회가 지향했던 국가나 사회상을 기준으로 근대사의 전개과정을 이해하는 연구서나 한국사 연구성과를 정리한 역사입문서의 단원구조를 이 작업에 참고할 수 있다. 둘째, 학습내용의 요소를 조정해야 한다. 근대사 내용체계를 구조화하고, 이해를 위한 스토리라인을 마련한 다음, 이에 적합한 사실을 선택해야 한다. 셋째, 근대사의 일부 학습내용을 보완해야 한다. 생활사, 민족운동과 민중운동, 사회적 소수의 역사를 학습해야 한다. 사실지식 중심의 역사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역사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는 역사교육 전반의 과제이지만, 한국근대사 교육에서 특히 필요하다. 한국근대사 교육이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하려면, 다양한 행위선택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역사적 상황에 대한 판단과 의사결정을 경험하는 역사수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근대에 일어난 역사적 사실이나 근대사 자료를 다원적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수업을 해야 한다. 동일한 역사적 사실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서술한다든지 대비하여 평가를 하고, 비교하는 것도 비판적 사고에 도움이 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issues and tasks of Korean modern history teaching and to suggest some strategies for developing it. Main issues of Korean modern history teaching are as follows: understanding method of Korean modern history contextualized in world history, routine framework of Korean modern history and its learning method, applying research results of Korean modern history to school history, social conflict around to recognizing Korean modern history.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emphasize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for understanding Korean modern history.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of interconnecting with Korean modern history and world history among history textbooks. The content on the policy of Western states and world context is not involved in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Next, the framework of Korean modern history in history textbook and history classroom has little changed since 1970s. History textbooks accepted many research results of Korean modern history.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extbooks, and the description of same historical facts changes according to writing guideline and through the course of authorizing textbook. Social conflict around to recognizing Korean modern history has political nature. The evaluation on the opening of a port and the enlighment policy, colonial modernity controversy and independent movement Lee, Sung-man are hot issues in Korean modern history. We should firstly reorganize learning contents to solve these problems on Korean modern history teaching. Some strategies to reorganize learning contents of Korean modern history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restructure content framework of Koran modern history. We can refer to handbook for studying Korean history and research book which try to understand the developing course of modern times based on state vision. Second, we should control elements of learning contents. We should structure contents of Korean modern history at first, construct sdtoryline for understanding them next, and select historical facts suitable to them last. Third, we should make up for learning contents, for example, history of nation movement, people movement and the minority. It is important to transform from knowing historical facts to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of history education. Critical thinking is necessary for learning Korean modern history. History teacher provide various experiments of act to develop students" critical thinking. Students should judge historical circumstance and select decision-making in history classroom. History teacher should make history classroom for students to think modern historical facts or documents with multi-perspective. It is desirable for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to describe the same historical fact with other’s perspective, and compare and then evaluate its results.

      • KCI등재

        한국미술사 정립을 위한 근대미술관 설립의 필요성 - 외국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병식 ( Choi Byung Si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4 No.-

        한국미술사에서 고·근·현대와 당대를 역사적 맥락으로 고찰하고 연구해가야 한다는 것은 기초적이고 당연한 역사관이다. 그러나 한국의 현실에서는 실물을 대할 수 있는 상설전 중심의 미술사적 미술관이 존재하지 않아 많은 한계가 노정되고 있다. 현재상태에서 미술사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도 중요하지만 실물을 중심으로 한 미술관의 필요성은 미술사외에도 국가의 정체성 확립과 여러 파급효과에도 핵심적인 사안이다. 이 논문에서는 미술사적 한계와 국립근대미술관 설립에 대한 당위성을 기술하였으며, 외국의 선진사례를 통해 보다 대안을 제시하는 ‘현장학문’을 시도하였다. 2장에서는 특히 한국근대미술사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네 가지로 요약하고, 국가적 차원의 정체성확립, 글로벌 진출을 위한 핵심적인 교두보로서 역할 등을 중심으로 국책성격 근대미술관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3장에서 유럽과 미국, 일본 등지의 주요 사례를 공공미술관, 근대로 제한하여 연구하였다. 외국의 사례에서는 대부분의 선진 국가들이 고대와 근대, 현대의 영역을 다양한 형태로 나누고 있으며,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본 논문의 핵심 주제인 한국근대미술관 설립을 위한 대안을 집중적으로 기술하면서 사례로 다소 비교대상이 될 수 있는 일본의 사례와 중국의 전략 등을 살펴보았다. 이로서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대안을 모색하였으며, 역사성있는 상설전을 핵심으로 하는 국립근대미술관을 우선으로 하여 국립한국미술관 등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在韓國美術史上, 將古代, 近代, 現代和當代在歷史背景下審視和硏究, 就是最基本和自然的歷史觀。然而, 韓國的現實存在諸多局限, 因爲沒有可以看到實際作品的以永久性展覽爲中心的專注于美術史的美術博物館。在現在的狀態下, 美術史硏究人員的硏究成果也很重要。然而除了美術史之外, 以實際東西爲中心的美術館必要性是建立國家身分及其擴散效應也是關鍵問題。在此文描述了美術史的局限性, 以及爲了建立韓國國立近代美術館的必要性, 幷通過國外先進事例, 試圖了‘現場學問’來更提出替代方案。 第二章, 從四個方面總結了韓國現代藝術史的眞正問題, 提到了包括國家級的近代美術館的必要性。以確立國家級的整體性和全球進步的關鍵的作用爲中心。第三章, 論者主要關注歐洲, 美國和日本的重大事例, 幷將範圍限制在公共藝術博物館。就在國外而言, 大多數先進國家以各種形式分爲古代, 近代和現代地區, 幷可以理解它他們已經獲得了專業知識。 第四章, 尤其是作爲本文的核心主題, 着重敍述了建立韓國近代美術館的替代方案。作爲一個代表性的例子, 硏究了日本的情況和中國的戰略, 而可以相互比較。最后尋找了與韓國的比較和另一種選擇。首先考慮包括其歷史特色的永久性展覽的國立近代美術館, 幷提供了國立韓國美術館作爲替代。

      • KCI등재후보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정다함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사이 Vol.8 No.-

        Up until this point, the early Chosŏn period has taken on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historical framework of linear development found in the “Korean history(Han’guksa)” or “National History of Korea(kuksa)” established in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In general, the Chosŏn period has been viewed in Korean history as a period full of unprecedented development and change, which enabled Korean historians to define this period as a early modern one that marks the evolution in Korean history from the feudal (chungse) period to the modern period(kŭndae). These developments and changes, which were thought to be clearly evident when using this view of history, were believed to be the unique origins of the Korean nation whose modernity had originated from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modernity that took place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This view of history enabled Korean people to imagine the early Choson Dynasty as a prototype of the modern Korean nation-state that contributed to the nation-building process of Korea. This research demythologizes the still dominant nationalist arguments about the early Chosŏn period found in modern Korean historiography(as outlined above)-efforts made to territorialize the modernity of the Korean nation by setting the origin of Korean modernity in the “unique” traditions of the premodern era. Through reveal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arguments about the early Chosŏn period―which were thought to signify such evolution steps in Korean history as the transformations from the irrational to the rational, from aristocracy to bureaucracy, from mystical knowledge to empirical science, from despotic monarchy to people-oriented politics, and from Sinocentrism to unique Koreanness―this research argues that what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has highlighted as sprouts of early Korean modernity that emerged from Korea’s own soil, is in fact the modern invention of Korean historiography which has been modeled after the historical models found in Western and Japanese historiography. 현재의 ‘한국사’ 혹은 ‘국사’의 체계 속에서, 조선전기라는 시기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세’에서 ‘근대’를 향해 발전하는 도상에 있는 ‘근세’로 설정되고 있는 이 시기는 세종대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사’ 상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발전’이 출현했던 시기로 이해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발전’과 ‘변화’들은 현재까지도 서구와 일본을 통해 근대적 문물이 들어오기 이전에, 이미 근대 한국의 근대성이 발원되고 있던 고유한 기원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근대 국민국가인 대한민국의 원형과 같은 이미지로 이해되면서, 근대 국민국가 창출과 유지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시각과 이를 통해 파악되고 재현된 조선전기의 역사상은, 당대의 맥락 속에서 조선전기의 역사를 재구성한 것이 아니라, 사실 서구 혹은 일본을 통해서 들어온 근대성을 보편적 기준으로 삼아 그와 비슷한 것을 ‘한국사’ 속에 설정하려는 근대 국민국가의 시선과 기획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었다.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자신의 근대성의 기원을 그 고유한 전통 속에서 찾아내려 했던 노력 속에서 만들어진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朝鮮時代像), 즉 비합리적인 것에서 합리적인 것으로, 귀족제적인 것에서 관료제적인 것으로, 미신적인 것에서 경험적 지식으로, 전제적인 정치에서 민본적인 정치로, 중국적인 것에서 조선적인 것으로의 ‘변화’ 혹은 ‘발전’으로 규정되어 온 이 시기의 역사상이 매우 통국가적(transnational)으로 구성된 것임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이 시기의 역사상이 한국 근대성의 고유한 기원임을 주장해 온 ‘한국사’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이는 서구로부터 발원하여 일본을 통해 전해진 근대성을 보편적 기준으로 해서 마련된 근대 국민국가 기획의 구성물이었으며, 때문에 그러한 기획과 그 결과물 속에 ‘한국사학’이 저항의 대상으로 삼았던 제국주의의 논리와 영향이 내면화되어 있다는 점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특히 조선전기라는 시대상이 어떤 과정을 통해 ‘중세’보다 ‘근대’에 더욱 가깝게 접근한 ‘근세’로 파악되었는가를 살펴보고, 그러한 위치에 맞는 역사상을 구성하기 위해 ‘한국사학’이 그간 강조해 온 주요한 개념과 주장들, 즉 ‘양반관료국가’, ‘중인’, 세종대 ‘과학기술 및 문화의 발전’, ‘사대’와 ‘교린’ 등을 학설사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사’라는 체계가 어떠한 논리에 입각해서 어떠한 세부적인 연구영역에서 구체적인 연구성과를 축적하면서, 조선시대와 관련된 현재의 역사상과 연구지형을 만들었는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그 ‘가까운 기원’을 드러내고 대안을 모색하려 한다.

      • KCI등재

        한국학의 근대성 고찰

        이지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6 No.-

        The origin of Korean studies originated from the modern attribute of the recognition and explanation of nations and ethnic units in relation to others in the world.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Korean studies as a product of modernity and to examine its modernity. Here, I would like to think about the modernity of Korean Studies from three perspectives. The first is the linkage of making East Asian modern cultural identity. Second is the universality of the birth of National Studies in the world’s modern academic history. Third is colonialism and ideological and practical concerns about it. Since the 19th century, East Asia has been battered by a Western-led world system. Korea, like other East Asian countries, tried to create a nation-state and a modern subject who did not give up its Asian identity while accepting Western modernization as the trend. At this time,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shared the translation of ‘國 粹’ and showed the intellectual linkage that creates the cultural identity of modern nations and peoples. Modern Korean Studies was born with the practic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history in connection with such common historical and East Asian commonalities. Understanding the formation of modern Korean studies as the linkage of East Asia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establishing the status of modern Korean studies as a world historical and East Asian frame. Since 1910, Korea has become a colony of Japan, becoming part of the Japanese Imperial Area and undergoing globalization under colonial coercion and regulation. Colonial and anti-colonial Korean studies have been in competition. Several signifier are used in a single signifiant, and signifiant related to ‘Chosun Studies’ and ‘Korean tradition’ are used for various signifier. Considering these points, grasp of meaning needs to be subdivided and solidified. Only then will the contents and academic systemization of modern Korean academic history of Korean Studies change and develop through the colonial period. This is also related to the progress of Korean studies in restoring various modern subjects. Just as cultural diversity and identity should be applied normatively as a basis for human coexistenc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modern Korean studies needs to be extended to reveal the identity of various modern subjects. This is a perspective and methodology in which modern Korean studies aims at modern and opens up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modern. 한국학의 탄생은 세계 속에서 타자와의 관계가 국민국가나 민족단위로 설명하는 근대의 속성에서 비롯되었다. 이 글은 19세기 말-20세기 전반기를 한국학의 성립기로 보고, 한국학 성립에 작동한 근대성(modernity)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한국학의 근대성을 3가지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첫째는 동아시아적 근대 문화정체성 만들기이다. 둘째는 세계 근대 학술사에서 자국학(National Studies) 탄생의 보편성이다. 셋째는 식민주의와 그에 대한 사상적⋅실천적 대응이다. 19세기 이래 동아시아는 서양이 주도한 세계체제에 의해 타자화되었다. 한국은 다른 동아시아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서구적 근대화를 대세로 받아들이면서도, 아시아의 정체성을 포기하지 않은 국민국가와 근대 주체를 만들고자 했다. 이때 동아시아 3국은 ‘國粹’라는 번역어를 공유하며 근대 국가⋅국민의 문화정체성을 만드는 지적 연동성을 보여줬다. 한국학은 세계사적⋅동아시아적 공통점과 연동되어 한국근대사의 실천적⋅사상적 특징을 발휘하며 탄생했다. 한국학의 형성을 동아시아와의 연동으로 파악하는 것은 세계사적⋅동아시아적 프레임으로 한국학의 위상을 설정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한국학은 세계 근대 학술사에서 자국학(National Studies) 탄생의 보편성을 갖는다. 근대 국민⋅국가의 정체성을 만들기 위해 전통을 ‘창출(invention)’하고, 국사⋅국어 등 ‘자국문화(national culture)’를 체계화하는 것은 근대 민족(국민)주의 시대 학술사의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한국에서 근대 국민국가와 국민의 정체성 만들기의 시도는 일제 강점 이전 국어, 국사 등 자국학의 모색으로 시작되었고, 그것은 독립된 국민국가 지향의 문화정체성 만들기였다. 1910년 이후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가 되면서 일본 제국 지역(Japanese Imperial Area)의 일부가 되어 식민지적 강제와 규정을 받는 글로벌화가 진행되었다. 식민과 반식민의 한국연구가 경쟁하는 상황이 되었다. 하나의 기표에 여러 기의가 사용되기도 하고, ‘조선학’ ‘조선전통’과 관련한 기표들이 다양한 기의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일제시기 사상적⋅실천적 경향과 연계하여 ‘조선학’의 세분화⋅입체화가 필요하다. 그렇게함으로써, 식민지시기를 거치며 변화 발전한 한국학의 근대 한국 학술사의 내용과 학문적 체계화가 풍부해 질 것이다.

      • KCI등재

        사전과 번역과 현대 한국어문학, 고유한 근대 지성의 출현과 전파 번역의 황혼 - 이광수, 제임스 게일, 윌리엄 커의 근대 한국(어)관, The Korea Bookman을 중심으로 -

        황호덕 ( Ho Duk Hwang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2

        근대형성기의 한국어 정리 사업에 있어 서양 선교사들이 행한 위업은 성경과 한 세트가 된 일련의 이중어사전의 편찬으로 나타난 바 있다. 만약 한국근대 번역사의 세 줄기를 각각 문화 내 번역, 이질 언어간 수용 번역, 전파 번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면, 서양 선교사들은 성경과 전도서, 서양 고전의 번역을그렇다고 할 때 이들의 활동이 1917년을 전후한 시점 특히 1919년을 기점으로 결정적인 변화 국면을 맞게 되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총독부 통제 하의 초보적 근대 교육과 일본유학을 통해 성장한 청년 문사들이 대거 등장함으로써, ‘서양 문명’의 번역과 한국어와 세계 여러 언어들을 매개해왔던 서양 선교사들이 권위가 흔들리는 한편, 오히려 변화하는 포교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서양 선교사들이 한국 매체의 비평적 담론들을 ‘리뷰’해야 하는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예컨대 1917-8년에 들어서면서 이광수는 「신생활론」 등을 비롯한 일련의 평문을 통해 유교와 기독교를 한데 묶는 비판하였고, 제임스 스캇 게일 등의 선교사들은 이광수로 대표되는 새로운 근대 지성의 출현에 민감하게 반응했다.종래의 한국 근대 사전사 연구들에서 서양 선교사 그룹의 영향력이 일부 거론되기는 했으나, 서양 선교사가 개입했던 한국어문학의 주요 국면들에 있어 그 영향력이 차고 기우는 과정에 대해서는 설명이 미진하였다. 필자는 본고의 전반부를 통해 한국어문학 연구에 있어서의 서양 선교사 그룹의 담론적 헤게모니가 축소되어 간 과정을 이광수를 비롯한 고유 지성(vernacular intellectual)의 기독교 비판과 그에 대한 서양 선교사 제임스 스캇 게일의 비상한 주목을 통해 해명하려 했다. 또한 후반부에서는 The Korea Bookman(1920-1925)의 한국 근대 학술/매체에 대한 리뷰들, 특히 윌리엄 커의 한국 근대 매체 리뷰들을 통해 어떻게 근대 한국어가 서양어와 일본어라는 두 축 사이에서 하나의 고유성을 획득해 갔는지를 논증하려 했다. 윌리엄 커는 조선인들의 문예잡지의 생장에 각별히 주목하였고, 사상 술어 해제와 같은 말에 대한 자의식을 지켜보며 일본어식 글쓰기들이 한국의 담론장에서 고유화해가는 흔적들에 대한 상세한 보고를 남겼다. 이는 어떤 의미에서 근대 한국 학술에 있어 서양 선교사들의 헤게모니가 황혼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역할 변경의 사례라 할 터이나, 보기에 따라서는 상보성의 원리 하에서 국내외 학술이 상호 전이되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증표이기도 했다. 복수의 언어와 지식들 사이의 상호 전이(轉移)의 가능성, 상호 적용과 재적용(readaptation)의 순환이 시작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제 한국 근대 어휘들은 이중어사전이라는 형태 속의 틀잡기 외에도, 술어사전이나 단일어 사전과 같은 개별성 하에서도 외부의 지식을지시할 수 있게 될 터였다. The accomplishment of the western missionaries in terms of the Korean language readjustment project during the modern formative period has been discussed, focusing on the missionaries’ publishment of bilingual dictionary as a pair with the Bible. Whe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translation is divided into three branches such as the translation between cultures, accepting translation between different languages, and propagating translation, we can call the western missionaries as the propagating translators who contribute to modern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ir translation of the Bible, the book of Ecclesiastes, and western classics.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missionaries’ performance encounters its watershed point around 1917. In particular, 1919 was the time when the young literary men who grew up with a basic education on modernity under the observ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the youth who studied in Japan appeared in the realm of intellectuals. With their appearance, the authority of the western missionaries who were not only in charge of the transl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but also mediated the Korean language with different languages of the world was dwindling. In order to adjust themselves to the changing missionary environment, the missionaries had to review the discourse of criticism in the Korean medium. As a result, when Yi Kwang-su criticized Confucianism along with Christianity in his essays between 1917 and 1918, such as the essays written in A New Life, the missionaries - for example, James Scarth Gale - sensitively reacted to this emergence of the new modern intellectuals like Yi Kwang-su. Although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missionary group has partly addressed in the existing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dictionary, a thorough examination on their significant intervention in the Korean literature was not satisfied.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examines how the discursive hegemony of the western missionary group has been diminishing, focusing on the criticism on Christianity by the vernacular intellectuals, such as Yi Kwang-su, and James Scarth Gale’s particular reaction on the criticism. The latter half of the paper analyzes how the modern Korean language achieves its vernacularity between western languages and the Japanese language, focusing on the Korean Bookman (1920-1925)’s review on the Korean modern scholarship and its medium. In particular, William Kerr’s reviews on the Korean medium need a special attention. He carefully observes the growth of Korean people’s literary magazines and their self-consciousness of words, and leaves a descriptive report on how Japanese style writings become vernacularized in the Korean discursive space. Kerr’s analysis attests that the hegemony of the western missionaries in the modern Korean scholarship reaches its twilight, but at the same time, it proves that the scholarships inside and outside of Korea begin to mutually transfer under the principle of complementarity. In other words, it was the initiation of the possibility of mutual transfer between plural languages and knowledge as well as the circulation of complementary application and readaptation. In this sense, the Korean modern vocabulary becomes enabled to designate the knowledge arrived from outside of Korea beyond its form of bilingual dictionary; it plays its role as an individual form such as a predicate dictionary and monolingual dictionary.

      • KCI등재

        근대기의 한국연극과 한국 근대극운동의 특징

        장원재(Wonjae Jang),백로라(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09 한국문학과 예술 Vol.4 No.-

        본 연구는 근대 한국연극의 구체적인 전개 양상과 한국 근대극 운동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한국 근대극 운동은 유럽과 미국의 근대극을 국내에 도입하려는 시도였는데, 3.1운동의 실패 이후 근대화에 대한 열망이 거세지던 1920년대에 시작되어 1930년대에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1920년 김우진이 주축이 되어 설립된 ‘극예술협회’는 연극에 대한 사회적 관념을 변화시키고, 근대극 운동의 실천방법과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신극’의 초석을 다지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박승희를 중심으로 조직된 학생 단체 ‘토월회(1922)’는 근대극을 정기적으로 상연함으로써 근대극의 저변을 넓히고, 유럽의 근대적인 무대장치를 재현함으로써 관객에게 새롭고도 사실적인 연극을 경험시켜주었다. 이후로 일본 유학파 출신의 소장학자들에 의해 ‘극예술연구회(1931)’ 가 조직되었는데, 이들은 1930년대 내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근대극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정기적인 연극 강좌와 강연회를 개최하여 유럽 근대극에 대한 관객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유치진, 이무영, 이서향, 이광래, 김진수, 함세덕 등과 같은 극작가들을 발굴하여, 창작극의 공연 풍토를 활성화하였다. 당대 한국 근대극 운동을 주도한 지도자들은 근대 유럽의 ‘사실주의’ 연극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는데, 이것은 사실주의가 ‘연극을 통한 사회교화’라는 과업을 수행하는 데 적절한 양식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즉 사실주의 연극 양식을 수용함으로써 그 안에 내재된 서구 근대의 과학주의와 합리주의를 관객에게 경험시켜주고, 이를 통해 관객의 의식을 근대적으로 계몽 혹은 교화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한국 근대극 운동은 전통극의 유산을 계승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일본의 근대극 운동과는 또 다르게, 정치 사회적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었던 것이다. This research explored aspects of Korean theater’s development in modern ti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theater movement. The movement of Korean modern theater began in the 1920s and underwent vigorous development in the 1930s. This movement was led by three theater associations: the Theater Arts Association (1920), the Earth-Moon Society (1922), and the Theater Arts Research Association (1931). These associations took the lead in establishing, staging, and popularizing Korean modern theater. In particular, the Theater Arts Research Association made diverse efforts to improve public understanding of modern theater: offering regular lectures on modern theater; discovering outstanding playwrights such as Chijin Yu, Mooyoung Lee, Seohyang Lee, Kwanglae Lee, Jinsoo Kim, and Seduk Ham; and revitalizing the staging and performance of Korean plays. The leaders of the Korean modern theater movement attempted to import the Realism Theater of modern Europe because they considered it pertinent to the task of “social enlightenment through theater.” In other words, they wanted spectators to learn the scientific thought and rationalism that were internalized in the Realism style. For these reasons, Korean modern theater broke away from Korean traditional theater, and it manifested socio-political characteristics that were different from Japanese modern theater.

      • KCI등재

        한국의 근대적 자아 : 문화적 맥락, 타자의 모방, 자기진정성

        정용환(Chung Yong-Hwan)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6 No.-

        이 글은 한국의 근대성을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① 한국의 근대성은 근대적 가치들 안에 전근대적 가치를 포괄하는 양상을 띤다. 한국에서 근대성의 원인을 전근대적인 문화적 조건에서 찾으려고 하는 아시아적 가치론은 과거의 문화유형에 지나치게 의존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전근대적 가치의 해체 및 변형 과정을 방치하고 있다. 오히려 전통으로서의 유교적 문화가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어떻게 해체되고 변형되는 지를 이해하는 것이 더 현실에 맞다. ② 한국의 근대화는 모방에서 시작한다. 근대 한국의 모방적 자아는 서구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흉내내기 함으로써 유사적 자아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방 욕망은 아직 자각적 주체를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타자와의 통일화를 달성하지 못한다. 그 결과 한국의 모방적 근대화 과정은 서양의 것과 유사하면서도 한국적인 특징을 함유하는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산출한다. ③ 한국의 근대성은 모방적 근대화에서 반성적 근대화로 이행한다. 한국의 반성적 자아는 서구와 다른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맥락을 가진 자신의 모습을 반성적으로 식별하게 된다. 근대 한국의 반성적 자아는 ‘내가 누구인가?’라는 물음을 던지면서, 타자에게서 수입한 근대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와 함께 자기진정성을 찾으려고 시도한다. This essay is a study to articulate three points of Korean modernity. ① Korean modernity shows that premodern values can persist among modern values. The theory of Asian values, trying to find the cause of Korean modernity in premodern cultural context, neglects the process of Korean premodern values by depending on past cultural pattern. Rather than that, it is more plausible to analyze the process that premodern Confucian cultures have been deconstructed and modified through modernization. ② Korean modernity was starred with a stage of copying Western capitalism and democracy. Ultimately, this desire of imitation cannot be fully realized because Korean distinct context has not self-consciousness. Thus Korean imitative modernization have produced capitalism and democracy similar to west"s but insufficient. ③ Korean modern trial and error of imitation produces reflective self. Korean modern reflective self realizes that it has different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Korean modern reflective self seeks to find its authenticity in the process of modernity of capitalism and democracy by questioning about whom it is, For the time being, the reflective self needs to be revitalized continually to preserve autonomous authentic modernity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상호문화주의 한국 일본 및 아시아 근대 연극사 비교 연구 : 유럽 연극 수입 양상을 중심으로

        장원재 한국여가문화학회 2004 여가학연구 Vol.2 No.2

        이 논문은 한국의 근대 문화 형성기의 외국 문화 수입 과정에 초점을 맞춰, 학문적 방법론으로서의 상호문화주의를 고찰하며 그 의미와 유용성을 검토하는 글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정밀하게 드러내는 현상으로서 식민지시대 한국 연극운동에 주목하기로 한다.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는 문화/문학 교류의 양상을 연구하는 여러 학문적 분석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 이론의 가장 큰 특징은 수용자를 중심에 놓고 제반 문화현상을 분석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문화 교류의 전개과정에 주안점을 두지 않고, 문화교류를 촉발한 가장 큰 동인이 수용자의 사회문화적 상황이라는 전제하에 논의를 전개한다는 뜻이다. 상호문화주의에 입각한 활발한 문화교류는 20세기 초반 이래 계속되어온 범세계적 현상으로, 당대의 전형적 시대정신의 반영이라고도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보자면, 한국의 근대극운동 역시 연극적 상호문화주의, 즉 ‘상이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연극들이 서로 타국의 연극적 전통성을 자국의 창작물에 적극적으로 이식하는 경향을 보이는’ 현상의 한 편린이라고 말할 수 있다. 1910년대에 발아하여 1920년대에 본 궤도에 오른 한국 근대극 운동은 정치적으로는 일제로부터의 해방, 사회적으로는 계몽과 교육을 통한 근대 사회 건설이 민족적 급선무라고 자각했었던 일군의 지식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추진했었던 문화 운동이다. 신학문을 제도적으로 학습한 최초의 세대, 그 중에서도 일본 유학생을 중심으로 결성된 근대극 운동의 지도자 그룹은 서양 근대극을 수입하여 한국 근대극의 기반을 구축하려 하였다.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보자면, 한국연극에 끼친 유럽 근대 연극의 충격은 그러므로 단순히 고립된 사건이 아니라 시대정신의 부름에 대한 한국적 응답이었다고 풀이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이 논문은 한국 근대극 운동 지도자들이 유럽 근대극을 수입하게 된 사회적 동기, 이를 흡수/소화/재창조한 한국 지식인들의 문화적 역량, 이에 수반하는 비교 문화, 비교 연극사적 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글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연극사와 일본 연극사의 관련 양상, 한국 근대극 운동과 다른 아시아 근대극 운동의 전개 양상을 비교 분석한다. 앞에서 제기한 문제의식에 대한 학문적 해답을 마련하려면 각각의 사항에 대한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나, 이 논문에서는 큰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 근대초기문학 연구

        허련화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2 No.-

        본 논문은 중국에서의 한국 근대초기문학에 대한 연구 상황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중국에 서의 한국 근대초기문학에 대한 연구는 1999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2010년 이후 눈에 띄게 늘었다. 크게 비교문학적 연구와 일반적인 한국문학연구로 나뉘는데, 그중 비교문학연 구가 특히 많다. 대부분은 중한문학비교이고 일부 중한일문학비교, 한국과 서구문학 비교가 있다. 중한 두 나라 근대초기문학은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그 당시 두 나라의 시대상 황, 문학사조 등이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관계로 영향관계의 비교문학논문, 평행적인 비교문 학논문이 모두 많으며, 일부는 한 논문에서 두 가지 연구방법을 모두 적용하고 있다. 영향관 계연구에서 가장 많이 다뤄진 내용은 양계초의 사상이 한국근대문학과 한국근대사회에 준 영 향이며, 그 다음으로는 기독교가 한국 근대초기문학에 준 영향을 들 수 있다. 평행비교연구로 는 중한 두 나라 근대문학사조, 근대문학사상의 비교 및 작가 작품 비교가 있는데, 가장 많이 비교된 것은 한국 이광수의 <무정>과 중국 노신의 <광인일기>이다. 일반적인 한국 근대초기 문학연구에서도 이광수와 그의 소설 <무정>에 대한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이로부터 중 국학계의 이광수에 대한 중시도를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quo of the research o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in China. The research began in 1999 and has been intensified since 2010. Research approaches are largely divided into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and Korean literary studies, with the former figuring dominantly. In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most are on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and some are on Chinese,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or on Korean and west European literature. Early modern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influences each other because the two countries share similar social conditions and trends of literary thought. So many papers apply the approach of influence studies or parallel studies. Some papers even adopt the approach of influence studies combined with parallel studies. In influence studies, the most talked about is the influence of Liang Qichao's ideas o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society, followed by the Christian influence o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In parallel studies, the most talked about is comparison between Mutiny by Lee Kwang-soo and A Madman's Diary by Lu Xun. Aside from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the study on Lee Kwang-soo and his Mutiny is most popular in China, which represents the great importance attached to Lee Kwang-soo by the Chinese academic circle.

      • KCI등재

        아나키스트 이향의 문학론 연구

        김택호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6 No.-

        그동안 한국 근대 아나키즘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민족주의, 마르크스주의와 구별되는 아나키즘의 독자성을 규명하는 데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민족주의, 공산주의와 구별되는 아나키즘의 독자성을 구축하는 것 자체가 한국 근대 아나키스트들의 목적이 아니었다면, 더욱 중요한 것은 한국 근대사회라는 구체적인 현장에서 한국의 근대 아나키스트들이 무엇을 하려고 했느냐를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그 과정을 통해서 한국 근대 아나키즘과 한국 근대사회에 대한 생산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 아래에서 또다시 문제가 되는 것은 그동안 아나키즘을 압도해왔던 민족주의, 마르크스주의와 아나키즘간의 상호 대립과 영향관계에 대한 이해이다. 본 연구에서 정열적으로 아나키즘 운동에 투신했던 아나키스트 이향의 문학론을 살피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향은 특히 한국 근대 아나키즘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크로포트킨의 사상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깊은 인물이었다. 사실 크로포트킨의 사상에 대한 이해 없이 한국 근대 아나키즘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이야말로 마르크스주의와 근본적인 차원에서 대립되는 아나키즘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근대사에서 일어난 아나키스트들과 마르크스주의자들 간의 갈등은 대체로 대중 획득 경쟁에서 발생한 것이 많았다. 그러나 문학논쟁 과정에서 일어난 갈등은 단순한 대중 획득 경쟁이라기보다는 근본적인 가치관의 충돌이었다. 그 과정에서 아나키스트 문학론자들은 문학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사람들로, 혹은 민족주의자들과 거의 구분이 되지 않는 인물들로 이해되었으며, 심지어는 개량주의자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와 같은 평가의 저변에는 크로포트킨주의에 대한 몰이해가 자리 잡고 있다. 그러므로 이향의 아나키즘 예술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향 문학예술론의 핵심은 사회적 모순의 근원이 자본주의에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인식한 상태에서 현장의 경험을 문학이라는 형식 속에 명확하게 투영한 문학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었다. 경험과 개인의 정서를 중요한 예술적 요소로 규정하는 이향의 태도는 당시 마르크스주의 문학예술론과 배치되는 점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을 명확하게 반영한 것이었다.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은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세계를 구축해보자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근대사회의 발전이 인간 내부에 존재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인간 역사발전의 가장 중요한 추동력이었던 상호부조가 산업화와 근대화라는 이름 아래에서 점차 망각되거나 상실되어 왔다는 점을 말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은 엄밀하게 말해서 인간본성의 회복운동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어떤 정치적인 이념이 인간의 내적 정서나 자발적 주관성을 외면하는 방향에서 전개된다면, 그것은 중앙집권적 전제정치와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 근거한 주장이었다. 한국의 근대 아나키스트 문학이론가 이향이 마르크스주의 문학론과 중산층 중심의 민족주의를 비판하는 근거가 바로 여기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때, 이향의 문학론, 나아가 한국 근대 아나키스트들의 문학 사상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Until now, so many researchers who are concerned about Korean modern anarchism made an effort to find a special quality of anarchism. So they discriminated between anarchism and marxism or nationalism. But, Korean modern anarchists had not a purpose to discriminate between anarchism and marxism or nationalism. So the study on Korean modern anarchism have to concentrate on Korean modern anarchists’s thought and purpose. And such study needs to comprehension of difference between anarchism and marxism. The reason of study on Lee Hyang’s literary theory is a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anarchism, marxism and nationalism. Lee Hyang could comprehend all Kropotkin’s ideology called mutual aid. It is impossible to comprehend the Lee Hyang’s literary theory without understanding of Kropotkin’s ideology. There is a conflict between Kropotkin’s ideology and Marxism. So the controversy between anarchists and marxists was a fundamental conflict of values. The Lee Hyang’s criticism on marxists’s literary theory was in position of Kropotkin’s ideology. Lee Hyang thought that recognition and experience on a hierarchical society will be positive literary theory. Kropotkin’s ideology was a recovery movement of human nature. And the recovery movement of human nature targeted to recover a internal emotion and voluntarily subjectivity of human nature. So, Kropotkin and Lee Hyang’s ideology rejected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s. It’s a baseless of criticism about literary theory of marxism and nationalism by Lee Hyang. It’s a way to understanding of Lee Hyang’s literary theory and Korean modern anarchists’s ideology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