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 : 황진이 시조 <니언지 >를 중심으로

        임주탁(Yim Ju ta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는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에 대한 면밀한 검토 결과를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방향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가 가장 많은 작품 가운데 하나인 황진이 시조 를 통해 한국 고시가에 대한 번역 유형별 번역의 양상을 살피고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고시가 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을 추론해 본 것이다. 번역된 텍스트는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이해하고 감상하기에 충분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번역 대상 텍스트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얼마만큼 충실하게 번역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은 원전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정확하게 번역하였다. 그에 비해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한어 번역은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원전과 전혀 달랐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위의 「소악부」에 포함된 한어 번역의 원전을 번역자가 잘못 비정하고, 원전과 한어 번역이 공통으로 함축한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데서 생겨났다. 그런데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원전 비정과 한어 번역의 결과는 이후 에 대한 해석과 번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가 연가(love song)라는 해석이 지금까지도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조선 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국어 번역에서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과 흡사하게 시적 상황이나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사뭇 다르게 번역되고 있는 데서 그러한 사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 원전 또는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와 같이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전혀 달랐다. 따라서 원전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과 같은 번역 수준을 보여 주는 원전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외국어 번역이 기본적으로 원전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을 바탕으로 하게 마련이라는 점에서 외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은 결국 원전 또는 조선시대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이 거듭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한국 고시가의 번역에 다음 사항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즉, 원전 비평(textual criticism)이 충분히 이루어진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는 점, 번역 대상 텍스트와 번역된 텍스트 모두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분명해야 한다는 점, 현대 한국어 번역이 원전의 창작 상황에 부합하는 해석과 성공적인 외국어 번역에 관건이 된다는 점,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번역된 텍스트에서 파악하는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재료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원전 혹은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 파악하는 것과 동일한지가 번역 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점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what is problematic, important, and needed now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into other target languages which contain modern foreign language, modern Korean language and old Chinese language, through comparing translated texts with their source language texts. So it deals those issues with all the renderings of a Hwang Jini's Sijo work, Have I ever, the renderings can be classified by most types of translation.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1) by three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Korea, do not have any problem because all of them had bilingual competence and could grasp the very inner context (poetic and linguistic context) and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OT-1). 2.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2) by one or two intellectu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 have a little serious problems. The translaters did not have bilingual competence so sufficient to grasp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only the original texts (OT-1, OT-2) but the old Chinese translation by a former intellectual, Shin Wi. In fact, OT-2 is different from OT-1, but it seemed to be the very OT of Shin Wi's rendering version of which OT was not OT-2 but OT-2. In spite of it,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ei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OT-2 have had an nation-wide authority as the very one of OT-1 over their modern subordinates after their times. 3. We are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he two, the original (OT-1) and the translated text (TT1-1). However, research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have not translated TT1-1 into modern Korean language entirely, or mistranslated it, it is, I think, related to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comprehend the same inner context of meaning of the two like former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period, intellectuals who selected OT-2 as OT of the rendering by Shin Wi. 4. All the translated texts into foreign language (TT5) have the same problems as their source language texts which were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y Korean translaters, writers, or researchers (TT2). While meeting renderings of TT5, we are not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s in which all the texts have their own unity of meaning as ones of the original lingual texts (OT-1). These results implies several meaningful things as follows; 1. Textual criticism about Korean classical poems has not been sufficient for us to translate them into foreign languages. 2. We need to translate all the texts, OT and TTs,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efore studying all the renderings of them. It will let us to know whether all the texts and renderings can be acceptable not only to us but also to foreigners. 3. While evaluating if every TT is successful, we have to check if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T is the same one of its OT or source text because the primary goal of translation is to make readers whose mother tongue is the same one as the target language.

      • KCI등재

        번역 유형별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 ⑵ : <황조가>를 중심으로

        임주탁(Yim Ju ta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8 No.-

        이 논문은 에 대한 번역 유형별 사례를 통해 한어시가의 번역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밝혀, 향후 한국 고시가 특히 한어시가의 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점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논의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에 대한 최초의 번역은 일본 제국주의 시대에 게일에 의해 이루어진 영어 번역인데, 이 번역은 조선시대의 문인학자들과는 사뭇 다르게 추론한 창작 상황에 바탕을 두고 있다. 게일은 를 치희라는 한 여성으로부터 실연당한 남성의 비통한 심정을 표현한 노래로 해 석함으로써 서양인에게 보편적인 공감이 가능한 연가로 수용되도록 번역하였다. 그런데 게일은 또한 인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국왕의 비통한 심정을 표현한 노래로 해석하는 길을 아울러 열어두었다. 하지만 게일이 추론한 창작 상황과 번역이 이후 외국어 번역자(그릭스비)와 한국어 번역자(김병곤)에게 수용되면서 는 한 여성에게서 버림받은 남성의 심정 상황을 표현한 노래로 해석되고, 따라서 특히 제4구는‘누구와 함께 돌아갈까?’와 같이 번역되었다. 이러한 번역은 한어와 한국어의 이중 언어 능력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는 조선시대 문인학자들의 수용 사례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런데도 김병곤에 의해 이루어진 최초의 한국어 번역은 대중 매체를 통해 널리, 오래 수용되었다. 김병곤이 이해한 의 창작 상황은 대중 매체를 통해 소설적으로 재구성되기도 하면서 대중적 수용의 폭이 확대되고 해방 이후 의 한국어 번역은 물론 외국어 번역에도 수용되었다. 결과적으로 김병곤의 한국어 번역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해 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어떤 언어로 번역하든 간에 번역 대상이 된 한어시가 작품을 작품이 번역의 바탕이 되는 원전의 언어 내적 맥락과 창작 맥락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진 작품인지를 먼저 살펴야 함을 말해 준다. 대중의 취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기보다 원전 비평이 얼마만큼 충실한지에 더 먼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고, 원전 비평을 통해 창작 상황과 언어 내적 맥락이 합치할 수 있는 방향에서 대중의 특성과 취향을 고려한 번역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외국어 번역의 문제를 다룰 때에도 원전과 바로 비교하여 평가하는 방식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what is problematic, important, and needed now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to other target languages which contain only modern foreign language but modern Korean language, through comparing translated texts with their source language texts. So it deals those issues with all the renderings of a Hwang-Jo-Ga, Song of Yellow Birds, the oldest Korean poem and song, the renderings can be classified by three types of translation, “translated text of Original text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to foreign language”(TT1), “translated text of Original text into Korean language” (TT2), and “translated text of Korean language text (TT2) into foreign language”(TT3).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The first English translation (TT1), preceding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TT2), by J. S. Gale from Canada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contains not only the original text but also more or less expended rendering of the record of the third year of Yiri-myeongwang (the second king of the Goryeo Dynasty, Korea)'s reign period into English language, has a serious problem not in analysing the lingual context (inner context) but in deducing about the creation context based on the original historic record. The results of his deduction turned aside from the ones by some former readers who might have the bilingual competence of Classical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In spite of this problem, Gale had open another reading way in which readers could imagine the creation context as like this; the king Yuri, seeing yellow birds that are flying in a tree beneath which he also is resting, fluttering and mating each others, is feeling that it is contrast to his situation that all the people have not taken to him. 2. Byeong-gon Kim, who made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in the same period, more or less misread the Gale's translation, especially, could not appreciated the latter, and made two Korean translation versions of the original text. However, his renderings has been influential wider and longer than other Korean rendering, because they was presented and cited via mass media as newspapers by whom expended the same creation context that Gale had deducted and Byeong-gon Kim had misread like a fiction. 3. Most translations, not only Korean translations (TT2) but also English translations (TT3), have been made under the influence of Gale and Kim's translation. But it is true that Kim misread Gale's translation and Gale's translation of the creation context contains a serious problem. Those results imply that we have to make deeper source criticism of original texts and contexts before we translate Korean poem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into different language from the original texts, or evaluate the renderings of the original text and translated texts.

      • KCI등재

        한국 현대시의 중국어 번역에 대한 고찰-유자효 <추석>의 중국어 번역문을 중심으로

        이수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A Study on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Modern Poetry-Based on the Translation of Yu Jahyo’s Chu SeokSuyin Li Abstract: This paper discussed about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different translation versions of a Korean modern poem Chu Seok written by Yu Jahyo. Translation methods are reviewed and compared by three aspects including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relation, rhetoric and translation into ancient Chinese poetry. We found that translators always select words from semantic fields in which words are in paradigmatic relationship. Translators always use many literary expressions, which could be explained by the defamiliarization theory. We also paid attention to the rhetorics and found that to make better translations, translators used extra rhetorics which are not used in the original text including metaphor, repetition and “nianlian”. Some translators translated the modern poetry into ancient Chinese poetry’s form. It could make the translations have a rhythm and be more compact and could satisfy the readers who prefer the ancient poetry's form. But some translations are not faithful to the original text and some translators might not have enough language ability of ancient Chinese, which could be a problem. Key Words: Korean Modern Poetry, Chinese Translation,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Relation, Rhetoric, Translation into Ancient Poetry’s Form 한국 현대시의 중국어 번역에 대한 고찰-유자효 <추석>의 중국어 번역문을 중심으로이 수 인*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한국 현대시의 중국어 번역에 대해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 유자효의 <추석> 번역문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법을 통해 한국 현대시의 중국어 번역 방법을 고찰하였다. 연구 내용: 구체적으로 통합관계 및 계열관계의 시각, 수사학의 시각 및 중국 고시(古詩) 형식으로의 번역 등 세 가지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결론 및 제언: 검토한 결과 단어를 번역할 때 번역자가 항상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는 의미장에서 단어를 선택해야 한다. 번역자들은 대량의 문어체 표현을 선택했으며 이는 “낯설게 하기”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이고 미적인 번역문을 만들기 위해 번역자들은 원문에 없는 비유, 반복, 염연(拈連) 등의 수사법도 능동적으로 활용하였다. 한국 현대시를 중국 고시(古詩)의 형식으로 번역할 때 시의 리듬과 운율을 살릴 수 있고 특정한 독자층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보다 세련되고 함축적인 번역문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원문에 충실하지 않거나 고대 중국어 소양 부족으로 인한 번역 실수를 주의해야 한다. 핵심어: 한국 현대시, 중국어 번역, 통합 관계 및 계열 관계, 수사학, 고시(古詩) 형식으로의 번역 □ 접수일: 2022년 11월 10일, 수정일: 2022년 11월 28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북경외국어대학교 한국어번역학과 박사과정(Doctoral Course, Beijing Foreign Studies Univ., Email: 1005329511@qq.c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