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재인 정부의 국방·군사정책의 방향과 과제

        김강녕 한국통일전략학회 2017 통일전략 Vol.17 No.3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rection and tasks of Moon Jae-in’s administration's defense-military policy toward North Korea.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6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the security threat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North Korea; the development of defense and military policies in South Korea; the direction of defense and military policies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 future tasks of defense and military reforms of the administration; and conclusion. After the inauguration of Moon Jae-in, one of the five goals of governance is "Korean peninsula of peace and prosperity." The key tasks in the security, diplomacy and unification fields of the government are ‘self-defense’ and ‘inter-Korean reconciliation cooperation.’ The defense policy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is a strategy for ‘strong security and responsible defense’ in short, based on ‘self-defense.’ The three major tasks of the defense sector of the new administration are to push for ①fostering strong military, ②transformatio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nd ③eradicating defense industry corruption. etc.. While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s on the rise, interest in the defense reform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s gathering. To be successful in the defense reform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 following tasks should be complemented: ①establishment of principles and priorities; ② harmonization of self-defense and the ROK-US alliance; and ③strengthening of low-cost and high-efficiency defense forces, and strengthening jointness between ground forces, navies and air forces. The importance of strong security, thorough crisis management and a strong US-ROK alliance that does not tolerate any military provocation of North Korea can not be overstated. In the future,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n early Korean-style three-axis system that can deter and emasculate North Korea's nuclear attack, and reinforce the ROK-US combined defense posture, Based on clos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trategic approach with neighboring countries, we must continue to strive for the complete aboli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armament and further the democratization of North Korea. 본 논문은 문재인 정부의 국방·군사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변국과 북한의 안보위협, 한국의 국방·군사정책의 전개, 문재인 정부의 국방·군사정책의 방향, 문재인 정부의 국방·군사개혁의 향후과제를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문대통령 취임 후 5대 국정목표 중 하나로 제시한 것이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이다. 문재인 정부의 안보·외교·통일분야의 핵심과제는 ‘자주국방’과 ‘남북화해협력’이다. 문재인 정부의 국방정책은 ‘자주국방’ 기조가 뚜렷하며, ‘강한 안보와 책임국방’을 위한 전략이 핵심이다. 문재인 정부의 국방분야 3대과제는 ①강군육성, ②전작권 전환, ③방산비리 척결로 요약된다. 가중되는 북핵위기 속에서 문재인 정부의 국방개혁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성공적 국방개혁이 되기 위해서는 ①원칙․우선순위의 설정, ②자주국방과 한미동맹의 조화, ③‘저비용 고효율’ 국방력 건설과 군간 합동성의 강화 등이 보완되어야 한다. 북한의 어떤 군사도발도 용납하지 않는 강한 안보, 철저한 위기관리와 굳건한 한미동맹이 중요한 과제이다. 향후 우리정부는 북한핵을 억제·무력화시킬 수 있는 ‘한국형 3축체계’의 조기구축과 한미연합방위태세 보강은 물론, 주변국과의 긴밀한 국제공조와 전략적 접근을 바탕으로 북핵의 완전한 폐기, 더 나아가 북한의 민주화를 향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970년대 자주국방담론과 정책에 관한 연구

        심세현(Sim, Se-hyeon)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7 전략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박정희 정부 시기의 자주국방담론과 정책에 주목하고 이 시기의 자주국방담론이 담론에서 정책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과 내용 그리고 여기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있다. 박정희 정부의 자주국방 개념은 북한의 공격을 한국군 단독 전력으로 억제할 수 있는 수준의 국방력을 확보하는데 있었다. 1.21 청와대 기습사건과 같은 북한의 대남 도발이 자주국방정책을 추진하는 주요 기제가 되었고 이후 닉슨독트린, 주한미군 철수, 데탕트와 같은 국제안보 환경의 변화가 이를 촉진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반공, 자립, 주체의식을 강조했던 박 대통령의 개인적 신념 또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policies in Park Chung-hee government. With focusing on the national discourse of the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the study examines the evolving process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discourse to the decision making and policy implementations. The major goal of Park Chung-hee’s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policy was to build up military capability enough to prevent North Koreaʼs attack independently. Domestic and Foreign events such as 1·21 Raid on the Blue House by North Korean soldiers and Nixon Doctrine facilitated the self-reliant defense policy. President Park"s personal belief and vision were the very important factors to promote the policy orientation.

      • KCI등재

        노태우 정부의 자주국방담론과 국방정책

        심세현 ( Sim Sehyeo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7 국방연구 Vol.6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역대 정부 가운데 자주국방을 공식적으로 천명했던 박정희, 노태우, 노무현 정부 중 상대적으로 간과되고 있는 노태우 정부 시기의 자주국방담론에 주목하고 이 시기의 자주국방담론이 담론에서 정책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과 내용 그리고 여기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있다. 노태우 정부의 자주국방정책은 탈냉전에 따른 미국의 세계전략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국내적인 측면에서도 한국의 국력신장과 대미인식의 변화 그리고 이러한 국내외적 구조의 변화에 주목한 노태우 대통령의 리더십 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기본적으로 노태우 정부는 `한국방위의 한국화`로 자주국방을 이해했다. 이는 한국방위에 있어서 한국군이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했다. 그렇기 때문에 노태우 정부는 작전권 환수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고 실제 평시작전통제권 환수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policies in Roh Tae-Woo government. With focusing on the national discourse of the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the study examines the evolving process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discourse to the decision making and policy implementation. The study focuses on two main factors which impacted on the Roh Tae-Woo government`s national defense policy with the notion of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As an external factor, the changing global strategies of the U.S. in the Post-Cold War era playes an important role on the changing national defense policies. Also, as an internal factor, the improvement of South Koreas national defense power, changes to the people`s perceptions of the U.S. and the leadership of the president led the south Korea`s national defense policy change that paid attention to those changes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s. The study also suggests the concept of the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as “Koreanization of Korean defense” in Roh Tae-Woo government and argues that Roh regime thus took interest in the idea of making national defense Self-Reliant including the recovery of operational control and actually succeeded in reaching an agreement on the recovery of peacetime operational control.

      • KCI등재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확장에 대한 정책결정과정의 분석과 함의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Policy Stream Model)의 관점에서

        권혁철 세종연구소 2015 국가전략 Vol.21 No.1

        그 동안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은 이어도 상공은 물론 마라도와 홍도 남방 일부의 영공도 제외되어 있었다. 그러던 중 한국정부는 중국이 2013년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한 지 15일만에 이어도 상공과 대한민국의 모든 영공을 포함하는 확장된 KADIZ를 공표했다. 이는 한국정부가 1963년 KADIZ 조정을 시도한지 50년 만에 이뤄낸 역사적인 성과이다. 본고는 한국정부의 이러한 신속하고 과감한 정책결정과정을 정책흐름모형(Policy Stream Model)을 이론적 준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정부의 KADIZ 확장은 당시 정책선도자들이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선포로 열린 ‘정책의 창’이라는 기회를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정책흐름을 적시에 합류시킨 결과물이었다. 이는 아무리 오래되고 난해한 정책문제라도 정책선도자가 정책의 창을 적기에 활용한다면 의외로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In the past, not only the airspace above Ieodo, but also a section of the territorial airspace south of Marado and Hongdo were excluded from the Korea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KADIZ). However, in 2013, only 15 days after People's Republic of China has declared the East China Sea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has announced an expanded KADIZ that includes the airspace above Ieodo and the entirety of ROK aerial domain. This is a historical achievement that was earned 50 years after the ROK government had attempted to adjust the KADIZ for the first time in 1963. This study analyzes the ROK government's swift and bold policy decision process based on Kingdon(1984)'s Policy Stream Model Theory.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ROK government's KADIZ expansion was achieved by policy entrepreneurs at the time who took strategic advantage of an opportunity called the "policy window," which was made possible by the declaration of the East China Sea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in order to couple policy streams at appropriate timing. Such results suggest that even the most outdated and challenging policy problems can be resolved in a surprisingly sound manner if a policy entrepreneur utilizes the "policy window" at appropriate timing.

      • KCI등재

        중국 시진핑 시대의 국방정책과 한국의 안보 전략

        양갑용 한국국방연구원 2014 국방정책연구 Vol.30 No.1

        최근 중국은 ‘랴오닝’ 항공모함을 출역하고 ‘강군건설’을 공론화하는 등 군사대국화와 국방정책에 일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두 개의 100년을 준비하는 ‘전략적 기회기’에 처해 있는 시진핑 시대는 그 토대를 다지는 시기라는 점에서 공세적 군사대국화와 국방정책의 변화가 예상된다. 중국은 강한 군대 건설을국방정책과 군 현대화 사업의 중심으로 생각하고 있다. 중국의 최근 군사대국화추세 등 국방정책 변화에 따른 관련 정책 분석 및 향후 전망은 중장기적으로한국의 생존과 대응전략 마련에 매우 시급한 일이다. 중국의 부상은 분명한 사실이다. 적어도 10년 동안 중국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제 우리도 중국의 부상에 우려의 시선보다는 중국의 성장을 우리의 전략적자산으로 활용하는 지혜가 요구된다. Especially during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when China is in the middle of its“strategic opportunity period” and needs to prepare for the 100th anniversary of theChinese Communisty Party an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People’s Republic ofChina, a firm bottom for military power would be built and shift in China’s nationaldefense policy could be expected. China views the build-up of a strong military asthe kernel of its national defense policy and military modernization. It is urgent toanalyze the consequent changes in and the prospect of its national defense policyfollowing the progress of China’s goal of becoming a strong military power since itis crucial in the medium and long term to South Korea’s survival and the built of acorresponding strategy. It is true as steel that China is rising. Dominant analyses believethat China will maintain its sustainable economic growth for at least another 10years. Now, what we need is the wisdom that could utilize China’s growth as ourstrategic asset, rather than anxiety about China’s rise.

      • KCI등재후보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와 한국의 국방정책의 과제

        김강녕 ( Kang Nyeong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1 동북아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와 한국의 국방정책의 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와 미래전의 양상, 한국의 국방목표와 국방정책의 기조, 한국의 국방정책의 과제 등의 순서로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보았다. 동북아에서는 역내 국가들 간의 상호교류와 다자협력이 중대되고 있다. 그러나 북핵문제, 양안문제, 역사문제, 영토문제, 해양경계선 확정문제와 같은 갈등요인과 함께 이를 둘러싼 주변국들의 경쟁적인 군사력 증강은 여전히 역내안보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북한은 국제제재와 경제난에도 불구하고 2012년 강성대국 건설을 위해 총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수적 규모에서 세계 4위 재래식 전력과 핵을 비롯한 대량살상무기의 개발은 우리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국방부는 2l세기 전략환경과 미래전 양상에 부합하는 ``정예화된 선진강군``을 육성하기 위해 국방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개혁의 기본방향은 국내외 다양한 안보위협에 대처할 수 있도록 군구조를 개편하고 실용적 선진국방운영체제틀 발전시키는 것이다. 우리군은 가용 국방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북한의 침투·국지도발 위협에 우선 대비하면서 전면전과 잠재적 위협에도 대비하여 전쟁을 억제하고 전승을 보장할 수 있는 최적의 선진군사역량을 건설해 나가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조기경보능력과 실시간 감시능력을 구비하고, 네트워크 중심전(NCW) 수행이 가능한 C4I체계를 구축하며, 기동·타격전력체계의 질적 개선을 도모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analyse the changes of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and the tasks of national defence policy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purpose of that, this paper searched for the changes of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and future warfare in general, the objectives and tenets of the national defence policy, the ROK`s national defence policy tasks, and concluded. Within Northeast Asia, mutual exchanges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have been increasing. Yet the causes for disputes and the maritime demarcation issue, still exist leading concerned nations to compete against one another in bolstering their military power, which destabilizes the region. Despite the sanctions levi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ts economic hardships, North Korea has put its utmost effort into constructing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by the year 2012. The fact that North Korea has the world`s fourth largest conventional military force and that it has developed WMDs. including nuclear weapons, poses a serious threat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MND) strives to reform national defense by building slim but strong advanced ROK military forces capable of meeting the challenges posed by the changing strategic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and future warfare in general. The basic policy direction for national military reform is to change the military structure and develop a pragmatic, advanced defense operational system to counter various security threats posed at home and abroad. Our military should do its best to build advanced military capabilities capable of ensuring deterrence and victory incases of an all-out war as well as coping with the threat of local provocations by North Korea by making systems. the C4I system, which enables network-centric warfare, and a mobile strike capability will be obtained.

      • KCI등재

        강소국의 국방정책 사례 비교 분석: 한국, 스위스, 이스라엘의 예비전력 중심으로

        김용빈 ( Yong Bin Kim ) 한국행정사학회 2014 韓國行政史學誌 Vol.35 No.-

        예비전력은 상비전력 및 연합전력과 함께 전쟁 억제와 수행의 핵심전력이다. 평시 상비전력에 준하는 전투력을 유지하여 위기발생시 전쟁을 억제하거나, 전쟁으로 발전 시 소요되는 인원, 물자 등을 동원하여 주 전력으로 활용 하며 아울러 작전 지속능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한국의 예비전력은 편성, 역할 및 기능, 장비, 훈련 등을 고려 시 상비전력의 보조 역할 수준에 머물러 있다. 강소국 스위스와 이스라엘은 한국과 유사한 안보환경에서 소수의 상비전력을 유지하면서 예비전력을 핵심전력으로 운용하여 전쟁을 억제하고 전쟁에서 승리한 모범적인 사례가 있다. 본 논문은 한국, 이스라엘, 스위스의 예비전력 운용 사례를 분석해 본다. 특히, 한국의 예비전력이 실질적으로 경험해 보지못한 전쟁 시 동원 및 운용사례 측면을 비교해 봄으로써 북한과 대립되어 전쟁에 대비해야 하는 현재의 안보상황에서 예비전력의 정예화를 추진하는 국방정책에 교훈을 찾고자 한다. The reserve power was important together with not only active power but also alliedforce to deterrence and trigger wars. The reserve power kept combat ability equivalent to active power at ordinary time to deterrence wars at crisis and to mobilize human resources and materials for wars and to make use of main force and to keep military operation continuously. The reserve power of Republic of Korea played role of assistant of active power considering organization, role, functions, equipment and military training and so on. Small but strong countries such as Switzerland and Israel could deter and win wars byusing reserve power under same conditions as that of Republic of Korea. Switzerland that was permanently neutralized state kept small number of active power at ordinary time and mobilized militia at the country``s crisis that was important force. During the Second World War, Switzerland made use of reserve power against German force``s threat of attack effectively to deter and avoid war. Even if at present, some of people argued disorganization of militia, Switzerland kept reserve power as it was to bring new equipment and to do military training with preparation for combat. Israel that has been confronted with Arabic countries kept active power in preparation for terror and low level dispute and to do military operation by reserve power at wars. At four times Middle East Wars, Israel overcame poor combat ability than that of neighboring Arabic countries to win war and did high level of military training and prepared for perfect mobilization at ordinary time. North Korea regime``s security threat was serious. Republic of Korea established reserve power in preparation for North Korea``s military attack and frequent provocation and could not exercise military ability well because of old model military equipment to have poor quality military training contents and time. To exercise combat power at wars by mobilizing enormous reserve power, roles, better quality military equipment and strengthened military training were required with defense policy.This study investigated cases of reserve powers in Republic of Korea, Israel and Switzerland. This study investigated mobilization and operation at wars that Republic of Korea``s reserve power did not experience, and found out lessons of defense policy that Republic of Korean government promoted to keep strong reserve power under security situation in preparation for war against North Korea.

      • KCI등재

        국방혁신 4.0구현을 위한 소요군의 기획체계 발전방향

        이상승,정민섭,이창인,박상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3

        In order for the military organization to be reborn as a high-tech science and technology strong force, science and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to the military is identified at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hould be quickly applied to military organizations, which is a growing consensus that Defense R&D planning system centered on rioters is needed to quickly acquire advanced weapons systems. In this respect, in order to successfully achieve the current government's defense policy, the high-tech weapons system necessary for national defense is required quickly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defense planning, systems, organizations, and functions to develop into a high-tech science and technology military to link from raising to acquiring, and to reorganize the power enhancement and operation system.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high-efficiency defense operation system that combines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by Korean military organizations through "Defense Innovation 4.0", and we hope that follow-up research will be conducted following this study. 첨단 과학기술 강군으로 군(軍) 조직이 거듭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빠른 발전속도에 맞춰 군에 접목이 가능한 과학기술을 식별하고, 이를 신속하게 군(軍) 조직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첨단 무기체계의 신속한 획득을 위해 소요군이 중심이 되는 국방R&D 기획체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현 정부의 국방정책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방에 필요한 첨단 무기체계가 신속하게 소요제기부터 획득까지 연계되도록 첨단 과학기술 군으로 발전하기 위한 국방기획 및 제도·조직과 기능을 면밀히 살펴보고 전력증강 및 운영 체계에 대한 재정비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방혁신 4.0’을 통해 우리나라 군 조직이 첨단과학기술을 접목한 고효율 국방운영 체계에 제언하는 바이며 더불어 본 연구에 이어 관련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KCI등재

        1970년대 한국 자주국방정책 연구

        박봉수(Park, Bong-su)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1 군사 Vol.- No.78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Self-Reliant Defense Policy of the ROK in the 1970s. In this article, I divided the Self-Reliant Defense Policy of the ROK in the 1970s into the groping, development and deepening periods, and appraised the evolution and peculiarity. Groping Period(1968~1970) was the term that prepared the Self-Reliant Defense capability centering around the Self-Reliant Defense willing. In this period, the ROK actively evaluated national security meeting and formed strategic sympathy of the national leaders. Development Period(1971 ~ 1975) was the term that strengthened the Self-Reliant Defense willing through all-out national security and prepared the Self-Reliant Defense capability through the Yul Gok projects. Also the ROK tried to produced arms, tanks, combat ships by oneself and developed missile, nuclear weapon to guarantee war deterrence. Deepening Period(1976~1979) was the term that the Self-Reliant Defense Policy of the ROK was actively leaded. In this period, the ROK established the Fighting Power Reinforcement Research Committee to found long term plan to develop fighting power reinforcement. And the ROK made establishment systems of self reliant military strategy. Through this research, I confirmed that the ROK had tried to set up the Self-Reliant Defense posture for about 10 years. Specially in 1970s the latter half, the ROK had tried to prepared military strategy and strategic weapons to cope with not only the North Korea’s threat but also neighboring countries’ threat. Also I was able to confirm importance of national leader group’s security sympathy and the people’s support. In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I drew implication that national leader group, the people’s sympathy is important to ensure national security.

      • SCOPUSKCI등재

        한국형 절충교역 추진 모델 연구(구매자 측면)

        이재석,홍석수,정태윤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7 No.S

        절충교역은 국방과학기술의 다양한 획득방법 중의 하나로서 국외로부터 무기체계를 구매할 경우 반대급부로 핵심기술, 방산물자 및 부품 수출 등을 획득하는 국제무역거래의 한 특수형태이다. 우리나라는 국방과학기술력의 향상과 방위산업의 발전을 위해 1983년부터 절충교역을 추진하여 오고 있다. 절충교역은 일반적인 상업 무역거래와는 달리 절충교역 추진국가가 기술 수혜국으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여 성공적인 기술이전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절충교역 추진 과장상의 운영의 묘미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그동안 절충교역 추진 효율성을 강화하고 실패사례를 줄이기 위해 절충교역 추진 목적과 정책을 전략적으로 개선하여 절차화·표준화해오고 있다. 최근 방위사업청 개청 이후 절충교역 추진 정책의 방향을 목표지향·성과지향적으로 설정하고 다시 한 번 제도를 개선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책적 방향성에 부합하는 실무적 절충교역 추진 모델은 미흡하여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존재한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절충교역 제도의 완성도를 높여 우리나라의 국방과학기술력 향상과 방위산업 육성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선순환 구조의 한국형 절충교역 추진 모델을 개발·제안한다.제안하는 한국형 절충교역 추진 모델은 현행 제도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문현연구를 통해 도출된 개선 필요사항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전체 절충교역 추진절차를 식별(Detection), 확보(Security), 이전(Transfer), 활용(Application), 확산(Diffusion)이라는 다섯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의 성공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