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별논문 : 20세기 초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 연구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 생성 전략으로서 글쓰기 양상을 중심으로-

        고예진 ( Ye Jin Ko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0

        본고는 20세기 초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 양상을 고찰하였다.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 생성 전략으로서 수행되었던 서양인의 글쓰기 활동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20세기 초 서양인들의 한국어 글쓰기 활동은 크게 3단계로 나타났다. 첫 번째 단계는 ``문장 쓰기 활동`` 이었다. 문장 쓰기는 번역,대체 수준의 초보적 문장 쓰기와 문법에 초점을 두거나 내용에 초점을 두어 문장을 쓰는 발전적 문장쓰기로 구분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덧붙여 쓰기``와 ``다시 쓰기`` 활동이었다. ``덧붙여 쓰기``는 어휘나 구 혹은 문장을 덧붙여 쓰는 활동으로 19세기 말부터 수행되었다. ``다시 쓰기``는 20세기에 이르러 수행된 활동으로 ``주어진 속담을 읽고 그 속담의 뜻을 한국어로 다시 쓰기``, ``한국민담을 듣고 한국어로 다시 쓰기``를 들수 있다. 이 단계의 글쓰기는 한국어를 듣거나 읽은 후 자신이 이해한 바를 재생산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긴 글쓰기`` 활동이었다. 즉, 완결된 텍스트를 생산해내는 글쓰기 단계이다. 한국 종교, 결혼 등 한국 문화에 대한 설명문이나 대화체 글을 쓰거나 문법 항목의 형태,통사적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이야기를 쓰는 글쓰기 활동이다. 이 단계의 자료는 19세기 말부터 누적된 서양인의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학습이 20세기 초에 이르러 비교적 높은 수준에 이르렀음을 잘 보여준다. 19세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한국어 학습을 시도했던 서양인들은, 20세기 초에 접어들면서 한국어 학습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한국어 글쓰기 활동을 추적하여 고찰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글쓰기 수행에 대한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atterns of writing in Korean language by western people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one of the strategies to make good teaching method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 this study analyzed the writing patterns in Korean language by westerners. The first step in Korean writing was ``sentence writing``. There were translation, substitution, grammar-based sentence writing, meaning-based sentence writing. The second step was ``expanding writing`` and ``re-writing``. The case in ``re-writing`` is ``Read the proverb and write the meaning again`` or ``Listen to a Korean folk-tale and write it down in Korean language.`` ``expanding writing`` is writing in addition with word or phrase. On this stage, students were supposed to listen to or read Korean language texts and recreated what they comprehended in Korean. The third stage was ``writing a long text.`` In other words, it was ``writing a complete text freely.`` Western people were supposed to write an explanatory note or dialogue script about Korean cultures such as religion or marriage. Also, they wrote texts that show structur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 features. Materials of this stage reflect that textbooks and teaching system of Korean language for western people which have been developed and accumulated from the 19th century have finally reached quite a high level. Westerners who tried studying Korean language in earnest start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naturally started writing in Korean while making study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uld found historic data and values about westerners` Korean language composition by tracing texts written by western people in the past.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 대상 한국어 수준별 글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장미정 ( Jang Mijung ),유민애 ( Yu Minae ),오선경 ( Oh Sunkyung ),박정은 ( Park Jung-eun ) 민족어문학회 2022 어문논집 Vol.- No.96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수준에 따른 글쓰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 대학 기관에서 사용되는 6종의 글쓰기 교재를 분석한 결과, 여러 글쓰기 교재에서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텍스트나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교재에 글쓰기 기술과 전략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를 내재화시키기에는 연습이 적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외국인 학부생 185명을 대상으로 대학 글쓰기에 대한 교육 요구를 조사한 결과, 한국어 중급과 고급, 즉 한국어 수준에 따라 대학에서 주로 수행하는 글쓰기 과제와 학습이 요구되는 글쓰기 과제 유형에 차이가 있었으며 선호하는 글쓰기 기술과 교재의 출판 형태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 분석과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학부생 대상으로 한국어 수준에 따른 글쓰기 교재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먼저 글쓰기 교재는 외국인 학부생의 글쓰기 표현 능력과 더불어 인문학적 소양 증진, 비판적 사고 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교재는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에 맞는 맞춤형 교육 내용을 제공하고, 학문적 담화 공동체에서 요구하는 학술적 글쓰기 능력과 학문적 텍스트 생산에 필요한 절차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하며, 디지털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교재로 출판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중급과 고급 수준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교재의 교수요목과 단원 구성, 쓰기 활동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for developing a writ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We analyzed six types of college writing textbooks and found that texts and activities in them did not fully reflect th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re was little practice to internalize writing skills and strategies. In addition, need analysis was conducted for 185 foreign students. As a result, the educational needs for college writing differed according to Korean proficienc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eed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in the writing tasks mainly performed at university, the types of writing tasks that require learning, the preferred writing skills, and the publication type of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et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Korean proficiency. The writing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academic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They also should provide customized educational content suitable for th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nd should be able to cultivate academic writing skills required by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procedural knowledge required for an academic text production. Moreover, the writing textbooks should be published for a digital environment.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syllabus, unit composition, and the examples of writing activities in writing textbooks for the students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of the Korean proficiency.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분석

        정다운(Chung, Da-woon)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60 No.-

        본고는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국인 대학원생과 교수진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 외국인 대학원생 중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이 많이 있었으나 대학원에서는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 기회를 거의 제공하지 않고 있었으며, ‘학술적 글쓰기’와 관련된 수업도 많이 없었다. 그러나 학생과 교수진은 모두 대학원에서 한국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국어 수업과 학술적 글쓰기 수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논문이나 보고서를 쓸 때 어려운 부분과 배워야 하는 내용에 대해서도 거의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나, ‘연구와 글쓰기 윤리’에 대해 교수진은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학생들은 별로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대학원생의 한국어 능력 신장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한국어 교육과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교육과정과 관련해서는 학술적 글쓰기 수업은 학과별로 그 중요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대학원 기초 공통의 한 과목과 학과별로 전공에 맞게 심화된 글쓰기 수업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외국인 대학원생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글쓰기 센터 및 글쓰기 전문가, 한국어 교육 기관 및 한국어 교육 전문가, 학과와 전공 교수진의 협력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만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임을 알게 되었다.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need for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suggest directions for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needs of foreign students and professors in academic writing education were assessed. Despite the low level of Korean language skills among foreign graduate students, graduate schools are not providing adequ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very few “academic writing” classes are offered. However,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heir professors were cognizant of the need for more Korean language and Korean academic writing classes. In addition,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were in unison on their thoughts regarding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when writing reports and thesis / dissertation, and agreed on the need to improve on certain areas. However, while professors prioritized “research and ethics of writing,” the students did no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give light to the importance of prioritizing interest in cultivating Korean language skills, as well as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academic writing classes 1) as a general prerequisite and 2) customized for the various respective majors available in graduate schools was reaffirmed. It was also concluded that academic writing education will only be effective and efficient when writing experts, writing centers,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s,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major departments, and professors systematically cooperate.

      • KCI등재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동기와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정윤나,김정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1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Korean writing instruction in the context of an English-medium instruction (EMI) policy. It specifically investigates the changes of students’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rough a semester-long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 The dataset consisted of questionnaire responses about writ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English- and Korean-medium instruction (KMI) by college students learning Korean writing. Surveys were conduct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wo semesters. The analyses indicate that writing motivation (both extrinsic and intrinsic) and self-efficacy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writing course. Whil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Korean-medium instruction were found at the beginning of each semester, post-class data additionall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KMI and EMI. These results are discussed to highlight the contribution of Korean writing instruction in the context of EMI to increased student perception of KMI as well as their writ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본 연구는 영어강의 환경에서 대학 한국어 글쓰기 수업을 수강하는 내국인 학생들의 수업 전후의 글쓰기 동기와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문화적 학습관점에서 이러한 학습자 요인과 영어강의 및 한국어강의 환경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관계가 한국어 글쓰기 수업 후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분석하여 한국어 글쓰기 수업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양적연구를 위하여 학습자들의 글쓰기 동기와 자기효능감,영어강의 및 한국어강의에 대한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를 개발하였다.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두 학기 동안 학기 초와 말,모두 네 번에 걸쳐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양적연구 결과의 분석 및 논의를 위해 학습자들이 작성한 수업 후기를 함께 활용하였다.연구 결과,한국어 글쓰기 교과 수강 후 학습자들의 글쓰기 동기 및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학습자들의 수업 후기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확인되었다.상관관계분석 결과,수강 전,학습자들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간,내적 동기와 자기효능감 간,외적 동기와 한국어강의에 대한 인식 간에 각각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그리고 수강 후,한국어강의에대한 인식과 영어강의에 대한 인식 사이의 부적상관관계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를 통해 글쓰기 동기와 자기효능감은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활동과 교수자의 피드백을 통해 자극되고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특히,한국어 강의 환경의 필요에 대한 인식이 영어강의 환경 대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이는 영어강의 정책을 시행하는 대학 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의 방향 설정 및 방안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글쓰기 교육

        김은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1

        This study is subject to: if any foreign university student has to be difficult for a social writing course, it is related to the comprehensive culture learning for using a language included the formal model rather than the ability forming contents from functions expressing a language. From various writing types, a foreign university student with the Korean language ability than the intermediate level pursues to writings of social and academic purposes. Just, a language to them is an instrumental factor for communication. Therefore, learners as a writing subject have to communicate its position and opinion for own insistence with readers, conduct the work re-constructing from a general document to a formal one to present own story, and recognize the writing culture which readers and listeners are centered on a writing. The writing education model for the communicative writing is aimed to provide a familiar ability to write a language for readers and listeners using Korean language as a mother tongu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writing education model which is connected from the copy to the expansion. And its model is introduced to the field of writing education, then its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is aimed to check and discuss whether learners are improved a social writing ability or not. The writing education model introduced in the educational field is based on the copy of the traditional method for a language education. The model writing targeted for the copy is extracted from typical discourse makers of the social writing as expression factors. The education course is reflected the discussion course between learners related to acceptance and internalization of the language culture of learners. It is mostly designed to the free-writing course which autonomously utilizes the formal aspect like expression factors for successful conduction of academic and social writings. By this course, we is induced a learner who i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ocial writing included the formal speaking. And we allow that they internalize formal and cultural factors by themselves, and try to check whether learners are improved the writing ability re-structuring to the creative form or not. 본고는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학술적 글쓰기의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의 원인이 언어표현 기능 중 내용구성능력에 있지 않고, 형식적 모형을 포함하는 언어사용의 총체적 문화 습득 여부에 있음을 전제로 한다. 중급 이상의 한국어 능력을 소지한 외국인 대학생에게 목표가 되는 글쓰기는 사회적 목적, 학문적 목적의 글쓰기이며 사용언어는 소통을 위한 도구적 요소이다. 그러므로 쓰기 주체로서 학습자는 자신이 주장하고자 하는 입장과 의견을 독자와 소통하고, 학업의 과정으로 자신의 글을 대중 앞에서 발표하기 위해 공적 말하기 대본인 발표문으로 재구조화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독자와 청자를 글의 중심에 놓는 쓰기 문화에 대해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소통적 글쓰기를 위한 글쓰기 교육 모형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독자와 청자들에게 익숙한 쓰기 언어 사용 능력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데 목표를 둔다. 이에 본고에서는 모방에서 확장으로 이어지는 글쓰기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쓰기 교육 현장에 도입하여 이루어진 글쓰기 결과물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공적 글쓰기 능력이 제고되는 과정을 확인하는데 논의의 목적을 두었다. 교육 현장에 도입된 쓰기 교육 모형은 언어학습의 전통적 방식인 모방에 기반을 두었으며, 모방의 대상이 되는 모범 문형은 학술적 글장르의 대표적 구조 및 수사적 표현을 추출하여 제공하였다.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언어문화의 수용과 내재화에 관련된 학습자간 토론의 과정을 반영하였고, 학술적 글쓰기, 발표문 쓰기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표현 기능 등의 형식적 측면을 주체적으로 활용하는 자유쓰기 과정을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쓰기 학습자가 발표문 쓰기를 포함하는 학술적 글쓰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글쓰기 도구로서의 언어에 대한 형식적, 문화적 요소를 주체적으로 내재화하며 창의적으로 재구조화하는 글쓰기 능력의 향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분석적 글쓰기 교육을 위한 연구

        이선중,황성은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7

        Since the discussion of Korean writing education began in earnest, the biggest topic of conversation has been genre writing education. And academic writ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in the past and present days as demand for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increased. Academic writing is an area of writing, which is distinct from literary writing as well as practical writing. It takes place with a set of information provided on a particular academic topic or research problem, which generally includes arguments and views on the subject, analyses and criticisms of the issue in question, and alternatives for new perspectives and problem solving. Academic Purpose Korean learners learn Korean for the purpose of academic training. Academic-purpose Korean learners will use the Korean language to write academic articles, and inevitably carry out analytical writing tasks in the process.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is the task of analytical writing given to foreign students and to grasp the research problems necessary to educate them. When foreign students encountered analytical writing as an academic writing task, they wanted to clarify what areas of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with attention. 한국어 교육에서 쓰기 교육의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글의 장르와 그 교육에 대한 논의는 현재까지 가장 큰 화두가 되는 주제이다. 그리고 학술적 글쓰기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과거에도 현재에도 한국어 쓰기 교육 내 가장 큰 연구 주제가 되었다. 학술적 글쓰기는 작문의 한 영역으로, 문예적 글쓰기와는 물론이고 실용적 글쓰기와도 확연히 구분되는 영역이다. 특정 학문 주제 또는 연구 문제에 대한 일련의 정보가 제공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그 내용은 일반적으로 해당 주제의 주장 및 견해, 문제의 사안에 대해 파악하여 해당 주장 및 견해를 비판하거나 새로운 시각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통칭 외국인 유학생은 그 용어 그대로 학문 수양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한다. 기본적으로 한국어를 활용해 학술적 글쓰기를 수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는 외국인 유학생들은 필연적으로 분석적 글쓰기라는 과제에 당면하게 된다.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주어지는 분석적 글쓰기라는 과제란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 문제들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외국인 유학생이 학술적 글쓰기 과제로 분석적 글쓰기를 접하게 되었을 때 교육은 어떤 부분에 주의하며 이루어져야 하는지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글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내용 구조 분석 연구

        김미영(Gim Mi young)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9 No.-

        본고는한국어중급학습자의쓰기텍스트를질적분석하고텍스트의내용구조의특징과 오류양상고찰을통해대학(원) 입학전필요한글쓰기교육과정개발을위한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그목적이있다. 나아가대학내외국인신입생들의글쓰기부담을덜어주고, 이 들이 전공 과제 수행에글쓰기 능력을 효과적으로 전이하여 발현할 수 있도록 돕고자한다.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려면 ‘내용 지식(명제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통합된 개념)’의 습득이 필수적인데 이를 습득하고 글쓰기에 적용하는 능력은 단시간에 이루어지기 힘들다. 따라서 기존의 어휘·문법 중심의 글쓰기 교육에서 벗어나 현실적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내용·맥락 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현재 중급학습자들의 글쓰기 능력을 텍스트 질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중급학습자의텍스트를‘내용의적절성’과‘내용의전개구조’를기준으로적절함과부적절함으로 나누어 평가하였고 그 특징과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내용 및 과제 수행 분석결과, 중급학습자들은서론-본론-결론에서내용의구성과과제수행능력에서부족함을보였다. 이는 중급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이를 단락으로 구성하는 일이 낯설고, 어려운 과정이기 때문이다. 또한 내용에 따라 텍스트를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데에도 미숙했는데 이는 텍스트 내용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인식 부족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내용과 단락을 구성하는 일은 대학 글쓰기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단시간에 이러한 능력을 향상시키는 일은 어렵다. 그러므로 글쓰기 교육이 적절한 단계에 따라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때에라야 대학 내 유학생들은 교양과 전공 과목에서 수준 높은 글쓰기 능력을 발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eek the desirable way to the prerequisite writing education for KAP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by considering the error patterns that presented in the written texts of the intermediate learners. Furthermore, it is to help effective transfer of college students’ writing skills and navigate its effectiveness. To obtain effective writing skills, it is essential to acquire the content knowledge (a notion combining proposition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goals to learn the knowledge and put it in practice in a short time. This infers that there is a need to focus on content and context-centered educations, which Korean-language learners actually need in reality, rather than the education that makes students immersed in learning grammar and vocabulary. In order to focus on the content &context-centered educatio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assess the writing skills of learners at intermediate level. Written texts have been analysed and described in two parts of evaluation categories which are ‘content and task execution’ and ‘Development structure’. As the result, it appeared that most intermediate level learners appropriately divided paragraphs by making indentations perfunctorily. However, inappropriateness was observed in terms of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writing. In fact, it was found that intermediate level learn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organizing contents and composing a paragraph even for a short writing. The organizing contents and composing a paragraph are very important in academic writing, but they are hard to enhance in a short time which are needed in writing Korean academic essay. Therefore, when overseas students at universities are taught writing skills based on their level, they could find the way of improving their skills to write advanced level of essays for cultural subjects as well as their majors.

      • KCI등재

        學問目的 韓國語의 글쓰기 現況과 方向性 - 大學 敎養 必須科目의 特殊 學問目的 글쓰기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3

        <P>&nbsp;&nbsp;本 硏究의 目的은 국내 대학에서 교양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학술적 글쓰기 강좌, 즉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講座 現況, 敎育 目標 및 內容, 運營 體系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두었다. 각 대학은 外國人을 위한 교양필수 글쓰기 강좌를 開設하고 있으나 교육의 목표나 내용, 체계 등에서 一般班과 偏差를 보여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에 적합한 敎育 目標와 敎育 內容, 運營 體系를 定立해 보았다.</P><P>&nbsp;&nbsp;外國人班의 학술적 글쓰기의 巨視的 目標는 一般班과 동일하게 적용하되 微視的으로는 학술적인 글에 적합한 글쓰기 능력을 涵養하는 1차적 목표와, 語彙力, 思考力, 意思疏通 能力을 涵養하는 2차적 목표로 세분할 수 있다.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敎育 內容으로는 글쓰기의 이론과 실습, 전공 어휘 및 고급 한자어 학습, 텍스트 이해력 향상, 발표와 토론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외국인반의 학술적 글쓰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受講生의 定員을 最小化하고 補助 敎育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교양필수과목 글쓰기 以後의 後續 課程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P>

      • KCI등재

        學問目的 韓國語의 글쓰기 現況과 方向性 -大學 敎養 必須科目의 特殊 學問目的 글쓰기를 中心으로-

        김선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3

        This article reviews the current situations of Korean Academic Writing (KAW) classes for foreigners or overseas Koreans in Korea and suggests the direction for future KAW courses. A number of Korean universities began offering KAW classes to Korean students since 2000. In particular, in order to meet the growing number of foreign students' needs on campus, many universities offer KAW classes only for foreign students and overseas Koreans. Currently, the KAW program has quantitatively increased. However, compared to the quantity, the quality of the KAW program has not improved as much.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 first, we need to establish a clear educational objective with an emphasis on academic writing. Otherwise, the KAW courses are not different from the courses offered by Korean Learning Center. Also, as formal expressions and appropriate contents are important in academic writing, we need to develop more courses and materials that focus on academic writing. The courses and materials need to be designed to help students' language skills as well as their discourse skills (e.g., Korean turn-taking rules). Lastly, to manage the KAW program more efficiently, it's important to minimize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supplement writing system, develop advanced writing courses, and separate foreigner classes into overseas Korean classes. 本 硏究의 目的은 국내 대학에서 교양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학술적 글쓰기 강좌, 즉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講座 現況, 敎育 目標 및 內容, 運營 體系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두었다. 각 대학은 外國人을 위한 교양필수 글쓰기 강좌를 開設하고 있으나 교육의 목표나 내용, 체계 등에서 一般班과 偏差를 보여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에 적합한 敎育 目標와 敎育 內容, 運營 體系를 定立해 보았다. 外國人班의 학술적 글쓰기의 巨視的 目標는 一般班과 동일하게 적용하되 微視的으로는 학술적인 글에 적합한 글쓰기 능력을 涵養하는 1차적 목표와, 語彙力, 思考力, 意思疏通 能力을 涵養하는 2차적 목표로 세분할 수 있다.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敎育 內容으로는 글쓰기의 이론과 실습, 전공 어휘 및 고급 한자어 학습, 텍스트 이해력 향상, 발표와 토론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외국인반의 학술적 글쓰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受講生의 定員을 最小化하고 補助 敎育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교양 필수과목 글쓰기 以後의 後續 課程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논문의 글쓰기 사례 연구

        한재영 ( Jaeyoung Ha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과학교육 논문의 글쓰기 실태를 한국어 기초 문법과 번역투의 측면에서 조사하고 그 개선점을 찾아보았다. 과학교육 연구는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특성을 모두 나타내며 양적 연구를 더 많이 하는 특징이 있어 논문 글쓰기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번역투는 순수한 한국어가 아닌 외국어에서 유래한 상투적 표현을 말한다. 한국어 기초 문법은 호응의 문제, 맞춤법·띄어쓰기·문장 부호의 문제, 사동 표현의 문제, 무분별한 영어 사용의 문제로 정리하였고, 번역투는 영어번역의 문제, 일본어 번역의 문제, 영어와 일본어 번역의 문제로 구분 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한 호에 실린 논문 9편의 글쓰기 중에서 한국어 기초 문법에 어긋나는 사례와 번역투에 해당하는 사례를 찾아 문제를 논의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빈도가 높은 문제사례는 ``~적``, ``영어 사용``, ``복수 표현``, ``하다류 피동``, ``~고 있는``, ``~을 통하여``, ``~에 대하여``, ``가지다``, ``관형격조사 ~의``, ``사물주어 수동태``, ``사동(시키다)`` 등이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과학교육 소 논문의 글쓰기 특징을 ``양적 연구의 글쓰기``, ``학술 연구의 객관적 글쓰기``, ``외국에서 유래한 연구의 글쓰기``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과학교육 논문 글쓰기에 나타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과학교육 연구자는 한국어 기초 문법과 번역투에 관심을 기울이고, 구체적인 사례와 내용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글쓰기 교육과 문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writing in research papers of science education with focus on the translationese and basic Korean grammar, and found a way of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have characteristics of both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and of having more quantitative than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uld influence the writing of the research paper. The translationese means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riginated from foreign language other than Korean. The basic Korean grammar includes ``agreement,`` ``spelling, word spacing, punctuation mark,`` ``causative suffix,`` ``use of English or loanword,`` and the translationese is divided in ``English,`` ``Japanese,`` and ``English and Japanese.`` The sentences in nine research paper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atic sentences were discussed and provided with alternatives. The cases with high frequency include ``-jeok,`` ``use of English,`` ``expression of the plural,`` ``passive voice of the verb with -hada,`` ``-go inneun,`` ``-eul tonghayeo,`` ``-e daehayeo,`` ``gajida,`` ``genitive case marker -eui,`` ``passive voice with subject of thing,`` and ``causative suffix, -sikida.``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papers were described as ``writing of quantitative research,`` ``objective writing of academic research,`` and ``writing of research of foreign origin.`` In order to improve the writing of research paper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should pay attention to basic Korean grammar and the translationese, and be familiar with the concrete examples of problematic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education of writing and grammar of Korea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