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문 : 국어학 ; 비즈니스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주제별 연구사를 중심으로

        김수미 ( Su Mi K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3 한국어와 문화 Vol.13 No.-

        본고에서는 최근 점점 늘어나고 있는 비즈니스 한국어교육의 성과를 연구 주제별로 검토해봄으로써 현재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의 연구 동향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짚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비즈니스 한국어는 직업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으로 정의되어 있는데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서 이주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 일반 사무직에 종사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으로 분류되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무직에 종사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주로 검토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제별로 연구의 편차가 큰 편이다. 둘째,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역시 일반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실증적 연구가 요구된다. 넷째, 특수목적 한국어 교육의 본질을 극대화해야 한다. 다섯 째, 교사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요구된다. 앞으로는 기존의 한국어교육학에서 다루었던 연구 주제도 물론 비교 검토의 차원에서 다뤄야하겠지만 연구 주제의 다양성과, 연구 방법의 다각화를 적극 수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고는 비록 한국어교육학 연구 검토를 참고하고 이를 기준으로 연구사를 검토하였으나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시각이 다양해질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e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pics by reviewing the performance of the Business Korean education. Business Korean is a kind of Korean for specific purpose. The focus of analysis for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opics on history and to set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search topic up to now. Second, studies are needed in a variety of fields in the future. Third,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in Business Korean education. Fourth, the essence of the special-purpose Korean education should be maximized. Fifth, professional training for teachers is required. We should study a variety of subjects. And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will be embracing. This study may be helpful so that you can have a variety of perspectives about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온라인 한국어 교육의 구성요인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채(MIN CHAE KIM),김성주(SEONG JU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한국어 교수를 위하여 어떠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할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갖고 수행한 논문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방법 온라인 한국어 교육에서의 중요 구성요인과 교육만족도에 대한 연구도구를 설정한 뒤, 서울 및 경기권의 3개 대학의 어학당 및 언어교육기관에서 온라인 한국어 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2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배포하고, 수집된 유효표본을 바탕으로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다중회귀분석, 상관분석, 차이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첫째, 온라인 한국어 교육에 대하여 학습자의 만족도를 가장 크게 좌우하는 요인은 학습자의 학습동기, 온라인 학습을 위한 준비의 정도, 온라인 학습을 위한 플랫폼의 사용역량으로 대변되는 학습자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한국어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베트남권 학생보다 중화권 학생들이, TOPIK 성적이 높은 학생보다 낮은 학생이, 전반적인 학업 수준이 높은 학생보다 낮은 학생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온라인을 통한 한국어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행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동기의식을 자극하기 위해 다양한 한류기반 영상 미디어 매체의 활용은 물론,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대한 학습자들의 접근성 제고를 고려한 교수가 필요하다. 특히, 온오프라인 병행 수업 시 한국어 초급능력을 지닌 학습자들에게 온라인을 통한 선학습 교육이 시행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온라인 한국어 교수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what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or effective Korean language teach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Methods After establishing a research tool on the important components of online Korean educ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50 people who were completing an online Korean language course at language schools and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of three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difference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collected valid sample.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greatly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with respect to online Korean education are learner factors represented by th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readiness for online learning, and the ability to use the platform for online learning. Second, satisfaction with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higher for students from Greater Chinese than for Vietnamese, Also for students with low TOPIK scores, and students with low overall academic standards. Conclusions In order for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Korean Wave-based video media to stimulate learners' motiv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professors who consider improving learners' access to online education platforms. In particular, if online pre-learning education is implemented for learners with basic Korean proficiency during both online and offline classes, it is thought that they will become more effective online Korean professors.

      • KCI등재

        한국어교육실습을 경험한 학부생의 한국어교사 이미지에 대한 주관성 연구

        박현진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0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ents’ subjective ima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ir practicum.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34 statements on 30 participants using Q methodolog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Ken-Q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ir subjective ima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first type sees Korean teachers as having “sufficient linguistic and educational knowledge but scarce compensation”, the second type as “being able to supervise students and with a feeling of belonging to their institution”, and The third and last type sees teachers with “knowledge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and a bright future”.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the image that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ir practicum have of Korean teachers. The results can be used to build a positive Korean language teacher image and develop educational material. 이 연구는 한국에서 한국어교육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이 가지는 한국어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어교사와 관련된 34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고, 한국어교육실습을 경험한 학부생 30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Q분류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en-Q Analysis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 학부생이 느끼는 한국어교사의 이미지는 총 3개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어학적, 교육적 지식이 있고 충분한 대우는 부족하다’였고, 유형 2는 ‘학생 생활지도를 해주며 직장에 대한 소속감이 크다’였다. 유형 3은 ‘현대문화를 잘 알고 미래가 밝다’라고 명명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이 한국어교사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각각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한국어교사의 이미지를 유형화한 본 연구의 결과가 한국어교사의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과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일본 내 한국어교육의 질적 발전 연구-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을 중심으로-

        오문경,이경수,문희진 한국일본근대학회 2020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qualification syste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qualitativel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to the teachers in the ways to strengthen Japan’s uniqueness and localization.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is driv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is positioned as a qualification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Japan and around the worl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requir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and requires localization based on Japan’s uniqueness.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trengthening Korean teachers’ competency.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and analyzed various data to derive the necessity of obtaining Korean teacher qualifications at Japanese universities. Also,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preliminary teachers residing in Japan to acquire qualification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is, measures to increase field expertise in Japan, methods to strengthen local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pproaches to humanize existing Korean teachers are presented. In the future, we hope that prospective teachers residing abroad, including in Japan, will be able to provide prototype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obtaining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s. 본 논문은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을 질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한국어교원 자격제도를 살펴보고, 일본의 특수성과 현지화를 강화한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원 자격제도는 한국어교육의 양적, 질적 발전을 견인하고 있으며 일본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교원의 전문성을 담보하는 자격으로 자리하고 있다.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은 양적 발전과 더불어 질적 발전이 요구되고 있으며 일본의 특수성에 입각한 현지화가 필요하다. 한국어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어 교사 역량 강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 주목하여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여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에 거주하는 예비 교원의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에 대한 발전방향 즉, 일본에서의 현장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교육 내용의 현지화 강화 방안, 기존 한국어 교사의 인적 자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일본을 위시하여 국외에 거주하는 예비 교원들이 한국어교원 자격을 취득하는 데 있어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대만 한국어교육을 통해 본 향후 해외 한국어교육의 과제와 전망

        정윤도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중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3

        본 연구는 대만의 중국문화대를 중심으로 올해로 65주년을 맞는 대만 한국어교육의 교육과정 변화를 살펴보고 그 경험을 토대로 향후 해외 한국어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론 제2장에서는 대만에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기관 측면에서 대학교, 고등학교, 기타 영리 목적의 부속기관 및 사설교육기관으로 나누어 최근까지의 교육 현황을 소개한다. 제3장에서는 대만 중국문화대의 학습자들의 변인과 학습 목적을 중심으로 대만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당면한 과제를 분석해 보고, 이를 토대로 제4 장 결론에서 향후 해외 한국어교육이 더욱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과제 해결의 방향성을 제시해 본다. 대만은 대학교에서 고등과정으로 한국어교육 역사가 시작된 지 65년에 이르고 현재는 세 대학에 학부와 석사과정이 있다. 고등학교의 경우는 2018년에 한국어가 정식으로 대만 고등학교 제2외국어로서 채택되면서 현재 124개 고교에서 총23,173명이 학습하고 있다. 한편 대만에서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은 2006년 이래 대만에서 시행되고 있는 TOPIK 응시자수에서도 알 수 있다. 2018년 제57회 TOPIK 이후로 응시 자수가 1.1만명을 돌파하며 세계 순 제4위, 2020년에 시행된 제60회는 코로나 사태로 전세계 63개국의 시험이 취소됨에도 불구하고 유일하게 대만은 4,848명이 참가하는 이변을 낳아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기도 하였다. 또한 오늘날 2019년 코로나 사태 이래 박차를 가하며 다가오는 메타버스 시대의 해외 한국어교육 향후 과제는 분명 새로운 환경 변화가 고려되어야 한다. 예견하건데, 향후 해외 한국어교육은 다양한 학제하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으로 분화되어 실시될 전망이며, 오프라인 환경에서 온라인 교육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대적 변화에 대처할 필요가 절실히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 석사과정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유길상,정순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 of Adult LearnersParticipated in the Korean Education Master’s CourseGilsang Yoo & Soonin Ju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eachers preparing for retirement who participated in the master’s cour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acquiring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s as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4 teachers preparing for retirement who participated in the master’s cour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and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wo sub-themes were derived: ‘Creating a virtuous cycle of educational experience for domestic immigrants’ and ‘Putting on Korean wings for overseas educational service’, one super-theme was derived, ‘A teacher’s dream of preparing for retirement: to be reborn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 This is significant in that the process of acquiring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s throug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presented a meaning as a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that enables adult learners to be reborn as exper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research,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s so that retirement preparation teachers can have a good influence on our society by continuously linking their educational careers even outside of school after retirement. Key Words: Korean Education, Korean Teacher, Retirement Preparation Training, Adult Learner, Learning Experience 한국어교육 석사과정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유 길 상*ㆍ정 순 인** 요약: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석사과정에 참여한 퇴직준비 교원의 학습경험을 분석하여,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 과정이 성인학습자의 퇴직준비교육으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 석사과정에 참여한 퇴직준비 교원 4명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및 학습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이주민을 위한 교육 경험 선순환 시키기’, ‘해외 교육봉사를 위한 한국어 날개 달기’라는 2개의 하위주제와 ‘퇴직준비 교원의 꿈: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다시 태어나기’라는 1개의 상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는 한국어교육 전공을 통한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 과정이 성인학습자에게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퇴직준비교육으로서의 의미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를 통해, 퇴직준비 교원이 퇴직 이후 학교 밖 사회에서도 자신의 교육경력을 지속적으로 연계하여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핵심어: 한국어교육, 한국어교원, 퇴직준비교육, 성인학습자, 학습경험 □ 접수일: 2022년 3월 29일, 수정일: 2022년 4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터랙티브콘텐츠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Inha Univ., Email: otx001@gmail.com)** 공동저자,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터랙티브콘텐츠학과 박사과정(Co-author, Doctoral Course, Inha Univ., Email: speechok@naver.com)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연동 방안

        장미영 국어문학회 2013 국어문학 Vol.54 No.-

        본 연구는 대학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을 연동시켜 진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그 실천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다문화교육은 대학의 한국어교육 대상자들이 다문화적 감수성을 갖춰 글로벌시대를 헤쳐 나갈 수 있는 새로운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이제 우리 사회의 다문화교육은 가족, 민족, 국가 개념을 의식하는 소속의 논리에서 빠른 속도의 변화와 다양한 문화 접촉 기회의 확대 및 점증하는 복합성 개념에 의거한 도구의 논리를 수용해야 할 때가 되었다.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필요하다. 그것은 첫째, 다양한 역사적 관점의 이해, 둘째, 문화적 의식 함양, 셋째, 간문화적 역량 개발, 넷째, 모든 형태의 편견과 차별에 대해 투쟁하기, 다섯째, 지구의 현 상태와 전 세계적 역동성에 대한 이해 증진, 여섯째, 사회적 행동 기술개발 등이다. 이상 여섯 가지로 정리된 다문화교육과정의 목적들은 개별적으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서로 중첩되어 있어 각각의 목적들이 서로의 발달과 함께 연동되어야만 성취가 가능하다. 한국어교육에 다문화교육을 연계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과과정의 개편이 필요하다. 교과과정은 교육 목표, 교과내용, 교수방법, 교수매체의 4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교육 목표는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되, 한국어교육을 통해 한국어만을 습득하게 하는데서 그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한국어교육의 목표는 한국어를 통해 다문화를 고려하는 상황적 결정 능력을 키우고 다양한 사회참여기술을 익히며 정치적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재 국가별, 민족별로 따로따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상호 배타적 정체성을 지양하는 쪽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교과내용면에서는 내용의 주제를 한국적 정황과 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과 함께 다양한 인종, 민족, 문화, 성, 언어, 사회적 계급, 종교, 성적 성향, 신체적 능력, 장애, 다양한 정치적 신념, 개념 등을 포함할 수 있게 한다. 교과내용은 무엇보다도 전세계의 다양한 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르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더 나아가서 인간의 존엄성이나 인권의 존중, 세계사회에 대한 책임감, 지구환경에 대한 경외감 등을 가질 수 있는 인류보편적인 내용과 함께 문화권간에 서로 공유되는 문화적인 요소가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교수방법면에서는 일인교사제도를 지양하고 다문화적 학습자와 함께 하는 팀티칭, 멘토링, ‘제3의 교육공간’ 방법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교수매체 또한 현행 평면적인 도서 대신 입체적인 도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을 연계한다는 것은 특수한 문화권 출신의 학습자가 한국어교육을 통해 다양한 문화권 출신의 사람들과 상호 소통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결과적으로는 개별자로서의 한 인간이 어떤 문화권에서 삶을 영위하든 적응력을 높이고 나아가 선도적인 행보를 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갖게 하는 것이 될 것이다.

      •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 <처용가(處容歌)>를 중심으로 -

        호신양 국어교과교육학회 2017 국어교과교육연구 Vol.30 No.-

        중․한 양국 수교 이래에 우리나라에서 한국어교육이 크게 발전했다. 양 국 정치, 경제, 문화의 급 발전과 더불어 한국어 인재 수요의 급성장으로 있어서 많은 고등교육 기구가 한국어 전공을 설립하고 운영하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는 중국 각 지역이나 대학에서 교재와 교육 방안을 개발하려는 노 력들을 많이 보이고 있지만 그 성과는 많지 않다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 해서는 대체적으로 획일적이고 단일한 한국어 교육보다 지역이나 학교의 특성을 살린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 보편적으로 쓰인 교육 모드를 바탕으 로 혁신을 통해서 새롭고 효율적인 방법을 창출하고 기본적인 한국어 능력 함양이라는 관점에서 전면적인 교육과정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외국어 교육은 그 나라의 문화와 분리할 수 없다. 한국의 문화는 전통 예 술, 의식주 및 생활양식을 포함해 다양한 범위를 가리킨다. 본 연구는 교육 연극 기법을 활용해서 한국 문화를 교수할 겸에서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 색하고자 한다. 신라 향가 <처용가>는 오랜 시간 전승된 전통 연극의 하 나로 문학적, 민속적, 예술적 가치가 매우 크고 배경 설화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처용가> 학습을 통해서 한국어 말하기, 듣기, 쓰기, 읽 기능력 향상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향후 한국어교육 현장의 교수-학습 법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교육에 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made great progress in China.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of the two countries,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talents increased urgently, meanwhile, the Korean language in advanced education institutions has gradually increased., although the Chinese universities in various regions transferred to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lesson plans, but the results are not great in nowadays. Compared to the current single Korean language education model, it need to meet the regional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present, it should be based on the universal use of educational methods as a fundamental, improve the more efficient all aspects of through reform and innovation aiming at training Korean language program.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fundamentally inseparable from its national culture and education. Korean culture includes traditional art, basic necessities of life and living customs and other aspects. This study uses the method of educational drama,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teaching of Korean culture at the same time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Silla song “Cheoyongga” in long history, is the Korean traditional one of the representative dramas whether in culture, folklore, art with such a high rating. The legend is also the valuable source of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mprove the ability of Korean language to read and write through the study of “Cheoyongga”. It hopes that this study will help in the educational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pe to have some value in other language education.

      •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영희(Lee Younghee)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1 No.-

        이 연구는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하위 영역인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외교관이라는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특정 언어 영역을 강조하여 평가한다는 점에서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으로서의 특징을 지닌다.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은 정규과정 보다는 비정규과정이 많았으며, 일대일 개인 수업 등 소규모 수업의 형태가 많으므로, 이러한 특수성을 고려하여 교수요목과 교재를 개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언어권을 대상으로 현직 주한 외교관들의 요구 분석이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이 시급한데, 이에는 학습자 특성, 수업 규모 한국어 사용 환경, 업무 수행 등을 고려해야 한다. 말하기 능력이 강조되는 외교관의 업무 특성과 관련하여, 외교관을 위한 ‘전화 한국어’, ‘연설 한국어’, ‘협상 한국어’, ‘토론 한국어’, ‘통역 한국어’ 등의 실용적인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사용역 분석에 따른 외교 전문 어휘 및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고빈도 외교 전문 어휘와 외교 수사적 고정 표현 등을 말뭉치와 담화분석에서 추출하여, 어휘집이나 사전(온라인 포함)의 형태로 제시한다. 넷째,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교사에 대한 교육 자료가 개발되어야 한다. 직업 목적 학습자에게 유용한 내용 중심 교수법에서 한국어 교사들은 언어 지식뿐만 아니라, 전문가에 준하는 내용적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 외교통상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urvey aims to review the sta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diplomats and suggest research tasks for it. The evaluation 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diplomats emphasizes particular functions required for their jobs. From this point, it has the characteristic as specific purposes. Regarding Korean language program for diplomats, there are more non-regular programs than regular programs. This paper discusses 5 tas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diplomats. First, needs analysis targeting current diplomats should be required. Second,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r specific purposes is needed. This paper suggests several textbooks such as telephone Korean, public speaking Korean, negotiation Korean, discussion Korean, interpreting Korean etc. Third, the list of diplomatic professional vocabulary and expression is needed on the basis of register analysis and corpus. If they will be provided lexicon or dictionary (including on-line) with translation and example sentences, learners can use it repeatedly for their study. Forth, educational materials for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teach Korean with CBI(Content Based Instruction). Fifth,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support for research on reaching Korean for diplomats.

      • KCI등재

        외국 대학과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전공 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김재욱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2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i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certified Korean language teachers. Thus, the curriculum may have problem in that it is not fit with the curriculums offered in foreign countries because their goals ar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fered in the foreign colleges and to provide the basis for designing an ide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undergraduate level. For this,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s of foreign colleges are analyzed, 20 of Japan and 29 of China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Kim(2009) which examined 17 depart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while the curriculums of Korea colleges focus on Korean linguistics and pedagogy in order to standardize the fundamental law for the Korean language, the curriculums of Japan focus on linguistic contrast and development of Korean proficiency and the curriculums of China do Korean linguistics and development of Korean proficiency. This research may be helpful to Korean instructors who plan to teach in Japan and China because it provides them with trends in both countries 한국어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은 국내에서의 한국어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과는 다른 목표로 마련된 해외 한국어학과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과는 맞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국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와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을 조사ㆍ분석하여 한국어교육학과의 이상적인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토대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김재욱(2009)에서의 한국 내 17개 학과의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일본 내 20개, 중국 내 29개의 한국어 전공 학과 교육과정을 수집하여 조사ㆍ분석하였다. 국가별로 그 특성을 비교하여 보면 한국 내의 교육과정이 국어기본법의 기준에 맞춰져 있어서 한국어학 및 한국어교육학에 초점이 놓여 있다면 일본 내에서는 언어학적인 대조 및 한국어 능력 향상에 초점을 놓고 있고, 중국 내에서의 교육과정은 한국어 능력 향상 및 한국어학에 초점을 놓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의 내용은 향후 일본 및 중국에서 한국어교육을 하려고 하는 예비 교사에게 그 경향을 알 수 있는 데 도움을 주는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각 국가별로 한국어학과에서 어떠한 교과목을 중요시하고 있고, 또 어떠한 교과목이 부족한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한국어교육학과의 표준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