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비교문학회와 국제문화교류사업: 재건 이전 한국비교문학회의 문학사적ㆍ제도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최진석 ( Jinseok Choi ) 한국비교문학회 2021 比較文學 Vol.- No.85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한국에서 진행되었던 국제문화교류사업을 검토함으로써 한국비교문학회의 초기사와 관련된 문학사적ㆍ제도사적 맥락을 복원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한국비교문학회는 1959년 창립된 학회이지만, 그로부터 1975년에 재건되기 이전까지의 학회 활동 연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이 시기에 이하윤, 이근삼 등 한국비교문학회 회원들이 관여했던 비교문학 연구 관련 사업 및 국제문화교류사업 등을 검토함으로써 재건 이전 한국비교문학회의 활동 연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계승하여 펜클럽 한국본부 등이 추진했던 국제교류문화사업이 한국비교문학회의 활동에 미친 직간접적 영향을 살피는 한편, 록펠러재단의 동국대 비교문학연구소 지원 사업 관련 문서철을 발굴함으로써 1960년대 초 한국 비교문학자들의 활동을 일부 복원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하여 한국비교문학회의 활동과 관련하여 그간에 알려지지 않은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하는 한편, 차후 보다 본격적인 학회사 서술을 진행하는데 있어 참고가 될 방법론적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reorganize the literary historical context of the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 (KCLA), by examining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between late-1950s and mid-1970s. the KCLA was founded in 1959, but it is little-known what activities it did until 1975. In order to collect the sources for writing history of the KCLA, this study examine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of the Korean P.E.N. and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of the KCLA’s lead actors, including Lee Hayun and Lee Gunsam. By using the papers of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kept in the Rockefeller Archive Center, this study demonstrates the KCLA’s activities in early 1960s. According to these documents, the KCLA’s members, including Lee Hayun and Lee Gunsam, tried to establish the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 Center in Dongguk University in early and mid-1960s, but the project ended in failure. It shows that the KCLA may have tried any other scholarly projects. Through this work, this study found some historical records of the KCLA’s early activities and lay pilot studies preliminary to a full-scale writing of history of the KCLA.

      • KCI등재

        비교문학이 생산하는 지식: ICLA 2010 세계 비교문학대회가 남긴 한국비교문학자의 과제

        조성원 ( Sung Won Cho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6

        이 글은 내재적 성찰의 입장에서 2010년 8월 15일 서울 중앙대학교에서 개최되었던 제19차 국제비교문학회 세계대회가 한국비교문학자에게 남긴 과제가 무엇인지 찾아 보는 글이다. 이 대회에 참가했던 외국 비교문학자들은 이 대회를 매우 성공적인 대회로 평가한다. 아울러, 이로 인해 한국비교문학의 국제적 위상도 어느 정도 격상된 듯 하다. 그러나 이 대회를 개최했던 한국비교문학자의 시선에서 보았을 때 이 대회가 우리에게 가져다 준 실익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다. 이 대회를 통해 한국비교문학자들은 한국에서 비교문학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연구적 상황이나 학문후속세대들이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이 여실히 개선되기를 기대했으나, 여전히 그 현실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외국인의 시선에서는 성공적으로 보이는 대회가 국내학자들에게는 그리 큰 성과를 가져다 주지 못했다면 그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이에 대한 대답을 찾아, ICLA 2010 서울 세계대회의 명암의 의미를 살펴 보고, 그 자성적 평가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비교문학하기’의 어려움을 극복할 실천적 전략을 모색해, 21세기 한국비교문학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그리고 그 탐구의 결과로, 이 글은 한국의 비교문학이 현재의 위기상황을 극복할 실천적 방안으로서, 문학의 국제적 관계에 바탕을 둔 전통적 비교문학연구방법에 대한 가치를 새로이 인식할 것과, 외국어능력, 특히 영어능력의 함양을 통해 한국비교문학자의 국제경쟁력을 기를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retroactively discusses the underlying significance of the internationally approved success of the 19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 (ICLA), held in Seoul, Korea, from August 15 to 21, 2010, in order to shed some lights into the future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Korea. For that purpose, an introspective approach is adapted to explore the challenges and the problems that the ICLA 2010 Seoul Congress has exposed to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As this study offers some critiques on the disciplinary premises upon which the Korean Special Forum of the ICLA 2010 Seoul Congress was organized, it will eventually raise two points of urgency: firstly, the traditional, transnational approaches of comparative literature should reenter the academic arena of Korean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in order to foste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secondly, Korean scholars in Comparative Literature should endeavor to acquire a good knowledge of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of English, for their global scholarly competency.

      • KCI등재

        지명전설에 나타난 궁예상의 의미

        박상란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2

        I studied the images of Kung-Ye reflected in geographical legends and the viewpoint of Kung-Ye of the inhabitants of Cheorwon formed by the medium of it in this essay. And I traced the viewpoint of Kung-Ye to its source in the historical speciality of Cheorw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subject matters of the geographical legends concern with Kung-Ye are mainly his historical tracks, refuge, battle and disobedience, defeat and fleeing, death and the occurrence after his death. In contrast to the official history stressed on his tyranny, the inhabitants of Cheorwon are interested in the tracks Kung-Ye betook himself to flight. This is related with the points that Kung-Ye, the monarch of foundation set up the capital in their own base of life, was murdered mercilessly and their own region remained backwater until now. It is the course of nature that a geographical legend contains richly local speciality. That is to say, it remembers and interprets history, centering around his own region and in the place of that time it handed down. Therefore, it seems that the images of Kung-Ye reflected in the geographical legends are resulted from the matter of life with that the inhabitants of Cheorwon are struggling to this day. 본 연구는 궁예 관련 지명전설을 살펴 거기에 투영되어 있는 궁예상과 그것을 매개로 한 철원 지역 사람들의 궁예관을 검토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궁예관의 형성 배경을 현재에 이르기까지 철원 지역의 역사적 특수성에서 찾고자 하였다. 궁예 관련 지명 전설에선 궁예의, 피난, 전투와 항거, 패배와 도주, 죽음과 사후의 사적이 주로 이야기된다. 폭정을 강조한 역사 기록과 달리 철원 지역 사람들은 궁예의 패주 과정에 관심이 많은 것이다. 이는 궁예가 바로 자신들의 삶의 터전에 도읍했던 창건주라는 점, 그러한 그가 무참히 살해되었다는 점, 그 이후 자기 지역이 역사적으로 낙후되었다는 점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지명 전설에는 지역적 특수성 짙게 배어 있게 마련이다. 자기 지역 중심으로, 그리고 전승 당시의 현재적 입장에서 역사를 기억하고 해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궁예 관련 지명 전설에 보이는 궁예상에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 사람들의 삶의 문제가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