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사의 과제와 역사학

        남동신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This paper, written on the occasion of the 50 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Art History, explores tasks facing the discipline of Korean art history – research directions and methods in the 21st century - by looking at Korean Buddhist art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 begin by discussing methodological tasks. One of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Korean art history has been to extend the field of research to include a broader visual culture and even material culture as a whole.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trend has been concerned with the active use of not just visual art forms, but also tex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texts, I argue that they are different ways of recording one and the same experience, and that when these media are used to transmit religious messages, there is a difference in terms of authoritative value; a fact well understood by Buddhist artists of premodern and modern times. My discussion then moves on to future research directions. As is well-known, the modern discipline of Korean art history was a field transplanted to Korea by Japanese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ers as part of an attempt to legitimize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and what was transplanted was not art history as a modern academic discipline,which was created in Europe, but the way it was understood and re-adapted in Japan. This transplanted framework of art history could not properly reflect Korean history and culture,concerning both the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s, methods, and terminology. In light of this, I propose, in this paper, the ways in which we conduct research on and interpret Korean art history as well as East Asian art history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give a concrete example, I have reviewed two records of repair and renovation found inside the Seokgatap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Mugujeonggwang Jungsugi (Dabotap Jungsugi , 1024)and Seoseoktap Jungsugi (Seokgatap Jungsugi , 1038) and have identified fifteen names of stone pagoda parts that were widely us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I suggest that these names be used to replace or complement the Japanese-style names of pagoda parts that are currently in use. Art history and history are intimately related to each other insofar as they both reorganize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past. No two academic disciplines are as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as art history and history. In this sense, this paper serves to stimulate the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these two research fields. 본고는 한국미술사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역사학의 관점에서 불교미술사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의 당면 과제–새로운 세기의 연구방향과 방법론–를 검토하였다. 첫째는 방법론의 과제이다. 최근 한국미술사학의 연구동향은, 연구 영역을 미술에서 시각문화로, 시각문화에서 물질문화로 확장하면서, 방법론에 있어서도 시각자료만이 아니라 문자자료까지 적극적으로활용하는 추세를 잘 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시각자료와 문자자료가 동일한 체험을 다른 방식으로 기록하며, 종교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서 종교적 권위에 차이가 있는바, 이 사실을 전근대 불교도들도충분히 인식한 위에서 불교미술품을 제작하였음을 부각시켰다. 둘째는 연구 방향의 문제이다. 주지하다시피 한국근대미술사학은, 서구에서 성립된 근대미술사학이일본식으로 번안되고, 이것이 다시 일본 관학자들에 의하여 일제의 한국 식민지화를 합리화 하려는 의도에 부응하며 한국에 이식된 것이다. 따라서 미술사학의 주제 설정, 방법론, 용어 등에서 한국의 역사 및 문화를 정당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불가피하였다. 필자는 이와 관련하여 한국적 시각에서 한국의 미술사, 동아시아의 미술사를 새롭게 정립할 것을 제언하였다. 구체적으로 불국사 석가탑에서 출토된 「무구정광탑중수기」(다보탑중수기, 1024년)와 「서석탑중수기」(석가탑중수기, 1038년)를 검토하여, 고려 초에 통용된 한국의 전통적인 석탑 부재 명칭 15종을 발굴하였으며, 이것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일본식 석탑 부재 명칭을 수정 보완할 수 있음을 밝혔다. 미술사학과 역사학은 과거의 역사와 문화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다른 어떤 학문분야보다 친연성이 깊다. 그런 점에서 본고는 향후 두 학문 분야간의 소통과 교류를 더욱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서양미술사, 왜 다시 읽어야 하는가? ‘동원된 서양미술사’의 신화(神話)와 한국현대미술사의 세 지점

        심상용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5 美術史學 Vol.- No.29

        본 논문은 해방공간 이후 현재까지 한국미술의 다양한 분야들, 창작과이론, 비평, 교육, 전시기획 등의 전문화된 영역에서 서양미술사가 그러한 신화로, 지역을 뛰어넘는 보편적 내러티브 기제로 작용해 왔으며, 그 결과 우리가 우리 미술을 바라보고, 해석하고, 성찰하는 인식의 토대가 왜곡되어 왔고,그 여파가 오늘날의 동시대미술까지 미쳐 여전히 가볍지 않은 대가를 지불하고 있다는 것이 또한 그것이다. 서양미술사의 전망과 관점이 우리의 인식과 판단에 ‘신화적 거울’로 작동하는 동안, 그것에 반사된-맥락화된- 해석을 통해서만 우리 미술을 설명하고 스스로에게 설득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것은 독자성과 자율적 판단, 의구심을 통제하는 검열기제로 작용했고, 이로부터 원류에 의해 상대화된 자각,아류의식, 대국(大國)에의 자발적인 예속, 선진적인 것을 따르는 추종자의 감성이 양산되었다. 서양미술사 내러티브가 신화적 거울로 작동하는 배후에 늘 일정한 정치적 자장이 작동해왔다. 때로는 완강한 정치적 분위기 조성이나 보상기제의 활용을 통한 동기부여 안에서 ‘서양’이 유일한 선택지로서 권장되거나 촉구되었고, 미술 장은 서양미술사의 내러티브를 적극적으로 차용, 편승함으로써 그러한 정치적 노선에 직, 간접적으로 부응했다. 그러므로 서양미술사를 다시 읽는 이 논의에는 서양미술사 내러티브에의 동조, 편승이 정치적 정당화기제로활용되도록 해온 예술의 정치화, 또는 정치예술의 맥락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내포되어 있다. 논의는 또한 ‘동원된 서양미술사 내러티브’의 신화화된 기제안에서 스스로를 인식해온 한국현대미술의 타자성의 문제와 부득불 결부될수밖에 없다. 즉, 서양미술사 다시읽기의 궁극적인 취지는 오히려 ‘동원되고특권화된 서양미술사 내러티브’와 그것의 중요한 배후로서 정치적 선전기제라는 두 축에 의해 지지되어 온 한국현대미술을 난맥상을 짚어보는 데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현대미술의 연대기적 세 지점, 곧 1950년대의 앵포르멜, 1970년대 한국적 모노크롬 또는 단색조 회화, 그리고 1990년대의 글로벌미술화의 기점이 이 논의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져야 했다. 이 각각의 세 지점은 신화화된 서양미술사 내러티브와 정치적 선전기제의 제휴가 매우 긴밀하고 관찰 가능한 형태로 발현되었던 시기이고, (아마도 그 결과이겠지만) 한국현대미술의 정체성 확립에 있어 중요한 진전을 이룬 시점들로 이해되어 온 곳들이기 때문이다. 1950년대 이승만 정부가 반공이데올로기로 분위기를 몰아갈 때,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와 유럽의 앵포르멜을 추종하는 노선이야말로실로 훈장을 수여받을만한 화답이었다. 1972년 10월 박정희 대통령이 이끌었던 제3공화국에 의해 선포된 유신체제가 한국의 정치체제를 서구의 민주주의와 다른 것으로 만들고자 했을 때, 같은 추상이로되 ‘한국적 추상’을 주창한‘한국적 모노크롬’이나 단색조 회화는 결과적으로 체제의 노선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쪽으로 작용했다. 1993년 김영삼 정부가 들어서고, 1995년을 세계화의원년으로 삼았을 때, 한국미술은 21세기 초일류국가에 걸맞는 세계화된 미술을 위해 글로벌 무대에 가담하는 소통행위, 블록버스터 전시와 행사들,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경제적 부(富)에 편승하기 시작했다. 글로벌 세계미술론, 아시아 맹주론 등으로 스스로를 고무시키면서, ... Western art history’s prospect and perspective worked as ‘a mythic mirror’ toour perception and judgement, and only the reconstituted interpretationorganized by its projection is possible to explain and persuade Korean art. The projective interpretation worked as a kind of inspective mechanismsupervising and controlling identity, autonomic judgement and suspicion,which resulted in mass production of perception relativized by the originaltext, imitator consciousness following headstream, voluntary subordination togreat powers and follower’s emotion toward the advanced. Like this, there has been always a extremely political magnetic field operatingin the background that made Western art history mobilized and operated as amythic mirror. That is to say, it is to create a series of political mood thatencourages ‘Western’ as the privileged choice securing compensation andpositively mobilize motivation mechanisms, of which contemporary art fieldaccommodate or atune to the political mainstream in the form of aggressivelyborrowing Western art history’s narrative.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ree chronological points of Koreancontemporary art. The first point of them is the time when Syngman Rheegovernment drove the atmosphere with anticommunist ideology. Linesfollowing american abstract expressionism and European Informalism were accommodation and response to that political line. The second point is thetime when in October 1972, the Revitalizing Reforms system declared by theThird Republic led by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tried to make Koreanpolitical system different from the Western democracy, including a presidentialsystem of leading status for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nation. At thattime, Korean monochrome or monotone painting advocating ‘the Koreanabstraction’, although it belonged to the same abstraction, worked in thedirection giving the system line justification consequentially. In the third point that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ook office in 1993, thatmade the year 1995 as the first year for globalization, and that Korea joinedOECD in 1996, Korean art stepped on the path of the globalized artrepresented by Venice, Basel and Miami matching one of the top country inthe 21st century again, turning against its own experience. Beginning in thispoint, Korean art started to be measured by communication behavior joiningglobal stage, events decorated by blockbuster exhibitions and overseascelebrities, and economic wealth facilitating it. Encouraging itself with theoriesof global art, Asian leader, etc., Korean art lost critical and interpretationalabilities and was rapidly buried under the values of utopia and exchange. In retrospect, Korean art should ask itself whether it had a moment thatstarted from the independent critical mind, coming from experience of ourlives and anguish, and whether it had a moment that led to find its ownstyle, from the Americanization for subsistence in the 50s, through Koreanmodernism in the 70s, to the global art discourse in the 90s. In this context,our modern art history may be abstracted that it has repeated the samepattern by interaction of politics and myth, interlocked by an axis, whichpolitics and policy motivated beforehand or created atmosphere and the artpassively matched it and received a series of systematic compensation for it,with another axis of the structured practice, which it directly importedadvanced Western art history that risk bearing of trial and error was removedin advance and changed it as a myth of universality. Korean art will be able to get rid of this framework, only whenstraightforward gaze and strong criticism about stereotypical and structured intellectual subordination removing risk beforehand with political fomentation,accommodation and response to the system and myth-dependent thoughtappear.

      • 한국 여성미술 연구사: 근대에서 1970년대까지

        조수진(Cho, Soo-jin) 인물미술사학회 2020 인물미술사학 Vol.- No.16

        본 연구는 근대에서 1970년대까지 주로 활동했던 한국 여성 미술가들의 작품세계가 그간 어떻게 연구되어왔는지 그 과정을 살피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시기 여성미술 연구의 역사를 상세히 살펴 이를 바탕으로 생산될 후속 연구의 진작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는 여성들을 한국 근현대미술사의 창작주체로 온전히 위치시키는 일에 일조하려는 데 있었다. 이 시기의 여성미술 연구자들은 동양화 분야의 경우 일제 강점기 여성 동양화가들을 발굴해 기존의 한국 근대미술사를 개정하려 시도하고, 그들의 작업이 지닌 현대적이며 여성주의적인 의미를 고찰했다. 서양화 분야에서는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들의 작품을 작가의식의 개화라는 측면에서 시대상과 관련지어 다각적으로 고찰하고, 그 여성주의적 특징을 살폈다. 1960~1970년대 서양화단의 여성미술에 대해서는 남성적 추상미술의 시대에 공존했던 여성들의 추상미술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평과 더불어, 여성적 감수성을 반영한 추상의 가능성을 탐색했다. 또 당대의 재야로서 실험미술을 추구했던 여성들의 작업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성격을 고찰하기도 했다. 나아가 공예 분야에서는 일제 강점기 직업 예술인으로서 활동했던 여성 자수예술가의 행적과 함께, 자수가 해방 이후 섬유예술 장르로 편입되어 추상미술의 영역으로 흡수되어간 내막을 밝혔다. 한국의 근대부터 1970년대에 이르는 시기는 신여성의 출현, 여성들의 사회 진출, 직업인으로서의 여성 미술가의 등장, 여성 미술가 협회의 조직과 단체 전시 등이 이뤄졌던, ‘여성에 의한 미술의 역사’의 발생기이자 형성기였다. 그런데도 이 시기의 여성미술 관련 비평과 학술적 연구는 남성 중심 미술계에서 인정받은 극히 소수의 여성을 대상으로만 진행되어왔으며 그 분량조차 많지 않은 형편이다. 그러므로 지금 시점에서 시급한 것은 수많은 여성 미술가들의 존재와 그들의 예술세계가 영원히 한국사의 뒤편으로 사라지기 전에, 한시바삐 숨겨진 작가와 작품들을 발굴해 내어 연구에 착수하는 일이다. 이는 단순히 역사 속의 여성 미술가를 망각의 위험으로부터 구출하거나 남성 중심의 주류 미술사를 해체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닌, 한국의 근현대미술사를 온전히 구축하게 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works of Korean female artists, mainly those who were active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modern era to the 1970s, have been studied by art historians over the decades. By looking into the research history of women’s art during this period in detail, this paper aims to lay the groundwork of further research on this subject, and ultimately recognize the role of women as main agents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In the field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researchers of women’s art in those times focused on uncovering female oriental artists to reexamine the existing mode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and investigated the modernist and feminist implications of their works. Meanwhile, researchers in the western art discipline analyzed the first Korean women to produce western style paintings and the various aspects of their works primarily in relation to the zeitgeist of enlightenment and feminism. Historians also engaged in feminist critique of women’s art in the 1960s and 1970s, a period when abstract art was characterized by masculinity, in addition to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bstract art that reflects “feminine sensibility”. They studied the nature of sexuality visible in the works of female experimental artists that were deemed as outsiders at the time. Finally, in the field of applied arts, previous research presented the narrative of female embroidery artists activ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and post-independence, the process in which embroidery was slowly merged into the field of abstract art as a subgenre of textile art. The period from the modern era to the 1970s was the time when the concept of the “history of art made by women” was born and formed. This era was marked by the appearance of “new women”, full-time female artists, and women artist associations and exhibitions. However, existing criticism and art history study on women artists of this period is unfortunately short in quantity and limited to only a small number of people that were able to gain recognition among male-dominated art circles. Therefore, the most pressing work at the present time is to shed light on the vast number of overlooked female artists and their works before their footprints are lost in Korean art history forever. This endeavor is not only important to save artists from being forgotten, or to deconstruct the patriarchy of the current art history tradition, but also to finally bring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to its completeness.

      • KCI등재

        이경 조요한 선생의 예술철학과 한국 근현대 미학예술학

        이인범 ( Ihn Bum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5 No.-

        한국 학계에서는 보기 드물게 예술·종교·철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활동을 펼쳤던 조요한(1926-2002)은 생전에 예술에 관한 저작으로 『예술철학』(1973),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1993), 『한국미의 조명』(1999) 등을 발간했다. 작고 후 그 밖에도 유고집으로 『관심과 통찰』(2004)로, 『아름다운 것은 어렵다』(2005) 『아름다운 영혼의 잔영』(2012) 등이 발간되었다. 이 글의 목표는 한국의 미학예술학의 역사 안에서 철학자 조요한(1926-2002)이 설정하고 있는 학문적 과제들은 어떤 것이었으며, 그 성격은 어떤지를 밝히는 데에 있다. 한국에서 근대 학문으로서 미학 미술사는 일제 식민지시기 고유섭(1905-1944)이 1927년에 경성제국대학에 입학하여 미학 및 미술사를 전공하여 콘라드 피들러 연구로 예술적 활동의 본질과 의의 라는 타이틀의 졸업논문을 제출하고 개경박물관장으로 활동하는 데서 시작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유섭의 요절로 그 역사는 심한 단절과 굴곡을 보여주며 서구 학문의 수용과 식민피지배에서 비롯되는 문화적 식민성을 드러내며 삶의 세계와 유리된 채 분열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식민지시대에 성장기를 거쳤던 조요한은 해방 이후 서울대 철학과에 입학하여 키에르케고르 연구를 통해 개인적으로나 공동체로서 난파된 삶의 현실을 초극하고자 시도하고 그리스 철학과 기독교을 자신의 학문적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1960년의 4·19 혁명 직후부터 그는 삶의 현실에 대한 철학하기의 매개로서 예술 현장의 이슈들을 적극적으로 다루기 시작하고 있다. 동시에 서구 근현대미학을 통한 미와 예술에 관한 학문의 방법적 기초 놓기를 시도하며 『예술철학』을 발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후부터는 ‘한국예술의 정신’ 해명을 과제로 설정하여 그의 생애 마지막 저서인 『한국미의 조명』에 이르고 있다. 조요한의 예술철학은 청년기 자신의 철학적 관심인 기독교와 그리스 철학에 대한 연구와 조응하며 전개되고 있다. 그리고 해방 이후 학문세대로서 식민지시기 한국 최초의 미학미술사학자인 고유섭이 설정했던 학문적 과제를 상속하며‘서양학문으로서의 미학’을 수용하여 한국의 현실에 정초시키며 ‘한국예술의 정신을 밝히는 일’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한편, 그 과정은 서구로부터 수용되어 성립된 한국의 미와 예술에 관한 학문들의 분열적이고 자폐적인 문화적 식민성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들과 맞물리고 있다. 첫 저작 『예술철학』이 발간되기까지 선생은 한편으로는 삶의 현실에 대한 철학하기의 매개로서 예술 현장의 이슈들을 다루고 있다. 동시에 서구 근현대미학을 통한 미와 예술에 관한 학문의 방법적 기초 놓기를 통하여 이 땅의 미학 예술학에 학문성을 확보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후부터는 ‘한국예술의 정신’ 해명이라는 과제를 설정하여 『한국미의 조명』에 이르고 있다. 『예술철학』에서 『한국미의 조명』에 이르기까지 예술철학의 전개는 선생이 해방 이후 학문세대로서 식민지시기 한국 최초의 미학미술사학자인 고유섭이 설정했던 학문적 과제를 상속하며 ‘서양학문으로서의 미학’을 한국의 현실에 어떻게 정초시킬 것인지를 물으며 ‘한국예술의 정신을 밝히는 일’에 다름 아니었다. 그것은 서구로부터 수용되어 성립된 한국의 미학 예술학이 드러내는 분열적이고 자폐적인 모습의 문화적 식민성을 극복하여 삶의 세계 속에서 현실성을 확보해내려는 시도와 동반되는 것이었다. 그 결과 조요한의 예술철학에서는 예술·종교·철학, 예술현장과 학문으로서의 미학, 미학과 미술사 등으로 파편화되거나 분열된 근대적 삶의 세계와 분과 학문들이 다시 함께 만나고 있다. ‘미학’의 바깥에서 출발하고 있지만 그의 ‘예술철학’은 이 땅의 삶의 현실에 깊숙이 뿌리 내리며, ‘미학’을 넘어서 새로운 미학·예술학의 지평을 열고 있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illuminate the philosopher Yohan Zoh (1926-2002)`s philosophy of art in the context of Korean modern aesthetics. Exceptionally, Yohan Zoh acted broadly in the region of academia about arts, religion, and philosophy in the Korea, publishing The Philosophy of Art(1973), The Heart that Loves Arts(1993), and The Illumination of Korean Aesthetics (1999). Posthumous works are Interest and Insight(2004), The Beautiful is Difficult(2005), and Relics of the Beautiful Spirit(2012). These works on aesthetics and the arts, along with The Hermeneutical Problems of the Philosophy of Aristoteles(1975), The Philosophy of Aristoteles(1988), and The Heart that Loves Philosophy(1993), show Zoh`s scholarly interests. Aesthetics and Art History in modern Korea began with Yusub Ko (1905-1944) who studied at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graduated the school with a submission of his thesis on Konrad Fiedler, “The Essence and Meaning of Artistic Activity.” Ko later became the director of the Kaikyung Museum of Art. Ko`s untimely death caused the discontinuation and ups and down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cholarships in Aesthetics and Art History.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and philosophy, and Japanese colonial era resulted in cultural colonialism in Korea, separating its history from the reality of life. Yohan Zoh grew u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e entered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fter Japanese retreat. He tried to overcome the fragmented reality of Korea life through the study of the philosophy of Kierkegaard, and chose Greek philosophy and Christianity as his future focus of study. As a way of applying his philosophy to the reality of life, Zoh actively engaged with issues of art practice since the 4. 19 Revolution of 1960. Simultaneously he published The Philosophy of Art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methodology for the study of aesthetics and the arts. Since then, he focused on explaining “the spirit of Korean art” and published many essays on the theme, including his last publication, The Illumination of Korean Aesthetics. The philosophy of art of Yohan Zoh ha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his interests in Christianity and Greek philosophy. As the first scholar of Aesthetics and Art History in post- liberation Korea, Yohan Zoh inherited the scholarly task of Yusub Ko and embraced “Aesthetics as a Western Area of Study” and applied it to the reality of Korean life to explicate “the Korean Spirituality in the Arts.” His scholarly journey was interconnected with his attempts to overcome Korean`s schizophrenic and autistic cultural colonialism. Therefore, Arts-Religion-Philosophy, Art Practice-Studies of Arts, and Aesthetics-Art History all meet in Yohan Zoh`s philosophy of the arts. Though Zoh`s study of “Philosophy of the Arts” departed outside the field of Aesthetics, it rooted deeply in the reality of Korean life and opened a new horizon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in Korea.

      • KCI등재

        미술사교육의 관점으로 본 초·중학교 미술교과서의 한국현대미술 도판 분석

        안혜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2 No.-

        This study examines Korean modern artwor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From the 1st National Art Curriculum to 2007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approach to art history education. The Korean modern artworks in elementary art textbooks had been poor, while those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had been presented by chronological approach focusing on changes in art styles and movements. Althoug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textbooks began to actively include more Korean modern artworks from the 7th national art curriculum period. Nevertheless, several problems still exist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approach to art history education.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study discuss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more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includ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Secondly,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focus on it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being integrated into other content areas. Thirdly,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expanded through connecting students’everyday cultural experiences. Fourthly,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presented with diverse methods of art history educa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중학교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 속 한국현대미술 도판을 현대미술사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층위 안에서 형성되는 현대미술의 의미를 읽어내는 시각적 문해력이 미술교육의 주요 목표가됨에 따라 미술교육 안에서 미술사교육은 문화소양교육으로 간주되며 그 비중이 점차커지고 있다. 특히 오늘날의 미술사교육은 시대의 변천에 따른 작품의 양식적 변화를추적하는 연대기적인 접근보다는, 미술작품이 문화적 맥락 속에서 사회적 의미를 구성해가는 다양한 방식들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미술교과서 안에 현대미술을 제시할때 맥락을 강조하는 최근의 경향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경우,전통미술을 강조하는 흐름에 밀려 오랫동안 현대미술이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못하다가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중학교 미술교과서는 주로 해방 이전 세대의 미술작품을 제시하는데 머물러 있다가 제7차 교육과정부터 해방 이후의 한국현대미술을포함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제시 방법은 주로 연대기적인 접근을 벗어나지 못한채, 맥락주의적인 접근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국현대미술 도판을 제시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한국현대미술 도판의 비중을 더 늘려야 한다. 둘째, 최근 미술계의 동향을 보여주는 다양한 현대미술을 사회적 문화적 맥락 안에서 다른 영역과 통합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일상적인 문화적 경험과 연결하여 한국현대미술의 내용을 확장해야 한다. 넷째, 한국현대미술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탐구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 KCI등재

        안드레아스 에카르트의 한국학 연구와 성과

        홍미숙 ( Hong Misu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3

        안드레아스 에카르트(Andreas Eckardt 옥낙안(玉樂安): 1884~1974)는 20세기 초 독일에서 한국학의 기틀을 세운 학자이다. 그는 한글, 한국어와 문법, 문화와 문학, 교육, 종교와 철학, 음악과 미술 등 한국학의 전반적인 분야를 세계사적인 관점으로 고찰하였고 학문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에카르트의 한국학 연구에는 한국의 역사, 문화와 예술에 대한 존 중심이 기본이 되었고 한국인의 특성까지도 이해하였다. 그 결과 한국학의 개별적인 분야를 입체적이며 통합적인 관점으로 연구하여 100여 편이 넘는 논문과 저서 등의 성과로 남겨주었다. 에카르트가 한국학을 원활히 연구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으로는 한국어와 한글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던 것과 풍부한 한자 지식을 갖춘 데 있다. 에카르트의 전반적인 한국학 연구에는 다음과 같은 관점이 보인다. 첫째, 한국은 오랜 역사를 지닌 독립적인 국가이다. 둘째, 한국은 중국이나 일본과는 다르며 독자적인 높은 경지의 문화와 예술을 지닌 나라이다. 셋째, 한국은 고대부터 일본에 문화와 예술을 전달해주었다. 이러한 시각과 주장은 그가 발표한 한국학의 모든 분야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난다. 이 논문에서는 에카르트가 소속되었던 독일 상트 오틸리엔 연합회(Kongregation von Sankt Ottilien)의 창립 이념, 한국 진출과 더불어 에카르트의 한국학 연구 활동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20세기 초 독일에서 한국학 초석을 다진 에카르트의 연구 중 한글, 한국어와 문법, 한국문학사, 한국문화, 한국음악과 미술을 자세히 조명하여 한국학의 기초자료로서 의미와 가치를 논했다. Andreas Eckardt (1884~1974) was a scholar who created the foundation for Korean studies in Germany in the early 20th Century. With an international world-historical view, he studied the general overview of all fields within Korean studies, including Hangul or the Korean alphabets, Korean language, grammar, culture, literature, religion, philosophy, music and art. And Eckardt achieved great academic results. His study on Korean studies was based on respect for Korean history, culture and art. With a full understanding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Eckardt conducted his study thoroughly and completely, producing more than 100 papers and book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enabled Eckardt to conduct his research on Korean studies without much difficulty was that he was fluent in the Korean language and his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The following could be concluded in regards to Eckardt’s research on Korean studies: 1. Korea is an independent state with a long history; 2. Korea stands different from China or Japan and is a state with a unique and highly sophisticated level of culture and art and; 3. Korea, from ancient times, has disseminated art and culture to Japan. These views and arguments repetitively appear in all fields of his works on Korean studies that he published. This study examined the founding ideology, process and purpose of entering Korea of Kongregation von Sankt Ottilien, which Eckardt belonged to. In addition, monks’ activities after their relocation to Korea were examined in this study. Furthermore, by exploring Eckardt’s study on the Hangul or the Korean alphabets, Korean language, grammar,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music and art, this study also attempts to discuss the importance and value of his works as a primary resource of Korean studies. Eckardt was a pioneer who created the foundation for Korean studies in Germany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began with him and Eckardt could be viewed as the important starting milestone of Korean studies.

      • KCI등재

        미술사와 민족국가주의

        이인범 미술사학연구회 2008 美術史學報 Vol.- No.31

        This essay purports to be in the relationship of art history and nationalism, especially a methodology for carrying out researches on writing Korean art history in order to submit an agenda for the theme <Art History and ‘Here Now’> of the Korean Society of Art History that commemorates the 20th anniversary. An aesthetician Arthur Danto indicates the declining of the nationalist tendency as remarked that nationalism vanished completely though it had the practical aims and the art world that has a multiplicity of centers seems to be one nation that has its own a sovereignty. As the recent art theory becomes more complex as well as the many different fields to globalize is necessary. But a major topic in Korea art history is still linked directly or indirectly with the ideological nationalism. We can easily find a superiority complex in the words such as ‘national’, ‘people’, ‘native’, ‘autogenous’, ‘self-conceit’, and ‘self-respect’ used in many writings for giving an account of Korean art history. Nationalism had an affirmative role in the antagonized discourse for making a strong stand against the colonialism. On the one hand ‘nationalism’ or ‘state’ was the basic concept of the effective modality in order to spread out a realization of modern art and art history. Obviously the realization of modern art, art history, and modern state have the same root genetically. However, ideological nationalism in a point of today's view is irrelevant for learning that must be the pursuit of universal validity. In this sense a criticism for nationalism is required in writing Korean art history. Yet we still can inquire a possibility and limit of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history and independent state in writing Korean art history. If we can extricate Korean art history from the domain of the religion of a people do then and not till then we will succeed in placing Korean art history on the universal state of art.

      • KCI등재

        1980년대 한국 여성주의 형성과 교차성 개념을 통해 본 김인순의 페미니즘 작업: 한국 페미니즘 미술사 지형도 다시 그리기

        이연재(Lee, Yeonjae) 현대미술사학회 2020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8

        본 논문은 여성의 다름에 주목하는 현대의 페미니즘 관점에서 우리나라 여성학계 및 여성운동의 형성과 발맞추어 나간 김인순의 페미니즘 작업을 다시 읽어보려는 시도이다. 한국 페미니즘 미술사가 본격적으로 논의되던 1990년대에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을 미술비평 방법론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1980년대 한국의 사회정치적 상황과 한국 여성주의의 발전에는 무관심한 채로 김인순과 민족미술협회 여성분과의 작업은 여성성과 여성미학이 결여된, 민중미술 흐름의 일부로 번역되었다. 여성을 이중으로 억압하는 현실이 바로잡히길 갈망했던 김인순의 작업을 단지‘ 민중미술의 일부로서의 여성미술’로만 해석하는 시각은 그 안에 담긴 페미니즘 인식을 가리어 결국 여성미학이 결여된 정치투쟁적 미술로서 받아들이게 만든다. 우리는 페미니즘의 다양하고 동등한 이론들을 빌려와 우리 사고의 균형 감각을 되찾고, 소외-지배 이데올로기와 결별하는 방식으로 한국 페미니즘 미술사 지형도를 다시 그릴 수 있다. 본고에서는‘ 여성의 다름’과‘ 한국 여성이라는 공통점’의 간극을 조정하기 위해, 양극을 화해시키는 방법으로써 김인순의 작업을 읽어보려 한다. 성·계급·민족의 문제를 교차하는 방식으로 김인순의 작품을 다시 읽어나가면 이것이 한국의 역사적·시대적 맥락 및 사회·경제적 계급 속에 위치한 여성의 삶과 한국 여성의 페미니즘 인식에 관한 것이라는 점이 드러날 것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read Kim In-soon’s feminist work in line with the formation of Korean women’s academia and the Korean women’s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feminism, which focuses on women’s differences. In the 1990s, when Korean feminist art history was debated in earnest with post-structuralist theory as an art criticism methodology,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in Korea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feminism in the 1980s were ignored. As a result, the works of Kim In-soon and group works of The Women’s Division of The Korean People’s Artists Association were translated as part of the flow of People’s Art (Minjung Art) in Korea, lacking femininity and feminine aesthetics.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of Kim In-soon, who longed for the reality of the double oppression of women to be corrected, as merely ‘female art as a part of Minjung Art’ obscures the feminist perception it contains and reduces it to agitative art lacking feminine aesthetics. We will be able to restore a sense of balance in our thinking while borrowing various and equal theories of feminism and redraw the map of Korean feminist art history in a way that breaks with the alienation-dominant ideology. So,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the common point of Korean women’, I will reread Kim In-soon’s work as a way to reconcile the two sides. Rereading it in a way that intersects sex, class, and ethnicity reveals that Kim’s work is about the life of women and the perception of feminism of Korean women locat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 and socio-economic class.

      • KCI우수등재

        한국미술사, ‘비틀어보기’와 ‘다양성의 모색’ - 한국미술사연구(2015~2016)의 회고와 전망 -

        김정희 역사학회 2017 역사학보 Vol.0 No.235

        In the meantime, if studies of art history have mainly focused on external factors such as style, form, and background of works, studies of recent art history persistently digest intrinsic problems, intrinsic intentions and political implications. The study of Korean art history in 2015 and 2016 can be summarized by the words ‘twisting’ and ‘looking for diversity.’ ‘Twisting’ is a re‐examination of what has been taken for grante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Looking for diversity’ means that the outline of the research field has expanded, and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with other fields has been made. This view is not different from the trends of other humanities, and it may be the direction that art history should pursue in the future. However, if it is based on the humanistic methodology, it is necessary to have a balanced viewpoint in that the art works which are targeted at ‘works’ may fail if the works are omitted. In addition, the research method for each field is so different that the problem of what kind of research methodology is desirable at present is encountered. There are areas that deviate from the essence of art history by analyzing and classifying styles and forms by microscopic methodology and interpreting them by way of over‐interpretive methodology. Indeed, it is the time that the worries between art as work and art history as humanities are more serious than ever. 본고에서는 2015~2016년에 이루어진 한국미술사 연구에 대해 먼저 한국미술사연구의 동향에 대해 간략하게 서술하고, 이어 회화사와 조각사, 공예사, 건축사 등 각 분야에서 이루어진 성과를 저서와 학술지에 발표된 논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기간동안 한국미술사 분야에서는 다양한 전시와 학회가 개최되었으며, 저서, 학위논문, 학술논문 등이 발표되고 소개되면서 어느 해보다도 풍성하고 학문적으로도 성숙한 성과를 이루었다. 그동안 미술사연구가 주로 작품의 양식과 형식, 조성배경 등 작품의 외적인 요소에 치중해왔다면, 최근의 미술사연구는 작품 내적인 문제, 즉 작품 속에 내재된 의도, 정치적 함의 등을 집요하게 파고든다. 2015년과 2016년의 한국미술사 연구는 ‘비틀어보기’와 ‘다양성의 모색’이라는 단어로 요약할 수 있을 듯하다. ‘비틀어보기’란 기존에 당연시 되어왔던 내용들을 다른 시각에서 재조명한 것이며, ‘다양성의 모색’이란 연구분야의 외연이 확장되고 타분야와의 통섭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은 여타 다른 인문학의 경향과도 다르지 않으며, 앞으로 미술사가 추구해야할 방향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너무 인문학적 방법론에 치우치게 되면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사에 있어서 자칫 작품은 빠지고 주변만 남게되면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균형있는 시각이 필요하다. 또한 각 분야마다의 연구방법이 너무 상이하여, 과연 현재에서의 바람직한 연구방법론은 무엇인가하는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미시적인 방법론에 의해 양식과 형식을 분석하고 분류하여 작품에 접근하는가 하면 지나치게 도상해석 위주의 방법론에 의해 작품을 해석함으로써 미술사의 본질에서 벗어난 분야도 있다. 그야말로 작품으로서의 미술과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 사이의 고민이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때이다. 미술사가 인문학으로서 존재하기 위해서는 다른 학문과는 차별되는 미술사 나름의 방법론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시각예술과 인문학의 접점 및 경계를 잘 맞추어 나가려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페미니즘 연구사

        김현주(金賢珠) 한국미술연구소 2020 美術史論壇 Vol.-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history of research on feminism in Korean contemporary art history. Setting Korean contemporary art viewed in a feminist perspective, feminist art, and women’s art after the mid-1980s as the main objects of this study, this paper analyzes significant academic research. To begin with, this analysis points out how the study of feminism in Korean art history was introduced and considered as a sect or methodology, settling down to an academic feminist art history. Adding on, this study also examines how researchers, who conducted studies in the perspective of feminism, groped for different opinions and diverse research methodologies, the process of art terminologies regarding feminism changing their concepts and meanings over time in contest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main subject and issue of study. Viewing the thirty-year history of research overall, it can be identified that researchers who performed feminism in the area of art history have consistently put efforts to expand the boundaries of art history and to change its solid system of value by conflicting or compromising with it as a patriarchal discourse, while standing against the single categorization into feminist art history itself. This paper intends to propose that an increase in researchers, higher quality fulfillments, and a search for an elaborate and practical strategies as an alternative art history are the future tasks of feminist studies in Korean contemporary art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