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학습자 특성이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을 중심으로

        안현용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21 평생교육 · HRD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대학 평생교육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중심의 대학 평생교육 운영 만족도가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비수도권 대학의 성인학습자가 수도권 소재 대학의 성인학습자보다, 신입학 학생이 재학생보다, 예체능 전공의 학생들이 인문·사회·교육 및 공학·자연 계열 학생들보다, 40대 학습자들이 타 연령대의 학생들보다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가 높았고,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 역시 높았다. 둘째, 남성 학습자는 여성 학습자보다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가 높았으나,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셋째, 입학전형에 있어서는 평생학습자 전형과 특성화고졸 등 재직자 특별전형은 대학 평생교육 만족도 변수 차이에서 평균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인 친화형 전담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평생교육 운영 만족도 요인은 교육내용,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이며, 그 가운데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colle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Furthermore, th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ed on degree courses dedicated to adult learners on policy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dult learners at universities in the suburban area was higher than that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re were more freshmen than enrolled students in the popul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arts, sports, music was higher than humanities, social studies, education, engineering, and nature, learners in their age of 40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education content, teaching methods,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s than students of other age groups.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policy was also high. Secondly, male learner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instruct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than female learners.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olicy. Third, learners of the lifelong learner program who recruit adult learners and incumbent special admissions such as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variables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policy were educational content, instruct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satisfaction, and the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satisfaction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 KCI등재

        전통학습과 또래학습에 의한 태권도 수련생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영훈(Jeong, Young Hoon),조성균(Cho, Sung Kyung) 한국무예학회 2008 무예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일선 태권도장에서 또래학습을 이용한 수련생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효과를 측정하고자 설문지법을 통해 또래학습을 이용한 교육과 전통적인 교육의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첫째, 태권도 교육의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효율만족도는 지속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4.33±.947)가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으며, 반복성 요인의 만족도 (3.50±1.353)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몰입도 요인에 대한 만족도(3.84±1.228)가 가장 높았으며, 복습유무 요인의 만족도(3.16±1.337)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성취만족도는 수련강도에 대한 만족도(9.96±.961)가 가장 높았고, 난이도에 대한 만족도(3.46±1.026)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또래학습과 관련된 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상관계수가 .487에서 .576으로 비교적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효율만족도와 학습만족도 간에는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방식에 따라 난이도, 수련강도, 체력향상 요인 모두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난이도는 또래 학습방식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련강도에 있어서는 전통 수련방식의 만족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체력향상에 있어서는 또래 학습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또래학습량과 또래학습수용태도가 만족도(효율만족도, 학습만족도, 성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또래학습량이 증가할수록 율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설명력이 5.2%로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또래 학습에 대한 수용태도가 높을수록 성취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tility and effect of the education using peer tutoring on Taekwondo hall.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earlier studies. To make this clear, first of all, I divided Taekwondo hall into two groups - one group that were taken the peer tutoring gym and the other group that were not taken the hall. It’s specifically intended to find out how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t Taekwondo drill hall using peer tutoring was affected by trainee’s gend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he period of their child’s getting training, and parents’ job(father or mother), etc.To accomplish this study, Taekwondo halls in the province of Gyeongsang-do were picked randomly. Kids from 4th grade to 6th grade on those hall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Among them, total of 282 survey sheets(151 from Taekwondo halls using peer tutoring and 131 from another) were collected. And materials among returned questionnaires that were considered as untrustworthy and groundles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The measurement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earlier studies. In addition, the survey sheet for the study was revised and modified to add the accuracy to this study. The survey sheet has a total of 29 questions made up 9 on trainees, 2 on the educational attitude of peer tutoring, and 18 on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The encoded materials suitable for analysis were analyzed the use of SPSS/PC for WINDOWS 13.0. This study used various of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independent samples t-test, factor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one-way ANOVA, and Scheffe method for post-hoc comparison. And the reliability on the survey sheet, the measurement method for this study, was between .693 and .876.Through this kind of study method and process, we got the results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peer tutoring on Taekwondo halls. They are stated below. First, 3st Poom reply was higher than that of 1st Poom on satisfaction of efficiency. And 3rd Poom reply was higher than that of 1st Poom on satisfaction of accomplishment.S econd, education using peer tutorin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Finally, the satisfaction of efficiency was affected by the amount of education using peer tutoring and the attitude of learning.

      • KCI등재

        문제중심 학습방법을 적용한 임상실습교육의 만족도, 자율성, 성취종기와의 관계 -모아임상실습을 중심으로-

        백경선 ( Kyoung Seon Baek ),송애리 ( Ae Ri Song ),김영희 ( Yeong Hie Kim ),김태경 ( Yae Kyung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학생들이 실제 임상 상황의 맥락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기존의 지식과 경험을 반영 하고 이로 인해 사고력과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간호학생들의 성취동기,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질적인 임상실습 교육의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은 실제적인 문제에서 학습이 시작하게 되며,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문제는 자신이 실제 임상세계에서 경험하는 문제이어야 한대 따라서, 모아임상실습을 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실제 임상사례에 바탕을 둔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간호과 2학년 학생의 모아임상실습시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임상실습을 시행하기전에 사전에 교과목을 통하여 문제중심학습 에 대한 학습방법의 지식을 습득하였으며,이 방법을 통하여 이론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다. 이러한 사전경험으로 학생들은 새로운 학습법으로 인한 시간소요나 혼란을 줄일 수 있었으며, 임상실습을 통하여 시나리오의 사례를 실제로 경험하면서 보다 역동적으로 실습에 임하고, 지식 습득 및 문제해결에 대한 높은 흥미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는 3.34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반족도를 연구한 Kim과 Oh(2000) 의 연구결과 인 2.96점과 Park과 Lee (2002)의 2.86점 보다 높은 점수이다. 또한, 임상실습만족도의 하부영역 중 ``임상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3.49)가 타 하부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Park과 Lee(2002)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환경영역의 점수(3.11)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반되는 결과이다. 실제 본 연구대상자들은 임상실습지도 (3.46), 환경(3.31) 평가(3.23) 및 시간 (3.16) 등과 같은 임상실습의 외부적인 부분이 다소 열악한 상황에서도 실습의 내용적인 면에서는 만족하고 있었으며, 이는 현재 우리나라 간호대학 임상실습의 환경이 주로 수동적인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문제 중심학습법이 학생들의 능동적인 학습태도와 학습 동기 유발 및 흥미를 상승시킨 효과로 볼 수 있다. 자율성(Autonomy)이란 의미는 자기- 규율, 자기·결정, 자기·통치 및 독립성이란 용어로 오늘날 전문직 자율성의 개념은 간호 전문직 내에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현 시대의 간호사는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과 종합적인 결정 능력이 요구되는 복잡한 간호현장에서 중요시되는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교육에서부터 자율성을 신장시켜 주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Shin, 1996). 본 연구 대상자의 자율성은 평균 3.83점으로 Kim (1998)의 4년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3·53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본 연구가 간호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해가는 자율적 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향상시킨 결과로 이해 되어진다. 간호사는 대상차의 건강과 관련된 요구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는 지식의 소유자이며, 대상자를 위한 이타적인 가치관을 소유한 전문가로써 간호사 자신 뿐만 아니라 대상자에 대한 존중을 기본적인 소양으로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이에 간호사의 진정한 자율성은 대상자에 대한 존중에서부터 나온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지율성 하부영역에서 ``타인에 대한 존중`` 이 4.15점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이 단순히 이론적인 지식의 실제 적용을 넘어 대상자를 존중하고 대상자의 요구를 사정하여 적합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기회로 간호전문가로써의 기본 자질을 함양할 수 기회를 제공 한것으로 보인다. 성취동기는 어떤 훌륭한 일을 이루어보겠다는 내적 의욕으로 과업을 성취해나가는 과정에서 만족하는 성취의욕이며 후천적으로 학습되고 습득되며 육성된다. 간호학생들의 성취동기는 학업수행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성취동기는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본 요소로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과 학생들의 성취 동기는 3.83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Park과 Lee (2002) 의 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취동기는 이론학습과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나타났지만, 실제 임상실습시에도 높은 성취동기는 임상실습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 중심학습법은 학습의 동기유발을 통하여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며,이를 통하며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유발 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취동기, 자율성과 임상실습 만족도를 살펴보며 성취동기,자. 성이 학과만족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취동기와 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결국 학과에 대한 만족도는 학업성취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Park, 1992), 본 연구에서도 학과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취동기가 높게 조사되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습시기에서 임상실습만족도 중 ``임상실습내용`` (t=2.219, P<0.35)과 자율성 중 ``타인에 대한 존중``(t=3.133, P<.005)이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교수업을 한후 실습`` 을 하는 실습이 ``실습 후 학교수업``을 하는 경우보다 임상실습에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한 후 실습을 할 경우 실습에 조금 더 자신 감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임상실습의 시기는 이론 강의가 이루이진 후 시행 되는 현재의 간호교육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성취동기, 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가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중심 학습법을 임상실습에 적용한 본 연구대상자들의 성취 동기와 임상실습만족도간의 상관관계는 r=.476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Jang(2000)의 연구에서 성취동기와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가 순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 같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성취동기가 높을수록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어떠한 일을 잘 이루어 내겠다는 욕구가 내재 화되어 있는 사람은 임상교육에서도 그 욕구가 작용하여 성공적으로 그 일을 끝마치려는 행동을 보이고 그 결과 좋은 교육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서도 Park(2003)의 연구와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도 자율성 과 임상실습만족도가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328), 자율성과 성취동기도 유의한 상관 관계 (r=.468)를 보였다. 성취동기는 후천적 학습에 의해 더욱 강화되므로 단시간의 훈련으로 높일 수 있으며 지능과 관계없이 육성될 수 있는 좋은학습 신장도구이므로, 현장실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성취동기를 높일 수 있는 교육학습법이 요구되어진다. 문제중심학습법은 임상의 실제 사례를 통하여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을 통한 자율성 증대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다양하고 급변해 가는 임상현장 에 적합한 간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수학습법이다. 이론 강의시 사용되는 문제중심학습법은 실무와 떨어진 교육환경에서의 적용이라는 한계점을 여전히 수반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이론적인 지식의 습득에 대한 접근을 달리하는 방법으로만 적용되어 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현장에서 실습을 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해 봄으로써 이론 강의의 적용에서 오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주어진 사례를 직접 임상실습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학습과정이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성취동기와 자율성을 증가시켰고, 이는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실습교육을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수행하도록 유도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학습의 질적인 향상을 위하여서는 학생들의 성취동기 및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학습법으로 문제중심 학습법이 기존의 이론강의뿐만 아니라 임상실 습교육에서도 학생들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며 자율성을 강화시킨다는 점에서 간호학생을 위한 임상실습 의 학습법으로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ith PBL-based clinical practice, their autonomy, achievement motivation and what affected them in those regards in an attempt to lay the groundwork for providing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clinical practice.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8 nursing sophomores at J college who participated in PBL-based clinical practice. Results: They got a mean of 3.34, 3.83 and 3.83 i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inical practice,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respectively.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the satisfaction level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motivation of choosing the major and time for undergoing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ho decided to major in nursing at their own option(3.6l) were most contented with practice teaching(F=6.356, p<.0l), and those who underwent the clinical practice after taking lessons(3.82) were most pleased with the content of the clinical practice (t=2.129, p<.05).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autonom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volving ag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time for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ho were at the age of 22(3.92) valued themselves the most(F=3.003, P<.05). And those who found their major satisfactory (4.28) and undergo the clinical practice after taking lessons(4.37) respected others the most(F=3.l33, p<.0l). As to 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who were contented with their major(4.00) excelled the others who weren``t in that aspect(F6.038, p<.0l).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inical practic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utonomy (r=.328, p<.0l) and achievement motivation(r.476, p<.01). Conclusions: The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nursing students expressed the satisfaction with the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e older students who were 22 years old were more autonomous, and those who took part in the clinical practice after receiving theoretical instruction were more autonomous and more pleased with the practice. The students who found their major more satisfactory surpassed the others in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level,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are some suggestions: In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getting a profound grasp of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geared toward nursing students. The development of modules for PBL-based nurs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was required. How to provide PBL-based theoretical education to nursing students should be studied.

      • KCI등재

        융복합 온라인 교양수업의 학습경험 및 만족도 분석-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안화실,이경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대학 융복합 온라인 교양필수과목 학습자의 경험 및 만족도 수준을 분석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경험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온라인 융복합 교양과목 수강생 89명이 웹설문 조사를 통해 응답하였고, SPS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별 차이 분석은 t-test, 전공별 차이 분석은 ANOVA를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경험의 하위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성별과 전공에 따른 학습경험 및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 학습경험 하위요인인 강의내용,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자기주도성, 편리성, 학습성취감이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탐색하였다.연구 목적: 이 연구는 대학 융복합 온라인 교양필수과목 학습자의 경험 및 만족도 수준을 분석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경험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온라인 융복합 교양과목 수강생 89명이 웹설문 조사를 통해 응답하였고, SPS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별 차이 분석은 t-test, 전공별 차이 분석은 ANOVA를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경험의 하위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성별과 전공에 따른 학습경험 및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 학습경험 하위요인인 강의내용,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자기주도성, 편리성, 학습성취감이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탐색하였다. 결론 및 제언: 성별과 전공별 학습경험 및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러닝 편리성과 학습성취감이 만족도 예측 변인으로 유의하였다. 학습성과로써 온라인 필수교양수업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 학습환경 및 학습자 개인의 정서적・동기적 요소를 고려한 원격수업의 설계와 운영을 제안하였다.결론 및 제언: 성별과 전공별 학습경험 및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러닝 편리성과 학습성취감이 만족도 예측 변인으로 유의하였다. 학습성과로써 온라인 필수교양수업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 학습환경 및 학습자 개인의 정서적・동기적 요소를 고려한 원격수업의 설계와 운영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 교직수업에서 성장마인드셋,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 및 학습만족도의 관계

        이현경(李玄慶),김정민(金廷珉)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아시아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직수업에서 학생들의 성장마인드셋,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장마인드셋과 학습만족도 관계에서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강원 지역 3개 대학교에서 교직수업을 수강한 23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직렬다중매개모형으로 변인들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장마인드셋은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적으로는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직수업에서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성장마인드셋을 증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성장마인드셋은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과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이 성장마인드셋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를 거쳐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와 자기주도학습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그릿과 자기주도학습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 그릿과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성장마인드셋이 그릿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와 그릿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직수업에서 성장마인드셋은 그릿과의 연계만으로는 학습만족도를 기대하기 어렵고 그릿과 함께 자기주도학습 능력 또한 고려될 때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mastery goal, grit,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pre-service teacher class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growth mindset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239 students taking the classes at three universities in Seoul and Gangwo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a serial multi-mediated model. As a result, first, growth mindset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but does not directly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this, this study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students" growth mindset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at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rather than dealing with growth mindset onl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the students"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 of growth mindse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grit and the indirect effect of growth mindse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mastery goal and grit are not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growth mindset in pre-service teacher classes are difficult to expect learning satisfaction only by linking with grit and that more effective classes can be expected when consider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th grit.

      • KCI등재

        컴퓨터활용교육 : 저소득층 온라인학습 만족도 및 변인별 만족도 차이 분석: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안미리 ( Mi Lee Ahn ),박성희 ( Sung Hee Park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저소득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해오고 있는 온라인학습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에 따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저소득층 가정 학생 대상 온라인학습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저소득층 초등학생과 중학생 대상으로 웹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성실하게 응답한 285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학습 서비스 만족도에 대해 다소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만족도 하위영역을 자세히 살펴보면 온라인학습 지원 기능과 학습매니저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 만족도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 분석을 위해 학습자 인구배경학적 변인 및 학습자 개인적 특성변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인구배경학적 변인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들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 개인적 특성에서는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들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저소득층 가정의 청소년 대상의 온라인학습 서비스에서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저소득층 청소년의 특성과 환경을 배려한 온라인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 variables in online learning for low-income students. An Web-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its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285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of satisfaction was fairly positive.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In specific, the each group of female, elementary school, higher level of achievement, and higher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group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others.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만족도, 학습 태도, 수업 만족도의 관계

        김정현,박현옥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4

        이 연구는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특수교사들의 전공 만족도, 학습 태도, 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개 대학교의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2-4학년 학생 91명이며, 이들에게 전공 만족도 질문지․학습 태도 질문지․수업 만족도 설문지에 각각 응답하도록 한 후, 각 변인별 특성 및 변인별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만족도, 학습 태도, 수업 만족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았으며, 전공만족도․학습 태도․강의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예비 특수교사의 학습 태도가 전공 만족도 및 수업 만족도를 예언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 문제에 따라 각각 상stepwise에 의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특수교사는 학습 태도 면에서 주의집중, 학업적 자신감, 학습방법 측면에서 강점을 보인다. 둘째, 전공 만족도 측면에서 일반적인 만족도, 전공 교과에 대한 만족도, 전공 인식에 대한 만족도 수준이 높다. 셋째, 수업 만족도는 교수의 강의 활동 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특히 높았다. 넷째, 학습 태도 중 주의집중과 자율적 학습 태도는 전공 만족도에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학습 태도 중 주의집중 요인은 수업 만족도 전반에 걸쳐 매우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of characteristics of major satisfaction, personality, learning attitude, and cours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and Gwangju who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Major Satisfaction Personality Questionnaire, Learning Attitude Questionnaire, and Course Satisfaction Questionnair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stepwise) and Pearson's r using the SPSS/PC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attention, academic confidence, and learning mechanism level was high. The university student's general major satisfaction, course syllabus, major awareness level was high. The university student's general major satisfaction, course syllabus, major awareness level was high. The university student's professor's lecture satisfaction was high. Second, the cours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could be predicted by learning attitude factors(especially attention factor and autonomous learning attitude factor). Third, th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could be predicted by learning attitude factors(especially attention factor).

      • KCI등재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교육만족도 분석

        김은혜,마희영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5

        본 연구는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을 통해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동기와 교육만족도 에 관하여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서울 시내 소재 2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최종 표본은 총 125개이 다. 주요 설문 내용은 학습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성별, 연령, 전공, 학년, 급여수준)과 함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학습참 여 동기 및 교육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항목들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 학습자들은 학습지향적 동기, 목표지향적 동기, 활동지향적 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만족도는 3.582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 교수만족도, 학생들 간의 만족도, 교육내용, 교육성과, 교육 과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만족도와 교육 학습동기의 회귀분석 결과 학습지향적 동기만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성화고졸 재직자 전형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 즉 학습 목표 를 지향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참여성과에 대한 만족을 누릴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등이 교과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것으 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기단계에 있는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과정 수립이나 운영 등에 유용할 것 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for students admitted to university based on a specialized screening process for persons employed full time who have graduated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A survey was conducted at two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with a total sample size of 125. Key survey questions covere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and education satisfaction. The results of our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earning motivation was highest for study oriented motivation followed by activity oriented and finally goal oriented. Second, education satisfaction was highest for activity oriented motivation followed by study oriented and finally goal oriented. Third,.based on regression analysis of education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 only study oriented motivation had a meaningful impact. We expect this study to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admitted to universities through the specialized process for full time employees graduated from specialized highs schools.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경희,김지연 한국성인교육학회 2014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7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 재학생 934명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들 각 요인들과 2013학년도 1학기 성적(GPA)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t-검증, ANOVA 검증, Scheffe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에 대한 이해 정도를 보면 그 인식 수준은 학습동기, 수업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만족도, 학습동기와 수업만족도의 순으로 정(正)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의 각 요인들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에, 학습동기와 학업적 성취도 간에는 정(正)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正)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는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나, 수업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예측력이 없었다. 다섯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그리고 이들 각 요인들의 하위요인들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는 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요인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학업성취도를 고양하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며, 또한 이러한 전략은 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cours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course satisfaction of 934 students attending at the ‘A’university are sampl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GPA) of the first semester in 2013 are analyzed. By means of SPSS win 21.0, this study makes use of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and Scheff posteriori 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e followings: Firstly, as for the levels of understanding these variables, they turn up higher in the order of learning motivation, course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Secondly, as for th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hey turn out positive ones and appear higher in the order of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urse satisfaction,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course satisfaction. Thirdly, as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are positive one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there is no positive one between cours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urthly,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can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but course satisfaction can’t do it. Fifthl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arners make som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subordinate ones to these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strategies for improv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are required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Also, educational strategies should be adequate to reflec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arners.

      • KCI등재

        중·고령자의 평생학습활동이 사회참여활동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 매개효과의 검증

        이효영 ( Hyo-young Lee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論集 Vol.50 No.2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평생학습활동과 사회참여활동, 삶의 만족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떠한 변화양상을 보이는지, 평생학습활동의 초기값과 변화율이 사회참여활동의 초기율과 변화율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 데이터 중 2012~2016년까지의 제 4차, 5차, 6차 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평생학습활동, 사회참여활동, 삶의 만족도의 변화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변인별로 단변량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평생학습활동, 사회참여는 초기값과 변화율의 평균과 분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선형변화모형으로 결정되었고, 삶의 만족도는 무변화 모형으로 결정되었다. 이론모형을 분석한 결과 첫째, 시간이 변화함에 따라 중·고령자의 평생학습활동과 사회참여활동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학습활동과 사회참여활동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평생학습활동 초기값만이 사회참여활동 초기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회참여활동은 평생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령자의 평생학습활동 및 사회참여활동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종단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평생학습활동은 직접적으로는 삶의 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 간접적으로는 사회참여활동을 높여 삶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평생학습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사회참여활동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평생학습활동, 사회참여활동, 삶의 만족도 변인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시간경과에 따른 장기적 관점에서 단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change over time. In addition, it will be analyzed that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initial rate and rate of change of social participation. To this end, we analyzed the data using the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based on the aging research panel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4th, 5th, and 6th year data from 2012 to 2016).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the un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analyzed for each variable. As a result, th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determined by the linear change model because the mean and the variance of the initial value and the change rat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life satisfaction was determined as the no change mod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eoretical model, first, th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the initial values and rate of change in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only the initial value of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Thir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partially mediated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middle and old age also have a long-term effect on life satisfaction.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directly affects life satisfaction and indirectly increases social participation and contributes to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direct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but indirectly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variables in stag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over time.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