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학습과 또래학습에 의한 태권도 수련생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영훈(Jeong, Young Hoon),조성균(Cho, Sung Kyung) 한국무예학회 2008 무예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일선 태권도장에서 또래학습을 이용한 수련생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효과를 측정하고자 설문지법을 통해 또래학습을 이용한 교육과 전통적인 교육의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첫째, 태권도 교육의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효율만족도는 지속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4.33±.947)가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으며, 반복성 요인의 만족도 (3.50±1.353)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몰입도 요인에 대한 만족도(3.84±1.228)가 가장 높았으며, 복습유무 요인의 만족도(3.16±1.337)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성취만족도는 수련강도에 대한 만족도(9.96±.961)가 가장 높았고, 난이도에 대한 만족도(3.46±1.026)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또래학습과 관련된 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상관계수가 .487에서 .576으로 비교적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효율만족도와 학습만족도 간에는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방식에 따라 난이도, 수련강도, 체력향상 요인 모두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난이도는 또래 학습방식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련강도에 있어서는 전통 수련방식의 만족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체력향상에 있어서는 또래 학습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또래학습량과 또래학습수용태도가 만족도(효율만족도, 학습만족도, 성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또래학습량이 증가할수록 율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설명력이 5.2%로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또래 학습에 대한 수용태도가 높을수록 성취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tility and effect of the education using peer tutoring on Taekwondo hall.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earlier studies. To make this clear, first of all, I divided Taekwondo hall into two groups - one group that were taken the peer tutoring gym and the other group that were not taken the hall. It’s specifically intended to find out how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t Taekwondo drill hall using peer tutoring was affected by trainee’s gend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he period of their child’s getting training, and parents’ job(father or mother), etc.To accomplish this study, Taekwondo halls in the province of Gyeongsang-do were picked randomly. Kids from 4th grade to 6th grade on those hall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Among them, total of 282 survey sheets(151 from Taekwondo halls using peer tutoring and 131 from another) were collected. And materials among returned questionnaires that were considered as untrustworthy and groundles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The measurement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earlier studies. In addition, the survey sheet for the study was revised and modified to add the accuracy to this study. The survey sheet has a total of 29 questions made up 9 on trainees, 2 on the educational attitude of peer tutoring, and 18 on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The encoded materials suitable for analysis were analyzed the use of SPSS/PC for WINDOWS 13.0. This study used various of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independent samples t-test, factor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one-way ANOVA, and Scheffe method for post-hoc comparison. And the reliability on the survey sheet, the measurement method for this study, was between .693 and .876.Through this kind of study method and process, we got the results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peer tutoring on Taekwondo halls. They are stated below. First, 3st Poom reply was higher than that of 1st Poom on satisfaction of efficiency. And 3rd Poom reply was higher than that of 1st Poom on satisfaction of accomplishment.S econd, education using peer tutorin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Finally, the satisfaction of efficiency was affected by the amount of education using peer tutoring and the attitude of learning.

      • KCI등재

        성인학습자 특성이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을 중심으로

        안현용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21 평생교육 · HRD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대학 평생교육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중심의 대학 평생교육 운영 만족도가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비수도권 대학의 성인학습자가 수도권 소재 대학의 성인학습자보다, 신입학 학생이 재학생보다, 예체능 전공의 학생들이 인문·사회·교육 및 공학·자연 계열 학생들보다, 40대 학습자들이 타 연령대의 학생들보다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가 높았고,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 역시 높았다. 둘째, 남성 학습자는 여성 학습자보다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가 높았으나,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셋째, 입학전형에 있어서는 평생학습자 전형과 특성화고졸 등 재직자 특별전형은 대학 평생교육 만족도 변수 차이에서 평균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인 친화형 전담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평생교육 운영 만족도 요인은 교육내용,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이며, 그 가운데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colle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Furthermore, th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ed on degree courses dedicated to adult learners on policy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dult learners at universities in the suburban area was higher than that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re were more freshmen than enrolled students in the popul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arts, sports, music was higher than humanities, social studies, education, engineering, and nature, learners in their age of 40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education content, teaching methods,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s than students of other age groups.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policy was also high. Secondly, male learner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instruct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than female learners.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olicy. Third, learners of the lifelong learner program who recruit adult learners and incumbent special admissions such as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variables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policy were educational content, instruct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satisfaction, and the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satisfaction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 KCI등재

        대학 교직수업에서 성장마인드셋,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 및 학습만족도의 관계

        이현경(李玄慶),김정민(金廷珉)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아시아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직수업에서 학생들의 성장마인드셋,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장마인드셋과 학습만족도 관계에서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강원 지역 3개 대학교에서 교직수업을 수강한 23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직렬다중매개모형으로 변인들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장마인드셋은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적으로는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직수업에서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성장마인드셋을 증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성장마인드셋은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과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이 성장마인드셋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를 거쳐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와 자기주도학습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그릿과 자기주도학습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 그릿과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성장마인드셋이 그릿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와 그릿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직수업에서 성장마인드셋은 그릿과의 연계만으로는 학습만족도를 기대하기 어렵고 그릿과 함께 자기주도학습 능력 또한 고려될 때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mastery goal, grit,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pre-service teacher class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growth mindset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239 students taking the classes at three universities in Seoul and Gangwo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a serial multi-mediated model. As a result, first, growth mindset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but does not directly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this, this study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students" growth mindset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at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rather than dealing with growth mindset onl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the students"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 of growth mindse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grit and the indirect effect of growth mindse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mastery goal and grit are not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growth mindset in pre-service teacher classes are difficult to expect learning satisfaction only by linking with grit and that more effective classes can be expected when consider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th grit.

      • KCI등재

        융복합 온라인 교양수업의 학습경험 및 만족도 분석-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안화실,이경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대학 융복합 온라인 교양필수과목 학습자의 경험 및 만족도 수준을 분석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경험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온라인 융복합 교양과목 수강생 89명이 웹설문 조사를 통해 응답하였고, SPS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별 차이 분석은 t-test, 전공별 차이 분석은 ANOVA를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경험의 하위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성별과 전공에 따른 학습경험 및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 학습경험 하위요인인 강의내용,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자기주도성, 편리성, 학습성취감이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탐색하였다.연구 목적: 이 연구는 대학 융복합 온라인 교양필수과목 학습자의 경험 및 만족도 수준을 분석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경험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온라인 융복합 교양과목 수강생 89명이 웹설문 조사를 통해 응답하였고, SPS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별 차이 분석은 t-test, 전공별 차이 분석은 ANOVA를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경험의 하위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성별과 전공에 따른 학습경험 및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 학습경험 하위요인인 강의내용,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자기주도성, 편리성, 학습성취감이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탐색하였다. 결론 및 제언: 성별과 전공별 학습경험 및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러닝 편리성과 학습성취감이 만족도 예측 변인으로 유의하였다. 학습성과로써 온라인 필수교양수업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 학습환경 및 학습자 개인의 정서적・동기적 요소를 고려한 원격수업의 설계와 운영을 제안하였다.결론 및 제언: 성별과 전공별 학습경험 및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러닝 편리성과 학습성취감이 만족도 예측 변인으로 유의하였다. 학습성과로써 온라인 필수교양수업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 학습환경 및 학습자 개인의 정서적・동기적 요소를 고려한 원격수업의 설계와 운영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컴퓨터활용교육 : 저소득층 온라인학습 만족도 및 변인별 만족도 차이 분석: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안미리 ( Mi Lee Ahn ),박성희 ( Sung Hee Park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저소득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해오고 있는 온라인학습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에 따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저소득층 가정 학생 대상 온라인학습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저소득층 초등학생과 중학생 대상으로 웹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성실하게 응답한 285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학습 서비스 만족도에 대해 다소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만족도 하위영역을 자세히 살펴보면 온라인학습 지원 기능과 학습매니저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 만족도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 분석을 위해 학습자 인구배경학적 변인 및 학습자 개인적 특성변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인구배경학적 변인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들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 개인적 특성에서는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들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저소득층 가정의 청소년 대상의 온라인학습 서비스에서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저소득층 청소년의 특성과 환경을 배려한 온라인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 variables in online learning for low-income students. An Web-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its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285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of satisfaction was fairly positive.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In specific, the each group of female, elementary school, higher level of achievement, and higher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group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others.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만족도, 학습 태도, 수업 만족도의 관계

        김정현,박현옥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4

        이 연구는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특수교사들의 전공 만족도, 학습 태도, 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개 대학교의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2-4학년 학생 91명이며, 이들에게 전공 만족도 질문지․학습 태도 질문지․수업 만족도 설문지에 각각 응답하도록 한 후, 각 변인별 특성 및 변인별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만족도, 학습 태도, 수업 만족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았으며, 전공만족도․학습 태도․강의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예비 특수교사의 학습 태도가 전공 만족도 및 수업 만족도를 예언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 문제에 따라 각각 상stepwise에 의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특수교사는 학습 태도 면에서 주의집중, 학업적 자신감, 학습방법 측면에서 강점을 보인다. 둘째, 전공 만족도 측면에서 일반적인 만족도, 전공 교과에 대한 만족도, 전공 인식에 대한 만족도 수준이 높다. 셋째, 수업 만족도는 교수의 강의 활동 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특히 높았다. 넷째, 학습 태도 중 주의집중과 자율적 학습 태도는 전공 만족도에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학습 태도 중 주의집중 요인은 수업 만족도 전반에 걸쳐 매우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of characteristics of major satisfaction, personality, learning attitude, and cours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and Gwangju who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Major Satisfaction Personality Questionnaire, Learning Attitude Questionnaire, and Course Satisfaction Questionnair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stepwise) and Pearson's r using the SPSS/PC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attention, academic confidence, and learning mechanism level was high. The university student's general major satisfaction, course syllabus, major awareness level was high. The university student's general major satisfaction, course syllabus, major awareness level was high. The university student's professor's lecture satisfaction was high. Second, the cours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could be predicted by learning attitude factors(especially attention factor and autonomous learning attitude factor). Third, th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could be predicted by learning attitude factors(especially attention factor).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경희,김지연 한국성인교육학회 2014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7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 재학생 934명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들 각 요인들과 2013학년도 1학기 성적(GPA)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t-검증, ANOVA 검증, Scheffe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에 대한 이해 정도를 보면 그 인식 수준은 학습동기, 수업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만족도, 학습동기와 수업만족도의 순으로 정(正)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의 각 요인들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에, 학습동기와 학업적 성취도 간에는 정(正)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正)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는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나, 수업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예측력이 없었다. 다섯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그리고 이들 각 요인들의 하위요인들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는 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요인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학업성취도를 고양하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며, 또한 이러한 전략은 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cours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course satisfaction of 934 students attending at the ‘A’university are sampl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GPA) of the first semester in 2013 are analyzed. By means of SPSS win 21.0, this study makes use of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and Scheff posteriori 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e followings: Firstly, as for the levels of understanding these variables, they turn up higher in the order of learning motivation, course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Secondly, as for th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hey turn out positive ones and appear higher in the order of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urse satisfaction,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course satisfaction. Thirdly, as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are positive one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there is no positive one between cours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urthly,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can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but course satisfaction can’t do it. Fifthl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arners make som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subordinate ones to these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strategies for improv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are required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Also, educational strategies should be adequate to reflec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arners.

      • KCI등재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가족건강성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Jiyo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가족건강성 및 학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2020년 11월부터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 가족건강성, 학습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가족건강성은 학습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r=.568, p<.001, r=.378, p<.001)가 있었고,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온라인 교육효과, 건강상태, 생활수준, 자기주도학습능력, 가족건강성은 학습만족도를 43.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가족건강성을 키워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 및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amily strength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education. Methods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2020,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94 nursing students from C province, J university. Data was analyzed based on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family strength,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Satisfaction for major studies, satisfaction for school life, effectiveness of online education, health status, standard of li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family strength, accounted for 43.1% of the total variance i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Conclusions Overall learning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b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perceived family strength enhancement program.

      • KCI등재

        대학 학습동아리 활동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집단효능감, 지식공유 및 만족도와의 관계

        송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3

        최근 대학 내에서 학습동아리는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의 공동체 형성에 유익한 학습조직으로 인식되어 점차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동아리 활동을 증진시키고 학습성과를 높일 수 있는 변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문헌연구를 근거하여 학습자 개인차원 변인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집단차원 변인으로 집단효능감, 학습과정 변인으로 지식공유, 학습성과 변인으로 만족도를 정하였다. H대학 90개의 학습동아리 참여한 45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집단효능감, 지식공유,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집단효능감은 지식공유와 만족도에, 그리고 지식공유는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집단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지식공유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졌으며 지식공유는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만족도 사이와 집단효능감과 만족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동아리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자기주도학습능력, 집단효능감, 지식공유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대학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arning effectiveness of study circles in universit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used as a variab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collective efficacy was used as a variable in social-psychology, and knowledge sharing was used as a variable of the learning proces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470 members of 90 learning circles at H university, and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Research results show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ctive efficacy, knowledge sharing, and satisfaction. Collective efficacy also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knowledge sharing and satisfaction. Knowledge shar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Collective efficacy mediated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Knowledge sharing mediated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atisfaction as well as collective efficacy and satisfaction.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과학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 자기효능감, 디지털교과서 품질,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규명

        임유진,주영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교육분야에서는 이를 활용하려는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4년부터 개정된 교육과 정에 따라 영어, 사회, 과학 교과의 디지털교과서가 새롭게 개발되었고 이는 163개의 연구학교에서 초등학교 3, 4학년과 중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에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 전국의 모든 초∙중등학교에 보급될 것 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 있어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교과 서를 활용하는 과학수업에서 학습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학습만족도와 영향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영 향변인으로 디지털교과서 자기효능감, 디지털교과서 품질,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상정하였다.학습만족도와 영향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과학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고 있는 중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지털교과서 자 기효능감과 디지털교과서 품질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교과서 자기효능감과 디지털교과서 품질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결과를 토대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에 대해 제시하였다. Since 2014, a revise version of digital textbooks on English, Science, Society subjects have been implementing in 163 elementary and secondary demonstration schools. Given that digital textbooks would be incorporat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cross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learning outcome in the classes where using digital textbooks. Thus,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gital textbook self-efficacy, digital textbook qua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factors affecting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329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ho studied using digital textbooks for a science clas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digital textbook self-efficacy and digital textbook qua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digital textbook self-efficacy and digital textbook qualit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hile self-directed learning did not.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study suggests strategies that helps to increase students’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classrooms where using digital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