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작을 활용한 시 고쳐쓰기 지도 방법-백석 시를 중심으로

        노철 ( Noh¸ Cheol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2

        본 논문은 학습작가의 발화 텍스트인 초고를 작품으로 완성하는 과정을 지도하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초고를 학습작가의 시에 대한 이해도와 일상적인 언어의 표출로 창작에 대한 이해와 창작 과정에서 창작학습을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설정하였다. 창작 지도의 초점은 학습작가의 초고와 창작 노트를 비교하여 창작 의도의 효과적 발현 정도를 살펴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지도하였다. 학습작가의 초고는 경험, 대상, 감정의 표현을 효과적으로 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경험을 구성한 시, 대상을 묘사한 시, 감정을 표현한 시로 구분하여 창작지도 방법을 구분하여 실행하였다. 지도는 실제 학습작가의 초고, 창작 노트, 학습작품 모델을 통해 학습작가가 수정 전략과 방법을 탐구하여 수행하도록 하였다. 학습 모델 작품은 백석의 시를 활용하였으며 백석 시의 여러 창작 방식을 학습자의 창작 방법 학습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작가는 시에 대한 이해도와 창작 방법에 대한 실행 능력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writer focuses on the process of teaching how to make rough draft, learner-writers' text of articulation, into a complete work. Rough draft was set up as a basis to estimate the learner-writers' understanding of poetry, creative writing, and to be used as means to study creative writing through the expression of everyday language. The main focus was on the comparing of rough draft and brain-storming, in order to see how effectively the writer's intentions were displayed, and also to pick up and solve problems. The learner-writers were guided to study poetry of Baek Suk as a text to learn how to edit their first draft. Most of the learner-writers' first draft did not show effectiveness in organising experiences, objects, and emotions. To overcome the problem, poems that describe objects, poems made out of experiences, and poems that express emotions were taught separately. The learner-writers were advised to find ways to correct their problems by studying their predecessors' model works. Baek Suk's poetry was made use of in the model works. Varied ways of poetry writing by Baek Suk were proposed as study material for the learners. The result was an advancement in the learner-writers' understanding and writing of poems.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프로젝트 학습 방법론의 역할 - 효과적인 현대미술의 이해와 아이디어 전개를 위한 사례 연구

        김영길(Kim Young-G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2

          본 연구는 프로젝트 접근 교수-학습 방법론의 적용을 통한 효과적인 현대미술의 이해와 아이디어 전개를 위해 수업사례 연구를 실행하고 분석함으로써 프로젝트 학습 방법론의 역할과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함이다. 미술교육에서 프로젝트 학습이 갖는 중요성과 가치는 영국을 위시한 여러 유럽국가에서 여실히 증명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열린 교육의 영향으로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유아교육과 초등학교 위주의 적용사례와 연구가 많은 편이다. 그러나 중ㆍ고등학교와 대학미술교육의 경우는 교과 교육적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론을 적용한 구체적인 연구사례는 미흡하다. 더욱이 현행 중ㆍ고등학교의 절대적 수업시수 부족은 심각한 중등 미술교육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는 시점에서 정상적인 수업진행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론의 새로운 패러다임 설정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자는 미술 교과 교육적 측면에서 프로젝트 접근 교수-학습 방법론의 변용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시행하고자한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그 흐름과 내용을 정리 하고 문제해결 학습, 문제중심 학습과 자기조절학습에서 논의되는 담론들을 프로젝트 학습의 요소들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미술 교과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 학습 방법론의 이론적 근거를 고찰한다. 둘째, 타당한 연구방향을 설정하고 동기유발의 교육학적 관점을 고찰하며 프로젝트의 주제설정, 참고 작가의 설정 방법론을 통해 효과적인 현대 미술의 해석과 아이디어 도출 방법론을 모색한다. 셋째, 프로젝트 접근 교수-학습 방법론을 적용한 수업사례를 분석하고 검토해서 향후 중ㆍ고등학교에서 수용할 수 있는 한계와 가능성을 전망 하고자 한다.   This study purposes to explore the potential capability of the Project-Based Learning(PBL) method evolving th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the Korean art education. It has been examined that by bring real-life context and technology to the curriculum through a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students are encouraged to become independent workers, critical thinkers and lifelong learner. Project-based learning asks students to investigate issues and topics addressing realworld problems while integrating subjects across the curriculum. Therefore, Project-based learning is a method that fosters abstract and intellectual tasks to explore complex issues.<BR>  For the art education, the project approach refers to set a teaching strategies which enable teachers to guide students through in-depth studies of the effective interpretation and idea development. Both research and developments in art education could lead to instructional innovations designed to make classroom into a 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more responsive to the varying learning needs and interests of individual students.<BR>  In these sense, this research concentrate on the following issues: First, to establish the authentical theory of Project-based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Korean art education, this study scrutiniz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roject method and analyzes the discourses generated from the Problem-Solving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methodology. Second, this research is trying to group the effective interpretation and idea development within the scope of Post-modern art based on setting up the project topic and reference artists. Lastly, This paper is analyzing the case study and examining the potential capability of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for the proper application on the secondary art education.

      • KCI등재

        대학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과정 중심 글쓰기 협력학습을 바탕으로 -

        배보은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7 No.-

        Kyungnam University has been steadily reorganizing its college writing textbooks since 2003 by applying a paradigm shift in writing education. In 2020, we are preparing a textbook called 'My Writing' as an experience-based competency education.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class model that allows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urse-based collaborative writing class in line with the 'My Writing' textbook. we first look at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course-based writing collaboration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minimizes the involvement of professors, which places importance on the process of learners solving problems themselves through dialogue and negotiation with colleagues. Knowledge of the performance of writing is achieved through learner-centered practice and repetitive writing experience by acquiring procedural courses. During the semester, learners will complete three to four chapters of writing, which is the basis for five paragraphs of writing. I conducted thought training(free association), five paragraphs of writ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to improve the specific skills of self-reflection, writing, and collaboration skills. In this paper, as a method of course-based writing collaborative learning, we will present in detail the methods of “co-review” and “co-author writing”. First, there is a 'personal review' in “co-review” to make the basic framework of writing aware of how to write a schematic diagram as a basic writing exercise. And there is a 'group review' to familiarize yourself with the overall evaluation methods of writing, such as empathy, constructiveness, narrative skills, performance and integrity. Second, “co-author writing” is an activity in which several learners complete a piece of writing based on a peer consultation process. Through co-author writing, both learners who are proficient in writing and learners who are not,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review the procedural process of writing. 경남대는 2003년 이래, 글쓰기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적용하여 대학글쓰기 교재를 꾸준히 개편해 오고 있다. 2020년에는 경험 기반 역량 교육으로써의 글쓰기 교재를 편찬했는데 본고는 이 교재에 맞추어 과정 중심의 협력글쓰기 수업을 능동적으로 임할 수 있는 수업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과정 중심 글쓰기 협력학습의 의의와 필요성을 살펴본다. 협력학습은 교수자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학습자들이 동료와의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교육 방법이다. 글쓰기의 수행 지식은 절차적 과정을 습득하는 것으로 학습자 중심의 실습과 반복적인 글쓰기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며, 학습자들은 한 학기 동안 글쓰기의 기본인 5단락 글쓰기를 3~4편 완성하게 된다. 필자는 자기성찰 능력, 쓰기 능력, 협업 능력이라는 세부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고 훈련(자유 연상), 5단락 글쓰기, 협력학습을 실시했다. 이 중 본고에서는 과정 중심의 글쓰기 협력학습 방안으로 “합평”과 “공동작가 글쓰기”를 통한 협력학습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합평”은 기초 글쓰기 훈련으로 글의 기본 체계인 개요도 작성법을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개인 합평’과 공감력, 구성력, 서술력, 수행력 및 성실도와 같은 글의 전반적인 평가 방법을 숙지하기 위한 ‘조별 합평’으로 이루어진다. 둘째, “공동작가 글쓰기”는 동료 협의 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학습자들이 한 편의 글을 완성하는 활동이다. 공동작가 글쓰기를 통해 글쓰기에 능숙한 학습자와 그렇지 않은 학습자 모두에게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도모하고 글쓰기의 절차적 과정을 복습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후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작 교육 기초 연구

        하채현 ( Ha Chaehyu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2 No.-

        이 글은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창작활동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창작은 교사와 학생에게 다루기 힘든 활동 분야에 불과했다. 본고는 창작을 소통의 한 방식으로 나의 이야기를 너와 공유하는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다루었다. 스토리텔링과 창작은 내밀함, 배열의 적정성, 개연성, 독창성 등의 공유 지점을 지니고 있다. 본고는 이태준의 단편 다섯 작품을 창작 주체(학습 작가)의 입장에서 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나의 이야기 쓰기`는 기본적인 활동으로 주변 인물을 상세히 관찰하고 그것을 기록한다. 여기서는 인물을 보는 서술자인 `나`의 안목과 시각이 드러나게 된다. `인물의 이야기 쓰기`는 서술자가 바로 인물이 되는 지점에서 가능하므로 인물에 대한 창조적인 심리 묘사가 중요하다. 서술자와 인물 사이의 내밀한 교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역사 인식 담아서 쓰기`는 당대의 모습인 역사적이고 시대적인 배경을 포함하도록 모방하는 것을 말한다. 학습 작가가 역사 인식을 어느 정도 표면화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관건이다. 본고는 창작이 문학 교과목 안에 있다는 틀을 벗어나서 작문교육과 독서교육 안에서 학습자가 자기(ego)와 만나는 일임을 밝혔다. 또한 이 논의는 현재 국어교육에서 인성교육과 정체성 형성의 문제를 해결할 최적의 활동으로 `창작`을 자리매김 하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적이다. This article aims to propose activities involving writing creative literature as ways to improve learner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So far, writing creative literature has been considered a tough activity area for teachers and students. This paper discusses using creative literature writing in terms of storytelling. Storytelling and creative literature writing are very similar as they share common points such as intimacy, suitability, probability, and originality. This paper categorizes the five short stories by Lee Tae-joon into three types from the viewpoint of the creative subject (a learner). `My Story Writing` is a basic activity where writers make close observation about characters in their surroundings and record them. In the `Narrative Writing of a Person,` it is important to give a creative psychological description about characters. The `Writing with the View of History` refers to a writing activity where writers imitate so that the background of the time can be included. This paper shows that teaching creative literature writing goes beyond the boundaries of literary curriculum and it is an activity where learners meet with their own ego in composition and reading education. In addition, this argument is suggestive in that it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creative literature writing` as an optimal activity to solve issues regarding building students` characters and forming students` identity in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진지한 여가에서 작가로 성장한성인의 미술학습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윤인화,이지연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4 미술과 교육 Vol.25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진지한 여가로서 미술창작 경험에서 출발하여 작가가 되어가는 과정을 분석했다. 내러티브 탐구 결과, 3인의 연구참여자들은 진지한 여가로서 미술을 추구하고 작가로 도약하는 과정 속에서 “기대와 흥미,” “탐색과 혼란,” “미술창작의 본질에 대한 고민과 탐구,” “변화와 적용”의 의미를 탐색할 수 있었다. 진지한 여가를 추구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과거 미술학습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고 “자기표현”과 “자기이해”의 과정을 경험했다. 미술의 본질과 고유성을 인식하고 자기표현의 의미를 강화하는 노력은 그들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진지한 여가에서 출발해 작가가 된 3인의 미술창작 경험이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진지한 여가는 성인 학습자에게 미술 교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전환해 주는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둘째, 작가가 되기 위해 새로운 경로를 모색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입되는 현상을 미술교육 분야에서 주시해야 한다. 셋째, 미술 분야의 개방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미술교육의 본질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Through narrative inquiry, this study understood the process of “becoming an artist” in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who began creating art as a serious leisure activity and found its significance in art education. In three learner’s art learning process, the common meanings of “expectation and interest,” “exploration and confusion,” “contemplation and exploration of the essence of art creation,” and “change and application” were derived. Serious leisure changed research participants' negative perception of art learning in the past and further provided opportunities for “self-expression” and “self-understanding.” Efforts to recognize the essence and uniqueness of art and strengthen the meaning of self-expression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life.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serious leisure served as a catalyst to change adult learners' negative perception of art subjects. Second, in order to become an artist, we must seek new paths and adhere to the influx of phenomena from various fields from an art education standpoint. Third, it is time to reconsider the nature of art education to respond to open changes in the art field.

      • KCI등재

        시베리아의 극작가 알렉산더 밤필로프의 이해

        베라니꼴라예브나끼시예바 ( В. Н. Кисиева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2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6 No.2

        이 논문에서는 시베리아 극작가 알렉산드르 밤필로프의 유명한 작품들과 함께 러시아 문화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한국 독자들의 문화 형성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논문의 저자는 언어 외적인 환경 가운데에서 이러한 방법이 러시아 문화, 전통, 관습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의 소스인 점에 주목하여 외국어로서의 러시아어 수업 교육 방법의 일환으로 멀티미디어 사용의 필요성에 대해 서술하였습니다. 또한 논문에서는 언어 발달을 위한 일련의 수업들과 한국 학생들의 문화를 접촉하는 능력에 있어 도움이 될 다양한 멀티미디어 유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며, 교수와 학생들의 수업과 수업 이외의 활동 단계로 문화와 지역지리에 대한 주제인 “시베리아 극작가 밤필로프 이해”를 학습하는 것을 고려하였습니다. В статье говорится о формировании интеркультурного сознания в корейской аудиториии в процессе з н а к о м с т в а с русской культурой, в частности, с творчеством извест ного писателя, сибирского драматурга Александра Вамп илова. Автор статьи пишет о необходимост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средств обучения на занятиях по рус скому языку как иностранному, обращает внимание на то, что эти средства во внеязыковой среде являются реаль ным источником знаний о русской культуре, традициях и обычаях. В статье детально описывается цикл занятий по раз витию речи и формированию с помощью различных видов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средств способности корейских студен тов к межкультурному общению. Автор рассматривает этапы аудиторной и внеаудитор 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преподавателя и студентов при изуче нии культурологической и страноведческой темы: “Знакомь тесь: сибирский драматург Александр Вампилов”

      • KCI등재

        특집 논문 : 문학의 경계넘기와 통섭; 창작론적 비평 방법의 연구(完)완

        이미란 ( Mi Ran L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6

        본 연구는 학습작가가 자신의 원고를 수정하기 위해서 독자의 눈으로 자신의 작품을 평가하는 과정을 창작론적 비평이라고 부르고 이를 통합적 읽기와 분석적 읽기의 두 차원으로 설정하여 비평의 기준들을 제시했다. 먼저, 통합적 읽기의 단계에서는 작품이 드러내는 ``흥미``와 ``의미``를 평가의 기준으로 삼았으며, 다음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미적 자질에 대한 분석적 평가의 기준을 ``적확성``과 ``일관성``, ``친화성``으로 삼고, 인물과 플롯, 시점과 배경 구성의 면에서 통합적 읽기와 분석적 읽기의 구체적인 평가 요소들을 제시하고 이를 표로 정리했다. 다음으로 이러한 읽기의 틀을 사용하여 한강의「몽고반점」을 분석해 보았는데, 이 작품은 창작론적 비평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실존적 위기를 벗어나려는 명백한 동기가 있고, 풍부하게 감정을 드러내는 개성적인 인물이 극적인 플롯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소설의 재미를 극대화하며, 도발적이고 강렬한 이미지의 심리적 배경과 예술적 위기와 육체적 위기를 겪는 인물의 내면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미적 세계의 탐색이라는 주제를 잘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창작론적 입장에서 비평의 틀을 세우고, 실제 작품을 분석해 본 이러한 연구는 학습작가에게 자신의 소설을 평가하고 수정할 수 있는 준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소설 읽기의 한 방법론으로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hows the critical standards of creative writing evaluating process for student-writers to correct their own drafts on the eye of readers and to evaluate their own works, from two dimensions of synthetic and analytic readings for proposing the methods of creative fiction writing criticism. First, in the step of synthetic reading, ``interest`` and ``meaning`` are the evaluating standards, and then the analytic evaluating standards for realizing those purposes are ``preciseness``,``coherence`` and ``affinity``. And in view of characterization, plotting, making a point of view and a setting, the elements of specific evaluation standards of synthetic and analytic readings are presented as a chart. Next, through this critical tools, Han Kang`s "Mongolian Spot" is analysed. As a point of view in creative writing criticism, her work can be a good work realizing the theme of esthetic world quest, having an obvious motive to escape from existential crisis, with characters who interact with the dramatic plot and maximize the fiction`s interest, correlated with characters` inner status undergoing artistic and physical crises with provocative and strong psychological background images. This study can provides student-writers with the standards for evaluating and correcting their own fictions, and can be a new critical method for fiction reading.

      • KCI등재

        통행본 『천가시(千家詩)』 수록작품의 작자이름 표기오류 고찰

        권호종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0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22 No.-

        『千家詩』是明淸兩代最流行的蒙學讀本之一, 故歷來就有"三百千千"(『三字經』, 『百家姓』, 『千字文』, 『千家詩』)的說法, 由此可見, 타在傳播傳統文化方面曾經起過不可忽視的作用. 『千家詩』所收作品, 都是五七言絶句和律詩, 且絶大多數是唐宋詩人的名篇, 此些詩作題材豊富, 篇幅短小, 文字淺顯, 易於記誦, 在編排上亦?有特點, 因而歷來爲人們所喜愛, 得以長期流傳而不衰, 至今仍有其生命力.『千家詩』是一本旣通俗, 又流行極廣的詩集, 由於各地坊間輾轉傳刻,且坊間刻書缺乏其他圖書的査對, 又無專家學者的校勘考證, 以致造成許多錯誤, 如詩題的刪減更改, 作者姓名的誤植或錯刻, 或不容名氏而用字號, 詩句文字的出入或有改異.本論文主要是以書本的編纂過程與所收作品的作家署名問題爲中心來探討『千家詩』了. 探討『千家詩』所收作品本身的主題與藝術特徵是日後有待執行的課題. 當前不只是沒有硏究『千家詩』的碩·博士學位論文, 就是連一本短篇的『千家詩』論文也沒有的韓國學界上, 希望本論文成爲『千家詩』硏究環境的一個基石.

      • KCI등재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이경란 한국문헌정보학회 201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5 No.4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pply, and evaluate a young adult program model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For this, this researcher carried out a SWOT analysis,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young adult programs, surveying the young adults’ interests in and demands for programs, and interviewing the experts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groups. As a result, “Book Concert with Youth”, “My Dream, My Future”, and “Reading Through Cinema”, “Fun Learning”, and “2 Day 1 Night Reading Camp with Authors” were proposed as the young adult program models.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에 적합한 청소년 프로그램 기본 모형을 개발, 적용, 평가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설문조사, 국내·외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 현황조사, 면담조사 등을 통하여 SWOT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과 함께 하는 북 콘서트”, “나의 꿈 나의 미래”, “영화로 보는 책읽기”, “즐거운 학습”, “작가와 함께 하는 1박 2일 독서캠프” 등을 청소년 프로그램 기본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