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한국학술지의 특성 연구: 1990년 -1997년

        이춘실 한국정보관리학회 1999 정보관리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계량학적 측정을 통하여 DIALOG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는, 즉 국제적으로 서지정보가 배포되고 있는, 한국학술지의 규모와 그 학술지들이 등재되는 데이터베이스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87종의 DIALOG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결과 1990년에서 1997년 사이에 논문이 1편 이상 수록된 한국학술지는 248종이며, 한국학술지 논문이 한편이라도 수록된 DIALOG 데이터베이스는 52종으로 밝혀졌다. 141종(56.9%)의 학술지는 1종의 데이터베이스에만 등재되어 있다. 국제적으로 많이 색인 또는 초록되는 한국학술지는 대부분 자연과학영역의 학술지, 그리고 영문학술지이다. DIALOG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가 한국학술지를 등재하는 정도는 어떤 학문영역의 데이터베이스이냐에 따라,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학술지 선정방침(선택적 또는 포괄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 한국학술지 논문들이 색인 초록을 통하여 국제적으로 알려질 수 있는 가능성, 즉 국제적 색인 초록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는 정도는 아주 미약하다. 자연과학영역의 학술지는 양적으로 상당한 수준에 올라 있으나, 인문·사회과학영역의 한국학술지는 매우 취약한 수준이다. The bibliometric analysis was conducted by searching 87 abstract & index databases provided by the DIALOG to identify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journals covered by international database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bases covering such Korean journals. 248 Korean journals were identified, for which at least one paper published between 1990 and 1997 was retrievable from the DIALOG databases. These Korean journals were found in 52 databases. 141 journals(56.9%) were indexed in only one database. Most Korean journals covered in several DIALOG databases were science and engineering journals published in English. The difference in the degrees Korean journals are covered in a database i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he discipline a database covers, and by the database's journal selection policy.

      • KCI등재

        전자학술지 이용의 롱테일현상에 관한 연구 - K 대학도서관의 이용 사례를 중심으로 -

        김선애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0 No.4

        How has the use of academic journals changed since the academic library purchase policy changed from selective journals based on core journals to package purchases by big de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upply and size of academic journals in university libraries on the use of journal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actual usage statistics of e-journals of K Academic Libraries during 2013-2015.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so-called long-tail shape in which demand shifts to niche products that are effective in online platforms. Analysis of the use of academic journals by year for three years showed that the use of electronic journals in K Academic Libraries appeared to be a perfect Pareto shape, which is concentrated in the top 20% of journals. In particular, in 2015, the top 5% of journals accounted for nearly 80% of the total usage. Despite the changes in the supply method and size of academic journals, users' use of journals was still concentrated in core journals. 전자학술지의 등장으로 대학도서관의 학술지 구입정책이 핵심저널에 근거한 선택적 수서에서 빅딜에 의한 패키지 구입으로 변화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이용자들의 학술지 이용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의 학술지 공급방법과 규모의 변화가 이용자들의 학술지 이용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온라인의 등장으로 이용자들의 학술지 이용이 확대되는 롱테일현상이 나타나는지에 초점을 뒀다. 이를 위해 K 대학도서관의 2013~2015년 동안의 외국 전자학술지의 실제 이용통계를 사용하여, 학술지 이용에 있어 온라인플랫폼에서 유효한 틈새상품으로 수요 이동이 발생하는지를 살펴보았다. 3년 동안의 연도별 학술지 이용 분석결과 K 대학도서관의 전자학술지 이용은 과거에 비해 학술지의 규모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위 20%의 학술지에 그 이용이 집중되는 파레토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2015년의 경우는 상위 5%의 학술지 이용이 전체 이용의 거의 80%를 차지하는 현상을 보여, 수퍼스타효과를 나타냈다. 이처럼 학술지의 공급방식과 규모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의 학술지 이용은 여전히 핵심저널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내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안내시스템 모형 연구

        김규환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4

        The study aimed to suggest a model sample for guidance system for copyright of domestic journals and open access policy. Toward this end,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copyright of domestic journals and open access environment. As a result of analyses, it turned out that 33.8% of domestic journals had ‘regulations on ownership of rights to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and that the subject to ownership of rights to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ccounted for 28.8%, which was the highest rate. Of domestic journals, 34% charged a subscription fee, and they were toll access journals, and 56% were free access journals. As for system examples of guide system for copyright of foreign journals and open access policy,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and investigate SHERPA/RoMEO in the U.K. and SCPJ in Japan and generate considerations at a time of domestic application. What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is that overseas examples are focused on collecting and introducing self-archiving policy by authors for academic journals, so there are limitations in offering information including open access publication policy for domestic journal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 the study designated the purpose, direction and four steps that need to be considered at a time of development of guide system models for copyright and open access policy for domestic journals before suggestion of the basic direction and operational methods by stage. 이 연구는 국내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안내시스템 모형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내 학술지 논문의 저작권 정책 및 오픈액세스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학술지의 경우 33.8% 정도만이 ‘학술지 논문의 권리귀속 규정’을 가지고 있었고 국내 학술지 논문의 권리귀속 주체로는 학회가 28.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국내 학술지 중 34% 정도가 구독료를 지불해야 하는 Toll access 학술지이었으며 56% 정도가 무료접근이 가능한 학술지(Open Access 학술지, Hybrid Access 학술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외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안내 시스템 사례로써 영국의 SHERPA/RoMEO와 일본의 SCPJ를 조사·분석하여 국내 적용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국외 사례는 학술지 논문에 대한 저자 셀프 아카이빙 정책 정보를 주로 수집하여 안내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오픈액세스 학술지 정책 정보가 추가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안내시스템 모형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4가지 운영단계별 기본방향성과 운영방식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학술지의 질에 관한 연구

        이승채 한국문헌정보학회 200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7 No.1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qualitative level of the Korean and American journal paper by faculty members in Korea. To achieve this object, the data was produced by the questionnaires from professors of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e major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1. As a whole, American journal is evaluated better than Korean journal.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Korean journal and American journal is that the American journal is more original and useful than Korean journal.2. This study shows that American journal which deals with veterinary science is highly valuable and with living science is low. In Korean journal, the appropriateness of format is highly valuable.3. The respondents who had studied in America for more than two years evaluate American journal more excellent than those for less than two years.4. Regardless of the periods of study in America, however, most of respondents evaluate American journal better than Korean journal in all parts.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학술지와 비교해서 우리나라 학술지의 수준이 어떤지, 구체적으로 어떤 측면이 우수하거나 부족한지, 학문분야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에 대하여 교수들이 자기분야의 학술지들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평가하게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1. 한국과 미국의 학술지 수준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미국의 학술지가 모든 평가항목에서 더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이 나타났다. 한국의 학술지는 형식의 적합성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한국과 미국의 학술지의 수준 차이는 주제의 독창성 및 유용성 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2. 학문분야별로 한국과 미국의 학술지 수준 차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모든 학문분야에서 미국의 학술지가 한국의 학술지보다 종합적인 면에서 더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이 나타났다. 수의학에서 미국의 학술지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생활과학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고 있음이 나타났다. 3. 미국 수학기간에 관계없이 미국의 학술지를 한국의 학술지보다 종합적인 면에서 더 우수하다고 평가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4. 미국 수학기간이 2년을 초과하여 미국 학술지에 대해 더 익숙할 것으로 추측되는 그룹이 2년 이하 그룹보다 미국 학술지를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

      • KCI등재

        현행 인문학 학술지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송현호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4 No.-

        학술지 평가의 주목적은 ‘국내 학술지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유도’하는 것이다. 현재 정부 주 도(한국연구재단)로 이루어지고 있는 학술지 평가 사업은 논문의 형식적 체계를 완성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나 평가 방식을 획일화하고, 학술 담론의 생산과 공유 등에 개입함으로써 일면 학문 연구의 창조성과 자율성을 억압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개선 방안 마 련이 시급하다. 현행 학술지 평가는 계속평가의 경우 체계평가, 패널평가, KCI 인용지수로, 신규평가의 경 우 체계평가, 주제전문가평가, 패널평가의 세 부분으로 그 평가 항목이 나뉘는데, 실제로는 체 계평가가 학술지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그 평가 항목은 대부분 형식적인 요건에 집중되어 있다. 인문학의 경우 체계평가 결과와 질적 수준과의 인과관계는 매우 낮기 때문에 게재된 논문의 학문적 독창성과 완성도, 영향력을 평가하기란 어렵다. 따라서 정부 주도의 학술지 평가보다는 한국학술단체연합회(이하 학단총) 등 학문공동체 주도의 평가 방식을 통해서 현재 양적 평가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질적 평가의 노력을 계속해 야 할 것이다. 각 학회장 및 편집위원장,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로 구성된 편집위원회가 정량, 정성 평가의 진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학회 지 평가를 통해서 현행 학술지 평가방식의 문제점(등재학회지로의 논문 집중, 희소학문 분야 사멸, 우수 논문을 평가의 한계)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들의 자율적인 평가의 축적 에 의해 학술지를 평가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것은 학계 자체에서 학술지의 질적 성장과 학문 의 생산, 유통, 공유를 원활하게 하면서 세계적 수준의 학술지로 성장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ain purpose of the journal assessment is to 'improve quality of the journals in the country'. Current journal assessment led by the government(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established the formal system of academic papers; however uniformed assessment method and interference in creating and sharing academic discourses tend to limit creativity and autonomy in papers, which needs to be addressed. Continuous assessment includes system assessment, panel assessment and KCI Impact Factor; and new assessment includes system assessment, professional assessment and panel assessment. System assessmen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journal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items are mostly about the formal aspects. Since causality between system assessment result and quality level in humanities is very insignificant, it is hard to decide creativity, level of execution and influence of the published papers. Therefore academic communities, rather than the government, should lead evaluation and address problems in current quantitative evaluation system to promote qualitative evaluation. Editorial committee formed with the heads of associations, committees and top experts of each field can establish the best standards to evaluate quantitative, qualitative authenticity and objectivity, and resolve the problems(concentration of papers on the registered journals; short of studies on rare fields; and a limit to evaluate good quality papers) in current evaluation methods. Changing to journal evaluation system that enables autonomous evaluation by researchers can promote quality improvement of the journals, academic productivity, communication and sharing and the world-level growth of the journals.

      • KCI등재

        학술지, 연구방법, 인용 간의 관계 고찰 - 행정학 학술지(주제별)을 중심으로 -

        이승철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4

        학술지, 인용, 연구방법론의 관계가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에 등재된 논문 중 2001-2011년까지 행정학분야 학술지(학회지, 연구소 등)논문 중 피인용 횟수 1위부터 100위까지 100편의 논문이 등재된 학술지 10종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술지와 인용과의 관계에서는 학술지 등재연도의 경우 2002년 73편(73.0%), 2005년 16편(16.0%), 2006년 2편(2.0%), 2007년 5편(5.0%), 2016년 1편(1.0%) 순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등재지 년도가 오래된 학술지가 더 많은 인용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연구자들은 학술지의 등재연도가 오래되고 전국적인 성격의 학술지 논문에 대하여 많은 인용을 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학술지와 연구방법론의 관계에서 등재지 연도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2002) 4개 학술지 양적연구의 비중은 평균 80.0%였으며, (2003) 1개 학술지 33.3%, (2005)는 2개 학술지 평균 33.3%, (2006)은 1개 학술지 100.0%, (2007) 1개 학술지 80%, (2016) 1개학술지 100.0%로 나타났다. 2002년, 2005년을 제외한 년도는 단일 학술지로서 양적연구의 경향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지만 2002년 학술지의 경우 전체 100편 중 73편(73.0%)을 점유하고 있음을 고려한다면 등재연도가 오래된 학술지일수록 상대적으로 질적연구보다 양적연구를 선호하고 있다. 둘째, 연구방법과 인용의 관계에서 피인용 누적횟수 총계에서는 질적:양적 (34.0 : 66.0), 논문 수는 질적:양적 (33.0 : 67.0) 결과로 나타났다. 즉 연구자들은 논문인용에서 연구방법은 전반적으로 질적연구보다 양적연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에 있어서는 중복연구자 19명 중 양적연구만을 사용한 연구자는 11명(1,540회: 평균 140회), 질적연구만 사용한 연구자는 4명(497회: 평균 124회), 질적·양적 복합연구 연구자는 4명(890회: 평균 222회)으로 연구방법론에서는 양적연구 논문에 대한 인용이 질적연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학 학술지(주제별) 논문분석 결과 학술지, 연구방법, 인용 간의 관계를 정리하면 등재년도가 오래되고 영향력 있는 학술지 일수록 게재된 논문의 수가 많기 때문에 인용빈도는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연구방법과 인용과의 관계에서는 질적연구보다 양적연구가 인용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기 위하여 질적연구보다 양적연구를 선호하게 되고 양적연구에 의해 게재된 논문은 다른 연구자들로 하여금 더 많이 인용하게 되어 인용빈도는 시간이 갈수록 누적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인용에 있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누적효과 혹은 마태효과가 일정부분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urnal, the citation,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articles in the Korea Citation Index (KCI)We analyzed 10 journals with 100 papers from 1 to 100 in the pap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journals,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citations were summarized. Quantitative research was more frequent than research. In other words, researchers prefer quantitative research rather than qualitative research to publish articles in academic journals, and citations published by quantitative research are cited more frequently by other researchers, indicating that the frequency of citations is increasing over time. This is interpreted as the cumulative effect or the mathematical effect of the passage of time in the cit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researchers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journals, research methods, and citation, providing basic data on the process of submitting papers to achieve intellectual curiosity or individual need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revealed the biases of academic research methods, and suggest that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or integrated research methods are necessary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science.

      • KCI등재후보

        인용분석에 의한 행정학분야 학술지의 특성

        윤석경(Suk-Kyeong Yoon) 한국공공관리학회 2007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1 No.3

        학술지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정보전달과 지식을 축적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행정학분야 학술지 8종을 대상으로 하여 논문의 특성, 인용의 특성, 지식이전속도, 학술지영향력 지표 값을 산출하여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행정학분야 학술지의 논문들에서는 점차적으로 공동연구 비율이 증가하고는 있으나, 아직 단독연구의 비중이 높아 학제적 공동연구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1편 당 인용 수에 있어서는 자연과학 분야 학술지 논문들에 비해 많은 편이었으며, 인용문헌의 원천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학술지에서 국내 자료보다는 국외 자료의 인용비율과 단행본에 대한 인용비율이 높았다. 이와 함께 저자 자신의 논문을 인용하는 개인 자기인용율과 자기학술지를 인용하는 학술지 자기인용율은 낮은 편으로, 연구주제의 후속연구 또는 1회성 저작형태가 많으며, 연구주제의 다양성에 비해 연구자들의 연구수요를 자기학술지에서 충족시켜주지 못함에 따라 타학술지를 많이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인용집중률에 있어서는 일부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대해 인용이 집중되는 쏠림현상이 있었으며, ?한국행정학보?에 대한 인용집중률이 다른 국내외 학술지에 비해 높았다. 또한 즉시성지수, 인용절정기, 인용반감기를 통해 분석된 지식이전속도도 빠른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행정학분야의 환경변화가 빠른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한국행정학보?를 제외한 다른 학술지들의 영향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학술지 평가 및 연구자 평가를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에서 활용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평가기법으로서의 인용 분석과 함께 다른 질적 평가기법을 적용한다면, 학술지 평가 및 연구자 평가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cademic journals have an important value as a venue to deliver information and accumulate knowledge by presenting and sharing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journals, the purpose of citations, the speed of knowledge transfers, and the index of the journal's influence on eight journals in Public Administr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mount of papers in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s show that the rate of co-research has gradually increased, but the rate of independent research is still high. This results present that systematic support must be needed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number of citations per paper is higher than ones of natural science journals, but most citations of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s are usually from international journals rather than domestic journals. Also, the rate of citations from books is higher than that of journals. Meanwhile, the rate of citations of writer's own papers and ones of journals that he or she belongs to are low. This means that there are some academic papers just for following up research or papers presented only once. Although there are many various research topics, researchers use citations from other journals rather than the ones that they belong to because they cannot satisfy their own research demands. And, there is a tendency that researchers cite only from the famous international or domestic journals. They quote from th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much more often than that of other international or domestic journals. Also, the results show that the speed of knowledge transfer is fast considering index of immediacy, period of citation peak, and period of citation, which means that the research environment of political science is fast. The results also show the influence of other journals, except for th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is low. Currently, there are various methods to analyze academic journals and evaluate researcher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ut it will be helpful if more systematic and objective evaluation methods used in research, as well as other quality evaluation methods, are considered to evaluate both academic journals and researchers.

      • 한국 인문학분야 학술지 현황과 개선방향

        강성호 ( Kang Sung-ho )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19 인문학술 Vol.2 No.-

        인문 분야 학술지 발전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인문분야 학술지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기초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2014년에 전면 개편된 인문 분야 평가기준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인문분야에 적합한 평가지표를 개발해 갈 필요가 있다. 첫째, 인문분야의 부문별 연구자 현황, 학회 및 학술지 발행 현황을 분석해 체계적인 새로운 중분류 체계를 마련하고, 우수등재학술지 선정기준을 제안하였다. 둘째, 현행 학술지 평가에 대한 평가를 통해, 학술지 발행횟수, 게재 논문 수, 전국성과 투고자 분포도의 기준을 더 완화하고, 신생·소수 분야를 별도의 기준을 적용해 보호하고, 학술지 평가에서 정성평가 부분에 대한 이의제기가 허용될 것을 제시하였다. 인문 분야의 특성을 살린 독자적 평가 기준으로 편집위원장의 편집노트, 리뷰 등을 이야기하고, KCI인용지수를 인문분야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 현행 학술지 지원예산 대폭 증액을 연구재단이나 교육부에 요청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확대된 재원은 우수등재학술지 지원, 학술지 편집인건비로 사용될 수 있다. 넷째, 국내 영문학술지의 A&HCI·SCOPUS 등재현황과 등재전략을 분석해, 한국 학술지를 국제적 수준으로 제고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을 검토하였다. Here I examine 2014 academic journal assessment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o improve the humanities section of it. First, I prepared a new semi-categorization system by analyzing present conditions of researchers, academics, and academic journals in Arts & Humanities, and propose the selection standard for high-quality academic journals. Second, I propose to ameliorate the standards for numbers of journal publications, numbers of submitted journals, locality, and distribution of contributors, assessing of current academic journal evaluation. And I suggest to protect new/minor field by applying individual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Editorial Note and book reviews as an independent assessment standards peculiar to Humanities. Utilization of KCI quotation index in Humanities need to restrictedly be used. Third, it is urgent to ask substantial increase in budget for academic journals. The expanded finance can be used for editing academic journals, and the personnel expenses in editing academic journals.

      • KCI등재후보

        유아 언어 관련 연구 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박혜경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유아 언어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2004년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지의 유아 언어 관련 논문 271편을 중심으로 연구 영역, 연구 주제, 연구 대상 및 연구방법의 동향을 분석하고 학술지별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학술지는 유아교육 관련 학술지, 유아교육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적은 학술지, 그리고 대학에서 출판된 논문집이었다. 학술지의 연구 영역별 동향을 살펴보면 '읽기'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 주제에서는 '발달양상'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실험연구'가. 연구대상에서는 3~6세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지별 연구 영역을 살펴본 결과, 연구 영역,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대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연구 영역 중 '어휘', '읽기','쓰기'에 관한 연구는 유아교육관련 학술지에서 더 많이 나타났으나, '음운'과 '통사론'에 대한 연구는 비관련 학술지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연구 주제 중 '영역'과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유아교육 관련 학술지에서, '발달양상'에 대한 연구는 비관련 학술지에서 더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 중 유아교육 관련 학술지에서는 '실험연구'가 많이 나타나고, 비관련 학술지에서는 '조사연구'가 많이 나타나며, 대학논문집에서는 '문헌연구'가 많이 나타나 학술지별 연구방법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대상의 연령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 관련 학술지에서는 3~6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반면, 비관련 학술지에서는 0~1.5세 미만과 1.5세~3세 미만 영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유아 언어 관련 연구 분야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s of research on early childhood language among three types of Korean journal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Three types of Korean journals reviewed for this study wer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education/psychology journals in general; journals published by univers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four sectors were examined on 271 papers on early childhood languag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up to year 2004: research fields, themes, methods and the subjects. The results reveale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areas of each sector: 1) 'Reading' was the most popular research area, and 'development', was the most studied theme; 2) 'Experimental study' was widely used methodology and 'Children aged 3 through 6' were the popular research subject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earch tendency were found by the type of journals, 'Vocabulary', 'reading', and 'writing' were the most frequently researched area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whereas 'phonology' and 'syntax' were in other journals.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 were the most frequently found them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while 'development' was in other journals. 'Experimental study' was the most frequently found methodol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whereas 'investigative study' was in the other journals and 'literature study'in the university journals. finally, the subject of the studies foun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tend to be early children between 3 and 6 years old, whereas, in other journals, the subject were early children between 0 and 1.5 years old, or between 1.5 and 3 years old.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1) comparative studies with foreign research are required to broaden the perspective; 2) children younger than 3 years old need to be included as subjects for the further research; 3) longitudinal studies should be more conducted.

      • KCI등재

        한국 의학학술지의 SCI영향력지표 계량측정 연구 : 1991년-1999년

        이춘실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 정보관리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standings of Korean medical journals and to provide a concrete journal evaluation data. The SciSearch database was searched for the 7,779 papers published in 8 Korean medical journals between 1989 and 1998. The frequency of citation to each journal was measured for each year, and the journal impact factor was calculated from 1991 to 1999 exactly as it is calculated in the Jour~~lnl Citation Reports (JCR). The Korean-language journals were rarely cited in SCI, even though the journals were of the medical areas where Korean researchers published a great deal of SCI papers. The number of citations to English-language journals started to grow from 1994 and increased rapidly from 1997. The citation interval is getting shorter, resulting in the drastic increases in the impact factors in the recent years. The nine-year averages of impact factors of the journals were distributed between 0.002 and 0.126. The international standings of Korean medical journals are very poor. When the impact factors were compared to those of SCI journals in the same subject category, Korean-language journals fell below the last SCI journals ranked by the impact factor, and the English-language journals were at the bottom among the SCI journals. The impact factors of 3 English-language Korean medical journals were about 2.0 when they became SCI journals in the late 1990s. A Scientometric Study SCI Impact Factors of Major Korean Medical Jernals: 1991-1999 본 연구에서는 SCI학술지가 아니라서 Journal Citation Reports(JCR)를 통하여 영향력지표 값을 쉽기 알 수 없는 학술지들의 영향력지표값을 JCR 방식으로 산출함으로서, 한국 의학 학술지들의 구체적인 학술지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국제적인 위상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였다. 1969년부터 1998년까지 10년간 의학분야의 국내학술지 8종에 발표된 7,779편의 논문을 대상 으로 SCI검색을 하여 연도별로 인용빈도를 측정하고 1991년부터 1999년까지의 학술지 영향 력지표를 JCR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량하여 분서하였다. 한글학술지 4종의 경우에는 국내학 자들이 SCI논문을 많이 발표하는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임에도 불구하고, SCI 인용을 거 의 찾아볼 수 없었다. 영문학술지 4종에 대한 SCI 인용빈도는 1994년경부터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1997,8년경부터는 인용주기가 짧아져서 최근 2,3년간 발표된 논문에 대한 인용 이 급증하고 있고, 따라서 영향력지표값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한국 의학 학술지들의 10년치 영향력지표값 평균은 0.002에서 0.126까지 분포하였으며, YMJ의 1999년 도 영항력 지표값이 0.331로 가장 높았다. 한글학술지들의 영향력지표값을 같은 분야의 SCI 학술지들과 비교하여 보면, 모두 SCI 등재학술지의 최하위 영향력지표겂보다 낮았고, 영문 학술지는 대개 최하위권이어서 한국학술지의 국제적 위상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국 의학학술지 3종은 1990년대 후반 영향력지표값이 0.2 정도가 되었을 때 SCI에 등재되기 시작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영문학술지들이다. 영문으로 발행되는 현재 MEDLINE 학술지인 KJP는 1999년의 영향력지표값이 0.198로서 SCI등재 가능성이 있는 학술지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