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념 정의를 통한 학부모학과 부모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

        최유희(Choi, You-hee)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1

        학부모에 대한 관심의 증진에도 불구하고 학부모학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 혼란의 원인에는 ‘학부모’ 개념의 모호성과 더불어 유관용어인 ‘부모’와의 복잡한 관계도 그 한 몫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립된 분과 학문으로서 개념 정의를 통한 학부모학과 부모학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학부모학과 부모학에 대한 개념을 통한 학문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학부모학의 학문적 위상 강화의 필요성을 밝혔다. 그리고 학부모학의 개념 정의를 통해 학문적 정체성을 보다 명확히 규정하고, 부모학도 개념 정의를 통해서 학문적 정체성을 명확히 규명하였다. 학부모학의 개념은 하나의 관점으로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것이 아닌 새롭게 정립된 학문의 바탕에 다양한 이념과 관점을 활용하는 접근 방식을 택해야 할 것이다. Despite the increased interest in school parent, questions are being raised about the identity of school parental studies. In addition to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school parent’, the complex relationship of the related term ‘parent’ plays a role to the cause of such identity confus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ntity of school parental studies and parental studies through conceptual definition as an independent sub-discipline. For this purpose, the identity of the study was explored through the concept of school parental studies and parental studies in general. This helps reveal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academic status of school parental studies. The academic identity became more clearly defined through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school parental studies, and parental studies. The concept of parental studies should not encompass all areas from a single perspective, but an approach that utilizes various ideologies and perspectives on the basis of newly established study.

      • KCI등재

        노년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

        김영석(Kim, Young Sek) 한국노년교육학회 2021 노년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새로운 분과학문으로서 노년교육학(Educational Gerontology)이 수립한 학문적 정체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보다 공고한 학문적 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노력이 무엇인 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학문적 정체성을 내적 정체성(과학적 정체성, 경계 정체성)과 외적 정체성으로 구분하였다. 노년교육학의 내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년교육연구」과 「한국노년학」에 최근 6년 간 게재된 논문 98 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외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노년교육학회의 주요 활동을 분석하였다. 과학적 정체성 영역에서 노년교육학은 고유한 탐구 대상과 다양한 연구방법을 갖고있지만, 고유한 이론체계 구축이 미흡하였다. 경계 정체성과 관련해서는 타 국가의 노년교육학과 차별점을 갖기 위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었으며, 한국적 이론화 시도는부족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외적 정체성 형성을 위해 비록 짧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한국노년교육학회가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 노년교육학이 새로운 분과학문으로서 공고히 자리매김하기 위해 개별 연구자 및 학술단체 차원에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 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academic identity established by Educational Gerontology as a new discipline, and to reveal what efforts are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solid academic identity in the field of Educational Gerontology. To this end, disciplinary identity was divided into internal identity (scientific and boundary identity) and external identity. In order to analyze the inner identi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98 research published in the last 6 years were analyze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Gerontology」 and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In addition, the main activities of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analyzed in order to ascertain the external identity. For the scientific identity, Educational Gerontology had its own subject of inquiry and used various research methods, but the establishment of its own theoretical system was insufficient. Regarding boundary identity, it was revealed that attempts to have own theoretical system developed by Korean researchers were insufficient.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has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to form an external identity, even though it has a short history. Lastly, this study suggested what kind of efforts are need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researchers and academic organizations in order to establish a position as a new academic disciplinary.

      • KCI등재

        초등체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와 정립을 위한 과제

        신기철(Shin, Ki-Cheol) 한국초등체육학회 2021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7 No.3

        초등체육은 학문인가? 이 연구는 이미 학문으로 인정받은 체육학 및 교육학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 초등체육이연구 영역과 실천 분야에서 놀라운 성과를 이루었으나 이러한 성과가 과연 학문적 정체성을 담보할 수 있는지 문제제기하는 동시에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후속 연구 및 담론을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초등체육 연구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연구 대상과 연구 주체 차원에서의 특수성을 포착하였다. 그리고 체육학과 초등교육학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학문적 정체성 담론의 동향을 살펴보면서 초등체육의 학문적 정체성 또는 본질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고 중요한 시점인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탐색을 바탕으로 초등체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발전 과제로 초등체육의 개념화 담론 확대, 초등체육 연구의 특성화, 전문 도서 발간, 학문 후속세대의 육성 및 지원을 제안하였다. Is the primary(=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 academic discipline?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primary physical education, which has a deep connection with sport science and pedagogy, which is already recognized as a discipline, has accumulated great achievements in research and practice, but at the same time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se achievements can guarantee academic identity. It aims to promote follow-up research and discourse for establishment. To this purpos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physical education research, the specificity of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research subject was captured. And while examining the trends in academic identity discourse that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sport science and primary pedagogy,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primary physical education, it was emphasized that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explore the academic identity or essence. Based on this exploration, as development tasks for establishing the academic identity of primary physical education, it is proposed expanding the discourse on the conceptualization of primary physical education, characterizing primary physical education research, publishing specialized books, and fostering/supporting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 KCI우수등재

        관광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을 위한 일고

        윤혜진,조광익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6

        Tourism science has emerged as a field of study to establish an academic identity, as the global tourism industry has undergone remarkable growth. Nevertheless, tourism theory and methodology remain fragmented and underdeveloped as a field of study.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ourism research in relation to academic identity criteria and discusses its future course. For tourism studies to have an academic identity, it must have a distinct research object and a body of knowledge that is not universally shared with other disciplines. In addition, the study must include theories and concepts that can effectively organize the body of professional knowledge, as well as academic field-specific research methods. Also, academics must be transmitted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via specialized education by institutionalizing universities, departments, and professional associations. Tourism has an academic community, and there are active theoretical discussions, but there are still no scientific identities, such as distinct theoretical systems and methodologies. Thus,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 generate tourism knowledge that is notably lacking and calls for a variety of research approaches and perspectives. 지난 60여 년 동안 전 세계 관광산업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며, 탐구 분야로서 관광학이 발화하여 학문적 정체성을 이루어 가고 있다. 그러나 학문으로서 관광 이론과 방법론은 여전히 파편화되어 있고 미성숙한 상황이다. 이 논문은 관광의 학문적 정체성을 위한 기준을 중심으로 관광학 연구의 현 위치를 파악해 보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관광학이 학문적 정체성을 갖기 위해서는 특정 연구 대상이 있고, 다른 학문과 보편적으로 공유되지 않는 전문적 지식체를 형성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문은 축적된 전문 지식체를 효과적으로 조직화할 수 있는 이론과 개념이 있어야 하며, 학문 분야에 따라 개발된 특정 연구방법들을 가진다. 동시에 대학에서 가르치는 과목의 형태로 대학이나 각 학과, 전문 협회, 학회 등의 제도화를 및 특정 교육을 통해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학문이 재생산될 수 있어야 한다. 연구 결과 관광은 학문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고, 실제 많은 이론적 논의와 활동이 나타나고 있으나, 아직 고유한 이론 체계와 방법론 등의 과학적 정체성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해, 특히 부족한 관광의 지식 생성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간학문적 연구의 중요성을 시사하였으며, 연구자들의 다양하고 열린 방법과 접근들을 요청한다.

      • KCI등재후보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진단과 과제의 탐색

        신현석,정용주 한국교육정치학회 2013 敎育政治學硏究 Vol.20 No.3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in an effort of establishing its academic status developed continuously since 1994. To attain the purpose it unravel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olitics and the perspectives of it inquiry, and analyzes and diagnoses its identity from the views of scientific, boundary, and scholarly group identity which are conceptualized to mean the identity of an academic discipline. As a result, academic identity of educational politics have progressed a little in each area of identity, but have been sluggish in combined effort of them.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tasks in order to establish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as the followings: (1) to construct scholars' continuous research competency for stabilizing research paradigms and settling the discipline down into the nation, (2) to develop various research themes and methods for improving cohesiveness and bond of academic community, and (3) to scrutinize theoretical system, concepts, and methodolog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as an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field.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정치학이 1994년 이래 지속된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의 하나로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논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성격과 학문적 탐구의 관점을 밝히고,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과학적 정체성, 경계 정체성, 집단 정체성으로 개념화하여 각각의 관점에서 분석·진단하였다. 진단 결과,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학회 창립 이래 개별적으로는 진보되었으나 응집된 공동체의 일관성있는 정체성 확립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과제로 패러다임의 정착과 교육정치학의 토착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역량의 구축, 학문공동체의 응집력과 결속력을 높이는 다양한 연구 주제와 방법의 강구, 융합적·간학문적 학문으로서 교육정치학의 이론체계, 개념, 연구방법론의 정교화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경찰학의 정체성과 학문분류체계에 관한연구

        최선우 ( Sun Woo Choi ) 한국경찰학회 2014 한국경찰학회보 Vol.16 No.2

        이 연구에서는 경찰학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하기 위해 두 가지 쟁점(경찰학의 정체성, 학문분류체계)을 가지고 논의하였다. 학문의 정체성이라는 것은 다소 추상성과 역사성을 가지고 있다면, 학문분류체계라는 것은 구체성과 현실성을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경찰학의 정체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먼저, 근대경찰의 관념을 논의 하였다. 이러한 관념은 이념적으로 개인의 자유와 권리보호에 기초를 둔 것이다. 그리고 제도적으로는 경찰의 독립화·전문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경찰개념의 정립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실질적 의미의 경찰과 형식적 의미의 경찰개념은 경찰의 학문적 영역 즉, 정체성을 논의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셋째, 경찰학의 패러다임이 하나의 정상학문으로서 확립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의 판단기준으로서 경찰학관련 학문공동체의 현황과 학문체계를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은 점을 볼 때, 경찰학은 하나의 정상학문으로서 독자적인 학문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러한 학문적 정체성에도 불구하고 제도적으로 경찰학은 전문적·독립적인 영역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연구재단의 학문분류체계를 보면, 경찰학의 인접학문들(예컨대, 법학, 행정학, 사회학, 심리과학 등)은 체계적으로 분류되어 그 학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경찰학은 독립학문으로 인정되기보다는 위에서 언급한 학문분야의 하위 영역으로서 지극히 작은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경찰학관련 학자들은 이와 같이 경찰학의 제도적 위상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경찰학관련 학자들의 의견을 모아 학문분류체계에 대한 재검토를 연구재단에 개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난립되어 있는 경찰학관련 학회의 통폐합 등을 통해 거대 학문공동체를 거듭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In this study, I discussed the police science with two issues(the identity of police science, and the system of learning classification) for the systematic approach. The identity of science have an abstractions and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system of learning classification have a definitions and realities. Under these points, first, to seek the identity of police science, discussed the ideas of modern police. This ideas are ideologically based on the individual`s freedom and protection of it`s rights. And it means institutionally the independence and specialization. Second, discussed the problems of the establishment of police concepts. Related to this, the concepts of practical police and formal police are very important in discussion the scientific territories. Third, discussed that the paradigm of the police science are established as one of the normal science. And observe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cholarship communities related to police science and the learning systems of its as the standard of judgement When consider these facts, the police science have a independent scientific identity as a normal science. But despite the scientific identity, the police science are not acquire the professional and independent territories institutionally. Observing the system of learning classification of NRF(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adjacent other sciences(ie, law, public administration, sociology, psychology, etc.) are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approved the identities by the authorities(NRF). But the police science just only stands very small portion as a sub territories referred above each sciences rather than approved independent science. Therefore, scholars who related the police science must recognize considerably the institutional status problems and try to find out the countermeasures. For this, the scholars must concentrate the consensus about the issues and raise the opinions of the re-examination of the system of learning classification to the NRF. In addition, we must need to consider the way that the associations of the related police science which scattered separately unify and establish each other as a mass scholarship community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한국 경찰학의 학문적 정체성 검토 및 학문체계 정립을 위한 발전방향 탐색

        정준선,장일식 한국경찰연구학회 2024 한국경찰연구 Vol.23 No.1

        한국 경찰학은 한국 경찰의 변화를 학술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검증하여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주도하고 있음에도 ‘경찰학이 학문인가’라는 비판에서 자유롭 지 못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학이 독립적인 분과 학문으로서 학문적 정체성을 갖 추었는지 검증하고, 경찰학의 학문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한국 경찰학은 (1) 형식적 경찰 조직과 실질적 치안환경을 고유한 연구대상 으로 하며, (2) 개별 연구주제에서 요구하는 연구 방법을 적용하는 응용학문으로, (3) 국내 109개 대학에 198개의 경찰학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4) 50여개 이상의 전문 학 회가 지속해서 경찰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5) 주요 11개 등재학술지에서 만 연간 375편의 연구 성과를 축적하여 학문적 정체성을 갖추었음을 확인하였다. 경찰 학의 학문성에 대한 비판은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 아니라 미흡한 학문체계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국 경찰학이발전하기 위해서는 학제간 연구의 특성을 반영한 경찰학 학문체계를 정립하고, 이를 반영한 표준 교육과정을 설계하며, 학술연구분야 분류체계 에 경찰학의 고유한 연구 영역을 확립하기 위한 경찰학 연구자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Korean police studies plays a pivotal role in interpreting and validating the changes in the Korean police force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and providing practical directions. However, it is not free from criticisms about its qualifications as a discip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police studies has secured an independent academic identity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to establish the academic field of police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police science (1) takes both the formal structure of police organizations and the actual policing environment as unique research topics, (2) functions as an applied discipline by applying research methodologies required by individual research topics, (3) has 198 police-related majors in 109 universities in Korea, (4) is continuously conducted by more than 50 professional societies, and (5) has accumulated about 375 research works per year in the top 11 indexed journals, confirming its academic identity. Criticisms of the academic nature of police science do not stem from questions about its academic identity, but from deficiencies in its academic structure. The development of Korean police science requires efforts to establish an academic framework that reflects its interdisciplinary nature, design a standardized curriculum in line with it, and establish a unique research area of police science within the academic research field classification system by gathering the interest and commitment of all police science researchers.

      •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학문적 융합구조 탐색: 연구자의 모母학문을 중심으로

        오현정(Oh, HyounJeong),이찬구(Yi, Chan-Go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정책현장과 학계에서 ‘과학기술정책학’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지만, 실제로 과학기술정책학의 학문 정체성에 대한 합의를 이루었다고 보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학문 정체성의 구성 요소 중에서 집단정체성을 일정 수준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내적 정체성의 구축은 미흡한 실정이다.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학문의 내적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유이론과 방법론을 확립해야 한다. 그러나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다학제적(multidisciplinary) 성격을 갖고 있어 연구자들은 각자의 모(母)학문의 이론과 방법론을 채택하여 연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독자적인 이론과 방법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기존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어떤 학문적 배경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정책 연구 전체에 대한 융합학문적 특성과 별개로, 연구분야 별로는 여전히 모학문 중심의 단일학문적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융합학문적 특성이 나타난다면 구체적인 특징은 무엇인지, 학자들의 모학문과 실제 사용한 이론의 배경학문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등을 밝혀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독자적인 이론과 방법론 구축 논의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논의

        문미옥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당면과제 중 하나가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인 정체성 확립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정체성 연구는, 타 학문파의 차별화에 초점을 두는 학문적 정체성과 타 문화와의 차별화에 초점을 두는 문화적 정체성의 두 범주로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 중 문화적 정체성을 위한 논의에 보다 주력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지금까지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된 각 분야 학자들의 논의는 전통성과 변화성의 조화, 세계적 보편성과 특수한 개성의 조화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이루어졌다. 이중, 전통성과 변화성의 조화는 과거와 현재 및 미래 즉 시간적 관점의 개념이며 보편성과 특수성은 지구상의 지리적 공간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고 보고, 현상계를 인식하는 기본 형식인 시간과 공간의 개념으로 이루어진 정체성 확립 구조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체성 확립 구조모형은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민족과 국가의 제반 분야야 적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구조모형"에 기초한 한국유아교육의 정체성 확립 실천방안과 유아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예를 제시하였다. A key challenge fa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is the establishment of its own identity. According to a review of the literature, establishing identity can be approached from two spheres: the first, academic identity emphasizes differentiation from other academic fields and the second, cultural identity, focuses on differentiation from other cultures. This paper mainly addresses the latter. Academic discussions on cultural identity are generally about harmony between traditions and change and harmony between universality and uniqueness. Based on the view that harmony between traditions and change is a concept deriving from time difference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while universality and uniqueness concern spatial differences of the earth, this paper suggests a model for establishing identity made up of both of these concepts for both comprise the basic structure that helps us to understand the world. The model this paper suggests is applicable to not only to the education of children in Korea but also to all nations and peoples. This paper also suggests step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a developmental model for childhood education courses based upon a "Structural Model for Establishing Identity".

      • 문화콘텐츠학과 기존 학문분류체계의 충돌과 공존 가능성

        이종훈 ( Lee Jong-hun ) 콘텐츠문화학회 2020 콘텐츠문화연구 Vol.2 No.-

        1990년대에 ‘문화콘텐츠’라는 용어가 등장하고 빠르게 확산, 성장해왔지만 아직 학문적으로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기존의 다른 분과학문들과의 관계에서 여전히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있다. 지금까지 고려되어 온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연구대상은 ‘문화’라는 말이 담아내는 의미만큼이나 광활하다. 연구자들이 제시하는 연구 목적과 학문배경을 종합해보면 실로 거의 모든 학문분야를 총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것은 문화콘텐츠학이 학문적으로 자리잡는 과정에서 기존의 분과학문들과 충돌하는 또 다른 지점을 형성한다. ‘상호 학문적 연구’나 ‘복합학’이 문화콘텐츠학의 정체성으로 제시되었지만, 이 또한 충분한 해결방법으로 보이지 않는다. 문화콘텐츠학이 학문적 정체성의 차원에서 기존의 학문체계와 충돌하는 지점을 정리하면, (1) 문화콘텐츠학의 연구대상과 방법을 공유하는 기존의 여러 분과학문들은 학문적으로 이미 매우 공고하다. (2) 현재의 문화콘텐츠학은 차이에 따른 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기존의 학문체계에 안정적으로 들어갈 자리를 찾기 힘들다. (3) 현재의 문화콘텐츠학은 기존의 학문체계 대부분과 연관되기에 일정한 영역으로 협소화하여 분과학문으로 진입하기 어렵다. 종합하면, 문화콘텐츠의 성격은 현재의 분류와 일정한 방식의 체계화를 역사적으로 쌓고 반영해온 현 학문체계와는 부합하기 어렵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충돌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충돌을 극복한 실마리로 세 가지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첫째 근대적인 위계중심의 선형적 학문분류체계를 입체적으로 재구성한다. 둘째, 새로운 연구 영역과 방향의 설정으로 문화콘텐츠학의 돌파구를 찾을 수도 있다. 셋째, 현재의 학문체계와 독자적인 분과학문으로 요구되는 조건들을 현실적인 제한이나 문제로 받아들여 연구 문제와 방향을 인위적으로 협소화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In the 1990s, the term “cultural contents” has appeared and rapidly spread and grew, but it still suffers from academic difficulties. In particular, there are a number of problems in relation to other existing acdemic disciplines. The academic research subject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that has been considered so far is as broad as the meaning of the word 'culture'.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f you put together the research purpose and the academic background suggested by the researchers, you are in charge of almost all academic fields. This forms another point where cultural contents studies collide with existing disciplines in the process of academic establishment. Alth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mposite studies” have been suggested as the identity of cultural contents, this also does not appear to be a sufficient solution. In the aspect of academic identity, the point where cultural contents studies collide with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is as follows: (1) Several existing divisions that share the subjects and methods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are already academically very strong. (2) Current cultural contents studies find it difficult to look out for a place to stably enter an existing academic system aimed at classifying according to differences. (3) Since the current cultural contents studies is related to most of the existing academic systems, it is difficult to narrow it down to a certain area and enter the academic discipline. In sum, the nature of cultural contents is difficult to match with the current academic system that has historically accumulated and reflected the current clas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in a certain way. And there is no choice but to continue to collide. As a clue to overcoming this conflict, three methods can be considered. First, the modern hierarchical linear academic classification system is reconstructed in three dimensions. Second, it is possible to find a breakthrough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by setting new research areas and directions. Third, it is possible to consider ways to artificially narrow research problems and directions by accepting the conditions required by the current academic system and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s as realistic limitations or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