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이트와 융의 심층심리학 사상과 그 차이

        김성민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9

        S. 프로이트와 C. G. 융은 현대 심층심리학의 개척자들이다. 그들은 정신의학이 막 태동하려던 20세기 초 인간의 정신에는 의식뿐만 아니라 무의식의 작용도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사람들을 괴롭히는 정신질환의 정체를 규명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융은 프로이트의 범성욕설을 비판하면서 독자적으로 연구를 진행시켜서 결국에는 프로이트와 달리 분석심리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향해서 나아갔다. 프로이트와 융 사이의 차이는 크게 두 가지가 된다. 하나는 리비도에 대한 견해이고, 다른 하나는 집단적 무의식에 대한 견해이다. 먼저 프로이트가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의 근본적인 추동력이 되는 리비도가 성욕이라고 주장한 데 반해서, 융은 리비도가 성욕이라는 하나의 특성만 가진 질적 개념이 아니라 그 어떤 특성도 가질 수 있는 에너지 자체라고 하면서 양적 개념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즉 리비도는 하나의 에너지로서 성욕으로도 될 수 있고, 종교열도 될 수 있으며, 예술성으로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 사람의 견해 차이는 그 다음에 상징, 근친상간, 퇴행, 꿈 해석 등 모든 ,분야로까지 넓혀졌는데 그 밑바탕에는 집단적 무의식에 대한 융의 생각이 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은 의식과 함께 있을 수 없는 정신적 내용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융은 무의식에는 그런 부분 이외에 의식과 무관하게 인류가 태초 이래 살았던 모든 기록들을 보관하고 있는 층인 집단적 무의식도 존재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렇게 되면 무의식은 프로이트가 생각하는 것처럼 부정적인 작용만 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작용도 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융은 모든 증상들을 없애버려야 할 것들로만 보지 않았고, 그 안에서 정신을 통합하려는 목적적 의미까지 보면서 치료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두 사람 사이의 가장 커다란 차이는 종교에 대한 태도의 차이일 것이다. 프로이트는 종교를 유아적이며 집단적인 신경증이라고 생각했지만, 융은 종교에서 정신치료를 위한 훌륭한 상징체계를 발견했던 것이다. 프로이트는 신을 사람들이 유아시절 아버지에게서 느꼈던 상을 투사시킨 착각으로 보았지만, 융은 신의 이미지는 인간 정신 속에 있는 전체성을 가진 원형상으로 보았던 것이다. 이렇게 두 사람이 같은 정신 현상을 다르게 본 것에는 프로이트가 무의식의 작용에 초점을 맞춰서 보았지만, 융은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서 보았기 때문이었다. 프로이트의 렌즈는 하나였지만, 융의 렌즈는 둘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두 사람 사이에서 어느 누가 더 옳고, 그르다는 것은 있을 수 없고, 입장의 차이만 있을 뿐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Psychoanalyst S. Freud and Analytical Psychologist C. G. Jung were the pioneers of the depth psychology who opened the way to an untrodden area of human beings in modern society. They discovered the unconscious actions that cause many unexpected accidents under the consciousness and insisted that the human psyche was composed of two layers: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In fact, they wanted to examine closely the reason and the meaning of mental diseases. Meanwhile C. G. Jung who had been a supporter of Freud took a stand against Freud insisting that libido wasn't always the sexuality. For him libido was psychic energy which could not only be sexual energy but also be religious energy, art energy etc. Also C. Jung insisted that the human unconscious wasn't composed only of individual unconscious but also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which contained all human experiences since time immemorial. From then on C. Jung developed his original theory. Their theories diverged more as it was expanded to the theory of symbol, incest, regression, and dream interpretation. While Freud tried to focus on the action of the unconscious and to find the cause of the mental diseases, Jung tried to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and to find the goal of the human psyche. In short, while Freud saw the psychic phenomena with the law of cause and effect, Jung saw it with the law of finality. We know that there was the idea of the Self which is the self-regulating factor of the human psyche as the basis of Jung's though. The Self, for Jung, was the important factor which defined human beings as now existing from time immemorial. We think that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eir attitude to religion. Because while Freud viewed religion as the collective infantile neurosis of human beings, Jung viewed the principal world religions as the effective symbol systems for psychotherapy. While Freud thought of God as an illusion that human beings held in childhood, Jung thought that the image of God was an archetype of wholeness in the human psyche. We are surprised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s they explained the same human psychic phenomena differently. But we should not forget that we owe them much for our psychological development.

      • KCI등재

        기독교 영성의 관점에서 본 프로이트 종교론에 대한 비판

        김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7

        본 연구는 프로이트의 종교에 대한 관점을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근대의 심리학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끼친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종교를 분석하고 비판한다. 이 글에서는 프로이트가 종교를 정신분석학적으로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그의 주요한 논문들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먼저 프로이트에게 종교는 보편적 강박신경증이다. 그는 그의 환자들의 행위와 종교행위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프로이트는 그의 이론에 대한 인류학적 근거를 원시인들의 토테미즘에서 찾는데, 거기에서 종교와 신의 존재의 근거를 찾는다. 프로이트의 이론을 개괄적으로 설명한 다음, 기독교 영성과의 관계 속에서 프로이트를 재해석한다. 이 논문은 두 부분에 초점을 맞춘다. 첫 번째, 왜 종교를 다루는데 영성이 중요한지 그리고 프로이트는 왜 이 부분을 깊이 설명할 수 없었는지를 다룬다. 프로이트는 종교를 다룰 때 종교의례나 종교행위에 대한 것만 분석하는데, 이것은 그가 영성이나 영적인 영역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영성은 종교를 논의하는데 빠질 수 없는 영역이므로, 프로이트 이론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이유는 이것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그래서 황홀경이나 일치와 같은 종교적 현상을 그는 환상이라는 단어로 일축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도 언급할 것이다. 두 번째, 이 논문은 성숙에 대한 것을 살핀다. 프로이트는 인류의 성숙을 위해 종교는 사라져야 하고 극복되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정신분석학이 지향하는 성숙은 기독교 영성의 목적과 다르지 않으며, 도리어 영적성숙은 프로이트가 말한 인간의 성숙보다 더 고차원적이라는 것을 주장할 것이다. 영적성숙이란 단지 무의식에서 벗어나 자아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영적성숙은 자아를 넘어서는 가치를 위해 헌신할 수 있는 단계이며, 이것은 인격적인 성숙보다 더 차원이 높은 성숙이다. 그래서 영적성숙은 인격적 성숙의 개념을 포함한다. 조금 다른 관점에서, 융이나 아들러 같은 일부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인격적인 성숙을 위해서라도 종교는 인간 삶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점에 입각했을 때, 성숙을 이야기하는데 있어서도 프로이트는 지극히 제한적이었다. 이 연구는 학자들이 많이 다루지 않은 주제를 고찰함으로써 프로이트 이론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 영성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This research criticizes Freud’s theory on religion. Freud, who has exerted his influence to many areas such as arts and culture as well as psychology, also deals with religion in his articles. He analyzes and criticizes religion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is study shows how Freud understands religion, revealed in his several articles. Freud sees that religion is an universal obsessional neurosis. He find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obsessive neurosis and religious behaviors. Based on his observation on the acts of obsessive-compulsive patients, he concludes that religious rituals are neurotic behaviors. He tries to uncover the evidences of his argument from anthropological data. He believes that the origin of religion and God can be found from totemism in the primitive society. Then, this article interprets Freud’s theory on relig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spirituality. It focuses on two parts. Firstly, it explains why spiritual matters are important in dealing with religion and why Freud fails to illustrate this in depth. It points out that Freud cannot give an explanation on spiritual phenonenon since he does not have any spiritual experience. He presents religion in the form of ritual and liturgy, excluded christian spirituality, which is one of important parts. Because of this, oceanic experience or religious experience cannot be persuasively interpreted in Freud’s theory. Secondly, it compares maturity in Freud’s theory with that in christian spirituality. Freud says that religion has to disappear for the maturity of human beings. However, the aim of psychoanalysis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christian spirituality. Rather, spiritual maturity has broader meanings. It does not simply mean that a man controls ego or unconsciousness. It includes that a man devotes himself to a higher value in life. From a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 psychologists such as Jung and Adler insist that religion should be accepted by people to become mature. In this sense, Freud has a narrow perspective on spirituality and religion. This paper widens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by exploring a topic that Korean scholars have ignored.

      • KCI등재

        리쾨르와 프로이트 - 해석학과 정신분석학

        윤성우(Seong-Woo Yun) 한국현상학회 202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7 No.-

        이 논문을 통해 우리는 리쾨르 철학에서 프로이트의 현존(présence)을 확인하고 이것이 리쾨르 철학의 중요한 국면들에서 어떤 영향을 끼쳐 왔는지를 찾아보고 확인하는 작업을 하려고 한다. 리쾨르 철학의 관점에서 보면 프로이트 담론은 ‘현상학의 해석학적 변형’이고자 하는 리쾨르 자신의 마지막 철학적 단계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방향타라고 볼 수 있다. 리쾨르를 현대 해석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자리매김하는 데 핵심적인 내용을 제공해준 담론 역시 프로이트의 담론일 것이다. 물론 여전히 기술현상학의 틀과 한계 내에서 움직이고 있는 『의지의 철학 I』과 『해석에 대하여: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 사이의 결정적 차이는 “반성”이 일종의 해석학이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반성에 철저히 연계된 해석학적 방법”을 가져오는 데 있어 그가 프로이트 담론에 의존하고 기대었다는 것이다. 욕망의 선재성, 사유에 대한 ‘sum’의 선재성을 프로이트 담론이 설득력 있게 드러내는 이상, 반성은 그런 (욕망하는) 삶의 기호들을 해석하는 프로이트 담론을 만나지 않고 피해 가는 방법은 없었다. 리쾨르에게 프로이트는 필연적인 우회(détour)의 길이었다. 현상학적 철학의 한계와 근대적 반성철학의 전통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 데 프로이트 담론의 독창적인 기여를 인정하는 차원이라고 보는 게 정확할 것이다. 리쾨르 철학의 긴 여정 속에서 1950년 전후에 프로이트 담론은 (기술현상학이라는) 제한된 관점과 전망 속에서 처음으로 도입되고, 1965년을 전후하여 확장되며 변형된 (해석학적) 대면과 도전의 차원에서 논의되며, 1990년 전후해 2008년까지는 이전의 도입과 대면의 지점을 넘어 충분히 성숙하여 침윤되어 그의 철학 안에 내면화되는 지점에 도달하게 되었다. Let us attempt to identify Freuds presence within Ricoeurs philosophy and reveal its influence on the important aspects of Ricoeur’s philosophy. From a Ricoeurian point of view, the Freudian discourse is a rudder, that aims to be a “hermeneutical transformation of phenomenology while playing a critical role in the final stage of Ricoeur’s philosophy. The Freudian discourse is what provided the key for Ricoeur’s establishment 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modern hermeneutics. Of course, there is a decis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ooks - Freedom and nature and Freud and Philosophy. The difference is that while they both reside within the confines and limits of descriptive phenomenology, Ricoeur claims the “reflection needs to be a kind of hermeneutics. In that sense, Ricoeur was dependent on the Freudian discourse. As long as the Freudian discourse reveals the pre-existing nature of desire and ‘sum’ of thought, “reflection” cannot escape the confrontation of the Freudian discourse that interprets symbols of life. For Ricoeur, Freud was an inevitable détour. That does not mean, however, that an adventure and challenge such as including the Freudian psychoanalysis as a subconcept of a more comprehensive hermeneutics. This is a common misunderstanding of the Ricoeur-Freud relationship. Rather, it would be fair to recognize the Freudian discourse’s original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 new era to the limits of phenomenological philosophy and the traditions of modern philosophy on reflection. Ricoeur’s long philosophical journey can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Around 1950, the Freudian discourse was first introduced within the limited perspectives and prospects of descriptive phenomenology. Around 1965, it is expanded and widely discussed as a transformed hermeneutical challenge. Around 1990 and up to 2008, the Freudian discourse grows beyond the introduction and challenges, to the point where it infiltrates and internalizes within Ricoeur’s own philosophy.

      • KCI등재

        김현 비평과 프로이트

        한래희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4

        The main school aims to analyze the acceptance and overcoming aspects of Kim Hyun and Freudian theory. By analyzing the acceptance and overcoming aspects of Freudian theory in Kim Hyun’s critique in three major periods, focusing on the issue of “sublimation” of desire, we want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Kim Hyun’s critique in the mid to late 1980s. First, it was a time when Freud’s overcoming of pessimism and determinism was emphasized based on Bachelard and Jung’s theories. Compared to Freudian symbols, which are merely symbols of unconscious impulses, Baschelard’s archetypes and imaginative theories are considered ways to sublimate negative desires. Using reverie working in the middle of unconscious and consciousness, sublimation of the pathological complex is possible. Given that such sublimation rejects the reality of alienation and objectification and makes him dream of a utopia where oppression and alienation have disappeared, Kim Hyun finds a basis to overcome Freud through Bachelard. Second, through desire analysis, we explored the origins of violence and the methods of literary resistance to violence. Girard’s theory emerges as a methodology that sheds light on the problem of violence that Freud cannot explain. Based on his sense of Girard’s problem, Kim Hyun recognizes the 1980s as a violent society maintained by turning hatred into one and making one a scapegoat. However, while the framework of perception is “jirarish,” the principle of violence and hatred is described as “freudite.” This shows that even after 1980, Kim Hyun’s reason was based on the biological Freudian structure of the confrontation of the “self-preservation drive/Eros,” and the perception of this composition led to a one-sided grasp of the problem. Third, it is a time when people focus on overcoming and sublimating self-destruction desires caused by historical pain. Criticism of Kim Hyun in the late 1980s unfolds in the form of a fight against self-destruction desire stemming from guilt and shame. Kim Hyun leaned not on consciousness but on “body” and “memory” engraved with pain. Interest in the “body” and “repeated compulsion” of pain parallels Freud’s sense of problem, which deduced the concept of death impulse from the “repeated compulsion” dreams of war neuropathy patients. Through the perception that repeated obsessive memories are the epicenter of the new culture, Kim Hyun meets Freud's problem consciousness in an unexpected way. 본고는 김현의 프로이트 수용·극복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김현 비평의 핵심적 방법론이라는 점은 많은 연구자들이 동의하고 있으나, 프로이트의 이론이 오랜 기간 ‘극복’의 대상이었다는 점은 그간 주목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여기서는 김현 비평에 나타난 프로이트 이론의 수용·극복 양상을 욕망의 ‘승화’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1980년대 중·후반 김현 비평에 나타난 변화를 새롭게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첫째, 바슐라르와 융의 이론에 기초하여 프로이트의 비관론과 결정론의 극복이 강조되던 시기이다. 무의식적 충동의 기호에 불과한 프로이트적 상징에 비해 바슐라르의 원형과 상상력 이론은 욕망의 부정성을 승화하고 비관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간주된다. 무의식과 의식의 중간지대에서 활동하는 몽상을 활용하면 병적 콤플렉스의 승화가 가능하다는 점이 김현에게는 중요하다. 이러한 승화는 소외·사물화의 현실을 거부하고 억압·소외가 사라진 유토피아에 대한 꿈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김현은 바슐라르를 통해 프로이트를 극복할 근거를 발견한다. 둘째, 욕망 분석을 통해 폭력의 기원과 폭력에 대한 문학적 저항 방법을 탐색하던 시기이다. 지라르의 이론은 프로이트로는 설명하기 힘든 폭력의 문제를 새롭게 조명해 줄 방법론으로 대두한다. 김현은 지라르를 토대로 1980년대를 만인이 일인을 증오하며 일인을 희생양으로 만듦으로써 유지되는 폭력의 사회로 인식한다. 그러나 인식의 틀은 ‘지라르적’이지만 폭력과 증오의 작동 원리는 ‘프로이트적’으로 설명된다. 이 시기에도 유토피아적 욕망에 의한 욕망의 승화라는 방법론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는 1980년 이후에도 김현의 사유가 ‘자기 보존 충동/에로스 충동’의 대립이라는 전기 프로이트적 구도에 기초해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도에 따른 인식은 사회적 폭력의 문제를 일면적으로 파악하게 만든 원인으로 작용한다. 셋째, 역사적 고통에서 기인한 자기 파괴 욕망의 극복·승화에 집중한 시기이다. 1980년대 말 김현 비평은 죄의식·부끄러움에서 비롯된 자기 파괴 욕망과의 싸움이란 형태로 전개된다. 역사에 대한 회의와 죽음의 문화 극복을 위해 김현이 기댄 곳은 의식이 아니라 고통이 새겨진 ‘몸’과 ‘기억’이다. 고통의 ‘몸’과 ‘기억’에 대한 관심은 전쟁신경증 환자의 ‘반복 강박’적인 꿈에서 죽음 충동 개념을 추론한 후기 프로이트의 문제의식과 평행 관계를 이룬다. ‘쾌락 원칙/현실 원칙’의 대립에 기초한 관점으로는 설명 불가능한 반복 강박적 기억이 새로운 문화의 진원지라는 인식을 통해 김현은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프로이트와 다시 만나게 된다.

      • KCI등재

        프로이트 종교론의 현대적 재검토: < 강박 행동과 종교 행위 >를 중심으로

        노지윤 ( Ji Yoon No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6 종교문화비평 Vol.29 No.29

        〈 강박 행위와 종교 의례 〉는 1907년에 쓰여진 논문으로, 프로이트의 종교에 대한 저작 중 첫 번째 글이다. 이 논문은 강박 신경증 환자의 행동과 종교적 의례 행위의 유사성을 밝힌 것으로, 프로이트의 종교론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생각이 제시된다. 프로이트는 이 글에서 종교 의례에 나타나는 강박증적인 행위 양상에 주목하면서 강박 신경증을 종교 행위의 병리학적 대응물로 보고 신경증을 개인의 종교성으로, 종교를 보편적인 강박 신경증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주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이트의 종교론을 현대적 관점에서 다시 검토하고 평가해보려는 시도이다. 기존 종교학에서 프로이트가 흔히 이해되는 방식은 그의 이론의 과학적 성격을 잘 반영하지 않았던 것이었다. 프로이트가 자신의 이론을 검증 가능한 과학적 가설로서 제시하려고 했다는 점에 착안한다면, 우리는 그의 종교론 또한 검증될 수 있는 가설로서 재고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 종교학에서 프로이트 종교론을 받아들이는 방식을 살피고, 그의 종교에 대한 최초의 가설이 종교 이론으로서 어떻게 발전되는지 살펴본 다음, 이것이 후대의 의례 이론과 심리학적 연구들에서 어떻게 언급되고 재고 되는지 살펴보았다. 프로이트가 제시한 최초의 가설은 《토템과 터부》, 《환상의 미래》, 《인간 모세와 유일신교》로 이어지는 그의 종교에 대한 저작 내에서 핵심적인 아이디어로서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프로이트는 강박 신경증적 행위를 종교의 중요한 특성으로 보고, 정신분석의 방법을 통해 종교의 기원을 설명한다. 그런데 이때 프로이트의 종교이론 전체는 과학적인 방법에 따라 가설을 발전시켜 나간 것이 아니므로 타당성을 검증하기 어렵다. 반면 최초 가설에 초점을 맞춘다면, 이 가설은 후대 이론에서 의례의 특성과 기능을 밝히는 데 기여하였음을 볼 수 있다. 특히 인지과학과 진화심리학에 영향을 받은 최근의 연구 성과들은 프로이트의 이 가설을 과학적으로 재검토할 가능성을 열어주는데, 이는 나아가 의례 행위 일반의 인지적 적합성 또한 검토할 수 있게 한다. "Obsessive Actions and Religious Practices," written in 1907, is Freud`s first writing on religion. It discusses similarities between the actions of patients suffering from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religious ritualistic behaviors, and introduces the idea that serves as the basis of Freud`s theory of religion. Paying attention to compulsive actions appeared in religious rituals, Freud suggested that one may regard obsessional neurosis as a pathological counterpart of ritualistic behaviors, and then describe neurosis as an individual religiosity and religion as an aspect of universal obsessional neurosi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examine and reevaluate Freud`s theory of religion from the contemporary perspective. As it turns out, the existing ways in which religious studies usually understood Freud did not accurately reflect the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his theory. When point out the fact that Freud had attempted to present his theory as a verifiable scientific hypothesis, we can reconsider his theory of religion as a verifiable hypothesis. In this regards, the current study examined how Freud`s theory of religion was viewed by existing religious studies, how his first hypothesis on religion developed into the theory of religion, and how it is being mentioned and revisited by later generations of ritual theories and psychological studies. Freud`s first hypothesis had been developed into a salient idea within his writings on religion such as Totem and Taboo, The Future of an Illusion, and Moses and Monotheism. In this process, Freud had considered obsessive-compulsive behaviors as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religion, and explained the origin of religion by the method of psychoanalysis. However, Freud`s theory of religion as a whole can be hardly verified about its validity because he did not developed all the hypotheses in the course of scientific methods. On the contrary, when focused on the first hypothesis, it turns out that his theory has contributed to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rituals in later generations of theories. In particular, recent achievements in studies influenced by cognitive science and evolutionary psychology are opening up new opportunities for Freud`s aforementioned hypothesis to be scientifically reexamined. Furthermore, that may also allow us to scrutinize the cognitive relevance of ritualized behaviors in general.

      • KCI등재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제인 맥아담 프로이트의 조형 표현 연구

        김현진(Kim, Hyun-jin),이준호(Lee, Joon-Ho),최주현(Choi, Ju-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의 정신분석학은 언어를 분석하여 무의식이 드러나는 과정을 의미하며, 그는 무의식이란 인간의 행동에서 합리적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 무의식이 행동과 정서를 규정한다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예술작품은 내재된 무의식에 대한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이트의 무의식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제인 맥아담 프로이트(Jane Mcadam Freud, 1958∼)의 작품 분석을 통해 그녀의 유년 시절에 성장 배경이 무의식과 어떻게 작용하여 시각화되어 작품으로 표현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의식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프로이트가 정의한 무의식에 대해 살펴보고,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이 예술 작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셋째, 표본작가로 프로이트의 증손녀인 제인 맥아담을 선정하여 그녀의 작품을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과 연관 지어 재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의식이 의식 세계로 표현되어 예술 작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인간이 예술 작품을 창작하는 이상 무의식은 의식 세계에 영향을 주며, 이는 예술 작품에 반영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이트의 무의식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정신분석과 예술영역에서의 상호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작가들이 작품에 내재된 무의식적인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Psychoanalysis of Sigmund Freud(1856∼1939)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the unconscious is revealed by analyzing language, he defined that unconsciousness does not only happen reasonably in human behavior, but also in mind unconsciousness defines behavior and emotions. Therefore, the work of art can be said to be an expression of the inherent unconsci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reud’s concept of unconsciousness and to find out how her growth background in childhood worked unconsciousness and visualized and expressed in works through the analysis of Jane McAdam(1958∼)’s work.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unconsciousness was examined. Second, the unconsciousness defined by Freud was examined, and the effect of Freud’s unconsciousness theory on works of art was examined. Third, Freud’s great-granddaughter, Jane McAdam, was selected as the sample artist and reinterpreted her work n connection with Freud’s unconsciousness theor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nconsciousness can be expressed as a world of consciousness and influence works of art. As long as humans create works of art it can be confirmed that unconsciousness affects the world of consciousness, which is reflected in works of art. Based on Freud’s theory of unconsciousnes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help artist understand the unconscious nature inherent in the work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ental analysis and art.

      • KCI등재

        E. 후설의 “자아분열”과 S. 프로이트의 “자아분열”의 비교 문제

        배우순(Bai, Woo-soon)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5 No.-

        이 소론이 시도하는 바는 E. 후설과 S. 프로이트가 각기 자가들의 독자적인 입장에서 “자아분열” 이라는 공통개념을 통해서 그들이 연구한 내용들이 무엇이냐를 <한 자리에서> 에서 묻고, 또 비교하는 일이다. 그 핵심적인 내용들은 아래에서 보는 바, 1)과 2)라는 두 항목을 통해서 요약되었다. 그런데 여기 양자의 비교 논의에 즈음하여 전제된 바는, 프로이트와 후설은 각자 독자적인 연구 영역에서 “자아분열" (Ichspaltung) 이라는 같은 개념을 사용했을 뿐 아니라 그 일차적인 그 개념의 정의도 같다는 점이다. 그 내용이란 한 대상을 두고 두 개의 자아, 폭은 그 자아의 입장과 태도가 둘로 나누어진다는 의미이다. 1) 프로이트에서 “자아분열”은 내 스스로가 의식 못하면서 그것이 <나에게> ‘어떤’ 주어진 것으로 발견되는 현상을 말한다 그리고 그 “자아분열”의 내용은, 자아가 무의식적인 상태에서 ‘어떤’ 대상에 대해서 서로 상반된 입장을 가지면서 둘로 나누어지는 것, 혹은 그런 태도를 취하는 자아의 상황을 말한다. 그리고 이런 프로이트 식의 “자아분열”이 발생하는 문제의 현장은 주관적-심리적 의식 차원이다. 이런 프로이트의 “자아분열”은 두 가지 변에서 특징적인데,1. “자아분열”은 세 시기를 거치면서 형태와 그 내용이 조금씩 변화해 간다는 것이다. 2. 그런 형태적 변화 가운데서도 이 “자아분열”의 구조인 두 개의 ‘대립된’ 자아는 언제나 같은 모텔로서 등장한다. 이럴 경우 자연스레 제기되는 물음은, 그 변화해 가는 상황 가운데서도 공통점으로 발견되는 “자아분열”의 의미는 도대체 무엇이냐는 것이다. 이에 대한 프로이트의 대답은, 유기체로서 인간 - 프로이트는 인간을 유기체로 본다. - 의 자아가 하는 역할은,가급적이면 그 주어진 사태에서 심리적인 긴장을 줄이고 또 현실에 보다 더 잘 적응함으로서 그의 생존을 보존하고자 하는 본능을 갖는데, “자아분열”이란 바로 ‘그런’ 전략적 욕망의 표현이라는 것이다. 2) 후설의 “자아분열”은 그 사태의 성립과 그 존재양태 변에서 볼 때, 프로이트의 그것과는 전혀 다르다 왜냐하면 후설의 자아는 프로이트의 그것처럼 어떤 ‘주어진’ 상태의 모습으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그’ 사태 성립 자체가 ‘나’의 자유 의지에 의한, 환원이라는 조작적(operational) 수행에 의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자아분열”의 형태는 전기 선험적 현상학의 경우와 후기 현상학의 경우로 나누어지며, 그 양자의 관계는 ‘연속적’이고 ‘발전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현상학적’ 자아분열의 기본 형태는 하나의 자아가 두 개의 자아 - 자연적 자아와 선험적 자아 - 로 분리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그 성립의 상황의 측면에서 후설 경우의 특정은 프로이트 경우와 달리, 주관적 심리의 세계가 아니라 객관적 경험세계이라는 점이 특기된다. 후설의 “자아분열”이 갖는 의미도 프로이트의 그것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현상학적 “자아분열”은 현상학적 환원을 통한 ‘선험적’인식해병이라는 목적을 위한 의도적 ‘행위’의 결과라는 점이다 이를 테면 이 환원 - 현상학적 “자아분열”의 원인이 되는 - 이 갖는 구체적 의미는 자연적 혹은 일상적 의식 속에 잠재해 있음에도 “의식되지 않은 것” 무의식적인 것을 의식의 차원으로 끌어올려서 그것을 인식론적으로 해명 하자는 것이다. 후설에 있어서 “자아분열”이란 바로 이런 환원이라는 조치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미완의 혁명 : 프로이트로의 복귀를 위하여

        김서영(Suh-young Kim) 한국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09 현대정신분석 Vol.11 No.2

        본 논문은 자끄 라깡이 주장한 프로이트로의 복귀를 두 가지 층위에서 다시 살펴본다. 우선 과학사 속에서 중심의 전복에 대한 계보학적 논의를 전개하고, 이후 이를 프로이트 전집을 통해 프로이트 자신의 작업 속에서 살펴본다. 즉 중심을 대체하고 완벽한 원을 무너뜨리는 천문학의 역사와 자아라는 중심을 전복시키는 정신분석학의 업적을 비교하고, 이러한 과정이 어떻게 프로이트의 저작에 나타나는가를 살펴본다. 그러나 문제는 라깡이 재구축한 정신분석과 자아심리학이 주장하는 바 모두를 프로이트의 저작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인데,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글에서 이 두 가지 견해가 나타나는 지점과 이들이 분리되는 지점을 지적해낸다. 라깡이 자아심리학자들의 오역이라고 지적하며 프로이트로의 복귀를 주장했던 문장 자체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을 통해 논문은 프로이트 자신이 자아심리학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적극적으로 도모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지적해 낼 것이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우리가 진정 돌아가야 하는 프로이트의 지점들을 더욱 세부적으로 지적하고, 이를 통시적인 측면에서 계복학적으로 보강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Jacques Lacan's call for a "Return to Freud" from a more genealogical point of view. It looks at the historical moments, those of astronomy, at which the concept of the centre has been subverted. This is compared with the psychoanalytical attempt to subvert the thesis of the ego psychologists. It, however, asserts that the latter can be found in Freud's own work, and thus it is not the farfetched assertion that has nothing to do with Freud's thoughts. On the contrary, Freud himself has spent much timer structuring the concept of the ego. The paper pinpoints the work of Freud where we can find such traces, and moves on to point out that these aspect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in order to separate them from the part where Lacan returns to.

      • KCI등재

        아도르노의 프로이트 수용과 비판

        이하준(Lee, Ha-Jun)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8 No.4

        아도르노의 프로이트 수용은 ‘객관적 비합리성의 주관적 조건들에 대한 탐구’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아도르노는 사회인식에서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적용에 대한 한계설정을 분명히 하면서 그의 전 저작에서 ‘함께’와 ‘대결’을 넘나들었다. ‘함께’의 영역은 반유대주의 비판, 『미니마 모랄리아』의 내면성 묘사들, 말러나 스트라빈스키 등을 다룬 음악저작들, 문학관련 저작들, 재즈 관련 단편, 수정주의자에 관한 비판 및 수많은 짧은 단편들과 주제들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의 ‘대결’은 단순히 「사회학과 정신분석학의 관계」나 「포스트스크립툼」뿐만이 아니라 사회이론과 부정의 논리를 강조하는 그의 논의 전반에 전제된 사회 · 경제 우위론에서 확인된다. 이 밖에 아도르노는 포르이트의 현실원칙의 강조가 사회적 적응과 주체의 약화라는 결과를 야기했으며 그의 초자아 비판이 초자아를 만드는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아울러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에 전제된 정상성과 건강성 개념을 비판하면서도 상업화된 심리치료와 프로이트를 분리시킴으로써 프로이트를 구제하고자 한다. 아도르노의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수용과 비판은 ‘수용목적의 제한성’이라는 측면에서 일관되게 양가적이라 평가 할 수 있다. Adorno’s reception of Freud has been carried out to research on subjective conditions of objective irrationality. Adorno makes clear the limit of application for psychoanalysis, and corsses in all works between ‘with’ and ‘confrontation’, The area of ‘with’ is found in the criticism of anti-Semitism, in inner description of “Minima Moralia”, in musical works about Maler and Stravinsky, in works of literature, in jazz-fragments, in the criticism of revisionism, and in numerous fragments and themes. ‘Confrontation’ of Freud’s psychoanalysis is found no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logy and psychoanalysis” and “postsktiptum.” but also in the promised priority of socio-economic which focuses on the social theory and the logic of negation. Adorno also points out that Freud’s emphasis of the reality principle results in social adjustment and weakening of subjectivity. He also argues that Freud’s criticism of super ego is not connected with social criticism. Additionally, While Adorno criticizes Freud’s psychoanalysis hypothesized concept of normality and mental health, he tries to relieve him by separating him from commercialized psychotherapy. Adorno’s reception and criticism of Freud can consistently be ambivalent in the viewpoint of limited reception.

      • KCI등재

        프로이트 이론의 번역어에 대한 고찰: Verdrangung(억압)을 중심으로

        이정민 ( Jungmin Lee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69

        이 논문은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용어가 어떻게 한국어로 번역되어 왔는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일반적으로 ``억압(抑壓)``이라 번역되는 ``Verdrangung``에 초점을 맞추어 용어번역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그 역사적인 경위를 추적하려 하였다. 프로이트의 이론은 일본을 거쳐 당시의 식민지 조선에 수입되었다. 일본 학자에 의한 프로이트 이론과 용어의 일본어화(또는 한자화)는 식민지 조선의 문학연구자와 의학자, 일반 대중 등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이는 식민지 조선 및 오늘날 한국에서의 프로이트 이론의 이해의 기반이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후에 한국이 독립하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번역자에 의해 프로이트의 저작이 번역되었고 번역어 또한 다양한 형태로 번역되었으나, 흥미롭게도 ``억압``은 계속하여 동일하게 번역되어 왔다. 그러나 이 번역어를 만들어낸 일본에서도 지적 받은 것이지만, ``Verdrangung``의 번역어로 ``억압``을 사용하는 것은 여러 의미에서 타당하지 않다. 예를 들면, 위상학적으로 ``억압하는 것``과 ``억압되는 것``이 같은 공간에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억압``과는 달리, ``Verdrangung``은 양쪽이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유사한 의미의 타 용어 또한 ``억압``으로 번역되면서 내용의 이해를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억압``이라는 번역어는 한국어든 일본어든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이는 단지 번역어 선택의 문제뿐만 아니라, 프로이트의 이론이 식민지 조선에 들어온 후 현재까지의 90년 가까운 시간동안 비판적으로 고찰된 바 없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같은 번역어를 사용하는 동아시아 정신분석학의 공통의 문제라 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를 재고찰하기 위해 지금까지의 프로이트의 번역어를 조사하였고, 이후의 프로이트 번역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자료를 정리함과 함께, ``억압``의 대안적 번역어를 제시하려 하였다. 이 논문이 프로이트의 번역에 관한 논의에 도움이 되길 희망하는 바이다. This paper started with a scholarly interest in reviewing and analyzing how critical terms in Freudian theory were into Korean. For this purpose, the paper has focused on the appropriacy and validity of Korean translation of a German term, ‘Verdrangung’, which has been generally translated into ‘repression’ in Korean, and analyzed the historical course of the reception of the term in Korean translation. As Freudian theory was first introduced through Japan, the Japanese translation or ‘Japanization’ of the Freudian theory as well as of those critical term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literary scholars and medical scientists, not to mention the general ma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ism, and thus consequently served as the scholarly foundation and professional understanding for its reception in postcolonial Korea. Interestingly enough, ‘Verdrangung’ has been consistently translated into ‘repression’ in Korean for nearly a century. However, as it has become controversial even in Japan where the Japanese translation of the term was initiated, it is not proper to understand ‘Verdrangung’ as ‘repression’ in Korean on several grounds. For instance, while the term ‘repression’ is to be understood on the premise that both the act of ‘repressing’ and the condition of ‘being repressed’ exist on the same dimension, in the case of ‘Verdrangung’ these two opposing concepts exist on a critically different space each. Also, other similar words are often roughly and generally translated into ‘repression’ in Korean, making not only the term ‘repression’ rather too wide and inclusive, but also the texts in which the terms are used more confusing and distractive. Thus, ‘repression’ whether in Korean or in Japanese, does not seem to be an appropriate translation of the German word ‘Verdrangung’. What seems to be more important is that it is not a matter of the translation of a single word. As the whole world of Freudian theory is critically constructed with these profound terms, the theory could be in danger of being misunderstood in the area of psychoanalysis in Korea. This paper would like to problematize the critical error in the reception of the term ‘Verdrangung’ in Korean translation and to document its materials as well as provide some of alternative trans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