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준화 교육 실태 및 표준화 교육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노용휘,정원호,최동현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3 No.1

        글로벌 경쟁시대로 접어들면서 산업 분야를 막론하고 표준화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세계화가 진척됨에 따라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국가 간 무역에서도 표준화를 통한 호환성 확보는 수출 경쟁력을 결정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러한 표준 및 표준화에 대한 교육 실태와 표준화 교육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정보통신 및 전기전자 기업을 샘플로 하여 표준화 교육의 실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의 표준 및 표준화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업 의 특성, 업종, 업력, 그리고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의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업 의 특성과 표준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에 따라서 표준 및 표준화 교육의 수준이 양적 으로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표준 및 표준화 교육의 실시 수준이 기 업의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화 교육의 횟수 및 교육인원은 기업의 R&D 수행과 생산 및 품질 개선으로 대표되는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경쟁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표준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함의를 가진다. As global competition has become keener, importance of standardization has increased due to international trade between firms and countries. Since standardization provide compatibility for parts or products, maintaining a good level of standardization is one of key success factors. This paper studies impact of standardization status and educational effort of standardization on performance of the firm. Also, characteristics of the firm, industry, history, acknowledge of need for education of standardization of the firm are considered as antecedents of standardization status and educational effort on standardiz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information and technology and electronics industries. This paper found that characteristics of the firm and acknowledge of need for education on standardization have positive impact on the number of education on standardization.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 that the number of education classes and of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class positively affect R&D performance and pro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of standardization education and competitiveness of the firm in global market

      • KCI등재

        표준․표준화 교육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이명한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a preliminary data for standard and standardization education research by finding out the recognition and needs by the technology teachers about the contents element of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area in 2015 revised curriculu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echnology teachers teaching technology subject at middle school across the country, and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bout the standard and standardization teaching experiences of technology teachers and a lack of experience in activities such as relevant training and education research meetings. Second, understanding of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achievement standard is common, but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contents element is considered to be relevant element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Third, technology teachers said tha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contests element is considered suitable for the middle school level, and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s judged to be more suitable than the middle school. Fourth, technology teachers did not agreed on expanding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the content of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or forming an independent unit. Fifth, the method of standardization, industri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tandards were high as the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이 연구는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내용요소 중 하나인 ‘기술의 이용과 표준’에 대한 기술교사들의 인식과 요구에 대해 조사․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다양하게 진행될 표준․표준화 교육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전국의 중학교에서 기술 교과를 가르치고 있는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사들의 표준․표준화 수업 경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관련 연수 및 교육 연구회 등의 활동 경험이 매우 부족하다. 둘째, ‘기술의 이용과 표준’의 성취 기준에 대한 이해 정도는 보통이나 ‘기술의 이용과 표준’ 내용 요소를 기술 교과에 타당한 요소로 판단하고 있다. 셋째, ‘기술의 이용과 표준’ 내용 요소의 성취 기준이 중학교 수준에 적합하다고 하였고, 고등학교 1학년까지 확대하면 고등학교 1학년이 중학교보다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넷째, ‘기술의 이용과 표준’ 내용에 대한 성취 기준의 확대나 독립 단원으로 구성되는 것에 대해 동의하지 않고 있다. 다섯째, ‘기술의 이용과 표준’의 성취기준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표준화의 구체적인 방법과 산업 표준, 인증 표준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 KCI등재

        중등 기술교과 교육에서 표준화 관련 단원 내용 구성 방안

        이상봉,정진우,이상갑 한국기술교육학회 200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의 기술․가정 과목의 기술의 세계 영역 ‘제조기술’ 단원과 고등학교의 공학기술 과목의 ‘공학 기술의 기초’ 영역 ‘공학적 소양’ 단원의 학습 내용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학습 내용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표준화의 개념, 표준화의 목적, 중등 기술교육에서의 기술 표준화 교육의 중요성을 알아보았고, 표준화 관련 단원의 주요 내용을 살펴 내용 체계 구성 방안을 내용 선정과 조직, 내용 구성 방안으로 구분하여 예시를 들어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교 ‘제품의 구상과 설계’ 단원은 하위 단원으로 ‘설계의 개요’와 ‘제품의 설계’로 구성하고 ‘설계의 개요’에는 ‘설계의 뜻’, ‘설계의 과정’을, ‘제품의 설계’는 ‘문제의 이해’, ‘연구와 개발’, ‘실현’, ‘평가’의 문제해결 과정으로 구성한다. 고등학교 ‘공학적 소양’ 단원은 하위 단원으로 ‘표준화의 개념’, ‘표준화의 활용’으로 구성하고 ‘표준화의 개념’에는 ‘표준화의 정의’, ‘표준화의 중요성’을, ‘표준화의 활용’에는 ‘연구와 개발 단계에서의 표준화’, ‘설계 단계에서의 표준화’, ‘생산 단계에서의 표준화’로 구성한다. 또한 ‘읽을거리’, ‘보충/심화학습’, ‘체험활동’을 포함하여 학습자의 표준화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thod of structure to content of standardization related unit at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In order to suggest the structure for the contents of learning, the concept of standardization, goals of standardization and the importance of standardization at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were considered.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details of units related to standardization and divided into three parts which are a selection, a structure and an arrangement of the contents with list of examples. The unit 'Ideation and Design of Products' in middle school textbooks is divided into 'Design brief' and 'Design of products'. In particular, 'Design brief' includes 'the definition and the process of Design. 'Design of products' is composed of 'understanding problem', 'research and development', 'realization', and 'evaluation' The unit 'Engineering Literacy' in high school textbooks is divided into 'Notions of Standardization' and 'Application of Standardization'. In detail, 'Notions of Standardization' includes 'the definition and the importance of standardization. 'Application of Standardization' classifies into three stages-research & develop, design, and production stage. This study also added 'further reading', 'supplementary/advanced learning' and 'hand on activity' to help learners' better understanding.

      • KCI등재

        대량 맞춤옷장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 모듈 및 구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한샘(HANSSEM) 맞춤옷장을 중심으로

        곽란(Guo, Lan),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1

        대량 맞춤(Mass Customization, 약칭 MC )가구는 표준화 유닛 캐비닛 + 비표준화 맞춤 캐비닛 으로 조합된 디자인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맞춤화한 상품과 서비스, 대량 생산방식, 공간과 완전 통일된 접합 형태는 신속히 정보시대 주된 가구제작 방식으로 되었다. 이를 기초로, 본 논문은 대량 맞춤옷장 중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모듈화 디자인방법을 이용하여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 모듈과 디자인의 조합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맞춤옷장 표준화 원칙의 계열화, 통용화와 조합화 원칙에 근거하여 모듈화 디자인방법과 결합하여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표준화, 기능 및 구조 간의 관계 구조도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가구브랜드인 한샘 의 맞춤옷장을 사례로 하여 기능과 연결구조의 측면에서 현존하는 두 개의 표준화 계열에 대해 모듈 분석하였으며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과 구조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대량 맞춤옷장은 기능 모듈의 배치를 통해 디자인과 결합하여 상품의 내부적 다양화를 줄이고 외부적 다양화를 증가하는 표준화된 디자인 목적에 도달하는 동시에 맞춤옷장의 표준화 유닛 캐비닛 디자인에서 기능 모듈과 구조 디자인에 적응성 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량 맞춤가구의 실천과 맞춤옷장 기능 모듈화의 개발에 일정한 참고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Mass Customization (MC) wardrobe is the design which through the combination of standardized unit cabinet + non-standardized customized cabinet . It has rapidly developed as the manufacturing mainstream mode in the information age furniture for its customized products and services, mass production mode, complete and unified space joint form. This paper studies the design and combination of functional modules in the standardized unit cabinet with the modular design method, centering on the design of standardized unit cabinet in the mass customization close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rialization, generalization and combination of the standardization principle of customized wardrobe, the structural diagram of the function, structure and standardization of the cabinet of standardized unit is established by combining the modular design method. Finally, taking the customized wardrobe of Korean furniture brand Hanssem company as an example, this paper divided the modules of its two existing standardized series from the dimension of function and connection structure, and studied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design of standardized unit cabinet. Conclusion: Hanssem can make use of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design of functional modules to achieve the standardized design purpose of reducing the internal diversification of products and increasing the external diversification of products. In addition, there is an adaptiv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modules and structural design in the standardized unit cabinet body design of customized wardrobe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can have certain reference value to the practice of mass customization furniture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wardrobe function module.

      • 정보통신표준화를 둘러싼 법·정책적 쟁점

        강부미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05 Law & technology Vol.1 No.3

        세계는 지금 경제 전쟁이 진행 중이다. 그 한가 운데에 정보통신산업이 있다. 한편, 정보통신산업 은 그 기기 및 서비스간 호환성 및 상호운용성 (Interoperability)을 생명으로 한다. 여기에 정보통 신 표준화의 중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정보통신표준(Standard)이라 함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정보시스템이 다 양한 형태의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이용 하는 데 있어 필요한 통신 주체간에 합의된 규약 (protocol)과 이러한 규약의 집합을 의미하며, 이러 한 표준을 만드는 과정을 표준화(Standardization) 라고 한다. 한편, 1995년 WTO 체제가 출범하면서, 미국 등 선진국은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하여 공식표 준화 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FTA 체결 등 다양한 통상협상을 통하여 각국의 표준화 활동에 간섭하 고 있다. 이처럼 표준화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표 준을 장악한 자는 모든 것을 얻는다(Winner takes all)고 한다. 바야흐로 현재는 전세계적으로 표준화 전쟁(Standards War)이 한창이다. 본 논문은 국내 정보통신 표준화 체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현재 정보통신 표준화를 둘러싼 국내외 법적·제도적 쟁점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국가 재난관리체계와 표준화의 필요성

        류지협(Ji Hyeob Ryu),김우혁(Woo Hyeok Kim),황의진(Eui Jin Hwang) 한국방재안전학회 2008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 No.1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tate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rend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s in advanced nations. ISO has developed inter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in ISO/TC 223 Societal Security Technical Committee, and the advanced nations such as U.S.A., U.K. and Japan are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s to reflect thei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i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Each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n Korea separately carries on th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ization and activities because national standards for the disaster management is not established yet. The nation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disaster management system have to be executed in Korea to raise efficiency in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and to cop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disaster management.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체계를 고찰하고 국제 재난관리표준화 동향, 선진국의 재난관리표준화 활동 및 국내 재난관리표준화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ISO/TC 223 Societal Security을 통하여 국제 재난관리규격을 개발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및 일본과 같은 선진국들은 자국의 재난관리표준을 국제 표준화 하기위해 경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 재난관리표준이 제정되지 않아 재난관리 책임 기관별로 별도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이에 따른 재난관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재난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제적인 재난관리표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재난관리표준의 제정과 재난관리시스템의 표준화가 구축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표준화를 통한 기술통제의 법적 구조에 관한 연구

        정진근(Jung Jin-Geu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06 江原法學 Vol.22 No.-

        If a patent owner wants his patent technology to be used widely in the technology market, he shall try his patent technology to be decided as a standard. For example, we Korea has succeeded our technologies related to CDMA, DMB and WIBRO to be chosen as standards by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s such as ITU-T and ISO, and these facts make us to be leaders in the several markets of important IT markets. On the other side, we should make some technology control system for users to use the patent technologies chosen as standards and make the development of industry. For these reasons, we should study on the legal systems of standards. We should group standards into two classes, 'de jure standard' and 'de facto standard'. For the control of 'de jure standard', standard organizations establish standards with contracts between patent owners and standard organizations. But we can't control 'de facto standard' with only contracts. Therefore, we have applied anti-trust(competition) rules on the matters of 'de facto standard' but we can find several harmful side effects. Accordingly, I want to propose to use compulsory license statutes on Patent Law to make control standards including 'de jure standard' and 'de facto standard'. Also, we should set up the object and level of standard policy and these will help to make technology control strategies using contract law and patent act.

      • KCI등재

        파렛트 표준화의 효과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김현승,도화용,박동주,최창호 대한교통학회 2009 대한교통학회지 Vol.27 No.1

        It is expected that logistics standardization have an great effect on industry and national economy due to cost saving and improving efficiency. Therefore all countries of the world make a strenuous effort to take a lead of logistics standardization. Despite such efforts of every country, our country remained a lukewarm attitude about logistics standardization. Especially, our country remained a lukewarm attitude about logistics standardization effect quantify. We have to suggest the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and the effect for carrying out logistics standard. So, this study performe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for development of effect valuation method. Also, this study developed effect valuation standard for quantifiable standardization effect and drew the effect valuation standard model. First, the measure of preliminary effectiveness was chosen for MOE selection. As a results, vehicle load ratio, delivery cost, keeping space efficiency, warehouse automation ratio, etc. were selected. Then, vehicle/truck load ratio, warehouse keeping efficiency, up․unloading hour, packaging cost, consistency transportation ratio were chosen for MOE of pallet standardization. 물류표준화는 표준화에 따른 비용절감 및 효율성 제고 등으로 인해 산업 부문뿐만 아니라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물류부문의 글로벌 표준화를 선도하기 위하여 국가별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물류 분야의 표준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물류표준화의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물류표준화의 근간이 되는 파렛트 표준화의 효과평가 및 평가척도 개발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물류표준화가 시행되기 위해서는 우선 표준화의 필요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명확히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물류표준화의 효과 측정 및 효과 평가방법을 명확히 하여 물류표준화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관수송 중심의 물류표준화의 근간이 되는 일관수송용 파렛트 표준화의 효과평가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표준화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효과평가척도(MOE)를 선정하였다. 효과평가척도 선정을 위해 우선 예비효과평가척도를 선정하였는데, 그 결과 차량적재율, 수․배송 비용, 창고보관효율, 창고 자동화율, 상․하역 소요인력 등 12개의 척도가 선정되었다. 이와 같이 선정된 예비효과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전문가 평가와 업체 대상 응답가능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효과평가척도를 선정한 결과, 차량/트럭 적재율, 창고보관 효율, 상․하역 시간, 포장비용 비중, 일관수송 비율이 파렛트 표준화에 따른 효과평가를 위한 척도로 선정되었다.

      • KCI등재

        컨벤션 표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

        이혜련,윤유식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andardization in the Korean convention industry by adopting qualitative research. Specifically, this research was to conceptualize industry experts' perception of convention standardization with a grounded theory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by the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7 professionals in convention industry. Results of open and axial coding showed that standardization needs such as areas and contents of standards was core phenomenon. In addition, data analysis suggested gaps between awareness and adoption of standards were causal conditions, while trends of standardization were contextual conditions. Results also showed that urgencies of standardization were intervening conditions, while integral and systematic standardization were counted as strategies. And outcome of standardization turned out to b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convention standard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컨벤션 표준화에 관하여 탐색하는 것으로 관련 기초 이론이 아직 정립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자연주의적 연구 패러다임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였으며,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자료 정리 단계에는 인터뷰에 의한 자료수집과 분석, 개방코딩을 통해 컨벤션 표준화의 개념을 범주화하였다. 다음 근거자료 제시 단계에는 축코딩의 결과로 컨벤션 표준화에 관한 논의가 중심 현상인 ‘표준화 부문’, ‘부문별 표준화 필요성과 내용’ 등의 ‘ 컨벤션 표준화의 수요’를 중심축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과적 조건은 ‘표준 인지’, ‘표준 활용’, ‘표준 만족’ 등의 ‘컨벤션 표준 인지와 활용의 차이’이며, 맥락적 조건은 ‘국내 표준화 동향’과 ‘국외 표준화 동향’ 등 ‘컨벤션 표준화 동향’으로 구분되었다. 중재적 조건은 ‘전반적 표준화 시급성’과 ‘부문별 표준화 시급성’ 등의 ‘컨벤션 표준화의 시급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략은 ‘표준화 주체’, ‘표준화 로드맵’, ‘표준화 추진 방향’ 등의 ‘통합적 · 체계적 표준화 추진’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직접적 성과’와 ‘간접적 성과’ 등의 ‘컨벤션 표준화의 성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 결론 도출 단계에는 선택코딩의 결과로 컨벤션 표준화의 핵심범주는 ‘컨벤션산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표준 개발과 이행을 위한 이해관계자 공동참여의 체계적 활동’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