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준 연구 연대기: 표준 및 표준화 인식 제고

        박하경,김충환 표준인증안전학회 2023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표준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중에서 표준 및 표준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제고하는 목적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기술표준 경쟁력 강화의 한 방법으로써 표준 및 표준화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관련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역할을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동향 분석과 관련된 유사 논문을 참조하여, 연구 특성으로 연구 대상, 연구 목적, 연구 방법, 게재 학술지를, 연구자 특성으로 연구자 구성, 소속, 학문 분야를 분석 준거로 하는 분석 틀을 개발하였고, 1999년부터 2022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59편의 표준 및 표준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 제고 목적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해당 연구가 시기별로 어떤 경향을 보이는지 살펴본 결과, 2012년 이후 관련 논문 수가 증가하다가 2017-2018년을 기점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국가표준․인증제도 선진화 방안이 수립되고 한국이 ISO 이사국으로 선출된 시기와 맞물려 관련 연구가 증가하였으나 이후 이러한 대외적 요소나 정책적 효과가 줄어들어 연구자들의 표준화 인식 및 보급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연구 특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중에서는 조사 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질적 연구 중에서는 사례 연구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개발 연구와 실험 연구의 비중은 낮았으며, 주로 학생 교육이나 동향 파악 등의 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연구자 특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2015년을 기준으로 2인 및 3인 이상 공동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고 연구자 소속도 대학이 크게 증가한 것을 통해 대학이나 산업체와의 공동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표준 및 표준화 인식 제고 관련 연구는 2015-2018년 기간에는 정부 지원 사업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현재는 저조한 것으로 보아 연구자들이 표준 및 표준화 인식 제고에 대한 동기를 얻는 데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되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대학교, 산업체, 행정기관 간의 연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다양한 지원 체계가 갖추어지는 것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결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표준화 연구자 및 종사자들의 표준 및 표준화 인식 제고 관련 활동 적극 참여, 일반인과 산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홍보 및 교육 확대, 산학관의 역할 명확화 및 유기적인 협력 관계 구축, 국외 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통한 벤치마킹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various studies related to standards, with the objective of enhancing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Additionally,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roles that researchers play in raising awareness of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al technical standards. To analyze these trends, we developed a framework based on research characteristics such as research object, research purpose, research method, and publication journal, as well as researcher characteristics including researcher composition, affiliation, and academic field. The analysis focused on 59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between 1999 and 2022 that aimed to rais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The temporal trend analysis revealed an increase in studies related to standardization awareness raising after 2012, followed by a decrease in 2017-2018. This increase can be at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 Advancement Plan and Korea's election to the ISO Board of Directors. However, the subsequent decline in research activity can be attributed to the diminishing influence of these external factors and policy effects, resulting in decreased interest among researchers in standardization awareness and disseminat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rvey research exhibited a higher proportion among quantitative studies, while case studies were more prevalent among qualitative studies. The proportion of developmental and experimental research was relatively low, and research primarily focused on educational purposes or identifying trends. In terms of researcher characteristics, collaborative research involving universities and companies became more common, as evidenced by a significant increase in two-and three-person collaborations since 2015. Additionally, the number of researcher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experienced a notable rise. Overall, research on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awareness raising was active during the period of 2015-2018, predominantly driven by support projects. However,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in this area is relatively low, indicating that government policy support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motivating researchers to raise awareness of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To invigorate future research, it is crucial to establish active connections between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and companies, and implement diverse support syste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explore methods to promote and educate the general public and industrial companies, support their participation in related research and standardization activities to enhance their capabilities, and facilitate discussions on utilization through literature and content analysis, development, and case studies.

      • KCI등재

        삼국시대 표준연대유물의 정합성 검토

        김일규 ( Ilkyu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5 백제문화 Vol.1 No.52

        삼국시대 고고학 연대는 중국자료와 교차편년을 통해 설정된 것임에도 그 편차가 심하다. 본고에서는 中國 六朝瓷器를 편년하여 기준연대자료를 제시하고, 前燕 및 삼국시대 유적출토 육조자기와 비교를 행하였다. 馬具를 동반한 前燕墓 출토 육조자기는 東晋의 육조자기 연대와 일치하였다. 고구려 출토 육조자기는 제작지의 연대와 시간차이가 크지 않은 것에 반해 백제와 신라 출토 육조자기는 시간적 격차가 극심하다. 백제 출토 육조자기는 4세기 중엽이후 東晋·南朝 遣使 때 수입된 위세적 성격의 유물이다. 따라서 부장목적으로 제작된 일반 부장품과는 달리 제작-입수-사용-부장까지의 시간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교차편년 자료로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가야 고분출토 晋式帶金具와 漢鏡같은 위세품도 중국내의 제작연대와 시간격차가 크다. 따라서 백제, 신라, 가야에서 출토된 중국제의 육조자기와 진식대금구, 漢鏡과 같은 위세적성격의 외래유물은 제작원향의 시간속성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므로 표준연대유물로는 부적당하다. 이에 반해 가야 고분출토 騎乘用 馬具는 三燕馬具 연대와 일치하였다. 그러므로 중국과의 교차편년을 통한 삼국시대 연대설정의 최적의 자료는 기승용 마구임을 알 수 있다. 고구려 적석총 출토 干支紀年 와당은 낙랑토성 출토 와당과 비교하여 형식편년하고 동반된 육조자기와 마구로서 그 연대를 검토한 결과 기존의 설보다 一週甲 하향되는 연대가 산정되었다. The archaeological eras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have many variations even though they were established through Chinese data and cross dating. This manuscript presented standard era data by recording the porcelains of the Six Dynasties in China chronologically,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excavated in the eras of the Former Yeon and the Three States. The eras of those excavated at the graves in the Former Yeon along with horse trappings corresponded with the eras of those in the Dongjin Dynasty in China. The porcelains of the Six Dynasties which were excavated in the Goguryeo Dynasty in Korea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from the eras of the place of production, while those excavated in the Baekje and Shilla Dynasties in Korea showed a very intensive chronological gap. Those excavated in the Baekje Dynasty were the relics showing the nature of power which were introduced in the eras of Dongjin and Southern Dynasties in China after the middle of the fourth century. Therefore, they are not unsuitable enough to be used as cross dating data because they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time taken in the courses of production - acquisition - use - grave goods position, unlike the general grave goods produced for the purpose of burial. The prestige goods such as Jin Style belt pendants and Han style mirrors in China excavated at the graves in the Gaya Dynasty in Korea show a big chronological gap, compared with the production eras of those in China. therefore, the Chinese porcelains of the Six Dynasties excavated in the Baekje, Shilla and Gaya Dynasties and foreign relics with the nature of power such as the Jin Style belt pendants and Han style mirrors in China are unsuitable as the standard era relics because they have many problems in applying their archaeological relic of standard chronology of the production place as they are. On the other hand, the eras of the horse trappings for its original purpose excavated in the Gaya graves corresponded with the eras of the horseback trappings in the Samyeon Dynasty. Therefore, we can find that the best materials for establishing the eras in the Three States through cross chronologies together with China are horse trappings for its original purpose. A review of the consistency of standard chronologe relics in the sexagenary cycle ginyeon roofend tiles excavated in the Stone Mound Tomb in the Goguryeo Dynasty and were the porcelains of the Six Dynasties and horse trappings which were recorded chronologically, and their eras were calculated one sexagenary cycle less than those described in the existing theory, compared of those excavated in the Langnang earthen fortress.

      • KCI등재

        금관가야 토기의 표준형식과 연대

        박광춘 호남고고학회 2011 호남고고학보 Vol.37 No.-

        낙동강 하구에 위치하는 금관가야는 해상활동의 유리한 지리적인 이점을 살려 일찍부터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독창적 문화를 창출하여 주변의 가야제국 뿐 아니라 日本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것을 증명하듯 대성동고분군, 구지로고분군, 양동리고분군, 죽곡리고분군, 화정유적을 통하여 금관가야 문화의 면모와 고분의 절대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들이 출토 되었다. 지금까지 금관가야 고분의 연대 비정은 기준이 되는 토기의 표준형식이 설정되지 않아 학자에 따라 100년 이상 연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우선 각 연구자들의 고배 형식을 참고로 표준화 작업을 거쳐 통시적 표준형식을 작성하였다. 무개고배 8형식, 유개고배 5형식이 분류되는 금관가야 고배 13형식은 동반하는 중형호, 기대에 의해 시간순으로 조열된 것을 검증하였다. 고배의 최고식인 1형식은 금관가야 최고 지배자층의 고분인 대성동고분군에 속하는 구지로 28호분 출토 화로형무개고배이다. 구지로고분군은 원삼국시대 목관묘와 가야의 목곽묘가 혼재하고 있어 원삼국에서 가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주는 표본적 고분군이다. 화로형무개고배는 동반하는 화로형기대, 亞字形土器, 후한시대 內行花文鏡에 의해 2세기로 추정할 수 있다. 양동리 90호분 출토 弥生時代 中廣形銅矛와 동반하는 대성동 47호분을 대표로 하는 고식 외절구연무개고배는 3세기 후엽으로 비정된다. 日本 宇治市街遺蹟 출토 무개고배와 기대는 같이 출토된 목재의 나이테연대측정법에 의해 389년이라는 연대 측정치를 얻었으므로 가장 유사한 토기가 출토된 화정 21호분과 같은 시간대인 무개고배 7형식은 늦어도 389년 이전으로 추정해도 무리가 없다. 유개고배의 형식 변천에서 금관가야는 신라와 다른 독자적 형식 변화를 보이고 있으므로 금관가야 토기문화가 신라토기 문화의 영향 아래 있었다는 가설은 성립될 수 없다. 5세기 낙동강 동서안 토기문화의 교류는 부정할 수 없지만 이것을 근거로 금관가야 정치체가 해체되었다는 극단적 해석은 경계해야 될 것이다.

      • KCI등재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에 대한 환자의 건강권 측면에서의 검토

        홍관표 한국의료법학회 2015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3 No.2

        의료계약 중 환자가 병원 내에서 체류하면서 치료를 하기로 환자와 병원 사이에 체결하는 계약을 입원계약이라고 한다. 입원계약은 통상 병원에서 일방적으로 미리 마련한 입원약정서에 의하여 체결된다. 그런데 이 입원약정서 양식에는 대체로 입원계약과 함께 입원기간 중 발생한 환자의 진료비 지급 채무에 대한 연대보증계약이 포함되어 있다. 이 글은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계약이 선택사항임을 명시한 공정거래위원회의 2014년 10월 ‘입원약정서 표준약관’ 개정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하지 않은 입원약정서가 개별 병원에서 사용되는 사례가 여전히 확인되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개정된 표준약관에 따르지 않은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은 사실상 해당 병원의 입원계약 전반에 걸쳐 연대보증을 일괄적으로 요건화 내지 의무화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입원약정서는 그 자체로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제6조의 불공정약관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되며, 연대보증이 없음을 이유로 입원계약 체결 거부까지 나아간 경우에는 「의료법」 제15조 제1항의 진료거부금지 위반 여부도 문제된다. 「대한민국헌법」 제36조 제3항과 우리나라가 가입한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2조를 중심으로 건강권의 의미를 조망하고, 입원약정 시에 연대보증을 요구함에 따라 제약되는 환자의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의 의무를 살펴본 후, 필요한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금관가야 토기의 표준형식과 연대

        박광춘 ( Kwang Choon Park ) 호남고고학회 2011 호남고고학보 Vol.37 No.-

        Geumgwan Gaya had been developed based on the lower part of Nakdong River where was very useful for the marine activities. Developed unique culture, Geumgwan Gaya had not only been influenced Ja pan but also other Gayan confederacies. There are new artefacts found from Daeseong Gujiro, Yandongri, Jukgokri, and Hwajeong sites where were all the remains of Geumgwan Gaya. What interests the most here is that those artefacts were all useful to identify the absolute date. So far, the certain pottery date was not standardized for Geumgwan Gaya, so there are more than 100years gaps for dating the Geumgwan Gaya histor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general standard types are set here based on the mounted cup types by other scholars. 13 types(8 mounted cups without lids and 5 mounted cups with lids) of mounted cups of Geumgwan Gaya have been examined by timely order, using medium size pottery and mounted body. The oldest mounted cup is brazier-shape cup with no lid and this is the first type of all. It is found from 28th tomb, which is located in Daeseongdong Sites, so called the loyal tomb area. Gujiro is the very standard tomb site which shows transferring case between Gay a and Proto Three Kingdoms. Brazier-shape cup is found with brazier-shape mounted cup, Aja shape pottery and Bronze mirror of Late Han period. Therefore this bomb belongs the 2nd century AD. Yangdong-ri tomb contained Yayoi bronze spear and Daeseongdong site tomb contained old types of mounted cup. They seemed to belong to late 3rd century. Uchisiga (Japan) had been decided to 389 years AD because of the pottery found there. This results then the certain date of Hwajeong 21st tomb belong to the same period of 389 years AD. In case of type changes of pottery with lids, Geumgwan Gaya is definitely different from Silla, so it is certain that Geumgwan Gaya seemed not to be controlled by Silla by all mean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re were pottery exchanges in 5th century at the east-west area of Nakdong River, but we should bear this in mind that Geumgwan Gaya had not been dismantled at all during this period of 5th century.

      • KCI등재

        한·중 마구 비교를 통한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

        김일규(Kim, Il Kyu) 부산고고학회 2021 고고광장 Vol.- No.29

        삼국시대 동아시아 마구는 전체적인 변화 발전의 틀에서 많은 공통속성이 확인되어 표준연대자료의 확보에유효하다. 양진-16국시대의 마구를 검토하여 편년의 기준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삼국시대 마구와 비교하여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을 시도하였다. 동오·서진 마구에서 등자의 발명은 마구 역사에서 획을 긋는 사건이었으며, 등자와 고안교 안장의 조합은 1인기승의 보편화를 의미한다. 동진대에는 쌍등과 고안교 안장의 조합으로 개마중갑기병이 확산하는 틀이 마련되었고, 1인 기승 마장 체제를 확립하였다. 16국 시기 삼연 마구는 전통적 속성, 중원적 속성 및 중원 마구가 삼연 문화 체제 내에서 변용된 속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중원을 원향으로 하는 중원적 속성과 변용적 속성이 대부분이다. 금동제 등자, 쌍봉문과 승문을시문한 행엽과 안장 장식 및 판비는 중원을 원향으로 하는 마구 속성이다. 삼연 마구의 경우 삼국시대 등자의 시원인 금속판으로 보강한 목심 등자를 비롯하여 지판과 장식판을 덧댄 구조의 판비와 행엽은 상한이 370년대로편년된다. 중원지역에서 철제 개마중갑기병은 16국 시기에 본격화하였다. 마주의 비교에서 고구려와 가야는 각각 4세기 중엽과 4세기 말에 전연의 것을 받아들였지만, 고구려는 4세기 말에 중원의 것도 수용하여 고구려 독자의 양식을 완성하였다. 가야와 신라는 광개토왕 경자년 남정을 계기로 마갑과 마주 조합이 완비된 개마중갑기병 체제를 갖추었다. 양진-16국시대 마구와 삼국시대 마구를 비교한 결과, 권운문와당의 간지 기년을 4세기 전반으로 한 고구려 고고학 편년, 가락동 2호분의 조영 시점을 3세기 후반으로 하는 백제 고고학 편년, 황남대총 남분을 내물왕 무덤으로 비정한 신라 고고학 편년을 당해 시기 한·중 마구에 적용하면 동아시아 고대 마구의 역사는 물론 세계 마구의역사도 다시 써야 한다. 그렇지만 권운문와당 간지 기년을 4세기 후반, 가락동 2호분을 4세기 말, 황남대총 남분을 눌지왕 무덤으로 하는 편년을 양진-16국시대 중국 마구 편년에 적용하면 괴리가 거의 없다. The harness, which was used in East Asia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has been confirmed to have many common attributes in terms of the overall framework of changes and developments, showing that it is valid for obtaining data on standard chronology. It has obtained reference data for chronology by reviewing the harnesses of East and West Jin Dynasty-16Guo Dynasty for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which led to an attempt to coordinate chronology in archaeology o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invention of stirrups in the East Wu·West Jin harness was an epoch-making event in the harness history, and the combination of stirrups and high saddles means the generalization of single-person horse riding. The framework for the spread of the heavy cavalry was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the double-stirrups and high saddles in East Jin, resulting in establishing the system of single-person horse riding. The attributes of SanYan harness of 16Guo Dynasty are divided into a traditional attribute, a Chinese Zhongyuan-based attribute, and a transformational attribute of the Chinese Zhongyuan harness transformed within the system of SanYan culture, but in most cases, the Chinese Zhongyuan-based attribute according to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and the transformational attribute apply. gilt-bronze stirrups, Harness pendants decorated with two phoenixes, etc., saddle ornaments, horse bits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harness attributes in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e case of the SanYan harness, all of the horse bits and harness pendants structuralized by plates and ornamental plates, including wooden stirrups reinforced by the metal place, the origin of stirrups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re known to be in the 370s as terminus post quem. In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heavy cavalry began in earnest in the 16Guo Dynasty. The comparison of horse helmets have shown that Goguryeo and Gaya accepted the ways of QianYan in the mid-4th century and late 4th century, respectively, but Goguryeo completed its own style by accepting those of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e late 4th century. Gaya and Silla established a system of heavy cavalry with a complete combination of horse armors and helmets with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as a momentum.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harness of East and West Jin-Dynasty-16Guo Dynasty with that of the Three Kingdoms have suggested that applying chronology on the Goguryeo archaeology in which the GanJi (干支) script of cloud-pattern the roof-end tiles was from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chronology on the Baekje archaeology in which the construction period of Garakdong Tomb No.2 were from the late 3rd century, and chronology on the Silla archaeology in which Hwangnamdaechong nambun was designated as the tomb of King Namul to the harnesses of Korea and China in those days, not only the history of ancient harnesses in East Asia, but also that of harnesses in the world should be written. But, applying chronology on the GanJi (干支) script of cloud-pattern the roof-end tiles from the late 4th century, on Garak-dong Tomb No.2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and on Hwangnamdaechong nambun designated as the tomb of King Nulji to chronology on the Chinese harness in East and West Jin Dynasty-16Guo Dynasty, there is almost no gap among them.

      • KCI등재

        기획논문: 소수자 문학으로서의 고전여성문학의 성격과 그 의미 /논평:이지하

        김경미 한국고전문학회 2006 古典文學硏究 Vol.29 No.-

        이 글은 소수자 관점에서 한국고전여성문학의 성격과 의미를 살핀 글이다. 소수자는 수적인 소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차별과 배제의 대상이 되어 온 존재들로 표준화될 수 없다고 해서 주류 세력이 소외시킨 정치적 소수집단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조선시대의 여성은 소수자에 포함된다. 이처럼 권력으로 배제되어 있는 소수자들이 갖는 소수성의 본질은 다수자의 지배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와 활동을 생성하는 데 있으며, 권력과 대결하는 변이의 힘에 있다. 따라서 소수자 문학 역시 소수 집단 언어의 문학을 지칭한다기보다는 지배 집단의 언어권에서 소수 집단이 지탱해 나가는 문학을 지칭하며 근본적으로 정치성을 띤다. 조선시대 여성들이 창작한 문학 작품은 표준적인 장르의 위계 바깥에 위치하며 그 미학도 표준적인 미학적 규범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특징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여성문학이 갖는 이러한 특질들은 사대부 남성들이 중심이 된 주류문학과 매우 이질적인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이질성은 곧 가부장제 남성들이 매우 낯설어하는 것으로 그 자체로 가부장적 가치와 전통을 전복시키는 의미를 갖는다. 소수자 관점에서 고전여성문학사를 바라본다는 것은 ‘모든 부류의 문학하는 주체와 내용’을 끌어들이며 소수자 간의 연대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ce of Classical Woman Literature from a minority group's perspective. The word of minority in this sense does not only carry a sense in number but also refers to groups subjected to social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ese groups have been marginalized by the majority for the reason that the groups do not conform to existing norms. In this regards, women in the Cho-sun dynasty era can be categorized as a minority group. The essential character of the minorities that are excluded from the power lays in their acts to create new values that is free from the regulation of the majority, and in their strength to resist against the power of it. Therefore, minority literature refers to the literature that the minority groups hold on and sustain rather than to the one written in the language used by the minority groups. Thus, minority literature takes on political characteristics. The literature composed by women in the Cho-sun dynasty era has been positioned out side of the hierarchy of the general genre, and thus it was not easily explained through the general esthetic categories. Such characteristics of women's literature during the Cho-sun era differs to a great extent from the mainstream-literature occupied mostly by the gentry, and such heterogeneity was taken by patriarchal men as something very strange. These characteristics signify women's literature as for overthrowing the patriarchal tradition and values. In this regards, it is expected that looking at the classical women's literature would be a significant attempt that engages 'the subject and the text of all kinds of literature' and enables solidarity among minority groups.

      • KCI등재

        베르사유평화체제의 ‘보편적 표준’과 한국과 일본의 이몽(異夢): 민족자결원칙과 국제연맹규약을 중심으로

        김숭배,김명섭 한국국제정치학회 2012 國際政治論叢 Vol.52 No.2

        이 연구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새로운 세계질서를 위해 베르사유평화체제가 표방했던 ‘보편적 표준’으로서의 민족자결원칙과 국제연맹규약에 대해 한국과 일본이 가졌던 이몽(異夢)의 정치사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첫째, 민족자결원칙은 유럽에만 적용되었을 뿐, 한국인들의 민족자결에 대한 기대는 수용되지 않았다. 대신 일본이 추구했던 아시아-먼로주의가 용인되었다. 한국은 베르사유평화체제를 구성하는 독립적 일원이 될 수 없었고, 일본제국의 일부로 취급되었다. 한국인들은 민족자결원칙에 대한 이상이 수용되지 못한 것에 좌절했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통해 민족자결원칙을 계승하려는 노력을 지속했고, 1948년 대한민국에 대한 국제적 승인이 이루어졌다. 둘째, 일본은 5대 전승국의 일원으로서 국제연맹규약에 인종평등조항을 삽입하고자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베르사유평화조약문에 포함된 국제연맹규약의 서문에는 국제연맹 가맹국들 간의 평등관계 만이 규정되었다. 인종평등조항의 삽입이 좌절된 이후, 일본과 일부 아시아인들 사이에서는 베르사유평화체제가 표방하는 ‘보편적 표준’의 보편성에 대한 의혹이 증대되었고, 아시아연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This study deals with Korea's pursuit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in the Versailles Peace System and how their pursuit was obstructed. In addition, this study illustrates how the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 within the Versailles Peace System was an obstacle to Japan's pursuit of racial equality.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Versailles Peace System had attempted to establish a ‘universal nomos.’However, the 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was applied only to European sphere, while Korean national self-determination was not accepted within the Versailles Peace System. Instead, the Japanese Asian Monroe Doctrine was implemented. Korea was incorporated into the Versailles Peace System only as part of Japan. Second, as a member of the “Big Five”, Japan attempted to insert a racial equality provision into the preamble of the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 without success. Among many Japanese and some other Asians, this frustration led to an increased skepticism on the universality of the‘universal nomos’ of the Versailles Peace System and to an increased interest in Asian solidarity.

      • KCI등재

        기후인자가 임목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

        윤미해(Yoon, Mihae),이우균(Lee, Woo-Kyun),김문일(Kim, Moonil) 한국기후변화학회 2013 한국기후변화학회지 Vol.4 No.3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climatic factors and radial growth in Siu-ri, NamYangJuSi, Kyeonggido. To identify tree growth responses to climatic variation, we used correlation analysis after standardization and cross-dating of tree ring growth. We use the climatic data(monthly mean, minimum, maximum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from September of previous year to August of current year.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mean, minimum, maximum temperature and tree ring growth,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in September and October of the previous year. In case of Quercus mongolica, negative relationship were appeared in December of the previous year, January and February of present year. When it comes monthly maximum temperature, August and September of present yea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adial growth in the case of Pinus densiflora. We can conclude that reduced soil moisture due to high temperatures causes a water stress that stunts tree growth. In contrast,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in March of present ye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temperatures in March appear to prolong the growing season. Grow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cipitation from October to December of previous year and from May to September of present yea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mooth water supply from precipitation can promote the tree growth.

      • KCI우수등재

        베르사유평화체제의‘보편적 표준’과 한국과 일본의 이몽(異夢)

        김숭배(Soongbae Kim),김명섭(Myongsob Kim) 한국국제정치학회 2012 국제정치논총 Vol.52 No.5

        This study deals with Korea’s pursuit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in the Versailles Peace System and how their pursuit was obstructed. In addition, this study illustrates how the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 within the Versailles Peace System was an obstacle to Japan’s pursuit of racial equality.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Versailles Peace System had attempted to establish a ‘universal nomos.’ However, the 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was applied only to European sphere, while Korean national self-determination was not accepted within the Versailles Peace System. Instead, the Japanese Asian Monroe Doctrine was implemented. Korea was incorporated into the Versailles Peace System only as part of Japan. Second, as a member of the “Big Five”, Japan attempted to insert a racial equality provision into the preamble of the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 without success. Among many Japanese and some other Asians, this frustration led to an increased skepticism on the universality of the ‘universal nomos’ of the Versailles Peace System and to an increased interest in Asian solid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