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의 방법론적 해석을 통한 포퓰리즘 분석 : 원한 감정과 양심의 가책을 통한 포퓰리즘 고찰

        박성진 한독사회과학회 2021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1 No.2

        포퓰리즘에 대한 무조건적인 비판은 내재적 모순을 넘어 다른 문제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권력의 일반적인 작동방식을 보면 알 수 있다. 권력은 항상 가치를 선점하고 그 가치에 기반하여 제도와 법을 생산하는 형식으로 작동한다. 지금의 ‘포퓰리즘’에 대한 부정적 평가도 이러한 권력 작용의 산물일 수 있다. 어떤 것이 ‘나쁜 것’ 혹은 극복의 대상이 되었다면 그 사유 내부의 권력 작용에 대해 탐구해 보고 그것이 정당성이 있는지를 검토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우리의 믿음은 권력의 믿음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기득권과 권력이 있는 사람들이 믿으라 하는 것을 믿어왔고 그들이 생각하라고 하는 것을 생각해 왔다. 이러한 사실은 누군가 혹은 어떤 권력이 우리로 하여금 ‘포퓰리즘 은 나쁜 것이다’라고 생각하게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현대 정치를 철학적으로 사유하고자 한다면 포퓰리즘에 대한 근본적인 재성찰이 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포퓰리즘 비판이 가진 문제들을 분석하기 위해 니체의 방법론에 기반하 여 포퓰리즘에 대한 부정적인 사유가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는지 살펴보고, 그 사유 내부의 권력작용에 대해 탐구해 볼 것이다. 포퓰리즘이 나쁜 것이 되었다면 왜 그렇게 되었는지 우리는 그 시작점에서 고찰해 볼 것이다. 또한 포퓰리즘을 빌미로 상대 정치인 을 비난하는 행위가 왜 광범위하게 퍼지게 되었는지도 알아볼 것이다. 포풀리즘을 단지 민주정치의 타락된 형태인 중우정치로만 이해하고, 그저 인기에만 영합하는 것으로 보는 시도는 포퓰리즘의 내부에 위치해 있는 권력의 작동과 작용을 간과하는 것이다. 포퓰리즘에 대한 일차원적인 고찰 속에서 포퓰리즘은 단지 대중에 영합한다고 생각되는 모든 정치 현상에 갖다 붙여지는 수식어 혹은 장식물의 의미만을 가질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니체의 방법론에 기반하여 포퓰리즘이 왜 ‘악’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는지 그리고 포퓰리즘에 대한 ‘양심의 가책’은 무엇인지 즉 대중의 의지 혹은 욕망의 두려움에 대한 반작용으로서의 이데올로기를 분석하고자 한다. Unconditional criticism of populism also has other problems beyond inherent contradictions. We can see this fact by looking at the general way power works. Power always operates in the form of preoccupying value and producing systems and laws based on that value. The negative assessment of current populism may also be a product of this power action. If something is "bad" or subject to overcoming, we should explore the power work within the reason and see if it is justified. Historically, our beliefs have not been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power, we have believed in what vested and empowered people have to believe, and we have thought about what they have to think. This fact mean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omeone or some power may have made us think that "populism is a bad thing," and that if we want to think philosophically about modern politics, fundamental reflection on populism is needed. Therefore, to analyze the problems of populist criticism, we will examine how negative reasons for populism began based on Nietzsche's methodology, and explore the power action within the reasons. If populism has become a bad thing, we will consider why it has become so. It will also find out why the act of criticizing other politicians under the pretext of populism has become widespread. An attempt to understand populism only as a degenerate form of democratic politics, and merely cater to popularity overlooks the operation and action of power located within populism. In a one-dimensional view of populism, populism only has the meaning of modifiers or ornaments attached to any political phenomenon thought to cater to the public. Therefore, based on Nietzsche's methodology,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why populism has an image of "Evil" and what is "Bad Conscience" for populism, or ideology as a reaction to the fear of people’s will or desire.

      • KCI등재

        포퓰리즘의 오용과 복지포퓰리즘 담론의 구축 : 보수 언론을 중심으로, 2009-2018

        김주호(Juho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19 사회이론 Vol.- No.55

        본 연구의 목적은 보수 언론을 중심으로 2000년대 말 등장하여 2010년대 초 폭발적으로 확산된 복지포퓰리즘 담론이 어떤 개념과 논거 위에서 구축되었는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매일경제에 실린 복지포퓰리즘 관련 기사를 활용하여 개념 연결망과 논증 구조를 분석한다. 핵심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포퓰리즘 담론은 포퓰리즘의 오용에 기초한다. 이 담론에서 포퓰리즘은 단순히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복지 공약을 남발하는 정치권의 무책임한 행태라는, 일반적 용법의 포퓰리즘과 무관한 의미로 쓰인다. 둘째, 보수 언론은 오용된 포퓰리즘 개념을 토대로 2000년대 말부터 활성화된 복지 논쟁을 무책임한 정치 경쟁의 산물로 단순화하고 그것을 복지 경쟁으로 문제화한다. 이 과정에서 ‘과잉 복지’가 야기할 재정․경제 파탄이 핵심 논거로 활용된다. 셋째, 보수 언론은 선별적 복지와 보편적 증세에 기초한 복지 확대를 주장하고 보다 진보적인 입장을 비판하는데 있어 포퓰리즘을 논거로 활용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and arguments that the welfare populist discourse, which has spread rapidly in Korea since the late 2000s, is based on. To this end, it explores the concept network and argumentative structure by analyzing articles related to welfare populism in three conservative newspapers -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Maeil Business Newspaper - between 2009 and 2018. The main argum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welfare populist discourse misuses the word “populism.” It is used in a distorted sense to describe the irresponsibility of politicians and parties who competitively present overly generous welfare policies only to win elections. Second, the conservative newspapers recontextualize the welfare-policy debates as products of competition among irresponsible political entities, and problematize it as the so-called “welfare competition.” This is mainly supported by the argument that “excessive welfare” will threaten fiscal soundness and cause a fiscal and economic crisis. Third, the conservative newspapers call for selective welfare policies and universal tax hikes for the expansion of welfare programs and denounce other potential solutions – such as universal welfare policies and selective tax hikes - as populist ideas.

      • KCI등재

        현대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서유럽의 신포퓰리즘과 포스트포퓰리즘을 중심으로

        정병기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3 韓國 政治 硏究 Vol.32 No.1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ism and democracy, this paper defines democracy and populism according to minimalist approach. Democracy is defined as the idea based on individualism that guarantees both freedom and equality, and populism as the idea that sees society as a confrontation between the people and the elite and that the politics should reflect people’s opinions as directly as possible. After synthesizing the politico-economic viewpoints and the politico-social viewpoints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real democracy and populism, it analyzes the effects of neo-populism and post-populism on democracy. With the exception of a part of neo-populism, the populism after the 2000s is no longer only a threat to democracy, but operates as a type of democracy that exists within the scope of the representative system. As a type of neo-liberal democracy, neo-populism responds to the era of new individualism by leaving the people as a single empty signifier through exclusionary collectivism. On the other hand, as a type of pluralistic democracy, post-populism responds to the era of new individualism by filling the empty signifier (the people) with the solidarity inclusive of the various minorities. 포퓰리즘과 민주주의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이 글은 최소주의 접근법에 따라 민주주의를 자유와 평등을 함께 보장하는 개인주의에 기반하는 이념으로 규정하고, 포퓰리즘을 인민과 엘리트의 적대 구도라는 사회관과 인민 의사의 가능한한 직접 반영이라는 정치관을 가진 이념으로 정의했다. 그리고 정치경제적 관점과 정치사회적 관점을 종합해 현실 민주주의와 포퓰리즘의 변화를 파악한 후, 서유럽을 중심으로 신포퓰리즘과 포스트포퓰리즘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신포퓰리즘의 일부를 제외하면 2000년대 이후의 포퓰리즘은 더 이상 민주주의의 위협 요소만이 아니라 대의제 범주 안에 존재하는 민주주의의 한 유형으로 작동한다. 신자유민주주의의 한 유형으로서 신포퓰리즘이 배제적 집단주의를 통해 인민을 단일한 빈 기표로 남겨둠으로써 새로운 개인주의 시대에 대응한다면, 다원적 민주주의의 한 유형인 포스트포퓰리즘은 인민이라는 빈 기표를 다양한 소수자를 포함하는 연대로 채워나감으로써 새로운 개인주의 시대에 대응한다.

      • 국민의 이름으로 국민을 도구화? - 포퓰리즘의 도전 앞에 선 정당민주주의와 시민교육

        윤정인(Yun, Jeong-In) 헌법이론실무학회 2017 헌법연구 Vol.4 No.2

        한국의 정당민주주의는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고, 세계 각국도 기성정당들과 정치인들에 대한 불만으로, 포퓰리즘 정당들이 약진하고 있다. 국내외 정당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는 최근의 현상을 공통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개념은 ‘포퓰리 즘(Populism)’일 것이다. ‘포퓰리즘’은 정치영역에서 낯선 개념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포퓰리즘은 정치적 병리현상 내지 대중을 선동하고 현혹하는 정치전략으로 부정적 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기성 정치인들을 자성하게 만들고 민주주 의를 더 활발하게 만드는 측면도 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전세계적인 포퓰리즘 현상에 주목하여, 이러한 현상을 가져오게 된공통적 원인에 우선 주목한다. 즉, 대의제 민주주의 내에서 일반 대중이 기성 정치에 대해 실망하고 혐오감을 가지게 될 때, 그리고 사회적ㆍ경제적 양극화가 심각할 때, 대중은 기성 정치인이 ‘더 이상 국민의 진정한 대표가 아니다’라고 여기고 그러한 불만을 포퓰리스트 정치인이나 정당에 대한 지지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들은 사회적ㆍ정치적으로 풀기 어려운 문제에 대한 단순한 해법을 무책임하게 제시하여 보통 사람들에게 호소하고, 특정한 부류의 사람들을 적대화하여 대중을 선동하기 때문에,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다양한 헌법적 가치를 해칠 우려가 있다. 이때 국민 들은 포퓰리스트들의 정치적 도구로 전락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이 글에서는 한국의 정당정치에서 포퓰리즘은 어떤 특수한 요인에 의해 활성화되며 어떤 양상을 띄는지와 관련하여, 한국 정당의 태생적 문제와 포퓰 리즘이 활성화되기 쉬운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 조건을 지적한다. 한국에서는 시민과 정치인들 모두 민주주의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 못하며, 헌법적으로 보장된 다양한 정치참여 방법을 알지 못한다. 그리고 한국은 특유의 정치문화 뿐 아니라 시민들의 정치참여를 방해하는 제도적 장애물들이 다수 존재한다. 결론적으로이 글에서는 더 많은 ‘시민교육’과 ‘정치참여’를 포퓰리즘으로 인하여 초래된 정당민 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궁극적 방안으로 제안한다. Party democracy in Korea is not functioning properly. In many countries populist parties are rising dramatically. Such recent phenomenon around the world could be captured with a word: ‘Populism’. ‘Populism’ is not a strange concept in the field of politics. Generally populism is understood negatively as a political pathology or a political strategy which incites and deludes the people. Meanwhile, the populism also has a positive aspects in that it leads the politicians reflect themselves and activates the democracy in some degree. This article focuses on populism’s rise around the world nowadays and the common cause of it. When the people dissatisfied with or feel disgust at the established politicians, and when social and economic polarization gets serious, the people think that the established politicians are not their true representatives any more and vote for the populists or populist parties. The populists (and the populist parties) propose a simple solution to the serious problems in the society irresponsibly and show hostility toward certain group of people to gain popularity, hereby they could cause social conflicts and violate important constitutional values. In this situation, the people were degraded to the instrument of the populists. Concerning the special factors which activate the populism in Korean party politics as well as the tendency of populism in Korea, this article points out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as well as the basic problems of political parties in the Korean context. In Korea, not only the people but also the politician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democracy, therefore, do not familiar with the various ways of public participation. Moreover, there are many legal barriers which obstruct the people in participation in politics.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the ultimate solution to overcome a crisis of party democracy caused by populism: more civic education and mor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 KCI등재

        포퓰리즘, 민주주의 그리고 미디어 :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와의 규범적 연관을 중심으로

        유용민(Yongmin, Ryu)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언론과 사회 Vol.27 No.4

        전 지구적으로 민주주의 이론과 정치적 현실 모두가 포퓰리즘의 확산에 의해 재도전 받는 상황에서 이 글은 포퓰리즘이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와 그 다원주의적 조건들에 미치는 부정적 함의를 이론적으로 명료하게 하기 위한 논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포퓰리즘과 자유민주주의의 긴장을 살펴보고, 그것이 자유민주주의에 제기하는 부정적 함의를 미디어 민주주의와 포퓰리즘의 상호연관적 맥락으로 확장하여 검토한다. 이 글은 포퓰리즘을 직접적인 것에서 매개적인 혹은 간접적인 것으로 재이해하고 미디어 중심적 포퓰리즘 논의의 비규범적 순진성을 비판하며 나아가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포퓰리즘 정치학의 연관이 갖는 문제적 측면들을 쟁점화한다. 포퓰리즘은 다원주의적 의사소통과 자유주의적 정치 질서에 분명한 위험을 야기하는 또 다른 배제적 정치의 형식 혹은 과정의 징후라는 점에서 비판적 주의와 경계가 요구된다. This paper provides a debate to clarify the negative implications of populism on liberal democracy and its pluralist conditions, With both global democratic theory and political reality being rechallenged by the rise and proliferation of populism. To this end, this author examines the tension between populism and liberal democracy and the negative implications toward liberal democracy in the interrelated context of media democracy and populism. This paper reinterprets populism from the direct to the intermediary or the indirect, criticizes the non-normative naivety of media-centric populist discussions, and further issues the problematic asp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populist politics. Contemporary Debates on populism requires critical attention and vigilance in that it indicates another form or process of exclusionary politics inherent in a risky tendency in pluralistic communication and a liberal political order.

      • KCI등재

        특집 :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 한국 "포퓰리즘" 담론의 철학적 검토: 현실능력 있는 포퓰리즘의 작동편제와 작동문법 탐색

        홍윤기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06 시민사회와 NGO Vol.4 No.1

        한국의 `포퓰리즘` 담론은 국가 활동에 대한 시민의 참여, 자기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시민의 능동적 개입을 차단하려는 이데올로기적 의도를 가진 수구언론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에 따라 포퓰리즘은 그 역사적 사상사적 배경을 전적으로 무시당한 채 전적으로 대중영합주의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대중영합주의`라는 뜻을 가진 영어 단어로 popularist라는 어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가문의 지배를 받는 수구언론들은 기사 안에 아예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라고 명시적으로 인쇄해서 배포하기도 한다. 이에 반해 한국 학계에서 바로 이런 의미의 포퓰리즘 개념으로 한국 포퓰리즘 담론을 분석하거나 역사적 포퓰리즘 운동을 분석한 사례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한국에서 현재 진정한 의미에서의 포퓰리즘 운동이 일어날 여지가 있는가? 필자는 여기에서 포퓰리즘 운동이 실제로 작동하려면 1) 객관적으로 공고화된 민주주의적 원칙과 제도의 현실적 실패를 전제로, 2) 주관적으로 절박하게 체감되는 생활위기, 3) 동질적 피해의식을 바탕으로 한 `피해자 동맹`의 형성과 그들에 의한 `생활요구`의 제기, 4) 이들 피해자 동맹 공통의 적으로 지목된 `지배집단`(대지주, 대자본, 국가권력, 외세, 인종집단 등), 5) 제도권 정치를 효과적으로 우회할 수 있는 `카리스마적 인격체`의 등장이 현존해야 한다고 논증한다. 따라서 현존하는 포퓰리즘은 그 생활요구가 민주적 정치과정에 의해 수용되거나(미국 인민당 운동), 정치적으로 해소되거나(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 독재) 아니면 급격한 사회분화에 의해 희석되면(1980년대의 한국 민중주의) 사실상 소멸된다. 결국 문제는 포퓰리즘이 결코 혁명적 이념 운동이 아니며, 생활위기에 대한 대중의 즉각적 반응인 만큼, 보다 많은 심층적 민주주의만이 그 해결책인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어떤 경우든 탈포퓰리즘 국면에 들어가 있지만, 지구화의 과정에서 심각한 손실을 당한 집단들이 자생적으로 포퓰리즘적 행동양식에 호소할 여지는 얼마든지 있으며, 그럴 경우 포퓰리즘은 인민적 규모의 동원이라기보다 정체성 정치의 한 양상일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서유럽 및 미국의 우익 포퓰리즘) 바로 이렇게 생활요구를 최우선적으로 내세운다는 점에서 포퓰리즘은 시민적 이성에 의거한 심의를 중시하는 시민민주주의와 구별되며, 권력의지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파시즘과도 일정 차별성을 가지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포퓰리즘-반포퓰리즘 논쟁에 던지는 두 가지 질문: 포퓰리즘은 정말로 반-헌정주의적이고 반-자유민주주의적인가?

        홍철기(Hong, Chulki) 참여연대 참여사회연구소 2019 시민과세계 Vol.- No.34

        본 연구는 포퓰리즘에 관한 기존 논의에 관해서 세 가지 쟁점을 제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포퓰리즘 연구는 포퓰리즘 이론과 반-포퓰리즘 이론으로 양분되어 있다. 이 두 가지 입장에 대해 본 연구는 전자에 관해서는 포퓰리즘 개념을 인민 개념으로 환원하려 한다는 한계를, 후자에 관해서는 이론적이기보다는 정치적 의도의 우선성의 문제를 지적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포퓰리즘 개념의 복잡성과 언어적 가변성은 포퓰리즘 개념 자체의 모호성과 논쟁성의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를 전제로 하여 포퓰리즘 이론과 반-포퓰리즘 이론이 공히 포퓰리즘과 정치제도의 관계에 대해서 지나치게 편향된 시각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와 관련하여 ‘헌정주의(constitutionalism)’와 ‘자유민주주의(liberal democracy)’의 두 가지 사례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헌정주의와 관련해서는 포퓰리즘이 단순히 반-헌정주의가 아닌 헌법 자체에 규정되는 인민주권 원리로부터 파생 및 도출되는 결과물이라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또한 자유민주주의와 관련해서 포퓰리즘은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부정이 아닌데, 보통 선거 제도의 내적 논리로 충분히 설명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보일 것이다. 이는 포퓰리즘이 곧 민주주의라는 주장을 하기 위함이 아니라 포퓰리즘이 단순히 민주주의의 적대자나 개혁자가 아니라 민주주의 자체가 안고 있는 결함과 한계로부터 기인하는 문제로 봐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contemporary debates on populism are polarized by the two opposing camps of theoretical populist and political anti-populist, and that the both contribute to the conceptual complexity and semantic flexibility of the ‘populism’ concepts. While the former tends to theoretically identify the concept of populism with the concept of the sovereign People and popular sovereignty, the latter tends to politically monopolize the usages and meanings of ‘populism’. Against the both camps, I argue that the conceptual ambiguity and polysemy does not exclusively belongs to the ‘People’ concepts but also to the ‘populism’ concepts, and that not only the ‘populism’ concepts but also the ‘anti-populism’ concepts are to be discussed in the scholarly discussions. To further the contextualization of the ‘populist’-‘anti-populist’ debates, I take the two popular examples of ‘constitutionalism’ and ‘liberal democracy’, to which populism is frequently taken to be antagonistic in such a way that populism is synonymous to ‘anti-constitutionalism’ and ‘anti-liberal-democracy’. From the contextualizing or contextualist perspective, populism is not so much an enemy as a consequence, albeit problematic or paradoxical, of both republican constitutionalism, vis-à-vis monarchical constitution, and liberal-democratic principles of universal and secret voting, which takes the ballot as the equal individuals" subjective rights, vis-à-vis republican notion of limited and open voting, which sees ballot rather as the virtuous individuals" objective duty to the community.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관점으로 본 포퓰리즘의 등장과 대의 민주주의 위기

        백영민(Young Min Baek) 한국언론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2 No.4

        본 논문은 커뮤니케이션 관점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포퓰리즘 현상의 의미는 무엇이며, 왜 그리고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연구자가 포퓰리즘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지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본 논문을 전개하였다. 첫째, 포퓰리즘에 대한 다른 학문 분과들의 관점과 성과를 소개하고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였다. 역사학, 정치학, 사회학 등의 다른 학문 분과들에 비해 커뮤니케이션 관점이 어떻게, 왜 포퓰리즘 현상을 보다 잘 설명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포퓰리즘 현상들을 관통하는 특징들은 무엇이며 언제 어떤 조건에서 포퓰리즘이 등장하는지 설명한 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다양한 포퓰리즘 현상들을 소개하였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이론 관점에서 ‘레토릭’, ‘저널리즘’과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포퓰리즘 현상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정부를 감시하고 비판하는 소위 ‘감시견’으로서의 언론의 역할은 포퓰리즘 현상과 매우 닮아 있으며, 단일한 ‘국민’을 형성하고 다수의 국민과 대립되고 배치되는 ‘타락한 엘리트’와 ‘이방인’들을 배척하는 포퓰리즘 담론의 구성은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깊은 연관을 갖고 있으나, 이 분야에 대한 최근의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끝으로 포퓰리즘과 민주주의의 관계를 논의하면서 포퓰리즘 현상의 커뮤니케이션적 의미가 무엇인지, 포퓰리즘 현상의 커뮤니케이션적 함의는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소개하였다.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process, this study examines what populism as a world-wide political phenomenon means, and how and why it can be investigated by the communication scholars. Basically, this study argues that populism is a communication phenomenon reflecting the collapse of vertical communication between ruling elites and ordinary people (e.g., anti- establishment feeling) and the collapse of horizontal communication between threatened majority and incoherently integrated minority (e.g., anti-immigration or anti-multiculturalism). This study comprises of four section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troduces previous studies on populism in the social scientific fields like political science, history, or sociology, and discusses why their achievement is related with communication studies. Second, this study examines common features of populism emphasized in previous studies and how such features are observed in recent populism discourses across many countries in a world. Third, this study discusses how traditional communication studies can contribute to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populism. Specifically, this study takes three examples, ‘rhetoric,’ ‘journalism,’ and ‘political communication.’ Finally, this study provides the author’s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ism and democracy, and how the communication affects the relationship.

      • KCI우수등재

        포퓰리즘의 개념과 유형 및 역사적 변화 : 고전 포퓰리즘에서 포스트포퓰리즘까지

        정병기(Jung, Byungkee)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1

        이 글은 포퓰리즘에 대해 최소 정의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속성을 정리한 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 역사적 변화를 추적했다. 최소 정의에 따라 포퓰리즘은 ‘사회를 인민과 엘리트라는 두 진영의 적대 구도로 파악하며 정치는 인민의 의사를 가능한 한 직접적으로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념’이라고 정의했다. 포퓰리즘의 유형은 역사적 변화에 따라 우선 고전 포퓰리즘과 현대 포퓰리즘으로 분류한 다음, 현대 포퓰리즘을 구포퓰리즘, 신포퓰리즘, 포스트포퓰리즘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이 네 유형을 다른 이데올로기와 어떻게 결합하는가에 따라 네 가지 축[좌-우, 극단-단순-온건, 인민직접정치-중첩-엘리트대의정치, 집단주의-개인주의]으로 다시 세분해 17가지의 포퓰리즘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인민의 범주와 성격, 대립 구도의 구체적 성격(정치 경제적 세계관), 민주주의에 대한 입장(정치적 태도)에 따라 설명했다. This article categorized populism into four types and explained their historical changes with a new minimal definition and properties of populism. According to the minimal definition, populism as “the idea that sees society as a confrontation between two opposing camps, the people and the elite, and that the politics should reflect people’s opinions as directly as possible’. The types of populism were classified into classical populism and modern populism and then modern populism into paleo-populism, neo-populism and post-populism on historical changes. And these four types were again divided in 17 subtypes according to four axes (left/right, extreme/simple/moderate, people-directism/overlapped/elitistrepresentativism, collectivism/individualism). And they were explained by the category and property of the people,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frontation (political economic world-view) and the stance on democracy (political attitude).

      • KCI등재후보

        오늘의 대한민국에서 포퓰리즘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장석준(Jang, Seokjoon) 참여연대 참여사회연구소 2019 시민과세계 Vol.- No.34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자본주의 중심부의 여러 나라에서 정치적 격변이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격변을 주도하는 것은 대개 신생 극우 포퓰리즘 세력이다. 이들은 신자유주의 지구화를 주도한 엘리트들을 비판하면서 배타적 민족주의 담론을 바탕으로 대중정치를 활성화하고 있다. 정치학자 샹탈 무페는 좌파가 이런 정세에 적극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좌파 입장에서의 포퓰리즘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실제로 스페인의 포데모스나 미국의 버니 샌더스 지지자들은 이런 좌파 포퓰리즘의 사례라 할 수 있다. 무페를 비롯한 좌파 포퓰리즘 주창자들은 현시대가 포퓰리즘을 통해 대중정치가 (재)활성화될 수밖에 없는 시기라 진단한다. 이른바 ‘포퓰리즘 국면’이다. 그 주된 요인은 지대 수익을 누리며 금융 위기를 낳은 엘리트들에 대한 광범한 불만, 신자유주의를 대신할 대안의 부재에 따른 전반적 불안, 네트워크 사회가 수반하는 미디어 혁명 등이다. 그런데 이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양상들이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도 포퓰리즘 현상이 급성장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포퓰리즘 세력이 득세한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2016-17년 촛불 항쟁으로 리버럴세력이 집권했다. 그러나 리버럴 정부의 사회 개혁이 계속 지지부진하다면,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불만이 포퓰리즘 형태로 표출될 수 있다. 특히 포퓰리즘이 계급 조직과 정당 체계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유럽식 정치 지형보다는 계급 조직이 저발전된 채 대중정치가 활성화된 아메리카식 정치 지형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임을 주목해야 한다. 한국의 정치 지형은 후자와 유사하다. 이미 민주화운동 세대, 조직 노동과 청년, 비정규직, 영세 자영업자 사이에 정치적 대립선을 그으려는 주장에서 한국형 극우포퓰리즘의 맹아를 발견할 수 있다. 촛불 항쟁이 벌어준 시간 동안 한국의 진보좌파는 이런 가능성에 선제 대응해야 하며, 바로 이 점에서 좌파 포퓰리즘 주장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한국형 좌파 포퓰리즘은 전 지구적 현안으로 떠오르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녹색 뉴딜뿐만 아니라 세대, 계층, 지역간 자산 불평등을 해소할 주거 뉴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here have been shocking political changes in several advanced countries. It is often a newly emerged far-right populist force which has led such an upheaval. Far-right populists criticize the elite who has promoted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re)vitalize mass politics on the basis of exclusionary nationalism. Political scientist Chantal Mouffe asserts that the left should intervene such a conjuncture, and proposed a populist strategy from the left perspectives. In fact, Podemos in Spain and Bernie Sanders movement in USA can be counted as the cases of left populism. Advocates of left populism including Mouffe insist that the present time is a moment which mass politics must be (re)vitalized through left or right populism. In other words, it can be called the ‘populist moment’. The followings are prevailing in the moment: widespread discontent towards the elite who, enjoying enormous windfall income, brought about the financial crisis; general unrest resulting from the absence of an alternative for neoliberal capitalism; media revolution connected with the arrival of network society, and so on. Also in recent Korean society, these are prevailing trends. It means that populist forces can rise up rapidly in Korea, too. In Korea, the Candlelight protest in 2016-17 made the liberal force take power in contrast with other advanced countries where populist forces have gained power. But, if the liberal government will fail to conduct social reforms, discontents especially among the milennials may turn to a kind of basis for populism. Above all, it should be noticed that populism has developed in the typical American political configuration in which mass politics grows without strong class organizations, not in the typical European political configuration in which class organizations and political parties are combined organically.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is similar with the former. Already there’s a symptom of Korean-style far-right populism in the attempts to confront younger generation, precarious workers and small shopkeepers with the ‘democratization’ generation, organized workers. The left force in Korea must acts preemptively during the grace period which the Candlelight protest has brought about. Above all, Korean-style left populism should present not only green new deal programme which answer to the global climate change, but also housing new deal programme which alleviate property gaps among generations, classes, re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