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를 활용한 정보탐색 및 의제파급(Agenda-Rippling)에 관한 연구 - 페이스북(Facebook)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박주현 한국소통학회 2020 한국소통학보 Vol.19 No.3

        이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정보탐색의 동기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가치, 그리고 페이스북을 이용한 의제파급의 행위와 동기, 의제파급의 속성과 얻고자 하는 결과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SNS의 확산과 함께 두드러지게 이용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페이스북 (Facebook)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정보탐색과 의제파급 행태를 규명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연구결과,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의제파급 행위는 ‘공유’와 ‘댓글’을 통해 이루어지 고 있으며, 의제파급을 하는 동기는 ‘사회적 상호작용’, ‘동참하기’, ‘친구와의 교류’, ‘시 사성·시의성 있는 정보 공유’, ‘다른 SNS와 연계한 의제파급 행위’가 높게 작용했다. 페이스북을 통한 의제파급 행위에서 얻고자 하는 결과를 확인한 결과, ‘커뮤니티 추구’, ‘홍보 추구’, ‘자기 과시 추구’, ‘자기표현의 만족감 추구’, ‘집단지성, 공론장 추구’ 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페이스북을 통한 의제파급과 더불어 유튜브, 트위터, 카카오, 위챗 등 다른 SNS를 연계해 의제파급에 참가하여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페이스북과 다른 SNS를 연계 활용한 의제파급 참여는 자 기표현의 만족감과 향상감을 더욱 증대시키는 결과를 낳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여 러 종류의 SNS를 동시에 활용한 의제파급 행위의 참여가 갈수록 증가하는 동시에 그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시사해 주는 결과라고 하겠다. The main purpose of Information Search and Agenda Rippling through the Facebook. Recently, we witness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in the process of social agenda diffusion and its impact on people's information search for their lives and news gathering.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what psychological attitude the Facebook Users would have toward reward for information search and agenda rippling.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identifying users' information exploration and agenda rippling behavior ami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use of news and information using Facebook, along with the marked spread of social media SNS. The study found that Facebook users' motivation for information search was remarkably high: motivation for personal identity expression, social interaction and leisure. In addition, the value Facebook users ultimately seek through information exploration is highly attributable to community pursuit, social role pursuit, and business promotion. Facebook users' agenda-rippling activities are mainly done through 'sharing' and 'comments', and the motivation for the agenda-rippling has been high in the elements of 'social interaction', ‘participation', and 'exchange with friends'. The results they want to get through Facebook were high in the order of 'community pursuit', 'promotion pursuit' and 'self-expression pursuit'. In addition to the agenda-rippling through Facebook, it was also found that people are participating in the agenda-rippling by linking other SNS such as YouTube, Twitter, Kakao, and WeChat to achieve his goal.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the agenda-rippling using Facebook and other social networking sites results in greater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This suggests that participation in agenda-rippling activities using various types of SNS at the same time is more influential.

      • KCI등재

        페이스북에 대한 인지된 개인화가 사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주희(Lee, Joo-Hee),문장호(Moon, Jang Ho)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4

        본 연구는 대표적 SNS인 페이스북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개인화서비스의 구성 요인을 파악하고, 이 인지된 개인화 정도가 미디어에 대한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페이스북에 대한 인지된 개인화는 ‘페이스북 광고의 개인화’, ‘행동정보 기반 개인화’, ‘관계정보 기반 개인화’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용자들이 페이스북의 개인화를 크게 페이스북 광고의 개인화, 페이스북에서 활동한 내역을 바탕으로 추천 게시물이 보이는 것과 같은 행동정보 기반의 개인화, 페이스북에서 친구를 맺을 수 있도록 개인화된 추천이 보이는 관계정보 기반 개인화로 나누어 인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개인화 수준에 따른 사용자 반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페이스북에 대한 인지된 개인화에 따라 페이스북에 대한 태도, 신뢰도, 지속사용의도, 프라이버시 우려가 달라짐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들이 페이스북의 개인화 수준을 높게 인지할수록 페이스북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와 높은 신뢰도를 형성하였고, 지속사용의도 또한 증가하였다. 반면에 예측과는 달리 인지된 개인화 수준이 높을수록 프라이버시 우려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사용자가 인지하는 개인화의 세 가지 구성요인을 밝히고, 이 인지된 개인화가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을 통해, 점차 개인화 기능이 강화되고 있는 소셜미디어 환경 속에서 사용자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comprise users’ perceived personalization of Facebook and (2) to explore the impacts of the perceived personalization on users’ responses toward Facebook. In result, three factors were drawn: ‘Personalization of advertisements on Facebook’, ‘Personalization based on user’s behavior information’, and ‘Personalization based on user’s relationship information’. This implies that the users perceive Facebook"s personalization as three categories: personalization of advertisements on Facebook, personalization based on user’s behavior information such as recommended posts from Facebook activities, and personalization based on user’s relationship information such as individualized recommendations for friends.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gree of user’s perceived personalization affects the user’s responses toward Facebook such as attitude, credibility, continuing intention to use, and privacy concern toward Facebook. In specific, users who perceive Facebook"s personalization level greater were observed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and greater credibility toward Facebook, as well as increased continuing intention to use. On the other hand, contrary to the speculation, greater personalization level was associated with less privacy concern. By identifying three component factors of personalization perceived by SNS users and investigating their effects,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SNS users in the era of personalization.

      • KCI등재

        한국인의 페이스북 중독 결정요인 연구 : 커뮤니케이션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전범수,이정기,상윤모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3 No.-

        전 세계적으로 페이스북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페이스북의 중독적 사용에 대한 우려가 높 아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초고속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인터넷 이용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국가 중 하나인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페이스북 중독 결정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중독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인간의 심리 적 욕구가 반영되어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심리변인(관계의 질), 페이스북 이용동 기(커뮤니케이션), 사회적 연결(교류자 수) 등 인간의 관계적 특성을 반영하는 독립변인을 활용하여 페이스북 중독을 예측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페이스북 이용동기(커뮤니케이션), 활용 (페이스북 정보 활용) 등의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변인(관계의 질)과 사회적 연결(교류 자 수)은 페이스북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심리변인(관계의 질)은 페 이스북 이용동기(커뮤니케이션)를 통해 간접적으로 페이스북 중독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한편, 페이스북 이용동기는 페이스북 정보 활용과 사회적 연결(교류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페이스북 중독을 결정하는 것은 사람들과 관계의 질을 향 상하고자 하는 심리적 차원에 있다기보다는 페이스북을 이용하면서 유발되는 커뮤니케이션 동기와 페이스북을 통한 정보 활용 행위, 즉 페이스북 이용 습관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As Facebook usage is surging at global levels, concern is growing over the addictive use of Facebook.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Facebook addiction among Koreans, a group living in one of the most wired countries in the world. This study tests the assumption that a person becomes addicted to Facebook due to his or her desire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It thus examines such influences on the tendency of Facebook addiction as quality of soci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motive, and number of Facebook friends.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ho use Facebook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Facebook. Another factor influencing one's inclination to Facebook addiction is quality of relationship, which impacts one's motivation to make use of Facebook. The results also show that communication motive influenced both the number of Facebook friends and information-gathering habits via Facebook. The study finds that two determining factors of Facebook addiction are usage pattern of Facebook and communication motive. What does not explain a person's tendency towards Facebook addiction is that person's desire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 KCI등재

        페이스북 공동체의 소통 기능과 정치적 변혁성

        임재해(Lim, Jae-hae) 한국민속학회 2012 韓國民俗學 Vol.55 No.-

        지역공동체가 해체되면서 현대사회는 일터 중심의 직장공동체, 인터넷과 SNS를 이용한 소통공동체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은 소통공동체의 요건을 잘 갖추고 있어 ‘디지털 멍석’ 또는 ‘전자 들마루’ 구실을 한다. 트위터나 싸이월드와 비교하여 페이스북의 소통기능을 주목하고 소통공동체로서 연대의식과 상호관계의 밀도가 높다는 것을 밝힌다. 종래의 인간관계가 또래 중심으로 치우쳐 있다면, 페이스북에서는 나이와 성, 국적을 넘어서 다양한 친구들과 관계를 맺기 때문에 협소한 소통 논리를 극복하고 좌우 수평관계의 민주적 소통구조를 이룬다. 페이스북 공동체의 유형은 친목과 취미, 생업, 전문성, 정치, 운동 등으로 나눌 수 있는 데, 특히 정치와 운동 공동체의 활동이 적극적이다. 정치 공동체는 민주 또는 진보 지향의 활동이 두드러지고, 운동 공동체는 민주화 및 노동 운동이 중심을 이룬다. 따라서 페이스북 공동체는 사회적 약자를 위하거나 공동선을 실현하는 민주적 운동에 열렬한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기성언론이 공정하지 못할수록 페이스북은 대안언론 구실을 기능적으로 한다. 신문과 방송 보도의 편파성을 극복하기 위해, 시민들은 페이스북을 이용해 현장상황을 고발하고 자기주장을 밝히는 취재기자와 앵커맨 구실을 주체적으로 할 수 있어서, 누구든 신문사를 경영하고 방송을 운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세계의 모든 시위 현장과 변혁 운동에는 페이스북이 깊이 개입하고 있다. 많은 CCTV가 우리 사회를 감시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휴대용 동영상이 사람들의 호주머니 속에 들어 있다. 진실을 생생하게 찍어서 보도할 수 있고 서로 소통하고 연대하여 변혁의 꿈을 이룰 수도 있다. 조직과 위계 질서가 아니라 시민들끼리 대등하게 연대하여 집단지성과 공동체의 힘으로 부당한 권력들을 해체한다. 정치권력과 경제권력은 물론 지식권력도 해체하며 소수에게 집중된 권력을 시민들에게 분산하는 정치적 변혁 기능이 있다. 페이스북 공동체의 변혁 기능은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권력 분산 기능과 민주적 소통 기능은 민속문화의 전통 속에서도 내재되어 있었다. 공동체의 다양한 일을 주민들의 능력과 자질에 따라 역할을 나누어 맡았으며, 길흉사의 잔치문화도 대등하게 누리며 차별없이 공유했다. 구경꾼과 합작으로 진행되는 탈춤의 연행방식도 청중과 양방향 소통으로 이루어지는 청춘콘서트의 강연방식과 만난다. 말뚝이는 구경꾼과 합작하여 소통을 거부하는 양반의 위세를 웃음거리로 만드는 것이다. 페이스북 공동체 안에서 생일축하나 장례조문과 같은 새로운 민속문화가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페이스북 민속을 두 갈래로 진전시킬 필요가 있다. 하나는 페이스북의 민주적 소통성과 변혁성으로 민속문화의 존재양식을 재해석하는 일이며, 둘은 새롭게 형성되는 페이스북 민속을 현실문화로 주목하여 민속학 연구로 끌어들이는 일이다. 그러므로 페이스북은 공동체문화의 가장 최근 양상을 보여주면서, 민속문화의 전통을 해석하는 새로운 논리를 제공하고, 그 자체로 우리시대의 새 민속으로서 현대 민속학의 연구대상이 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의 척도개발과 타당성 검증

        김은희 ( Eun-hee Kim ),유승엽 ( Seung Yeob Yu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페이스북 광고 특성을 반영한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3차례의 예비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확인된 페이스북 광고 특성자료는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자료다. 이를 활용하여 페이스북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탐색적 요인부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은 5가지로 확인되었다. 즉, 광고흥미성, 맞춤정보성, 광고노출성, 주변인반응성 및 제품후기 정보성 요인이다. 이러한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념타당성이 수용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신뢰도와 평균분산추출 지수를 통해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들이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21개 하위문항으로 이루어진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페이스북 광고특성을 반영한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가치를 갖는다. 이러한 척도는 향후 페이스북 광고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학문적 가치를 제공할 것이며, 페이스북 광고실무자들에게는 페이스북 광고제작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stitute Facebook advertise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Facebook advertisement only. In order to determine what constitutes the factors of Facebook advertisem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preliminary survey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stituents of Facebook advertisement confirmed through preliminar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or Facebook user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re were five factors that constitute Facebook advertisement. That is, they are factors of advertising interest, customized information, advertisement exposure, peripherial responsiveness, and product late information. We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constituents of Facebook advertisement. The conceptual validity was found to meet acceptance criteria. Based on the conceptual reliability and mean variance extraction index,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stituents of Facebook advertisement are validated.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eveloped the scale of constructing the Facebook ad consisting of 21 sub-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worth developing a scale on the constituent factor of Facebook advertisement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Facebook advertisement. These measures will provide academic value to researchers studying Facebook ads in the near future, and will provide direction for Facebook ad executives to produce Facebook ads.

      • KCI등재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사용후 대인관계 변화와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이은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2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 사용후 대인관계 변화와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부산 및 경남지역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유지를 위한 페이스북 접속동기와 사회적 압 력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 사용후 대인관계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습관 적 이용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유지를 위한 페이스북 접속동기와 사회적 압력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사용후 대인관계의 변화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계유지를 위한 페이스북 접 속동기와 사회적 압력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 사용후 대인관계변화를 유발하는 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관계유지를 위한 페이스북 접속동기와 사회적 압력에 의한 페이스북 접속동기가 페이스북 사용후 대인관계를 변화시켜 페이스북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됨을 밝혔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process in which Facebook access motivation impact upon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20 college students in the Busan, and Gyeongnam provinces This research resulted in a number of key findings: First,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Seco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had a positive influences on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Thir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habitual use had a positive influences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Fourth,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mediates between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This study reveals that,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a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were a significant predictors of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a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a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indirectly affecte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through the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 KCI등재후보

        페이스북(Facebook)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적 쟁점

        손승우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가천법학 Vol.5 No.1

        이제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어버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대표적인 사업자인 페이스북(Facebook)은 전 세계 가입자 수가 8억4500만 명에 이를 정도로 성장하였고 대규모의 개인정보를 취급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독특한 개방적 정보공유 환경을 가지고 있어서 미국은 물론 세계 각국에서 개인정보 침해의 문제에 끊임없이 직면하고 있다. 최근 SNS가 스마트폰과 IT 기술과 만나면서 프라이버시 침해의 논란은 더욱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1년 방송통신위원회는 페이스북에게「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상의 개인정보 보호 기준을 준수할 것을 권고하였고, 페이스북은 이에 따르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 글은 페이스북 서비스와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법적 쟁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구체적으로, 페이스북의 정보보호정책과 다양한 서비스로 인하여 발생되고 있는 프라이버시 침해, 개인정보 유출, 아동의 회원가입 및 정보유출 등에 관한 법적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친구찾기 기능과 관련하여 회원과 관련된 모든 사람(비회원 포함)의 이름과 이메일 주소가 페이스북에 전달된다는 사실이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명확히 들어나 있지 않은 점을 지적하고, 또한 이 기능이 비회원의 이메일 주소 등을 이용자가 페이스북에 제공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점에 대하여 우려를 표시하였다. 또한 페이스북의 회원 정보가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광고주 등에게 무단으로 제공되고, 탈퇴 후 해당 회원의 정보가 계속하여 사용된 것과 관련하여 최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의 동의명령을 살펴보았다. 그 밖에도 이 글은 사생활 정보의 공개, 소셜광고 등과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에 관하여 논하였다. A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is an online service or platform that focuses on building and reflecting of social networks or social relations among people, who share interests and activities. Facebook, the biggest giant SNS, has now 845 million subscribers. They disclose and share a wide variety of users' information, and Facebook also shares their information with outside application developers and advertising agents. This practices raise serious privacy issues. There has been much concern that Facebook does not take adequate steps to protect user privacy. This article examines the privacy issues including collecting information, children's privacy protection, data protection measures, and social ads, using Facebook's disputes.This article especially analyzes whether Facebook’s friend finder functionality constitutes an unlawful practice under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in Korea. The friend finder induces Facebook subscribers to provide the names and email-addresses of their friends who are not even registered in Facebook. Its terms and conditions do not properly inform the users that the e-mail addresses imported through friend finder will be used to contact others. Moreover, Facebook send friendship requests to friends of its users without the friends' consent. It examines the settlement between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Facebook in 2011, also including U.S. FTC's settlement. For example, both settlements require Facebook to take several measures including giving users clear notice and obtaining users' affirmative express consent before their information is shared beyond the privacy settings they have established.

      • KCI등재

        사회과학연구 :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페이스북 이용자의 정서적 효과 연구: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김봉섭 ( Bong Seob Kim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社會科學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과 관련하여 이용자의 정서적 보상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이용자의 정서적 보상 차원에서 페이스북 이용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4월1일부터 한 주간 온라인 조사를 통해 32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페이스북 이용동기 중 관계유지 동기가 페이스북 이용강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와 관련해서는 오프라인 친구수와 오프라인 가입 모임수가 페이스북 이용강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오프라인 만남 회수는 부적인 영향을 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페이스북 이용강도는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페이스북 이용자가 물리적이고 정서적으로 페이스북 이용에 투여할수록 주관적 행복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관적 행복감은 이용동기와 관련해서는 관계유지 관련 동기로부터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사회적 관계로부터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하면, 페이스북은 새로운 관계의 형성보다는 오프라인 사회적 관계를 보완하며 관계유지를 위해 주로 이용되는 매체이며, 페이스북 이용을 통해 이용자들은 주관적 행복감이라는 정서적 보상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confirm Facebook user’s affective compensation pertaining to Facebook us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empirically influence on subjective happiness such as Facebook user’s affective compensation by Facebook use. This study did an online survey for one week from 1st April 2013 and analyzed 321cases The result of analysis was that Facebook intensity was greatly influenced by relationship motive among Facebook use motive. With the respect to social relations, offline mate and get-together quantity gave a positive influence to Facebook intensity. But offline meeting quantity contributed negatively to Facebook intensity. Next, Facebook intensity acted on subjective happiness positively. The more Facebook user invested in Facebook use physically and emotionally, the more subjective happiness was on the increase. Especially, subjective happiness was affected by maintaining relationship motive indirectly and by social relations directly. Overall, Facebook was a medium more for complementing offline social relations and maintaining relations than for forming new friendship. And, Facebook user took affective compensation of subjective happiness from Facebook use.

      • KCI등재

        페이스북의 이용동기와 이용효과의 차이, 긍정적 · 부정적 효과 결정요인 : 2030대와 4050대의 페이스북 대인 네트워크 변화, 중독을 중심으로

        전범수,이정기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4 No.-

        본 연구는 20∼30대와 40∼50대 페이스북 이용자를 대상으로 페이스북 이용동기를 파악하고, 이용동기와 이용량(이용빈도, 강도)이 긍정적 효과로서 대인 네트워크의 변화, 부정적효과로서의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페이스북 이용동기는 ‘오락 및사회관계 동기’, ‘자기현시 및 표현 동기’, ‘학습 동기’로 나타났다. 둘째, 20∼30대와 40∼50대의 페이스북 이용과 효과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오락 및 사회관계 동기는 20∼30대가, 학습 동기는 40∼50대가 높았다. 아울러 페이스북 이용 강도와 페이스북 이용 효과 중 대인 네트워크의 변화 역시 40∼50대가 높았다. 셋째, 20∼30대의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변인은 자기현시 및 표현 동기, 이용강도였고, 40∼50대의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변인은 연령(-), 자기현시 및 표현 동기, 학습 동기, 이용 빈도 및 강도였다. 넷째, 20∼30대의 대인 네트워크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습 동기, 이용빈도 및 강도였고, 40∼50대의 대인 네트워크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오락 및 사회관계 동기, 자기현시 및 표현 동기, 이용빈도 및 강도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페이스북의 긍정적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정적 효과를 줄이기 위한 제언을 수행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dispositional use motives forFacebook among users in the age groups of 20∼39 and 40∼59 and furtherthe effects of use motives and amounts (frequency and intensity) includingtheir positive effects on changes to interpersonal networks andnegative ones on addiction. As a result, first, dispositional use motivesfor Facebook included "entertainment and social relationships,""self-display and expression," and "learning." Second, the study examineddifferences in the uses and effects of Facebook between the 20∼39user group and that of 40∼59 and found that while the former group washigher in the motive of entertainment and social relationships, the latterwas higher in the learning motive. In addition, the latter group was alsohigher in changes to interpersonal networks in terms of intensity and effectivenessof Facebook usage. Third, the motive of self-display and expressionand the intensity of usage influenced Facebook addictionamong the users in the range of 20∼39, whereas age (-), the motive of self-display and expression, the learning motive, and frequency and intensityof uses affected Facebook addiction among the users in the rangeof 40∼59. Finally, the learning motive and frequency and intensity ofuses had impacts on changes to interpersonal networks among the usersin the range of 20∼39, whereas the motive of entertainment and socialrelationships, the motive of self-display and expression, and frequencyand intensity of uses affected changes to interpersonal networks amongthe users in the range of 40∼59.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made a set of proposals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of Facebookand reduce its negative ones.

      • KCI등재

        페이스북 이용자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봉섭 ( Bong Seob Kim ),박시현 ( Si Hyun Park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본원적인 질문은 ‘페이스북 이용자는 고독한가?’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결과로 부정적 정서의 하나인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페이스북 이용이 자신의 삶을 평가하는데 있어 다른 이들과의 관계의 질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2013년 4월1일부터 한 주간 온라인조사를 통해 321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페이스북 이용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은 페이스북 이용동기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페이스북 이용시간과 페이스북 애착을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관계유지 동기와 습관적 이용동기였다. 또한 사회적 압력동기는 페이스북 이용시간에, 이미지 관리 동기와 타인탐색 동기는 페이스북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함께, 커뮤니케이션 성향은 미약하나마 페이스북 이용시간이나 페이스북 애착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페이스북 이용에 대한 사회적 관계 요인의 영향과 관련해서 이용시간은 오프라인 만남정도, 애착은 오프라인 가입 모임수에 의해 각각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고독감과 관련해서는 페이스북 애착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페이스북 애착은 관계유지 동기와 이미지 관리 동기, 사회적 압력동기, 타인탐색 동기와 함께, 커뮤니케이션 성향중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회피성향을 매개하여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관계의 유지와 형성을 목적으로 등장한 페이스북은 본래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 이용할 경우 오히려 고독감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The primary question of this study is “Do Facebook users feel lonely?” The feeling of loneliness as the result of Facebook use and the negative emotion was empirically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d how Facebook users evaluate the quality of his relationships as the result of Facebook use. This study did an online survey for one week from 1st April 2013 and analyzed 321case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Facebook use was Facebook use motive. Factors predicting Facebook use time and attachment were relationship maintenance and habitual use. Frequency of Facebook use time was influenced by social press, where as Facebook attachment was influenced by image management and other users` searches. For this, a communication trait predicted Facebook use time and attachment. In connection with Facebook social relationships, use time was influenced by offline meetings where as Facebook attachment was influenced by offline applications. Finally, Facebook attachment had an effect on loneliness. Facebook attachment formed the bridge between loneliness and image management, social press, other users` searches,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trait. This study suggests that loneliness increases if users do not utilize Facebook for new contacts or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