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페이스북에 대한 인지된 개인화가 사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주희(Lee, Joo-Hee),문장호(Moon, Jang Ho)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4
본 연구는 대표적 SNS인 페이스북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개인화서비스의 구성 요인을 파악하고, 이 인지된 개인화 정도가 미디어에 대한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페이스북에 대한 인지된 개인화는 ‘페이스북 광고의 개인화’, ‘행동정보 기반 개인화’, ‘관계정보 기반 개인화’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용자들이 페이스북의 개인화를 크게 페이스북 광고의 개인화, 페이스북에서 활동한 내역을 바탕으로 추천 게시물이 보이는 것과 같은 행동정보 기반의 개인화, 페이스북에서 친구를 맺을 수 있도록 개인화된 추천이 보이는 관계정보 기반 개인화로 나누어 인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개인화 수준에 따른 사용자 반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페이스북에 대한 인지된 개인화에 따라 페이스북에 대한 태도, 신뢰도, 지속사용의도, 프라이버시 우려가 달라짐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들이 페이스북의 개인화 수준을 높게 인지할수록 페이스북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와 높은 신뢰도를 형성하였고, 지속사용의도 또한 증가하였다. 반면에 예측과는 달리 인지된 개인화 수준이 높을수록 프라이버시 우려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사용자가 인지하는 개인화의 세 가지 구성요인을 밝히고, 이 인지된 개인화가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을 통해, 점차 개인화 기능이 강화되고 있는 소셜미디어 환경 속에서 사용자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comprise users’ perceived personalization of Facebook and (2) to explore the impacts of the perceived personalization on users’ responses toward Facebook. In result, three factors were drawn: ‘Personalization of advertisements on Facebook’, ‘Personalization based on user’s behavior information’, and ‘Personalization based on user’s relationship information’. This implies that the users perceive Facebook"s personalization as three categories: personalization of advertisements on Facebook, personalization based on user’s behavior information such as recommended posts from Facebook activities, and personalization based on user’s relationship information such as individualized recommendations for friends.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gree of user’s perceived personalization affects the user’s responses toward Facebook such as attitude, credibility, continuing intention to use, and privacy concern toward Facebook. In specific, users who perceive Facebook"s personalization level greater were observed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and greater credibility toward Facebook, as well as increased continuing intention to use. On the other hand, contrary to the speculation, greater personalization level was associated with less privacy concern. By identifying three component factors of personalization perceived by SNS users and investigating their effects,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SNS users in the era of personalization.
중요사건기법(Critical Incident Technique CIT)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활용에 대한 질적 연구: 전북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김명아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중요사건기법(CIT)을 통해 전북대 학생들의 페이스북 활용을 좀 더 경험적인 실제 사건의 차원에서 심층적으로 탐색한 연구이다. 대학생들에게 페이스북은 친구 관계, 학교생활과 아르바이트 및 취업 등과 관련된 정보획득에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며, 현재도 페이스북 사용과 관련된 고민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험적인 사건기법을 통해서 대학생들이 경험한 실제 사건들, 즉 페이스북의 긍정적⋅부정적 경험 사건 및 참여 정도 및 이용 여부와 관련된 기억에 남는 실제 사건들을 개별적으로 파악⋅분류⋅ 수치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페이스북이 대학생들에게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나아가 긍정적인 페이스북 이용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경험 사건은 총 51개, 부정적 경험 사건은 총 63개로 분류되었다. 전반적인 결과는 첫째,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긍정적 사건으로는 타인 및 친구와의 관계 형성과 관계 유지라는 이유가 많았으며, 그 관계 속에서 혼자가 되는 상황을 견디기 어려워했다. 대학생들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엿볼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타인에게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 습관성, 정보 공유 실패의 두려움, 소외감 극복, 자기표현 등이었다. 또한, 학교나 기업 등에서 페이스북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유용한 생활 정보, 아르바이트 정보, 취업 관련 정보획득이라는 긍정적 사건의 경험이 지속적인 페이스북 활용으로 연결되고 있었다. 둘째, 원치 않는 사생활 공개나 일방적 접촉이라는 부정적 경험에 의한 염려가 가중되면서 적극적인 참여보다는 간접적으로(좋아요 기능 누르기, 눈으로 하는 채팅) 자신을 드러내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이러한 행위들이 장시간 이어지면서 습관적인 장시간 이용이라는 부정적인 경험으로 이어졌고 이것은 대학생들의 수업시간에도 지장을 주고 있었다. 그리고 간접적인 행위가 많을수록 타인이 보여주고 싶은 것들만 지속해서 보게 되어 상대적 박탈감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페이스북의 이용이 부정적인 경험의 사건들과 연결되지만, 페이스북 이용을 그만두지 못하게 되는 이유는 사회적 단절에 대한 염려였다. 주목할 점은 부정적 경험에 인지가 높은 학생들의 지속적인 페이스북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삶의 질 저하에 대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페이스북을 통한 대학 생활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긍정적인 상호작용 패턴의 모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가 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환경 개선, 부정적 결과에 대한인지 및 통제 교육, 존중의 문화가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eonbuk University students’ use of Facebook through Critical Event Technique (CIT) in depth in the level of more experienced actual events. For college students, Faceboo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of getting information about friendship, school life, part time and employment. Nowadays, college students are still worried about using Facebook. Therefore, this study individually grasps, categorizes, and quantifies the actual events of memories rela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 participation level, and use of Facebook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And this study has identified what meaning Facebook is accepting to college students and what is necessary for positive Facebook use. As a result, 51 positive experience cases and 63 negative experience cases were classified. Overall, the results were: First, college students were using Facebook to build and maintain relationships, and it was difficult to be alone in that relationship. College students needed constant interaction for fallacies, habits, fear of failure to share information, overcoming alienation, and self-expression. In addition, college students were using Facebook as a means of obtaining useful life information(classes, grades, scholarships, etc.), job information, and employment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schools and businesses through Facebook. Second, as the anxiety of negative experience of unwanted privacy or unilateral contact increased, college students were focusing on revealing themselves indirectly (clicking on likes, chatting with eyes) rather than active participation. As these activities continued for a long time, college students had a negative experience that they would use for a long time. And this was hindering the class. The more indirect the behavior, the more the other users see the contents posted, so they experience a lot of relative deprivation. Third, while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negative events on Facebook, they were unable to quit Facebook because of concerns about social disconnec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quality of life may deteriorate due to the use of Facebook by college students who have a high level of negative experience. In conclusion, we need to find positive interaction pattern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college life through Facebook.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culture of technical improvement, awareness and control of negative results, and a culture of respect.
페이스북의 이용동기와 이용효과의 차이, 긍정적 · 부정적 효과 결정요인 : 2030대와 4050대의 페이스북 대인 네트워크 변화, 중독을 중심으로
전범수,이정기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4 No.-
본 연구는 20∼30대와 40∼50대 페이스북 이용자를 대상으로 페이스북 이용동기를 파악하고, 이용동기와 이용량(이용빈도, 강도)이 긍정적 효과로서 대인 네트워크의 변화, 부정적효과로서의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페이스북 이용동기는 ‘오락 및사회관계 동기’, ‘자기현시 및 표현 동기’, ‘학습 동기’로 나타났다. 둘째, 20∼30대와 40∼50대의 페이스북 이용과 효과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오락 및 사회관계 동기는 20∼30대가, 학습 동기는 40∼50대가 높았다. 아울러 페이스북 이용 강도와 페이스북 이용 효과 중 대인 네트워크의 변화 역시 40∼50대가 높았다. 셋째, 20∼30대의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변인은 자기현시 및 표현 동기, 이용강도였고, 40∼50대의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변인은 연령(-), 자기현시 및 표현 동기, 학습 동기, 이용 빈도 및 강도였다. 넷째, 20∼30대의 대인 네트워크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습 동기, 이용빈도 및 강도였고, 40∼50대의 대인 네트워크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오락 및 사회관계 동기, 자기현시 및 표현 동기, 이용빈도 및 강도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페이스북의 긍정적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정적 효과를 줄이기 위한 제언을 수행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dispositional use motives forFacebook among users in the age groups of 20∼39 and 40∼59 and furtherthe effects of use motives and amounts (frequency and intensity) includingtheir positive effects on changes to interpersonal networks andnegative ones on addiction. As a result, first, dispositional use motivesfor Facebook included "entertainment and social relationships,""self-display and expression," and "learning." Second, the study examineddifferences in the uses and effects of Facebook between the 20∼39user group and that of 40∼59 and found that while the former group washigher in the motive of entertainment and social relationships, the latterwas higher in the learning motive. In addition, the latter group was alsohigher in changes to interpersonal networks in terms of intensity and effectivenessof Facebook usage. Third, the motive of self-display and expressionand the intensity of usage influenced Facebook addictionamong the users in the range of 20∼39, whereas age (-), the motive of self-display and expression, the learning motive, and frequency and intensityof uses affected Facebook addiction among the users in the rangeof 40∼59. Finally, the learning motive and frequency and intensity ofuses had impacts on changes to interpersonal networks among the usersin the range of 20∼39, whereas the motive of entertainment and socialrelationships, the motive of self-display and expression, and frequencyand intensity of uses affected changes to interpersonal networks amongthe users in the range of 40∼59.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made a set of proposals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of Facebookand reduce its negative ones.
임재해(Lim, Jae-hae) 한국민속학회 2012 韓國民俗學 Vol.55 No.-
지역공동체가 해체되면서 현대사회는 일터 중심의 직장공동체, 인터넷과 SNS를 이용한 소통공동체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은 소통공동체의 요건을 잘 갖추고 있어 ‘디지털 멍석’ 또는 ‘전자 들마루’ 구실을 한다. 트위터나 싸이월드와 비교하여 페이스북의 소통기능을 주목하고 소통공동체로서 연대의식과 상호관계의 밀도가 높다는 것을 밝힌다. 종래의 인간관계가 또래 중심으로 치우쳐 있다면, 페이스북에서는 나이와 성, 국적을 넘어서 다양한 친구들과 관계를 맺기 때문에 협소한 소통 논리를 극복하고 좌우 수평관계의 민주적 소통구조를 이룬다. 페이스북 공동체의 유형은 친목과 취미, 생업, 전문성, 정치, 운동 등으로 나눌 수 있는 데, 특히 정치와 운동 공동체의 활동이 적극적이다. 정치 공동체는 민주 또는 진보 지향의 활동이 두드러지고, 운동 공동체는 민주화 및 노동 운동이 중심을 이룬다. 따라서 페이스북 공동체는 사회적 약자를 위하거나 공동선을 실현하는 민주적 운동에 열렬한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기성언론이 공정하지 못할수록 페이스북은 대안언론 구실을 기능적으로 한다. 신문과 방송 보도의 편파성을 극복하기 위해, 시민들은 페이스북을 이용해 현장상황을 고발하고 자기주장을 밝히는 취재기자와 앵커맨 구실을 주체적으로 할 수 있어서, 누구든 신문사를 경영하고 방송을 운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세계의 모든 시위 현장과 변혁 운동에는 페이스북이 깊이 개입하고 있다. 많은 CCTV가 우리 사회를 감시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휴대용 동영상이 사람들의 호주머니 속에 들어 있다. 진실을 생생하게 찍어서 보도할 수 있고 서로 소통하고 연대하여 변혁의 꿈을 이룰 수도 있다. 조직과 위계 질서가 아니라 시민들끼리 대등하게 연대하여 집단지성과 공동체의 힘으로 부당한 권력들을 해체한다. 정치권력과 경제권력은 물론 지식권력도 해체하며 소수에게 집중된 권력을 시민들에게 분산하는 정치적 변혁 기능이 있다. 페이스북 공동체의 변혁 기능은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권력 분산 기능과 민주적 소통 기능은 민속문화의 전통 속에서도 내재되어 있었다. 공동체의 다양한 일을 주민들의 능력과 자질에 따라 역할을 나누어 맡았으며, 길흉사의 잔치문화도 대등하게 누리며 차별없이 공유했다. 구경꾼과 합작으로 진행되는 탈춤의 연행방식도 청중과 양방향 소통으로 이루어지는 청춘콘서트의 강연방식과 만난다. 말뚝이는 구경꾼과 합작하여 소통을 거부하는 양반의 위세를 웃음거리로 만드는 것이다. 페이스북 공동체 안에서 생일축하나 장례조문과 같은 새로운 민속문화가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페이스북 민속을 두 갈래로 진전시킬 필요가 있다. 하나는 페이스북의 민주적 소통성과 변혁성으로 민속문화의 존재양식을 재해석하는 일이며, 둘은 새롭게 형성되는 페이스북 민속을 현실문화로 주목하여 민속학 연구로 끌어들이는 일이다. 그러므로 페이스북은 공동체문화의 가장 최근 양상을 보여주면서, 민속문화의 전통을 해석하는 새로운 논리를 제공하고, 그 자체로 우리시대의 새 민속으로서 현대 민속학의 연구대상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선영(Sun Young L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2 No.4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가운데 페이스북 이용율의 지속적 감소 추세에 주목하여 페이스북을 가장 활발히 사용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페이스북 이용거부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합리적 행위이론(TRA)의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이용거부 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태도와 주관적 규범의 선행요인으로서 페이스북 콘텐츠에 대한 상향적 사회비교가 직간접적으로 페이스북 이용거부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연구모델을 제시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페이스북 이용자 특성으로 페이스북의 수동적 팔로잉 정도가 모델에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이용거부 의도에 태도와 주관적 규범 둘 다 영향력이 있었다. 상향적 사회비교는 페이스북 이용거부 의도에 태도와 주관적 규범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직접적으로는 영향이 없었다. 페이스북 이용자의 수동적 팔로잉 정도는 모델에 조절효과를 가졌는데 수동적 팔로잉을 많이 하는 그룹에서 상향적 사회비교가 페이스북의 부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수동적 팔로잉을 적게 하는 그룹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avoid Facebook usage. This study proposes and tests a conceptual model of intention to avoid Facebook usage with theory of reasoned action(attitude, subjective norm, intention) and upward social comparison of Facebook contents. Also, it examines moderating effects of passive following on the relationships in the conceptual model. The results show that negative attitudes towards Facebook and negative subjective norm affect intention to avoid Facebook usage. Upward social comparison affects intention to avoid Facebook usage only indirectly through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Finally passive following shows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social comparison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s Facebook. In specific, high passive following group shows stronger positive effects of upward social comparison on negative attitudes towards Facebook than low passive following group.
페이스북(Facebook)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적 쟁점
손승우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가천법학 Vol.5 No.1
이제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어버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대표적인 사업자인 페이스북(Facebook)은 전 세계 가입자 수가 8억4500만 명에 이를 정도로 성장하였고 대규모의 개인정보를 취급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독특한 개방적 정보공유 환경을 가지고 있어서 미국은 물론 세계 각국에서 개인정보 침해의 문제에 끊임없이 직면하고 있다. 최근 SNS가 스마트폰과 IT 기술과 만나면서 프라이버시 침해의 논란은 더욱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1년 방송통신위원회는 페이스북에게「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상의 개인정보 보호 기준을 준수할 것을 권고하였고, 페이스북은 이에 따르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 글은 페이스북 서비스와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법적 쟁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구체적으로, 페이스북의 정보보호정책과 다양한 서비스로 인하여 발생되고 있는 프라이버시 침해, 개인정보 유출, 아동의 회원가입 및 정보유출 등에 관한 법적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친구찾기 기능과 관련하여 회원과 관련된 모든 사람(비회원 포함)의 이름과 이메일 주소가 페이스북에 전달된다는 사실이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명확히 들어나 있지 않은 점을 지적하고, 또한 이 기능이 비회원의 이메일 주소 등을 이용자가 페이스북에 제공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점에 대하여 우려를 표시하였다. 또한 페이스북의 회원 정보가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광고주 등에게 무단으로 제공되고, 탈퇴 후 해당 회원의 정보가 계속하여 사용된 것과 관련하여 최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의 동의명령을 살펴보았다. 그 밖에도 이 글은 사생활 정보의 공개, 소셜광고 등과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에 관하여 논하였다. A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is an online service or platform that focuses on building and reflecting of social networks or social relations among people, who share interests and activities. Facebook, the biggest giant SNS, has now 845 million subscribers. They disclose and share a wide variety of users' information, and Facebook also shares their information with outside application developers and advertising agents. This practices raise serious privacy issues. There has been much concern that Facebook does not take adequate steps to protect user privacy. This article examines the privacy issues including collecting information, children's privacy protection, data protection measures, and social ads, using Facebook's disputes.This article especially analyzes whether Facebook’s friend finder functionality constitutes an unlawful practice under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in Korea. The friend finder induces Facebook subscribers to provide the names and email-addresses of their friends who are not even registered in Facebook. Its terms and conditions do not properly inform the users that the e-mail addresses imported through friend finder will be used to contact others. Moreover, Facebook send friendship requests to friends of its users without the friends' consent. It examines the settlement between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Facebook in 2011, also including U.S. FTC's settlement. For example, both settlements require Facebook to take several measures including giving users clear notice and obtaining users' affirmative express consent before their information is shared beyond the privacy settings they have established.
SNS를 활용한 정보탐색 및 의제파급(Agenda-Rippling)에 관한 연구 - 페이스북(Facebook)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박주현 한국소통학회 2020 한국소통학보 Vol.19 No.3
이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정보탐색의 동기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가치, 그리고 페이스북을 이용한 의제파급의 행위와 동기, 의제파급의 속성과 얻고자 하는 결과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SNS의 확산과 함께 두드러지게 이용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페이스북 (Facebook)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정보탐색과 의제파급 행태를 규명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연구결과,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의제파급 행위는 ‘공유’와 ‘댓글’을 통해 이루어지 고 있으며, 의제파급을 하는 동기는 ‘사회적 상호작용’, ‘동참하기’, ‘친구와의 교류’, ‘시 사성·시의성 있는 정보 공유’, ‘다른 SNS와 연계한 의제파급 행위’가 높게 작용했다. 페이스북을 통한 의제파급 행위에서 얻고자 하는 결과를 확인한 결과, ‘커뮤니티 추구’, ‘홍보 추구’, ‘자기 과시 추구’, ‘자기표현의 만족감 추구’, ‘집단지성, 공론장 추구’ 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페이스북을 통한 의제파급과 더불어 유튜브, 트위터, 카카오, 위챗 등 다른 SNS를 연계해 의제파급에 참가하여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페이스북과 다른 SNS를 연계 활용한 의제파급 참여는 자 기표현의 만족감과 향상감을 더욱 증대시키는 결과를 낳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여 러 종류의 SNS를 동시에 활용한 의제파급 행위의 참여가 갈수록 증가하는 동시에 그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시사해 주는 결과라고 하겠다. The main purpose of Information Search and Agenda Rippling through the Facebook. Recently, we witness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in the process of social agenda diffusion and its impact on people's information search for their lives and news gathering.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what psychological attitude the Facebook Users would have toward reward for information search and agenda rippling.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identifying users' information exploration and agenda rippling behavior ami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use of news and information using Facebook, along with the marked spread of social media SNS. The study found that Facebook users' motivation for information search was remarkably high: motivation for personal identity expression, social interaction and leisure. In addition, the value Facebook users ultimately seek through information exploration is highly attributable to community pursuit, social role pursuit, and business promotion. Facebook users' agenda-rippling activities are mainly done through 'sharing' and 'comments', and the motivation for the agenda-rippling has been high in the elements of 'social interaction', ‘participation', and 'exchange with friends'. The results they want to get through Facebook were high in the order of 'community pursuit', 'promotion pursuit' and 'self-expression pursuit'. In addition to the agenda-rippling through Facebook, it was also found that people are participating in the agenda-rippling by linking other SNS such as YouTube, Twitter, Kakao, and WeChat to achieve his goal.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the agenda-rippling using Facebook and other social networking sites results in greater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This suggests that participation in agenda-rippling activities using various types of SNS at the same time is more influential.
한국인의 페이스북 중독 결정요인 연구 : 커뮤니케이션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전범수,이정기,상윤모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3 No.-
전 세계적으로 페이스북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페이스북의 중독적 사용에 대한 우려가 높 아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초고속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인터넷 이용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국가 중 하나인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페이스북 중독 결정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중독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인간의 심리 적 욕구가 반영되어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심리변인(관계의 질), 페이스북 이용동 기(커뮤니케이션), 사회적 연결(교류자 수) 등 인간의 관계적 특성을 반영하는 독립변인을 활용하여 페이스북 중독을 예측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페이스북 이용동기(커뮤니케이션), 활용 (페이스북 정보 활용) 등의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변인(관계의 질)과 사회적 연결(교류 자 수)은 페이스북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심리변인(관계의 질)은 페 이스북 이용동기(커뮤니케이션)를 통해 간접적으로 페이스북 중독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한편, 페이스북 이용동기는 페이스북 정보 활용과 사회적 연결(교류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페이스북 중독을 결정하는 것은 사람들과 관계의 질을 향 상하고자 하는 심리적 차원에 있다기보다는 페이스북을 이용하면서 유발되는 커뮤니케이션 동기와 페이스북을 통한 정보 활용 행위, 즉 페이스북 이용 습관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As Facebook usage is surging at global levels, concern is growing over the addictive use of Facebook.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Facebook addiction among Koreans, a group living in one of the most wired countries in the world. This study tests the assumption that a person becomes addicted to Facebook due to his or her desire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It thus examines such influences on the tendency of Facebook addiction as quality of soci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motive, and number of Facebook friends.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ho use Facebook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Facebook. Another factor influencing one's inclination to Facebook addiction is quality of relationship, which impacts one's motivation to make use of Facebook. The results also show that communication motive influenced both the number of Facebook friends and information-gathering habits via Facebook. The study finds that two determining factors of Facebook addiction are usage pattern of Facebook and communication motive. What does not explain a person's tendency towards Facebook addiction is that person's desire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산업 페이스북 만족도 및 구전의도의 차이
임대혁(Im, Dae Hyuck),김성남(Kim, S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SNS 가운데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미용산업에 활용되고 있는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구전의도를 측정하였다. 서울, 경기지역에서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20∼4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18일까지 총18일간 4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26부를 유효 표본으로 최종 분석에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전체 426부 중 남자보다 여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20대, 30대가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였으며, 결혼여부는 기혼 보다 미혼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전문대졸 이상 고학력으로 조사되었으며, 직업으로는 학생, 회사원, 전문직, 공무원 순으로 많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산업 페이스북 이용형태에서는 ‘다른 사람과의 교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체적으로 다른 사람과의 교류나 정보 수집을 위해서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남자의 경우 정보 수집을 위해서, 여자의 경우 다른 사람과의 교류를 위해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고, 연령에 따라서는 20대 이하의 경우 다른 사람과의 교류를 위해서, 30-40대의 경우 정보 수집을 위해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미혼의 경우 다른 사람과의 교류를 위해서, 기혼의 경우 정보수집을 위해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산업 페이스북을 이용한 마케팅에 대한 인식에서는 전체 40.4%가 같은 상품이라도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미용실이 그렇지 않은 미용실에 비해 더 좋은 미용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남자의 경우 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같은 상품이라도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미용실이 그렇지 않은 미용실에 비해 더 좋은 미용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라서는 비교적 연령이 많을수록 같은 상품이라도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미용실이 그렇지 않은 미용실에 비해 더 좋은 미용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의 경우 미혼에 비해 상대적으로 같은 상품이라도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미용실이 그렇지 않은 미용실에 비해 더 좋은 미용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비교적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같은 상품이라도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미용실이 그렇지 않은 미용실에 비해 더 좋은 미용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페이스북 만족도 및 구전의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만족도는 구입한 상품을 이용한 후 만족스럽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지에서도 멀어도 사용후기가 좋으면 상품을 구입한다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구전의도는 페이스북을 자주 방문하고 싶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변 권유, 제품에 대한 추천, 즐겨찾기, 서비스 추천에는 근소한 차이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페이스북 만족도 및 구전의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자의 경우 남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페이스북 구전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20대 이하의 경우 30-40대에 비해 구전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미혼의 경우 기혼에 비해 상대적으로 페이스북 만족도, 페이스북 구전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학교 재/졸 이하에 비해 대학원 재/졸의 경우 상대적으로 페이스북 구전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라서는 서비스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페이스북 구전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 월평균 소득에서는 400만원 미만, 500만원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페이스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적 가정 월평균 소득이 적을수록 페이스북 구전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산업 페이스북 만족도 및 구전의도의 차이 분석을 통한 시사점으로 고학력, 고소득, 미혼의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른 구전 마케팅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하며, 세분화된 소비자 접근이 가능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특히, SNS 가운데 페이스북은 참여, 공유, 개방을 토대로 미용산업에서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율성과 브랜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구축한다면 구전마케팅을 극대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mong various SNS, Facebook have the most large number of users and it is considered suitable to be used on measuring the Facebook users’ satisfaction and their word-of-mouth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beauty industry.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differences between Facebook users’ satisfaction and their word-of-mouth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beauty industry.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450 most Internet communication consumers in their 20s~40s in Seoul and Gyeonggi area for 18 days through September 1 to September 18, 2015. A total of 4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use 426 copies of questionnaire as valid samples for final analysis. The SPSS 18.0 was used to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and Duncan test of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showed that women outnumber men. For age, Internet communicatio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had the highest rate of Facebook. For marriage, the unmarried outnumbered the married. For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hey had a degree over college education. For occupation, student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employees, professionals, and public officials. Second, the use pattern of Facebook in the beauty industr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showed that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was the highest, and Facebook was used to interact with other people or collect information. Men and women used Facebook to collect information and to interact with other people, respectively, which there was a difference. For age, Internet communication consumers under 20s used Facebook to interact with other people, while those in their 30s-40s used Facebook to collect information. For marriage, the unmarried used Facebook to interact with other people, while the married used Facebook to collect information. Third, Facebook users’ perception of marketing in the beauty industr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showed that 40.4% of them think that even the same products, Facebook-used beauty shops are better than Facebook-unused beauty shops. Men thought that even the same products, Facebook-used beauty shops are better than Facebook-unused beauty shops, compared to women. For age, those who are older thought that even the same products, Facebook-used beauty shops are better than Facebook-unused beauty shops. For marriage, the married thought that even the same products, Facebook-used beauty shops are better than Facebook-unused beauty shops, compared to the unmarried. For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hose who have a higher level of education thought that even the same products, Facebook-used beauty shops are better than Facebook-unused beauty shops. Fourt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Facebook users’ satisfaction and their word-of-mouth intentions showed that Facebook users’ satisfaction after the use of purchased products is the highest, and in the good review of products even a long distance from residences, the purchase of products was significantly low. For their word-of-mouth intentions, a frequency visit to Facebook was the highest, and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recommendation around a person, recommendation on products, bookmark, service recommendation. Fifth, the difference between Facebook users satisfaction and their word-of-mouth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women have a higher word-of-mouth intention of Facebook than men. For age, Facebook users under 20s had a higher word-of-mouth intention than those in their 30s-40s. For marriage, the unmarried had a higher Facebook satisfaction and Facebook word-of-mouth intention tha
기업의 소셜 미디어 활용을 위한 디자인 연구 - 한국 영화관의 페이스북 이미지를 중심으로 -
석중휘,정승은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5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6 No.42
최근 우리사회는 자본 중심의 기업을 넘어, 공공의삶의 조정하는 보편적 사회 기관에 이르기까지, 모두소통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과거와 달리 다양한 삶의 방식과 그것에 기인한 새로운 소통 방법의요구 때문이다. 특히 트위터를 중심으로 크게 확장된‘소셜 미디어’는 속도를 강조한다. 한편 ‘소셜 미디어’의 개념이 개인 영역을 넘어, 고객의 참여를촉진하고 브랜드 경험을 가능케 하는, 기업 마케팅의좋은 수단으로서 집중 조명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위한소셜 미디어 중에서 ‘페이스북’의 페이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과 소재는‘페이스북 페이지’의 디자인과 이미지, 대상은영화관이다. 연구의 방법은‘페이스북’에 대한 선행연구 중 디자인과 관련된 부분 및 다양한 분석 기사를 토대로 분석 틀을 만들고, 그 틀을 통해 현재의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화관은 다양한 이미지 요소를 유연하게 활용하며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주기에 미흡했다. 이유는 소셜 미디어로서‘페이스북’의 특성을 올바로 이해하기보다는 기존의 마케팅방식을 그곳에 그대로 적용하려는 경향과 형식들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초기 단계인‘페이스북’마케팅은 미디어의 환경 및 조건 등을 고려한 심화 연구를통해 개선과 발전의 모색이 필요하다. Recently, our society is beyond the company'scapital center, ranging from general societyorganizations to coordinate the lives of thepublic, and everyone is paying attention tocommunication means. This is due to howdifferent life, unlike in the past, and thedemands of a new communication methods dueto it, such a center in the center of a largeextended twitter 'social media' is, and alsoserve as an opportunity to further acceleratethe pace. And now, this concept beyond theprivate area of this ahead of 'social media',facilitate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 and toenable the colorful brand experience, hasreceived much spotlight as a good means ofcorporate marketing. In this study, a new marketing strategy forcompanies 'social media', and among themaround the page, the most popular are receiving'Facebook' company was recently conducted itscontents. Specific directions and materialsresearch design and image of the "FacebookPage", the target movie theater, and how theresearch is to create a framework based on apartial and various articles relating to thedesign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Facebook', We analyzed the framework ofcurrent practices through. The results wereunsatisfactory situation cinemas, neither yet theflexibility to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image elements, and show how to communicate,because the traditional marketing methods tendto accept rather than there, and yet correctlyunderstood the nature of the 'Facebook' becauseit was concluded by the form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