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얼음상에서 향상된 6가 크롬과 페놀계 오염물질간의 산화환원 반응

        김정원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6가 크롬은 도금, 합금, 목재 방부제, 가죽의 무두질 등에 고농도로 쓰이고 있다. 따라서, 지하수, 토양, 하천 등 자연계에도 널리 분포하고 있다. 6가 크롬은 3가 크롬에 비해 독성이 강하고, 이동성이 좋으며, 흡착을 통한 제거가 힘들기 때문에,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시킨 후 흡착제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폐놀계 오염물질은 가장 흔한 오염물질 중 하나이고,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환경에 강한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 방법의 개발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화학물질 간의 산화환원 반응은 온도가 낮을수록 느려지나, 일부 화학물질 간의 산화환원 반응은 어는 온도 이하에서 그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이는 용액이 어는 과정에서 얼음 결정 주위에 존재하는 준-액체층에 화학물질들이 농축되게 되고 (동결농축효과), 화학물질의 농도 증가를 야기함으로써 화학물질간의 산화환원 반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6가 크롬과 페놀계 오염물질간의 산화환원 반응을 어느점 이하 (얼음상)와 어느점 이상 (액상)에서 비교하였다.

      • KCI등재

        열처리에 의한 케일 새싹의 기능성물질 축적

        이민정(Min-Jeong Lee),임수연(Sooyeon Lim),김종기(Jongkee Kim),오명민(Myung-Min Oh)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5

        이번 연구는 새싹채소 재배 시 고온의 물을 이용한 열처리가 케일 새싹의 항산화물질과 항암성물질 등과 같은 기능성물질 축적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 I에서는 파종 후 4일째 40, 50, 60℃의 증류수가 담긴 항온조에 각각 10, 30, 60초 동안 침지하여 열처리 하였고, 실험 II에서는 50℃의 증류수에 각각 10, 20, 30, 45, 60초 침지처리 하였다. 열처리 한 케일 새싹은 다시 정상적인 생육 환경에서 2일 동안 추가적으로 재배되었다. 열처리 전, 후에 생체중, 건물중, 전해질 유출 정도, 총 페놀 농도, 항산화도, 총 플라보노이드 농도, 페닐알라닌 암모니아-리아제 활성,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I의 결과, 열처리 후 2일째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의 생체중, 건물중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60℃ 열처리가 40, 50℃의 열처리보다 그 정도가 심했다. 세포 파괴에 의한 전해질 유출 정도 또한 6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농도는 50℃의 열처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했으며 항산화도 또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실험 II의 결과 50℃ 열처리는 실험 I의 결과와 같이 생체중의 감소를 보였지만 그 정도는 크지 않았으며 건물중에서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열처리 후 2일째 모든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총 페놀 축적을 유도하였다. 50℃에서 20초 이상의 열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약 1.5배 이상 총 페놀 농도를 증가시켰으며, 항산화도는 대조구에 비해 약 1.2배 유의적으로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농도 또한 대조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페닐알라닌 암모니아-리아제의 활성은 열처리 24시간째에 대조구보다 모든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나, 열처리가 이차대사산물의 생합성을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 후 2일째 글루코시놀레이트의 함량은 20초 열처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케일 새싹 재배 시 열처리는 항산화 및 항암물질과 같은 기능성물질의 축적을 유도하여 케일 새싹의 영양학적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잠재적인 수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heat shock treatments on the phytochemicals including antioxidants and anticancer materials in kale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sprouts. In study I, kale sprouts grown under the growing system for four days were soaked at 40, 50, or 60℃ distilled water for 10, 30, or 60 seconds, and in study II, kale sprouts were soaked at 50℃ distilled water for 10, 20, 30, 45, or 60 seconds. After the heat shock treatments, the sprouts were transferred into normal growing conditions and recovered there for two days. Fresh and dry weights, electrolyte leakage, total phenolic concentration, antioxidant capacity, total flavonoid concentration,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activity, and glucosinolates content of the sprou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heat shock treatment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fresh and dry weight of kale sprouts treated with heat shock compared with control at harvest in study I. Especially, heat shock at 60℃ lead to more pronounced growth inhibition compared with heat treatments at 40 and 50℃. Electrolyte leakage by cell collapse was the highest in the sprouts exposed to 60℃ distilled water, which agreed with the growth results. Heat shock at 50℃ significantly induced the accumul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study II, fresh weight of kale sprouts at 50℃ heat shock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one and two days after the treatment. However, the decrease was minimal and dry weight of kale sprou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control. In contrast, the heat shock-treated kale sprouts had higher level of total phenolic concentration than control at harvest. Heat shock treatments at 50℃ for 20 seconds or more showed at least 1.5 and 1.2 times higher total phenolic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s capacity than control, respectively. The change of the total flavonoid concentration was similar with that of antioxidants. PAL activity after 24 hours of heat shock was higher in all the heat shock-treated sprouts than that in control suggesting heat shock may stimulate secondary metabolic pathway in kale sprouts. Seven glucosinolates were identified in kale sprouts and soaking the sprouts with 50℃ water for 20 seconds had a pronounced impact on the accumulation of total glucosinolates as well as two major glucosinolates, progoitrin and sinigrin, at harves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heat shock using hot water would be a potential strategy to improve nutritional quality of kale sprouts by inducing the accumulation of phytochemicals with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 성인에서 뇨 중 페놀류 농도수준 평가 및 관련요인 분석

        김민정,김기석,양원호,이진헌,( Ehkor Group ) 대한보건협회 2011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Vol.2011 No.-

        [연구배경] 생체지표를 활용한 인체노출평가 사업은 미국, 캐나다, 유럽 등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수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질병관리본부, 국립환경과학원 등에서 국가단위의 인체내 유해물질 실태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식품섭취를 중심으로 한 페놀류의 바이오모니터링과 노출 실태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식품이나 생활용품을 통해 노출되어 체내에 축적될 수 있는 페놀류를 분석하여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페놀류의 분포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0명의 성인 연구 참여자의 인구학적 특성, 식습관, 생활습관 등에 대해 조사하고 이들 연구 참여자의 뇨 중 페놀류에 대한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뇨 중 페놀류에 대한 기하평균농도는 n-butylphenol 0.1114 ng/g creatinine, t-butylphenol 0.693 ng/g creatinine, pentylphenol 0.284 ng/g creatinine, hexylphenol 0.558 ng/g creatinine, heptylphenol 0.632 ng/g creatinine, n-octylphenol 5.770 ng/g creatinine, t-octylphenol 0.582 ng/g creatinine, nonylphenol 3.650 ng/g creatinine, 2,4-dichlorophenol 0.139 ng/g creatinine, 2,5-dichlorophenol 0.418 ng/g creatinine, 2,4,5-trichlorophenol 0.081 ng/g creatinine, 2,4,6-trichlorophenol 0.369 ng/g creatinine, benzophenone-3 4.06 ng/g creatinine이었다. 또한 생체내 페놀류의 농도는 다양한 인구학적, 식품섭취, 생활습관 등의 요인과 관련되어 있었다.

      • KCI등재

        인도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및 화학 물질 규제현황

        반규만 한국법정책학회 2018 법과 정책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ntegrated legal reform of India through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Indian legal system trough analysis for regulating endocrine disruptors in India. This study apply interdisciplinary method for the study on the usage current status of the three bisphenol A, nonylphenol, and phthalate substances contained in plastic products, clothing, children's toys, and the current status of toxic chemicals regulation, Through the interdisciplinary and comparative studies, Law, medicine, newspaper articles and government data were collected to find countermeasures. As a result, it needs nonylphenol ban provisions and the regulatory reform of bisphenol A and phthalates is necessar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he Indian people through legislation on the regulation of endocrine disruptive substances in India and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the individual law through the legal cooperation, contribute the formulation and coordination of long-term cooperative programs, and will affect to the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against endocrine disruptor substances through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인도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을 규제를 위하여 한국법제와 비교를 통한 인도의 통합적 법률 정비에 영향을 주기 위함이다. 이 연구는 플라스틱 제품, 의류, 그리고 어린이 장난감에서 검출된 비스페놀 A, 노닐 페놀, 그리고 프탈레이트 세 가지 물질의 침해 현황 조사, 유해 화학 물질 규제 현황 및 한국 인도간의 환경법 법령 체제에 대해서 간학문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통해, 간학문 및 비교법적 연구를 하였다. 법학, 의학 등의 관련 논문, 신문 기사 및 정부 자료를 수집하여 대응 입법 방안을 연구하였다. 결과로서, 노닐 페놀 금지 규정 수립과 비스페놀 A와 프탈레이트의 규제 개혁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인도의 내분비계 장애 물질 규제 입법 수립을 통한 인도 국민의 환경 개선의 증진 도모를, 한국의 입장에서는 법제 협력을 통해 또 다른 대상국에게 법치주의 확산과 개별법의 개혁을 위한 중, 장기적 협력 프로그램의 수립 및 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통합적 환경 관리에 의한 내분비계 장애 물질에 대한 대응책 수립에도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단색 발광다이오드에서 자란 축면상추 두 품종의 엽형, 생장 및 기능성 물질

        손기호(Ki-Ho Son),박준형(Jun-Hyung Park),김대일(Daeil Kim),오명민(Myung-Min Oh)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6

        인공광원으로써, 단색 파장을 갖고 있는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는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가시광선의 다양한 파장범위 사이에서, 각각의 스펙트럼들은 식물의 생육과 발달에 특징적인 영향을 유도한다. 이번 연구는 단색 발광다이오드에 따른 적축면 상추(‘선망’)와 청축면 상추(‘그랜드래피드 TBR’)의 엽형, 생장 및 기능성 물질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정상적인 환경 조건(20℃, 형광등 + 고압나트륨등, 130 ±5μmol·m<SUP>-2</SUP>·s<SUP>-1</SUP>, 광주기 12시간)에서 18일간 자란 상추 묘를 다양한 LED 광원(청색 LED, 456nm; 녹색 LED, 518nm; 적색 LED, 654nm; 백색 LED, 456nm + 558nm)이 설치된 같은 환경 조건(20℃, 130 ± 7μmol·m<SUP>-2</SUP>·s<SUP>-1</SUP>, 광주기 12시간)의 인큐베이터에 정식하였다.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 지상부/지하부 비율, 엽록소 함량, 총 페놀 농도, 항산화도, phenylalanine ammonia-lyase(PAL)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정식 후 9일과 23일째에 측정하였다. 두 상추 품종의 엽형지수는 청색 LED와 백색 LED 처리에서 모든 기간 동안 대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적색 LED와 녹색 LED 처리는 다른 처리보다 엽형을 길게 유도하였다. 녹색 LED 처리는 상추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지상부・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 엽면적과 같은 생육 특성의 대부분은 두 축면 상추 모두 적색 LED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적축면의 경우 정식 후 23일째에 적색 LED 처리의 지상부 생체중은 녹색 LED 처리보다 3.8배 높았다. 반면, 상추의 엽록소, 총 페놀 농도, 항산화도는 생육과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청색 LED 처리에서 자란 상추의 엽록소 함량, 총 페놀 농도, 항산화도는 다른 LED 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PAL 유전자 또한 정식 후 9일째 청색 LED에서 가장 높은 발현 정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 실험을 통해서 광질은 상추의 생육, 형태 및 기능성물질의 축적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n artificial light source, light-emitting diode (LED) with a short wavelength range can be used in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s. Among various wavelength ranges in visible light, individual light spectra induce distinguishing influences o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monochromatic LEDs on leaf shape index, growth and the accumulation of phytochemicals in a red leaf lettuce (Lactuca sativa L. ‘Sunmang’) and a green leaf lettuce (Lactuca sativa L. ‘Grand rapid TBR’). Lettuce seedlings grown under normal growing conditions (20℃, fluorescent lamp + high pressure sodium lamp, 130 ± 5 μmol·m<SUP>-2</SUP>·s<SUP>-1</SUP>, 12 hours photoperiod) for 18 days were transferred into incubators at 20℃ equipped with various monochromatic LEDs (blue LED, 456 nm; green LED, 518 nm; red LED, 654 nm; white LED, 456 nm + 558 nm) under the same light intensity and photoperiod (130 ± 7 μmol·m<SUP>-2</SUP>·s<SUP>-1</SUP>, 12 hours photoperiod).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s and roots, shoot/root ratio, SPAD value, total phenolic concentra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the expression of a key gene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phenolic compounds,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were measured at 9 and 23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leaf shape indexes of both lettuce cultivars subjected to blue or white LEDs were similar with those of control during whole growth stage. However, red and green LEDs induced significantly higher leaf shape index than the other treatments. The green LED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lettuce growth. Most of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s and leaf area were the highest in both cultivars subjected to red LED treatment. In case of red leaf lettuce plants, shoot fresh weight under red LED was 3.8 times higher than that under green LED at 23 days after transplanting. In contrast, the accumulation of chlorophyll, phenolics including antioxidants in lettuce plants showed an opposite trend compared with growth. SPAD value, total phenolic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capacity of lettuce grown under blue LE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under other LED treatments. In addition, PAL gene was remarkably activated by blue LED at 9 days after transplanting.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light quality using LEDs is a crucial factor for morphology, growth, and phytochemicals of two lettuce cultivars.

      • KCI등재

        열수 침지 처리가 치콘 절단면의 적변 억제에 미치는 영향

        정현진(Hyun Jin Jung),강호민(Ho-Min Kang)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3

        치콘의 판매 중 상품성 저하의 원인이 되는 치콘 절단면 적변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열수 침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열수침지처리로는 대조구(20℃ 1분)과 38℃에서의 4분, 8분, 42℃에서의 2분, 4분, 그리고 45℃에서의 1분, 2분을 두었다. 색차계로 측정한 △a<SUP>*</SUP>과 △h값은 42℃ 2분 처리에서는 가장 낮게 유지되었으며, 42℃의 2분과 45℃의 1분 처리구에서는 대조구보다 유의 있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10℃에 저장 6일째 관능 평가한 절단면의 적변지수는 42℃의 2분과 4분 처리 그리고 45℃의 1분 처리에서 낮았다. 적변의 원인 물질이 되는 총페놀함량을 저장 6일째 조사하였는데, 이 또한 절단면의 색변화가 적었던 42℃의 2분과 4분 처리 그리고 45℃의 1분 처리에서 낮았다. 페놀물질 합성에 관여하는 PAL 활성은 42℃ 2분 처리에서는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42℃의 2분와 45℃의 1분 처리구에서는 대조구보다 유의 있는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가장 강한 열처리였던 45℃의 2분 처리에서는 절단면의 적변이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진행되었으며, 페놀함량과 PAL 활성도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공기에 노출된 절단조직에서 페놀물질을 산화시켜 적변을 일으키는 PPO의 활성은 42℃와 45℃의 모든 처리구에서 낮았는데, 특히 다른 조사항목에서는 모두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던 45℃의 2분 처리구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각 조사항목간 상관관계에서, PPO를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간에서는 대부분 고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관능평가한 적변지수와 △h값은 r = 0.927<SUP>***</SUP>를, PAL 활성과 총 페놀물질 함량과는 r = 0.942<SUP>***</SUP>의 고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Hot water dipping test was conducted for chicon to restrict red discoloration of its basal part which impairs the product value during sales. Hot water dipping treatment was given to chicon for 4 min and for 8 min at 38℃ and for 2 min and 4 min at 42℃, and for 1 min and 2 min at 45℃, along with control (for one min at 20℃). The red discoloration indices of basal part of chicon during sensory evaluation on the sixth day of storage under the storage temperature at 10℃ was lower at 42℃ for 2 min, 42℃ for 4 min and 45℃ for 1 min treatments. The color change value of the basal part in chicon measured by colorimeter showed that the lowest △a<SUP>*</SUP> and △h were maintained in the basal part of chicon treated at 42℃ for 2 min. Whereas, color changes in 42℃ for 2 min and 45℃ for 1 min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low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hich are the substances that cause red discoloration of basal part in chicon were lowest at 42℃ for 2 min, 42℃ for 4 min and 45℃ for 1 min treatments. The activity of phenylalanine ammonia lyase (PAL) resposible for in the synthesis of phenolic substances was the least in 42℃ for 2 min treatment. Whereas, PAL activity of the chicons treated a t 42℃ for 2 min and at 4 5℃ for 1 mi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 hat of c ontrol. However, r ed d iscoloration was progressed as similar level with that of control in the basal part of chicon at 45℃ for 2 min.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PAL activity in this treat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control. The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which causes red discoloration of cut tissues was low in all the treatments including 42℃ and 45℃ treatment at which no inhibition effects of the red discoloration of basal part of chicon were observed. Whe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ach investigated index was tested, most of them showed high correlation except the PPO activity and particularly and the red discoloration index and sensory evaluation △h values, and PAL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were r = 0.927<SUP>**</SUP>, and r = 0.942<SUP>**</SUP>,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내분비교란물질인 Nonylphenol과 DEHP(Di-(2ethylhexyl)phatalate)가 줄지렁이(Eisenia fetida)의 산란 및 부화에 미치는 영향

        박광일,배윤환 유기성자원학회 2012 유기물자원화 Vol.20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docrine interupter, Nonylphenol and DEHP on the cocoon production, the hatchability of cocoon and the number of offsprings per cocoon of Eisenia fetida. And the cocentrations of Nonylphenol and DEHP of sewage sludges in Pocheon city (Northeastern area of South Korea) were also investigated. Nonylphenol below the concentration of 100 mg kg-1 did not reduce the cocoon production, the hatchability of cocoon and the number of offsprings per cocoon. DEHP above the concentration of 1,500 mg kg-1 reduced the cocoon production, and DEHP over the concentration of 2,500 mg kg-1 could reduce the hatchability. There was no Nonylphenol in sewage sludge of Pocheon city, but maximum concentration of DEHP was 1,640mg kg-1, which could make the population of Eisenia fetida extinct gradually if sewage sludge of Pocheon was supplied to Eisenia fetida for a long time. 내분비 교란물질로 알려진 Nonylphenol과 DEHP가 줄지렁이의 산란수, 부화율, 난포당 부화개체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포천시 소재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한 하수슬러지내에 포함된 두 물질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Nonylphenol 농도 100 mg kg-1이하인 먹이에서는 Nonylphenol이 줄지렁이의 산란수, 부화율, 난포당 부화개체수의 감소를 유발하지 않았다. DEHP 농도 1,500 mg kg-1 이상인 먹이에서는 DEHP가 줄지렁이의 산란수를 감소시켰으며, 농도 2,500 mg kg-1 이상에서는 DEHP가 난포의 부화율을 감소시켰다. 포천지역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하수슬러지에서 Nonylphenol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DEHP는 최대 1,640mg kg-1 이 검출되어 하수슬러지를 줄지렁이에게 급이 할 경우 DEHP에 의한 줄지렁이 개체군 소멸 현상이 유발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사고에 의하여 자연하천으로의 방류된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종확산

        조성우,전경수 한국수자원학회 200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4 No.4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종확산에 관한 단계분리 유한차분 모형을 낙동강에 적용하여, 1991년에 발생한 페놀누출 사고에 따른 종확산 모의계산을 수행하였다. Preissmann의 4점 음해법에 근거한 부정류 계산모형으로부터 산정된 계산결과를 종확산 모형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종확산계수의 산정을 위한 경험식 및 1차 반응의 감쇠계수에 따른 종확산 계산결과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하류 지점에서의 첨두농도 발생 시각은 사용된 종확산계수 식에 따라 상당히 달라짐을 A fractional step finite difference model for the longitudinal dispersion of nonconservative pollutants is applied to the Nakdong River to simulate the phenol spill accident which occurred on March, 1971. Prior to the dispersion calculation, the flow cond

      • KCI등재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콤포스팅 기줄의 원리와 적용에 관한 고찰

        박준석(Joon-Seok Park),이노섭(Noh-Sup Lee),인병훈(Byung-Hoon In),님궁완(Wan Namkoong),황의영(Eui-Young Hwang) 유기성자원학회 2001 유기물자원화 Vol.9 No.3

        콤포스팅은 유기성 오염물질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데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며, 환경친화적인 기술이다. 비용면에 있어서도 다른 처리기술들에 비하여 매우 저렴하다. 콤포스팅 공법은 교반식 퇴비단 공법, 공기주입식 퇴비단 공법 그리고 기계식 공법으로 대 별된다 콤포스팅 기술은 공기공급, 온도 및 수분함량 조절, 영양물질 공급,공극개량제 첨가, 미생물 식종 등에 대 하여 세 밀 히 검토 후 적용하여야 한다‘ 토양내 산소농도는 5 - 1 5%가 적당하지만 일부 화합물의 경우에는 2 - 5 % 의 농도에서도 분해가 잘 된다 온도는 중온이 적용된 사례가 더 많았다. 수분함량은 토양수분보유능력의 50- 90% 정도이면 큰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미생물화학식 (C6oH870Z3NIZP) 에 의하여 계산된 C:N:P의 비 는 약 20 : 5 : 1 이다. 그러나 미생 물에 의하여 분해되는 탄소가 모두 세 포합성에 이용되는 것이 아니므로 영양물질 첨가는 첨 가제의 특성 을 잘 파악한 후 결정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초기 C/N비가 25 - 40 정도이면 적당하다 특정 미생 물 식종첨가의 필요성은 아직 확실한 결론이 나지 않았으며 , 시판되는 미생물을 첨 가하는 것보다 처리된 토양이나 퇴비 등을 재순환하는 것이 비용경제적이다. Composting is a cost-effective and environmenrally-sound technology to treat soils conraminated with hazardous organic pollutants. Poll utants to be treated are as fo llows: explosives, phenolic compounds, PAHs, petroleum hydrocarbons, p, and etc. Composting systems are windrow, static pile, and in-vessel. Design and operational parameters of composting are aeration modes, temperature, moisture conrenr, nutrient supplemenr, amenclmenr added, and erc. Appropriare oxygen concenrration of composting for contaminated soils are 5 - 15%, whie some compounds are degraded weU at the low 0 2 concentration of 2- 5%. The most diverse rnicroorganisms live in the temperature of 25-400• 50 - 90% of the soil fìeld capacity is the moisture contenr not to make a problem in composting. Assurning a bacterial chemical equation is CωH87023NI2P, theoretical C : N : P from bacterial chemical portion is approximarely 20 : 5 : 1.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atio does not apply ro the total organic carbon measured in a waste because nor all carbon metabolized by baαeria is synthesized to new cell material. C/N ratio of25 - 40 is op띠num. It is more economical to recycle soils or composts than to add commercial microb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