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팬데믹 시대의 문화예술축제 대안 연구 :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 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선영현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 시대에 국내 문화예술축제와 유럽 문화예술축제의 진행 상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진행된 유럽의 린츠, 리옹, 카를스루에의 문화예술축제와 광주의 미디어아트페스티벌 사례를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팬데믹 시대를 위한 문화예술축제의 운영 과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유럽의 경우 언택트 시대에 관람객들의 수요와 요구를 즉각 반영하여 다양한 온라인 시스템을 개발하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수준 높은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였다. 광주의 경우에도 코로나19의 확산 방지와 안전한 축제 진행을 위해 작품을 여러 곳에 분산 배치하는 등 행사 방역관리 지침과 운영 준수사항을 마련하고 이를 충실하게 이행하였다. 이상의 사례들을 통해 팬데믹 시대에 문화예술을 어떻게 기획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으며, 문화예술 축제의 새로운 변화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gress of the Korean Culture and Arts Festival and the European Culture and Arts Festival during the Corona Pandemic.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cases of the Lintz, Lyon, Karlsruhe Culture and Arts Festival, and the Gwangju Media Art Festival. In Europe, a variety of online systems were developed to reflect the needs of visitors immediately in the Untact era. High-quality online services were provided using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further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and conduct safe festivals, Gwangju also prepared and implemented guidelines for event preven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such as distributing works in various places. These examples show how to plan and prepare culture and art in the post-corona era and identify changes and possibilities of the Culture and Arts Festival.

      • RISS 인기논문

        4차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팬데믹과 의료규제의 관계

        도규엽(Do, Gyu-Youp)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0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2 No.-

        4차산업혁명이 의료영역에 있어서 가져온 변화들 대부분이 비대면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 하에서는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모든 영역에 있어서 비대면성이 강하게 요구되므로 4차산업혁명 관련 기술은 코로나 19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팬데믹에 대한 대응으로 이루어진 의료적 조치 내지 행위는 긴급조치 내지 긴급행위로서 허용된다. 치명적 감염병 확산에 대한 고도의 임박한 위험의 존재는 이익형량 구조에서 다른 이익들을 압도하게 된다. 문제는 팬데믹 상황이 종료되었을 때 어떠한 기준으로 여러 의료적 행위를 규제할 것인지인데, 감염병 확산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하여 팬데믹 상황이 종료되면, 긴급조치 내지 긴급행위로서 이루어지던 것들에 대하여 새로이 이익형량을 통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다만 코로나 19는 감염병의 대유행을 경계하며 살아가야 하는 시대, 즉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도래케 하였다고 할 수 있고, 현재의 팬데믹이 종료된다고 하더라도 미래 사회에서는 감염병 확산의 위험은 항상 고려해야 할 요소가 되었다. 즉 코로나 19를 계기로 장래에는 팬데믹 상황이 아니라 하더라도 감염병 확산 저지를 통한 국민 생명 · 신체 침해 위험의 감소라는 소극적 이익이 모든 의료 관련 정책의 수립에 필요적으로 고려할 요소가 되었다. 다만 제도의 도입 등이 초래할 수 있는 부작용을 충분히 검토하고 이를 최소화하는 안전장치 등의 마련이 반드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의료 및 헬스케어 영역에 있어서 4차산업혁명은 단순히 원격통신기술의 적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CT 기술, 로봇 기술, AI 기술, IoT 기술, 빅데이터 기술 등과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차원의 의료적 서비스인 디지털 헬스케어로 진화시켰고 이는 의료 및 헬스케어 서비스의 시간적 · 공간적 한계를 무너뜨리고 있다. 그리고 이는 의료소비자 자기주도성 및 예방적 의료의 역할이 강화되어가는 현상과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이 원격의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원격의료의 도입은 시대적으로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추세라고 생각한다. 다만 원격의료의 부작용 내지 문제점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반드시 필요한데, 특히 시행 초기에는 원격의료 대상 범위의 제한, 매개자 등 활용에 대한 규정 마련, 환자 및 가족에 대한 교육, 의료기관별 원격의료 허용 범위의 적절한 분배 등이 유효한 대책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정보의 활용 및 관리와 관련하여 이를 통하여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생활의 자유 및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보호 역시 소홀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4차산업혁명 시대의 의료는 순수의학의 산물이라는 특성에서 벗어나 융합의료의 특성을 지니는 영역이 확장될 것이므로 이러한 혼합적 의료 영역에 대비한 법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고, 의료소비자의 자기주도성 및 예방적 의료의 역할 강화라는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무면허 의료행위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여 의료 면허 내지 의료 관련 자격 없이 할 수 있는 의료행위, 그리고 특정 의료행위와 관련된 비의료적 자격을 가지고 할 수 있는 의료행위의 허용범위를 넓히는 방향으로 법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about the following changes in the medical field ; overcoming the spatial limitations of medical care, the use of digital healthcare and medical information, convergence of robotics and medical care, AI medical care, strengthening self-direction of medical consumers, and strengthening the role of preventive medical care. Currently, medical care is transforming from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of disease to preventive medical care. Most of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edical field are closely related to ‘Untact.’ Under the COVID-19 pandemic, due to the fact that untact(non-face-to-face) is strongly required in all areas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infec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playing a big role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COVID-19. Medical measures or actions made in response to the pandemic are permitted as emergency measures or actions. COVID-19 can be said to have brought about the era of post-COVID-19, in other words, an era in which we must live while guarding against the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Even if the current pandemic is over, the risk of spreading infectious diseases has always been a factor to consider in the future society. Meanwhile, considering the fact that major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Germany, and Japan are actively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elemedicine, the introduction of telemedicine is a global trend that cannot be countered by the tim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side effects or problems of telemedicine.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can be provided through the use and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safeguards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freedom of privacy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re not neglected.

      •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기독교 선교환경의 변화와 정책과제

        정봉현(Bonghyun Jeong)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0 종교문화학보 Vol.17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코로나19 감염병과 기독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독교 선교환경의 변화내용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략 및 사역의 관점에서 기독교 선교정책의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주요 내용들은 서론, 코로나19 감염병과 기독교의 이해, 기독교 선교환경의 변화내용,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기독교 선교정책의 과제 및 결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로나19 시대의 특징들은 비대면 사회의 도래와 가속, 디지털 사회의 가속화, 가족공동체와 다음 세대의 위기 및 선교적 동력의 위험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선교사역의 입장에서 선교정책의 과제들은 교회공공성의 회복과 강화, 교회 사회적 소통능력의 제고, 이단집단 종합 근본대책의 마련, 가정의 획복과 가정사역의 강화, 미자립 소형교회의 지원 확대, 생활신앙의 성숙도 향상, 재택・원격근무, 재택수업 방식의 선교분야 활용, 성육신적 선교의 실행 등으로 제시되고 있다. 선교전략의 측면에서 선교정책의 과제에는 비대면 시대 on & off line 교회사역, 디지털・아날로그 공동사역, 다음세대 중심가정사역의 교회, 교회 디지털 선교역량의 제고, 교회론과 제자도의 재발견, 해외 거점ž토착화 선교방식, 해외 지원선교 역할의 강화 및 선교현장의 국내 영역확대 등이 포함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overall changes in the Christian missionary environment based on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OVID-19 pandemic infectious disease and Christianity, and to devise issues for Christian mission policy based on this.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consist of an introduction, an understanding of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and Christianity, changes in the Christian mission environment, and policy issues of Christian mission in the COVID-19 pandemic era and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COVID-19 pandemic era can be explained by the advent and acceleration of a non-face-to-face society, the acceleration of digital oriented society, the crisis of family community and next generation, and the danger of missionary power. From the perspective of ministry in the COVID-19 pandemic era, mission policy issues are the recovery and strengthening of church's publicity, preparation of comprehensive basic measures for heretical groups, increased supports for non-independent small churches, enhancing the church social communication skills, and restoring family ministry. It has been suggested as strengthening of spirituality and improving the maturity of spiritual faith of believers. In terms of strategy, mission policy issues in the COVID-19 pandemic era include non-face-to-face church ministry in the era of on & off, the church's family ministry centered on next generation, the rediscovery of ecclesiology and discipleship, the reinforcement of role of overseas supporting mission, the digital and analog jointed church ministry. It can be explored by enhancing the digital mission capacity of the church, the overseas basesžindigenous mission methods, and the expansion of domestic mission field.

      • KCI등재

        온라인수업을 위한 저작권법의 제한규정과 팬데믹 시대를 대비한 입법론

        최상필 한국지식재산학회 2021 産業財産權 Vol.- No.68

        온라인수업과 관련한 법적 쟁점은 특히 저작권법 영역에 많이 집중 되어 있으므로, 저작권법 제25조가 학교 교육과 관련된 저작재산권 제 한사유를 규정하고 수업목적 저작물 이용을 허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팬데믹 시대에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수업에 따른 대면수업 과의 질적 차이나 학력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기술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현재의 어려운 상황 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앞으로 또 발생할지도 모르는 새로운 위기상황 에 대처하기 위하여, 팬데믹 시기에 한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특별 규정을 현행 저작권법에 보충하는 방식으로 보완책을 제시하였다. 우선 팬데믹 등의 상황에서는 대면수업과의 질적 차이를 줄이기 위 해 교과용 도서에 게재된 저작물을 교강사가 온라인 수업의 목적 범위 내에서 공중송신할 수 있음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 수업을 위해 교과용 도서에 게재된 저작물을 공중송신하는 경우와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행해지는 저작 물의 공중송신의 경우에 해당 교강사에게 보상금 지급을 면제하는 대 신 국가가 보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예외적인 상황에서 적용되는 이러한 특별규정의 보충을 통하여 학생 들에게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하고 권리자의 보호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면, 결국 이는 우리 모두의 혜택으로 돌아와 사회의 안정적인 발전 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Legal issues related to online classes are particularly concentrated in the area of copyright law, and Article 25 of the Copyright Act stipulates the reasons for restricting copyrights related to school education and allows the use of copyrights for teaching purposes. Nevertheless, more specific and technical supplementation is needed to address the qualitative differences and educational gap with face-to-face classes in the long-term online classes in the pandemic era. Consequently, in order to wisely overcome current difficult situations and cope with new crises that may arise in the future, this paper presents a supplement to current copyright law by supplementing special provisions that can be applied temporarily during the pandemic. First of all, in order to reduce the qualitative difference from face-to-face classes,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at during the pandemic, instructors can send works published in textbooks within the scope of online classes. In addition, for online classes in pandemic situations, for transmission of works published in textbooks and for transmission of works conducted in online classes at universities, the government proposed to pay compensation instead of exempting the instructor from paying compensation. Supplementing these special provisions, which apply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would provide students with high quality education and ensure the protection of rights holders, which would eventually return to the benefits of all of us and contribute to the stable development of society.

      • KCI등재

        펜데믹 시대의 교양체육 수업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위드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며

        유원용 ( Ryu Wonyong ),이지환 ( Lee Jihwan ),김승환 ( Kim Seunghw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본 연구는 위드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교양체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팬데믹 시대에 진행된 교양체육 수업의 경험에 관한 연구물을 고찰하였고, 체계적 문헌고찰의 과정을 거쳐 최종 6편의 질적 연구물을 선정하였다. 이후 선정된 연구물을 통해 팬데믹 시대의 교양체육 수업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교수자의 경험’, ‘학생의 경험’, ‘대학의 조치에 대한 경험’의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 교수자의 경험에서는 온라인 교육에 대한 두려움, 적응과 극복을 위한 노력, 온라인 수업 운영의 역량강화의 세 가지 하위 범주로 분류되었다. 둘째, 학생의 경험에서는 대면수업 제한에 대한 걱정, 온라인 수업으로의 적응, 실기수업에 대한 열망의 축적 등 세 가지 하위 범주로 분류되었다. 셋째, 대학 조치에 대한 경험으로는 미숙한 대응과 책임회피, 운영의 진화 등 두 가지 하위 범주로 분류되었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위드 코로나 시대에 교양체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실기수업과 온라인 수업이 동시에 제공되며 조화를 이뤄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양체육은 학생의 여가생활, 생활체육 및 평생체육으로의 연계를 중점에 두고 운영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제시한 방안에 대한 검토와 사회적 협의, 이를 근거로 한 가이드라인 개발 등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Liberal Physical Activity Classes education to move forward in preparation for the With Corona era and to suggest practical measures. To this end,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Liberal Physical Activity Classes conducted in the Pandemic era was reviewed using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 and the final six qualitative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rocess. Afterwards, various experiences related to Liberal Physical Activity Classes in the Pandemic era were examined, and as a result,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rofessor's Experience', 'Student’s Experience', and 'Experience with University Action'. In the first instructor's experience,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categories: fear of online education, efforts to adapt and overcome it, and capacity building of online class management. Second, in the student's experience,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categories: worry about restrictions on face-to-face classes, adaptation to online classes, and accumulation of aspirations for practical classes. Third, as for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measures, it was classified into two subcategories: immature response, transfer of responsibility, and evolution of operation.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direction in which Liberal Physical Activity Classes should move forward in the With Corona era was sought and a plan was suggested. First, it was suggested that practical and online classes should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and harmonized.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Liberal Physical Activity Classes should be operated with a focus on linking students' leisure life, daily sports, and lifelong sports. In future studies, it was suggested that a review of the proposed plan, social consultation, and development of guidelines based on this should be carried out.

      • KCI우수등재

        동양사 분야의 회고와 전망: 팬데믹 시대의 동양사 연구

        차혜원 역사학회 2022 역사학보 Vol.- No.255

        The two years from 2020 to 2021 will be remembered as a period of global adversities due to the pandemic. Despite the worries about the shrinkage of academic activities, the research of East Asian history has not been directly impacted. The publication of papers and books has been on the rise as in previous years, and academic activities resumed through the use of online meeti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mmarize the academic trends of the past two years and to make a few proposals. First and foremost, in the section of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the study of Japanese pre-modern history could be composed into two separate fields. A vast amount of research on the pre-modern history of Japan carried out in the last two years, producing more than 260 publications. Such a large amount is too heavy for a single commentator to handle. Secondly, adjustments could be made in regards to the periodization of modern Chinese history. Currently, the range of 50 years from 1840 to 1911 is generally acknowledged as modern Chinese period. Compared to other periods, a span of fifty years is too short to be considered as a separate historical period. Furthermore, modern history research topics exhibit an increasing overlap with Ming-Qing period and contemporary history. More flexible approach towards the periodization is recommended. 2020년에서 2021년의 2년간은 지구 전역이 팬데믹으로 인한 재난 상태에 처했던 기간으로 기억될 것이다. 학술 연구의 위축이나 쇠퇴가 우려되었지만, 현재의 동양사 학계는 코로나 위기로 인해 직접적인 타격을 입지는 않았다. 논문이나 저서 출간은 예년과 같이 증가 추세였고, zoom을 통해 학회 활동 역시 지속되었다. 대부분 이전보다 많은 인원이 참여하고, 학생들이나 신진 연구자들은 채팅창이나 개인메시지(DM)을 이용하면서 참여와 발언이 자유로워졌다는 긍정적인 반응도 많았다. 이 글의 목적은 지난 2년의 학계 동향을 정리하는 동시에 현시점에서 학술 발전을 위해 필요한 사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첫째, 가장 시급하게 보완이 필요한 것은 <회고와 전망>에서 일본 전근대사를 두 분야로 나누는 작업이다. 일본 전근대사는 2년간 이백 육십여 편에 육박하는 방대한 연구가 간행되었다. 이를 한 사람의 필자가 담당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두 번째는 중국사 시대구분의 재조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현재 중국사 분야에서는 1840년에서 1911년까지 50년을 근대사로 설정하고 있다. 50년은 독자적인 시대사로 분류되기에는 다른 시대에 비해 지나치게 짧은 기간이며 명청사, 현대사와 겹쳐지는 주제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최근의 연구들이 연구 주제가 다양화되고 영역 간의 ‘경계넘기’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시대구분에 있어서도 기존의 방식을 고수하기 보다는 좀 더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글로벌 팬데믹 시대의 일상생활 소외

        강수택(Kang, So otaek) 한국이론사회학회 2021 사회와 이론 Vol.40 No.-

        이 논문은 글로벌 팬데믹 상황이 일상생활을 소외시키는 양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팬데믹 상황에서는 감영병 확산의 차단에 효과적인 방역이 중요한 과제다. 그래서 방역당국은 소독 같은 의약적 접근과 거리두기 같은 사회적 접근을 함께 사용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그런데 효과적 방역을 위한 방역당국의 관점과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영역의 관점은 불일치하거나 갈등할 수 있어서 조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방역의 관점과 일상 생활의 관점 사이의 차이에 주목하면서, ‘일상생활의 방역화’ 즉, 방역의 관점에 의한 일상생활의 지배로 인한 소외 양상을 일상생활의 주체, 사회적 관계, 일상적 사고, 일상적 행위의 네 측면에서 분석한다. 그리고 이들 네 측면의 소외 극복을 중심으로 일상생활 소외의 극복 방안과 방향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aims at critically analyzing the alienation of everyday life due to the global pandemic. The effective disinfection is so important task in the global pandemic situation that the authorities promote the policy of effective disinfec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taking the medical approaches like spraying the disinfectant as well as the social approaches like physical distancing. But there can be discrepancy and conflict between the perspective of the authorities for the effective disinfection and the perspective of other areas in the society such as the political, the economic, and the cultural area, so it’s necessary to harmonize both perspectives. I take a special notic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spectives of disinfection and of everyday life. In this context, I will analyze the alienation of everyday life, caused by the disinfectization of everyday life, the dominance of the perspective of disinfection in everyday life, in four aspects: the ego of subject, the social relation, the everyday thinking, and the everyday action. Finally I will propose the ways and the direction of overcoming the alienation of everyday life, focused on the overcoming the alienations in its four aspects.

      • KCI등재

        포스트 팬데믹 시대,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의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조미혜(Cho, Mihye),양민아(Yang, M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를 맞아 대학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을 실제로 운영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동영상 강의와 Zoom을 활용한 실시간 강의를 병행하며 진행한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에 대한 수강생들의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와 보완점을 진단하여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 운영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I 대학교의 2020년도 2학기에 진행된 댄스스포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의 사례에서 수강생들의 강의 평가, 퀴즈와 과제 그리고 교수자의 강의 녹화기록과 수업일지 등의 자료들을 수집하고 이를 텍스트 분석과 내용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4회의 연구회를 진행하여 구성원간 검토와 동료간 협의, 다각도 검증을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수강생들은 온라인 댄스스포츠 교수 프로그램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보았다. 첫째,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와 생활의 활력 증대; 둘째, 춤을 통한 사회적 연대감 유지; 셋째, 신체건강 증진; 넷째, 춤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이다. 결론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은 대면수업에서 적극적인 수강생들의 상호교류가 시너지를 일으켜 보다 높은 교육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수업이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을 진행해야 하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댄스스포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은 하나의 대안으로써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perate and analyze the case of the online teaching program for dance sports as liberal arts and sports in the post-pandemic era. Through this, we identif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online teaching program concurrently conducting online video lectures and real-time lectures at Zoom and diagnose the effectivenes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he program base on the student’s evaluation of the online teaching program. The authors would like to share the experience of this case of the dance sports online teaching program hel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Methods The methodologies were used text and content analysis for analyzing students’ feedback, answers to their quizzes and assignments and instructor’s self-records of lectures and class journals. In addition, four research meetings were held to secur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member check,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students experienced the following effects. First, relieving daily stress and increasing the vitality of life; second, maintaining social solidarity through dancing; third, promoting physical health; and last, forming a positive image for dancing. Conclusions In conclusion, as liberal arts and sports dance sports is a class that can lead to higher educational outcomes by creating synergy between active students in offline class. However in the post-pandemic era where online classes are required. the dance sports online teaching program is meant as an alternative.

      • KCI등재

        코로나19와 뉴노멀의 인문학 - 코로나19 이후,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을 중심으로 -

        양해림 ( Yang Hae-r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1

        최근 종종 언급되고 있는 뉴노멀은 지난 2008년 세계금융 위기 이후 나타난 새로운 경제 질서를 지칭하는 용어로 급부상한 용어이다. 즉, 미국의 버블경제 이후 새로운 경제적 표준(Standard)이 일상화된 미래를 일컫는다. 전(全) 세계가 코로나 19를 겪고 있는 지금, 뉴노멀이 다시 전 세계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이제 코로나19 사태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진행 중인 세계화의 둔화를 재촉하리라는 전망이 불가피하게 많아졌다. 이렇듯 경제적인 변화에서 시작된 이 용어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 이후 자리하게 될 새로운 일상의 정상성이나 표준을 의미하게 되었다. 하지만 뉴노멀 시대에 새로운 표준이 우리 일상의 세밀한 행동을 넘어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과학기술과 예술, 교육 등 거의 전 영역에 걸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적인 변화를 반영해야 할 상황을 마주하고 있다. 이렇게 필자는 뉴노멀 시대에 뉴노멀 인문학이 가야 할 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코로나19가 이후의 사회적 변화를 의미하는 포스트코로나(Postcorona) 시대에 어떻게 인문학을 대비해야 할 것인지 점검해 볼 시점이다. 따라서 필자는 인문학이 뉴노멀 시대에 새로운 변화를 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인문학이 뉴노멀 시대에 인간과 동물의 근본적 관계설정을 다시 해야 하는 이유, 궁극적으로 필자는 코로나19 이후에 다가올 인문학의 역할과 과제 그리고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New normal, which is often mentioned recently, is a term that has emerged as a term referring to the new economic order that emerged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In other words, it refers to the future in which new economic standards become commonplace after the US bubble economy. Now that the whole world is suffering from Corona 19, New Normal is again becoming a global hot topic. Now, the outlook that the Corona 19 crisis will accelerate the slowdown of globalization, which is currently underway with the financial crisis originating from the US in 2008, has inevitably increased. This term, which originated from such economic change, has come to mean a new normality or standard of daily life that will be in place after the corona pandemic. However, in the new normal centuty, new standards foreshadow Copernician revolutionary changes in almost all areas, including politics and economy, society and 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art, and education, beyond the detailed actions of our daily lives. In this way, I would like to consider what the real path of New Normal Humanities in the New Normal period. It is time to examine how we should prepare for the humanities in the postcorona centuty, where Corona 19 means social change in the future.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humanities need to make new changes in the New Normal century, and why we humans need to re-establish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the New Normal century and ultimately the role and challenges of humanities that will come after Corona 19 and the future.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태권도장 경영 트렌드 변화 연구 :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비교

        윤은혜,조성균 한국무예학회 2024 무예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전, 후의 ‘태권도장’ 키워드를 파악하여 코로나 이후 태권도장 경영 트렌드 변화를 확인하고 코로나 뉴노멀 시대에 따른 태권도장 경영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을 위해 네이버, 다음, 구글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뉴스, 카페, 지식 IN, 웹 문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기간은 팬데믹 선언한 2020년 3월 11일부터 2024년 2월 현재까지 약 4년의 기간과 동일 기간을 적용한 2016년 3월 11일부터 2020년 3월 10일까지로 4년의 기간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텍스톰 프로그램을 통해 단어 빈도분석, N-gram분석, TF-IDF 분석, 연결 중심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Ucinet Version 6, NetDraw 프로그램을 통해 네트워크 분석을 시각화하고 CONCOR 분석을 통해 군집화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단어 빈도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성인태권도, 해외에 관련된 키워드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gram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태권도장에 대한 정보 습득과 공유 방식 변화에 관한 키워드가 제시되었다. 셋째, TF-IDF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수련층의 변화 및 회복에 관한 키워드가 상위에 나타났다. 넷째, 연결중심성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정보 전달에 대한 키워드가 상위에 나타났다. 다섯째,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태권도장 운영 및 경영에 대한 요소들이 위치적 요소로 좁아졌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CONCOR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성인태권도에 대한 군집은 사라지고, 코로나 및 사건⦁사고에 대한 군집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keywords associated with "Taekwondojang"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confirm changes in Taekwondojang management trends following COVID-19,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aekwondojang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era of the new normal. Data were collected from blogs, news articles, cafes, knowledge sharing platforms, and web documents provided by Naver, Daum, and Google. The data analysis period spans approximately four years, from March 11, 2020, the date of the pandemic declaration, to February 2024. A corresponding four-year period from March 11, 2016, to March 10, 2020, was selected for comparis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utilized the Textom program for word frequency analysis, N-gram analysis, TF-IDF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Additionally, network analysis was visualized using Ucinet Version 6 and NetDraw programs, and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NC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first, word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e disappearance of keywords related to adult Taekwondo and overseas after COVID-19. Second, N-gram analysis identified keywords indicating changes in information acquisition and sharing methods regarding Taekwondo Dojang after COVID-19. Third, TF-IDF analysis showed that keywords related to changes and recovery in the practicing population emerged as top-ranking after COVID-19. Fourth, Centrality analysis indicated that keywords related to information dissemination ranked high after COVID-19. Fifth, Network visualization analysis confirmed a narrowing of positional factors related to TaekwondoWjang operation and management after COVID-19. Sixth, CONCOR analysis demonstrated the disappearance of clusters related to adult Taekwondo after COVID-19 and the emergence of clusters related to COVID-19 and incidents/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