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수패션모델의 신체적 특성

        정여아(Jeong, YeoAh)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1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2 No.1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s fashion models and providing the basis for the selection and training of excellent fashion model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for 28 excellent fashion models and 34 general fashion models through an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measurement method to determin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xcellent fashion model basic measurement 2 items, subcutaneous fat 8 items, length 8 items, circumference 13 items, width 9 items, height and weight, body shape and career, etc. were measu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the human measurement items of the excellent model and general model data process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technical statistics (Mean, SD) and independent t- verification (Independents-test) method using the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Α level for hypothesis verification. It was set to 0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basic item, excellent fashion models were found to be taller and more weight than regular fashion models. 2. Subcutaneous fat thickness is an excellent fashion model was found to have less subcutaneous fat thickness of the two pronged muscles than the general fashion model. Other items did not differ. 3. In the length item, the length of the legs in front of the general fashion model than the excellent fashion model, the length next to the halibut appeared larger, and other items did not differ. 4. The circumference of the excellent fashion model and the general fashion model did not differ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item 이 연구는 한국 여성 패션모델의 신체적 특성을 분석하여 우수패션모델의 선발과 훈련계획의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측정방법을 통하여 우수패션모델 28명과 일반 패션모델 34명을 대상으로 인체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우수패션모델의 신체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기초 측정 2항목, 피하지방 8항목, 길이 8항목, 둘레 13항목, 너비 9항목, 신장과 체중, 체형과 경력 등을 조사 측정하였다. 우수모 델과 일반모델의 인체측정 학적 항목의 특성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자료 처리 방법은 SPSS 12.0 통계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기술통계(Mean, SD)와 독립 t-검증(Independents-test) 방법을 적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a 수 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초항목에서는 우수패션모델이 일반패션모델보다 신장과 체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피하지방 두께는 우수패션모델은 일반패션모델보다 두 갈래 근의 피하지방 두께 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항목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길이 항목에서는 우수패션모델보다 일반패션모 델의 다리 앞, 넙다리옆 길이가 크게 나타났고 그 외의 항목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 4. 둘레 항목에서는 우수패션 모델과 일반패션모델의 둘레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 KCI등재후보

        패션모델 효능감 구성개념 정립

        이가은(Lee, Ga-Eun),박순희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3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모델이 전반적인 직무 상황에서 성공적인 직업적 수행을 위해 필요한 능력들을 분석하여, 패션모델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패션모델 자기효능감 구성개념을 정립하여 체계화 하는데 의의가 있다. 패션모델 효능감 구성개념을 살펴보기 위하여 모델과 교수, 패션 디자이너, 패션모델로 구성 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형태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패션모델 효능감은 체형관리 효능감, 대인관계 효능감, 퍼포먼스 효능감, 정서조절 효능감으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이 정립된 패션모델 효능감 구성개념은 패션모델의 우수한 역량을 발전시키기 위한 실증적 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며, 패션모델에 관한 다 양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establish the fashion model efficacy construct and develop a fashion model efficacy scale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To examine the fashion model efficacy construct,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n expert group consisting of models, professors, fashion designers, and fashion models. As a result, fashion model efficacy was deduced as body shape management 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efficacy, performance efficacy, and emotion control efficacy. Based on the construct establish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64 questions on four factors were selected as final preliminary questions, which were then used to conduct the main survey with 271 fashion models and model majors. Next, item fit analysis, reliabilit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nd 33 questions on four factors (body shape management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efficacy,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emotion control self-efficacy) were selected as final question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final questions, convergent validity could be secured through predictive validity and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fashion model efficacy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have significance as empirical data to develop the excellent capabilities of fashion models and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various studies on fashion models.

      • KCI등재후보

        남성 패션모델의 자기관리와 모델몰입, 패션쇼 자신감과의 관계

        김진우(Kim, JinWoo)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0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여성패션모델이 인지한 주관적 신체상과 모델효능감,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국내 여성패 션모델 3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표본추출은 비확률표집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하나인 편의표본표집법 (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고,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atory Factory Anaysis: EFA),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패션모델의 주관적 신체상은 모델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패션모델의 주관적 신체상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델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서 여성패션모델이 인지하는 주 관적 신체상은 모델로서 활동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 를 통해 여성패션모델들이 긍정적인 신체상을 함양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여성패션모델 지도 방법, 교육과정 등의 논의 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oretical basis that self-management of male fashion models can get self-confidence on doing fashion show by making them aware of the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and be immersed on their job by studying how self-management has an effect on the model immersion and the confidence of the fashion show. To get to the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by male fashion model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collection fashion show at Seoul and Gyeonggi area. 24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unreliable responses questionnaire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date was collect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hypothesis verification was set up as α<.05 and the result came out as below. First, in the effect on model-immersion by self-management of male fashion models, generally mind-management, practice-management, and life-management except for physical-management as a subordinate factor of self-management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model-immersion. Second of all, in the effect on fashion show confidence by self-management of male fashion models, mind-management and life-management except for training-management and physical-management as a subordinate factor of self-management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ocial/environmental and physical/mental ability confidence as a subordinate factor of fashion show confidence. Finally, in the effect on fashion show confidence by model-immersion of male models, the model-immersion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ocial/environmental and physical/mental ability confidence as a subordinate factor of fashion show confidence. It can be seen that steady self-management raise immersion in model's work and enhances self-confidence. Male fashion models' efforts toward self-improvement and improvement of capacity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model performance improvement factors.

      • KCI등재후보

        패션모델지망 선택동기와 학습태도와 희망활동영역과의 관계

        김재범(Kim, JaeBeom)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1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모델지망생의 선택동기에 따라 학습태도, 희망 활동영역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 하여, 패션모델지망생들에게 있어 사회적 문제로 까지 대두되고 있는 진로선택 및 취업문제에 경험적 제안을 하는 데 있다. 또한 패션모델지망생들이 다양한 방면으로 진출할 수 있는 우수한 자원으로 성장하고 효율적인 교육 방 향을 설정하는데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자료수집은 패션모델지망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 여 총 46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고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하였다. 사용한 분석방법은 빈 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이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 중에서 도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패션모델지망생 중에서도 여성의 평균 신장은 170cm 후반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170cm 전반의 비율이 그 다음으로 높았다. 남성은 180cm 후반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180cm 전반의 비 율이 그다음으로 높았다. 둘째, 패션모델지망생의 선택동기와 학습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평소 패션에 관 심이 많았던 대상이 인지적 학습에 가장 강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적 학습에는 신체 적합성 선택 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셋째, 패션모델지망 선택동기에 따른 희망활동영역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대부분 의 희망활동영역에서 패션관심 선택동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희망활동영역에 따른 학습태도 와의 관계에서는 패션모델 희망활동영역이 인지적 학습, 행동적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긍정 적인 자기개념은 학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교수자는 피교육생에 있어 양질의 모델 수업이 이루 어 질 수 있도록 개인의 동기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learning attitudes and the desired activity areas according to the selection motives of fashion model aspirant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suggestions on career choice and employment that are emerging as social issues for fashion model aspirants. Finally, it is intended to present an empirical basis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education direction for fashion model aspirants to grow as an excellent resource and advance in various fields. To collect data,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questionnaire for fashion model aspirants, used a total of 464 copies for the final analysis, and analyzed data using the SPSS 20.0 program. This study us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s,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average height of women was in the late 170cm which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around 170cm in height among fashion model aspirants. Next, the percentage of males with a height of late 180cm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round 180cm.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ion motives and learning attitude of fashion model aspirants and found that the subjects usually interested in fashion had the strongest relationship in cognitive learning. Also, physically suitable selection motiv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behavioral learning. Third,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red activity areas according to the fashion model selection motivation, and it identified that the fashion interest of selection motive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most of desired activity area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desired activity areas, the desired activity areas of fashion models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behavioral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positive self-concept affected learning attitude and suggests that various discussions on individual motives are necessary so that instructors can provide high-quality model classes for the trainee

      • KCI등재후보

        패션모델 김동수 생애사

        김지언(Kim, Ji Eon)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1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2 No.2

        이 연구는 패션모델과 모델 지도자로서 살아온 김동수의 삶을 바탕으로 그녀의 가치관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참여자의 삶을 이해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구술 생애사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패션모델로 입문하게 된 계기부터 화려한 패션모델로서의 삶, 갈등과 고뇌, 모델과(科) 지도자로서의 시작과 삶, 그리고 현재까지도 계속되는 활발한 활동까지 다양한 그녀의 삶의 과정을 바탕으로 그녀의 가치관을 조명하였다. 구술 생애사 방법을 통하여 들여다 본 결론은 다음과 같다. 패션모델 김동수의 주요 활동을 바탕으로 패션모델 김동수의 가치관을 살펴본 결과 도전정신, 노력, 재능과 끈기, 자부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미국 모델 콘테스트의 입상을 시작으로 한국인 최초 해외에서의 활동을 보여준 도전정신과 자신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했다. 독보적인 무대 장악력에서 비춰지는 재능과 좌절 속에서도 극복하려는 의지와 지속적인 자기관리는 패션모델로서 그녀의 끈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패션모델 김동수‘라는 말이 가장 먼저 듣고 싶다는 그녀의 말에서 패션모델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다. 모델 지도자 김동수의 지도 경험을 바탕으로 지도자 김동수의 가치관을 살펴본 결과 목표의식, 품성, 책임감, 판단력, 진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동수는 모델과(科) 설립을 통해 패션모델의 사회적 지위향상을 기대하였고 이는 모델 지도자로서의 시작을 결심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김동수는 자신의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전략을 세웠으며 지도자 양성, 패션모델을 위한 비전 제시, 전문 패션모델 양성을 목표로 두었다. 또한 강사를 섭외함에 있어서도 실력, 강사의 인성, 미래를 볼 줄 아는 혜안, 미래 가능성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원칙으로 하였다. 이러한 김동수의 전략과 원칙을 통해 그녀의 목표의식과 진취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 모델 지도자로서 모델과(科)의 미래를 책임지기 위한 김동수의 판단력이 돋보인다. 또한 제자들을 위해 겸손한 자세로 도움을 요청하고 부족함을 채우려는 김동수의 모습에서 겸손한 그녀의 품성과 모델과 유지를 위한 책임감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김동수가 패션모델과 모델 지도자로서 어떠한 삶을 살아왔는지. 어떠한 가치관을 지니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현재까지도 끊임없는 도전과 노력으로 한국 패션모델계를 대표하는 김동수의 생애사는 패션모델계의 첫 생애사로서 의미 있는 연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er values based on the life of DONG-SU KIM who has lived as a fashion model and model lead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fe of particip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oral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which i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rom the moment of entering into fashion model to the life as glamorous fashion model, conflict and agony, the beginning and life as a model and a leader in model studies, and the active activities that continue to this day, she cast light on her values based on various life process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rough oral life history method are as follows. Based on the main activities of fashion model DONG-SU KIM, the values of fashion model DONG-SU KIM can be explained by challenging spirit, effort, talent and persistence and pride. Starting from winning the USA Model Contest, she tried to establish her own unique identity and challenge spirit that showed the first Korean' overseas activities. Her willingness to overcome even in the talent and frustration reflected in her unique stage presence and her continuous self- management were able to confirm her persistence as a fashion model. I was also proud of the fashion model in her words that she wanted to hear the word 'Fashion model DONG-SU KIM' first. Based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the leader in model studies DONG-SU KI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lues of leader DONG-SU KIM,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ense of goal, character, the sense responsibility, judgment and progressive spirit. DONG-SU KIM expected the social status of the fashion model to improv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Department of Model Studies, which led to her decision to start as a leader. DONG-SU KIM has set up strategies based on her various experiences and aimed to train leaders, to present vision for fashion models, and to cultivate professional fashion models. In addition, in the recruitment of instructors, it was made in principle whether the instructor has an open mind about the ability, the personality of the instructor, the keen insight to see the future, and the future possibility. Through DONG-SU KIM's strategy and principles, she was able to confirm her goal consciousness and progressiveness, in addition, DONG-SU KIM's judgment ability to take charge of the future of department of model studies is outstanding. Also, in DONG-SU KIM's humble attitude for her disciples to ask for help and to fill the shortage, I could feel her humble personality,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maintenance of department of model studies. Through this study, I could find out what kind of life DONG-SU KIM has lived as a fashion model and a leader of department of model studies and what values she has. Even now, the life history of DONG-SU KIM, who represents the Korean fashion model world with constant challenges and efforts, is considered to be a meaningful study as the first life history of the fashion model world.

      • KCI등재

        상품의 패션성과 광고모델 매력도 유형의 적합성에 대한 연구

        이지현(Lee Jihyun),이동일(Lee Dong-Il) 한국상품학회 2008 商品學硏究 Vol.26 No.1

          최근 패션성이 다양한 상품군에서 상품의 중요한 속성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상품의 특성과 광고에 사용되는 모델의 매력도 유형에 대한 적합성이 높아야 광고의 효과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상품을 패션성에 따라 분류하고 그에 맞는 매력도의 모델을 선택하는 문제가 광고의 효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품을 패션성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다양한 유형의 모델의 매력도를 측정해 매력도 유형을 분류했으며, 상품의 패션성과 모델의 매력유형을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BR>  상품의 패션성은 유통/생산 패션성과 디자인 패션성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였으며, 매력도 유형은 트렌디한, 귀여운, 역량있는, 여성스러운의 네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매력도 유형점수를 독립변수로, 상품의 패션성에 대한 평가에 따라 분류된 상품에 대한 모델의 적합도에 따라 산정한 상품의 패션성 점수를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 유통/생산 패션성에는 ‘귀여운’이, 디자인 패션성에는 ‘트렌디한’이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통/생산 패션성이 높은 상품의 광고에는 귀여운 매력의 모델을 , 디자인 패션성에는 트렌디한 매력 유형의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BR>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업이 상품의 광고 모델을 기용할 때 상품의 특성에 맞는 모델을 선정할 수 있게 하는 기준을 도출했다.   Recently, fashionability is regarded as the important attribute of product. Also, many researches support the fact that match-up of product characteristics and model attractiveness type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communication.<BR>  Therefore,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type of model attractiveness with the product fashionability is crucial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effectiveness. In this study, two research questions are explored. Firstly, various products based on the product fashionability types and the attractiveness type based on measuring various models" attractiveness were classified, secondl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ability and attractiveness type was explored.<BR>  The fashionability of product has two dimensions such as retail/manufacture fashionability and design fashionability. And the model attractiveness type was classifed into four dimensions such as "trendy", "cute", "competent", and "feminine".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cute" dimension on retail/manufacture fashionability and "trendy" on design fashionability shows significant effects repectively. Therefore, model with cute type attractiveness is recommended to a product which has high level retail/manufacture fashionability. Also, model with trendy type attractiveness is recommended to a product which has high level design fashionability. The result shows selection of the model attractiveness type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match-up effect of the product fashionability.

      • KCI등재

        현대 패션에 나타난 모델의 다양성과 가치

        김선영(Kim, Sun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현대 패션 영역에서 확대되고 있는 비전문 패션모델에 주목하여 모델의 다양성 사례를 고찰하고 이에 내재된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는 패션모델이 한 시대의 미적 이상을 반영한다는 관점에서 현 시대와 패션이 추구하는 미의 관점을 조명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 고찰과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첫째, 모델의 유형과 속성, 패션커뮤니케이션 도구라는 관점에서 모델의 변화 경향을 문헌 고찰하였다. 둘째, 패션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활용되는 매체인 패션컬렉션, 광고 캠페인, 소셜 미디어, 패션 매거진 및 협업 등으로 구분하여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사례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 고찰을 통해 파악된 모델 다양성의 가치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패션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각종 매체에 등장한 모델은 평범한 일반인 모델뿐만 아니라 인종, 나이, 사이즈, 성 정체성, 장애 등 기존 패션모델에 대한 고정관념을 벗어나 다양성의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모델의 다양성은 패션모델의 민주화, 미의 다양성에 대한 재조명, 패션 판타지의 현실화라는 측면에서 가치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 패션이 획일화된 모델의 관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여성의 아름다움 그 자체를 수용하여 이 시대와 소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보다 확산될 것으로 예측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verse cases of fashion model in contemporary fashion field making use of non-professional models increasingly and find out the imbedded meaning here. In a sense that the fashion model reflects esthetic idea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provides a chance to look into aesthetic perspectives that the contemporary fashion seeks for.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both used for research method. Firstly, the changing trend of model was reviewed on its type, characteristic, and tool as communication. Secondly, cases were examined from 2010 through 2016 according to fashion collection, advertisement, campaign, social media, fashion magazine, and collaboration as a tool of fashion communications. Lastly, value in diversity was searched via the examined cases. Results indicated the manifold characteristic trends by the race, age, physical size, sexual identity and disability as well as those in the common model beyond the conventional stereotype about fashion models appearing in various media for fashion communications. Such diversity in model is thought to have a value in terms of democratization of model, reconsideration of aesthetic diversity, and realization of fashion fantasy. This study shows that modern fashion goes through communications in line with contemporary times by getting away from the view point of unified conformity and accepting the feminine beauty itself variously. This study also expects such a trend will keep spreading.

      • KCI등재

        패션사진에 표현된 일상적 특성 - 일반인 모델과 작업한 패션사진작가를 중심으로 -

        박선희,임은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사진에 일반인 모델이 등장하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 작가의 주관적 개념이 나타난 패션사진작가의 작업을 통해 현대의 패션사진 속 일반인 모델의 일상적 특성을 고찰하고, 나아가 패션산업의 일면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본고를 통해 정보전달의 수준을 넘어서 문화적 관점을 보여주는 사진작가들의 작업을 통해 현대 패션사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첫째, 패션사진 속에 일반인 모델이 출현한 배경 및 변천을 고찰하였다. 둘째, 앞에서 고찰한 사항을 토대로패션사진에 표현된 일상적 특성을 연령 파괴, 이상적 신체의 파괴, 비 주류적 스타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연령 파괴’에서는 고령의 모델을 사진에 담아 사진의 객관성을 탈피하여 패션의 방향 전환을 제시하고 있다. ‘이상적 신체의 파괴’에서는 일반인 모델이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는 수단으로 이상적 신체의 부재 속 미의다양성을 제안하는 방법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 주류적 스타일’에서는 소외된 집단의인간적 특성과 자율성을 지지하는 작업을 통해 주관적 개념을 표현하고 있는 작가들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셋째, 이에 나타난 특징들을 토대로 현대사회에 표출된 대중의 소비적 욕구를 부추기는 수단의 하나로 사용되는 일반인 모델의 이미지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으며, 연구범위는 패션사진에 일반인 모델이 등장하기 시작한 198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패션사진작가들이 활동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패션사진의 연구범위는 패션사진 업계에서의 영향력 및 언론에 보도된 자료에 근거하여 닉 나이트, 앤더스 애드스트롬, 데이빗 심스, 나이젤 샤프란 등과 같은 일반인모델과의 작업이 많은 패션사진작가들을 연구대상으로 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represented in the ordinariness in contemporary fashion photography of non-professional models through the works of fashion photographers since 1980s when non-professional models began to appear in fashion photography.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literature researches as well as th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broadens the scope of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fashion photography through the works of photographers who presented a critical perspective of the cultural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non-professional fashion models, second, categorization of ordinariness in fashion photos into the subversion of ideal age, the subversion of ideal body, and fringe style. In ‘subversion of ideal age’, directional changes in fashion photos by utilizing old models are presented. In ‘subversion of ideal body’, intended absence of ideal bodies in amateur models is utilized to show diverse types of beauty and maximize marketing efforts. In ‘fringe style’, artists who express subjective concepts through minorities’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ties are analyzed. Third, analysis of meanings behind the non-professional models used to create images encouraging the consumer culture is conducted. The scope of this research includes fashion photographers between 1980s~2010s who often collaborated with non-professional models such as Nick Knight, Anders Edström, David Sims, and Nigel Shafran. These artists were chosen based on their influence in the industry, and reported articles in media.

      • KCI등재

        SPA패션브랜드의 광고모델속성이 브랜드인지도,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해외 SPA패션브랜드의 비교

        손효항(Sun Xiaohang),이영숙(Young-Sook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수많은 패션브랜드는 자사 패션제품을 소비자에게 소구되기 위한 수단으로 광고를 제작하는데 이때 자사제품에 가장 적합한 이미지를 가진 모델을 기용하여 광고제작을 하고 있고, 그리고 각종 프로모션에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패션회사의 제품이 소비자에게 소구 혹은 긍정적인 인식을 갖기 위해서는 제품을 알리는 광고모델의 역할은 아주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브랜드 가운데 가장 다양한 광고모델을 등장시켜 광고하고 있는 SPA브랜드 가운데 중국 국내 SPA패션브랜드와 해외 SPA패션브랜드를 선정하여 이 광고모델의 속성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이 연구를 위하여 중국 여자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는다음과 같다.1. SPA패션브랜드의 광고모델의 속성 요인들 중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중국국내 SPA패션브랜드 는 유사성, 신뢰성, 전문성 순으로, 해외 SPA패션브랜드는 전문성, 유사성, 신뢰성, 친밀성 순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중국 국내 SPA패션브랜드는 전문성, 유사성, 신뢰성 순으로, 해외 SPA패션브랜드는 친밀성, 매력성, 신뢰성, 유사성 순으로나타났다.2. SPA패션브랜드의 광고모델의 속성 요인들 중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중국 국내 SPA패션브랜드는 유사성, 전문성, 친밀성 순으로, 해외 SPA패션브랜드는 유사성, 매력성, 전문성 순으로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국 SPA패션브랜드와 해외 SPA패션브랜드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선호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Numerous fashion brands make advertisements as a way to appeal to their consumers, and at the same time, they make ads using models with images that are most suitable for their products, and are making use of them for various promotions.Therefore, in order for a fashion company s product to have a positive or positive perception to the consumer, the role of the advertising model that advertises the product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we selected the SPA fashion brand in China and SPA fashion brand in Korea among the SPA brand that advertise the most diverse advertising model among fashion bra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advertising model are classified into brand awareness,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l would like to investigate whether it influences 1.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the SPA fashion brand attributes on the brand awareness, the Chinese domestic SPA brand has the order of similarity, reliability and expertise, and the overseas SPA fashion brand has the order of professionalism, similarity, reliability and intimacy. As for the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SPA brands in China are in order of professionalism, similarity and reliability, and foreign SPA fashion brands are in order of affinity, attractiveness, reliability and similarity.2. Among the attributes of the SPA fashion brand, the domestic SPA brand has similarity, expertise, and intimacy. The foreign SPA fashion brands have similarity, attractiveness and expertise. As a result, brand awareness and brand preference of Chinese SPA fashion brand and overseas SPA fashion brand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후보

        패션모델의 영역확대에 관한 연구 –모델테이너 활동을 중심으로

        사은영(Sa, Eun-Young),최정은,정여아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1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2 No.2

        본 연구는 전문화되어가고 있는 패션모델의 모델테이너 활동을 학문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헌연구와 패션모델과 학생대상 인식조사, 업계전문가로 구성된 5인의 심층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 현재 모델테이너의 활동특성은 다음과 같다. 패션모델들이 직업 수명을 연장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방송이나 영화로 활동영역을 확장하여 활동했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는 패션모델로서의 본질을 지킴과 동시에 다양한 활동을 병행하며 ‘multi modeltainer’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특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활동영역확대 시기도 패션모델경력 3~4년 정도로 비교적 빨라졌으며, 패션모델의 신체조건과 커리어는 활동영역확대에 있어 완전한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더불어 방송환경의 변화 즉, 채널의 증가와 새로운 콘텐츠의 생성, 케이블방송 채널의 인기는 많은 엔터테이너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 美의 동질화는 ‘한류’의 영향을 받아 모델테이너들의 역량을 글로벌 무대에서도 경쟁력 있는 엔터테이너로 성장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모델컴퍼니와 전략적 제휴 또는 MOU를 맺거나 다수의 모델테이너를 보유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회사는 상당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모델테이너를 체계적으로 교육 및 매니지먼트 함으로써 산업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통해 상당히 긍정적인 전망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cademically define fashion models’ activities and performance as modeltainers, which are currently being specialized. As methods to develop the research, the study reviewed literature, conducted an investigation on understanding of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model studies and had in-depth interviews, at the same time, with a group of five experts in the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modeltainers’ present performance that this study has found out are presented as follows. In the past, fashion model had once tried to lengthen their occupational lifespans by approaching fields of broadcasting and films, but it was only a temporary work. Now, at present, however, the study learned that the fashion models are fulfilling their roles under the name of ‘multi modeltainers’ in diverse fields as still keeping their originality as the fashion models. After all, that became a cause to move up debuts of the fashion models into the other fields, and they advance into the different worlds only three or four years after they start working as fashion models. Physical conditions and careers of the fashion models are operating as the complete advantage when the models are trying to expand their work boundaries. In addition, changes in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such as increase in the number of channels, creation of new contents and growing popularity of cable channels are asking for even more of the entertainers, and the study forecasts that with the help of ‘hallyu’, homogeneity of the global beauty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modeltainers’ abilities to cultivate the fashion models themselves as competitive entertainers in the international stage. As a consequence, these entertainment companies that have concluded strategic contracts or MOUs with model agencies and multiple modeltainers are being quite a huge issue and as far as this study understands, such companies are working with the positive outlook in relation to their industrial functions as systematically training and managing the modeltai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