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본 당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

        성기련 ( Ki Ryun Sung ) 판소리학회 2010 판소리연구 Vol.30 No.-

        본고는 20세기 전반기 등장한 유성기음반이라는 매체를 통해 근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을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성기음반 산업이 전성기를 맞았던 1929년에서 1945년 사이에는 근대화의 진행으로 경제와 사회 구조가 변한 것은 물론 전통사회의 음악문화가 해체되어 판소리 연행과 관련한 사회·문화적 환경도 급격히 바뀌게 되었다. 특히 유성기음반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판소리 향유 방식은 향유층의 양적 확산 및 향유권의 지역적 확장으로 이어졌고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판소리에 대한 미의식도 다양해지게 되었다. 20세기 전반기에 유성기음반을 통해 판소리를 감상하는 향유층은 소수의 귀명창 집단과 다수의 대중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판소리사에 대한 이해와 판소리에 대한 심미안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19세기 명창들의 더늠을 담은 `명창제`와 같이 정통성 있는 소릿조를 수록한 음반을 감상하고자 했던 데에 반해, 후자의 경우는 유성기음반을 취입한 판소리 창자의 인지도 혹은 특정 대목에 대한 선호도에 의해 음반을 구매하며 대중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했다. 또한 이들은 곰삭은 듯한 수리성보다는 맑은 청구성의 성음을 가진 창자의 소리를 선호하여 임방울과 이화중선과 같은 창자들이 이 시기에 부상하게 되었다. 유성기음반을 다수 취입한 명창들은 새로운 미의식을 가진 청중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소수 귀명창의 미의식뿐 아니라 다수 대중들의 미의식 역시 중요하게 생각하여 이를 소리에 반영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20세기 전반기 유성기음반 산업의 발달은 1930년대 판소리 음악문화의 부흥으로 이어졌고, 당대 명창들이 남긴 유성기음반은 20세기 전반기 판소리에 대한 이해는 물론 그 이전 시기인 19세기 판소리에 대한 이해까지 가능하게 해 준다. This thesis is intended to study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Pansori audiences through the medium of phonograph records which emerged in the modern times. From 1929 to 1945 when phonograph recording industry enjoyed its period of prosperity, the musical culture of the traditional society was dismantled and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Pansori performance changed dramatically through the Japanese ruling era of Korea as well as the change of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 caused by the modernization.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phonograph recording industry created new types of Pansori enjoyment, which increased the population of audiences and diversified the aesthetic concepts of Pansori. The audiences who enjoyed Pansori through phonograph records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can be classified into a small number of Gwimyeongchang group (people who enjoyed Pansori fully and aesthetically) and a large number of the public group. While the former tried to appreciate legitimate Pansori songs with a good understanding of Pansori history and an aesthetic sense of Pansori, the latter purchased phonograph records because of the popularity of Pansori singers who phonographically recorded their songs or their preference for a specific phrase and strongly pursued its popularity. Accordingly, the former preferred Myeongchangje Records, which imitated Deoneum (a section unique to a particular singer) of eight master singers who lived in the 19th century. The latter group preferred Cheongguseong (Innate, glossy voice of high tone) rather than the thick vocal sound of Sooriseong. Therefore, Lee Hwajungsun and Im Bang-Ul recorded a lot more songs than other Pansori singers and won fame as a rising master singer. Pansori singers valued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public as well as a small number of Gwimyeongchang group and tried to actively reflect them in Pansori. Accordingly, they made records reflecting their individual legitimacy on one hand and tried to meet the demand of the public to some extent. The development of the phonograph recording industry in the early 20th century caused the revival of Pansori culture and enable the improved understanding of Pansori in the 19th century as well a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근대 여창(女唱) 판소리의 문예적 특질

        이유진 판소리학회 2015 판소리연구 Vol.40 No.-

        This paper discusses the view of pansori and the consciousness of transmission which the fe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had, and analyze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ir pansori texts. While the 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were the successors to gwangdae, the fe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were the successors to gisaeng. The female pansori singers of modern times considered pansori as vocal music which was the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al gisaeng culture. The ideal pansori, they aimed for, was the changak which could touch the audience delicately as the traditional gisaeng vocal music did. Accordingly, the greatest female pansori singers such as Park Rokju, Park Chowol, Kim Sohui re-edited and modified their pansori texts, and due to their efforts the female singers' pansori of modern times gained the dignity and the lyrical beauty as its literary characteristics. 본 논문에서는 근대 여성 명창을 대표하는 박록주, 박초월, 김소희의 판소리 텍스트가 동시대 남성 명창들의 판소리 텍스트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근대 여성 창자들의 판소리관 및 전승의식과 관련지어 그 문예적 특질을 고찰했다. 근대 남성 판소리 창자들이 광대문화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의식을 가지고 판소리를 전승했던 것과 달리, 근대 여성 판소리 창자들은 기생문화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의식을 가지고 판소리를 전승했다고 볼 수 있다. 근대 여성 창자들은 판소리를 ‘놀음’이 아닌 ‘창악(唱樂)’으로 인식했는데, 그것은 전통적으로 기생들이 연행해 온 가악(歌樂)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청중의 마음을 섬세하게 건드리는 창악을 지향하면서 근대 여성 창자들은 판소리의 음악적 기교와 성음을 세련했고, 문학적인 면에서도 그에 상응하는 변화를 일으켰다. 그들은 판소리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터무니없는 이야기, 어리석은 대화, 음란한 말장난 등으로 청중의 웃음을 자아내는 대목들을 배제하거나 그러한 대목들에 담긴 비속한 내용을 순화했으며, 판소리 작품의 주인공들을 품위 있는 인물들로 형상화했다. 그리고 서사성 또는 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대목의 텍스트를 과감히 요약하거나 삭제하여 기존 판소리에 비해 서사성과 극성은 약화되고 서정성은 더욱 강화된 판소리를 탄생시켰다. 또한, 그들은 서정적 창 대목을 새로 만들어 넣거나 당시에 전승되고 있었던 창 대목의 텍스트를 섬세하게 다듬어 그 서정미가 더욱 빛나도록 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 KCI등재

        학교 교육 안에서의 판소리 교육 현황과 실태

        채수정 ( Su Jeong Chae ) 판소리학회 2010 판소리연구 Vol.30 No.-

        판소리는 구비 문학 가운데 판소리 소설을 노랫말로 부르는 전통 성악곡이다. 이런 판소리는 전통 사회에서 지극히 도제(徒弟)식 구전심수(口傳心授)로 전승되어왔으며, 아직까지도 판소리를 처음 입문하는 학생들은 학교에서 판소리에 입문하는 경우보다는 개인적으로 스승을 모시고 판소리 학습을 시작하는 예가 많다. 이렇게 판소리에 입문한 학습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학교`라는 제도권 교육기관에 진학하게 되면서, 개인적 사승관계를 벗어나 새로운 판소리 교육 현장을 만나게 된다. 이런 현실에서 학생들이 기존에 사사하던 판소리 선생님에게도 계속적으로 학습을 하는 예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그렇다면 전통사회에서 구비 전승되던 판소리 교육이 `학교`라는 전문 국악교육 기관에 흡수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판소리 교육은 과연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을까?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판소리 전공자를 선발하는 고등학교 및 대학교로 한정하였으며, 이 범위 내에서 정원대비 선발인원, 전통 판소리 5대가의 교육방식, 판소리 실기 외에 판소리 전공생들이 학습하는 교과목의 종류 등을 두루 살펴보았다. 고등학교로 국립 국악 고등학교, 국립 전통 예술 고등학교(前서울 국악 예술 고등학교), 광주예술학교, 대전 예술 고등학교, 전남 예술 고등학교, 전주 예술 고등학교, 남원 국악 예술 고등학교(前 남원 정보 고등학교), 한국 전통문화 고등학교가 설립되어 있으며, 대개 전라도 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었다. 그리고 수업에서는 전통 판소리 5마당을 담당 전공 실기 강사와 협의 후에 학습하는 예가 대부분이었다. 대학에서는 서울대, 이화여대, 추계 예술대, 한양대, 한국 예술종합학교, 서울 예술대, 서원대, 용인대, 수원대, 중앙대, 목원대, 단국대, 경북대, 부산대, 영남대, 전남대, 전북대, 우석대, 원광대 등에 관련 전공 학과 및 전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대개 서울·경기 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전공 수업 시 교수 혹은 강사와 협의 후 전공 내용을 결정하고 있었으며, 전공 외 수업으로는 국악이론/국악사, 서양음악이론/서양음악사/화성학/대위법, 국악분석/고악보 분석/문헌분석/국악서강독, 창작음악분석/평론, 한자/노랫말분석, 국악교육론, 예술경영/기획/공연론, 시창·청음, 반주법(고법포함), 연기/창극, 기본악기(단소, 소금), 무용 등의 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이러한 판소리 교육 관련 현황, 그리고 판소리를 전공하는 일반 재학생·학과 조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조사 자료를 근거로 하여 제시한 발전 방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판소리 전문 교육기관이 필요하다. 둘째, 교과과정 및 각 학교별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커리큘럼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들 간의 소통이 가능한 `판소리 음악연구회`와 같은 모임을 결성하여 음악적 내용에 대한 교류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문학-음악-연극 등을 아우를 수 있는 교과목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판소리 전공 전임교수가 있어야 한다. 판소리 예술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 전공 교육의 전문화·특성화가 필수적이다. 유네스코가 판소리를 세계의 무형문화 유산으로 지정해 그 가치를 알려 주었다면, 이제는 세계 무대에 나가 당당히 판소리의 멋과 가치를 알릴 수 있는 세계적 판소리 예술가를 만들어 내는 교육은 우리가 책임져야 할 과제가 아닌가 싶다. Pansori is a genre of musical storytelling performed by a vocalist and a drummer. As its lyrics are composed of Korean novels or stories, Pansori is counted as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oral literatures. Within traditional society of Korea, Pansori has been passed down in a form similar to apprenticeship. Even till now, students entering the field of Pansori personally find the master/teacher for oneself rather than being introduced to the subject through an institute or school. As time passes, students studying Pansori go to established institutes such as Art Schools or Universities. Then, students proceeds to enter a new educational environment of Pansori in addition to the exclusive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Pansori master. However, the reality is that students generally remai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revious master and continue practicing and getting lessons. Let`s look at how today education system has included the Pansori in `transmission orale` form from traditional society to the new professional school system of today. First, the writer limited the samples to high school and universities with students studying Pansori. The research studied about the number of students admitted, education methods, subjects taught in school and etc. For high schools, there are 국립 국악 고등학교, 국립 전통 예술 고등학교(前서울 국악 예술 고등학교), 광주예술학교, 대전 예술 고등학교, 전남 예술 고등학교, 전주 예술 고등학교, 남원 국악 예술 고등학교(前 남원 정보 고등학교), 한국 전통 문화 고등학교 and they are highly concentrated around 전라 area. Most of classes are following the teaching style of watching practical performances and then practicing. For universities, there are 서울대, 이화여대, 추계 예술대, 한양대, 한국 예술종합학교, 서울 예술대, 서원대, 용인대, 수원대, 중앙대, 목원대, 단국대, 경북대, 부산대, 영남대, 전남대, 전북대, 우석대, 원광대 with Pansori and Pansori related majors and most of them are distributed within Seoul and KyungGi area. Most of universities are having students decide their majors after discussing with professors and teachers. The non-major courses include Korean Music Theory/History, Western Music Theory/History, Korean Music Education, Artistic Administration, Performance/Theater, Dance and etc. The writer has gathered recommendations and opinions from current students and the teacher assistants to improve Pansori, and Pansori-related major curriculum. First, establishing professional Pansori education center is necessary. Second, curriculums and programs reflecting school`s own unique style should be prepared. Third, meetings and conventions related to studies on Pansori need to be organized in order to promote communications within students and to encourage exchanges of musical knowledge. Fourth, subjects that navigate all the aspects of culture, music and theatre should be developed. Last, there must be faculty members with Pansori major. In order to promote stable and continuous development of Pansori Art, specializing school`s curriculums and programs are essential. UNESCO has esteemed the value of Pansori by inscribing it on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Now it is time for us to get on the stage and let the world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Pansori. However, we must remember that it is OUR job and responsibility to produce such talents to grow into world-class artists by providing appropriate and excellent educations.

      • KCI등재

        내포지역의 판소리 문화와 명창 연구

        김석배 국립무형유산원 2022 무형유산 Vol.- No.12

        Recently in-depth studies on junggoje pansori have been conducted, and remarkable results have been accumulated. This paper aims to explore pansori in the Naepo region, the home to junggoje pansori, and to increase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junggoje pansori.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Naepo region,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pansori, included ten villages—Dangjin, Myeoncheon, Seosan, Taean, Haemi, Gyeolseong, Deoksan, Hongju, Shinchang, and Yesan. This region formed its own culture circle, for it was blocked by Asan Bay, Cheonsu Bay, and the Geum River. But it also had cultural properties of Gyeonggi Province because it was near Hanyang and Gyeonggi Province. Junggoje pansori singers settled down there and developed their own art world, for there was a great deal of farm and sea produce. In addition, there were plenty of human resources such as music-related public servants of the Hongju Office and many poor musicians at hyang, so, and bugok. And five-day interval village markets in the region appear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pansori for they played a role as a performing stage. Second, pansori masters who were from Naepo region or performed there were summed up as follows, according to their performing village. Pansori masters from Hongseong or who performed there were Choe Seon-dal, known as father of pansori; Yu Gong-ryeol(dongpyeonje), who is the best student of Jeong Chun-pung; Gim Chang-ryong(junggoje), who performed at the Yonghori market place; and Han Seong- jun, who was the best drummer and dancer. Pansori masters from Seosan or who performed there were Bang Man-chun having a voice of grand volume; his grandson Bang Jin-gwan; Go Su-gwan famous for eight renowned singers in the former period; Shim family(Shim Jeong-sun, Shim Sang-geon, Shim Jae-deok, Shim Mae-hyang), who ruled their time with Gayageum Byeongchang and Sanjo; and Kim Bong-mun(dongpyeonje). Besides, Yun Yeong-seok from Myeoncheon was famous for tobyeolga, and Yeom Gye-dal from Deoksan was one of eight renowned singers in the former period. 최근에 중고제 판소리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가 축적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중고제 판소리의 터전인 내포지역의 판소리 전반에 대해 두루 살펴 중고제 판소리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더하고자 한다. 이제까지 살펴본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포지역은 중고제 판소리의 터전으로 판소리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곳이다. 내포지역은 당진, 면천, 서산, 태안, 해미, 결성, 덕산, 홍주, 신창, 예산 등 10고을을 일컫는다. 이 지역은 아산만과 천수만, 금강 등으로 차단되어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하는 한편 한양과 경기도와 인접하여 근기권으로서의 문화적 특성이 있다. 또한 농산물과 해산물이 풍부하여 중고제 소리꾼들이 뿌리내리며 예술세계를 펼쳤다. 그리고 홍주진관에 편제되어 있는 악생 등 많은 음악인과 향ㆍ소ㆍ부곡의 많은 천민 재인들은 음악을 제공할 수 있는 풍부한 인적 자원이었다. 또한 조선 후기에 발달한 이 지역의 5일장시도 중요한 판소리 연행공간 역할을 함으로써 판소리 발전에 기여하였다. 둘째, 내포지역 출신이거나 이 지역에서 활동한 판소리 명창 등을 지역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홍성지역 출신이거나 이곳에서 활동한 명창으로는 판소리의 비조로 알려진 최선달을 비롯하여 정춘풍의 수제자인 동편제 유공렬, 용호리 장터에서 활동한 중고제 김창룡, 명고수이자 명무인 한성준 등이 판소리 발전에 이바지했다. 서산 지역에는 웅장한 성량의 방만춘과 그의 손자 방진관, 전기팔명창으로 이름이 높은 고수관, 가야금병창ㆍ산조로 한 시대를 풍미한 심정순 가문의 심정순ㆍ심상건ㆍ심재덕ㆍ심매향 등이 있으며, 동편제 김봉문도 있다. 그리고 면천 출신에 토별가로 유명한 윤영석이 있고, 덕산 출신에 전기팔명창에 꼽히는 염계달 명창도 있다.

      • KCI등재

        판소리를 수용한 산조의 음악 양식에 관한 연구 -판소리와 가야금산조의 장단,조,시김새 비교 고찰을 통해-

        유선미 ( Sun Mi You ) 판소리학회 2010 판소리연구 Vol.29 No.-

        산조는 무악(巫樂)의 흩은 가락에서 판소리의 영향을 받아 정형적(定刑的)이면서도 즉흥성이 살아있는 음악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 서양음악 형식의 채보와 교육방법에 의해 산조가 지니는 전통적인 음악 특징을 잃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산조 형성과 발달에 절대적 영향을 끼친 판소리의 음악양식과 오늘날 산조의 음악양식을 비교하여 산조가 판소리와 동일한 음악양식을 갖고 있음을 고찰하고, 산조의 전통적인 음악특징을 바르게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고에서 산조와 판소리의 음악양식을 비교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판소리와 산조는 음악적 근원을 무악에 두고 있음이 같다. ·산조장단의 `명칭, 진양조 기(起)경(景)결(結)해(解)에 따른 장단구성, 각 장단의 내드름, 도섭장단형식` 등이 판소리의 그것과 같다. 다만 판소리는 사설 내용에 따라 장단이 사용되며, 사설이 없는 산조는 장단을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등 빠르기 순으로 정형화 하였다. ·산조의 악조(樂調)는 판소리의 악조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판소리의 악조는 이전부터 전해 내려 온 전통음악, 즉 가곡이나 영산회상 등에서 사용하던 우조·평조·계면조를 사용하되 사설의 내용에 따라 좀더 세분화시켜 발전되었고, 가사 없는 산조의 악조(樂調)는 판소리의 악조를 더욱 세분화 시켜 악상을 표현하였다. ·판소리의 시김새를 선율과 결합되어 있는 목으로 분류 고찰하고, 산조의 선율에 따른 성음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산조는 판소리의 시김새를 악기로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산조는 판소리의 음악양식을 그대로 흡수 발전시킨 음악이다. 이러한 음악을 단지 편하다는 이유로 서양 음악의 리듬과 박자, 그리고 음 이름을 사용하여 교육하고, 또 서양음악 어법으로 이해하여 연주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본 연구자는 산조를 교육하고 연주하는데 있어 표기는 서양음악식 기보를 사용하더라도 음악의 장단·시김새·악조(樂調) 등은 국악어법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산조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산조 선행학습으로 판소리를 배우거나 많이 들어서 장단·시김새·악조(樂調)등이 익숙해지도록 할 것을 제언한다. Sanjo had been developed as a music having improvising with a fixed foam under the influence of Pansori from the Heotuen melody of Korean Shamanism music. Currently, this traditional musical characteristic of Sanjo has been loosed by adapting the Western music notation and approach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considered Sanjo and Pansori had the same musical style by comparing Sanjo and Pansori influenced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anjo, and aimed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musical characteristic of Sanjo.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after comparing the musical style of Sanjo and Pansori. ·Both Sanjo and Pansori were based their origins on Korean Shamanism music. ·The names of Sanjo Jangdan, the constitution of the Jangdan by Ki·Kyung· Kyul·Hae of Jinyangjo, and the Naedueruem of each Jangdan and the foam of Doseop Jangdan are the same with those of Pansori. However, Pansori used Jangdan by the contents of its texts, and the Sanjo Jangdan having no its texts had fixed the foam by the orders of tempo, like Jinyang-Jungmori-JungJungmori-Jajinmori-Hwimori. ·The musical mode of Sanjo used those of Pansori, like Utjo·Pyungjo·Gyemyunjo which had used in Gagok or Youngsanhwoesang, and had been developed by the content of its texts. However, the mode of Sanjo having no its texts expressed by subdividing that of Pansori. ·After the Sigimsae of Pansori considered the sound with combining its melody, and compared the sounds by the melodies of Sanjo, this paper concluded that Sanjo expressed the Sigimsae of Pansori using instruments. Consequently, since Sanjo is the music which absorbed and developed the musical style of Pansori, it is improper that this music has been taught, and played by the Western musical approaches for the simple reason of its convenience. Furthermore, the author argued that the Jangdan, Sigimsae, and mode of Sanjo should be understood by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style although the music wrote by the Western notation. She also proposed that the learners of Sanjo need to be familiar to the Jangdan, Sigimsae, and mode of Pansori by learning or deep listening it.

      • KCI등재

        판소리의 생성ž향유와 지역성

        최혜진(Choi Hye jin)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9 No.-

        본 연구는 판소리 생성과 향유의 문제를 지역을 중심으로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판소리의 형성이 지역을 기반으로 한 서사와 음악의 결합에서 이루어졌으므로 지역성의 문제는 판소리를 또다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단서가 된다. 본고에서는 판소리의 생성, 향유에 있어서 전승되는 판소리 다섯 바탕 서사에 나타난 지역과그의미를거시적인 차원에서살펴보았으며, 실창된 판소리 작품들과관련된지역의 문제를 살펴서 판소리 전승에 지역이 연관되는 바가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판소리 음악과 유파의 분화 발전에 지역적 연관과 의미가 무엇인지도 살폈다. 판소리는 사설과음악으로 이루어지고, 일차적으로는 사설이기본이 된다는 점에서 이야기가 전승이 되는 지역과 그 서사의 지역적 기반이 무엇인지를 따져보아야 한다. 그러한 면에서 판소리는 각 지역에 전승되던 이야기들이 그 지역의 음악에 기반을 두고 출발하였을 것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작품 내에 드러나는 서사적 기반 중 전라도 혹은 가상의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이 전승된 것은 판소리 음악이 전라도로 집중되고 명창들이 길러지던 지역이 호남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상도나 이북지역, 제주도, 강릉, 안동 등 다양한 지역배경을 가지고 있던 판소리들이 점차 탈락하게 된 것이다. 판소리는 지역의예술로 생성되었지만, 지역을 넘어서는 보편적 인간애와 진보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연행됨으로써 세계예술의 지위를 획득하였다. 미래의 판소리가 지속적으로 창작, 향유되기 위하여는 우리나라의 지역적 특성과 지리 환경적인 요소를 어떻게 담아낼 지를 고민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formation, enjoyment of Pansori focusing on region. As Pansori was formed by combination of narration and music based on region, the regionality is a clue to approach Pansori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is thesis examined the region and definition consideering the formation and enjoyment of Pansori found in 5 Pansori transcriptions passed down frommacroscopic point of view, and the regionality regarding the actually sung Pansori piece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Pansori transmission and region. Also, the study examined the regional relation and definition of Pansori music and division of Pansori schools. Pansori is composed of narration and music, among which the narration is the basis 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gional basis of narration and the region where story is passed down. this indicates Pansori originates from the story passed down to each region and music based on the region. The reason that the Pansori based on Cheollado or hypothetical space among the Pansori that reveals the narrative basis is because the Pansori is concentrated in Cheollado and Honam region was the place where good Pansori performers were trained. Therefore, Pansori with various regional background such as Gyeongsangdo, North Korea, Jeju Island, Kangneung, Andong gradually disappeared. Even though Pansori was formed as the local art, it contains universal humanity, progressive value of world in its basis and became the global from of art. In order to create and enjoy the Pansori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how to contain the elements of geographic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 of Korea.

      • KCI등재

        판소리의 연변 이식과 전승과정 연구

        공정배,이정원,신현욱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7

        판소리는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이자 문화콘텐츠의 핵심 창작소재이다. 판소리는 조선시대 중기 이후 전라 도 지방을 중심으로 구비전승 되다가 점차 전국적으로 확대되었고, 근대에 이르러 중국 동북3성에까지 진출 하게 된다. 판소리의 중국 진출과 이식 경로는 봉건적 사회구조의 폭정을 피하거나 일제의 통치에 저항하면서 이주한 조선인들의 중국 이주 경로와 맥을 같이한다. 판소리의 중국 이식과 전승은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판소리 향유와 이식의 배경이 되는 단계로서, 19세기 중엽부터 시작된 조선인 이주부터 1949년 중국 건국 이전까지이다. 이 시기의 특징은 조선 인 초기 이주자와 동일시되는 향유자와, 이들에 의해 중국에 초청된 조선 명창 연행자가 서로 영향을 주는 과 정을 거치면서 판소리가 중국 현지에 더욱 널리 전파되었다는 점이다. 두 번째 단계는 중국 내 현지화 과정을 보여주는 단계로서 중국 건국 이후부터 1978년 개혁개방 이전까지이다 . 이 시기 조선인은 조선족으로 중국 소수민족에 편입되었고, 판소리를 비롯한 한민족 전통예술은 중국 정부 차원에서 수집하고 발굴하게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북한과의 지속적인 문화 교류 양상을 보인다. 이 시기 주목할 것은 연변창담의 등장이다. 연변창담은 판소리의 형식과 민요의 선율을 바탕으로 재창조되었 으며, 지극히 사회주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어 판소리의 중국 현지 접변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실례가 된 다. 세 번째 단계는 중국 개혁개방 이후 현재까지이다. 문화혁명 기간 동안 향유 자체가 단절되었던 판소리는 1992년 남한과의 수교 이후 북한의 영향을 받아 변형된 판소리가 아닌, 보다 원전에 가까운 판소리까지 수용 하게 된다. 결국 현행 중국 동북지역 판소리는 문화혁명 기간 동안의 단절, 개혁개방 이후 서양문화 수용에 의 한 변질, 더불어 남한 수교 결과에 의한 남한 판소리의 수용까지 겹치면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중국의 정책적 지원, 전수관의 건립 등은 연변지역 판소리의 발전을 기대하게 한다. 조선족들의 노력과 정부 지원에 의해 연변지역 판소리의 위상이 긍정적인 모습으로 보여지는 반면, 조선족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중 국정부의 반응은 민감한 편이다. 연변지역 판소리의 미래에 대한 전망은 이러한 정책적 관점까지 포괄하면서 추후 더욱 다각적으로 논구되어야 할 것이다. Pansori is not only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for Koreans but also a significant material for culture content development. Pansori had been orally transmitted in Jeolla-do Province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expanded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In the time of modern history, it was extended into the three Provinces located in North East part of China : Jilin Province, Liaoning Province, Heilungkiang Province. The transmission route of Pansori is line with the migration route of Korean people who were determined to resist the feudal social system or the colonial rule of Japan. The transmission of Pansori to China is divided into three phrases. The first phrase is from the migration in the mid-19th century to the found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The first phrase is to lay a cornerstone of the transmission, which means that it creates the background for enjoyment and transplantation of Pansori. This phrase features the interaction between Korean migrants and invited master singers of Pansori which leads to the spread of Pansori. The second phrase is the localization process from the found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o the Chinese reform and openness in 1978. In this time,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who migrated from Korea were incorporated into an ethnic minority of Chinese people. At the same time, the Chinese government collected and studied Koreans traditional arts including Pansori. In this process, the second phrase features continuous patterns of cultural exchanges with North Korea. An important point to notice in the second phrase is the advent of Yanbian changdam. Yanbian changdam was created on the basis of the form of Pansori and the tune of Korean folk songs. In terms of content, Yanbian changdam deals with socialism. Therefore, the advent of Yanbian changdam is the great example to show the assimilation process of Pansori. The third phase is from the Chinese reform and openness up to the present. The Cultural Revolution led to discontinuities in enjoyment of Pansori in China. it re-start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this period, China accepted not only modified Pansori from North Korea but the original Pansori from South Korea. Eventually, Pansori in North East part of China shows dynamical changes: the discontinuity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the adoption of Western culture, the embracement of Pansori from South Korea. It is expected that support policy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building Pansori Training Center lead to development of Pansori in Yanbian. Efforts of ethnic Koreans in China and the government support enhance the position of Pansori in Yanbian. However, the Chinese government responds to changes in the ethnic Korean community in overly sensitive ways. Prospects for the future of Yanbian Pansori would have to be discussed and studied with diversified aspects including political perspective.

      • KCI등재

        전승과 창작의 관점에서 본 판소리 정체성의 재규정과 제언

        최기숙 ( Key Sook Choe ) 판소리학회 2012 판소리연구 Vol.34 No.-

        판소리는 한국의 대표적 문화유산으로서, 멀티 미디어를 통한 장르 변경과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면서 글로벌 차원의 하위문화(subculture), 또는 민속 음악·공연의 지위를 형성했다. 판소리의 세계화와 현대적 장르로의 확산은 전통 판소리와 균열 지점을 생성하면서 판소리에 대한 재정의를 요청하고 있다. 사설 짜기의 측면에서 판소리의 본질을 재조명한다면 이는 ‘다성성’의 구현으로 정의할 수 있다. 판소리는 향유층, 언어생활, 교양문화, 예술 향유 등 다층적의 차원에서 다성성의 요소가 삼투되어 있는 복합적 문예 장르다. 따라서 전통 판소리를 계승하거나 장르 변형을 할 경우, 또는 새로운 창작 판소리를 제작할 경우, 판소리의 사설 짜기의 원리를 활용하여 판소리 정체성을 유지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판소리의 사설이 지닌 다성성은 다음과 같은 차원에서 구성된다.: 첫째, 시간성과 창작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역사성과 당대성, 전통과 유행을 포용한다. 둘째, 공간성과 수용 층 차원에서 판소리는 지역성과 세계성, 토속성과 보편성을 통섭한다. 셋째, 사회성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신분·젠더·세대·지식 위계를 둘러싼 갈등을 포착하고 카니발적 화해를 구현한다. 넷째, 정보성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서민과 상층부의 일상생활을 백과사전처럼, 풍속정보지적 망라하여 보여준다. 다섯째, 감정과 감성 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사람이 일생동안 겪는 감성을 만화경적으로 재현한다. 또한 감정의 수사는 감정 상태의 육체적 반응을 재현하는 형식으로 표현된다. 여섯째, 수사학의 차원에서 판소리는 다성성·혼종성·대화성의 요소를 유희적으로 재현하며, 이는 열거법을 활용한 치레 구성으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이러한 판소리의 사설 구성 원리는 앞으로 판소리를 ‘창작’하고 ‘전승’하는 실제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판소리 창작자나 전승자는 새로운 스토리를 짜면서 세대·젠더·지역·민족·국적·인종 등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창작 판소리를 통해 세계적인 유행가가 탄생될 수 있으며, 전통 판소리가 팬덤 문화를 형성한 것과 같은 새로운 문화 유형을 창안할 수 있는 역량이 판소리의 정체성 안에 잠재되어 있다.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cultural heritage, p`ansori has expanded its scope by engaging in multi-media and attempting to change the genre. The modern adaptation and globalization of p`ansori endows it with a reputation as a “subculture” and an “ethnic performance” of Korean culture. The expansion of its genre, however, also has a negative side. It produces a growing chasm betwee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p`ansori. This problem appeals for a definition of the authenticity of p`ansori. In discussing authentic features in the narrative of p`ansori, I find it useful to employ the concept of “polyphony,” a Bakhtinian term. Based on this term, I show that polyphonic features permeate the p`ansori text, and I suggest that the polyphonic features of p`ansori should constitute contemporary p`ansori in the ongoing process of adaptation and re-creation. Also, this paper analyzes the polyphonic aspects of p`ansori by categorizing them into six elements: time, space, reality, knowledge, emotion, and rhetoric. First, I contend that p`ansori engages in temporal expression by juxtaposing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combining tradition and contemporary fashion. Second, p`ansori not only describes the landscape and geographical background but also expresses locality and universality by mingling native culture with worldwide perspective. Third, p`ansori deals with the description of social reality by manifesting the tensions in social stratification, but it also reveals a reconciliatory process by commingling and reversing hierarchical relationships, thus taking on the form of “carnival literature.” Fourth, p`ansori contains encyclopedic knowledge and memory on every level of society. Fifth, p`ansori deals with various kinds of feelings that every human being experiences in one`s lifetime. The emotional landscape, however, is represented by the description of physical reactions and conditions rather than through direct expression. Sixth, the rhetoric of p`ansori demonstrates polyphony, hybridity, and dialogue. For instance, by the narrative skill of ch`ire, a singer can enumerate various words without any syntactic or grammatical restraint. These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creation and transmission of p`ansori. I argue that the new p`ansori producers and singers must engage the differences of generation, gender, region, ethnicity, and culture, but the new compositions need to be based on the features that I have found in the text of p`ansori. Despite concerns and problems, contemporary p`ansori has great potential. Through the modernizing process, p`ansori is gaining recognition as a well-known genre and a popular song, and I wish to see the newly created p`ansori not only widely consumed but also creating a fandom.

      • KCI등재

        판소리와 창극소리의 상관성

        김기형 ( Kee Hyung Kim )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1 No.-

        20세기 판소리와 창극의 상관성에 주목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다. 두 양식 사이에는 구심력과 원심력이 공존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결코 분리되지 않는 태생적인 운명을 공유하고 있다. 창극은 판소리의 영향권 안에 있었고 판소리의 자양분을 기반으로 하여 성장해 왔다. 그렇지만 언제나 ``판소리 → 창극``의 방향으로만 영향관계가 전개되어 온 것은 아니며, 상호 밀접한 연관을 가지면서 영향을 주고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판소리와 창극의 교섭 양상은 음악, 문학, 연극의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런 연구 작업은 현대 판소리와 창극의 예술적 지향점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작업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판소리와 창극소리를 구분하는 의식은 언제부터 생겨났으며 역사적 단계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판소리와 창극의 상호 교섭 양상은 어떠하며 그 특징은 무엇인지 등을 밝혀 보고자 했다. 창극의 역사를 보면, 판소리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양식을 정립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모습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판소리와 창극소리를 분별하는 의식은 역사적 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1) 협률사 ~ 조선성악연구회: 일인다역의 판소리에서 배역의 분화를 통해 극적 요소가 강화된 창극이 파생되었다. 그렇지만 소리가 주(主)라는 점에서 창극소리와 판소리의 구분의식은 별로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2) 조선성악연구회 조직 ~ 해방 전후시기:창극 공연이 이전 시기에 비해 더욱 활성화되었다. 이 시기 창극은 백포장을 친 가설무대에서 공연하기도 했지만, 극적인 요소를 부각시키는 무대장치라든가 조명 등을 갖춘 극장에서 공연되기도 했다. 토막극 공연이 지속되는 한편, 각색 및 연출 개념을 도입하여 극의 완결성을 갖춘 작품을 창극화하는 작업이 본격화된 것이 이 시기의 특징이다. (3) 여성국악동호회 결성(1948) ~ 무형문화재 제도 시행(1962): 이 시기는 여성국극 전성시대이다. 여성국극은 넓은 의미에서 본다면 창극의 범주에 속하지만 창극과 여성국극은 서로 구별되는 양식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여성국극에서 ``소리``보다는 배우의 외모나 극적인 표현 능력 등이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4) 국립창극단 조직 ~ 현재: 창극의 독자적 양식을 정립하기 위해 노력한 시기이다. 창극은 판소리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양식이라는 관점 아래 연극적 요소를 강조한 경우가 있는가 하면, 창극소리가 지나치게 기교 위주로 흘러가는 것을 경계하여 판소리의 진정성을 창극에도 그대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근래에는 창극을 음악극 혹은 한국적 뮤지컬로 정립하려는 시도가 돋보이고 있다. 판소리와 창극소리의 교섭 양상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창극에서 창작된 소리가 판소리에 수용된 경우 (2) 판소리에 기반한 사설이 창극에서 부연·확대되어 불리다가 판소리로 수용된 경우 (3) 판소리로의 전승은 약화되어 가는 반면 창극소리로 전승되는 경우. 판의 성격이나 연행 조건에 따라 창극소리의 선택과 수용이 달라질 수 있다. 완창 공연이나 유파 발표회와 같이, 전승성, 역사성이 중시되는 공연에서 창극소리가 수용될 가능성은 별로 없다. 반면 축하 공연이나 비공식성을 띠는 무대에서는 창극소리를 수용할 수 있는 여지가 상대적으로 많다. 창극소리는 극화 시킬 소재를 부각하며 극적 요소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판소리와 창극소리의 상관성을 고찰하는 데 있어, 판의 속성과 연행 조건을 살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Changguek was with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Pansori, and was able to grow under the nourishment of Pansori. But it doesn``t mean that Changguek always influenced from Pansori. It is believed that they affected each other under the strong link. It is necessary to study in all aspects such as music, literature, pla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nsori and Changguek. This study is closely related to the study of what artistic goal modern Pansori and Changguek pursu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when people started to distinguish Pansori from Changguek, how the aspects of aweness about distinction beween them. We confirm the conciousness to distinguish Pansori from Changguek in the history of Changguek. The conciousness to distinguish Pansori from Changguek is different from each historical step. (1) Hyuplyulsa(협률사)~Choseonseongakyeonguhoe(조선성악연구회): Changguek was started as a performing art.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Changguek and Pansori. (2) Choseonseongakyeonguhoe(조선성악연구회)~Before and after liberation: Changguek was vitalized than before. The concept of Dramatization and Direction became important in Changguek. (3)Yeosong kukakdonghohoe(여성국악동호회)~Organization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Yeosong Kukguek reigned supreme at that times. (4) The National Changguek Compony of Korea~Present: The conciousness to distinguish Pansori from Changguek still exists strongly. The type of the Correlation between Pansori and Changguek is next. (1) ``Sori`` based on the Changguek was accepted in Pansori. (2) ``Sori`` based on Pansori was amplified and expanded in the Changguek. Then The Sori was accepted in Pansori. (3) The transmission of the some sori in the Pansori become weaken while some sori is transiting in the Changguek. It is very important to re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Pansori and Changguek in 20 century. In this study, I demonstra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nsori and Changguek.

      • KCI등재

        근대 판소리 비평 자료의 검토 - 신문, 잡지를 중심으로 -

        최혜진 ( Choi Hyejin ) 판소리학회 2014 판소리연구 Vol.38 No.-

        본고는 1900년~1940년 사이에 쓰여진 신문, 잡지의 내용 중 판소리 관련 비평적 인식을 담은 글들을 찾아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기사문, 논평문, 기고글 등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 현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 약 51편 정도의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당대 판소리에 대한 비평적 인식은 물론 그에 따른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본론에서는 수집된 51개의 자료를 유형별로 정리 제시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판소리 비평에 대해 명창/광대론, 음악론, 공연론, 이면론, 관객론, 소리학습론, 판소리인식론 등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여러 유형은 당대 판소리에 대한 인식이 매우 다양하고 심도있게 진행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근대 초기에는 판소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으나, 1930년대에 이르면 조선의 음악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바뀌고, 이와 함께 음악론, 관객론, 이면론 등 관련 이론들이 속속 개진되기 시작했던 것이다.근대 판소리 비평 자료는 많지 않은 양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 준다. 당대 고민했던 많은 내용들을 통해 결국 판소리의 역할과 위상이 수립되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판소리 문화와 당대의 의식 수준을 가늠하고 미래를 예견할 수 있다. 판소리 관련 자료의 탐색은 이러한 의미에서 판소리사를 재구성할 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and introduce these critical articles about pansori which were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from 1900 to 1940. The study presented the current status after closely reviewing articles, observations, contributions and others, and until the present, the study has collected approximately 51 pieces of references. Through those references, not only did the study improve understanding on contemporary pansori but also it gained new information on the field.In the body of the research, a total of 51 collected references were categorized by type, and their significanc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critiques of pansori, the references were divided into these types such as theory of master singers/performers, theory of music, theory of performance, theory of reality, theory of audience, theory of sound learning, theory of pansori knowledge and others, and all of the types are considered proof for how understanding on contemporary pansori has developed in very much various and profound ways. In the early modern age, negative ideas about pansori were observed and yet, by the time the 1930’s arrived, pansori was regarded to represent the musical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and consequently, those theories such as the theories of music, audience, reality and others were released only constantly.There are only a few critical references on modern pansori and yet, they are still providing considerably significant implications. The roles and reputations of pansori could have not been established without all those discussions conducted back then. The references and discussions are considered a chance for us to forecast both how people of the old times understood the pansori culture and the future of pansori as well.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believes that exploring references in connection with pansori is important work to restructure the history of panso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