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열음의 함의 관계는 얼마나 유효한가?

        이진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1

        It is widely known that the implicational relationship,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iversal grammar, is not absolute. However, the extent to which it is valid has been rarely studied on the basis of large-scale language data.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plosive inventories of 4,356 languages in Lee (2020) and examined the validity of some implicational relationships. First, although voiced plosives have a high rate of implying the presence of voiceless plosives, they show considerable variation depending on the language family or types of plosives. Second, complex plosives accompanying various secondary articulations imply the existence of plain plosives at a high rate. In addition, complex voiced plosives imply not only the corresponding plain plosives but also a four-way contrasts. Third, regarding the place of articulation, some implicational relationships are established depending on the voicedness of plosives. Finally, it is examined whether it is valid even if the implicational relationships are changed into the form of contraposition. On the surface, the contrapositions of some implicational relationships are valid at a very high rate. However, since its validity is absolutely determined only by the frequency of individual plosives, it has little to do with the contraposi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ssign linguistic significance to the contraposition of implicational relationship. 보편 문법에서 언급되는 함의 관계가 절대적이지 않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으나, 어느 정도 유효한지를 대규모 언어 자료에 근거하여 검토한 적은 별로 없다. 이 글에서는 Lee(2020)에 수록된 4,356개 언어의 파열음 목록을 분석하여 몇몇 함의 관계의유효성 정도를 다루면서 그 특성도 함께 살펴보았다. 우선, 유성 파열음이 무성 파열음의 존재를 함의하는 비율은 높은 편이지만, 어족이나 파열음의 종류에 따라 적지 않은편차를 보인다. 이차 조음을 동반하는 복합 파열음은 평 파열음의 존재를 높은 비율로함의하며, 특히 복합 유성 파열음은 그에 대응하는 평 파열음뿐만 아니라 4항 대립의 파열음 체계를 함의한다. 조음 위치와 관련해서는 파열음의 유성성 여부에 따라 조음 위치에 따른 함의 관계가 일부 성립한다. 동시 조음을 지니는 양순-연구개 파열음의 경우 양순음 또는 연구개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존재를 함의하지만, 양순음을 함의하는 비율이연구개음을 함의하는 비율보다 더 높다. 파열음의 함의 관계를 대우 형식으로 바꾸었을때 표면적으로는 매우 높은 유효성을 보였지만, 그 원인이 체계적이고 일반적인 함의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개별 파열음의 단순 빈도수에 있기 때문에 유의미한 일반화로 인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 KCI등재

        음성 환경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분석

        김윤영,최영숙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일본학연구 Vol.48 No.-

        본 논문은 조음 위치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의 특징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일본어는 고저악센트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동경방언화자가 발화한 평판형 악센트 4박어의 어두 및 어중에 나타나는 유성파열음([ba], [da], [ɡa])과 무성파열음([pa], [ta], [ka])의 음향음성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어중 파열음의 경우 음성 환경에 따른 파열음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모음, 중자음의 전반부, 발음(ん) 뒤에 유성파열음과 무성파열음이 오는 실험어로 선정하였다. 분석 항목은 파열음에 후속하는 모음의 기본주파수, 성대 진동 개시시간, 폐쇄지속시간 및 강도이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후행 모음 시작점의 기본주파수은 무성파열음의 경우 어두의 파열음이 어중파열음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유성파열음의 경우에서는 발음(ん) 뒤에 오는 파열음의 후속 모음의 기본주파수가 어두 파열음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대 진동 개시시간의 경우에는 유성 파열음은 조음점과 상관없이 조음기관이 개방되기 전부터 성대 진동이 시작되어 마이너스의 성대 진동 개시시간 값을 보였다. 특히 어중의 경우, 모음 뒤의 환경에서 성대 진동이 먼저 시작됨을 알 수 있었다. 폐쇄지속시간의 경우, 무성 파열음이 유성 파열음보다 긴 폐쇄 지속시간을 보이며, 무성 파열음이 유성 파열음에 비해 파열을 시작할 때 더 많은 압력이 축적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중에 오는 파열음의 경우 중자음의 전반부 뒤의 환경에서 압력을 축적시키기 위한 시간이 다른 환경의 파열음에 비해 많이 소요되었다. 파열음에 후속하는 모음의 강도를 측정한 결과, 어두보다 어중에서 세기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어중파열음에 후속하는 모음의 강도는 선행 음성 환경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유의미한 단어 속에서 조음 위치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의 특징을 고찰한 결과, 기본주파수와 성대 진동 개시시간은 어두파열음이 어중파열음에서 보다 높고 길게 나타났으며, 조음위치에 관계없이 무성음이 유성음보다 유의하게 높거나 길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문장 및 대화체 속에서의 파열음의 음향적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과제로 남겨둔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acoustic and phonetic characteristics of Japanese plosive consonant according to place of articulation. Japanese is a pitch accent language. This paper analyze acoustic and phonetic effect of the voiced plosive consonants ([ba], [da], [ga]) and the unvoiced plosive consonants ([pa], [ta], [ka]) occurred in the first or second syllable of the unaccented 4-mora word spoken by Tokyo dialectal speecher. We especially investigate the voiced and unvoiced plosive consonants under the three conditions which are after a vowel, after a double consonant, and after a nasal occurrence in the second syllable through acoustical point of view. For the plosive consonant, we estimate the voiced onset time, the duration time of close, and the pitch and intensity within the follow-up vowel. This paper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average pitch of unvoiced plosive consonant from start point of follow-up vowel has usually higher value in the first syllable than in the second one. Second, voiced onset time under the voiced plosive consonant is measured as minus voiced onset time while vibrating vocal cord before opening of articulator without the relation of articulation point. In the second syllable, specifically, it has rapidly start under condition of the proceeding vowel. Third, the duration time of close under the unvoiced plosive consonant is longer than voiced one to give air pressure. Also in the experiments, we confirm that the plosive consonant in the second syllable after double consonant shows the longest duration time of close. Last, the result of intensity of the follow-up vowel for the plosive consonant shows that the second syllable has higher value than the first one. And then the intensity of the follow-up vowel on the second syllable of the plosive consonant is not influenced by the proceeding phonetic environments. From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plosive consonant according to place of articulation in the meaningful words, the pitch and the voiced onset time of the plosive consonant in the first syllable had a higher and longer value than in the second one. We also known that the unvoiced consonant had higher and longer value than voiced one without relation to articulation point. For the next subject, we will investigate the acoustic effects of the plosive consonant within the conversational speech and sentence.

      • KCI등재

        조음위치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분석

        김윤영,최영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5 비교일본학 Vol.34 No.-

        본 연구에서는 조음 위치에 따른 파열음의 특징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두 및 어중에 출현하는 일본어 파열음에 대한 분석을 음향 음성학적인 관점에서 실시하였다. 실험어는 CV, VCV 구조로, 자음은 유ㆍ무성의 양순음, 치경음, 연구개음의 파열음이고, 파열음에 후속하는 모음을 /a/로 통제하여 일본어 동경방언화자의 발음을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은 후행 모음에 대한 피치, 성대진동개시시간, 폐쇄지속시간 및 강도(intensity)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후행 모음 시작점의 피치에 대한 평균값은 대체로 어중보다 어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무성음과 유성음 모두 조음점 어디에서나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성대진동개시시간의 경우에는 양순 유성 파열음의 경우 조음기관이 개방되기 전부터 성대 진동이 시작되어 음수의 VOT 값을 보였으며, 조음 위치에 따라서는 성대 진동이 어두에서 먼저 시작됨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로는 폐쇄지속시간의 경우, 무성 파열음이 유성 파열음에 비해 파열을 시작할 때 더 많은 압력이 축적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파열음에 후속하는 모음의 강도를 측정한 결과, 어두 보다 어중에서 세기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음 위치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을 살펴하면, 피치와 성대진동개시시간은 어두의 경우가 어중에서보다 높고 길게 나타났으며, 조음위치에 관계없이 무성음이 유성음보다 유의하게 높거나 길게 나타났다. 앞으로 유의미한 단어 및 문장 속에서 파열음의 음향적 특징을 고찰함과 동시에 모음 환경을 달리하여 모음과 파열음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고찰하는 것을 과제로 남겨둔다. We carried out analysis on those classified as bilabial, alveolar consonant and velar according to articulation point. We analysed F0 of vowel, voiced onset time, duration time of close and its intensity. The results shown below were confirmed through analysis. First, the average value on pitch of beginning point of escorting vowel was appeared as higher mainly at first syllable than middle syllable. Particularly meaningful difference was observed at any articulating point of both unvoiced and voiced sound. And for voiced onset time, in case of bilabial voiced plosive, it showed negative VOT value with vibration beginning from before the articulator was opened, we could know that the vocal cords vibration begins at first syllable in the analysis performed according to articulation points. Third, for duration time of close,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 of plosive according to first and middle syllable was not appeared, but the fact that unvoiced plosive accumulates more pressure than that of voiced plosive at the time explosive begins was confirmed. For the last,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exploding intensity showed higher decibel(dB) at middle syllable than at first syllable, and particularly for unvoiced plosive,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with no relation to articulation poi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pitch and vocal cords vibration time shows higher value in average at first syllable than at middle syllable.

      • KCI등재

        근대 외국어 학습서에서의 영어 파열음 표기 ― 지석영 兒學編 을 대상으로 ―

        한수정 국어사학회 2023 국어사연구 Vol.- No.37

        근대 시기 간행된 외국어 학습서 지석영의 兒學編 에 수록된 영어 단어의 한글 표기를 분석하여 영어의 파열음의 한글 표기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영어의 파열음은 무성과 유성의 대립을 가지지만, 한국어의 파열음은 평음, 경음, 격음의 대립을 가진다. 兒學編 의 한글 표기는 영어의 무성 파열음을 주로 격음자 단독으로 표기하거나 중철 표기를 하였다. 유성 파열음은 ‘ㅅ’ 합용병서 표기와 평음자 표기가 혼란스럽게 나타났다. 어두에서는 ‘ㅅ’ 합용병서 표기가 우세하고, 어말과 유성음 사이 에서는 평음자 표기가 우세하였다. 무성 파열음과 유성 파열음 모두 어말에서는 받침 으로 표기하기보다 모음을 삽입하여 음절 초성자로 표기하거나 중철 표기를 하였다. 어말의 영어 파열음에서 개방이 인식되었기에 모음을 삽입하여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무성 파열음에서 주로 나타난 중철 표기는 무성 파열음의 폐쇄 지속 시간이 길다는 점과 양음절성, 당시 우리말의 격음의 중철 표기 습관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how English plosives were perceived by Korean speakers by analyzing the Korean transliteration of English words in Ji-seok-young’s Ahakpyeo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book published in the modern era. While English plosives have a voiceless and voiced opposition, Korean plosives have a plain, tense, and aspirated opposition. In addition, phonetic realization depending on the phonological environment and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differ. The Hangul transcription in Ahakpyeon corresponds English voiceless plosives to Korean aspirated sounds, and voiced plosives to tense sounds (‘s(ㅅ)’ series compound characters) and plain sounds. Voiceless plosives are transcribed in aspirated initial consonant, plain final consonant, Jungcheol(double spelling). Most of them are written as aspirated consonants because English voiceless plosives are pronounced as aspirated consonants at the beginning of the word where the phoneme discrimination is strongest. While plosive is pronounced not released at the end of syllables in Korean, released in English, so a vowel was inserted at the end of words to indicate the perceived released. The Jungcheol transcription seems to be a result of the long closure duration of voiceless plosives, their ambisyllabicity, and the tendency of Korean Jungcheol orthography at that era. Voiced plosives tended to be transcribed as ‘s(ㅅ)’ series compound characters in the initial of words, and as plain sounds in the middle and end of words. The plain plosive in Korean is pronounced as a voiceless sound in the beginning of words, and as a voiced sound between voiced sounds. Between voiced sounds in the middle of the word, voiced plosives in English and plain plosive in Korean are phonetically identical, so voiced plosives are transcribed as plain. At the end of the word, they are written as plain with inserting vowel to create a phonological condition between voiced sounds. In the beginning of words, voiced plosives are transcribed as compound characters with ‘s(ㅅ)’ because of the Phonetic difference between voiced plosives in English and plain plosives in Korean.

      • KCI등재

        언어 간 대응을 통해 본 파열음의 지각 -한국어와 영어, 중국어, 힌디어의 대응을 중심으로-

        김은주,권경근,권순복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ignificant main acoustic parameters, acting in perception of plosives through corresponding between the plosives of Korean, English, Chinese and Hindi. And it also suggests its pattern that represents the interaction with acoustic parameters. The plosives are commonly said to be perceptible by fundamental frequency(F0) and voice onset time(VOT). By using only F0 and VOT, however, it is hard to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anguages, between speakers and so on. It is the quality of voice that can explain the differences, and it can be shown in the spectral slopes. The plosives are perceptible by aspiration, F0 and two spectral slopes, H1-H2 and H2-H4. For the listeners of Korean and Hindi, all of the four acoustic parameters interact for their recognizing the plosives. On the other hand, for the listeners of English and Chinese, the aspiration acts first for recognizing the plosives. Furthermore, F0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ceiving plosives for the English listeners and H1-H2 for the Chinese listeners. The four parameters are arranged in Multi-Dimensional Scaling by each language, and re-analyzing this suggests the patterns of plosives. 이 논문은 한국어와 영어, 중국어, 힌디어 간의 파열음 대응에 관한 실험을 통해 파열음 지각에 주요하게 작용하는 음향적 변수를 찾고, 그 변수들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파열음 패턴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파열음의 지각은 일반적으로 기본주파수와 성대진동시작시간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언어 간에서 나타나는 차이, 개별 화자에게서 나타나는 차이 등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음질(voice quality)은 이러한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되었고, 음질을 제공하는 요소가 스펙트럼 기울기일 수 있음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파열음을 지각하게 하는 주요한 음향적 변수는 유기성구간과 기본주파수 그리고 두 가지의 스펙트럼 기울기라는 것을 보였다. 한국어와 힌디어 청자들은 네 가지의 변수가 파열음을 지각하는데 유용하게 작용하였으나, 파열음의 구분이 보다 단순한 영어와 중국어는 유기성구간이 우선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각 언어의 파열음은 다차원척도법에 의해 2차원의 공간에 배치하였고, 이를 재분석하여 파열음 패턴을 제안하였다. 파열음 패턴은 언어 간의 대응을 간결하게 설명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중국어와 한국어의 변이음 대비연구 : 중·한 파열음을 위주로

        崔金丹 한국중문학회 2002 中國文學硏究 Vol.25 No.-

        筆者通過在韓6年的漢語講學經驗, 發現標準漢語和標準韓國語的音素及其變異音, 在其發音部位和發音方法上雖然有一小部分接近的地方, 但因某些語音變化的因素, 在總體音素及其變異音的發音上還是存在着相當大的差距. 因此筆者針對標準漢語及標準韓國語中的輔音部分的塞音音素及其變異音進行了音韻學和語音學方面的嘗試性的對比硏究. 筆者希望通過上述硏究爲中·韓兩國的語音學硏究學者及大中院校的學生們提供比較精細的語音學對比資料, 以此來增進中·韓兩國的語音學交流, 幷爲大中院校的漢語及韓國語的敎學提供實用性的語音學敎學材料 爲<漢語韓國語標音方案>提供一些可行性的語音學對比資料. 筆者通過中·韓塞音音素及其變異音的對比, 總結出以下幾點結論. 第一, 在不送氣音的對比中漢語的/b, d, g/與韓國語的軟音/ㅂ, ㄷ, ㄱ /, 只有在聲母弱化的情況下出現極少部分類似的變異音, 而且在氣流的長度上存在着相當大的差別. 第二, 在不送氣音的對比中漢語的/b, d, g/與韓國語的硬音/ㅃ, ㄸ, ㄲ /, 是塞音對比中最接近的發音, 而且在氣流的長度上基本上不存在差別. 第三, 在送氣音的對比中漢語的/p, t, k/與韓國語的激音/ㅍ, ㅌ, ㅋ /, 雖然存在着一定程度的氣流長度上的差別, 但在變異音的對比中存在大部分的相似點, 如果將漢語/p, t, k/的氣流長度加長, 則會發出近似於韓國語的激音/ㅍ, ㅌ, ㅋ /的發音.

      • KCI등재

        한국어(韓國語) 파열음(破裂音) 체계(體系)의 언어(言語) 유형론적(類型論的) 고찰(考察)

        이진호(李珍昊) ( Lee Jin-h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2

        한국어의 파열음 체계가 평음, 유기음, 경음의 삼항 대립을 이룬다는 사실은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징의 하나로 이전부터 널리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대규모 언어 자료에 기반한 실증적 연구의 결과가 아니고 잘 알려진 몇몇 언어와의 표면적 비교 결과이기 때문에 재검토의 여지가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4,356개라는 대규모 언어의 파열음 체계를 비교 분석한 후 이에 근거하여 한국어 파열음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파열음의 수나 비율, 조음 위치의 수, 대립항의 수 등과 같은 양적인 측면에서는 한국어의 파열음 체계가 전체언어의 평균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반면 삼항 대립의 음운론적 성격, 유무성 대립의 부재, 비례 대립의 성립 등과 같은 질적 측면에서는 동일한 유형을 찾기 어려울 만큼 독특한 모습이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 파열음 체계는 양적으로는 보편성을 보이지만 질적으로는 상당한 특수성을 보인다고 결론 지을 수 있다. The fact that the Korean plosive consonant forms a three-way opposition between plain plosive, aspirated plosive, and laryngealized plosive has been frequently mentioned as one of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owever, this is not the result of empirical studies based on large-scale language data, but one of the surface comparisons with several well-known languages. So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in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previous argument. In this paper, I compared and analyzed the plosive inventories of 4,356 languages, a very large-scale language data, and then examined the typological aspects of Korean plosive system. In aspects of quantity such as the number(9) and ratio(47.4%) of plosives, three places of articulation, and three-way opposition, the plosive system in Korean did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average of all language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ative profile is completely different. It is not easy to find a same plosive system with Korean which there is no opposition by [±voiced], one of the most universal in world´s languages, and consist of three voiceless plosives(plain, aspirated, and laryngealized one) that is in contrastive proportionally in three places of articulation. Through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losive system of Korean is quantitatively universal, but qualitatively specific.

      • KCI등재

        영어파열음 유무성 범주와 관련된 중국인 유학생의 VOT와 F0 음향단서 지각 양상 연구

        이선희 ( Lee Sunhee ),성은경 ( Sung Eunky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한국에서 거주하는 중국인의 영어 파열음 유무성 범주 지각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음 두 문제를 검증하였다. 첫째, 중국인 청자가 영어 파열음의 유무성 범주를 판단할 때 VOT 단서를 지각하는 양상이 한국인 청자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국인 청자의 영어 파열음의 유무성 범주를 판단할 때 F0 단서를 지각하는 양상이 한국인과 차이가 있는가? 문제의 검증을 위해 영어의 양순파열음, 치경파열음, 연구개파열음을 PRAAT을 활용하여 VOT와 F0를 각각 6단계씩 조절한 실험 재료를 216개 만들고, 중국인 피험자 19명과 한국인 대조군 20명이 듣고 범주를 변별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VOT 단서의 지각은 중국인도 한국인과 차이 없이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0 음향단서의 경우 중국인은 한국인과 달리 영어파열음의 유무성 범주를 판단할 때 F0값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중국인 학습자는 모국어인 중국어가 음높이의 변화(pitch movement)로 의미를 변별하므로 음높이(height)의 차이에는 한국인 화자보다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VOT and F0 cues on the detection of voicing contrast in English word-initial stops by Chinese listeners living in Korea. The stimuli were constructed by manipulating VOT in six steps and F0 in six steps using Praat. The target stops were bilabial, alveolar, or velar. The nineteen Chinese listeners’ perceptual patterns of voicing classification in an identification experiment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wenty Korean listener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Chinese and Korean participants utilized VOT as a primary cue in identifying voicing contrasts of English stops. However, the Chinese listeners were less sensitive to F0 cues than the Korean listeners. In Chinese, pitch movement is used to cue lexical tone contrast. Thus, the Chinese listeners tended to rely more on VOT and less on F0 cues in perceiving voicing contrasts of English stops.

      • KCI등재

        生成方法の違いによる日本語歯茎破裂音の長さの音 声的実現について - 聴覚的評定に基づいた要因分析を中心に -

        曺秀弦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4 No.-

        본 연구는 한국인 학습자가 일본어 치경파열음을 발음할 때, 길이 생성의 관점에서 자연 스러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유성・무성치경파열음([d], [t]) 이 배치된 유의미어 39개의 단어를 40명의 한국인 학습자가 발음하고 그 내용을 녹음했다. 실험 과제는 2가지로 나뉘어 진행되어, 문자 데이터를 제시하는 문자 읽기 과제와 모델 음 성만을 제시하는 지연반복 과제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얻어진 음성 데이 터를 일본인 모어화자가 치경파열음이 포함된 박의 길이에 초점을 맞추어 청각 판정하고, 그 판정으로 얻어진 결과와 그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통계분석 하였다. 그 결과, 단어 내에 일본어 치경파열음이 배치된 박의 길이 생성의 자연스러움에는 후속 모음의 종류와 장단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특히, 제시된 데이터가 문 자이고, 단모음/e/나 장모음/ee/가 후속하면, 길이 생성의 부자연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게 되 었다. 특히 단어 내에서 어중의 위치(2박째)에 유성치경파열음이 배치되고 그 뒤를 단모음/e/ 이 후속하면, 부자연율은 더욱 높아졌다. 2개의 과제에 의한 실험 결과는 유의한 차를 나타내었다. 그 차이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자의 학습 레벨이었다. 2개의 과제 모두 중급학습자보다 초급학습자의 부자연율 이 높았으나, 부자연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은 달랐는데, 학습자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은 단어 내의 치경파열음의 위치였다. 두 레벨의 학습자 모두 어두에 위치한 파열음이 속한 박의 길이 생성은 부자연율이 높지 않았으나, 초급학습자의 경우는 어중 위치인 2박째에 파 열음이 배치된 경우, 중급학습자는 어말 위치인 3박째에 파열음이 배치된 경우 부자연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naturalness of Japanese alveolar stops as well as the realizations of the length when Korean learners attempt to produce it. Using different data models with both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we conducted experiments on reading paradigm tasks as well as delayed repetitive tasks. Japanese native speakers judged the naturalness of the length of the Korean learner's voice obtained from both task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judgements of the results, and factors affecting the realization of the length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larified that the Japanese alveolar stops were particularly arranged in the words. The type and length of the following vowels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naturalness of the mora length. In particular, the unnatural rate of words followed by the short vowel /e/ and the long vowel /ee/ was significantly higher. If the Japanese voiced plosive [d] on the second mora is followed by the short vowel /e/, it turned out that the unnatural rate was also higher. The learning level of the subject was the strongest factor in the difference in the generation method between the two tasks. In both tasks, the unnatural rate of beginners was high, but the factor that affected the unnatural rate was the position of the plosive in the word.

      • KCI등재

        韓國語 破裂音 體系의 言語 類型論的 考察

        이진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2

        The fact that the Korean plosive consonant forms a three-way opposition between plain plosive, aspirated plosive, and laryngealized plosive has been frequently mentioned as one of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owever, this is not the result of empirical studies based on large-scale language data, but one of the surface comparisons with several well-known languages. So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in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previous argument. In this paper, I compared and analyzed the plosive inventories of 4,356 languages, a very large-scale language data, and then examined the typological aspects of Korean plosive system. In aspects of quantity such as the number(9) and ratio(47.4%) of plosives, three places of articulation, and three-way opposition, the plosive system in Korean did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average of all language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ative profile is completely different. It is not easy to find a same plosive system with Korean which there is no opposition by [±voiced], one of the most universal in world´s languages, and consist of three voiceless plosives(plain, aspirated, and laryngealized one) that is in contrastive proportionally in three places of articulation. Through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losive system of Korean is quantitatively universal, but qualitatively specific. 이진호, 2020, 한국어 파열음 체계의 언어 유형론적 고찰, 어문연구, 186 : 5~29 한국어의 파열음 체계가 평음, 유기음, 경음의 삼항 대립을 이룬다는 사실은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징의 하나로 이전부터 널리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대규모 언어 자료에 기반한 실증적 연구의 결과가 아니고 잘 알려진 몇몇 언어와의 표면적 비교 결과이기 때문에 재검토의 여지가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4,356개라는 대규모 언어의 파열음 체계를 비교 분석한 후 이에 근거하여 한국어 파열음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파열음의 수나 비율, 조음 위치의 수, 대립항의 수 등과 같은 양적인 측면에서는 한국어의 파열음 체계가 전체 언어의 평균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반면 삼항 대립의 음운론적 성격, 유무성 대립의 부재, 비례 대립의 성립 등과 같은 질적 측면에서는 동일한 유형을 찾기 어려울 만큼 독특한 모습이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 파열음 체계는 양적으로는 보편성을 보이지만 질적으로는 상당한 특수성을 보인다고 결론 지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