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미견,황희곤 한국무역전시학회 2020 무역전시연구 Vol.15 No.2
MICE industry is an industrial area that the world is paying attention to as it has positive economic and social and cultural impacts on related industries. However,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analyzing economic ripple effects in order to calculate the ripple effects of the MICE industry. The economic ripple effect alone is hard to say as the overall ripple effect of MICE industr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importance of MICE industry is undervalued. Therefore, the research analyzed prior studies related to social and cultural impacts at domestic and abroad for the analysis of the ripple effects of the undervalued MICE industry. In addition, the factors related to MICE industrie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the components of social and cultural impacts derived through analysis and then grouped the main factors involved in MICE industries to distinguish them. Since then, experts have conducted an AHP analysis to apply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s category of the MICE industry to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domestic MICE industry. The AHP analysis was conducted on domestic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y experts and workers. As a result, we could find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s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ies. The exhibition placed a relatively important emphasis on urban PR effects and social and cultural asset sharing, and a relatively high emphasis on the sharing of knowledge of conventions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of residents' participation.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demonstrate the high value-added value of MICE industries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in a broader range than economic ripple effect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measuring and utilizing the ripple effects of MICE industries was known.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status of the undervalued MICE industry can be newly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MICE industry through objective measurement.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data on social and cultural ripple effects of MICE events and analysis related to social and cultural ripple effects of MICE events should be conducted in depth to reflect opinions of various stakeholders. MICE산업은 다양한 산업과 유기적으로 결합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관련 산업에 경제적, 사회문화적으로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어 세계가 주목하는 산업분야이다. 하지만 MICE산업의 파급효과 산출 연구는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치우쳐져 있다. 경제적 파급효과만을 MICE산업의 전체 파급효과라 말하기 어렵고, MICE산업의전방위적 파급효과가 누락되어 실제 중요도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회문화적 파급효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도출된 사회문화적 파급효과의 구성요인 중 MICE산업과 연관 있는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주요 요인들을 그룹화하여 MICE산업의 사회문화적 파급효과의 카테고리를 구별하였고, 이후 도출된 카테고리를 국내의 실정에 맞게 적용하기 위해 국내의 전시, 컨벤션 전문가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AHP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시회는 도시 PR효과와 사회문화적 자산공유를 비교적 중요하게 비중을 두었고, 컨벤션은 지식 공유와 주민참여 커뮤니티활성화에 비교적 높은 비중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경제적 파급효과보다 넓은 범위에서 MICE산업의 고부가가치성을 증명할 수 있었고, MICE산업의 파급효과의 측정 및 활용에 대한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MICE산업의 사회문화적 파급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저평가된 MICE산업의 위상을 새로이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새롭게 등장하는 사회문화적 파급효과 연구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한 MICE행사의 사회문화적 파급효과 분석으로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김기흥(Kim Kiheung) 한국무역학회 2012 한국무역학회 국제학술대회 Vol.2012 No.12
본 연구는 FDI가 국내기업의 노동 생산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에 대하여 분석하고 있다. 외자기업은 국내기업들에 대하여 같은 산업 부문, 특히 개방된 제조업 부문에서 국내기업들의 노동생산성에서 양의 파급효과를 나타낸다. 산업간 수직적 파급효과는 산업내 수평적 파급효과보다 더 중요하다. 외국인 투자는 국내 공급자들에게 양의 파급효과를 나타내지만, 공급 측면의 외자기업들에서는 그 반대이다. 흡수능력과 개방도에 따라서 이들 파급효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국내기업과 외국기업들 사이에 임금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한다. 국내기업의 임금에 미치는 산업내 수직적 파급효과가 미치는 명확한 결과는 없지만 저급 기술과 경쟁이 심하지 않은 산업에서 외국인 투자로부터 임금상승은 상대적으로 적다. 반면에 외자기업에서는 국내기업들보다 생산성이 높으므로 임금수준이 높게 영향을 미친다. This article analyses how FDI influences labour productivity of domestic firms in Korea. We find that foreign firms perform better than local firms. The presence of foreign firms has a positive spillover effect on labour productivity of local firms in the same sector, specifically in very open manufacturing sectors. Vertical spillover effects between sectors are found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horizontal spillover effects within sectors. Foreign investment in user sectors has a positive spillover effect on local suppliers, while the opposite holds for foreign investment in supplier sectors. Absorption and opennes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se spillover effects. We investigate if there is any productivity or wage gap between foreign and domestic firms in the Korea and if the presence of foreign firms ins sector raises the productivity of domestic firms. We investigate if there is any productivity or wage gap between foreign and domestic firms in the Korea and if the presence of foreign firms in a sector raises the productivity of domestic firms. Our results indicate that foreign firms do have higher productivity than domestic firms and they pay higher wags. We find no aggregate evidence of intra-industry spillovers. However, firms with low productivity relative to the sector average ,in low-skill low foreign competition sector gain less from foreign firms.
외국인 직접투자(FDI)의 기술 이전을 통한 생산성과 임금에 미친 파급수혜효과
김기흥(Kiheung Kim),노언탁(EonTak Roh) 한국경제연구학회 2013 한국경제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국내 기업의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외자 기업들이 국내 기업들보다 생산성이 더 높다. 외국인 소유권에서 외국인 투자 지분이 많은 대주주 소유권과 외국인 투자 지분이 적은 소주주 소유권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소주주 소유권에 대한 계수가 대주주 소유권 계수보다 더 낮고 유의성이 낮다. 수직적 산업 간 파급효과는 수평적 산업 내 파급효과보다 더 중요하다. 외자 기업에 기초한 결과에서 생산성에 미치는 수평적인 파급효과에 대한 계수는 5% 수준에서 양의 값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국내 기업 및 외자 기업 모두 후방연결 관계로부터 기술파급효과에 의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 효과는 외자 기업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난다. 기술 격차가 낮은 대규모 외자 기업은 후방파급효과로 더 큰 이익을 얻고 있는 반면에 소규모 외자 기업은 후방파급효과로부터 이익이 적다. 국내 기업의 소규모와 대규모 두 가지 형태에서 후방파급효과는 노동의 질이 높음에 따라서 더 크게 나타난다. 또한 FDI가 국내 기업과 외국 기업들 사이에 임금의 차이가 발생하는 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기술 습득의 대리변수로 사용한 교육연수 변수는 임금과 상관관계가 높다. 교육연수가 증가하게 되면 임금이 0.7%에서 2.1%로 증가한다. 국내 기업의 임금에 미치는 산업 내 수직적 파급효과가 미치는 명확한 결과는 없지만 저급 기술과 경쟁이 심하지 않은 산업에서 외국인 투자로부터 임금상승은 상대적으로 적다. 반면에 외자 기업에서는 국내 기업들보다 생산성이 높으므로 임금수준이 높게 영향을 미친다. This paper analyses how FDI influences labour productivity and wage of domestic firms in Korea. Labour productivity is modelled as dependent on the degree of foreign ownership, capital intensity and firm size for scale factors. We find that foreign firms perform better than local firms. The foreign firms from FDI has a positive spillover effect on labour productivity of local firms in the same sector. We find positive vertical spillover effects. Vertical spillover effects between sectors are found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horizontal spillover effects within sectors. It is important in local firms with higher human capital. We look to the ownership effects. The coefficient for minority ownership is lower than the one for majority ownership.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wage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Korea. We investigate if there is any productivity or wage gap between foreign and domestic firms in the Korea and if the presence of foreign firms in a sector raises the productivity of domestic firms. Our results indicate that foreign firms do have higher productivity and education than domestic firms, they pay higher wages. FDI increases the productivity and wages of skilled foreign firms’s workers. Firms with low productivity relative to the sector average in low-skill low foreign competition sector gain less from foreign firms.
최차순(Choi, Cha Soon) 대한부동산학회 201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29 No.2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고령화 추세는 전 세계적 현상이며, 고령화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면에서 노인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실버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실버주택건설이 활기를 띠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버주택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의 부재로 실버주택건설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버주택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파급효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 모델을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구축하여 파급효과를 추계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직접투자효과는 9,713억 원으로 추정되었고, 이에 따른 전체 파급효과는 2조 120억 원으로 승수는 1.93배로 추계되었다. 이러한 생산유발효과로 발생하는 부가가치총액은 7,068억 원으로 0.7배의 생산유발효과가 있으며, 고용자 소득은 0.3배인 3,494억 원으로 추계되었고, 11,188명의 고용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계되었다. 실버산업의 핵심인 실버주택산업이 다른 산업부문에 대한 상당한 파급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미래 성장 엔진산업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높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the economic effects of Silver houses on the national economy. For this aims, We built a model of impact analysis for Silver house by using an Input-Output analysis and estimate the impact of Silver house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 that the overall effect will be 2,012 billion won and the product induction ratio could be 1.93. The gross value added generated from the product induction will be 706.8 billion won and the value added induction ratio could be 0.7. The aggregated income from these jobs will be 349.4 billion won. The number of new jobs generated from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ilver house construction and consumer activity will be up to 11,188. For this above macro-economic analysis, the paper concludes that Silver houses have a big positive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It is need to continually invest and promote to Silver houses to become of the growth engine for the national economy
이충기,정혜진 한국호텔관광학회 2020 호텔관광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협의와 광의의 한류관광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달성하기 위해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한류관광부문별 승수를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한류관광객의 지출액을 추정하였다. 승수를 도출하기 위해 한류관광은 9개 부문으로, 나머지 23개 부문은 일반부문으로 분류하였으며, 산업부문별 생산, 소득, 부가가치, 간접세, 고용승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협의의한류관광객은 전체 인바운드시장의 7.4%, 광의의 한류관광객은 55.3%로 나타났다. 또한, 1인당 지출액은협의의 한류관광객의 경우 1,007 달러, 광의의 한류관광객의 경우 1,034 달러로 추정되었다. 총 지출액은협의 한류관광객의 경우 약 9억 9,678만 달러, 광의 한류관광객의 경우 약 76억 7,659만 달러로 추정되었다. 산업연관모델 분석결과 협의의 한류관광객의 지출에 의한 생산파급효과는 약 18억 2,226만 달러, 소득파급효과는 약 3억 7,204만 달러, 부가가치파급효과는 약 8억 1,018만 달러, 간접세파급효과는 약 7,535만달러, 고용파급효과는 11,987명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광의의 한류관광객 지출액에 의한 생산파급효과는약 140억 3,024만 달러, 소득파급효과는 약 28억 7,775만 달러, 부가가치파급효과는 약 62억 6,187만 달러, 간접세파급효과는 약 5억 8,099만 달러, 고용파급효과는 92,746명으로 평가되었다.
남중웅 ( Joong Woong Nam ),최윤석 ( Yun Seok Choi ),구강본 ( Kang Bon Goo ),김애랑 ( Ae Rang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8 No.5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가 개최하는 전국규모의 스포츠이벤트 개최를 통한 경제파급효과를 파악하고, 유사한 이벤트 특성을 가진 스포츠이벤트들의 경제파급효과를 비교분석하여 중소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경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2년 3월부터 12월까지 C시에서 개최된 11개 전국규모 체육대회에 참여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여 가장 높은 경제파급효과가 나타난 2개 대회와 가장 낮은 경제파급효과가 예측된 2개 대회를 추출하여 비교분석대상으로 선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 스포츠이벤트 개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사용된 조사도구는 1차적으로 2010년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08년 산업연관표의 책자 및 CD를 이용하였으며, 투자지출내역은 C시의 투자지출내역, 참가자의 소비지출내역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경제파급효과 분석은 산업연관분석(Interindustry Analysis)을 이용해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등을 추정,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총 54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C시에서 개최된 전국규모 스포츠이벤트 개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대부분 높게 나타났으나 초·중·고등학생 관련대회에서의 참가자 지출이 특히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참가자의 규모가 클수록 경제파급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셋째, 대회기간과 투자금액이 많을수록 경제적 파급효과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conomic impact through community sport events and provide strateg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to sport practitioners and governors for maximizing their economic values. 546 spectators from 4 community sports ev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port events were selected with event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mount of investment,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sport level. Interindustry Analysis was utilized as a data analysistool to analyze economic impact derived from community based sport events. Survey was used for collecting data regarding spectators’ spending patterns, and interindustry standards were employed for calculating economic impa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verall community sport events generated the significant level of economic impact through community based sport events. Second, when participants were students, economic impacts were more likely to be generated. Third, when the lengths of event schedules were no more than one week, economic impacts were more likely to be generated.
總要素生産性을 이용한 FDI 技術波及效果 분석: 한국 제조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챠오,오근엽 한국국제통상학회 2017 국제통상연구 Vol.22 No.1
It seems that FDI(foreign direct investment) not only helps to increase the employment in the host country, but als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enterprises through technology spillover effect. As for Korea, FDI has rapidly grown after foreign currency crisis. This paper analyze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technology spillovers effects of FDI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Korea. In particular, unlike other research which used the labor productivity as a measure of productivity, this study used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case of labor productivity. We found that in the static analysis and dynamic analysis, horizontal technology spillover was not significant for both labor productivity and TFP. Forward linkag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or negative in both of static and dynamic analysis for our data. Conversely, backward linkage effec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for labor productivity and TFP in both of static and dynamic analysis. 외국인직접투자(FDI)는 고용창출을 할 뿐만 아니라 기술파급효과를 통해서 기업 및 산업의 생산성을 상승시키고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FDI의 수평적, 수직적 기술파급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들에서 노동생산성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총요소생산성을 이용하여 영향을 분석하고 노동생산성 이용결과와도 비교한다. 분석결과, 동일한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수평적 기술파급효과의 경우, 정태적 분석과 동태적 분석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거나 미세하게 음의 방향의 값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른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수직적 기술파급효과를 보면, FDI기업으로부터 부품이나 자본재를 공급받는 하류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전방연관효과라고 할 수 있는데 정태적 분석과 동태적 분석에서 이 효과는 그다지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에 FDI기업에 중간재를 공급하는 기업(상류산업)들에 미치는 영향, 즉 후방기술파급효과는 모든 분석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개도국들의 자료를 이용한 선행 연구들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박환재(Hoan-Jae Par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어획량규제에 따른 파급효과가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어획량규제와 같은 수산물쿼터조정이 있는 경우 수산물시장의 수요반응만으로 모든 연관시장의 파급효과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수산물시장의 부분균형수요와 일반균형수요의 차이를 통해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연관시장의 가격과 수량의 변화를 모두 추적하여 모든 시장의 후생효과를 분석하지 않아도 쿼터조정이 있는 당해 시장만의 분석으로도 파급효과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쿼터조정을 통한 수산물시장에의 충격과 그 파급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분균형 수요함수와 일반균형 수요함수를 계량경제학적으로 추정하였다. 두 함수의 차이에서 나오는 후생효과를 비교분석하여 파급효과를 도출하였다. 수산물시장에 대한 부분균형과 일반균형 수요곡선을 통해서 연관시장에의 파급효과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파급효과가 비중면에서 부분균형 수요곡선상의 후생효과의 약 43.3%에 해당된다. 따라서 후생분석에서 파급효과를 무시할 정도로 보기 어렵다. 본 연구의 사례가 정밀한 후생분석을 한 것은 아니지만 실증적 예로서 쿼터조정의 파급효과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a spillover effect of fishery quota on related markets through their demand curves. Theoretically, the spillover effects of a change in quota can be captured through the directly distorted market alone by computing surpluses associated with the new and old equilibrium. This study estimates empirically demand functions in the context of both the partial equilibrium and general equilibrium. The spillover effect can be compu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estimates. The econometric methodology to estimate the demand curves in the context of general equilibrium is presented and illustrated. The empirical result of fishery markets shows that spillover effects transmitted across other markets are not small and approximately account for 43.3% of the partial equilibrium welfare effects.
해양산업 전시회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2014 국제해양플랜트전시회의 참가업체와 참관객의 지출액을 중심으로 -
김윤경,윤태환 동북아관광학회 2016 동북아관광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2014 국제해양플랜트전시회 개최가 부산지역에 가져다 준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하기위해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은 2014 국제해양플랜트전시회 개최와 관련하여 참가한 국내외 참가업체, 참관객 그리고 전시회 참가자들의 소비지출을 중심으로지출항목별 총 지출액을 산출하였고 도출된 승수와 전시회참관자, 전시회참가업체 총지출액을 반영하여 총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경제파급효과 분석은 산업연관표상에서전시산업을 경제부문으로 규명 후 산업연관모델(Input-Output Model)을 이용하여전시관련 승수(생산, 취업 부문을 중심)를 활용. 전시산업 부문별 총지출액과 산업연관표 이용, 지역경제에 직접 및 간접효과를 통하여 발생되는 생산·취업 파급효과 측정하였다. 2014 국제해양플랜트전시회 개최에 따른 총 지역경제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는273억 9천만원, 취업유발효과는 310명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면 참가업체의 소비지출에 따른 생산유발효과 153억 5천만원, 취업유발효과 172명으로 나타났으며, 참관객의 소비지출에 따른 생산유발효과 70억 9천만원, 취업유발효과는 119명으로 조사되었다. 컨퍼런스 참가자의 소비지출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9억원으로 나타났고 취업유발효과는 18명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a Marine Industry Exhibition using a regional input-output (I-O) model on Offshore Korea 2015. The exhibition of ‘Offshore Korea 2015’ related sectors were derived from transactions tables developed by the Bank of Korea (2011). The multipliers were estimated in terms of output, income, value added, indirect tax, import, and employment. Expenditures of attendees, buyers, convention and exhibition organizers, and exhibitors were estimated through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 2015, Offshore Korea 2015 generated the following: output impact was 273,9 million KRW and 310 full time jobs. A more detailed design economic impact research will provide a more exact information to a related official and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of a Marine related industry.
이상훈,박누리 경기연구원 2018 정책연구 Vol.- No.-
○ 경기도에서 청년배당 지급 조례와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 조례, 경기도 지역화폐의 보급 및 이용 활성화 조례가 제정되어 지역차원의 입법이 이루어졌고, 지역화폐의 도입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임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청년배당과 출산가정에 지급되는 산모건강지원 사업 등, 지역화폐 사업에 대한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시(군)별로 분석하고자 하였음 ○ 청년배당에 의한 경기도 31개 시군의 총 생산유발효과는 1조 1,191억원이 발생할 전망이며 연도별로는 2019년 2,867억원, 2020년 2,849억원, 2021년 2,752억원, 그리고 2022년 2,723억원이 발생할 전망임 - 청년배당에 의한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총 5,309억원, 취업유발효과는 6,569명임 ○ 경기도 산모건강비 지원 사업의 경우 31개 시군의 생산유발효과는 1,819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918억원, 그리고 취업유발효과는 1,292명으로 추정됨 ○ 경기도 지역화폐로서 청년배당과 산모건강지원비에 의한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결과 생산유발효과는 총 1조 3,010억원으로 추산되며 부가가치유발효과는 6,227억원, 그리고 취업유발효과는 7,861명으로 추정됨 ○ 지역화폐로 지급되는 청년배당과 산모건강 지원사업은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 문제는, 인구규모가 큰 지역에 혜택이 크고 규모가 작은 낙후 지역에서 혜택이 한정된 문제로서 빈익빈 부익부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마련해야할 것임 ○ 또한, 청년배당과 산모건강지원 등 사업이 구체적으로 시행 완료되는 첫 번째 연도인 2019년 이후에 보다 정밀한 자료를 근거로 최종수요를 판단하고,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음 ○ 지역화폐 관련, 지역내 가맹점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더욱이 시군과 경기도 예산의 매칭결과에 따라 파급효과 분석은 달라질 수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지역화폐 사업의 추진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시군단위별로 구체적으로 추산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gional economic effects on local currency projects, such as youth dividends and maternal health support projects currently being pushed by Gyeonggi Province. In Gyeonggi Province, the Act on the Payment of Youth Dividends, the Act on Support for Postpartum Preparation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Act on the Promotion of the Supply and Use of Local Currency in Gyeonggi-do were enacted, and it wa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local currency. Total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f 31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 Province by youth dividend is expected to be 1.19 trillion won, and 286.7 billion won by 2019; 284.9 billion won by 2020; 272.3 billion won by 2022. The effect of inducing value added by youth dividend totals 530.9 billion won and the effect of inducing employment is 6,569 people.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f 31 cities and counties from the maternal health support program is estimated to be 181.9 billion won. The value added effect is about 91.8 billion won and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s estimated to be 1,292 people. In total, the regional economic impact analysis of youth dividend and maternity health support is estimated to be 1.31 trillion won for Gyeonggi province. The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is 622.7 billion won and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s 7,861 people. Youth dividend paid in local currency and maternity health support project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ocal economy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The limitation is that there are limited benefits in areas with small populations with low-income, thus, alternative solutions should be prepared to address the problem of balanced benefits. In addition, the final demand needs to be determined based on more precise data after 2019, the first year when projects such as youth dividend and maternal health support are completed in detail, and the impact on the local economy needs to be analyzed more precisely. There are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economic effects of local currency without its local merchants membership being confirmed. Moreover, the economic effects analysis may vary depending on the matching results of the city government"s budget. Nevertheless, this study c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estimated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the promotion of the local currency project by city and county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