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수계퇴적토 특성분석 및 준설 퇴적토 관리방안

        장윤영,정재윤,김임순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계의 퇴적토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준설 퇴적토의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발생기원별로 퇴적토의 오염특성을 알아본 결과, 도시 및 공단지역은 중금속, 농축산지역은 유기물질, 해안지역은 중금속과 유기물질이 복합적으로 오염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4대강 유역은 유기물오염은 낮게 나타났으나 중금속의 경우 일부구간에서 미국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퇴적물의 성상은 지역별 오염기원별로 그 특성이 달리 관찰되는 바, 그 특성에 맞는 국내 퇴적물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제한적인 부지를 대상으로 용출평가를 수행결과 퇴적물의 오염물질이 수계로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생태독성평가, 위해성평가를 통한 국내 실정에 맞는 퇴적물관리기준의 제정과 중점관리대상을 선정하여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한편, 국내 하천·호소에서의 준설사업은 골재 채취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육상매립 혹은 해양투기 등의 방법으로 단순 처리되고 있어 준설물질의 다양한 활용을 촉진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준설토의 활용을 위하여 관련법을 정비하고 유효활용에 대한 법적 기준근거를 제시한다면, 향후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준설사업이라 할지라도 적절한 처리를 통하여 유용하게 재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시화호 퇴적토의 오염도 평가 및 효과적 관리방안

        김승진,배우근,신경훈,최동호,백승천,윤승준,최형주,Kim, Seung-Jin,Bae, Woo-Keun,Shin, Kyung-Hoon,Choi, Dong-Ho,Baek, Seung-Chun,Yoon, Seung-Joon,Choi, Hyung-Joo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7 지하수토양환경 Vol.12 No.4

        시화호 저서생태계의 비용효과적 복원을 위한 퇴적토 관리 대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화호 내 오염퇴적물의 현황 및 저서생태계 특성에 대한 조사와 퇴적물 관리 기준과 사례 연구가 수행되었다. 미국해양대기청의 퇴적물환경권고기준에 따라 시화호 퇴적토의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 13개 조사지점 중 반월/시화 산단과 인접해 있는 4개 지점의 퇴적토가 2개 이상의 중금속에서 ERL (Effects Range Low : 저서생물 10%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농도)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 워싱턴 주와 네덜란드에서 정하고 있는 퇴적토 제거기준은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유기물 및 황화물 오염의 관점에서 개발된 일본 나고야항과 동경만/요코하마만의 퇴적물 제거기준에 의하면 시화호 표층 퇴적물 대부분이 제거대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저서생물의 조사결과 Polydora ligni (얼굴갯지렁이)와 Musculista senhousia (종밋)와 같은 오염지시종이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이로 미루어 유기물 오염에 의한 여름철 용존산소 고갈 및 황화수소 생성등이 일반적인 저서생물의 건강한 성장을 크게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기물, 황화물 및 중금속과 오염퇴적토가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일부 지역은 우선적으로 퇴적토 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n investigation on the polluted sediments in the Lake Sihwa and the benthos that inhabited on the sediments was conducted. Cost effective remediation alternatives were derived form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e sediment samples taken from four sampling points out of thirteen showed relatively high heavy metal (particularly copper) concentrations which exceeded the Effects Range Low (ERL) of th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USA. The four sampling points were located in front of industrial complexes. Although the heavy metals appeared to have affected the growth of the benthos, the concentration of it did not exceed the criteria of dredging that were developed by Netherlands or the State of Washington, USA. However, contamination by organic matters and sulfur compounds was severe, which exceeded the criteria of dredging that were established in Japan. The sediments taken from the four sampling points which were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showed higher organic matter content in general. The organic matters in the sediments depleted oxygen in summer, which appeared to be fatal to the benthos.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sediments, benthos, and other environmental impact from the contaminated sediments drew a conclusion that the benthonic environment of the Lake Sihwa needed a stepwise remediation, giving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clean up of the sediments upstram of the Lake which could cause odor problems to the nearby residential area.

      • KCI등재

        논문 : 홍동저수지 퇴적토의 유기물 용출 특성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저수지 관리 방안 연구

        이영신 ( Young Shin Lee ),신상희 ( Sang Hee Shin ) 대한지질공학회 2013 지질공학 Vol.23 No.2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 개선을 위한 효율적 관리 방안은 본 연구에서 제시되엿다. 홍동 저수지는 저수지 유역내에 농경지, 산림지역, 주거지역, 그리고 축산 지역 등을 포함하고 있다. 수질 환경을 복원시키기 위해 우선 저수지 내 퇴적물의 오염도를 조사되었고 저수지내 퇴적토의 잠재적인 영양염류 분석한 결과 총질소(T-N)은 1.06g/m²-d∼3.67g/m²-d로 분포를 보이고 총인(T-P)는0.52 g/m²-d∼1.12 g/m²-d로 측정되었다. 또한 퇴적토 준설 시 용출 특성 분석을 위해 72시간동안20 혐기성 조건으로 시험을 진행되었다. 총인(T-P)와 (인산염인)PO₄-p의 농도는 시간에 따라 비교적 일정하게 용출되는 특성이 나타났으며 총질소(T-P)의 경우에 아질산성 질소(NO₂-N)와 질산성 질소(NO₃-N)의 탈질산화로 인하여 그농도가 불규칙적으로 용출되는 특성을 보였다. 특히, 암모니아인 경우는 컬럼내부의 혐기성조건으로 형성된 낮은 ph로인하여 질소 (N₂)와 함께 용출양은 극히 미량으로 측정되었다. This study proposes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agricultrural reservoirs. Hongdong reservoir is located in an area that includes farmland, forest, residential housing, and livestock farms. The levels of pollutants rn Hongdong reservoir were investigated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water quality in the reservoir. The potential concentrations of total nitrofen(T-N)and total phosphorus(T-P)in Hongdong reservoir were 1.06-3.67and0.52-1.12g/m²-d, respectively. An analysis of leaching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under anaerobic conditions for 72hours at20℃. The concentrations of T-P and PO₄-P were measured by general leach-ing for asset period. In the case of T-P,the leaching was measured by irregular leaching due to denitrification of nitrite nitrogen(NO₂-N)and nitrate nitrogen(NO₃-N).A very small amount of NH₃-N on nitrogen(N₂)was mea-sured due to the low PH in the column, as a consequence of the anaerobic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